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752B1 - Audio guide servi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Audio guide servi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752B1
KR100524752B1 KR20030029451A KR20030029451A KR100524752B1 KR 100524752 B1 KR100524752 B1 KR 100524752B1 KR 20030029451 A KR20030029451 A KR 20030029451A KR 20030029451 A KR20030029451 A KR 20030029451A KR 100524752 B1 KR100524752 B1 KR 100524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guidance
terminal
content
cs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294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96379A (en
Inventor
지성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2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752B1/en
Publication of KR2004009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3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752B1/en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기지국 영역에 진입할 경우, 해당 기지국 영역에 대한 음성 안내 컨텐츠(AG_CSN #)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에 의해 음성 안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해당 컨텐츠(AG_CSN #)와 단말의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플래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안내 관련 데이터(AG_CSN #, 음성 안내 활성 플래그)를 수신한 단말은, 음성 안내 기능이 사용 가능함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통보를 받은 사용자가 음성 안내 시작 명령을 내리면, 음성 안내 서버(AGS)는 단말이 속해있는 컨텐츠(AG_CSN #)값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에 대한 하위 정보(AG_ISN #)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하위 정보(AG_ISN #)를 수신한 단말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한 정보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하위 정보에서 세부 항목이 선택되면 음성 안내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세부 항목(AG_ISN #)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음성 정보 데이터(AG_BD #)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guidance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voice guide content (AG_CSN #) exists for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area when a terminal user enters a specific base station area; If the voice guidance content exist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content (AG_CSN #) and a flag for activating the voice guidance function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receiving the voice guidance related data (AG_CSN #, voice guidance active flag), and notifying the user by displaying on the screen that the voice guidance function is available; When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notification gives a voice guidance start command, the voice guidance server AGS searches a database based on the content of the content AG_CSN #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and transmits the lower information AG_ISN # to the terminal. Wow; Receiving the lower information (AG_ISN #) by the terminal,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list on a screen so that a user can select desired information; When the detailed item is selected in the sub information, the voice guidance server may search for a database using the detailed item AG_ISN # requested by the user,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voice information data AG_BD # to the terminal. have.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AUDIO GUIDE SERVI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Voice guidance ser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DIO GUIDE SERVI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리시버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대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이 특정 지역(박물관, 유적지, 전람회 등)의 중계기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현장에서 바로 음성 안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guidance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to perform a voice guidance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lace of a voice guidance service using a conventional receiver, the terminal is a specific area (museum) , A historical site, an exhibition,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guidance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mplement a voice guidance service on the spo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자동 음성 안내 서비스(Audio Guide Service)는 크게 수신형 단말기를 이용하는 방송형 서비스(broadcast service)와 저장형 단말기를 이용하는 독립형 서비스(standalone service)로 구분이 되며 각각의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In general, an automatic audio guide service is divided into a broadcast service using a reception terminal and a standalone service using a storage terminal. Each servic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Has

먼저, 방송형 음성 안내 서비스는 중앙방송센터에서 정해진 시간에 주기적으로 사전에 정해진 채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신형 단말기에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방식의 서비스이고, 독립형 음성 안내 서비스는 특정 음성정보를 저장형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놓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내용을 출력하는 방식의 서비스이다.First, a broadcast type voice guidance service is a service of outputting voice information to a user's receiving terminal periodically using a predetermined channel at a predetermined time at a central broadcasting center, and the standalone voice guidance service stores specific voice information. It is a type of service that saves in advance to the terminal and outputs the necessary contents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상기 방송형 음성 안내 서비스는 사전에 기록된 음성정보를 중앙방송센터에서 특정 주파수를 이용하여 방송하고, 사용자는 리시버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수신하는 단순한 형태로 동작되며, 독립형 음성 안내 서비스는 저장형 단말기의 특정 메모리 영역에 음성정보를 저장해 놓고 사용자의 요구순서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형태로 동작된다.The broadcast type voice guidance service operates in a simple form in which pre-recorded voice information is broadcast by using a specific frequency in a central broadcasting center, and a user is passively received by using a receiver. Voice information is stored in a specific memory area of the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provided in a user's request order.

