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569B1 -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상표출원 위임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상표출원 위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569B1
KR100522569B1 KR10-2000-0049796A KR20000049796A KR100522569B1 KR 100522569 B1 KR100522569 B1 KR 100522569B1 KR 20000049796 A KR20000049796 A KR 20000049796A KR 100522569 B1 KR100522569 B1 KR 10052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demark
user terminal
application
us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476A (ko
Inventor
이승룡
Original Assignee
이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룡 filed Critical 이승룡
Priority to KR10-2000-0049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56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표의 등록 적격성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표출원을 위임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 스스로가 상표등록 적격성을 판단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상표등록 가능성을 즉각적이고 효율적으로 확인하게 하고, 그에 따라 희망하는 출원방법을 선택하여 저렴한 비용과 신속한 출원으로 상표등록에 대한 최적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 상표출원 위임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정보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 상표출원 위임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상표 및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상표에 대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서비스를 요구받은 경우에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을 위한 질문 및/또는 자료를 제공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를 통해 상표등록 적격성을 판단한 상기 이용자 또는 상기 제 2 단계의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표출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의뢰받아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정보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 상표출원 위임 방법 {Method For Judging A Fitness Of Trademark Registration And Entrusting Trademark Application}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표의 등록 적격성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표출원을 위임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표는 거래사회에서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시켜 주는 도구로서 자본주의 경제사회의 필연적 산물이라 할 수 있는데, 상표법은 일정한 등록요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상표등록을 허여하여 상표권자에게 독점배타적인 막강한 권리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상품 또는 서비스업과 관련하여 사업을 실시하고 있거나 실시하려는 자는 자신의 사업에서 축적된 신용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표등록을 받을 필요가 있으며, 최근에는 이와 같은 상표등록에 대한 권리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연간 상표 출원 건수가 8만건 내지 9만건에 육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상표제도는 등록주의, 선원주의를 취하고 있는 바, 상표등록을 받기 위해서는 특허청에 상표법에 따른 적법한 출원절차를 밟아야 하고, 상표출원을 하기 위해서는 출원인 자신이 직접 출원절차를 수행하거나, 변리사를 대리인으로 선임하여 상표출원을 위임하는 두 가지 방법 중의 하나가 이용되고 있다.
변리사를 통하여 상표출원을 하는 경우에는 상표등록가능성이 지극히 낮은 상표를 무의미하게 출원하는 것이 변리사와의 상담을 통하여 방지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변리사에게 지출해야 하는 대리인 수임료 부담이 법률서비스 이용에 대한 문턱으로 작용하여서 출원인이 직접 상표출원의 모든 절차를 수행하는, 소위 본인출원의 비중이 상당하고, 본인출원에 의한 출원상표는 상표법상의 실체적, 절차적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등록받지 못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심지어는 본인출원의 경우, 상표출원 자체를 상표등록으로 오인하고 그 후의 절차를 소홀히 하여서 심사관의 심사에 의하여 등록사정된 상표의 경우에도 등록료를 납부하지 아니하여 상표등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비용절감을 위하여 변리사의 법률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상표출원을 하였던 출원인이 상표등록 가능성이 지극히 낮은 상표를 출원하거나 상표출원의 방식 및 절차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여서 상표등록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당초의 의도와는 반대로 오히려 더 큰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불합리한 결과에 직면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서울경제신문 2000년 3월 1일자 기사에 의하면, 1999년도에 신규로 출원, 심사를 받은 상표 67,466건 가운데 65.2%인 43,985건은 등록됐으나 34.8%인 2만3,481건은 상표등록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거절사정 되어서, 출원상표 중 약 3분의 1 정도가 상표등록을 받지 못한 것으로 보도되었다.
출원된 상표의 거절사정 비중이 높아지면 출원인에게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가져오는 것은 물론이고, 불필요한 사회경제적 간접비용이 발생하여 우리나라 산업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출원인은 상표출원에 소요되는 비용만 불필요하게 지출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표등록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출원상표를 광고선전 등에 사용하였으나 결국 거절사정되는 경우에 출원상표에 투입된 광고선전비용 등이 무위로 돌아갈 수 있다. 더욱이 출원인이 상표등록을 받기 전에 사용한 출원상표가 타인의 상표권에 대한 침해의 소지가 있는 경우에는, 상표권 침해와 관련하여 민, 형사상의 법적분쟁에 휘말리게 되어 상기 출원인과 상기 상표권자 모두 본연의 사업에 전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표의 출원 및 등록업무를 관장하고 있는 특허청은 상표등록가능성이 지극히 낮은 경우에 해당하는 출원상표에 대하여서도 방식심사 및 실체심사를 수행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심사관의 심사업무 이외에도 출원번호통지서, 의견제출통지서, 보정통지서 및 거절사정서 등과 관련하여 불필요한 행정업무를 수행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표의 출원인은 상표를 출원함에 있어서 보호받고자 하는 상표가 상표법상 등록받을 수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출원 전에 반드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자신의 상표가 상표법상 보호받지 못하는 것이라면 조속히 다른 다양한 상표들을 개발하여 그때마다 상표등록 적격성의 여부를 확인한 후에 상표출원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상표등록 적격성의 판단은 특허법률사무소를 방문하여 변리사와의 상담을 통하여 달성될 수도 있으나, 경제적 비용 부담과 시간적인 지체를 수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 스스로가 상표등록 적격성을 판단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상표등록 가능성을 즉각적이고 효율적으로 확인하게 하고, 그에 따라 희망하는 출원방법을 선택하여 저렴한 비용과 신속한 출원으로 상표등록에 대한 최적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 상표출원 위임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 상표출원 위임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상표 및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상표에 대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서비스를 요구받은 경우에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을 위한 질문 및/또는 자료를 제공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를 통해 상표등록 적격성을 판단한 상기 이용자 또는 상기 제 2 단계의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표출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의뢰받아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 상표출원 위임을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정보통신 시스템에, 이용자로부터 상표 및 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1 기능;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상표에 대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서비스를 요구받은 경우에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을 위한 질문 및/또는 자료를 제공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단계를 통해 상표등록 적격성을 판단한 상기 이용자 또는 상기 제 2 단계의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표출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의뢰받아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는 서비스제공시스템과,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에 연결되는 변리사 단말기로 구성되며,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은 상표 및 상품의 입력, 특별현저성 판단, 부등록사유 판단, 출원방법 결정 등의 작업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한다.
상기 상표 및 상품의 입력이란 이용자가 보호받고자 하는 상표와 상표법시행 규칙상의 상품/서비스업을 지정하여 입력하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고, 특별현저성 판단이란 이용자가 입력한 상기 상표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1호 내지 제7호 및 동법 동조 제2항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통하여 상표로서의 자타상품식별력을 구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말하며, 부등록사유 판단이란 상기 이용자의 상표가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호 내지 제14호 및 상표법 제23조 제1항 제3호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통하여 자타상품식별력을 구비한 경우에도 불구하고 공익적, 사익적 견지에서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말한다. 또한, 출원방법 결정이란 이용자가 상기 상표 및 상품의 입력 과정을 거친 후 나머지 과정들을 거치거나 또는 거치지 아니하고 곧바로 채팅 상담, 선행상표 조사, 상표출원업무 대리, 서식작성 확인 등의 서비스들 중 어느 하나를 변리사 또는 특허법인에 위임하는 과정을 말한다.
