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319B1 -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319B1
KR100519319B1 KR10-2003-0094252A KR20030094252A KR100519319B1 KR 100519319 B1 KR100519319 B1 KR 100519319B1 KR 20030094252 A KR20030094252 A KR 20030094252A KR 100519319 B1 KR100519319 B1 KR 10051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act surface
surface portion
door panel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2240A (ko
Inventor
하삼철
신종민
김현
강성희
황준현
김종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31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05C19/165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를 닫았을 때에는 가스켓에 자력 강하게 작용하여 냉기 누설을 최소화시키고,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자력이 감소되어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51)의 힌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패널(52); 상기 도어 패널(52)의 내측면 테두리부를 따라 설치되고, 내부에 제1,2마그네트가 내장되는 가스켓(60);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마그네트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자력을 감소시키는 도어 핸들(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apparatus opening and closing door in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닫았을 때에는 가스켓에 자력 강하게 작용하여 냉기 누설을 최소화시키고,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자력이 감소되어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일반적인 냉장고에 관해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도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냉장고의 본체(1)에 소정의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부재(2)가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재에는 도어(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는 냉장고의 수납공간을 개폐시킨다.
상기 도어(3)의 내측면 테두리부를 따라 가스켓(4)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켓(4)은 내부에 마그네트(미도시)가 내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를 닫으면, 본체(1)의 전면 테두리부에 마그네트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본체의 수납공간을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가스켓(4)의 틈새를 통해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그런데, 상기 도어의 가스켓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상기 가스켓은 자력이 강하면 냉기의 누설을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반면, 사용자가 보다 많은 힘을 소요해야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형 냉장고에서는 가스켓에 설치된 마그네트의 자력이 커질수록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둘째, 상기 냉장고의 냉기 누설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가스켓의 자력을 강하게 하면, 상기 도어를 장시간 동안 개폐시킴에 따라 상기 가스켓이 변형되거나 조기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이처럼, 가스켓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면, 냉기가 누설되고 소비전력이 대폭적으로 증가된다.
넷째,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무리한 힘을 가하면, 상기 힌지부재에도 무리한 충격이 가해져 힌지부재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또, 본체에 불필요한 충격이 가해질뿐만 아니라 본체의 비틀림 변형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를 닫았을 때에는 가스켓에 자력 강하게 작용하여 냉기 누설을 최소화시키고,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자력이 감소되어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의 힌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패널;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면 테두리부를 따라 설치되고, 내부에 제1,2마그네트가 내장되는 가스켓;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마그네트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자력을 감소시키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스켓에는 도어 패널의 테두리부를 따라 제1,2접촉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면부의 내부에는 제1마그네트가 내장되고, 상기 제2접촉면부의 내부에는 제2마그네트가 내장되고, 상기 제1접촉면부를 소정 높이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도어 핸들이 설치된다.
상기 제1,2접촉면부는 본체측으로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접촉면부의 양측에는 도어 개폐시 소정 높이 신장 및 수축가능하도록 주름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접촉면부는 제2접촉면부보다 본체측으로 높게 돌출되고, 상기 제1접촉면부의 양측에는 도어 개폐시 소정 높이 신장 및 수축가능하도록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마그네트에 내장된 2개의 마그네트는 다른 자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에 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도어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스켓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도어를 개방시킬 때의 도어개폐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는 크게 도어 패널(52), 가스켓(60) 및 도어 핸들(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51)의 일측에는 힌지부재(2 : 도 1 참조)가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재(2)에는 도어 패널(5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52)은 본체(51)의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스켓(60)은 도어 패널(52)의 내측면 테두리부를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가스켓(60)의 내부에는 제1,2마그네트가 내장된다. 이러한 가스켓(60)의 구조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 핸들(70)은 도어 패널(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 핸들(70)은 회전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마그네트를 전진 또는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도어 핸들(70)은 회전축부(71), 탄성부재(72) 및 손잡이부(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부(71)는 도어 패널(52)에 관통하게 설치되고, 회전됨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제1접촉면부(61) 또는 제2접촉면부(62)를 본체(5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킨다.
이러한 회전축부(71)의 일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부(71)는 외주면의 소정 부분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선은 회전축부(71)의 회전각도와 회전축부(71)의 전진 거리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전진 거리는 제1접촉면부(61) 또는 제2접촉면부(62)를 약간만 이격시킬 수 있는 거리이면 충분하다. 또, 상기 도어 패널의 삽입공에는 회전축부의 나선에 대응되는 나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됨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된다.
또, 상기 탄성부재(72)는 회전축부(71)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72)로는 스프링을 제시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73)는 회전축의 외측 끝단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도어 핸들(70)은 제1접촉면부(61) 또는 제2접촉면부(62)를 전방측으로 소정 거리 밀어낼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스켓(60)의 제1실시예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스켓(60)은 도어 패널(52)의 테두리부를 따라 제1,2접촉면부(61,6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2접촉면부(61,62)에는 마그네트(65,66)가 각각 내장된다. 즉, 상기 제1접촉면부(61)에는 제1마그네트(65), 제2접촉면부(62)에는 제2마그네트(66)가 내장된다.
