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673B1 - 비상시 데이터 소거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시 데이터 소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673B1
KR100528673B1 KR10-2003-0022207A KR20030022207A KR100528673B1 KR 100528673 B1 KR100528673 B1 KR 100528673B1 KR 20030022207 A KR20030022207 A KR 20030022207A KR 100528673 B1 KR100528673 B1 KR 100528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nonvolatile storage
chip
data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794A (ko
Inventor
정영조
정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쳐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쳐시스템
Priority to KR10-2003-002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6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5Rockets;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6Jet-propelled flying toys, e.g. aero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4Starting or launching devices for toy aircraft; Arrangements on toy aircraft for starting or lau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불법적인 접근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더미값을 기록하여 상기 데이터를 소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가 소정의 시스템에 착탈 가능한 IC 칩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IC 칩과 상기 소정의 시스템이 분리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부, 및 상기 접근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더미값을 기록하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시 데이터 소거 장치{THE SYSTEM FOR REMOVING DATA IN CASE OF EMERGENCY}
본 발명은 비상시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를 소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불법적인 접근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더미값을 기록하여 상기 데이터를 소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결제 방식은 현금을 중심으로 한 화폐 위주에서 신용카드, IC 카드 등의 비화폐 위주의 결제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게다가 인터넷을 비롯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 뱅킹과 전자상거래, 무선 결제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가 창출되었고, 여러 통신/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다양한 비화폐적 결제방식 및 도구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 중 하나가 PC 등의 데스크탑 외에도 핸드폰, PCS, 스마트 폰, 웹 패드 등의 이동 통신 기기, 사무 기기, 가전, 게임 용품, 통신/방송 기기, 보안/방범 장치 등의 컴퓨팅 시스템에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삽입 및/또는 저장을 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온/오프라인 결제 방식에서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이동 통신 기기 등을 분실, 유실, 도난 등을 당하여 이동 통신 기기 등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출되는 등 예상치 못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동 통신 기기 및 컴퓨팅 시스템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키 데이터나 인증 데이터, 주민등록번호, 신용카드정보, 공개인증서 등은 무엇보다 안전하게 보관되어야 하고 악의적인 사용자나 습득자에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현재 비화폐적인 결제방식 도구로 대표적인 것이 신용카드 및 IC 카드라고 말할 수 있다. 보통 IC 카드의 사용 형태에 따라 접촉식(contact) 카드, 비접촉식(contactless) 카드, 하이브리드(hybrid) 카드, 콤비(combi) 카드로 각각 분리되며, 최근에는 IC와 RF(radio frequency) 기능을 가진 접촉 및 비접촉식(combi) 카드가 현금 입출금카드, 공중전화카드, 직불카드, 교통카드 및 신용카드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촉식 IC 카드 및 비접촉식 IC 카드에 대해 설명한다. 콤비 카드는 접촉식 IC 카드와 비접촉식 IC 카드의 구성 요소를 모두 구비한 것이므로 콤비 카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접촉식 IC 카드는 이를 수용하는 단말기에 삽입되었을 때, 카드의 접점이 단말기의 접점에 접촉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의 카드를 지칭한다. 이러한 형태의 카드는 접점의 잦은 접촉으로 인하여 전기적 충격이나 손상이 있을 우려가 있으나, 카드 내의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고도의 보안 체계를 구축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도 1은 접촉식 IC 카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접촉식 IC 카드(10)는 일반적으로 운영 체제가 기록되어 있는 롬(ROM)(11), 임시 저장 장치인 램(RAM)(12), 응용 저장 장치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13), CPU(14), 입출력 장치(15) 및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6)를 포함한다(접촉식 IC 카드에는 단순 메모리 카드 형식과 CPU 내장 형식이 있을 수 있으며, 도 1은 CPU 내장 형식의 카드를 도시한 것임).
상기 구성 요소들은 내부 버스 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CPU(14)에 의해 제어된다. 롬(11)은 보통 운영 체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램(12)은 연산 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기억 공간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EEPROM(13)은 연산에 쓰이게 될 키(key) 또는 사용자 정보 등의 응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 중에서 램(12)은 휘발성 메모리에 해당하고, 롬(11) 및 EEPROM(13)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해당한다.
