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530B1 - 옻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옻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530B1
KR100519530B1 KR10-2004-0071944A KR20040071944A KR100519530B1 KR 100519530 B1 KR100519530 B1 KR 100519530B1 KR 20040071944 A KR20040071944 A KR 20040071944A KR 100519530 B1 KR100519530 B1 KR 10051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ater
filtrate
ethanol
rem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048A (ko
Inventor
최원철
박상재
권성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4006751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0079397A/ko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지아이 filed Critical (주)에이지아이
Publication of KR2004008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048A/ko
Priority to PCT/KR2005/00297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043752A1/en
Priority to US11/570,495 priority patent/US7629006B2/en
Priority to JP2007531075A priority patent/JP5114199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나무를 원료로 이를 물 또는 주정 또는 그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고 여과하여 용해되지 않는 고형분을 제거하고, 얻어진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키고, 남은 고형분에 에탄올을 가하고 용해시킨 후, 이를 다시 여과하여 용해되지 않는 성분을 제거하고, 얻어진 여액을 다시 농축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고, 남는 고형분에 헥산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이를 여과하여 용해되는 여액은 제거하고, 남는 고형분에 물을 가하고 용해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얻어진 용액에 알루미나를 가하여 혼합한 후 여과하여 제거하고 그 여액을 농축하여 이를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얻고,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이 기억력 증진 및 치매 치료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Description

옻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extracts and extracts obtained from Rhus verniciflua }
본 발명은 다양한 약리적 효능을 가진 옻나무의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옻나무를 물 또는 주정의 혼합물로 추출하고 건조한 후 재추출하는 과정을 통하여 알러지를 전혀 생성하지 않으면서 옻나무의 약리적 효능을 가진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옻나무(Rhus verniciflua 또는 Rhus vernicifera)는 옻나무과 (Anacardi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중앙아시아 고원지대 및 히말라야 지방이 원산지이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열대지방을 중심으로 한 아열대 지방과 온대지방에 널리 분포하고 있고, 한국, 일본 및 중국 등의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칠액을 얻기위하여 재배되고 있다. 옻나무의 수액을 옻(칠액)이라고 하며,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건칠이 어혈을 없애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구충, 복통, 위산과다, 진해, 폐결핵, 통경, 변비, 당뇨, 학질,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항암효과에 대해서도 보고되고 있다(Namba, T., Colored Illustrations of Wakan Yaku. P215, Hoikusha Publishing Co. Ltd., Osaka, 1980).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몸 보신용 또는 약용으로 옻나무를 옻닭, 옻오리 등에 이용하여 왔다. 또 다르게는 옻의 수액은 내구성의 특성이 있어 천연도료 등으로 이용되었고, 내약품성이 있어 비행기, 선박 및 해저 광케이블 등에 사용되는 특수 외장 도료로서 활용 될 수 있다.
그러나, 옻에 대한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에게는 아주 적은 옻과의 접촉에 의하여 피부염(알레르기)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옻에 대한 접촉을 꺼리는 경향이 있으며 실제 옻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 사람은 10명 중 2~4명에 불과 하다.
옻나무 수액(옻칠)의 주요성분은 우루시올(Urushiol)이며 주용도는 칠공예에 사용되는 진갈색 액체로서 유기용매에 잘 용해된다. 화학적 구조는 곁사슬의 탄소수가 15~17개가 주종을 이루며 불포화 결합이 다수 존재한다. 옻의 주된 약리작용은 항암, 항산화, 숙취해소 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식품과학회지, 31, 1997, 238-245), 위장병, 심장병, 관절염, 고혈압, 당뇨, 중풍, 관절염, 만성피로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상용화되지 못한 것은 인체에 대한 독성(알레르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옻나무가 가진 약리적 효능을 극대화하고, 이를 상업화 하기 위하여 옻나무 또는 그 추출액의 섭취 시 발생하는 알레르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의 고안이 절실히 필요하다.