또한, 상기 제1접촉면부(61)를 소정 높이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도어 핸들(7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어 핸들(70)을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핸들의 회전축부(71)의 끝단부가 제1접촉면부(61)에 거의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2접촉면부(61,62)는 본체측으로 동일한 높이(H)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마그네트(65,66)는 서로 다른 자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마그네트는 제2마그네트보다 큰 자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형성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2접촉면부(61,62)는 도어 패널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접촉면부는 도어 패널의 테두리부 중 일측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면부는 도어 패널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촉면부는 도어 패널의 테두리부 중 일측면부와 상/하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면부는 도어 패널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러한 제1,2접촉면부는 상술한 형상이외에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개폐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 상기 가스켓(60)의 제1,2접촉면부(61,62)는 도 2와 같이 본체(51)의 개구된 전면에 밀착되고, 이때, 상기 제1,2마그네트(65,66)는 자력에 의해 제1,2접촉면부(61,62)와 본체(51)를 더욱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냉기가 가스켓(60)의 틈새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 시킬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사용자가 도어 핸들(70)의 손잡이부(73)를 잡고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부(71)가 전방으로 전진되면서 도 4와 같이 제1접촉면부(61)를 본체(51)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상기 제1접촉면부(61)의 양측이 약간 신장되고, 이와 동시에 제2접촉면부(62)는 그 반작용에 의해 본체(51)에서 소정 간격(G)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51)에는 제1마그네트(65)만이 자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 핸들(70)을 잡아당기면, 사용자는 종래와 거의 동일한 힘으로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어 핸들을 놓으면, 상기 회전축부는 탄성부재(72)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으로 후퇴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스켓의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의 도어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스켓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스켓(60a)은 도어 패널(52)의 테두리부를 따라 제1,2접촉면부(61a,62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2접촉면부에는 마그네트가 각각 내장된다. 즉, 상기 제1접촉면부(61a)에는 제1마그네트(65a), 제2접촉면부(62a)에는 제2마그네트(66a)가 내장된다.
이러한 제1,2접촉면부(61a,62a)는 본체(51)측으로 동일한 높이(H)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1접촉면부(61a)의 양측에는 도어 개폐시 소정 높이 신장 및 수축가능하도록 주름부(63a)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접촉면부(61a)는 회전축부(71)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촉면부(61a)가 회전축부(71)에 의해 오랫 동안 신축됨에 따라 가스켓(60a)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마그네트(65a,66a)는 서로 다른 자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마그네트는 제2마그네트보다 큰 자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형성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스켓의 제2실시예은 제1실시예의 작용과 거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1접촉면부(61a)가 회전축부(71)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주름부(63a)가 펴지고, 가압이 해제되면 주름이 원상으로 회복되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스켓의 제3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2의 도어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스켓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6의 도어를 닫았을 때의 도어개폐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며, 도 7b는 도 6의 도어를 열었을 때의 도어개폐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스켓(60b)은 도어 패널(52)의 테두리부를 따라 제1,2접촉면부(61b,62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2접촉면부에는 마그네트가 각각 내장된다. 즉, 상기 제1접촉면부(61b)에는 제1마그네트(65b), 제2접촉면부(62b)에는 제2마그네트(66b)가 내장된다.
이러한 제1접촉면부(61b)는 제2접촉면부(62b)보다 본체(51)측으로 상대적으로 소정 높이(ΔH) 높게 돌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접촉면부(61b)는 외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볼 때에 제2접촉면부(62b)보다 높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접촉면부(61)의 양측에는 도어 개폐시 소정 높이 신장 및 수축가능하도록 주름부(63b)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접촉면부(61b)는 회전축부(71)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제1,2마그네트(65b,66b)는 서로 다른 자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마그네트는 제2마그네트보다 큰 자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형성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스켓의 제3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 상기 가스켓(60b)의 제1,2접촉면부(61b,62b)는 본체(51)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제1,2마그네트(65b,66b)는 자력에 의해 제1,2접촉면부(61b,62b)와 본체(51)를 더욱 밀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접촉면부(61b)의 주름부(63b)는 도 7a와 같이 수축되어 상기 제1,2접촉면부(61b,62b)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된다.
