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730B1 - 전기충격기 - Google Patents

전기충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730B1
KR100522730B1 KR10-2002-0032440A KR20020032440A KR100522730B1 KR 100522730 B1 KR100522730 B1 KR 100522730B1 KR 20020032440 A KR20020032440 A KR 20020032440A KR 100522730 B1 KR100522730 B1 KR 100522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ductive liquid
cartridge
discharge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4960A (ko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이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수 filed Critical 이광수
Priority to KR10-2002-0032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730B1/ko
Publication of KR2003009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12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 F41H13/0037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for remote electrical discharge via liq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4Direct thermal recording [DT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신용으로 사용되며 고전압의 전원을 액상의 도전체를 통하여 쇼크 시키는 액상의 도전체를 발사하는 전기 충격기에 관한 것으로써, 이와 같은 본 발명은 2002년 02월 09일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바 있는 국내 발명특허출원 제7679호의 "전기 충격기"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압을 충전하는 충전밸브를 가진 충전캡이 후단에 결합되고, 전단에는 스프링을 지지하는 환턱과 액상의 도전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진 밸브가 원통형상의 밸브가이드에 결합되고 밸브 선단에는 방출구멍을 가진 방출캡이 결합되며 후부 원주연에는 개구부를 가진 도전액튜브(19)가 밀봉 연결된 밸브하우징이 2조 한 세트로 케이싱 구성된 카트리지(10)와, 초고압방전조립체를 비롯한 충전회로 및 밧데리와 조명스위치를 가진 렌턴(50)과, 습동날개와 방아쇠링크가 일체로된 방아쇠 및 압력부를 가진 밀대가 각각의 밀대핀과 링크핀으로 회동 자제케 결합되고 방전스위치가 결합 구성된 충격기케이스가 제공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공되는 본 발명은 방전스위치를 켠 다음 안전핀을 풀고 방아쇠를 잡아당기면 밀대가 카트리지(10)를 약 5 ~ 7 밀리미터 정도 전진시켜서 밸브를 개방시키고 밸브가 개방되면 케이싱내부의 공기압충전실과 도전액튜브(19)에 만충전 팽창되어 있는 공기압의 배출력과 도전액튜브(19)의 복원력에 의해 도전액이 방출구멍으로 방출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방출되는 도전액에는 밧데리의 전원이 초고압방전조립체에 의해 초고압으로 "" "" 방전되기 때문에 동시에 방출되는 두 줄기의 "" "

Description

전기충격기{ELECTRIC SHOCK DEVICE}
본 발명은 호신용으로 사용되며 고전압의 전원을 액상의 도전체를 통하여 쇼크 시키는 액상의 도전체를 발사하는 전기 충격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2002년 02월 09일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바 있는 국내 발명특허출원 제7679호의 "전기 충격기(이하 선 출원 발명 이라 함)"를 개량한 것으로서, 선 출원 발명은 복잡한 고정구조 방식이었으나, 본 발명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카트리지 교체사용 방식으로 개량한 것이다.
한편, 선 출원 발명의 기재 내용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전기충격기는 치한으로부터 자신을 방어 및 보호하기 위하여 휴대가 가능한 호신용 장비로서, 이러한 전기충격기는 미국특허 4,872,084와 5,193,048에 개시된 바와같이 하우징내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에서 제공된 직류전압을 DC-DC 컨버터와 고압발생회로를 사용하여 고압을 발생시킨다는 내용을 비롯하여, 전기충격기는 콘덴서를 통하여 직류전압이 정류됨과 동시에 충전된 저전류 고전압을 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된 한 쌍의 방전전극인 프로브(probe) 측으로 인가하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된 프로브들의 자유공간 내에서 유전체의 절연파괴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방전이 일어나 상대방을 위협하거나 또는 전기적인 충격을 직접 인체에 가하여 제압할 수 있지만, 출퇴근 시간에 많은 사람들이 밀착한 전철이나 버스에서 발생되는 치한 및 범법자들에게 효과가 있을 뿐 반드시 진압, 체포하여야 하는 강력사범들에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그런 문제들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선 출원 발명은, 권총 또는 물총형태를 갖는 충격기케이스와, 상기 충격기케이스의 후반에 형성되어 도전액체를 수용하는 도전액탱크와, 충격기케이스의 전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액이 분출되는 노즐과, 상기 도전액탱크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초고압의 전압을 순간적으로 방전하는 초고압방전조립체와, 상기 초고압방전조립체와 상기 노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도전액이 상기 노즐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공기탱크와, 상기 공기탱크에 수용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도전액이 상기 노즐을 향하도록 안내하고 