상표를 출원하고자 하는 이용자 스스로가 자신의 상표의 등록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는 근거는, 상표법상의 상표등록요건의 판단주체가 주로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의 일반 수요자 또는 거래업계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으며, 이것은 이미 대법원 판례의 확립된 입장이라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대법원 1997.2.28. 선고 96후979, 대법원 1992.1.21.선고 91후882 판결, 대법원 1987.2.10. 선고 85후64 판결, 1993.8.24. 선고 대법원 92후1585 판결, 1994.5.13. 선고 93후1131 판결 등등). 따라서 상표출원인은 스스로 여러가지 상표들의 등록 적격성을 용이하게 확인해 볼 수 있고 종래의 변리사의 일괄적인 법률서비스를 필요한 만큼만 세분하여 의뢰함으로써 다양한 비용체계의 상표출원방법을 선택하고 그에 따라 상표출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특별현저성의 구비 여부 및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는 사유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는 상표법 해당조항, 특허청 상표심사기준, 특허법원 및 대법원 판례, 특허심판원 및 특허청항고심판소의 심결례 등을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시스템에 결합되어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판단 과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언제든지 상기 데이타베이스를 참고자료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변리사와의 실시간 채팅 상담 서버와 연결하여 의문사항을 상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서비스는 무료 및/또는 유료로 운영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채팅 상담, 선행상표 조사, 상표출원업무 대리, 서식작성 확인 등의 단계에 진입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각 단계에 부과되는 요금 체계에 따른 과금 산정 및 입금 확인 과정이 삽입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상표등록 적격성에 대한 법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은 이용자들이 인터넷 등의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용자 단말기(110),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시스템(130), 서비스제공시스템에 연결되어 이용자들과 인터넷 상담을 하기 위한 변리사 단말기(140) 및 이용자 단말기와 서비스제공시스템을 연결해 주기 위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변리사 단말기 (140)는 상기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1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130)은 이용자 단말기(110)와 네트워크(120)를 통해 접속하기 위한 웹서버(131), 상표등록 적격성을 판단하기 위한 질의부(133),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을 위한 참고자료, 상표법시행규칙상의 상품류구분표 및 각종 서식 등의 관련자료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부(134), 채팅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채팅 서비스 관리부(135), 회원에 대한 신상 정보 및/또는 출원하고자 하는 상표와 관련하여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회원 관리부(136) 및 웹서버(131)와 각 부(133 내지 136)간에 전송되는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을 통한 이용자 단말기 및 변리사 단말기와 서비스제공시스템들간의 구체적인 동작 프로세스에 대하여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시스템(130)의 웹서버(131)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202) 상기 질의부(133)에서 제시되는 질문에 스스로 답을 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표 및 상품을 입력하고(204), 상표의 특별현저성을 판단하며(206), 상표등록의 부등록사유 해당 여부를 판단한 후(210) 최종적으로 상표출원방법을 결정하게 된다(212).
이때, 이용자는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206)이나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210) 과정을 생략하고, 상표 및 상품 입력 과정(204)을 마친 후 곧바로 상표출원방법 결정 과정(212)으로 진입할 수 있다(205).
또한, 이용자는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206)을 마친 후 상표의 부등록 사유 판단 과정(210)을 생략하고 곧바로 상표출원방법 결정과정(212)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208), 비록 도 2 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206)이나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210)에 진입한 경우라도 상기 과정들을 완료하기 전에 언제든지 곧바로 상표출원방법 결정 과정(212)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상표의 특별현저성 및/또는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들(206, 21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생략하고 상표출원방법 결정 과정(212)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 것은, 이용자가 자신만의 확신으로 상표등록 적격성을 판단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경우에 신속하게 상표출원 절차로 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표법 제7조 제1항 각호 및 동법 제23조 제1항 제3호의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는 사유에 대한 규정은 상표의 유사라는 도구 개념을 사용하고 있고 상표의 유사는 상품의 출처 혼동이라는 실질 개념을 통하여 결정되는 것이므로, 유사여부를 판단해야 하는 선행상표가 있는 경우 이용자가 상표의 유사여부에 대하여 자신의 판단에 확신을 갖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이용자는 상표출원방법 결정 과정(212)으로 진입하여 변리사와의 채팅 상담, 상표출원 위임, 선행상표 조사 등의 서비스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 2 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용자는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206),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210)에서 상기 입력한 상표의 등록 적격성이 부정되는 경우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206) 또는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210)의 어느 과정에서나 상기 진행 과정들(206, 210)을 종료하고 다시 상표 및 상품 입력 과정(204)으로 돌아가서 상표 및/또는 상품(서비스업 포함)을 수정하여 입력하고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과정을 이행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방법 중 상표 및 상품 입력과정의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도 2 의 과정 중 상표 및 상품 입력 과정(204)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상표 또는 서비스표를 출원하고자 하는 자는 특허청에 대하여 출원절차를 스스로 수행하거나 변리사에게 상표출원을 위임하기 이전에 자신의 이용자 단말기 (110)를 가지고 인터넷(120)을 통하여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30)에 접속한다(202).
이때, 도 2 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용자는 서비스제공시스템(130)에 접속한 후에 인적사항의 입력을 통하여 회원으로 등록하고 회원 ID와 비밀번호를 부여받는 과정과, 이미 회원으로 등록한 경우에는 ID와 비밀번호의 확인 후 곧바로 서비스 이용 메뉴로 들어가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고, 이와 같은 회원 정보는 상기 서비스시스템(130)의 회원 관리부(136)에 의하여 관리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130)은 회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누구나 제한 없이 서비스이용 메뉴로 들어가도록 할 수도 있다.
상표등록의 적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는 대상 상표가 결정되어야 하는 바, 이용자는 상표출원을 계획하고 있거나 상표등록 적격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상표를 입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상표의 유형을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302).
즉, 이용자는 자신의 상표가 문자만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해당 언어를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306), 그밖에 기호, 도형, 입체적 형상, 색채 등의 구성요소가 문자와 결합하거나 문자를 제외하고 상표가 구성된 경우에는 해당 상표의 이미지 파일, 예컨대 스캐너로 읽어 저장한 상표의 이미지를 첨부할 수도 있으며 (308), 또한 필요한 경우 상표에 대한 설명을 문장으로 기재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310).
상표법상의 상표 또는 서비스표는 반드시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을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이용자는 판단을 받고자 하는 상표를 사용할 상품 또는 서비스업을 적어도 1개 이상 지정하여야 한다. 이용자가 상기 상표를 사용할 상품 또는 서비스업의 명칭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바로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의 명칭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312).
