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872B1 - 건축용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872B1
KR100527872B1 KR10-2002-0055461A KR20020055461A KR100527872B1 KR 100527872 B1 KR100527872 B1 KR 100527872B1 KR 20020055461 A KR20020055461 A KR 20020055461A KR 100527872 B1 KR100527872 B1 KR 100527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ld
building
prese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000A (ko
Inventor
조순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케어
Priority to KR10-2002-0055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8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24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되어 미끄럼방지와 시각장애인들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한 건축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축용 판재는 기 준비된 금속판재로부터 소정 넓이를 이루는 제1 판재를 그 테두리에 플랜지를 절곡 형성하며 절단하기 위한 단계; 상기 제1 판재에 다수개의 구멍들을 천공하기 위한 단계; 성형홈들이 다수개 형성된 한 쌍의 몰드의 내부에 상기 제1 판재의 구멍을 몰드의 홈에 일치되도록 위치시키기 위한 단계; 몰드의 내부에 수지를 공급하고 이어서 몰드를 가압하여 그 가압 몰드와의 대면 부위에는 상기 제1 판재에 상응하는 넓이의 제2 판재가 형성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판재의 구멍을 통해서는 상기 제1 판재를 형성한 수지가 고정 몰드의 홈의 내부로 연속하게 투입되어 상기 제1 판재의 표면으로부터는 상기 제2 판재와 일체화되는 다수개의 돌기들을 돌출 성형되게 하기 위한 성형 단계; 및 상기 몰드를 탈형한 후 그 내부로부터의 판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BUILDING PLATE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건축용 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에 설치되어 미끄럼방지와 방향을 안내하도록 한 그 구조가 견고하면서도 쉽게 제조될 수 있는 건축용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 시공된 후 그의 바닥을 마무리할 때에 바닥에는 대리석, 타일 등의 다양한 마감재가 사용되어 미려하게 마무리되었던 것이 주지된 사실이었다. 특히, 이 마감재에는 행인들의 미끄럼방지 및 시간장애인의 방향 안내를 위해 별도의 미끄럼방지용 건축용 판재가 더 설치되곤 하였다.
이와같이 미끄럼방지와 시각장애인의 방향 안내를 하도록 한 일예의 건축용 판재는 소정 넓이를 갖는 판재와 이 판재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들로 이루어져 있었고, 상기 돌기들은 판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에 일일히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판재에 대해 돌출 설치되었다.
이러한 건축용 판재를 바닥에 설치할 경우, 상기 건축용 판재의 모서리 및 돌기들이 행인들의 발에 걸려 그들을 지지하는 판재로부터 쉽게 되빠져나옴과 아울러 상기 판재가 쉽게 손상되는 일이 있었고, 특히 판재의 상부위와 돌기가 파손되어 아예 못쓰게 되는 일도 있었다. 또한, 이 건축용 판재는 상기된 바와 같이 판재에 일일히 홈을 낸 다음 돌기를 그 홈에 끼우는 방식으로 제작되었기에 그 제작이 번거로웠고, 또한 홈과 돌기의 크기가 거의 같아 판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행인들의 발에 의해 판재 및 그로부터 돌출된 돌기들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그 구조가 견고한 건축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쉬운 건축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닥에 설치되어 미끄럼방지와 방향을 안내하는 본 발명의 건축용 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 준비된 금속판재로부터 소정 넓이를 이루는 제1 판재를 그 테두리에 플랜지를 절곡 형성하며 절단하기 위한 단계; 상기 제1 판재에 다수개의 구멍들을 천공하기 위한 단계; 성형홈들이 다수개 형성된 한 쌍의 몰드의 내부에 상기 제1 판재의 구멍을 몰드의 홈에 일치되도록 위치시키기 위한 단계; 몰드의 내부에 수지를 공급하고 이어서 몰드를 가압하여 그 가압 몰드와의 대면 부위에는 상기 제1 판재에 상응하는 넓이의 제2 판재가 형성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판재의 구멍을 통해서는 상기 제1 판재를 형성한 수지가 고정 몰드의 홈의 내부로 연속하게 투입되어 상기 제1 판재의 표면으로부터는 상기 제2 판재와 일체화되는 다수개의 돌기들을 돌출 성형되게 하기 위한 성형 단계; 및 상기 몰드를 탈형한 후 그 내부로부터의 