공급하는 공급관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도전액은 H2O이고, 상기 공급관 내에는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형성된 진공으로 상기 도전액탱크의 도전액을 상기 노즐을 향하도록 이동하도록 개폐하는 밸브체가 스프링으로 탄성가압되어 있고, 상기 공급관에는 상기 공기탱크에게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기가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압축기와 상기 공급관은 길이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었으며, 상기 노즐에는 상기 공급관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향하여 분출가능하게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상기 공급관 내에 형성되어 있으고, 충격기케이스의 손잡이부분에는 상기 개폐부재를 외력에 의해서 조절하는 방아쇠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아쇠와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는 상기 방아쇠의 외력을 상기 개폐부재에게 전달하는 동력전달구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슬라이딩방향으로 움직이는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노즐에는 상기 초고압방전조립체의 출력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캡이 스크류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초고압방전조립체는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밧데리의 전원을 충전전원으로 처리하는 충전회로와, 상기 충전회로의 충전전원을 초고압으로 승압시키는 고압트랜스와, 고압트랜스에 의해 승압된 초고압을 충전하는 충전콘덴서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충격기는 노즐에 의한 방전캡 한 쌍이 구비되어 수평으로 분사되어야 하고, 일측의 방전캡은 충전콘덴서로부터 +전극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의 방전캡은 -전극이 연결되어 있으며, 도전액의 분사시, 방전스위치에 의하여 충전콘덴서에 충전된 초고압의 전압이 한 쌍의 분사줄기를 따라 각각 +전극과 -전극으로 방전하므로, 범법자 또는 치한 등의 인체에 접촉과 동시에 강한 초고압의 전압으로 충격을 순간적으로 가한다는 내용과, 다른 실시예는 노즐에 의한 방전캡이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방전캡를 통하여 +전극의 전압이 인가되어 도전액의 분사시, 방전스위치에 의하여 충전콘덴서에 충전된 초고압의 전압이 하나의 분사줄기를 따라 +전극으로 방전하므로 -전극을 띤 지면과 접촉된 인체에 강한 초고압의 전압으로 충격을 순간적으로 가한다는 내용 및 또 다른 실시예 에서는 도전액을 대신할 수 있는 도전성 리본이 지그재그로 겹쳐지게 하고, 그 리본의 끝단에 소정의 중량을 갖는 무게추를 연결하여 상기 무게추가 발사수단에 의해 인체를 향하여 발사되면 동시에 초고압방전조립체의 초고압의 전압이 리본에 인가되어 전기충격을 순간적으로 가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 출원 발명은 시제품 제조 시험결과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이에 따른 제조원가 상승의 문제와, 오동작 발생 문제 및 특히, 구조적으로 부피를 작게 만들 수 없기 때문에 휴대 및 사용에 많은 불편이 초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 뿐 아니라 본원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발명의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충격기 케이스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스미스 권총 크기로 제공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손잡이 내부에는 전기장치 및 고압방전 장치를 구성하고, 선단 하부에는 랜턴을 내장하여 어두운 곳에서 조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충격기 케이스에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마련하여 수평간 두 개의 관통된 구멍에 ""와, ""가 각각 구분되어 도전액이 발사되는 카트리지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기 충격기를 저렴하게 공급하는 동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을 요약해보면, 카트리지(10)를 구성하되, 카트리지(10)의 후단에 충전밸브(18)로 공기압(10a')을 충전하고, 선단의 밸브(15)로 도전액(19a)을 충전하여, 방아쇠(30)를 잡아당기면 밀대(35)가 카트리지(10)를 전진시켜서 밸브(15)가 개방되고 따라서 공기압(10a')과 도전액튜브(19)의 복원력으로 도전액(19a)이 발사되는 구조와, 어두울 때 사용할 수 있는 랜턴(50) 기능이 결합된 저렴하고 편리하한 전기충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평간 2 개의 관통된 구멍을 가진 케이싱(10')을 형성한다.
상기의 케이싱(10')에 관통 형성되는 구멍은 도 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간 길고 수평간 짧은 두 개의 직사각형 모양으로서, 그 구멍에 도전액튜브(19)가 삽입되는 동시에 공기압 충전실(10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의 케이싱(10') 후단에는, 도 1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충전밸브(18)를 가진 충전캡(17)이 밀봉 결합된다.
그리고 케이싱(10')의 선단에는 길이방향으로 관로(15d)가 형성되는 동시에 중간에는 환턱(15c)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밸브헤드(15a)가 형성되며, 그 밸브헤드(15a)의 약간 안쪽에는 양방향으로 배출구(15b)가 관통되어 관로(15d)와 연결된 밸브(1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의 밸브(15)는 도 3a, 도 3b 에 도시된 바와같이, 밸브하우징(11)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밸브가이드(13) 내부에 스프링(14)으로 탄설된다.