이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이 상표법시행규칙 별표 1 및 2에 제시된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 세목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데이터 관리부(134)에서 제공되는 상품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고(314), 만일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 관리부 (134)에서 제공되는 데이타베이스로 저장된 상품류 및/또는 서비스업류, 상품군 및/또는 서비스업군, 상품세목 및/또는 서비스업 세목의 명칭을 순서대로 또는 반대의 순서로 검색하여(316) 해당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 세목을 클릭하거나 입력하여 상표법시행규칙상의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 세목의 명칭과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받고자 하는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이 상표법시행규칙상에서 제시된 것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원하는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의 명칭을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여기에 대하여 간단한 설명을 부기할 수도 있다(318).
그밖에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가 상표를 입력한 후에(302 내지 310) 곧바로 데이터 관리부(134)의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류구분표를 검색하여 구체적인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의 명칭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용자가 입력한 상품 및/또는 서비스업이 상표법시행규칙상에 제시된 것과 일치하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이유는 이용자가 상품류 또는 상품군의 명칭을 기재하는 경우 포괄명칭에 해당하여 상표법 제10조 제1항에서 규정하는 1상표1출원주의에 위배되어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고, 또한 상품의 포괄명칭에 대하여 상표의 등록 적격성을 판단하는 경우 그 판단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밖에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가 상기 상표 및 상품의 입력 과정(204)의 어디에서든지 변리사와의 채팅 상담을 신청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업의 지정과 관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의문시되는 사항을 채팅 상담 시에 한꺼번에 질의하기 위하여 질의사항 저장함에 의문 사항을 기재하여 저장하여 둘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입력된 이용자의 상표 및 상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서비스제공시스템(130)의 회원 관리부(136)에 저장된다(320). 저장된 상기 정보들은 상기 이용자가 상표등록 적격성을 판단하는 어느 과정에서나 항상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이용자가 채팅 상담, 선행상표 조사, 상표출원업무 대리, 서식작성 확인 등의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사항을 다시 입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리사와의 채팅 상담에 임하는 경우 상기 상표 및 상품의 입력정보는 변리사 단말기(140)에 상기 이용자에 대한 사전 정보로서 출력되어 전달될 수 있으며, 선행상표 조사 또는 상표출원업무 대리 등의 서비스 위임 시에도 상기 입력된 상표 및 상품이 출원서 등의 각종 서식에 자동으로 적용되어 입력되며, 이용자가 스스로 상표출원서식을 작성하는 경우 이미 입력하였던 사항을 다시 입력하지 않고 정정하는 기회만으로도 해당 서식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의 상표 및 상품의 입력 과정(204)은 상품을 먼저 입력하고 그 다음에 상표를 입력하는 과정으로 순서가 바뀌어서 진행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방법 중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의 일실시예 상세흐름도로서, 상기 도 2 의 과정 중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206)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이용자는 상표 및 상품의 입력 과정(204)을 거친 후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206)에 진입하게 된다. 상표의 등록 적격성을 판단함에 있어 상표의 특별현저성과 부등록사유를 판단하는 과정(206, 210)을 구분하는 이유는 상표법 제6조 및 제7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특별현저성이 없는 상표란 상표로서의 자타상품식별력을 갖지 못한 것으로서 상표등록을 받을 가치가 없는 것이고, 상표의 부등록사유란 상표로서의 자타상품식별력은 구비하였으나 여러 가지 공익적 또는 사익적 사유에 의하여 상표법상 상표등록을 허여하지 않는 것으로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표의 특별현저성을 판단하는 과정 (206)이 이용자가 질의부(133)에서 제시하는 각 과정에 해당하는 질문들에 대하여 스스로 답변하는 방법을 통하여 진행된다.
즉, 이용자가 상표법 제6조 1항 각 호에 대하여 제시되는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답하는 경우 다음 과정의 항목으로 넘어가게 된다(402). 현행 상표법상 제6조 1항은 7개의 각 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용자는 상기 과정(402)을 일곱 번 거치게 된다. 이를 위해 n을 1로 초기화하여 제6조 1항 1호부터 해당되는 질문을 제시하게 되며 하나의 각 호에 대하여 특별현저성에 대한 판단이 끝나게 되면 n을 1증가시켜(412) 다음번 각 호에 대하여 특별현저성을 판단하게 된다.
만일 상기 과정(402)에서 이용자가 상기 법조항에 해당된다고 답하는 경우, 즉 상표의 특별현저성이 부정되는 경우에는, 이용자는 데이터 관리부(134)에서 제공하는 거절 이유 및 법조항을 확인할 수 있으며(404), 거절이유의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406) 데이터 관리부(134)에서 관리되는 참고자료 즉, 특허청 상표심사기준, 특허법원 및 대법원 판례, 특허심판원 및 특허청항고심판소 심결례 등을 확인함으로써(408)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는 이유를 조사하고 납득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는 거절이유에 대한 참고자료를 확인한(408) 후, 거절이유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상표등록을 받을 수 있는 구제방안을 확인할 수 있다(410). 예컨대 이용자의 상표가 상품의 보통명칭으로 인정되는 경우에, 보통명칭의 상표라 하더라도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만이 아니고 특수한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이거나 그 보통명칭이 부기적 사항으로 상표의 주요부분으로 볼 수 없고 그 나머지 부분에 의하여 식별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410). 아울러 그에 대한 참고자료, 즉 특허청 상표심사기준, 특허법원 및 대법원 판결례, 특허청 항고심판소 및 특허심판원의 심결례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변리사와의 채팅 상담을 통하여 의문사항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416, 418).
즉, 상기 특별현저성의 판단 과정은 이용자가 입력한 상표가 보통명칭, 관용상표, 성질표시 상표, 현저한 지리적 명칭, 흔히 있는 성 또는 명칭, 간단하고 흔히 있는 표장, 기타 식별력이 없는 표장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차례대로(412, 414) 이용자 스스로 답을 하는 과정을 통하여 진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수 n을 1부터 시작하여 차례대로 증가시키면서(412) 그에 해당하는 법조문의 특별현저성을 판단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n이 8이 되는 경우에는(제6조 1항은 일곱 개의 각 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곱 번의 절차를 거치게 되면 n은 8이 됨)(414), 변리사와의 채팅 상담 여부를 확인한 뒤에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206)을 종료하게 된다.
이때, 도 4 에 세부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용자는 상기 입력상표의 특별현저성을 판단하는 과정 중 어느 과정에서나 변리사 또는 상담자와의 채팅 상담을 신청할 수도 있으며, 채팅 상담 시에 의문사항을 한꺼번에 질의하기 위하여 의문사항을 질의사항 저장함에 입력하여 상기 회원 관리부(136)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 (206)에 포함되어 있는 채팅 상담 과정(416, 418)은 신속한 진행을 위하여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과정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겠다.
