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461B1 - 아이디씨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 - Google Patents

아이디씨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461B1
KR100525461B1 KR10-2003-0017813A KR20030017813A KR100525461B1 KR 100525461 B1 KR100525461 B1 KR 100525461B1 KR 20030017813 A KR20030017813 A KR 20030017813A KR 100525461 B1 KR100525461 B1 KR 100525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oard
idc
subframe
fram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229A (ko
Inventor
전영찬
Original Assignee
전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찬 filed Critical 전영찬
Priority to KR10-2003-0017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46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10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 F23G2207/101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fo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IDC 분배기 배선반을 적층 결합시켜 다량의 회선을 수용 관리 할 수 있도록 모듈화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이 서브 프레임의 일측 가이드 봉에 IDC 분배기 배선반의 일측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배선반등을 지지함과 아울러 회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지지구가 적층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IDC 분배기 배선반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하도록 함은 물론 자유로운 회동에 의해 배선반들 및 이 배선반들에 연결되는 각종 회선들의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은, IDC 분배기 배선반(40)을 적층 결합시켜 다량의 회선을 수용 관리 할 수 있도록 모듈화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30)에 있어서, 횡단면이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본체(32)와; 상기 본체(32)의 양단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가이드 봉(34)과; 상기 가이드 봉(34)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봉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적층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지지편(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디씨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Sub frame for IDC distributing frame}
본 발명은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IDC 분배기 배선반을 적층 결합시켜 다량의 회선을 수용 관리 할 수 있도록 모듈화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의 가이드 봉에 복수의 가이드 지지편을 적층으로 설치하여 상기 IDC 분배기 배선반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자유로운 회동에 의해 배선반들 및 이 배선반들에 연결되는 각종 회선들의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DC(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란 절연 회선 피복을 벗기지 않고 접속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종래에는, 전화국과 같이 다량의 전화회선을 수용 관리하는 곳에서는 분배기 배선반이 설치되어 가입자 선로나 중계선로를 전화국내로 인입시킬 시, 선로측과 라인 스위치와 전화국내 기기측을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있다.
즉, 분배기 배선반에는 국선과 내선이 연결되어 회선을 분배하며, 낙뢰로 인한 전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파뢰기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분배기 배선반은 선로측 라인인 국선 1회선에 전화국내 기기측과 접속되는 내선 1회선이 대응되는 1:1방식으로 되어 있고, 후면에는 상기 국선이 접속되며, 전면에는 상기 내선이 접속되어 전화 회선을 분배하고, 낙뢰 등으로 인한 전화사용자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전면에 파뢰기가 삽입 설치된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분배기 배선반을 적층 결합시켜 동케이블의 성단을 이루고, 이 동케이블의 성단과 더불어 각종 통신기기 등을 수용하여 초고속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함체가 옥외 또는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옥외 함체는 일반적으로 열저장부, 전원분배반(PDP : Power Distribution Panel), 광분배반, 정류기반, 배터리 저장함, 열교환부, 동케이블 성단부, 광전송장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동케이블 성단은 모국측과 가입자측의 연결이 하나의 IDC 배선반에서 이루어지며, 결합기(스플리터)와 보호기를 잭 형태로 구성하여 배선반에 접속하는 인터 컨텐션(Inter-connection)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용이성을 위해 보호기와 결합기를 하나의 코드로 묶는 단일 연결 코드 방식이다.
즉, 전화서비스는 결합기를 제거함으로서 배선반(A) 내부의 IDC 핀에 의해 가입자측 케이블에서 모국측 케이블로 바로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초고속데이터 서비스는 신호(음성+데이터 신호)가 가입자측 케이블에서 배선반(A)으로 전송되며, 결합기에서 음성신호와 데이터신호로 분리되고, 데이터신호는 전송장치 배선반(B)을 거쳐 광전송장비로 전송된다. 또한, 음성신호는 결합기에서 배선반(A)에 연결된 모국측 케이블을 통하여 전화망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동케이블 성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선반이 구비되는 바, 이 복수의 배선반을 일정간격으로 적층 결합시켜 모듈화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이 제공된다.