또 상기 밸브(15)의 관로(15d) 선단에는 방출구멍(16a)을 가진 방출캡(16)이 결합되는 동시에 밸브헤드(15a)는 밸브하우징(11)의 구멍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밸브하우징(11)의 후단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요홈에는 신축성이 매우 양호하여 팽창력과 복원력이 양호한 고무재로 형성된 도전액튜브(19)가 밀봉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밸브하우징(11)은 상기의 케이싱(10') 선단에 밀봉 결합되어 하나의 어셈블리 카트리지(10)가 완성되는 것이다.
아울러서 상기 완성된 카트리지(10)에는, 상기 선단의 방출캡(16)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을 가진 별도의 충전구(도면에 표시 없음)를 통하여 도전성이 양호한 액상의 도전액(19a)을 일정한 팽창압이 되도록 충전 실시되는데, 상기와 같이 충전 실시하게되면 충전된 도전액(19a)은 도전액튜브(19)를 부풀리면서 케이싱(10') 내부에서 팽창하게 된다.
도전액(19a)이 상기와 같이 충전 완료된 뒤에는 상기 후단의 충전밸브(18)에 별도의 공기압 충전기가 연결되서 공기압충전실(10a)에 공기압(10a')이 충전되며, 도전액(19a)과 공기압(10a')이 상기와 같이 만 충전된 카트리지(10)는 그 선단부인 밸브(15)의 선단에 방출캡(16)이 결합된 다음, 밸브(15)가 충격기케이스(20) 내부에 배선된 각각의 , 전원 선에 접지 되도록 장착되어 다음 단계인 발사단계를 기다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카트리지(10)가 내장되는 충격기케이스(20)는, 총구가 수평으로 2 개인 권총모양으로써, 총구 쪽의 하부에는 조명스위치(53)로 작동하는 반사부(51)를 비롯한 전구(52)와 밧데리장착실(21b)로 구성된 랜턴(50)이 구성되고, 손잡이부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마련되어 밧데리(44)를 비롯한 충전회로(43)와 고압트랜스(41) 및 초고압방전조립체(42)가 통상의 회로연결방식으로 연결된채 밧데리 장착실(21a)에 내장되며, 몸통 중간에는 방아쇠 울이 형성되고 그 상측에는 날개습동홈(27)과 밀대작동실(22)을 공간 형성되어, 습동날개(31)를 가진 방아쇠링크(32)와 압력부(35a)를 가진 밀대(35)가 링크핀(33)과 밀대핀(34)에 의해 결합구성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충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총 또는 물총형태를 가지며, 사용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시된다.
도전액(19a)을 충전 실시한다.
즉, 최초에 카트리지(10)는 도전액(19a)과 공기압(10a')이 충전되지 않은 비어있는 상태에서 충격기케이스(20)와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각각 별도의 도전액충전기와 공기압충전기중 먼저 도전액충전기를 카트리지(10)의 밸브(15)에 연결한 상태에서 도전액충전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도전액(19a)이 일정량 충전된 도전액튜브(19)는 도 1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팽창된다.
상기 도전액(19a)을 충전한 다음에는 별도의 공기압충전기를 충전밸브(18)에 연결한 상태에서 공기압(10a')을 충전하게 되는데, 이때 공기압(10a')의 충전량은 상기 충전된 도전액(19a)의 팽창압보다 다소 높게 충전한다.
아울러서 도전액(19a)과 공기압(10a')이 "", "" 양쪽에 가득 충전된 카트리지(10)는 각각의 밸브(15)와 충전밸브(18) 일 방향 작동 밸브(원웨이 밸브)여서 도전액(19a) 또는 공기압(10a')을 충전한 후 충전기를 분리했을 때 각각의 밸브(15)와 충전밸브(18)는 입구가 순간 차단되어 충전된 팽창상태를 유지하고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충전된 카트리지(10)는 밸브(15)의 선단에 방출캡(16)을 결합하며, 상기 실시 후에는 충격기케이스(20)를 분리하여 방출캡(16)이 총구방향으로 향하도록 충격기케이스(20)에 넣은 다음 분리된 충격기케이스(20)를 결합하게 되면 사용준비 완료상태가 되는데, 상기와 같이 장착된 카트리지(10)는 그 선단에 마련된 각각의 밸브(15)가 충격기케이스(20) 내부에 배선된 각각의 ", "" 단자와 연결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범법자를 충격 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단속 상태의 안전핀(23)을 단속 해지한 다음 방전스위치(45)를 작동시키고 방아쇠(30)를 잡아당긴다.