판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완성된 본 발명의 건축용 판재는 금속판재로부터 다수개의 구멍들이 천공된 소정 넓이를 이루는 금속재질의 제1 판재; 상기 제1 판재와 동일한 넓이를 이루며 그 제1 판재의 하부에 고정 성형되어 바닥과 대면하게 위치되는 수지 재질의 제2 판재; 및 상기 제1 판재와 일체로 성형시 상기 제2 판재의 일면으로부터 제1 판재의 구멍들을 관통하여 제1 판재의 표면으로 상기 구멍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판재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2 판재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플랜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돌기는 반구형, 다각형, 돌조형으로 상기 제1 판재의 표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판재에서의 저면 전체에는 바닥의 요철된 부위를 따라 순응하도록 한 다수개의 홈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판재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판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판재에 있어서의 다른예의 돌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또 다른 예의 돌기가 형성된 건축용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판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판재(1)는 금속판재로부터 다수개의 구멍(3)들이 천공된 소정 넓이를 이루는 금속재질의 제1 판재(5)와, 상기 제1 판재(5)와 동일한 넓이를 이루며 그 제1 판재(5)의 하부에 고정 성형되어 바닥과 대면하게 위치되는 수지 재질의 제2 판재(7)와, 상기 제1 판재(5)와 일체로 성형시 상기 제2 판재(7)의 일면으로부터 제1 판재(5)의 구멍(3)들을 관통하여 제1 판재(5)의 표면으로 상기 구멍(3)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11)를 포함하고 있다.
또, 상기 제1 판재(5)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2 판재(7)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플랜지(13)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제 2 판재(7)는 이 플랜지(13)를 통해 상기 제1 판재(5)에 더 견고히 고정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3)는 상기 제1 판재(5)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2 판재(7)에서의 저면의 전체에는 바닥의 요철된 부위를 따라 순응하도록 한 다수개의 홈(19)이 더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이 홈(19)들의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하여 바닥의 요철된 부위를 더 적합하게 순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건축용 판재(1)는 요철된 부위를 갖는 바닥에 설치될 경우에도 상기 홈(19)들에 의해 그 바닥에 대해서 평평하게 설치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판재(5)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로, 내마모성, 내식성 등의 물성이뛰어나고 미관이 수려하게 된 금속판, 기타 판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11)들은 재두 원추형(도 1 및 도 5 참조), 반구형, 다각형(도 6 참조), 돌조형(도 7 참조) 등으로 다양하게 형상화되어 제1 판재(5)의 표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재두 원추형, 반구형, 다각형들 중 어느 하나의 형으로 형성된 돌기(11)는 진행 즉, 안내의 멈춤으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돌조형의 돌기(11)는 방향의 진행 즉, 안내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건축용 판재(1)는 바닥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시간장애인들의 행동을 컨트롤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용 판재(1)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하면, 우선 기 준비된 금속판재로부터 소정 넓이를 이루는 제1 판재(5)가 그 테두리에 플랜지(13)를 절곡 형성하며 절단된다. 이어서 이 제1 판재(5)에는 다수개의 구멍(3)들이 천공되고, 이 제1 판재(5)는 기 준비된 한 쌍의 몰드(사출금형)(15,17)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에, 상기 제1 판재(5)는 그의 구멍(3)들이 고정 몰드(15)에 형성된 다수개의 성형홈(19)에 일치되게 하면서 몰드(15,17)의 내부에 위치되고, 더욱이 상기 제1 판재(5)의 플랜지(13)가 상기 가압 몰드(17)로 향하게 하면서 상기 몰드(15,17)의 내면과 대면되도록 위치된다.