도 2a는 종래의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IDC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10)은 그 횡단면이 대략 'ㄷ'형상이고, 그 양단부의 끝단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지지구(12)가 일체형으로 배열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 고정지지구(12)에는 그 중앙에 일정크기의 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서브 프레임(10)에 적층 결합되는 배선반(2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에 상기 고정지지구(12)와 대응하여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결합부(22)는 상기 고정지지구(12)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공(24)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24)의 내측에 대하여 걸림돌기(26)가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걸림돌기(26)는 서브 프레임(10)의 고정지지구(12)에 형성된 통공(14)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반(2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공(24)에 서브 프레임(10)의 대응하는 양측 고정지지구(12)를 일치시켜 삽입시키면, 상기 서브 프레임(10)의 고정지지구(12)가 배선반(20)의 결합공(24)에 삽착된다.
이때, 상기 배선반(20)의 결합공(24) 내측에 대하여 돌출되는 걸림돌기(26)는 소정의 자차탄성에 의해 밀려들어가다가 고정지지구(12)에 형성된 통공(14)에 이르러 다시 자체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걸림됨으로써, 그 고정됨을 견고하게 유지시키게 되는 바, 배선반(20)이 잡아당김에 의하여 손쉽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서브 프레임(1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고정지지구(12)들에 대하여 복수의 배선반(20)을 고정결합시키게 되면, 이 복수의 배선반(20)들이 적층 결합되어 모듈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바, 각각의 배선반(20)에 결합기(미도시됨)와 보호기(미도시됨)를 연결하고, 모국측과 가입자측의 회선을 연결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에 대한 배선반의 결합구조는 한 번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면 그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상기 배선반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대하여 걸림돌기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이 걸림돌기가 서브 프레임의 고정지지구에 형성된 통공에 걸림되어 고정 되는 바, 상기 걸림돌기의 자체탄성에 의해 그 삽입장착은 다소 용이하나, 당김에 따른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 배선반들의 유지보수와, 이 배선반들의 후부측에 연결된 많은 회선의 결선을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상기 배선반들을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뾰족한 공구 등을 이용하여 상기 걸림돌기를 고정지지구의 통공으로부터 분리되게 억지로 밀어내는 등의 작업을 시행하여 분리하여야 함으로써 그 작업이 어렵고 또한 그에 따른 배선반 및 각종 회선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배선반들의 착탈이 용이하여 배선반들과, 이 배선반들의 후부측에 연결된 많은 회선의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서브 프레임이 제공되었다.
도 3a는 상기한 바와 같이 IDC 분배기 배선반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30)은 그 횡단면이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32)가 구성되고, 이 본체(32)의 양 단부 끝단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봉(34)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봉(34)은 그 전후단이 본체(32)에 대하여 고정설치되나 본체(32)의 양 단부 끝단에 대하여는 소정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서브 프레임(30)에 적층 결합되는 배선반(40)은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에 상기 가이드 봉(34)과 대응하여 결합되기 위한 결합요부(4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결합요부(42)의 내측에는 앞선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배선반들과 마찬가지로 결합공(44)이 형성되며 이 결합공(44)의 내측에 대하여 걸림돌기(46)가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배선반(4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요부(42)를 서브 프레임(30)의 양측 가이드 봉(34)에 삽착하면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배선반(40)의 결합요부(42)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바,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됨으로써, 상기 결합요부(42)에 대하여 가이드 봉(34)이 삽착될 때 결합요부(42)가 살짝 벌어지면서 삽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완전히 삽착이 이루어지면 상기 결합요부(42)는 자체탄성에 의해 다시 오므려지면서 가이드 봉(34)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브 프레임(30)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 봉(34)에 대하여 복수의 배선반(40)을 일정간격으로 고정결합시키게 되면, 복수의 배선반(40)이 적층 결합되어 모듈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바, 각각의 배선반(40)에 결합기(미도시됨)와 보호기(미도시됨)를 연결하고, 모국측과 가입자측의 회선을 연결하면 된다.
