KR100528999B1 -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999B1
KR100528999B1 KR10-2003-0053654A KR20030053654A KR100528999B1 KR 100528999 B1 KR100528999 B1 KR 100528999B1 KR 20030053654 A KR20030053654 A KR 20030053654A KR 100528999 B1 KR100528999 B1 KR 10052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reen
image
main body
opa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6778A (ko
Inventor
서진석
Original Assignee
서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석 filed Critical 서진석
Priority to KR10-2003-005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9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16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 {SIGNBOARD, IMAGE DISPLAY METHOD, SIGNBOAR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간판이란 상점·회사·영업소·기관 등에서 그 이름·판매상품·영업종목 등을 써서 사람 눈에 잘 띄도록 걸거나 붙이는 표지(標識)를 말한다.
설치장소에 따라 옥상간판·벽면간판·돌출간판·점두(店頭)간판·입간판·빌보드(들판, 산, 고속도로변에 세우는 간판) 등이 있고, 구조상의 종류로는 네온사인·광고탑·조명광고간판·그림간판·플라스틱간판·시네사인(cine sign) 등이 있다.
특히 간판의 주요 기능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이름 등을 알리는 데 있으며,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간판에 그 표지면에 글자 또는 그림을 그려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간판이 고안되었는데, 그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10-2001-0083678호, 공개특허공보 특2003-0037200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262262호가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에 기재된 간판은 스크린에 해당하는 면이 간판에 형성되어야 하므로,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때에는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상기와 같은 필요성 및 문제점을 인식하여,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한 스크린을 활용하여 상기 스크린에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때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여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간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 및 문제점을 인식하여,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한 스크린을 활용하여 상기 스크린에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 및 문제점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한 스크린을 활용하여 상기 스크린에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간판을 전기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간판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간판을 다수개로 구성하고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간판부의 제어부를 제어하는 전기통신망을 이용한 간판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외측면 일부에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간판, 간판제어시스템 및 영상표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 원리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특수 막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전기를 가하면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기를 가하지 않으면 불투명해지는 특수막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으로 활용한다.
즉 낮과 같이 밝은 때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그 내부에 기타 표지면을 설치하여 표지판을 보이도록 하다가, 밤이 되면 상기 스크린을 불투명하게 한 후에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으로서 활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200)와; 상기 스크린부(200)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200)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400)와; 상기 스크린부(200) 및 영상투사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통상 건물의 전면 또는 측면에 부착되는 본체로서, 건물에 고정되도록 체결부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200)가 설치된 면의 반대쪽 면이 건물(B)의 벽에 고정되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200)가 설치된 면과 수직인 면이 건물(B)의 벽에 고정될 수 있으며, 건물과는 별도로 지면 상에 설치가능한 소위, 입간판의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200)가 설치된 면에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표지면(310)을 가지는 간판 표시부(300)가 추가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간판 표시부(300)는 밤과 같이 어두운 경우에 눈에 띄도록 표시될 수 있도록 표지면(310)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32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명장치(32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에서 상기 표지면(310)을 비추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등(321) 등을 상기 표지면(310)에 대응되어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조명장치(320)의 조명이 상기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영상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그 조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330)가 상기 본체부(100)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스크린부(200)가 투명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는 보조 간판 표시부(34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간판 표시부(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설치된 스크린부(200)가 설치된 면의 반대쪽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간판 표시부(340)는 도 5a와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200)의 내측면에 중첩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보조 간판 표시부(340)는 스크린부(200)가 투명할 때에는 스크린부(200)와 내측에 중첩되어 외측으로 표시하는 표시면부(341)와, 상기 표시면부(341)와 연결됨과 아울러 스크린부(200)가 불투명할 때에는 스크린부(200)의 내측에 중첩되어 후술할 영상투사부(400)의 프로젝터(410)가 상기 스크린부(200)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면부(342)와, 상기 표시면부(341)와 투명면부(342)가 상기 스크린부(200)에 중첩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50)는 상기 표시면부(341)와 투명면부(342)가 각각 감기는 한 쌍의 감김롤(351)과, 상기 감김롤(35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명면부(341)는 스크린부(200)와 중첩되는 부분에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거나, 개구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 간판 표시부(340)는 상기 영상투사부(400)의 영상 투사를 방해하지 않는 조건에서, 본체부(100)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면부(341)는 양면에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는 표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영상투사부(400)는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을 상기 스크린부(200)에 투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영상투사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투사부(400)는 본체부(100)가 건물(B)의 측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본체부(100)의 