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522B1 - 자동펌프 - Google Patents

자동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522B1
KR100527522B1 KR10-2003-0009587A KR20030009587A KR100527522B1 KR 100527522 B1 KR100527522 B1 KR 100527522B1 KR 20030009587 A KR20030009587 A KR 20030009587A KR 100527522 B1 KR100527522 B1 KR 100527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ole
fluid
discharge
sealing pla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847A (ko
Inventor
이헌우
Original Assignee
윌로펌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로펌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윌로펌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522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5Closing mechanism, e.g. do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5Positioning by moving the loading st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10Apparatus capable of using record carriers defined in more than one of the sub-groups G11B25/02 - G11B25/08; Adaptor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유체 흐름의 유/무에 따라 펌프의 유로를 개방/폐쇄함과 동시에 펌프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밸브부의 구조를 개선한 자동펌프가 개시된다. 상기 자동펌프는 유입관측과 토출관측을 연통/차단시키는 밸브가 마그네트의 흡인력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로인해, 밸브를 어떠한 방향으로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자동펌프의 설치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Description

자동펌프 {AUTOMATIC PUMP}
본 발명은 자동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체 흐름의 유/무에 따라 펌프의 유로를 개방/폐쇄함과 동시에 펌프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밸브부의 구조를 개선한 자동펌프에 관한 것이다.
펌프란 모터의 작용으로 유체를 수송하는 장치이고, 자동펌프란 유입되어 토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펌프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펌프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며 임펠러(11)가 내장된 케이싱(10)이 마련되고, 케이싱(10)은 유체가 유입 및 토출되는 유입관(13a) 및 토출관(13b)과 각각 연통된다. 모터(15)에 의하여 회전되는 임펠러(11)는 유체를 강제로 유입관(13a)측으로 유입시켜 토출관(13b)측으로 토출시킨다. 그리고, 토출관(13b)측의 케이싱(10)의 유로에는 밸브(21)가 설치된다.
밸브(21)의 작동을 설명한다.
유입관(13a)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유로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된 밸브(21)에 의하여 폐쇄된다. 그러다가, 사용처의 수도꼭지를 개방하면, 토출관(13b)측의 유체가 상기 수도꼭지로 토출된다. 그러면, 유입관(13a)과 토출관(13b)측의 압력차에 의하여 밸브(21)가 도 1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상승한다. 그러면, 밸브(21)에 내장된 마그네트(21a)에 의하여 리드스위치(23)가 온(On) 되면서 모터(15)를 구동시킨다. 그후, 상기 수도꼭지를 잠그면 밸브(21)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고, 이로인해 리드스위치(23)가 오프(Off)되면서 모터(15)를 정지시킨다. 미설명부호 25는 결선부이고, 27은 전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펌프는 밸브(21)의 하강이 밸브(21)의 자중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밸브(21)가 수직으로만 설치되어야 한다. 이로인해, 자동펌프의 설치방향에 제한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는 자동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펌프는, 수원(水源)측과 연통된 유입관과 사용처측과 연통된 토출관이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입관 및 토출관과 각각 연통된 유체의 유로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리드스위치를 가지는 제어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와 인접하는 부위는 비자성체인 밀폐판이 결합된 자성체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강제로 유체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시켜 상기 토출관으로 토출시키는 임펠러 및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자동펌프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과 대향하는 상기 토출관측의 상기 유로에는 상기 유입관측과 상기 토출관측을 차단하는 차단벽이 설치되고, 상기 차단벽에는 상기 유입관측과 상기 토출관측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판과 상기 연통공 사이에는 상기 토출관으로 유체가 토출되면 상기 토출관측과 상기 유입관측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밀폐판측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연통공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리드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토출관으로 유체가 토출되지 않으면 자성에 의하여 상기 차단벽측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연통공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리드스위치를 오프시켜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밸브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펌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펌프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펌프의 동작을 보인 것으로, 도 2의 "P"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펌프(100)는 유체의 유로(111)를 형성하는 금속 등과 같은 자성체의 케이싱(110)을 가진다. 