지금까지 옻나무의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과 관련된 기술을 살펴보면,
김중배는 특2002-0023439에서 열풍건조 공정 및 용매추출공정에 의하여 독성을 제거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천진수는 특2001-0035052에서 오리나무를 첨가하여 옻나무 건강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종수 등은 특2001-0070556에서 물로 추출하면서 환류시키는 공정에 의하여 독성을 제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낙균은 특1995-0023317에서 옻나무를 솔잎, 상백피, 공사인 등과 같이 물에 넣어 끓이는 공정에 의하여 식품을 제조하는 공정을 제시하고 있으며, 정형진 등은 특2002-0002096에서 분획에 의하여 독성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제시하고 있으며, 최원철 등은 대한민국 특허 10-0394089-0000에서 열처리에 의한 독성물질의 제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옻나무 추출물의 제조공정 및 용도와 관련하여 대부분이 옻나무의 유효기능성분으로 알려진 우루시올, 푸스틴, 피세틴 등의 성분에 주안점을 두고 추출물을 제조하여 왔다.
나천수 등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1997-0013163에서 우루시올 및 그 분획의 제조방법을 제시하였고, 곽상수 등은 대한민국 특허 10-0215390-0000 및 10-0251526-0000에서 우루시올계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포함한 항암제로서의 새로운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장용석은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03-0079255에서 에탄올 추출물을 정치하는 방법에 의하여 항산화 활성이 높은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최원철 등은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02-0084333에서 역전사 효소 저해제로서의 옻나무 추출물의 용도를 제시하고 있으며, 나천수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02-0077833에서 푸스틴, 피세틴, 설푸레틴, 부테인 등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옻나무 추출물의 간보호조성물을 제공하고 있으며, 박희준 등은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04-0043255에서 간질환 치료제로서의 옻나무 추출물을 제공하고 있다.
옻나무의 약리적 효능을 내는 주요 성분으로는 우루시올, 푸스틴, 피세틴, 설푸레틴, 부테인 등이 주요성분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이들 성분을 기초로 한 조성물 및 기능성이 연구되어 왔으며, 이들 성분의 분리 및 정제는 대부분이 실리카 컬럼을 사용하여 정제하는 것으로 상기의 발명들에서 기술되고 있다. 우루시올의 경우 그 자체가 알러지를 유발하는 성질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섭취에 의한 약리효과를 얻는데 가장 큰 제약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우루시올을 포함한 약리효과를 내는 성분들의 분리 및 정제에 실리카 컬럼을 이용하는 것은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지 못하며 제조비용이 비싸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옻나무 추출물과 관련된 기술내용은 알러지 유발방지, 우루시올의 약리적 효능, 조성물, 푸스틴, 피세틴 등의 약리 효능에 대한 것이 그 대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추출물의 제조에 관한 내용에 있어서는 그 방법상 정제를 위해 실리카 컬럼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좀더 간단하고 유효성이 높은 추출물의 제조에 관한 기술의 개발은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에서는 옻나무 추출물로서 알러지를 전혀 유발하지 않으며 기억력을 증진 시키고 치매에 대한 치료효능을 가지는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 기존의 발명자들이 이용하였던 추출 및 분획 그리고 실리카 컬럼을 사용하는 방법과는 완전히 다르게 추출, 건조를 반복하고, 알루미나를 첨가하여 혼합 여과하면서 알루미나에 흡착되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에 의하여 알러지 유발성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공정의 신규의 방법에 의한,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기억력 증진 및 치매치료 등의 약리효능을 가진 옻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공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로 제조된 