양측면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면에 한 쌍의 스크린부(200)을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스크린부(200)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상측에 설치된 지지부재(440)에 의하여 지지되어 한 쌍의 프로젝터(41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프로젝터(410)는 본체부(100)의 내측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스크린부(200)가 양측면에 설치된 경우,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본체부(100)의 내측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200)가 설치된 본체부(100)의 반대쪽면에 투명창(미도시) 또는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제 2 스크린부(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스크린부(200)에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투명창 또는 제 2스크린부를 투명하게 하여 상기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본체부(100)의 양측면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200)는 본체부(100)의 외면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도 7a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200)는 본체부(100)의 외면과 떨어져서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면에 한 쌍의 스크린부(200)가 설치된 경우 영상투사부(400)를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함과 동시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영상투사부(400)는 본체부(100)의 양측면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빛을 분리하는 광분리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분리부는 빛의 일부를 스크린부(200)로 각각 반사시키는 반투과경(미도시)과 반투과경을 투과한 빛을 다시 반투과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광분리부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410)에서 조사되는 빛을 두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볼록경(460)과 상기 볼록경(460)으로부터 분리된 빛을 스크린부로 반사시키는 하나 이상의 반사경(4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스크린부(200)에는 영상이 상호 간섭받지 않도록 빛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스크린부(200)가 투명할 때 외측에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는 표지판(461)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투사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투사부(400)가 원활한 영상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통상 일정한 거리를 요구하는 데, 이는 본체부(100)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도 9a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투사부(400)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스크린부(200)에 도달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경(430)들이 본체부(100)의 내측에 스크린부(200)에 영상이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적절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반사경(430) 중 스크린부(200)에 가까운 반사경(430)은 그 영상 도달거리를 줄이기 위하여 볼록면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투사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영상재현부(420)와, 상기 영상재현부(420)의 신호에 따른 영상정보를 가지는 빛으로 변환하여 상기 빛을 상기 스크린부(200)로 조사하는 투사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사부(410)는 통상 프로젝터(Projector)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영상재현부(420)는 상기 투사부(4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재현부(420)는 VTR, DVD 플레이어, 컴퓨터 등 영상을 재현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상기 영상재현부(420) 및 제어부(500)는 유선 또는 무선 등의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을 다수개로 구성하고, 이를 한 곳에서 제어할 수 있는 간판제어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를 제어함에 있어서, 인터넷을 활용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영상 또한 인터넷과 연결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린부(200)는 전기를 가하면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기를 가하지 않으면 불투명해지는 특수막(미도시)과 상기 특수막이 부착되는 투명한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부(200)는 낮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며 밤에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부(200)는 빗물 또는 먼지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염방지막(미도시)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부(200)는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표지부(미도시)가 함께 형성될 수 있는데, 낮과 같이 밝을 때에는 표지부를 제외한 부분이 투명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불투명한 부분이 글자들의 특정한 의미를 표시하게 되며, 밤과 같이 어두운 경우에는 표지부 이외의 부분도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 표지부 또한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하여 영상표시 중에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조절함으로써 특수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200)는 본체부(100)에 하나만 형성될 수 있으나, 다수개로 설치가 가능하며 그 위치 또한 양단부, 중앙, 상단부, 상하단부 등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표시부(4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음향을 재생시키기 위한 음향부(60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영상은 상호, 이름, 기타 특정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내용이 될 수 있으며, 학원, 회사 등을 광고하기 위한 동영상으로 구성된 광고영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크린부(200)가 간판의 본체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스크린부(200)를 건물의 외측면인 창문에 설치할 수 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간판 및 간판제어시스템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낮과 같이 빛이 밝을 때 또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부(200)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스크린부(200)와 중첩되도록 설치된 보조 간판 표시부(340)가 상기 스크린부(200)를 통하여 외측으로 비치게 되어 일반 간판의 표지판의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보조 간판 표시부(340)가 표시면부(341) 및 투명면부(342)를 가지고 있는 경우, 스크린부(200)가 투명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면부(341)가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부(350)를 통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간판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스크린부(200)는 간판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부(200)에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스크린부(200)에 가해지는 전원을 제거함으로써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영상투사부(40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린부(200) 상에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영상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다양한 내용이 될 수 있으며, 통상 광고용으로 제작된 동영상 등이 된다.