즉, 방전스위치(45)를 작동시키게 되면 밧데리(44)의 전원이 고압트랜스(41)를 비롯한 충전콘덴서(42)와 충전회로(43)에 의해 구성된 초고압방전조립체(40)를 통하여 초고압으로 방전되는 전원이 충격기케이스(20)에 배선된 단자를 통하여 밸브(15)로 전달되고, 상기와 같이 밸브(15)로 전달된 초고압 전원은 방아쇠(30) 작동에 의해 팽창압으로 방출되는 도전액(19a)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어 도전액(19a)에 접촉되는 범법자가 전기 쇼크를 일으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방전스위치(45) 작동으로 발생되는 "", "" 초고압 전원은 쌍으로 각각 구분 구성된 밸브(15)에 인가되어 있는 상태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방아쇠(30)를 잡아당겨 날개습동홈(27)에서 습동날개(31)의 안내를 받는 방아쇠링크(32)가 후진을 하게되며, 이와 같이 후진하는 동력은 링크핀(33)으로 연결되어 있는 밀대(35)를 밀게되고, 따라서 동력이 전달된 밀대(35)는 밀대핀(34)을 중심 축으로 하여 상측 압력부(35a)가 전진하게되고 전진하는 압력부(35a)는 카트리지(10) 후단 면을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압박을 받는 카트리지(10)는 전체가 총구 방향으로 약 5 ~ 7 미리 정도 이동을 하게되며, 앞으로 이동하는 카트리지(10)는 도 3b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밸브(15)가 방출캡(16)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밸브가이드(13)가 스프링(14)을 압축하면서 이동하게되고, 이동하는 카트리지(10)에 반해 정지되어 있는 밸브(15)의 밸브헤드(15a)와 배출구(15b)는 도전액튜브(19a) 안쪽으로 밀려들어 오게되는 동시에 배출구(15b)가 개방되는 상태가 되므로 팽창되어 있던 도전액(19a)은 도전액튜브(19) 자체의 복원성 즉, 팽창되어 있던 고무특성의 수축력과 공기압충전실(10a)에 팽창되어 있던 공기압(10a')의 배출력에 의해서 도전액(19a)이 강하게 방출되고, 이때 도전액(19a)이 "", "" 단자를 합선시키므로 초고압전원이 방전되고 있는 밸브(15)의 관로(15d)를 통과하면서 초고압 전원을 방전하게되고, 따라서 상기 "", "" 도전액(19a)에 접촉되는 상대는 순간 강한 전기쇼크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하는 중에 잡아당기고 있던 방아쇠(30)를 놓게되면 방아쇠(30)를 놓는 순간부터 상기 역순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4)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그 반발력으로 카트리지(10)를 원위치로 이동시켜주게 되는데, 도전액(19a)과 공기압(10a')이 모두 방출된 카트리지(10)는 분리시켜서 만충전된 새 카트리지(10)로 교체실시하고, 또 전원이 모두 소진된 밧데리(44)도 분리한 후 새것으로 교체하면 계속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어두운 장소 또는 야간에는 본 발명의 조명스위치(53)를 작동하면 전구(52)가 점등되면서 반사부(51)에 의해 어두운 곳을 밝게 밝혀주는 랜턴(50)으로도 사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 물리적으로 사용 흔적이 발생되지 않는 액상의 도전액 즉, 초고압 전원이 인가된 "", ""의 강한 두 줄기의 물(H2O; 염수;鹽水이면 더 효과적이다)을 방출하여 쇼크 되도록 하는 것이어서, 총을 사용할 수 없는 공공장소나 운항중인 항공기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테러범을 제압하는 데에 매우 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충격기는 고무재질의 수축 작용의 원리와 공기압의 방출력을 이용하여 각각 구분된 "", "" 도전액을 방출하는 카트리지 방식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고 특히, 오동작이나 고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언제 어디에서나 테러범 등의 범법자를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게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A'선 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도 3b 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확대한 실시상태의 단면도이다.도 4는 본 발명의 카트리지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트리지 10'; 케이싱
10a; 공기압충전실 10a';공기압
11 ; 밸브하우징 13 ; 밸브가이드
14 ; 스프링 15 ; 밸브
15a; 밸브헤드 15b; 배출구
15c; 환턱 15d; 관로
16 ; 방출캡 16a; 방출구멍
17 ; 충전캡 18 ; 충전밸브
19 ; 도전액튜브 19a; 도전액
20 ; 충격기케이스 21a, 21b; 밧데리장착부
22 ; 밀대작동실 23 ; 안전핀27 ; 날개습동홈
30 ; 방아쇠 31 ; 습동날개
32 ; 방아쇠링크 33 ; 링크핀
34 ; 밀대핀 35 ; 밀대
35a; 압력부 40 ; 초고압방전조립체
41 ; 고압트랜스 42 ; 충전콘덴서
43 ; 충전회로 44 ; 밧데리
45 ; 방전스위치 50 ; 랜턴
51 ; 반사부 52 ; 전구53 ; 조명스위치

Claims (3)