추출물은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의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옻나무를 잘게 분쇄하고, 여기에 물 또는 주정을 가하여 추출하는 원물추출공정과, 이를 여과 후 얻어진 추출물을 진공농축하여 추출고형분을 얻는 공정과, 이를 다시 에탄올 함량 95~100%의 용매를 가하고 추출하고, 여과하여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는 에탄올추출공정과, 얻어진 여액을 진공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남는 고형분에 헥산을 가하여 헥산에 가용인 성분을 용출시킨 후 여과하여 제거하는 헥산세척공정과, 남는 고형분에 물을 가하고 재추출하여 물에 가용성인 성분을 추출한 후 여액을 얻는 물추출공정과 여기에 알루니마를 가하여 혼합한 후 여과하여 알루미나를 제거하고 여액을 얻는 알루미나 처리공정과 최종적으로 얻어진 여액을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수용성의 옻나무 추출물을 얻는 분말화공정으로 본 발명의 옻나무 추출물제조공정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원물추출공정은 물 또는 주정을 가하여 추출하는 공정은 에탄올 함량으로 0~90%의 것을 의미하며, 추출 온도는 30~95도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옻나무 추출물은 수용성인 것을 전제로 하므로 추출시 물과 서로 섞일수 있는 것을 용매로 사용한다. 추출온도는 추출 수율을 높이고,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가온하여 준다. 추출 후 여과하여 불용성의 추출박은 제거하고 얻어진 추출액에는 가용성분 및 옻나무의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우루시올 성분이 일부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의 공정으로 이러한 우루시올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원물 추출공정에서 얻어진 여액을 진공농축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고 얻어지는 고형분에 무게 대비 10~100배의 에탄올 함량 95~99.9%의 용매를 가하고 혼합하면서 가용성분을 재추출하는 에탄올 추출공정을 구성한다. 에탄올 추출공정은 수용성 용매에 쉽게 용해되면서 고농도의 에탄올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따라서 농축시 물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물이 잔류할 경우 에탄올을 이용하여 재추출하는 공정에서 에탄올의 농도저하를 초래하여 에탄올 불용성인 성분들도 재추출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에탄올 추출공정 후 여과하여 불용성분을 제거하고, 얻어진 여액은 진공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이 단계에서 에탄올의 제거는 완벽하게 하여야 한다. 이는 잔류 에탄올의 농도를 1%이하로 함을 의미한다. 에탄올이 잔류할 경우 다음공정의 헥산과 혼합되면서 에탄올 가용성분이 헥산층으로 제거되므로 해서 수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에탄올을 제거 후 얻어지는 갈색의 침전물은 다시 침전물 무게의 1~30배의 헥산을 가하여 헥산에 가용인 성분을 제거하는 헥산세척공정을 구성한다. 헥산에 가용인 부분은 상기 언급된 우루시올과 같은 성분으로 옻나무의 추출물을 섭취시 알러지를 유발하는 등 부작용을 초래하는 성분들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헥산 세척액은 연노랑색의 성분이 세척되어 제거된다. 헥산세척 후 남은 침전물에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여 얻기 위하여 침전무게의 1~50배의 물을 가하고, 수용성분을 추출하는 물추출공정을 구성한다. 가하여 주는 물은 물에 가용성인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이므로 양 또는 횟수를 수차례 변경하면서 추출할 수 있다. 물 추출공정 후 물에 불용성인 침전은 여과하여 제거한다. 이 침전은 다소 검은색에 가까운 침전물로 쉽게 여과되어 제거된다. 물추출 공정에 의하여 얻어진 여액은 와인색을 띄고 있으며 여기에 알루미나를 여액 부피의 1~10%(w/v)로 가하고 20~50도에서 1~5시간동안 혼합하여 준다. 이 과정에서 알러지를 유발하는 물질 및 불용성성분들은 알루미나에 흡착되어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분말의 물 및 에탄올에 대한 완벽한 용해성을 제공한다. 첨가한 알루미나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얻어진 여액을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면 미세한 수용성 옻나무 추출물을 얻게되며 이러한 공정에 의하여 얻어지는 옻나무 추출물은 옻나무 추출물의 섭취시 발생하는 알러지를 전혀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옻나무의 약리적인 효능을 그대로 가지고 있어 인간의 건강유지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기억력의 증진 및 노인성 치매의 치료에 탁월한 효능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다음의 실시예로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추출물의 제조