접촉식 IC 카드(10)는 단말기에 삽입 등이 되었을 때, 카드(10)의 인터페이스(16)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에 접촉됨으로써 카드(10)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형태의 카드는 인터페이스(16)의 잦은 접촉으로 인하여 전기적 충격이나 손실이 있을 우려가 있으나, 카드(10) 내의 특정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고도의 보안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를 이용하여 비접촉식 IC 카드(200)에 대해 설명한다. 비접촉식 IC 카드(200)는 RF(Radio Frequency) 카드라고도 불리며 정보 처리 기능에 필요한 연산 소자와 기억 소자 등의 구성은 접촉식 IC 카드와 동일하지만, 외부의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 받기 위한 무선 처리 모듈(220)과 안테나(230)가 내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접촉식 IC 카드와 차이가 있다.
비접촉식 IC 카드(200)은 연산 처리 모듈(210), 무선 처리 모듈(220) 및 안테나(230)을 포함한다. 연산 처리 모듈(210)은 일반적으로 운영 체제가 기록되어 있는 ROM(211), 임시 저장 장치인 램(212), 응용 저장 장치인 EEPROM(213), CPU(214), 입출력 장치(215) 및 인증/액세스 제어 모듈(216)을 포함한다. 무선 처리 모듈(220)은 전력을 공급 받기 위한 전원 수신부(221)와 데이터 송수신 장치(222)를 포함한다. 그런데, 최근 종래의 결제 수단인 카드 대신에 결제 시스템과 그 외의 장치가 결합된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핸드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나 텔레비전과 같은 셋탑 박스(set-top box) 등에 결제를 위한 IC 칩이 장착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접촉식 IC 카드 또는 비접촉식 IC 카드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들이 IC 칩 형태로 핸드폰 등에 설치된다.
이 경우, 핸드폰 등이 분실되면 설치된 IC 칩에 저장되어 있는 결제 정보 등이 누출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 10-0314409 호 "램 데이터 비상 소거장치"가 있다. 도 3은 상기 "램 데이터 비상 소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램 데이터 비상 소거장치는 램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키 데이터나 인증 데이터, 주민등록번호, 신용카드정보, 공개인증서 등과 같은 인증용 및 사용자용 데이터를 악의적인 사용자가 알아내고자 시도할 경우에 사용자 및 결제에 관한 데이터를 비상 소거하는 기술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보통 램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불리는데 이것은 전원 공급이 끊기면 휘발성 메모리 소자인 램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가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도 3에서 나타내고 있는 램 데이터 비상 소거장치는 만약 악의적인 사용자가 중요 데이터를 습득하고자 시도할 때 전원 입력 자체를 차단하도록 하여 램에 저장되어 있는 중요 데이터를 소거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램 데이터 비상 소거 장치는 램(31)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부(35)와 건전지(34), 스위치(33) 및 램(31)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악의적인 사용자가 램 데이터에 접근하고자 그 케이스를 임의로 조작할 경우, 상기의 구성요소와 발명을 통해 데이터 접근 감지 장치인 스위치(33)가 작동하여 전원(건전기(34))을 차단하여 램(31)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소거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등록 특허에 따른 램 데이터 비상 소거 장치는 램, 즉 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전원 입력을 차단함으로써 데이터를 소거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전원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또는 결제 정보 등을 소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 정보 또는 결제 정보는 롬, EEPROM 등의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으므로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유출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유출하기 위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의의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상시에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가 소정의 시스템에 착탈 가능한 IC 칩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IC 칩과 상기 소정의 시스템이 분리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부, 및 상기 접근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더미값을 기록하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는 상기 IC 칩과 상기 소정의 시스템과의 사이에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가 소정의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가 개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IC 칩으로의 접근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부, 및 상기 접근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더미값을 기록하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는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와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는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 및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는 상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더미값을 기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40)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데이터 소거 장치(40)는 접근 감지부(41),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42) 및 전원 제어부(43)를 포함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비휘발성 저장 장치(44)는 핸드폰에 장착되는 IC 칩(51)에 설치되어 있다. 