첫 번째 예로서, 이용자가 상표에 "APPLE"을, 상품에 "사과"를 입력한 경우 (204), 보통명칭의 판단 과정(제6조 제1항 1호)(402)에서 이용자는 "'APPLE'이 '사과'의 보통명칭에 해당합니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답을 하도록 요구받게 되며, 스스로 "예" 또는 "아니오"와 같은 간단한 답변을 선택하거나 입력하여야 한다(402). 이 때 비록 도 4 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용자는 상기 질문에 명확하게 답변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거나 상기 질문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보통명칭의 여부를 확인하는 질문에 직접 답을 하지 아니하고, 곧바로 보통명칭의 상표법상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참고자료, 즉, 데이터 관리부(134)에 저장된 상표법 해당 조항, 특허청의 상표심사기준, 대법원 및 특허법원의 판결례, 특허심판원 및 특허청 항고심판소의 심결례 등을 통하여 상기 질문의 정확한 의미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용자가 보통명칭의 해당 여부를 확인하는 질문에 대하여 "예"라는 답을 하게 되면 해당 상표가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의 메시지와 상표법 해당 조항이 제시된다(404). 여기에서 이용자는 상기 메시지와 해당 법조항만으로 거절 이유를 납득할 것인지 아니면 좀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되고 (406), 필요한 경우 상기 거절이유를 좀더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관리부(134)에 저장되어 있는 상표법 해당 조항, 상표심사기준, 대법원 및 특허법원의 판결례, 특허심판원 및 특허청 항고심판소의 심결례 등을 확인하거나 검색할 수 있다(408).
또한, 이용자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의 메시지와 판결/심결례에도 불구하고 "사과"를 지정상품으로 하는 "APPLE"이라는 표장과 관련하여 상표등록을 받을 수 있는 구제방안을 확인할 수 있는데(410), 구제방안이란 상기 상표등록의 거절이유에도 불구하고 이용자가 상표등록을 받기 위하여 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상기의 경우 이용자는 이용자의 상표가 "APPLE"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 즉, 기호, 문자, 도형, 입체적 형상, 색채 등을 결합하여 식별력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표등록의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자는 다시 구체적인 사례 및 내용을 상표법 해당 조항, 상표심사기준, 특허법원 및 대법원 판결례, 특허청 항고심판소 및 특허심판원 심결례 등으로 구성된 참고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408, 410).
이때, 이용자는 상기 과정 중 어느 과정에서나 변리사와의 실시간 채팅 상담서버와 연결하여 궁금한 사항을 질의 할 수 있으며(416, 418), 상기한 바와 같이 의문사항을 질의사항 저장함에 입력하여 저장하여 놓을 수 있다. 질의사항 저장함은 회원 관리부(136)에서 관리하게 된다.
또한, 이용자가 상기와 같이 채팅 상담을 신청하여 변리사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에,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부과되는 과금에 대하여 확인하고 은행 자금이체, 신용카드 결제, 또는 전자화폐를 통한 결제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이러한 과금 결제 과정은 선 결제 방식 또는 후 결제 방식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일정한 경우 무료로 제공될 수도 있다.
두 번째 예로서, 만일 이용자가 상표에 "APPLE"을, 지정상품에 "컴퓨터"를 입력한 경우에는 보통명칭의 판단 과정(제6조 제1항 1호)(402)에서 "'APPLE'이 '컴퓨터'의 보통명칭에 해당합니까?"라는 질문에 대하여 "아니오"를 선택하게 될 것이고, 이용자는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서(412, 414, 402), 'APPLE'이 '컴퓨터'의 관용상표, 성질표시상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계속해서 'APPLE'이 '컴퓨터'와 무관하게 현저한 지리적 명칭, 흔히 있는 성 또는 명칭, 간단하고 흔히 있는 표장, 그리고 '컴퓨터'와 관련하여 또는 무관하게 기타 식별력이 없는 표장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각각의 과정에서 판단하게 된다(402). 상기 판단 과정들은 상기 보통명칭(상표법 제6조 제1항 제1호)의 해당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제시된 과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현저한 지리적 명칭(4호), 흔히 있는 성 또는 명칭(5호), 간단하고 흔한 표장(6호)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는 지정상품과 무관하게 판단되는 것이므로 해당 과정의 질문에서 지정상품 '컴퓨터'와 관련짓지 않는, 예컨대 "'APPLE'은 현저한 지리적 명칭에 해당합니까?"와 같은 질문을 제시하게 된다.
한편, 상표의 특별현저성을 판단하는 상기 7가지 과정 중에서 성질표시상표 (3호), 흔히 있는 성 또는 명칭(5호), 간단하고 흔히 있는 표장(6호)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이용자가 "예"라고 응답하는 경우에 이용자가 확인하게 되는 구제방안(410)에는, 이용자가 자신의 상표가 사용에 의한 식별력을 획득하였는지의 여부를 질문을 통하여 확인하는 과정이 추가된다. 또한 상표법이 개정되어 현저한 지리적 명칭(4호)에 대하여도 사용에 의한 식별력이 인정되는 경우, 현저한 지리적 명칭(4호)의 구제방안에도 사용에 의한 식별력의 획득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비록 도 4 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용자가 사용에 의한 식별력에 대한 개념을 참고자료를 통하여 확인하고 검색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사용에 의한 식별력의 획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자신이 입력한 상표의 사용실적, 즉, 매출실적, 광고선전실적 등에 대하여 스스로 답을 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상표법, 상표법시행규칙, 상표심사기준, 대법원 및 특허법원의 판결례, 특허심판원 및 특허청 항고심판소의 심결례 등을 참고할 수 있도록 데이터 관리부(134)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제방안 확인 과정(410)을 거친 후에 이용자는 계속하여 상표의 특별현저성을 판단하는 다른 과정으로 진입할 수도 있고(418), 특별현저성 판단과정을 종료한 후 자신의 선택에 의해(208) 상표의 부등록사유를 판단하거나(210) 상표 출원방법 결정 과정(212)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
상기 상표의 특별현저성 및 상표의 부등록사유에 대한 판단 과정 또는 질문들의 순서는 언제나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며, 다른 순서로 뒤바뀌어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저한 지리적 명칭의 해당 여부를 가장 먼저 판단하고 난 후에 보통명칭의 해당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로 진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특별현저성의 구비 여부 판단 과정 중의 어느 한 과정에서 상표의 식별력이 부정되는 경우에, 질의부(133)는 이용자가 다음 과정으로 진입하는 것을 금지시킬 수도 있고 허용할 수도 있다. 금지시키는 이유는 이용자가 입력한 상표가 상표법 제6조 제1항 각 호의 어느 한 호에만 해당하더라도 상표의 특별현저성이 인정되지 않아서 등록받을 수 없기 때문이며, 다음 과정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이유는 이용자가 그 밖의 상표의 특별현저성의 요건을 확인하여 자신의 상표를 등록받을 수 있는 다른 구성형태로 개발할 수 있도록 배려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이용자가 "APPLE"이 "사과"의 보통명칭이라고 답을 하는 경우에 관용상표, 기술적 표장 등의 다른 판단 과정을 제한할 수도 있으며, 허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판단 과정을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7가지 판단 과정에서 거절이유의 자세한 내용 확인 과정(404, 406) 및/또는 구제방안의 확인 과정(410)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이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시스템을 통해 자신의 상표의 특별현저성을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근거로서, 상표법 제6조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특별현저성의 요건을 판단하는 주체에 대한 기준이 해당 지정상품의 일반 수요자 또는 거래업계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의 각 과정에서 제시되는 개념, 예컨대 '보통명칭'과 같은 개념을 이용자가 쉽게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이용자는 각 과정에 대하여 데이터 관리부(134)에 저장되어 있는 상표법조항, 상표심사기준 및 대법원, 특허법원, 특허심판원 등의 판결/심결례의 축적된 예시를 통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또한 인터넷상에서 변리사와의 실시간 채팅 상담을 통하여 의문사항을 상담하거나 상표출원을 전적으로 변리사에게 온라인 상으로 위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출원인의 판단 능력 또는 선택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고, 상표등록 적격성의 판단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밖에도 상기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206)에서 상표법 제6조 제1항 각 호 및 동법 동조 제2항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이용자에게 질문을 제시하고 답변을 선택하게 하는 방법이 아니라, 이용자에게 해당 항목에 대한 설명 및/또는 자료를 제시하여 이용자가 확인하는 방법만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은 현행 상표법의 특정된 법조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표법의 개정을 통하여 상표의 특별현저성을 판단하는 관련 법조항의 신설, 삭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방법 중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의 일실시예 상세흐름도로서, 상기 도 2 의 과정 중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210)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4 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상표의 특별현저성의 구비 여부를 판단,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표의 특별현저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선택에 의해(208) 다시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호 내지 제14호 및 상표법 제23조 제1항 제3호의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 확인하는 과정으로 넘어가게 된다(210).