상기 음성 안내 서비스의 컨텐츠 변경을 위해서는, 방송형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수신형 단말기의 경우, 채널 변환 또는 중앙방송 센터의 송출 컨텐츠를 바꿔야 하며, 독립형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수신형 단말기의 경우, 모든 개수의 저장형 단말기 내의 전체 메모리 영역을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change the contents of the voice guidance service, in case of a receiving terminal used in a broadcast type service, a channel conversion or transmission content of a central broadcasting center needs to be changed, and in the case of a receiving terminal used in a standalone service, all numbers are sto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memory area in the mobile terminal must be upd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기존의 리시버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대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이 특정 지역(박물관, 유적지, 전람회 등)의 중계기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현장에서 바로 음성 안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n order to perform a voice guidance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stead of a voice guidance service using a conventional receiver, the terminal has a specific area.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oice guidance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enables a voice guidance service to be implemented on the spo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mobile station moves to a repeater area (museum, historical site, exhibition, etc.).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기지국 영역에 진입할 경우, 해당 기지국 영역에 대한 음성 안내 컨텐츠(AG_CSN #)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에 의해 음성 안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해당 컨텐츠(AG_CSN #)와 단말의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플래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안내 관련 데이터(AG_CSN #, 음성 안내 활성 플래그)를 수신한 단말은, 음성 안내 기능이 사용 가능함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통보를 받은 사용자가 음성 안내 시작 명령을 내리면, 음성 안내 서버(AGS)는 단말이 속해있는 컨텐츠(AG_CSN #)값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에 대한 하위 정보(AG_ISN #)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하위 정보(AG_ISN #)를 수신한 단말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한 정보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하위 정보에서 세부 항목이 선택되면 음성 안내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세부 항목(AG_ISN #)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음성 정보 데이터(AG_BD #)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voice announcement content (AG_CSN #) for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area when a terminal user enters a specific base station area; If the voice guidance content exist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content (AG_CSN #) and a flag for activating the voice guidance function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receiving the voice guidance related data (AG_CSN #, voice guidance active flag), and notifying the user by displaying on the screen that the voice guidance function is available; When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notification gives a voice guidance start command, the voice guidance server AGS searches a database based on the content of the content AG_CSN #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and transmits the lower information AG_ISN # to the terminal. Wow; Receiving the lower information (AG_ISN #) by the terminal,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list on a screen so that a user can select desired information; When the detailed item is selected in the lower information, the voice guidance server searches for a database by the detailed item AG_ISN # requeste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voice information data AG_BD # to the terminal. .

본 발명은 GSM 프로토콜 구조를 최대한 이용하여 GSM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안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위한 서버와 필수적인 몇 가지 구분자(Identifier)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voice guidance function in a GS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GSM protocol structure to the maximum, and defining a server and some essential identifier (Identifier) for the voice guidance service as follows.

우선, 음성 안내 서버(Audio Guide Server : AGS)는 기본적인 GSM 시스템 구성에서, EIR, AUC, HLR, VLR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들의 한 구성요소로 추가될 수 있으며, 단말의 특정위치와 관련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First, in a basic GSM system configuration, an audio guide server (AGS) may be added as a component of databases such as EIR, AUC, HLR, and VLR, and may store content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location of a terminal. Play a role.

다음, 데이터는 다음 표1과 같이 구성할 수 있으며, 음성 안내 컨텐츠 구분자(AG contents Identifier)는 컨텐츠의 위치정보와 컨텐츠 내용을 매핑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으로, 여기서 GCI(Global Cell Identity)는 '[GSM 03.30] Numbering, Addressing and Identification'에 기술되어 있는 표준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Next, the data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 AG contents identifier (ID contents) is a data type for mapp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s and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where GCI (Global Cell Identity) is '[GSM'. 03.30] The standard form described in 'Numbering, Addressing and Identification' may be used as is.

GCIGCI AG_CSNAG_CSN AG_TOCAG_TOC AG_NOIAG_NOI AG_CNAG_CN

GCI : Global Cell Identity(LAI+CI)GCI: Global Cell Identity (LAI + CI)

AG_CSN : AG Contents Serial Number(4Bytes)AG_CSN: AG Contents Serial Number (4Bytes)

AG_TOC : AG Type of Contents(1 Byte)AG_TOC: AG Type of Contents (1 Byte)

AG_NOI : AG Number Of Items(2 Bytes)AG_NOI: AG Number Of Items (2 Bytes)

AG_CN : AG Contents Name(200 Bytes)AG_CN: AG Contents Name (200 Bytes)

다음, 음성 안내 항목 구분자(AG Item Identifier)는 상기 음성 안내 컨텐츠 구분자의 NOI(AG Number of Items)의 값에 해당하는 개수의 항목들을 정의해 놓은 데이터 타입으로서 다음 표2과 같이 구성된다.Next, an AG Item Identifier is a data type that defines a number of items corresponding to a value of an AG Number of Items (NOI) of the voice guidance content identifier and is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2 below.