이에 따라, 냉기가 가스켓(60b)의 틈새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 시킬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경우, 사용자는 도어 핸들(70)의 손잡이부(73)를 잡고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부(71)가 전방으로 전진되면서 도 7b와 같이 제1접촉면부(61b)를 본체(51)측으로 밀어낸다. 이때, 상기 제1접촉면부(61b)의 주름부(63b)가 원상으로 회복되고, 상기 제1접촉면부(61b)는 본체(51)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접촉면부(62b)는 그 반작용에 의해 본체(51)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51)에는 제1마그네트(65b)만이 자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 핸들(70)을 잡아당기면, 사용자는 종래와 거의 동일한 힘으로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어가 닫혔을 때에는 제1,2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가스켓이 본체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냉기의 누설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도어를 개방시킬 때에는 마그네트의 자력을 해소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도어를 개방시킬 때에는 일부 마그네트의 자력을 해소시키므로, 상기 자력에 의해 가스켓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켓의 내구성들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도어개폐장치가 대형 냉장고에 적용이 되더라도, 대형 냉장고에 적당한 강한 자력을 갖는 마그네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형 냉장고의 도어를 큰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도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도어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스켓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도어를 개방시킬 때의 도어개폐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5는 도 2의 도어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스켓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도어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스켓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는 도 6의 도어를 닫았을 때의 도어개폐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7b는 도 6의 도어를 열었을 때의 도어개폐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본체 52 : 도어 패널
60,60a,60b : 가스켓 61,61a,61b : 제1접촉면부
62,62a,62b : 제2접촉면부 63a,63b : 주름부
65,65a,65c : 제1마그네트 66,66a,66b : 제2마그네트
70 : 도어 핸들 71 : 회전축부
72 : 탄성부재 73 : 손잡이부

Claims (10)

  1. 본체의 힌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패널;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면 테두리부를 따라 설치되고, 내부에 제1,2마그네트가 내장되는 가스켓; 그리고,
    상기 도어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마그네트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자력을 감소시키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에는 도어 패널의 테두리부를 따라 제1,2접촉면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면부의 내부에는 제1마그네트가 내장되고, 상기 제2접촉면부의 내부에는 제2마그네트가 내장되고,
    상기 제1접촉면부를 소정 높이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도어 핸들이 설치되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접촉면부는 본체측으로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면부의 양측에는 도어 개폐시 소정 높이 신장 및 수축가능하도록 주름부가 더 형성되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면부는 제2접촉면부보다 본체측으로 높게 돌출되고,
    상기 제1접촉면부의 양측에는 도어 개폐시 소정 높이 신장 및 수축가능하도록 주름부가 형성되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그네트에 내장된 2개의 마그네트는 다른 자력을 갖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접촉면부는 도어 패널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면부는 도어 패널의 테두리부 중 일측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면부는 도어 패널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면부는 도어 패널의 테두리부 중 일측면부와 상/하면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면부는 도어 패널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은:
    상기 도어 패널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회전됨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제1접촉면부 또는 제2접촉면부를 본체에서 이격시키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에 복원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외측 끝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개폐장치.
KR10-2003-0094252A 2003-12-20 2003-12-20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KR10051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52A KR100519319B1 (ko) 2003-12-20 2003-12-20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52A KR100519319B1 (ko) 2003-12-20 2003-12-20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240A KR20050062240A (ko) 2005-06-23
KR100519319B1 true KR100519319B1 (ko) 2005-10-07

Family

ID=3725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252A KR100519319B1 (ko) 2003-12-20 2003-12-20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3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9584B (zh) * 2017-05-16 2019-06-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7576137A (zh) * 2017-10-19 2018-01-1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门体和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240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45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20040039747A (ko) 서랍식 냉장고 도어가스켓 보호 장치
JP2002318064A (ja) 漬物貯蔵庫のドア用ヒンジ組立体
KR100602218B1 (ko) 플렌치도어 타입 냉장고의 냉장실도어 실링장치
KR20010031707A (ko) 래칭 디바이스를 밀봉하기 위한 장치
KR100519319B1 (ko)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KR100707435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JP2003121061A (ja) 冷蔵庫等の扉装置
JPS6024391B2 (ja) 冷凍サイクルを備えた貯蔵庫
KR100707456B1 (ko) 냉장고의 도어 개스킷 장치
KR100575226B1 (ko) 냉장고용 도어개방장치
KR0182734B1 (ko) 냉장고
CN101042276A (zh) 泡菜冰箱
KR200389160Y1 (ko) 힌지어셈블리용 회전제어캠의 구조
CN113494800A (zh) 冰箱
JP2000297978A (ja) 観音開き冷蔵庫
CN217541219U (zh) 一种助力把手结构和冰箱
KR200390088Y1 (ko) 힌지 움직임 방지 리브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힌지조립체
JP4708235B2 (ja) 扉開閉機構
KR100747578B1 (ko) 냉장고의 도어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100707452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CN219014754U (zh) 移动装置及冰箱
JP3291478B2 (ja) 冷蔵庫
KR200312684Y1 (ko) 냉장고
KR20070025481A (ko) 냉장고용 홈바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