핸드폰에 장착되는 IC 칩(51)은 무선 결제나 인증 등을 위한 것일 수 있고, 비휘발성 저장 장치(44)는 무선 결제나 인증을 위한 결제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램 등의 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데이터와는 달리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소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만을 소거하는 종래기술에 의하면, 핸드폰이 분실되는 경우 등에 제3자에 의해 IC 칩(51)의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결제 정보 등이 유출되어 악용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 소거 장치(40)가 설치된다. 접근 감지부(41)는 IC 칩(51)의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유출하기 위해 핸드폰(52)(도 5에서는 핸드폰 중에서 IC 칩(51)이 장착되는 부분만을 도시함)으로부터 IC 칩(51)을 분리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접근 감지부(41)의 구현에는 종래기술인 스윗치를 비롯하여 당업자가 생각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40)는 IC 칩(51)의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한 것이므로 IC 칩(51)이 핸드폰(5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후에는 IC 칩(51)의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거하는 것이 어렵다. 그런데, IC 칩(51)을 핸드폰(5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IC 칩(51)과 핸드폰(52) 사이에는 사람이 인식할 수는 없지만 빠르게 접촉/비접촉이 반복되는 과정을 거친 후에 발생한다. 따라서, 접근 감지부(41)가 최초의 분리(비접촉)를 감지한 순간부터 IC 칩(51)이 핸드폰(5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순간 동안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소거되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IC 칩(51)과 핸드폰(52) 사이에 탄성체(46)가 포함되어 있어, 불법적인 접근자가 IC 칩(51)을 핸드폰(52)으로부터 분리하려고 하는 순간부터 확실히 분리되기까지의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탄성체(46)는 IC 칩(51)과 핸드폰(52)이 분리되는 것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IC 칩(51)의 비휘발성 저장 장치(41)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확실하게 소거할 수 있게 된다. 탄성체(46)로서는 스프링,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체가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42)는 IC 칩(51)과 핸드폰(52)이 분리됨에 따라 접근 감지부(41)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 받으면,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에 더미(dummy)값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소거한다. 더미값은 '101010…'이나 '00000…' 등 무의미한 값의 나열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에 더미값을 빠르게 저장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더미값은 '00000…' 또는 '11111…'등과 같이 전부 같은 값으로 함으로써 기록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미값은 미리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의 한 부분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 다른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42)가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에 더미값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전원이 필요하다. 전원 제어부(43)는 상기 접근 감지에 응답하여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42) 및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IC 칩(51)에 필요한 전원은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탄성체와 마찬가지로, IC 칩(51)의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거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IC 칩(401)이 핸드폰(5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후에도, IC 칩(51)이 핸드폰(5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기 전에는 IC 칩(51)의 비휘발성 저장 장치(44)로 무선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비휘발성 저장 장치(4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거할 수 있게 된다. IC 칩(51)이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 받기 위해서는 핸드폰(52)으로부터 전원을 수신하는 전원 수신부 및 안테나(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근 감지부(41)가 IC 칩(51)과 핸드폰(52)이 분리되었는지를 감지하면, 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42)는 휘발성 저장 장치(44)에 더미값을 기록하여 원래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소거하게 되고, 이때 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42)와 휘발성 저장 장치(44)에 필요한 전원은 무선 수신부가 핸드폰(52)으로부터 무선으로 공급 받은 전원을 이용하게 된다. 전원 제어부(43)는 무선 수신부에 공급된 전원을 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42)와 휘발성 저장 장치(44)로 전달하는 과정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데이터 소거 장치(40)의 구성 요소인 접근 감지기(41),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42) 또는 전원 제어부(43)는 IC 칩(51)에 설치될 수도 있고, 소정의 시스템(본 실시예에서는 핸드폰)(42)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데이터 소거 장치(40)가 어느 쪽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핸드폰(52)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무선으로 전원을 공급 받는 경우에도 무선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안테나)가 필요하다).