AG_CSNAG_CSN AG_ISNAG_ISN AG_INAG_IN

AG_CSN : AG Contents Serial Number(4 Bytes)AG_CSN: AG Contents Serial Number (4 Bytes)

AG_ISN : AG Item Serial Number(4 Bytes)AG_ISN: AG Item Serial Number (4 Bytes)

AG_IN : AG Item Name(200 Bytes)AG_IN: AG Item Name (200 Bytes)

다음, 음성 안내 서버(AGS Database)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논리적 구조는 다음 도1과 같이 구성할 수 있는데, 논리 데이터베이스는 전체 컨텐츠 수(total number of AG_CSN #)에 해당하는 개수의 테이블로 구성되며, 각 컨텐츠(AG_CSN #)의 테이블 내에는 아이템 수만큼의 실제로 서비스에 사용되는 음성정보 데이터(audio binary data)들로 채워진다.Next,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database of the voice guidance server (AGS Database)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 1, the logical database is composed of a number of tables corresponding to the total number of AG_CSN #, each The table of contents AG_CSN # is filled with audio binary data used for the service as many as the number of items.

본 발명의 GSM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음성 안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안내 서버가 해당 네트워크 내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음성 정보를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implement the voice guidance function in the GS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guidance server must be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network as described above, so that voice information can be serviced by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도2 내지 도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voice guidance servic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s of FIGS. 2 to 5.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MS)의 사용자가 특정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동작은 바로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작업의 수행인데, 이를 통해서 단말은 자신이 속해있는 BTS(Base Tranceiver System)의 정보를 이동 통신 시스템의 방문가입자 위치정보 레지스터(VLR/HLR)에 전달하게 된다.In general, when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S) moves to a specific area, the first operation is to immediately perform location updating, and through this, the terminal is informed of the BTS (Base Tranceiver System) to which it belongs. Is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register (VLR / HL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음성 안내 기능을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s for the voice guidance function in addition to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basic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먼저 단말이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에서 시스템에 등록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GCI : Global Cell Identity)를 이용하여, 상술한 음성 안내 서버(AGS) 내에 유효한 음성 안내 컨텐츠 구분자(AG Contents Identifier)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음성 안내 서버(AGS)에서 단말로 컨텐츠(AG_CSN)와 음성 안내 활성 플래그(AG_activate flag) 값을 전송한다(S101 ~ S103).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guidance service proces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GCI: Global Cell Identity) of a user registered in the system in the process of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y the terminal, Check whether there is a valid AG Contents Identifier in the above-mentioned voice guidance server AGS, and transmit the content AG_CSN and the voice guide activation flag value from the voice guidance server AGS to the terminal. (S101 to S103).

다음, 상기 음성 안내 활성 플래그(AG_activate flag)를 수신한 단말은 음성 안내 기능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화면에 표시하고(S104), 사용자가 기능사용을 원할 경우(S105), 음성 안내 시작 명령(AG_start)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사용자의 음성 안내 시작 명령(AG_Start)을 받은 음성 안내 서버(AGS)는, 단말이 속해있는 컨텐츠(AG_CSN #) 값을 가지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S106), 그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AG_ISN ; 종류, 해당 아이템 목록 등)를 단말로 전송한다(S107).Next, the terminal receiving the voice guidance activation flag AG_activate flag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at the voice guidance function is available (S104), if the user wants to use the function (S105), voice guidance start command (AG_start) The voice guidance server AGS receiving the voice guidance start command AG_Start of the user searches the database with the content AG_CSN #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S106), and adds to the content. Information (AG_ISN; type, corresponding item list, etc.)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107).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달받은 정보(AG_ISN)를 바탕으로(S104) 원하는 컨텐츠의 세부 아이템 정보를 요청하고(S105), 음성 안내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AG_CSN #)와 세부 항목(AG_ISN #)을 가지고 음성 안내 서버(AGS)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S106) 해당하는 음성 정보 데이터(AG_BD#)를 단말로 전송한다(S107).Accordingly, the user requests detailed item information of the desired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G_ISN (S104), and the voice guidance server requests the content AG_CSN # and the detail item AG_ISN # requested by the user. Search the database of the voice guidance server AGS (S106)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voice information data AG_BD # to the terminal (S107).