그리고, 각 배선반(40)들의 후부측에 연결된 각종 회선의 결선상태 및 각 배선반들을 유지보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하고자 하는 배선반(40)의 일측 결합요부(42)를 이 결합요부(42)와 결합되어 있는 일측의 가이드 봉(34)으로부터 분리하고, 타측의 결합요부(42)와 타측 가이드 봉(34)의 결합부위를 기점으로 힌지회동시키면 된다.
즉, 배선반(40)의 결합요부(42)와 서브 프레임(30)의 가이드 봉(34)은 어떠한 걸림수단이 없이 단순히 결합요부(42)의 자체탄성에 의해 파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바, 이 결합요부(42)를 상하로 살며시 비틀면서 잡아당기면 손쉽게 분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의 필요시마다 배선반(40) 자체를 서브 프레임(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필요 없이, 일측의 결합부위만을 탈거하여 타측의 결합부위를 기점으로 회동시키고,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를 마치면 다시 탈거된 결합부위를 삽착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서브 프레임(30)에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그 양측에 결합요부(42)가 형성된 배선반(40)의 경우 상기와 같이 결합요부(42)의 내측으로 결합홈(44)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44)의 내측으로 걸림돌기(46)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 이 결합홈(44) 및 걸림돌기(46)를 이용하여 앞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브 프레임(10)에 장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은 양단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가이드 봉이 민자로 이루어짐으로써, 배선반의 설치자가 정해진 간격에 따라 설치할 수 없어 임의로 간격을 정하여 설치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각 배선반들간의 간격이 통일되지 않아 각 회선들의 연결 및 결합기와 보호기의 연결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각 배선반들의 자체무게와 이 배선반들에 장착되는 각 결합기와 보호기들의 하중에 의하여 아래로 쳐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IDC 분배기 배선반을 적층 결합시켜 다량의 회선을 수용 관리 할 수 있도록 모듈화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이 서브 프레임의 일측 가이드 봉에 IDC 분배기 배선반의 일측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배선반등을 지지함과 아울러 회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지지구가 적층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IDC 분배기 배선반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하도록 함은 물론 자유로운 회동에 의해 배선반들 및 이 배선반들에 연결되는 각종 회선들의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은, IDC 분배기 배선반을 적층 결합시켜 다량의 회선을 수용 관리 할 수 있도록 모듈화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횡단면이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봉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적층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지지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지지편은 일정길이의 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종방향으로 고정지지구가 일체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이 고정지지구의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지지편이 상기 가이드 봉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의 압입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지지편의 원통부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에 배선반들이 장착되는 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30)은, 그 횡단면이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본체(32)와, 이 본체(32)의 양단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가이드 봉(34)과, 이 가이드 봉(34)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봉(34)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적층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지지편(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 지지편(50)은 일정길이의 원통부(52)와, 이 원통부(52)의 일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고정지지구(54)가 일체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고정지지구(54)의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통공(5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지지편(50)은 서브 프레임(30)의 제작시 일측의 가이드 봉(34)에 원통부(52)를 적층되게 삽입시키면 되는 바, 상기 가이드 지지편(50)은 그 원통부(52)의 내공 지름을 가이드 봉(34)의 지름보다 소정만큼 크게 제작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지지편(50)은 가이드 봉(34)에 대하여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3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30)의 일측 가이드 봉(34)에 가이드 지지편(50)이 적층되게 설치되어 있는 바, 이 가이드 지지편(50)의 원통부(52)에 일체형성된 고정지지구(54)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서브 프레임(30)에 배선반(40)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선반(40)의 양 결합요부(42)를 서브 프레임(30)의 양측 가이드 봉(34)에 평행하게 배치시킨 후, 배선반(40)에 있어서 일측의 결합요부(42)는 이에 대응하는 일측의 가이드 봉(34)에 대하여 직접 삽착시키고, 타측의 결합요부(42) 내측으로 형성된 결합홈(44)에는 타측의 가이드 봉(34)에 적층설치된 가이드 지지편(50)의 고정지지구(54)를 삽착시킨다.