즉,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상표가, (1) 국기·국장 등과 동일유사한 상표(1호), (2) 국가·인종 등의 허위표시 또는 비방·모욕의 염려가 있는 상표(2호), (3) 비영리 업무 표시 표장과 동일유사한 상표(3호), (4) 공서양속 문란의 염려가 있는 상표(4호), (5) 박람회의 상패·상장 등과 동일유사한 표장이 있는 상표(5호), (6) 저명한 타인의 성명·상호 등을 포함하는 상표(6호), (7) 타인의 선등록/선출원 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7호), (8) 소멸한지 1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타인의 등록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8호), (9) 타인의 주지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9호), (10) 타인의 저명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10호), (11) 품질오인 또는 수요자기만의 염려가 있는 상표(11호), (12) 국내 또는 외국의 주지 상표와 동일유사한 부정한 목적의 상표(12호), (13) 상품포장의 기능성을 지닌 입체상표(13호), (14) 포도주 및 증류주의 산지에 관한 상표에 해당하는지의 여부(14호), 그리고 (15) 외국인의 대리인 또는 대표자로서 조약당사국의 등록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를 출원하는 것인지의 여부(제23조 제1항 제3호)를, 상기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이용자는 상기 상표의 특별현저성을 판단하는 각각의 과정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시된 질문에 대하여 스스로 답을 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신이 입력한 상표가 부등록사유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과정을 간단히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자는 자신의 상표가 상표의 부등록사유를 열거하고 있는 상표법 제7조 1항 1호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502), 부등록사유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법조항을 확인해보게 된다(504). 이때, 원하는 경우에는 법조항 뿐만 아니라 기타 참고자료를 확인해볼 수도 있으며(506, 508) 대응방안도 확인해 볼 수 있다(510). 상기 대응방안에는 선등록 또는 선출원상표의 양수를 비롯하여 선행상표를 소멸시키는 방안, 즉 취소심판 및 무효심판의 사유 및 절차 등에 대한 설명이 포함될 수 있다.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1호 내지 제14호 및 상표법 제23조 제1항 제3호에 해당하는 항목에 대한 판단 과정(502 내지 516)을 수행한 이용자는 원하는 경우 변리사와의 채팅 상담을 신청하여(518) 변리사로부터 상표출원에 관한 상담을 할 수 있다(520). 이때, 상기 채팅 상담 서비스는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의 어느 과정에서나 이용할 수 있으며, 이용자는 채팅 상담을 위하여 의문사항을 회원 관리부(136)에서 관리하는 질의사항 저장함에 저장하여 놓을 수 있다.
이용자는 상기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210)을 통해 상표법 제7조 1항 1호에 대한 판단과정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상표법 제7조 1항 2호에 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공익적, 사익적 견지에서의 상표등록의 부등록사유 모두를 판단하게 된다(512, 514).
상기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210)에는 상표법 제7조 1항 각 호뿐만 아니라 동법 제23조 제1항 제3호 즉, 외국인의 대리인 또는 대표자로서 조약당사국의 등록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를 출원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516)도 포함되는데, 상기 상표법 제23조 제1항 제3호를 판단하는 과정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표법 제7조 제1항 각 호의 부등록사유를 모두 판단한 뒤에 수행될 수도 있고, 비록 도 5 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표법 제7조 제1항 각 호를 판단하는 과정(502)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판단 과정들 중에서 특히, (7) 타인의 선등록/선출원 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제7조 제1항 제7호), (8) 소멸한지 1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타인의 등록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제7조 제1항 제8호)는 특허청 또는 특허기술정보센터의 상표검색서비스를 이용하여야 하고, 선행상표와의 유사여부는 수요자의 구체적출처혼동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우 일률적, 획일적으로 단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상기 (7), (8)의 판단 과정에서는 선행상표의 검색에 대한 안내 및 상표의 유사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이 제시되거나 관련 검색사이트에 연결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변리사에게 선행상표 조사에 대한 서비스를 위임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15가지의 상표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의 순서는 반드시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난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따라 다른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표의 부등록사유 15가지의 판단 과정 중에서 부등록사유의 적용 빈도가 떨어지는 일부 사유의 판단 과정이 반드시 질문과 응답의 형태로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항목에 대한 설명 및/또는 자료를 제시하는 것으로 대체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210)에서 상표법 제7조 제1항 각 호 및 동법 제23조 제1항 제3호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전체가 이용자에게 질문을 제시하고 답변을 선택하게 하는 방법이 아니라, 이용자에게 해당 항목에 대한 설명 및/또는 자료를 제시하여 이용자가 확인하는 방법만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은 현행 상표법의 특정된 법조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표법의 개정을 통하여 상표의 부등록사유에 해당하는 관련 법조항의 신설, 삭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방법 중 상표출원방법 결정 과정의 일실시예 상세흐름도로서, 상기 도 2 의 과정 중 상표출원방법 결정 과정(212)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이용자는 상표 및 상품의 입력과정(204)을 완료하게 되면 언제라도 상표출원방법 결정 과정(212)으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상표 및 상품을 입력한 후 바로 상표출원방법 결정 과정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205), 상기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 (206) 이나 상기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210)에 진입한 상태이거나 또는 완료한 뒤에도 상표출원방법 결정 과정(212)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용자가 상표출원방법 결정 과정(212)에 들어오면 서비스 선택 메뉴가 제공되는데(602), 상기 서비스 선택 메뉴에는 채팅 상담(604), 상표출원 위임(606), 선행상표 조사(608), 상표출원업무 대리(610), 서식작성 확인(612), 본인출원 안내 (614) 등의 서비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채팅 상담 서비스(604)는 이용자가 상표등록 적격성을 판단하면서 의문시되었던 사항 또는 질의사항 저장함에 입력하여 놓았던 사항에 대하여 변리사와의 실시간 채팅을 통하여 상담하는 서비스이다.