즉, 상기 음성 안내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여 요청하는 과정(S104, S105)과 요청한 음성 정보 데이터(AG_BD#)를 검색하여 수신하는 과정(106, 107)을 반복 수행한다.That is, the steps S104 and S105 of selecting and requesting the voice guidanc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steps 106 and 107 of searching and receiving the requested voice information data AG_BD # are repeatedly performed.

도3은 상기 도2에서 위치정보 갱신 과정을 상세히 보인 흐름도로서, 단말이 새 기지국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S201), 현재의 위치정보(GCI)를 바탕으로(S202) 유효한 컨텐츠(AG_CSN #)가 있는지 확인하여(S203), 유효한 컨텐츠가 있을 경우에 컨텐츠 정보(AG_CSN #) 및 음성 안내 활성화 신호를 단말(Handset)로 전송한다(S204).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update process in detail in FIG. 2. When the terminal enters a new base station area (S201),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GCI) (S202), valid content (AG_CSN #) is returned. If there is valid content (S203), if there is valid content, content information (AG_CSN #) and a voice guidance activation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Handset) (S204).

도4는 상기 도2에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한 음성 안내 시작 과정을 상세히 보인 흐름도로서, 사용자는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AG_CSN #)의 하위 항목인 컨텐츠 타입(AG_TOC), 항목 개수(AG_NOI), 컨텐츠 이름(AG_CN) 등을 요청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S301), 그 검색된 정보를 단말로 내려 받는다(S302).FIG. 4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guide start process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in FIG. 2, wherein a user has a content type AG_TOC, a number of items AG_NOI, and a content name that are sub-items of content AG_CSN # stored in a terminal. (AG_CN) and the like to search the database (S301), and downloads the retriev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302).

도5는 상기 도2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와 항목에 해당하는 음성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상세히 보인 흐름도로서, 상기 내려받은 컨텐츠에 대한 하위 항목에서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면, 음성 안내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컨텐츠(AG_CSN #) 및 항목(AG_ISN #)에 해당하는 음성 정보 데이터(AG_BD #)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S401), 그 음성 정보 데이터(AG_BD #)를 단말기로 다운로드 한다(S402).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voic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content and an item requested by the user in FIG. 2. When requesting desired information from a lower item of the downloaded content, the voice guide server may be used. The voice information data AG_BD #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content AG_CSN # and the item AG_ISN # is retrieved from the database (S401), and the voice information data AG_BD # is downloaded to the terminal (S402).

이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GSM 이동 단말 사용자의 수고 없이도 단말기의 음성 안내 기능을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와 음성정보 안내 서비스에 대한 부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voice guidance function of the terminal to be used without the trouble of the user of the GSM mobile terminal, which the user carries, thereby reduc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additional cost for the voice information guidance servi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은, 기존의 리시버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대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이 특정 지역(박물관, 유적지, 전람회 등)의 중계기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현장에서 바로 음성 안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oice guidance service metho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he voice guidance ser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stead of the voice guidance service using the existing receiver. As it moves to the repeater area of a museum, historic site, exhibition, etc., it is effective to implement a voice guidance service on the spo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변경에 따른 비용을 현격히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지역(박물관, 유적지, 전람회 등)에서의 음성정보 단말을 유지 및 교체하는데 드는 비용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의 통합관리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significantly lower the cost of changing the content, but also according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the cost and content for maintaining and replacing the voice information terminal in a specific region (museum, historical site, exhibition, etc.) It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s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안내 서버(AGS Database)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논리적 구조를 보인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ogical structure for a database of a voice guidance server (AGS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과정을 보인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guidance service proces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도2에서 위치정보 갱신 과정을 상세히 보인 흐름도.3 is a flow chart showing in detail the location information update process in FIG.

도 4는 상기 도2에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한 음성 안내 시작 과정을 상세히 보인 흐름도.FIG. 4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guidance start process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in FIG. 2.

도 5는 상기 도2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와 항목에 해당하는 음성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상세히 보인 흐름도.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voic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content and an item requested by a user in FIG. 2; FIG.