다만, 데이터 소거 장치(40)가 IC 칩(51)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근 감지부(41)가 IC 칩(51)이 핸드폰(52)으로부터 분리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더 필요하게 되고, 데이터 소거 장치(40)가 핸드폰(52)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42)가 IC 칩(51)에 존재하는 휘발성 저장 장치(41)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더 필요하게 된다는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IC 칩이 핸드폰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소정의 시스템에는 핸드폰 이외에도 그 밖의 이동 통신 기기, 사무 기기, 가전 제품, 게임 용품, 보안/방범 장치 등 소정의 목적으로 IC 칩이 장착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 소거 장치(60) 역시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60)와 마찬가지로 접근 감지부(61),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62) 및 전원 제어부(6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60)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64)가 소정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로서의 역할만을 하는 장치뿐만 아니라, 비휘발성 저장 장치(64)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폰 본체(충전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의 핸드폰을 의미함)(621)의 뒷면에 비휘발성 저장 장치(64)가 설치되고(본 도면에서는 IC 칩(610)의 내부에 설치됨), 비휘발성 저장 장치(64)를 충전기(622) 부분으로 덮는 구조라면 핸드폰 본체(621)와 충전기(622) 자체가 비휘발성 저장 장치(64)를 감싸는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충전기(622)를 핸드폰(62)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케이스가 열리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비휘발성 저장 장치(64)는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접근 감지부(64)는 상기 케이스가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도 6에서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시스템은 핸드폰(622)이고 케이스는 핸드폰 본체(621)와 충전기(622)가 된다. 또한, 도 6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64)가 핸드폰(622)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IC 칩(61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했으나 비휘발성 저장 장치(64)는 본래 핸드폰(622)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케이스가 분리되어 접근 감지부(64)가 이를 감지하면,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62)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64)에 더미값을 기록함으로써 원래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소거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60)와는 달리 비휘발성 저장 장치(64)가 핸드폰(622)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접근 사실을 감지하기 때문에, 비휘발성 저장 장치(64)에 더미값을 기록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다만, 이 때에도 비휘발성 저장 장치(64)에 더미값을 기록할 시간을 더욱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핸드폰 본체(621)와 충전기(622) 사이에 탄성체를 설치하거나, 비휘발성 저장 장치(64)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비휘발성 데이터 소거 장치(60)는 비휘발성 데이터 소거 장치(40)에 비해 접근 감지부(61)가 불법적인 접근을 감지하는 방식을 제외한 구성을 동일하므로 그 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 자체가 케이스처럼 사용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수납용 케이스가 있을 수도 있다. 도 7은 소정의 시스템에서 케이스(72)를 이용하여 장착된 IC 칩(71)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66)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스가 소정의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60)에서와 마찬가지이다. 이 때 케이스가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은 부호 (73)으로 표기된 연결부가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핸드폰에 비휘발성 저장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소정의 시스템에는 핸드폰 이외에도 그 밖의 이동 통신 기기, 사무 기기, 가전 제품, 게임 용품, 보안/방범 장치 등 소정의 목적으로 IC 칩이 장착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이 포함될 수 있고, 케이스에는 핸드폰 본체와 충전기 이외에도 비휘발성 저장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장치(본래의 용도가 수납용인지 여부는 불문함)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폰 등 소정의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불법적인 접근이 이루어지는 경우나 불의의 사고로 비휘발성 저장 장치가 유실되는 경우,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거하여 데이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접촉식 IC 카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비접촉식 IC 카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특허 발명인 '비상시 램 데이터 소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소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접근 감지부
42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
43 전원 제어부
44 비휘발성 저장 장치

Claims (7)

  1. 비상시에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한 데이터 소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는 소정의 시스템에 착탈 가능한 IC 칩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IC 칩과 상기 시스템과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IC 칩과 상기 시스템이 분리되는 것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
    상기 IC 칩을 상기 시스템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IC 칩과 상기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반복하여 발생하는 접촉 및 비접촉 중에서, 처음 비접촉되는 최초 시점 및 완전히 분리되는 최후 시점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부; 및
    상기 최초 시점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동일한 값의 더미값을 반복하여 기록하되, 상기 더미값의 기록을 상기 최후 시점의 이전에 수행하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소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에 응답하여 비휘발성 저장 장치 및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 제어부는 상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더미값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소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무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소거 장치.