이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시스템(130)에 접속한 후 언제든지 채팅상담 서비스(604)를 이용할 수 있다. 비록 도 6 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용자가 채팅 상담 서비스(604)를 선택한 경우 채팅 상담 서비스(604)에 대한 과금체계에 대한 안내가 제시되고 결제방식의 선택 및 정산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채팅 상담의 과금체계는 예컨대, 5분 또는 10분 단위로 채팅 상담의 과금산정 기준이 책정될 수 있으며, 채팅 상담 시간이 상기 기준 단위시간(5분 또는 10분)을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짧은 시간, 예컨대 1분을 카운트하고, 그 후 과금결제에 대한 메시지 또는 화면이 제시되고 다시 단위시간당 과금산정이 계속될 수 있다. 채팅 상담 서비스(604)에 대한 과금의 결제방식은 은행자금이체, 신용카드, 전자화폐 등의 결제수단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선결제방식 및/또는 후결제방식으로 정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채팅 상담은 상기 부과금 산정 과정 및 결제방식 선택 과정이 생략되어 일정한 경우 특허청수수료 등의 실비만을 청구하고 대리인 수임료 없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용자는 채팅 상담 서비스(604)를 통하여 변리사 단말기(140)와 연결되며, 이 때 변리사 단말기(140)에는 이용자가 입력하였던 상표 및 상품을 포함하여 상표등록 적격성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응답하였던 내용 및 이용자가 질의사항 저장함에 입력하여 놓은 내용들이 사전 정보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상담에 응하는 변리사 또는 상담자는 이용자가 채팅 상담시에 상담하고자 하는 내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밖에도 이용자는 상기 채팅 상담을 통하여 통상의 상표출원 위임계약, 즉, 선행상표 조사 서비스를 포함하여 상표출원에 대한 모든 절차적, 실체적 사항을 책임지는 상표출원 위임 서비스(606)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상표출원 위임 서비스(606)는 상표출원방법 결정 과정(212)에서 이용자가 채팅 상담 서비스(604)를 통하지 않고서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로 제시되며, 이 경우 이용자가 상표출원 위임 서비스(606)를 선택한 후에 채팅 상담 서비스(604)를 통하여 상담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상표출원 위임 서비스(606)에서는 채팅 상담 서비스(604)에서와 같이 과금체계에 대한 안내와 결제방식의 선택 및 정산 과정이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표출원 위임 서비스(606)에서는 결제방식의 선택 이전이나 이후 또는 동시에 온라인상의 계약서 작성 및 계약체결사실 확인 과정과 대리인 위임 과정이 온라인상에서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선행상표 조사 서비스(608)는 이용자가 특허청 또는 특허기술정보센터의 상표검색시스템을 통하여 스스로 선행상표를 조사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경우에 변리사 또는 특허법인에 선행상표 조사 서비스만을 의뢰하고 이에 대한 보고서를 받는 서비스이다. 이미 이용자가 조사를 원하는 상표 및 상품을 확정하고 그에 대한 상품류구분까지 온라인상으로 입력한 상태이므로, 변리사 또는 특허법인은 선행상표 조사의 대상에 대하여 상담을 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선행상표 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상표 조사 서비스(608)는 특허법률사무소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것보다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과금체계에 대한 안내와 결제방식의 선택 및 정산, 계약서 작성 및 계약체결사실 확인 과정 그리고 대리인 위임 과정이 상기 상표출원 위임 서비스에서와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상표출원업무 대리 서비스(610)는 이용자가 상표 및 상품 입력 과정에서 입력한 상표 및 상품에 대하여 변리사에게 특허청에 대하여 수행하는 상표출원 절차만을 위임하는 서비스이다. 이용자는 본인 스스로 출원절차를 밟는 번거로움을 피하고 출원서식 작성의 잘못으로 인한 거절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변리사를 대리인으로 하여 상표출원을 하는 것이므로, 상표출원 이후에 특허청에 대하여 수행하는 절차에 대하여도 안심할 수 있다. 변리사는 상표출원의 실질적인 내용, 즉, 상표 및 상품의 지정을 이용자 스스로가 결정하여 책임지는 것이므로 상표출원을 검토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전자출원에 의하여 이용자의 상표 출원업무를 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의 상표출원 서비스보다 현격하게 낮은 비용의 요금체계를 세울 수 있다. 상기 상표출원업무 대리(610) 서비스에는 과금체계에 대한 안내와 결제방식의 선택 및 정산, 계약서 작성 및 계약체결사실 확인 과정은 상기 상표출원 위임 서비스에서와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서식작성 확인 서비스(612)는 이용자가 출원서를 특허청에 접수시키는 절차까지도 스스로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자 자신이 작성한 상표출원 서식에 절차적인 하자가 없는지에 대하여 변리사의 확인을 받는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시스템의 데이터 관리부(134)에는 상표법시행규칙상의 각종 서식이 데이타베이스로 저장되어 이용자가 상기 서식을 온라인으로 다운(down)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이용자가 입력한 사항은 회원 관리부(136)에 데이타베이스로 저장되고 변리사 단말기(140)로 연결되어 변리사의 정정 또는 확인을 거쳐 완성된 상표출원서식이 관련 메시지와 함께 이용자에게 온라인 상으로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이용자는 상기 정정 또는 확인된 상기 상표출원서식을 출력하거나 다운받아서 실제로 특허청에 출원서류로서 서면으로 제출하거나 전자출원으로 접수시킬 수 있다. 과금체계에 대한 안내와 결제방식의 선택 및 정산, 계약서 작성 및 계약체결사실 확인 과정은 상기 상표출원 위임 서비스에서와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본인출원 안내 서비스(614)는 소위 본인출원, 즉, 이용자가 특허청에 대한 모든 절차를 오로지 본인 스스로에 의해서만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표출원에 필요한 사항, 예컨대 출원인코드 신청 안내, 출원료, 준비서류, 특허청 서울사무소의 위치 등의 정보가 데이터 관리부(134)를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용자는 상기 채팅 상담(604), 상표출원 위임(606), 선행상표 조사(608), 상표출원업무 대리(610), 서식작성 확인(612), 본인출원 안내(614) 서비스 메뉴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 이후에도 출원방법결정 과정(212)을 종료하고 다시 상표 및 상품 입력 과정(204)으로 들어가서 최초에 입력하였던 상표 및 상품을 추가, 삭제, 정정하여 상표출원방법을 선택,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출원방법결정 과정(212)을 통하여 이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 시스템(130)을 이용한 실적, 즉 금액 및 횟수 등은 회원 관리부(136)에 저장되어 이용자에게 이용 실적에 따른 일정한 마일리지포인트로 누적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채팅 상담(604), 상표출원 위임(606), 선행상표 조사(608), 상표출원업무 대리(610), 서식작성 확인(612), 본인출원 안내(614)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이용자의 마일리지포인트가 결제수단으로 사용되거나 혹은 일정한 점수 및/또는 요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산정된 청구 금액에 일정한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이용자는 상기와 같은 자신의 계약체결 내역, 축적된 마일리지포인트 및 결제수단으로 대체가능한 이용서비스를 회원 관리부(136)에 저장된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시스템은 