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270B1 - Screen printer for automatic print system - Google Patents

Screen printer for automatic pri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270B1
KR100519270B1 KR10-2003-0037690A KR20030037690A KR100519270B1 KR 100519270 B1 KR100519270 B1 KR 100519270B1 KR 20030037690 A KR20030037690 A KR 20030037690A KR 100519270 B1 KR100519270 B1 KR 10051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printing apparatus
mounting tabl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51583A (en
Inventor
안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테크
Priority to KR10-2003-0037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270B1/en
Publication of KR2003005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5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2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00/00Printing processes
    • B41P2200/40Screen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인쇄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의 구성을 제안하여 인쇄 작업물의 생산성 향상 및 보다 우수한 인쇄상태를 얻도록 한 자동화 인쇄장치용 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printing apparatus for an automated printing apparatus which proposes a dedicated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n automated printing process to improve productivity of a print work and obtain a better printing stat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업테이블 상에서 작업물이 장착되는 지그의 진행선상 일측에 설치대가 구비되고, 지그의 진행선상 상측에 구비된 스크린 마스크가 하단부에 결합된 프레임이 설치대의 일측에 장착되며, 스크린 마스크 상부에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기구와, 잉크 공급기구가 결합되어 수평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평이동기구가 프레임에 설치되어 구성된 스크린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의 프레임 측면에는 프레임의 승강을 안내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슬릿을 통해 설치대 내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동력전달기구와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기구와 결합되어 승강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구가 설치대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성된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인쇄장치용 스크린 인쇄장치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table is provided on one side on the progress line of the jig on which the workpiece is mounted on the work table, the fram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creen mask provided on the progress line of the jig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table, the screen An ink supply mechanism for supplying ink from an upper portion of a mask and a horizontal transfer mechanism coupled to the ink supply mechanism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re provided in a frame, wherein the frame side of the mount guides the lifting of the frame. A slit is formed, and the frame is installed inside the mount through the slit so as to be lifted and coupl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elevating the frame, and the power generating mechanism coupl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o generate the lift power on one side of the mount. Automated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 drive unit configured to be coupled Reformation provides a screen printing apparatus.

Description

자동화 인쇄장치용 스크린 인쇄장치{Screen printer for automatic print system} Screen printing device for automatic printing device {Screen printer for automatic print system}

본 발명은 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자동화 인쇄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의 구성을 제안하여 인쇄 작업물의 생산성 향상 및 보다 우수한 인쇄상태를 얻도록 하고, 잉크를 공급하는 수단을 이동시키는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제작시간 단축 및 제작단가를 낮추도록 한 자동화 인쇄장치용 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in particular, proposes a dedicated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n automated printing proces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a print work and obtain a better printing state, and to move a means for supplying i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printing apparatus for an automated printing apparatus, which simplifies the construction, shortens the production time and lowers the manufacturing cost.

스크린 인쇄는 목적하는 도안이나 로고 등이 관통되어 인쇄공이 형성된 스크린 마스크 하측에 인쇄 대상물품(이하, 작업물)을 구비하고, 스크린 마스크의 상측에서 잉크를 분사하여 분사되는 잉크가 스크린의 인쇄공을 통과되도록 하므로써 작업물의 표면에 목적하는 도안이나 로고 등이 인쇄되도록 하는 것이다.Screen printing includes an object to be prin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ork piece) under a screen mask in which a desired pattern or logo penetrates and a printing hole is formed, and ink sprayed by spraying ink from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mask passes through the printing hole of the screen. By doing so, the desired pattern or logo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이와 같은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종래에는,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각 구성이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대와, 설치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작업물이 장착되는 지그, 지그의 상부에서 작업물로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 공급기구 및 잉크 공급기구와 지그의 사이에 설치되어 작업물로 분사되는 잉크가 인쇄공을 통해 목적하는 도안, 로고 등의 형태로 작업물에 점착되도록 하는 스크린 마스크를 수반하게 된다.As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such screen printing, in the related art, each component for performing printing is provided with a mounting table installed therein, a jig installed at a lower part of the mounting table on which a workpiece is mounted, and ink from the upper part of the jig to the workpiece. It is accompanied by a screen mask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ink supply mechanism for ejecting and the jig and the ink supply mechanism and the jig to be applied to the workpiece in the form of a desired pattern, logo, etc. through the printer.

여기서, 상기 인쇄작업에서 도안이나 로고 등은 대체로 일정한 면적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잉크의 공급은 스크린 마스크 상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분사되어야 하며, 이로인해 상기 잉크 공급기구는 잉크가 분사되는 노즐을 일방향(전, 후, 좌, 우 중 어느 한 방향, 이하, 수평이동으로 기재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를 포함하게 된다.Here, in the printing operation, since a pattern or a logo is generally formed over a predetermined area, the supply of ink must be ejected by moving in one direction on the screen mask, so that the ink supply mechanism moves the nozzle in which the ink is ejected in one direction (front After, the left, and the right, it will include a drive mechanism for moving in any one direction, hereinafter, described as horizontal movement.

또한, 상기 잉크공급기구가 수평이동하기 위한 구성은, 동력원을 모터로 하여 모터의 회전동력을 캠이나 직선왕복기구에서 직선왕복구동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채택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f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ink supply mechanism has been adopted by adopting a device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from the cam or the linear reciprocating mechanism to the linear reciprocating drive using the power source as the motor.

