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971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971B1
KR100519971B1 KR1020040075429A KR20040075429A KR100519971B1 KR 100519971 B1 KR100519971 B1 KR 100519971B1 KR 1020040075429 A KR1020040075429 A KR 1020040075429A KR 20040075429 A KR20040075429 A KR 20040075429A KR 100519971 B1 KR100519971 B1 KR 100519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leg
pin member
seat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남요
Original Assignee
허남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요 filed Critical 허남요
Priority to KR102004007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71Assembly or rep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착석을 행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이 정지되므로 업무능률을 향상시키거나 자세가 불량해질 우려를 감소시키도록, 다리와, 다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쪽에 설치되는 좌판과, 다리와 좌판 사이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며 다리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이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은 좌판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피스톤과 왕복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가 설치되며 좌판에 착석을 행하는 경우 실린더가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지는 실린더장치와, 다리에 고정되고 실린더의 왕복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외통과, 외통에 일체로 고정하여 설치되는 핀부재와, 실린더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체로 고정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좌판에 착석하여 실린더가 하강함에 따라 핀부재가 조립되도록 조립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조립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자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이 정지되므로 업무능률을 향상시키거나 자세가 불량해질 우려를 감소시키는 등 다양한 효과를 창출하도록 구성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형태나 용도,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일예로서 상기한 의자를 용도상으로 분류하면 작업용, 휴식용, 특수용 등이 있다. 상기에서 작업용으로는 사무용 의자, 학습용 의자, 식사용 의자 등이 있고, 휴식용으로는 안락의자, 소파, 디 베드, 카우치 등이 있고, 특수용으로는 이발전용 의자, 미용전용 의자, 의료전용 의자, 극장전용 의자 등이 있다.
그리고 다른예로서 상기한 의자를 구조상으로 분류하면 고정식 의자, 접철식 의자, 경사조절식 의자, 회전식 의자, 조립식 의자, 높낮이조절식 의자 등이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은 의자에 있어서는 구조상으로 볼 때, 움직임이 비교적 자유롭도록 회전이 가능한 의자나, 사용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가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회전이 가능한 동시에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의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 및/또는 회전이 가능한 종래 의자에 있어서는 주로 실린더장치로 다리와 좌판을 연결시키고 실린더장치의 실린더와 피스톤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높낮이조절이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에 실린더장치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의자는 주로 사용자가 착석함에 따라 실린더가 일정거리만큼 하강하여 착석시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을 행한 상태에서도 비교적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회전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임의로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업무효율을 떨어뜨리기 쉽고 자세도 불량해질 우려가 높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의자는 정교한 작업을 행하는 경우나 착석한 자세에서 운동 등을 행하는 경우 등에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착석이 이루어짐에 따라 회전이 구속되므로 업무효율을 향상시키고 바른 자세를 유도하며 사용자의 신장 등에 따른 높낮이 조절에 상관없이 회전이 구속이 가능하고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의자는 다리와, 상기 다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쪽에 설치되는 좌판과, 상기 다리와 좌판 사이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이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좌판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피스톤과 왕복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좌판에 착석을 행하는 경우 상기 실린더가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지는 실린더장치와, 상기 다리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의 왕복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에 일체로 고정하여 설치되는 핀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체로 고정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상기 좌판에 착석을 행하여 상기 실린더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핀부재가 조립되는 조립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조립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핀부재의 조립편쪽(위쪽) 끝부분은 상기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형상(예를 들어 테이퍼형상이나 반구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립편의 조립부는 조립구멍이나 절개홈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부재 반대쪽(위쪽)으로 갈수록 서서히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실린더에 설치하고, 상기 조립편은 상기 외통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6)에 지지되는 다리(2)와, 상기 다리(2)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쪽에 설치되는 좌판(10)과, 상기 다리(2)와 좌판(10) 사이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2)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22)이 설치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좌판(10)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피스톤(22)과 왕복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26)가 설치되며 상기 좌판(10)에 착석을 행하는 경우 상기 실린더(26)가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지는 실린더장치(20)와, 상기 다리(2)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26)의 왕복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외통(30)과, 상기 외통(30)에 일체로 고정하여 설치되는 핀부재(40)와, 상기 실린더(26)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체로 고정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상기 좌판(10)에 착석을 행하여 상기 실린더(26)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핀부재(40)가 조립되는 조립부(5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조립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리(2) 및 좌판(10)은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의자의 다리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다리(2)의 경우 상기 피스톤(22)의 한쪽 끝부분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다수의 갈래로 나뉘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갈래로 나뉜 바깥쪽 끝부분에는 바퀴(6) 등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좌판(10)의 경우 사용자가 깔고 앉기 위한 안장부(12)가 설치되고 상기 안장부(12)의 뒤쪽 모서리에는 등받이(14)가 설치되며 상기 안장부(12)의 양측에는 팔걸이(16)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린더장치(20) 및 외통(30)에 있어서도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의자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실린더장치(20)는 사용자가 상기 좌판(10)에 착석함에 따라 실린더(26)와 피스톤(22) 사이의 공기나 가스나 유체 등의 작동매체가 압축되면서 실린더(26)가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실린더장치(20)는 상기 실린더(26)와 다리(2)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좌판(10)에 착석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실린더(26)가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실린더장치(20)는 탄성부재와 작동매체를 병용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장치(20)는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레버(28)를 조작함에 따라 작동매체의 이동이 제어되어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게 되는 밸브 시스템(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작동레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실린더장치의 길이가 자동으로 늘어나고 착석한 상태에서 작동레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따라 하강이 이루어져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핀부재(40)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 등을 통하여 상기 외통(30)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핀부재(40)의 위쪽 끝부분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상기 조립부(52)로 안내되어 조립되도록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핀부재(40)는 반구형상 등과 같이 위쪽 끝부분으록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핀부재(40)의 맨위쪽 끝부분은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뾰족하거나 날카롭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40)는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통(30)에 고정되고 고정구멍(47)이 형성되는 가이드대(46)와, 상기 가이드대(4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동구멍(44)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편(50)의 조립부(52)에 조립되는 이동핀(42)과, 상기 고정구멍(47)과 상기 이동구멍(44)을 관통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핀(42)의 슬라이딩을 정지시키는 정지핀(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가이드대(46)는 대략 속이 빈 사각파이프형상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핀(42)의 하부는 상기 가이드대에(46)에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대에 대응되는 형상(예를 들어 사각 파이프 형상 등)으로 형성한다.
상기 조립편(50)은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플랜지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핀부재(40)와 마찬가지로 용접 등을 통하여 실린더(26)에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조립편(50)의 조립부(52)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핀부재(40)와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조립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조립구멍(5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핀부재(40)쪽(아래쪽)에서 핀부재(40) 반대쪽(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형상(예를 들어 테이퍼 형상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조립구멍(52)의 맨위쪽 직경과 상기 핀부재(40)의 직경은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있어서 상기 조립편(50)의 조립부(5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핀부재(40)는 상기 실린더(26)에 설치하고, 상기 조립편(50)은 상기 외통(3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의하면, 착석을 행함에 따라 실린더가 하강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편도 일체로 하강하게 되고 조립편이 하강함에 따라 조립부에 핀부재가 조립되므로 실린더의 회전력이 구속된다.
따라서 착석한 후에는 회전이 정지되므로, 정교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업무효율이 향상되고, 착석한 상태에서 운동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선박의 운전 등을 행하는 경우와 같이 고정된 자세가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나아가 PC방 등과 같이 장시간의 앉아서 업무나 게임 등을 즐기는 경우에도 불필요한 요동이나 회전이 구속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 핀부재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신장 등에 따른 높낮이에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조립부에 조립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핀부재 및 조립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핀부재 및 조립편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핀부재 및 조립편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립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Claims (5)