즉, 배선반(40)의 결합요부(42) 내측에는 결합홈(44)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44)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6)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결합홈(44)에 가이드 지지편(50)의 고정지지구(54)가 삽착되면서, 상기 걸림돌기(46)가 자체 탄성에 의해 눌려지면서 삽착되다가 고정지지구(54)의 통공(56)에 이르러 복원되면서 걸려지게 됨으로써, 고정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지지편(50)의 고정지지구(54)가 결합홈(44)에 삽착될 때, 이 결합부위의 결합요부(42)는 다시 상기 가이드 지지편(50)의 원통부(52)를 감싸는 구조로 파지가 이루어지는 바, 보다 견고하게 고정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가이드 지지편(50)에 대하여 배선반(40)들의 일측을 고정결합시키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지지편(50)에 대하여 대응하는 가이드 봉(34)에 대하여 삽착시킴으로써, 배선반(40)들이 적층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프레임(30)의 일측 가이드 봉(34)에 적층 설치된 가이드 지지편(50)들의 배열간격에 따라 배선반(40)들 또한 일정한 배열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 지지편(50)의 고정지지구(52)에 의하여 각종 결합기나 보호기 및 회선들의 하중에 의하여 배선반들이 아래로 밀려내려거가나 처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서브 프레임(30)에 대하여 배선반(40)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이 배선반(40)들의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 및 이 배선반(40)들의 후부측에 위치하는 각종 회선들의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선반(40)의 일측 결합요부(42)와 이에 대응하는 서브 프레임(30)의 가이드 봉(34)을 분리시킨 후, 상기 배선반(40)의 타측 결합요부(42)와 이에 대응하는 가이드 지지편(50)의 결합부위를 기점으로 회동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배선반(40)의 일측 결합요부(42)에 형성된 결합홈(44)에 가이드 지지편(50)의 고정지지구(54)가 삽착된 상태를 유지하되, 이 가이드 지지편(50)은 가이드 봉(34)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바, 이 부위를 기점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함과 아울러 고정됨이 유지됨으로써, 접속과 점검 및 유비보수가 끝난 후에도 원상태로의 장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것으로서, 서브 프레임(30)의 가이드 봉(34)에 적층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지지편(50)의 원통부(52)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그 일측에 개구부(60,60')를 형성하여 가이드 봉(34)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개구부(60,6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지구(54에 대향되는 반대방향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지구(54)와 근접한 좌우측에 대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에 의하면, 상기 배선반들의 점검 및 유지보수와, 이 배선반들의 후부측에 연결된 많은 회선의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상기 배선반들을 서브 프레임으로부터 굳이 완전히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일측의 결합부위만을 손쉽게 분리하고, 타측의 결합부위를 기점으로 힌지회동시켜서 개방시킨 후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를 실행할 수 있으며,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가 끝나면 다시 원상태로의 설치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서브 프레임의 일측 가이드 봉에 일정간격으로 회동가능한 가이드 지지편이 배열 설치되고, 이 가이드 지지편에 배선반의 일측이 고정설치되어 지지됨으로써, 각 배선반들의 설치간격이 통일됨과 아울러 각 배선반들의 자체무게와 이 배선반들에 장착되는 각 결합기와 보호기들의 하중에 의하여 아래로 쳐지지 않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의 가이드 봉식 서브 프레임에 개구부가 형성된 가이드 지지편을 착탈식으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기존에 기설치된 서브 프레임 전체를 일시에 교체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되는 바, 서프 프레임 교체에 따른 비용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서브 프레임에 배선반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서브 프레임의 일측 가이드 봉에 파지되어 있는 배선반의 결합요부를 잠시 분리시킨 후, 이 결합부위에 착탈식 가이드 지지편을 장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서브 프레임에 배선반들이 설치된 상태에서 굳이 상기와 같이 착탈식 가이드 지지편을 장착하지 않더라도, 교체가 요구되는 배선반이나 또는 새로이 추가되는 배선반의 설치시에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가이드 지지편을 적용하여 설치함으로써, 서서히 종래의 서브 프레임 전체를 본 발명에 따른 서브 프레임으로 바꿀 수 있게 되는 바, 최초에 본 발명에 따른 서브 프레임으로의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동케이블 성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2a는 동케이블 성단을 이루기 위하여 IDC 분배기 배선반이 적층으로 장착되는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서브 프레임에 적층으로 장착되는 IDC 분배기 배선반을 도시한 정면도.