옻나무 100g을 크기 1Cm이하로 잘게 분쇄한 후 이를 10배수의 물을 가하고 60도에서 12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 후 박을 제거하고 얻어진 추출액 940ml를 얻었다. 이를 농축하여 고형분 3.9g을 얻었다. 여기에 순도 95%의 에탄올을 300ml을 가하고 35도에서 추출하여 에탄올에 가용성인 성분을 용해시킨 후 여과하여 불용성분을 제거하고 에탄올 추출물 286ml을 얻었다. 이를 농축하여 용매를 완전 증발 시킨 후 고형분 3.1g을 얻었다. 여기에 헥산을 100ml가하여 헥산 가용성분을 세척하면서 제거하였다. 남은 고형분의 양은 3.0g이었다. 여기에 물 300ml을 가하여 물에 가용성인 성분을 추출하였다. 이를 여과하여 잔류 고형물을 제거하고 와인색을 띠는 최종 추출액 290ml을 얻었다. 여기에 알루미나를 13g 가하고 35도에서 3시간 동안 혼합하면서 불순물을 흡착시켰다. 이를 여과하여 알루미나 등을 제거하고 얻어진 여액 280ml을 농축하여 110ml로 한 후 이를 동결건조하여 노란색의 분말 1.0g을 얻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분말은 옻나무의 독성성분인 우루시올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며 완전한 수용성 물질로 물과 에탄올에 매우 잘 용해 되었다.
실시예 2. 알러지 유발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5% 수용액으로 제조하여 옻나무에 매우 민감한 사람 9명을 대상으로 하여 알러지 유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에 보였다.
표. 알러지 유발 테스트 결과
5일차 10일차 15일차
반점(홍반) 0 0 0
염증 0 0 0
상기의 표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어떠한 경우에도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았다.
실시예 3. - 기억력 증진 효과 - Hidden platform test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기억력 증진 효과를 테스트 하였다. 본 테스트는 마우스를 이용한 모리스 수중 미로 찾기(Morris water maze) 방법에 의하여 수행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마우스를 Aβ-베타아밀로이드를 이용하여 기억력 및 학습능력을 손상시킨 후 이를 모델로 사용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투여하고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본 테스트는 학습수행에 필요한 참조기억(reference memmory)과 작업기억(Working memmory)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3가지의 테스트가 있으며 그 중 Hidden platform test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 마우스의 처치 : 테스트에 사용한 마우스는 분양 후 7일간 안정화 시키고 이 단계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을 65mg/Kg의 비율로 매 12시간마다 경구투여 하였고, 7일 경과 6시간 후 기억력을 손상시키고 치매를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진 β-Amyloid를 Aβ(1-42)와 Aβ(40-1)을 마리당 400pmole을 주사하였으며 주사 후 3일 후 Hidden platform test를 4일간 실시하였다.
2) 테스트의 개요 : Hidden platform test는 수중미로(water maze)에 platform을 놓고 이를 수면보다 낮게하여 마우스가 이를 보지 못하게 하고(이를 hidden platform이라고 함) 수면아래에 있는 platform을 정확히 찾아가기 위해서는 사방에 걸려있는 4개의 서로다른 큐(cue)를 통해서 platform의 위치와 방향 거리를 정확히 기억하여야만 한다. 4일간의 실험동안 매일 5번의 실행을 반복시키되 출발점을 계속 바꾸어 주어서 오차를 줄인다. 미로에 들어간 시간부터 hidden platform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참조기억(reference memmory)은 장기기억(long-term memmory)이라고도 하며 뇌의 해마부위 손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3) 테스트 결과 : 결과를 그림1.에 보였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경우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수중의 platform을 찾아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3일 후에는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추출물이 마우스의 기억력을 증진 시키고 치매를 유발하는 물질로부터 기억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1. Hidden platform test 결과
마우스의 tracing pattern을 그림2에 보였다.
그림 2. Hidden platform test 중 마우스의 tracing pattern.
동그라미는 Platform의 위치를 나타냄. Platform의 위치는
모든 경우 동일함.