  7. 삭제
KR10-2003-0022207A 2003-04-09 2003-04-09 비상시 데이터 소거 장치 KR100528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207A KR100528673B1 (ko) 2003-04-09 2003-04-09 비상시 데이터 소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207A KR100528673B1 (ko) 2003-04-09 2003-04-09 비상시 데이터 소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794A KR20040087794A (ko) 2004-10-15
KR100528673B1 true KR100528673B1 (ko) 2005-11-16

Family

ID=3736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207A KR100528673B1 (ko) 2003-04-09 2003-04-09 비상시 데이터 소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591B1 (ko) * 2007-06-08 2009-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래시 메모리 소거 장치 및 방법
KR20180124494A (ko) * 2017-05-12 2018-11-21 (주)아이테오솔루션즈 긴급 데이터 소거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및 데이터 소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9010A (ja) * 2005-10-13 2007-04-26 Fujitsu Ltd データ記憶装置
KR100808948B1 (ko) 2006-12-19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의 보안장치 ,보안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35865B1 (ko) * 2007-09-03 2010-0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래시 메모리 소거핀을 이용한 플래시 메모리 소거 방법및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768B1 (ko) * 1991-04-26 1993-11-10 주식회사 녹십자 쭈쭈가무시균의 종 특이 dna 염기서열
KR19980066378A (ko) * 1997-01-23 1998-10-15 김광호 복제방지용 ic 카드
JPH10320293A (ja) * 1997-05-19 1998-12-04 Rohm Co Ltd Icカードおよびicチップモジュール
US6201296B1 (en) * 1996-09-23 2001-03-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emiconductor chip with protection against analyzing
JP2001266103A (ja) * 2000-01-12 2001-09-28 Hitachi Ltd Icカードと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2001305954A (ja) * 2000-04-19 2001-11-02 Hitachi Ltd おとり暗号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768B1 (ko) * 1991-04-26 1993-11-10 주식회사 녹십자 쭈쭈가무시균의 종 특이 dna 염기서열
US6201296B1 (en) * 1996-09-23 2001-03-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emiconductor chip with protection against analyzing
KR19980066378A (ko) * 1997-01-23 1998-10-15 김광호 복제방지용 ic 카드
JPH10320293A (ja) * 1997-05-19 1998-12-04 Rohm Co Ltd Icカードおよびicチップモジュール
JP2001266103A (ja) * 2000-01-12 2001-09-28 Hitachi Ltd Icカードと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2001305954A (ja) * 2000-04-19 2001-11-02 Hitachi Ltd おとり暗号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591B1 (ko) * 2007-06-08 2009-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래시 메모리 소거 장치 및 방법
KR20180124494A (ko) * 2017-05-12 2018-11-21 (주)아이테오솔루션즈 긴급 데이터 소거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및 데이터 소거방법
KR101925836B1 (ko) * 2017-05-12 2019-02-26 (주)아이테오솔루션즈 긴급 데이터 소거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및 데이터 소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794A (ko) 200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29877U (zh) Nfc近场通信设备
US9198037B2 (en) Identific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US8000755B2 (en) Information-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automatic backup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924156B2 (en) Electronically switchable RFID tags
JP2006155045A (ja) 電子価値情報伝送システム及び電子価値情報伝送方法
US8538332B2 (en) Communications devices comprising NFC communicators
US20080098134A1 (en) Portabl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Exchanging Data
CN103370954A (zh) 具有近场通信(nfc)设备并且提供记忆擦除的移动无线通信设备和相关方法
EP2102829A2 (en) Communications devices comprising near field rf communicators
WO2006122120A2 (en) Rfid device including multiple rfid tags
CN112508554B (zh) 基于近场通信的交易处理方法和装置
WO2003003292A1 (fr) Dispositif et procede pour l&#39;identification de mot de passe
US20090209289A1 (en) Mobile terminal device having non-contact ic card
US20090124287A1 (en) Retrospective Implementation of Sim Capabilities In a Security Module
KR100528673B1 (ko) 비상시 데이터 소거 장치
KR101135388B1 (ko) 전자 소매치기 방지를 위한 알에프아이디 태그 또는 엔에프씨 태그가 내장된 개인정보 저장장치
CN1659659B (zh) 用于智能卡的恢复设备、恢复方法以及一种数据载体
KR20080099117A (ko)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이동성 요소의 인증을 위한 방법
US8365309B2 (en) Memory device
JP2005117116A (ja) 携帯通信装置
EP2706431A1 (en)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CN110581832A (zh) 接口数据传输方法及其电子设备
JP5533487B2 (ja) カードアダプタ装置
KR100480204B1 (ko) 이상신호에 대한 스마트 카드 보호방법 및 그 스마트 카드
KR101140640B1 (ko) 카드 애플릿 후발급용 단말장치와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