도 2c는 도 2a의 서브 프레임에 도 2b의 IDC 분배기 배선반이 장착되는 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3a는 종래의 IDC 분배기 배선반이 적층으로 장착되는 다른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서브 프레임에 적층으로 장착되는 다른 IDC 분배기 배선반을 도시한 정면도.
도 3c는 도 3b의 평면도.
도 3d는, 도 3a의 서브 프레임에 도 3b 및 도 3c의 IDC 분배기 배선반이 장착되는 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서브 프레임에 IDC 분배기 배선반이 장착되는 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IDC 분배기 배선반 42 : 결합요부
44 : 결합공 46 : 걸림돌기
50 : 가이드 지지편 52 : 원통부
54 : 고정지지구 56 : 통공
60,60': 개구부

Claims (3)

  1. IDC 분배기 배선반(40)을 적층 결합시켜 다량의 회선을 수용하고 관리 할 수 있도록 모듈화하는 서브 프레임(30)에 있어서,
    횡단면이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본체(32)와;
    상기 본체(32)의 양단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가이드 봉(34)과;
    상기 가이드 봉(34)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봉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적층되어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지지편(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지지편(50)은 일정길이의 원통부(52)와, 이 원통부(52)의 일측면으로부터 종방향으로 고정지지구(54)가 일체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이 고정지지구(54)의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통공(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지지편(50)이 상기 가이드 봉(34)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의 압입설치가 가능하도록 원통부(52)의 일측에 개구부(60,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C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
KR10-2003-0017813A 2003-03-21 2003-03-21 아이디씨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 KR100525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813A KR100525461B1 (ko) 2003-03-21 2003-03-21 아이디씨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813A KR100525461B1 (ko) 2003-03-21 2003-03-21 아이디씨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531U Division KR200316893Y1 (ko) 2003-03-21 2003-03-21 아이디씨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229A KR20040083229A (ko) 2004-10-01
KR100525461B1 true KR100525461B1 (ko) 2005-11-03

Family

ID=37367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813A KR100525461B1 (ko) 2003-03-21 2003-03-21 아이디씨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4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229A (ko) 200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9325B2 (en) High density front access device
WO2015195679A1 (en) Hybrid patch panel assembly for multiple media connections
US20100266117A1 (en) Network Switch with Integrated Cable Termination Locations
CN101632258A (zh) 模块式网络连接设备
US5997311A (en) Interconnect and cross-connect equipment panel for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CN114204319A (zh) 一种带有分线功能的电缆连接器
US10085076B2 (en) Omedia panel
KR100525461B1 (ko) 아이디씨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
KR200316893Y1 (ko) 아이디씨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
CN216649880U (zh) 一种软交换通信系统用交换机
US1101276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connector arrays
US7554818B2 (en) Telecommunications module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TW200913733A (en) Telecommunication assembly with an inner frame and an outer frame
KR100502689B1 (ko)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CN211019108U (zh) 一种连接头防脱落配线架
US20110103575A1 (en) High-density splitter/patch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110217857A1 (en) Cradle for fastening a terminal block to a mounting frame and arrangement for earthing a terminal block
US7229312B2 (en) Terminal block rear connection bar
WO2021197271A1 (zh) 一种交换机插框及机柜系统
CN107078484A (zh) 用于线缆通道中的转接器以及线缆分配系统
CN214124721U (zh) 一种方便安装挂壁式分线盒
US7331829B2 (en) Snap-in mounting bracket-terminal block
KR200322154Y1 (ko)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US20060274471A1 (en) Outside plant cable pair protectors
KR200285747Y1 (ko) 통신용 장비를 적재하기 위한 마운팅 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