그림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투여한 쥐의 경우 수중의 platform을 찾아가는 패턴이 3일 이후 현저하게 간단해지고 학습된 기억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기억력 증진 효과 - Probe test
실시예 3의 마우스를 대상으로 하여 수중의 hidden platform이 있던 자리를 제거하였을 경우 그 자리를 기억하고 통과하는 횟수를 측정한 것이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에 보였다.
표. 제거된 platform 위치를 통과한 횟수
Aβ(40-1) 후 Saline 투여군 Aβ(1-42) 후Saline 투여군 Aβ(1-42) 후추출물 투여군
교차통과회수 4~5 2~3 5~7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platform이 있었던 자리를 기억하고 이를 통과하는 횟수가 유의성있게 많은 것을 알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기억능 향상효과가 있음을 증명한다.
또한 그림 3에 보인 궤적의 패턴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그림 3. Probe test에서의 궤적 비교.
본 발명의 추출물이 투여된 군의 경우 platform이 있었던 자리를 기억하고 집중적인 통과패턴을 보임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실시예 5. 작업기억능력증진 효과 - Working memory test
작업기억능력은 3일간 행해지며 매일 platform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platform을 찾아가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 결과 그림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투여한 쥐의 경우 이동된 platform을 찾아가는 시간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현저히 짧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림 4. Working memory test
실시예 6. 신경세포 보호 기능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이용한 신경세포 보호기능 효과 확인 결과 분 발명의 추출물은 상당한 신경세포 보호기능이 있음을 알았다.
생쥐에 kainic acid를 처리하게 되면 간질성 경련으로 신경세포가 손상을 입는 증상을 보이게 된다.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대조군과 비교시 신경세포의 손상에 대한 지표가 되는 Fos-related antigen(FRA)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뇌의 dentate gyrus에서의 FRA-immunoreactivity를 비교한 결과 saline을 투여한 군에 비하여 30%이상의 낮은 값을 보였다. 이로 보아 본 발명의 추출물은 신경세포의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지금까지 다양한 약리적인 효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알러지를 초래하는 부작용으로 인하여 이용에 제한을 받았던 옻나무를 새로운 추출공정을 개발하여 완전 수용성의 추출물을 제조, 제공함으로써 옻나무의 약리적 효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알러지를 초래하는 부작용이 없이 섭취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의 개발 및 질병의 치료를 위한 약으로 인간의 질병 치료 및 건강한 삶의 유지에 매우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추출물 및 그 제조공정을 제공하였다고 본다. 단순한 옻나무의 추출물이 아닌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하여 불용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약리적 효과를 내는 성분을 정제한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이 기억력 증진 및 치매치료 기능에 이용될 수 있음을 제공하는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하고 뛰어난 약리적 효능을 가지고 있어 질병으로 부터 건강을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Claims (4)

  1. 옻나무에 물 또는 주정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가용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인 원물추출공정과,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농축건조하여 얻어진 고형분을 에탄올을 가하여 재추출하는 공정인 에탄올 추출공정과, 얻어진 여액을 농축건조하고 헥산을 가하여 알러지 유발성분을 제거하는 헥산세척공정과, 남은 고형분에 물을 가하여 물에 가용성분을 추출하는 물추출공정 및 얻어진 여액에 알루미나를 가하여 알러지 유발성분을 흡착하여 제거하고, 이를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고형분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추출물로서,
    a)원물추출공정에서 사용하는 용매로 물 및 주정의 혼합물로 에탄올의 함량이 0~90%(v/v)이고,
    b)에탄올 추출공정에서 95~99.9%(v/v)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고형분 무게의 10~100배의 용매를 가하여 에탄올 가용성분을 추출하며,
    c)헥산세척공정에서 고형분 대비 1~30배의 헥산을 가하여 헥산에 가용성인 성분을 용해시켜 제거하며,
    d)물추출공정에서 고형분 대비 1~50배수의 물을 가하여 물에 가용성인 성분만을 추출하고,
    e)알루미나를 처리하는 공정에서 알루미나를 얻어진 여액의 부피의 1~10(w/v)로 가하고 혼합하면서 알루미나에 흡착되는 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에 의하여 여액을 얻고, 이를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 추출물.