  1. 초고압 방전된 "", "" 전원이 인가된 때 도전액이 방출되어 "", ""가 합선되어져 전기 쇼크를 일으키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후단에는 충전밸브(18)를 형성하여 공기압(10a')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선단에는 밸브(15)를 형성하여 도전액(19a)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방아쇠(30)를 잡아당기면 밀대(35)가 카트리지(10)를 전진해서 배출구(15b)가 형성된 밸브(15)가 개방되고 개방된 밸브(1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압(10a')과 도전액튜브(19)의 복원력으로 도전액(19a)이 발사되는 카트리지(10)와;
    상기 카트리지(10)의 밸브(15) 또는 방출캡(16)에 초고압으로 방전되는 전원을 전달하는 전선이 배선되는 것과;
    방아쇠링크(32) 후단에 밀대(35)가 구성되어 상기의 카트리지(10)를 전진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기.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카트리지(10)는 단면상 수직 방향으로는 길고 수평간으로는 좁은 두 개의 직사각형 중공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케이싱(10')이 형성되어 그 선단에는 도전액(19a)을 가늘게 방출하는 방출캡(16)과, 도전액(19a)을 단속하는 밸브(15)와, 폐쇄작용의 스프링(14) 및 밸브가이드(13)가 결합되고, 후단에는 도전액튜브(19)가 양쪽에 각각 밀봉된 밸브하우징(11)이 결합되고, 그 반대쪽 후단에는 충전밸브(18)를 가진 충전캡(17)이 결합되어, 상기 도전액튜브(19)에는 액상의 도전액(19a)이 충전되고, 공기압충전실(10a)에는 공기압(10a')이 충전되어진 상태로 방아쇠(30)를 당겼을 때 카트리지(10)가 총구 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15)가 개방되면서 도전액(19a)이 방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기.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기케이스(20)의 총구방향 또는 선단 하부 중앙에는 반사부(51)와 전구(52)를 가진 랜턴(50) 기능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격기.
KR10-2002-0032440A 2002-06-11 2002-06-11 전기충격기 KR100522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440A KR100522730B1 (ko) 2002-06-11 2002-06-11 전기충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440A KR100522730B1 (ko) 2002-06-11 2002-06-11 전기충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701U Division KR200295290Y1 (ko) 2002-06-11 2002-06-11 전기충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960A KR20030094960A (ko) 2003-12-18
KR100522730B1 true KR100522730B1 (ko) 2005-10-19

Family

ID=3238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440A KR100522730B1 (ko) 2002-06-11 2002-06-11 전기충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6972B2 (en) * 2008-01-18 2010-03-16 Duane Smith Portable self-defens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960A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5623A (en) Self-defense device
CN1444511A (zh) 液体喷雾器
US11604047B2 (en) Electric shock self-defence cartridge and device
US4523261A (en) Light source, manually operated
KR100522730B1 (ko) 전기충격기
CN100378427C (zh) 电动玩具枪
KR200295290Y1 (ko) 전기충격기
KR20030067936A (ko) 전기충격기
KR200289463Y1 (ko) 전기 충격기
US20090237857A1 (en) Hydraulic stun gun
KR20030096630A (ko) 전기 충격기
KR101965487B1 (ko) 반동 장치가 구비된 사격 게임용 총기
ES2260896T3 (es) Contactadores electricos de funcionamiento pirotecnico.
CN110715575B (zh) 射击模拟装置
ES2675572T3 (es) Generador de niebla
US7475508B1 (en) Inflatable electrical shocking weapon
CN107238318B (zh) 一种组合式连发电子武器
RU2370720C1 (ru) Электрошокер
CN214818306U (zh) 一种高压电弧点火射钉弹和射钉器
RU2156940C1 (ru) Шо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RU13254U1 (ru) Электрошо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0664141U (zh) 一种远距离无线电击防暴器
CN2081521U (zh) 远距离射击型高压电击枪
CN219896871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灭火筒
KR100261469B1 (ko) 전기충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