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404B1 - 황토보드 - Google Patents

황토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404B1
KR100528404B1 KR10-2003-0041542A KR20030041542A KR100528404B1 KR 100528404 B1 KR100528404 B1 KR 100528404B1 KR 20030041542 A KR20030041542 A KR 20030041542A KR 100528404 B1 KR100528404 B1 KR 100528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board
particles
function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937A (ko
Inventor
최원갑
Original Assignee
최원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갑 filed Critical 최원갑
Priority to KR10-2003-004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404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55Coating or impregnating with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2Sound-insulat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하며 흡음성이 뛰어난 황토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옥 또는 맥반석 혹은 옥등 원적외선 방사소재로 된 핵(12)에 황토가 주성분인 피복재(14)를 피복하여서 황토입자(10)를 형성하고, 상기 황토입자(10)를 천연소재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가압 접착하는 것에 의해 소정두께 및 크기의 보드를 형성하여, 원적외선 방사기능, 탈취기능, 흡음기능, 항균기능등을 가진 인체에 유익한 고품질의 황토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토보드{loess board}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황토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옥 또는 맥반석을 황토로 피복하여 황토입자를 형성하고 이를 접착하여 소정두께로 형성한 황토보드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심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여러 건강관련 제품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왔던 바, 이중 황토의 효능을 이용한 제품들이 다수 개발되어 실생활에 이용되고 있다.
황토에는 다량의 탄산칼슘과 석영, 운모, 방해석과 같은 광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본초강목, 동의보감 등에 한방약재로 황토의 신비를 소개하고 있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황토에서는 원적외선을 복사하여 인체에 흡수, 신진대사 및 혈액순환을 활성화시켜 인체의 노화방지,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큰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인 종래의 건축용 보드(board)는 석고등으로 형성된 것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드들은 단순히 방화기능이나 흡음 기능에만 주안점을 두고 개발된 것들로서 인체에는 그리 이롭지 못한 성분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이를 개선하여 무해하며 나아가 인체에 이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제품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황토보드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옥 또는 맥반석으로 된 핵(12)에 황토 성분의 피복재(14)를 피복하여서 형성된 황토입자(10)를 구비하고, 상기 황토입자(10)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가압 접착하는 것에 의해 소정 두께 및 크기의 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공해 황토보드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황토보드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황토입자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황토보드에 홈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황토보드가 유공성흡음재와 결합된 것을 예시한 실시 예시도이다.
먼저, 발명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황토보드(B)는 옥 또는 맥반석으로 된 핵(12)에 황토 성분의 피복재(14)를 피복하여서 황토입자(10)를 구비하고, 상기 황토입자(10)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가압 접착하는 것에 의해 소정 두께 및 크기로 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본구성외에, 상기 피복재(14)는 황토에 숯과 옻과 솔잎분말이 첨가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외에, 상기 황토보드(B)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홈(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황토입자(10)는 인체에 유익하도록 원적외선 등을 방사하는 물질인 지름 1~2mm의 옥(玉) 또는 맥반석 알갱이로 핵(12)을 형성하고, 이 핵(12)을 황토성분의 피복재(14)로 피복하여서 형성하는 것이며, 그 형태 및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형태는 원형으로서 지름 2~3mm로 구성함이 바람직 하다.
상기 피복재(14)는 황토 성분만으로 할 수 있으며, 황토분말 45~55중량%와 숯 10~20중량%, 옻 과 솔잎 분말 각각 3~7중량%, 전분 또는 검(gum) 5~15중량%, 물 10~20중량%를 혼합하여서 점액질로 구성한 후 핵(12)을 침전시켜 피복재(14)를 피복하여 주게 된다. 숯은 항균 및 탈취기능과 더불어 흡읍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서 너무 많이 첨가되면 피복강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범위내에서 첨가함이 바람직하고, 전분 또는 검은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여 주는 것이다.
여기서, 입자의 크기는 너무 크거나 너무 작게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황토입자가 너무 크게 되면 하나의 보드에 포함되는 입자수가 너무 적게 되어 보드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작게 형성하면 공극이 작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황토입자(10)를 원형으로 형성하여 주면 입자사이에 공극(16)이 형성되어 황토입자(10)가 공기중에 접하는 표면적이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유익한 성분들이 외부로 최대한 방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공극에 의해 흡음성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황토입자를 적당량의 접착제와 혼합하여 이를 가압 접착하면 소정 크기 및 형상으로 황토보드(B)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통상의 공업용 접착제 보다는 인체에 무해한 아교, 송진, 검(gum), 전분등 수용성 천연 접착물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황토보드(B)는 황토입자(10)의 특성상 원적외선방사 및 탈취등의 기능을 가지게 되며, 나아가 황토입자(10)들 사이에 미세한 공극(16)이 형성되어 있어 그 공극을 통해 흡음 및 보온, 항습기능등의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황토보드(B)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로 홈(2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공기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황토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등이 최대한 많이 발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홈(22)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황토보드(B)가 가지는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것과 아울러 그 홈(22)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그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황토보드(B)는 필요에 따라 도 4와 같이 다른 유공성 흡음재(30)에 부착되어 흡음기능을 가진 건축용 자재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흡음판으로 사용될 경우 소정의 유공성 흡음재(30)에 상기 황토보드(B)를 부착한 후 벽면등에 바로 접착하여 시공하거나, 벽면과 일정 간격의 거리 즉, 에어스페이스(air-space)를 두고 시공하면 흡음기능을 가지면서도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방출하는 고품질의 흡음성을 가진 보드를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같이 황토입자를 이용하여 황토보드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원적외선 방사기능, 탈취기능, 흡음기능, 항균기능등을 가진 인체에 유익한 고품질의 보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황토보드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황토입자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황토보드에 홈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황토보드가 유공성 흡음재와 결합된 것을 예시한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황토보드
10 : 황토입자 12 : 핵
14 : 피복재 16 : 공극
22 : 홈 30 : 유공성 흡음재