  2. 상기 청구항 1의 추출물로서 뇌신경세포 보호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3. 상기 청구항 1 또는 2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향상용 조성물.
  4. 상기 청구항 1 또는 2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4-0071944A 2004-08-26 2004-09-09 옻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1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2976 WO2006043752A1 (en) 2004-09-09 2005-09-08 Process for preparing extract from rhus verniciflua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11/570,495 US7629006B2 (en) 2004-09-09 2005-09-08 Process for preparing extract from rhus verniciflua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2007531075A JP5114199B2 (ja) 2004-09-09 2005-09-08 漆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薬剤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519A KR20040079397A (ko) 2004-07-09 2004-08-26 옻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40067519 2004-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048A KR20040083048A (ko) 2004-09-30
KR100519530B1 true KR100519530B1 (ko) 2005-10-05

Family

ID=3736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944A KR100519530B1 (ko) 2004-08-26 2004-09-09 옻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352A (ko) * 2005-10-25 2005-11-11 (주)에이지아이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신규의 천연물 항암제
KR100824204B1 (ko) * 2007-02-02 2008-04-21 김상섭 독성제거옻추출액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048A (ko)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in et al. Phytosome: a novel drug delivery system for herbal medicine
Gandhi et al. Recent trends of phytosomes for delivering herbal extract with improved bioavailability
Byahatti et al. Effect of phenolic compounds from Bergenia ciliata (Haw.) Sternb. leaves on experimental kidney stones
JP2009531162A (ja) 緑茶種を含む抽出物および方法
BRPI0708825A2 (pt) extratos e mÉtodos que compreendem espÉcies de ganoderma
JP5114199B2 (ja) 漆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薬剤組成物
Karole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hytosomes containing ethanolic extract of leaves of Bombax ceiba for hepatoprotective activity
CA2760530A1 (en) Neuroprotective ganoderma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JP2006507288A (ja) 神経学的な疾患の処置におけるハッショウマメ種の粉末およびそのエキス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並びにその使用法
KR100519530B1 (ko) 옻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Gomar et al. Memory enhancement by administration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extract on morph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ale rats
Deshpande et al. Phytosomes: A noval drug delivery system for phytoconstituents
CN1839890A (zh) 一种水溶性蜂胶制品的制备方法及用途
Nobre-Junior et al. Neuroprotective actions of Tannins from Myracrodruon urundeuva on 6-hydroxydopamine-induced neuronal cell death
US20040067269A1 (en) Methods & preperations of the latex from the croton species
Khalid et al. Antidiabetic activity of aqueous extract of Ipomoea carnea leav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Monika et al. STANDARDIZATION OF A CLASSICAL SIDDHA POLY HERBAL FORMULATION “NANNARI MATHIRAI” THROUGH ORGANOLEPTIC CHARACTER, PHYSIOCHEMICAL AND PHYTOCHEMICAL ANALYSIS
Amudhan et al. Protective effect of areca catechu extract on ethanol induced gastric mucosal lesions in rats
Rajagopal et al. Anthelmintic studies on the leaves of Urena lobata Linn
JP7361903B2 (ja) 芫花、威霊仙、及び天麻の複合生薬抽出物を含む神経変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RU277102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редства, обладающего гепатопротекторным и антигепатотоксическим действием
KR20150016373A (ko) 시미시푸가 추출물의 신규한 약학적 용도
Abubakar et al. Gastroprotective effect of ethylacetate fraction of the leaves of Hannoa klaineana on aspirin and histamine-induced gastric ulcer in rats
Torrens et al. Artemisia integrifolia, A. capillaris Components, and Sesquiterpene Lactones
Abdullayeva et al. HERBAL MEDICINAL COMPOUNDS IN THE EFFECTIVE TREATMENT OF LIVER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