케이싱(110)의 유로(111)에는 수원(水源)측과 연통된 유입관(113a)과 사용처측과 연통된 토출관(113b)이 각각 연통된다. 그리고, 케이싱(110)의 유로(111)에는 강제로 유체를 유입관(113a)으로 유입시켜 토출관(113b)으로 토출시키는 임펠러(121)가 설치된다. 임펠러(121)는 케이싱(110)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125)에 의하여 회전된다.
토출관(113b)측의 케이싱(110)의 유로(111)에는 유입관(113a)측과 토출관(113b)측을 차단하는 차단벽(115)이 설치되고, 차단벽(115)에는 유입관(113a)측과 토출관(113b)측을 연통시키는 연통공(115a)(도 3b참조)이 형성된다. 연통공(115a)과 대향하는 토출관(113b)측의 케이싱(110)의 일측은 개방(110a)되고, 개방부(110a)에는 비자성체로 된 밀폐판(130)이 밀폐ㆍ결합된다. 즉, 연통공(115a)과 밀폐판(130)은 대향되게 형성 및 설치된다.
밀폐판(130)측과 인접한 모터(125)의 표면에는 외측커버(150)가 결합되고, 외측커버(150)의 내부에는 제어부(160)가 설치된다. 제어부(160)는 결선부(161)와 다수의 전선(163) 및 리드스위치(165)를 가진다. 리드스위치(165)는 밀폐판(130)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후술할 밸브(140)에 의하여 온/오프되면서 모터(125)를 구동/정지시킨다.
연통공(115a)과 밀폐판(130) 사이에는 연통공(115a)을 개폐하는 밸브(140)가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밸브(140)의 직선왕복운동은 안내바(135)에 의하여 안내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안내바(135)의 일단부는 밀폐판(13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연통공(115a)을 통과하여 유입관(113a)측의 유로(111)에 위치된다. 그리고, 밸브(140)는 안내바(135)에 관통ㆍ설치되어 안내바(135)를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연통공(115a)을 개폐한다.
밸브(140)와 연통공(115a)이 형성된 차단벽(115)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밸브(140)는 몸체(141), 마그네트(143), 커버(145) 및 오링(147)을 가진다. 몸체(141)는 안내바(135)에 관통ㆍ설치되어 유압차 및 마그네트(143)가 차단벽(115)측으로 흡인되려는 힘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연통공(115a)을 출입한다. 마그네트(143)는 밀폐판(130)을 향하는 몸체(141)의 단부측 외주면에 형성된 단면(段面)에 압입ㆍ고정되고, 커버(145)는 마그네트(143)를 감싸는 형태로 마그네트(143) 및 몸체(141)에 압입ㆍ고정된다. 커버(145)의 일단면(一端面)은, 몸체(141)가 연통공(115a)에 삽입되면, 차단벽(115)과 접촉하여 몸체(141)가 연통공(115a)을 완전히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커버(145)의 외경은 몸체(141) 및 연통공(115a)의 외경 보다 크게 마련되고, 차단벽(115)에는 연통공(115a)을 품는 형태로 커버(145)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함몰된 형태의 안착부(115b)가 형성된다. 즉, 안착부(115b)의 중앙부에 연통공(115a)이 형성되고, 커버(145)의 일단면은 안착부(115b)에 접촉되어 몸체(141)가 연통공(115a)을 완전히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오링(147)은 커버(145)의 일단면 테두리부에 부착되어 밸브(140)가 안착부(115b)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펌프의 동작을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밸브(140)가 연통공(115a)에 삽입된, 도 3a와 같은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수도꼭지를 열어서 사용처로 토출관(113b)측의 유체가 토출되게 하면, 유입관(113)측과 토출관(113b)측의 압력차에 의하여 밸브(140)는 도 3a의 상태에서 도 3b의 상태로 된다. 그러면, 밸브(130)의 마그네트(133)에 의하여 리드스위치(165)가 온(On) 되면서 모터(125)를 구동시키고, 이로인해, 임펠러(121)가 회전되면서 강제로 유체를 유입시켜 토출시킨다. 그후, 수도꼭지를 잠그면, 토출관(113b)측의 유체가 토출되지 않게 되고, 이로인해 유입관(113)측과 토출관(113b)측의 유압이 같아지게 된다. 그러면, 밸브(140)의 마그네트(133)가 자성체인 케이싱(110)의 차단벽(115)에 흡인되므로 밸브(140)는 도 3b의 상태에서 도 3a의 상태로 된다. 그러면, 유입관(113a)측과 토출관(113b)측이 차단됨과 동시에 리드스위치(165)가 오프(Off)되면서 모터(125)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펌프는 유입관측과 토출관측을 연통/차단시키는 밸브가 마그네트의 흡인력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로인해, 밸브를 어떠한 방향으로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자동펌프의 설치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종래의 자동펌프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펌프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펌프의 동작을 보인 것으로, 도 2의 "P"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케이싱 121 : 임펠러
125 : 모터 130 : 밀폐판
135 : 안내부 140 : 밸브
150 : 외측커버 160 : 제어부