  1. 삭제
  2. 좌판에 고정된 실린더가 다리에 설치된 피스톤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가 하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실린더장치와, 상기 다리에 고정되어 실린더의 왕복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에 고정되는 핀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실린더의 하강시 핀부재가 조립되는 조립구멍이나 절개홈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조립편으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외통에 고정되고 고정구멍이 형성되는 가이드대와; 상기 가이드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동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편의 조립구멍 또는 절개홈에 조립되는 이동핀과; 상기 고정구멍과 상기 이동구멍을 관통시킴에 따라 상기 이동핀의 슬라이딩을 정지시키는 정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40075429A 2004-09-21 2004-09-21 의자 KR100519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429A KR100519971B1 (ko) 2004-09-21 2004-09-21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429A KR100519971B1 (ko) 2004-09-21 2004-09-21 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077U Division KR200371594Y1 (ko) 2004-09-21 2004-09-21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9971B1 true KR100519971B1 (ko) 2005-10-13

Family

ID=3730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429A KR100519971B1 (ko) 2004-09-21 2004-09-21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2350A (zh) * 2016-08-26 2016-11-16 常州市莱特气弹簧有限公司 定位型气动杆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2350A (zh) * 2016-08-26 2016-11-16 常州市莱特气弹簧有限公司 定位型气动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1445B2 (ja) 人間工学的椅子
US10898008B2 (en) Adjustable bed systems with rotating articulating bed frame
US10045627B2 (en) Worksurface assembly, body support member having a worksurface and method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20090270236A1 (en) Supporting device for a person's back and head area
CA2608262A1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JP2019526404A (ja) 理美容師用の新規な運動補助付き人間工学的ワークステーション
US10918211B2 (en) Chair and seat support mechanism
KR100519971B1 (ko) 의자
KR200371594Y1 (ko) 의자
CN211092824U (zh) 椅具单元及椅具
CN209106675U (zh) 一种随靠背联动的摆动扶手装置及带有该装置的休闲椅
CN110547622A (zh) 一种座椅变换机构及多用途座椅
CN206933858U (zh) 一种儿童成长健康椅
CN106175194A (zh) 改进型简椅
EP2906080B1 (en) Chair with tiltable and lockable seat
KR200306819Y1 (ko) 작업용 등받이 의자
CN203041400U (zh) 一种礼品椅
CN111887637A (zh) 一种提高使用舒适度的办公椅
KR102224201B1 (ko)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CN110693219A (zh) 一种椅具单元及椅具
KR200386755Y1 (ko) 허리 비틀기 헬스기
CN212815307U (zh) 一种户外休息椅
CN210989211U (zh) 座椅变换机构及座椅
CN210961107U (zh) 座椅变换机构及多用途座椅
JP4025079B2 (ja) 天板付き家具及び肘当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