이후에, 상기 몰드(15,17)의 내부에는 상기 제2 판재(7) 및 돌기(11)들을 성형하기 위한 수지가 공급되고, 이어서 상기 가압 몰드(17)가 외압에 의해 상기 고정 몰드(15)에 대해 가압되며, 이를 통해 상기 가압 몰드(17)와의 대면 부위에는 상기 제1 판재(5)에 그에 상응하는 넓이를 갖는 제2 판재(7)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판재(5)의 구멍(3)을 통해서는 상기 제1 판재(5)를 형성한 수지가 고정 몰드(15)의 홈의 내부로 연속하게 투입되어 상기 제1 판재(5)의 표면으로부터는 상기 제2 판재(7)와 일체화되는 다수개의 돌기(11)들을 돌출 성형한다. 이후에, 몰드(15,19)를 탈형한 후 그 내부로부터의 판재를 냉각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판재(1)가 완성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판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기술의 편의상 돌조형의 돌기를 갖는 본 고안의 건축용 판재를 (A)라고 표시하고, 재두 원추형의 돌기를 갖는 본 고안의 건축용 판재를 (B)라고 표시한다.
설명하면, 상기 도면은 종축방향으로 시공된 건축용 판재(B)의 어느 일부위에서 횡측방향으로 건축용 판재(A)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따라서 상기된 바에 따라 시각장애인은 건축용 판재(B)를 따라 계속 걸어 오다가 건축용 판재(B)에서 멈출 것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건축용 판재(1)는 시각장애인들뿐만 아니라 행인들에게 그들의 행동을 컨트롤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건축용 판재(1)가 지하철의 플랫폼과 같은 장소의 바닥에 설치될 경우 시각장애인들에게 닫칠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건축용 판재(1)를 살펴보면, 상기 제1 판재(5)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기(11)들이 상기 제1 판재(5)의 하부에 고정 성형된 제2 판재(7)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따라서 이 제2 판재(7)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어서 행인들의 발에 의해 상기 제1 판재(5)로부터 되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판재(1)는 쉽게 제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의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판재는 그 구조가 견고하여 행인들의 발에 의해 미끄럼방지 및 방향을 안내하는 돌기와 판재가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그 제조가 쉬워 단가가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판재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판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판재에 있어서의 다른예의 돌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또 다른 예의 돌기가 형성된 건축용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판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발명의 건축용 판재 3 : 제1 판재의 구멍
5 : 제1 판재 7 : 제2 판재
11 : 돌기 13 : 플랜지
15,17 : 몰드(사출금형) 19 : 홈

Claims (5)

  1. 기 준비된 금속판재로부터 소정 넓이를 이루는 제1 판재를 그 테두리에 플랜지를 절곡 형성하며 절단하기 위한 단계와, 상기 제1 판재에 다수개의 구멍들을 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된 건축용 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성형홈들이 다수개 형성된 한 쌍의 몰드의 내부에 상기 제1 판재의 구멍을 몰드의 홈에 일치되도록 위치시키기 위한 단계;
    몰드의 내부에 수지를 공급하고 이어서 몰드를 가압하여 그 가압 몰드와의 대면 부위에는 상기 제1 판재에 상응하는 넓이의 제2 판재가 형성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판재의 구멍을 통해서는 상기 제1 판재를 형성한 수지가 고정 몰드의 홈의 내부로 연속하게 투입되어 상기 제1 판재의 표면으로부터는 상기 제2 판재와 일체화되는 다수개의 돌기들을 돌출 성형되게 하기 위한 성형 단계; 및
    상기 몰드를 탈형한 후 그 내부로부터의 판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금속판재로부터 다수개의 구멍들이 천공된 소정 넓이를 이루는 금속재질의 제1 판재와 그 제1 판재와 동일한 넓이를 이루며 그 제1 판재의 하부에 고정 성형되어 바닥과 대면하게 위치되는 수지 재질의 제2 판재를 구비하여 된 건축용 판재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재와 일체로 성형시 상기 제2 판재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1 판재의 구멍들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판재의 표면으로 상기 구멍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들; 및
    상기 돌기들이 형성되는 일면과 대응하는 상기 제2 판재의 타면 전체에 다수개로 요입 형성되어 바닥의 요철된 부위를 따라 순응하도록 된 홈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재.