특히 상기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동영상 및 간판은 유선 또는 무선 등의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간판을 한 건물에 다수개 설치하거나, 다른 건물들에 다수개로 설치된 경우에도 전기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을 전송하거나 스크린부(200)를 투명 또는 불투명 등의 제어를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스크린부(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도중에도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면서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판, 간판제어시스템 및 영상표시방법은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를 활용함으로써 스크린의 투명 또는 불투명 효과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판제어시스템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스크린을 활용하여 상기 스크린에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간판을 전기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간판을 하나의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기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이 건물의 벽면에 일측면이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이 건물의 측면에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간판의 Ⅳ-Ⅳ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a와 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보조 간판 표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에 영상투사부가 본체부의 외측에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양측에 스크린부가 설치되고, 영상투사부가 본체부의 외측에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양측에 스크린부가 설치되고, 광분리부가 추가로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영상투사부가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a와 9b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본체부의 내측에 다수개의 반사경들이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개략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부 200 : 스크린부
300 : 간판 표시부 310 : 표지면
320 : 조명장치 330 : 차단부
340 : 보조 간판 표시부 341 : 표시면부
342 : 투명면부 350 : 구동부
351 : 감김롤 400 : 영상투사부
410 : 프로젝터, 투사부 420 : 영상재현부
430 : 반사경 500 : 제어부
600 : 음향부

Claims (43)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된 면에는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표지면과, 상기 간판 표시부는 밤에 표시될 수 있도록 표지면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를 가지는 간판 표시부와;
    상기 본체부에 추가로 설치되어 상기 조명장치의 조명이 상기 스크린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그 조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스크린부가 투명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는 보조 간판 표시부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간판 표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된 면의 반대쪽의 내측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5.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부가 투명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는 보조 간판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간판 표시부는 상기 스크린부가 투명할 때에는 상기 스크린부와 내측에 중첩되어 외측으로 표시하는 표시면부와, 상기 표시면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스크린부가 불투명할 때에는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에 중첩되어 상기 영상투사부가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면부와, 상기 표시면부와 투명면부가 상기 스크린부에 중첩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면부와 투명면부가 각각 감기는 한 쌍의 감김롤과, 상기 감김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부는 양면에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는 표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면부는 상기 스크린부와 중첩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간판 표시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0.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상기 스크린부에 도달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 중 상기 스크린부에 가까운 반사경은 볼록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2.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는 빗물 또는 먼지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염방지막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5.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투사부는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영상투사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빛을 분리하는 광분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리부는 빛의 일부를 상기 스크린부로 각각 반사시키는 반투과경과 상기 반투과경을 투과한 빛을 다시 반투과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리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투사부의 영상을 두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볼록경과, 상기 볼록경으로부터 분리된 빛을 스크린부로 반사시키는 하나 이상의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19.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된 면의 반대쪽 면이 건물의 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20.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지면 상에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2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된 면과 수직인 면이 건물의 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22.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23.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음향을 재생시키기 위한 음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24.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투사부는 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영상재현부와, 상기 영상재현부의 신호에 따른 영상정보를 가지는 빛으로 변환하여 상기 빛을 상기 스크린부로 조사하는 투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재현부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재현부는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27.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낮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며 밤에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28. 제 1항 내지 제 9항, 제 12항 내지 제 14항 및 제 19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투사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29. 건물의 외측면 일부에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스크린부는 건물의 외측면에 설치된 간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30. 건물의 외측면 일부에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스크린부는 투명할 때에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표지부가 상기 스크린부에 중첩되도록 하는 영상표시방법.
  31. 제 29항 또는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광고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32. 제 29항 또는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외측면은 창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03-0053654A 2003-08-02 2003-08-02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 KR10052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654A KR100528999B1 (ko) 2003-08-02 2003-08-02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654A KR100528999B1 (ko) 2003-08-02 2003-08-02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842A Division KR20050072740A (ko) 2005-06-27 2005-06-27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778A KR20050016778A (ko) 2005-02-21
KR100528999B1 true KR100528999B1 (ko) 2005-11-16

Family

ID=3722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654A KR100528999B1 (ko) 2003-08-02 2003-08-02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57B1 (ko) * 2005-04-19 2006-09-29 심기섭 광학영상을 이용한 광고장치
KR102091021B1 (ko) 2018-09-06 2020-03-19 황복득 이동식 사인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778A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7769B1 (en) Image display system using blinds
US8139290B2 (en) Two-way mirror screen system for advertisement
JPH10293550A (ja) 映像用スクリーンボックスおよび連続動作映像装置
KR20050072740A (ko)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
KR20180059320A (ko)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폴딩도어형 광고 장치
KR100528999B1 (ko)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
RU2308769C2 (ru) Способ рекламы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кламы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KR200233393Y1 (ko) 외부조명등이 구비된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CN2468068Y (zh) 显示投影设备
TWM611293U (zh) 廣告燈箱
KR20030022515A (ko) 옥내용 광고장치
TWI745192B (zh) 廣告燈箱
KR200249928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JPH10177358A (ja) 内照式電飾看板
US303496A (en) Method of displaying signs
KR100306364B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KR100341615B1 (ko) 반투과광고면이 형성된 유리창 및 이를 이용한 야간광고방법
CN2275971Y (zh) 透视反射镜
KR102230525B1 (ko) 프로젝터를 이용한 영상 처리 시스템
JP7446478B2 (ja) 表示システム
KR200357004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KR200213993Y1 (ko) 상대적 시각효과를 이용한 광고간판
KR200247262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KR200273341Y1 (ko) 동영상겸용 유리광고장치
KR20030071791A (ko) 광도차 다기능 장식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