Claims (5)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기지국 영역에 진입할 경우, 해당 기지국 영역에 대한 음성 안내 컨텐츠(AG_CSN #)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When the terminal user enters a specific base station area,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voice announcement content (AG_CSN #) for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area; 상기 판단에 의해 음성 안내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해당 컨텐츠(AG_CSN #)와 단말의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플래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If the voice guidance content exist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content (AG_CSN #) and a flag for activating the voice guidance function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상기 음성 안내 관련 데이터(AG_CSN #, 음성 안내 활성 플래그)를 수신한 단말은, 음성 안내 기능이 사용 가능함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와;The terminal receiving the voice guidance related data (AG_CSN #, voice guidance active flag), and notifying the user by displaying on the screen that the voice guidance function is available; 상기 통보를 받은 사용자가 음성 안내 시작 명령을 내리면, 음성 안내 서버(AGS)는 단말이 속해있는 컨텐츠(AG_CSN #)값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그에 대한 하위 정보(AG_ISN #)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When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notification gives a voice guidance start command, the voice guidance server AGS searches a database based on the content of the content AG_CSN # to which the terminal belongs, and transmits the lower information AG_ISN # to the terminal. Wow; 상기 하위 정보(AG_ISN #)를 수신한 단말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한 정보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Receiving the lower information (AG_ISN #) by the terminal,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list on a screen so that a user can select desired information; 상기 하위 정보에서 세부 항목이 선택되면 음성 안내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세부 항목(AG_ISN #)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음성 정보 데이터(AG_BD #)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When the detailed item is selected in the sub information, the voice guidance server searches for a database using the detailed item AG_ISN # requeste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voice information data AG_BD # to the terminal. Voice guidance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 기지국에 진입하는지는 위치 정보(GCI : Global Cell Identity)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The voice guidance servic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ther the user enters a specific base station is detected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 (GCI: Global Cell Ident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GCI)와 컨텐츠(AG_CSN)를 매핑하는 음성 안내 컨텐츠는, 컨텐츠 타입(AG_TOC)과 그 하위 항목의 수(AG_NOI) 및 컨텐츠 이름(AG_CN)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The voice guidance content of claim 1, wherein the voice guidance content that maps the location information GCI and the content AG_CSN includes data including content type AG_TOC, the number of sub-items AG_NOI, and content name AG_CN. Voice guidance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ruct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컨텐츠(AG_CSN)의 항목 수(AG_NOI)에 따른 각 항목은, 컨텐츠 번호(AG_CSN)와 그 하위의 각 항목 번호(AG_ISN) 및 항목의 이름(AG_IN)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each item according to the item number AG_NOI of each content AG_CSN includes a content number AG_CSN, each item number AG_ISN below it, and name (AG_IN) information of the item. Voice guidance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ata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 서버(AGS)의 데이터베이스는 전체 컨텐츠 수(AG_CSN #)에 해당하는 개수의 테이블로 구성되며, 각 컨텐츠(AG_CSN #)의 테이블 내에는 항목 수만큼의 실제로 서비스에 사용되는 음성정보 데이터(AG_BD #)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안내 서비스 방법. The database of claim 1, wherein the database of the voice guidance server AGS is composed of a number of tables corresponding to the total number of contents AG_CSN #. Voice guidance service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s filled with the voice information data (AG_BD #) used.
KR20030029451A 2003-05-09 2003-05-09 Audio guide servi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247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9451A KR100524752B1 (en) 2003-05-09 2003-05-09 Audio guide servi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9451A KR100524752B1 (en) 2003-05-09 2003-05-09 Audio guide servi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379A KR20040096379A (en) 2004-11-16
KR100524752B1 true KR100524752B1 (en) 2005-11-01

Family

ID=3737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29451A KR100524752B1 (en) 2003-05-09 2003-05-09 Audio guide servi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75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379A (en)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9611C (en) Location-based content delivery
US7885667B2 (en) Remote location based services
EP1103117B1 (en) Integration of voice and data services provided to a mobile wireless device
US6993336B2 (en) Roaming indicators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7245911B2 (en) Mobi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managing country code and method for storing/finding phone number using the same
US200500960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local services with a mobile terminal
US200300039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ervice provider initiated location-dependent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0423592C (en)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along with or instead of network identification
KR20060094483A (en) Customized location area cluster paging
FI113722B (en) A method for setting up transceivers, a transceiver, and a server
US20120003963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updating telephone directory of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20070078807A1 (en) Method of building a database, system for populating a database, and method of delivering location-relevant information
US20050043012A1 (en) Method for displaying roaming charge rate on mobile station
KR100524752B1 (en) Audio guide service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824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aming area with local services, and overseas roaming contents server thereof
KR100472298B1 (en) Method for Processing of Spam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19810B1 (en) Phone number stor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5117646A (en) Automatic updating of non-emergency telephone number for radio hand set
KR100587779B1 (en) Menu list offer method of voice post-office box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58439A (en) User position inform method i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296369A (en) Telephone number storage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H10148543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02202U (en) Apparatus for searching position of mobile station
KR20000073707A (en) Method for searching user information in terminal equipment
JPH11252643A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in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