통상의 상표 및/또는 서비스표 출원, 지정상품추가등록출원, 존속기간갱신등록출원, 분할출원, 변경출원, 의견서 및/또는 보정서 작성, 이의신청, 심판, 소송 관련 업무에서도 치환, 변형되어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출원방법 결정 과정(212)에서 제공되는 상기 채팅 상담(604), 상표출원 위임(606), 선행상표 조사(608), 상표출원업무 대리(610), 서식작성 확인(612), 본인출원 안내(614) 서비스는 통상의 상표출원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지정상품추가등록출원, 존속기간갱신등록출원, 분할출원, 변경출원을 비롯하여 심사관의 의견제출통지에 따른 의견서 및/또는 보정서 작성 및/또는 제출등 상표출원으로부터 등록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밖에도 출원공고된 상표에 대한 이의신청 및 이의답변, 심판 및 소송 사건에서도 이용자가 변리사의 법률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이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시스템을 이용하여 채팅 상담이 가능하고, 상기 상표출원 위임 서비스(606) 대신에 이의 신청/답변·심판 청구/답변·심결취소의 소 제기/답변 위임 서비스로 대신하여 온라인상의 계약 체결 및/또는 과금 정산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공시스템(130)으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이용자 단말기(110)에서도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온라인 상으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다운받는 경우에, 서비스제공시스템(130)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의 절차를 밟거나 및 일정한 부과금의 결제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표 또는 서비스표를 출원하고자 하는 사람이 직접 자신이 보호받고자 하는 상표의 등록 적격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근거는, 상표의 특별현저성 및 부등록사유에 대한 판단 주체가 해당 지정상품의 일반 수요자 또는 거래업계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거래사회의 실정을 잘 알고 있는 이용자로 하여금 직접 상표등록의 적격성을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표등록 적격성의 판단을 이용자의 지식 및 경험에만 맡겨두지 않고, 각각의 판단 과정에서 여러 가지 참고자료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변리사와의 실시간 채팅 상담 또는 선행상표 조사 등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행여 이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흐를 수 있는 상표등록 적격성에 대한 잘못된 판단을 충분히 바로잡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적어도 상표등록 가능성이 극히 낮은 상표를 출원하여 불필요하게 시간적, 경제적인 손실에 직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용자 스스로가 상표등록의 적격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통하여 처음에 고려하였던 등록가능성이 낮은 상표를 등록가능성이 높은 형태의 구성으로 다시 개발할 수도 있고, 상표등록을 받은 뒤에도 적절한 상표관리에 대하여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용자 스스로의 판단만으로 상표출원 여부의 결정 및 상표출원의 절차 수행을 가능하게 하고 용이하게 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용자가 필요한 범위에 대하여만 세분하여 변리사의 도움을 구함으로써 상표출원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즉, 이용자는 자신의 판단으로 상표등록을 확신하는 정도에 따라 채팅 상담, 상표출원 위임, 선행상표 조사, 상표출원업무 대리, 서식작성 확인, 본인출원 안내 등의 필요한 영역의 서비스만을 변리사 또는 특허법인에 의뢰함으로써, 처음부터 상표출원에 대한 모든 서비스를 변리사에게 의뢰하는 것보다 현격하게 적은 비용만으로 상표출원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표출원비용의 절감은 대리인 비용이 부담이 되어 적절한 법률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본인이 직접 상표출원 절차를 수행하는 사업자들에게 상표출원에 대한 법률서비스의 문턱을 크게 낮춘다는 점에서 법률복지국가의 실현이라는 이상에도 부합되는 것이며, 상표출원에 대한 적절한 법률서비스의 제공은 불필요한 분쟁을 방지하고 보호받을 만한 상표에 대하여 신용을 축적함으로써 우리나라 산업경제에서 불필요한 분쟁비용을 줄인다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상표출원을 결정하기 전에 여러 상표들의 등록적격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일반 공중에 제시함으로써, 상표출원에 대한 일반 수요자에게 상표제도에 대한 의식을 제고시킨다는 또 다른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표제도에 대한 의식의 제고는 당연히 불필요한 상표 분쟁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고의가 아닌 취지로 상표권을 침해하여 분쟁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변리사는 상표등록 적격성에 대한 불필요한 상담 내용을 회피하여 상담 시간을 절약하고, 상표출원에 대한 세분화된 서비스의 제공으로 업무의 효율을 기할 수 있으며, 또한 대리인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변리사의 법률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던 본인출원의 출원인들을 법률서비스 시장으로 끌어들인다는 우수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더욱이 현재의 변리업계에서는 의뢰인이 상표출원을 위임하기 이전에는 상표출원 상담에 대하여 국민 정서상 비용 청구가 용이하지 않으나, 본 발명을 통하여 채팅 상담, 상표출원업무대리 또는 서식작성 확인 등의 세분화된 서비스의 제공을 통하여 변리사의 수익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변리사의 상담 서비스 제공에 대하여 의뢰인에게 적절한 비용을 청구하는 바람직한 비용체계의 정착에도 도움이 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상표등록 적격성에 대한 판단은 비단 상표를 출원하고자 하는 자 뿐만 아니라, 상표권자로부터 상표권 침해 등의 이유로 경고장을 받은 자가 경고한 자의 상표권이 유효하고 적법한 권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표권과 관련한 분쟁 사건에서도 초기 과정에서 분쟁 당사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표권 침해분쟁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표출원을 하지 않고 식별력이 없는 상표를 사용하는 사람이 자신의 상표 사용이 타인의 상표권을 침해할 여지가 있는지를 가늠해보는 판단기준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특허청 및 특허기술정보센터에서는 우리나라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2000년 1월 1일부터 선행상표검색을 포함하여 산업재산권에 관한 모든 정보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상표의 등록 적격성 여부를 이용자 스스로 판단하도록 유도하고 그에 따라 원하는 출원방법을 선택하도록 하는 본 발명은 개인사업자, 중소기업, 벤처기업에게 상표출원에 대하여 불필요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 비용 절감을 달성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지식재산권 정보의 공유화를 통하여 21세기에 선진국으로 올곧게 발돋움하려는 정부의 시책에도 크게 부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방법 중 상표 및 상품 입력과정의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방법 중 상표의 특별현저성 판단 과정의 일실시예 상세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방법 중 상표의 부등록사유 판단 과정의 일실시예 상세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방법 중 상표출원방법 결정 과정의 일실시예 상세흐름도.