KR10-2002-0055461A 2002-09-12 2002-09-12 건축용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27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461A KR100527872B1 (ko) 2002-09-12 2002-09-12 건축용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461A KR100527872B1 (ko) 2002-09-12 2002-09-12 건축용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564U Division KR200297382Y1 (ko) 2002-09-13 2002-09-13 건축용 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000A KR20040024000A (ko) 2004-03-20
KR100527872B1 true KR100527872B1 (ko) 2005-11-15

Family

ID=3732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461A KR100527872B1 (ko) 2002-09-12 2002-09-12 건축용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704B1 (ko) * 2004-12-28 2005-09-07 중 순 박 시각장애자용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제조된 시각장애자용 점자블록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3926U (ko) * 1976-06-04 1977-12-12
KR200171737Y1 (ko) * 1999-09-03 2000-03-15 주식회사한길핸디케어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20000041360A (ko) * 1998-12-22 2000-07-15 한정국 미끄럼 방지 도로의 시공 방법
KR20000072594A (ko) * 2000-09-07 2000-12-05 우기원 시각장애인용 금속재 점자블럭
KR20010074578A (ko) * 2001-05-08 2001-08-04 조옥현 시각장애인 점자블럭
KR20010108598A (ko) * 2000-05-30 2001-12-08 곽상운 건축용 내외장용 마감재 패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3926U (ko) * 1976-06-04 1977-12-12
KR20000041360A (ko) * 1998-12-22 2000-07-15 한정국 미끄럼 방지 도로의 시공 방법
KR200171737Y1 (ko) * 1999-09-03 2000-03-15 주식회사한길핸디케어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20010108598A (ko) * 2000-05-30 2001-12-08 곽상운 건축용 내외장용 마감재 패널
KR20000072594A (ko) * 2000-09-07 2000-12-05 우기원 시각장애인용 금속재 점자블럭
KR20010074578A (ko) * 2001-05-08 2001-08-04 조옥현 시각장애인 점자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000A (ko) 200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41185B (en) Article of footwear
ATE509758T1 (de) Schuhwerkartikel mit einer einteiligen stützkonstruktion und herstellungsverfahren
KR20160022419A (ko) 비정형 콘크리트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상변화물질 거푸집
KR100527872B1 (ko) 건축용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97382Y1 (ko) 건축용 판재
US6840018B2 (en) Elongate bodies for use in pre-cast panel forming systems
EP1703065A3 (de) Verstärktes Hohlkammerprofil
KR200234575Y1 (ko) 건축용 인조석 벽체
EP2952128A1 (en) Ergonomic shower t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4921957B2 (ja) ユニットバスの床パネル構造の製造方法
KR200297349Y1 (ko) 타일 부착형 보도블록 조립체
ES2195808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 elemento de caucho estratificado y elemento de caucho estratificado asi fabricado.
KR100468940B1 (ko) 타일 부착형 보도블록 조립체
KR200212297Y1 (ko) 가구용 높이 조절구
KR101547339B1 (ko) 미장재 장착 패널 제조방법과 패널
JP4921958B2 (ja) ユニットバスの床パネル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91082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200368929Y1 (ko) 볼트 체결홈이 성형된 천장판넬
JP2011156750A (ja) 側溝付き部材の成形装置
JP3094338U (ja) 建物の間仕切り構造
KR100433670B1 (ko) 인조목 제조방법
CN211396619U (zh) 灯桶预留环形槽成形件
KR200223709Y1 (ko) 건축용 복합판넬
KR100392439B1 (ko) 공예용 성형틀
JP3122440B1 (ja) セメント製品用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