Claims (3)

  1. 황토보드(B)를 구성함에 있어서,
    옥 또는 맥반석으로 된 핵(12)에 황토 성분의 피복재(14)를 피복하여서 황토입자(10)를 구비하고, 상기 황토입자(10)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가압 접착하는 것에 의해 소정 두께 및 크기로 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14)는 황토에 숯과 옻과 솔잎분말이 첨가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보드(B)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홈(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보드.
KR10-2003-0041542A 2003-06-25 2003-06-25 황토보드 KR100528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542A KR100528404B1 (ko) 2003-06-25 2003-06-25 황토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542A KR100528404B1 (ko) 2003-06-25 2003-06-25 황토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098U Division KR200325981Y1 (ko) 2003-06-25 2003-06-25 황토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937A KR20050000937A (ko) 2005-01-06
KR100528404B1 true KR100528404B1 (ko) 2005-11-15

Family

ID=3721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542A KR100528404B1 (ko) 2003-06-25 2003-06-25 황토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4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150B1 (ko) * 2007-01-11 2007-08-14 박영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몰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100749149B1 (ko) 2007-01-11 2007-08-14 박영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755242B1 (ko) 2006-11-30 2007-09-05 심정택 조립식 황토타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242B1 (ko) 2006-11-30 2007-09-05 심정택 조립식 황토타일
KR100749150B1 (ko) * 2007-01-11 2007-08-14 박영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몰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100749149B1 (ko) 2007-01-11 2007-08-14 박영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937A (ko)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1251B2 (ja) 炭が内蔵された建築用吸音材及び吸音ドア
KR100528404B1 (ko) 황토보드
KR100701566B1 (ko) 마감패널
KR20100128754A (ko) 한지의 질감이 표출되는 건축내장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25981Y1 (ko) 황토보드
KR20170058578A (ko) 천연 광물질이 함유된 천연 건축내장재의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1176820B1 (ko) 한지장판보드 및 한지장판보드의 시공방법
KR100710919B1 (ko) 마그네슘 보드와 콜크를 이용한 바닥재
KR100693327B1 (ko) 실내 마감재
KR200402736Y1 (ko) 바이오 세라믹 기능을 갖는 목모시멘트 보드
KR200342546Y1 (ko) 옥 침대용 판재
KR100611234B1 (ko) 팽창성 광물을 이용한 건축재
KR100793982B1 (ko) 솔잎으로 보강된 석고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석고판재 제조방법
KR200430172Y1 (ko) 실내 건축용 내장재
KR20070075620A (ko) 감람석을 사용한 건축 판넬용 원적외선 방사 보드 및 제조방법, 방사 판넬
KR200363174Y1 (ko) 음이온 방출 마루바닥재
KR20050099450A (ko) 바닥장식재용 천연 광석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KR102063758B1 (ko) 솔잎, 왕겨 및 톱밥을 이용한 친환경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9840B1 (ko) 황토를 주재로한 내장판재
KR20000072344A (ko)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
KR19990078471A (ko) 운모쇄석을 함유하는 기능성벽지 및 그 제작방법
KR101938858B1 (ko) 편백볼이 함유된 난방바닥재용 황토 조성물
KR200277058Y1 (ko) 숯 성형물 적층체
KR20140019133A (ko) 친환경 황토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