Claims (17)

  1.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자가 입력한 등록받고자 하는 상표 및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상표에 대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서비스를 요구받은 경우에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을 위한 질문 및/또는 자료를 상기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등록적격성 판단을 위한 질문 및 이에 대한 응답을 통해 상표등록 적격성을 판단한 상기 이용자가 상기 상표에 대하여 상표출원을 진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표에 대한 출원진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변리사와의 상담 서비스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이용자 단말기를 상기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변리사 단말기와 연결하여 변리사와의 채팅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의 수신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상표법 시행규칙에 규정되어 있는 상품세목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상품세목 중에서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품이 상표법시행규칙에 규정되어 있는 상품세목과 불일치하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상품의 수정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이 상표법 소정의 규정에 의한 특별현저성에 대한 판단 및 부등록요건에 대한 판단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표등록적격성 판단을 위한 질문 및/또는 자료가 타인의 선행상표/서비스표를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 정보, 상표/서비스표의 유사판단기준에 대한 정보 및 상표검색의뢰에 대한 안내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에 의해 부정적 결과가 도출된 경우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법적 근거와 이를 뒷받침하는 참고자료를 제공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부정적 결과에 대한 구제방법의 요구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구체적 구제방법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참고자료가 특허청 상표심사기준, 특허심판원 심결례, 특허법원 판례 및 대법원 판례 중에서 선택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자가 입력한 등록받고자 하는 상표 및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상표의 특별현저성과 관련된 질문를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특별현저성과 관련된 질문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상표에 대한 부등록사유에 대한 질문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부등록사유에 대한 질문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상기 입력받은 상표에 대한 등록적격성을 부정하는 응답인 경우에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법적 근거와 이를 뒷받침하는 참고자료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부정적 결과에 대한 구제방법의 요구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구체적 구제방법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상기 입력받은 상표에 대한 등록적격성을 긍정하는 응답인 경우에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표에 대한 출원진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서비스 외에 선행상표 조사 서비스, 서식 작성 확인 서비스 및 본인 출원 안내 서비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11.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이용자가 입력한 등록받고자 하는 상표 및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상표에 대한 선행상표 조사 서비스를 요구받은 경우에 상표에 대한 선행상표 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상기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행상표 조사서비스를 토대로 상표등록 적격성을 판단한 상기 이용자가 상기 상표에 대하여 상표출원을 진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표에 대한 출원진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변리사와의 상담 서비스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이용자 단말기를 상기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변리사 단말기와 연결하여 변리사와의 채팅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의 수신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상표법 시행규칙에 규정되어 있는 상품세목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상품세목 중에서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품이 상표법시행규칙에 규정되어 있는 상품세목과 불일치하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상품의 수정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선행상표 조사 서비스 외에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서비스, 서식 작성 확인 서비스 및 본인 출원 안내 서비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
  16.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이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
  17.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상표출원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상표출원 위임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49796A 2000-08-25 2000-08-25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상표출원 위임 방법 KR100522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796A KR100522569B1 (ko) 2000-08-25 2000-08-25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상표출원 위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796A KR100522569B1 (ko) 2000-08-25 2000-08-25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상표출원 위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476A KR20020016476A (ko) 2002-03-04
KR100522569B1 true KR100522569B1 (ko) 2005-10-19

Family

ID=1968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796A KR100522569B1 (ko) 2000-08-25 2000-08-25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상표출원 위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125B1 (ko) * 2002-05-03 2009-11-11 강민수 상표 정보 제공 방법
KR100926118B1 (ko) * 2007-05-02 2009-11-11 강민수 상표 정보 제공 방법
CN105072124A (zh) * 2015-08-25 2015-11-18 长沙市麓智信息科技有限公司 专利产品会员管理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4388A (ja) * 1997-10-24 1999-05-21 Nec Informatec Systems Ltd 特許出願処置決定システム、特許出願処置決定方法および特許出願処置決定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9990051743A (ko) * 1997-12-19 1999-07-05 정선종 내용 기반 영상 정보를 이용한 등록 상표 자동 검색 방법
KR20000007933A (ko) * 1998-07-08 2000-02-07 이덕록 지적재산권 중개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00021032A (ko) * 1998-09-25 2000-04-15 이해규 통합 특허 시스템
KR20000071974A (ko) * 2000-05-26 2000-12-05 박은일 비즈니스 모델 특허출원 명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4388A (ja) * 1997-10-24 1999-05-21 Nec Informatec Systems Ltd 特許出願処置決定システム、特許出願処置決定方法および特許出願処置決定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9990051743A (ko) * 1997-12-19 1999-07-05 정선종 내용 기반 영상 정보를 이용한 등록 상표 자동 검색 방법
KR20000007933A (ko) * 1998-07-08 2000-02-07 이덕록 지적재산권 중개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00021032A (ko) * 1998-09-25 2000-04-15 이해규 통합 특허 시스템
KR20000071974A (ko) * 2000-05-26 2000-12-05 박은일 비즈니스 모델 특허출원 명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476A (ko)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Cabe Renewal of the Federal Rulemaking Process
US67663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lete non-judicial dispute resolu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US20140006293A1 (en) Multi-channel customer identification
Feeser et al. The ethical assignment of authorship in scientific publications: issues and guidelines
Graef et al. Governance of data sharing: A law & economics proposal
US20080040137A1 (en) Internet-Based Discus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Record Media Recorded Discussion Method
JP2001338097A (ja) 専門家検索システム、成果物情報流通システム、経営支援システム、及び経営支援情報配信システム
US20020083024A1 (en) Ca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eal Online mediation: has its time come
Stremlau Towards a diagnostic approach to media in fragile states: Examples from the Somali territories
AU7714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lete non-judicial dispute resolu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Gladstone The US Privacy balance and the European privacy directive: reflections on the United States Privacy Policy
KR100522569B1 (ko)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상표등록 적격성 판단 및상표출원 위임 방법
Nguyen et al. Taxing the New Intellectual Property Right
Zulch et al. Are former commercial farmers in Zimbabwe satisfied with the global compensation agreement?
Amila et al. NPWP vs NIK: Integrating the Single Identity Number in Taxation
Dosanjh et al. An employer's guide to grievance procedures
Hill The theoretical basis of mediation and other forms of ADR: Why they work
Graczyk The New Wisconsin Rules of Civil Procedure Chapter 804
Osman et al. The constitutionality of section 7 (1) of the Recognition of Customary Marriages Act: Ramuhovhi v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de Vuyst et al. The Phenix project: a case study of e-justice in Belgium
Davis To Whom Should We Point Our Stylus Allocating the Burden of Review in E-Discovery of Social Media Content
Zheng et al. ODR Procedural Standards
Toy-Cronin et al. Expressed legal need in Aotearoa: From Problems to Solutions
Mubdi et al. Indonesia’s Settlement Procedure of Small Claims: A Proposal for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Dispute Re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126

Effective date: 200508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