Claims (3)

  1. 수원(水源)측과 연통된 유입관과 사용처측과 연통된 토출관이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입관 및 상기 토출관과 각각 연통된 유체의 유로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리드스위치를 가지는 제어부가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와 인접하는 부위는 비자성체인 밀폐판이 결합되며, 상기 밀폐판과 대향하는 상기 토출관측의 상기 유로에는 상기 유입관측과 상기 토출관측을 차단하는 차단벽이 설치되고, 상기 차단벽에는 상기 유입관측과 상기 토출관측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에는 상기 연통공을 품는 형태로 상기 연통공 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함몰된 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된 자성체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강제로 유체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시켜 상기 토출관으로 토출시키는 임펠러;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리드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구동/정지되면서 상기 임펠러 회전/정지시키는 모터;
    일단부는 상기 밀폐판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유입관측의 상기 유로에 위치된 안내바;
    상기 안내바에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관통ㆍ설치되며 상기 토출관측으로 유체가 토출되면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밀폐판측으로 운동하면서 연통공을 개방시키고, 상기 토출관측으로 유체가 토출되지 않으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연통공을 폐쇄시키는 몸체, 상기 밀폐판을 향하는 상기 몸체의 단부측 외주면에 압입ㆍ고정되어 상기 몸체와 동일하게 운동하며 상기 몸체가 밀폐판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리드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토출부측으로 유체가 토출되지 않으면 상기 몸체가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차단벽측에 흡인됨과 동시에 상기 리드스위치를 오프시키는 마그네트, 상기 안착부의 외경과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감싸는 형태로 압입ㆍ고정되며 일단면은 상기 안착부와 접촉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연통공을 완전히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단면에 부착되어 상기 안착부와 접촉하는 오링을 가지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펌프.
  2. 삭제
  3. 삭제
KR10-2003-0009587A 2003-02-15 2003-02-15 자동펌프 KR100527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587A KR100527522B1 (ko) 2003-02-15 2003-02-15 자동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587A KR100527522B1 (ko) 2003-02-15 2003-02-15 자동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847A KR20040073847A (ko) 2004-08-21
KR100527522B1 true KR100527522B1 (ko) 2005-11-09

Family

ID=3736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587A KR100527522B1 (ko) 2003-02-15 2003-02-15 자동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582B1 (ko) 2012-06-04 2013-09-23 윌로펌프 주식회사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402B1 (ko) * 2005-01-14 2006-05-26 윌로펌프 주식회사 자동펌프
KR100764855B1 (ko) * 2006-05-18 2007-10-09 윌로펌프 주식회사 자동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582B1 (ko) 2012-06-04 2013-09-23 윌로펌프 주식회사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847A (ko) 200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432B1 (ko) 양방향 펌프
US7703740B1 (en) Clog resistant pilot valve
KR100527522B1 (ko) 자동펌프
KR200446108Y1 (ko) 펌프 제어용 밸브
US5302088A (en) Water powered sump pump
KR100411513B1 (ko) 자동펌프
KR100541823B1 (ko) 보일러용 3방향 유로전환밸브
CN111735204B (zh) 进水接头及包含其的燃气热水器
KR100421638B1 (ko) 솔레노이드 밸브의 소음 감쇄 구조
KR200191668Y1 (ko) 정전시 복귀방지 기능과 수동 개폐조작기능을 갖춘 전자밸브
KR100337238B1 (ko) 자동 펌프
KR100782358B1 (ko) 자동펌프
KR20100034150A (ko) 자동펌프
KR100373921B1 (ko) 자동 펌프
KR200303565Y1 (ko) 펌프과열방지용 드레인밸브
CN218177992U (zh) 一种电动阀
KR100583402B1 (ko) 자동펌프
JPH0514833B2 (ko)
KR100443047B1 (ko) 일체형 상시 개폐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0191669Y1 (ko) 정전시 복귀방지 기능과 수동 개폐조작기능을 갖춘 전자밸브
CN215861770U (zh) 一种多功能水泵控制阀
KR101221284B1 (ko) 자동펌프
KR200364744Y1 (ko) 솔레노이드밸브의 기밀 증대 장치
KR200245424Y1 (ko)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체
KR100569001B1 (ko) 자동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