이와 같이 구성된 인쇄장치는 작업자가 지그 상에 작업물을 장착시키면, 잉크 공급기구의 구동기구가 구동되어 상기 노즐은 스크린 마스크 상에서 수평이동되며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In the print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worker mounts a workpiece on a jig,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ink supply mechanism is driven so that the nozzle is horizontally moved on the screen mask and sprays ink to perform printing.

상기된 종래의 스크린 인쇄장치는 지그 상에 작업물이 고정된 상태에서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자동화 인쇄장치, 즉 다량의 작업물을 다수개의 지그에 각각 장착시키고, 이를 이송기구에 의해 이송하며 인쇄를 수행하는 장치에 적용하기에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screen print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is for performing printing in a state in which a workpiece is fixed on a jig, and an automatic printing apparatus, that is, a large number of workpieces are mounted on a plurality of jigs, respectively, and transferred by a transfer mechanism. And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to apply to the printing device.

이와 같은 문제점은 보다 우수한 인쇄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스크린 마스크를 작업물에 최대한 근접시켜 잉크를 분사하기 때문에 분사된 잉크는 작업물의 표면에 점착된 상태에서 스크린 마스크의 인쇄공에 잔여하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그가 진행하게 되면 인쇄공 내부의 잉크가 작업물 상에서 번져 인쇄불량을 야기시키게 된다.The problem is that in order to obtain a better printing state, the ink is ejected by bringing the screen mask as close to the workpiece as possible, so that the ejected ink remains in the printing hole of the screen mask while sticking to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As the jig proceeds in the state, the ink inside the printer may spread on the workpiece, causing a printing failure.

상기된 문제점은 결국, 잉크가 작업물의 표면에 점착된 상태에서 지그가 진행되기 전에 스크린 마스크 자체가 상측으로 상승되어야 만 해소될 수 있는 것이지만 현존하는 스크린 인쇄장치에는 이와 같이 스크린 마스크를 상승/하강시키는 구성이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 problem described above can be solved only after the screen mask itself is lifted upward before the jig proceeds in the state where the ink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but the existing screen printing apparatus can raise / lower the screen mask in this way. The configuration is not applied.

따라서, 위의 구성에서와 같은 인쇄장치는 1개의 작업물에 대한 인쇄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각각 작업수행될 수 밖에 없으며, 자동화된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크린 마스크와 작업물의 간격을 잉크가 작업물의 표면에 점착된 후 인쇄공에 잔여하지 않을 정도의 넓은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인쇄 선명도 및 목적하는 형태의 올바른 인쇄상태를 얻어내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 신뢰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Therefore, in the print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printing work for one work cannot be performed by the operator's manual work, and in order to perform the automated printing, the ink must work between the screen mask and the work. After sticking to the surface of water to maintain a wide interval so as not to remain in the printer to maintain the print clarity and the correct printing state of the desired for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reliability is lowered.

또한, 상기 캠이나 직선왕복기구(대체로 링크기구)는 캠, 또는 여러 링크기구를 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여러 기구를 수반하여 그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의 지연 및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등의 시간적 경제적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cam or the linear reciprocating mechanism (usually the link mechanism) is complicated in structure with the cam or various mechanisms for fixing the various link mechanisms in place, thereby increasing the working time delay and manufacturing cost, etc. Will cause time and economic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스크린 마스크가 작업물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에서 잉크가 분사되도록 하고, 잉크 분사 후 지그가 진행되기 전에 스크린 마스크가 상승구동되도록 하는 승강기구부를 갖추어 보다 우수한 인쇄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스크린 인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ifting mechanism portion to allow the ink is ejected in the state that the screen mask as close as possible to the workpiece, and the screen mask is driven up before the jig proceeds after the ink inje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reen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obtaining a better printing st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 공급기구가 수평이동되기 위한 구성을 단순하게 구성하여 작업시간 단축 및 제작단가를 낮추도록 한 스크린 인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een printing apparatus which is configured to simply configure the configuration for the ink supply mechanism to move horizontally to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작업테이블 상에서 작업물이 장착되는 지그의 진행선상 일측에 설치대가 구비되고, 지그의 진행선상 상측에 구비된 스크린 마스크가 하단부에 결합된 프레임이 설치대의 일측에 장착되며, 스크린 마스크 상부에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기구와, 잉크 공급기구가 결합되어 수평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평이동기구가 프레임에 설치되어 구성된 스크린 인쇄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table on one side of the jig on which the workpiece is mounted on the work table, a fram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creen mask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jig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table, In the screen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n ink supply mechanism for supplying ink and a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coupled to the ink supply mechanism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the screen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상기 설치대의 프레임 측면에는 프레임의 승강을 안내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슬릿을 통해 설치대 내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동력전달기구와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기구와 결합되어 승강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구가 설치대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성된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lit is formed on the frame side of the mounting table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rame, and the frame is installed inside the mounting table through the slit to be liftable and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lifting the frame, and coupl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or lifting. The power generating mechanism for generating pow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 drive unit configured to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스크린 인쇄장치를 자동화 인쇄장치에 적용가능하게 되며, 보다 우수한 인쇄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screen printing apparatus to be applied to an automated printing apparatus, and a better printing state can be obtained.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수평이동기구는, 프레임에서 좌, 우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잉크 공급기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드 블록에 나사결합되며 관통되어 슬라이드 블록에 이동력을 전달하는 나사축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나사축과 결합되어 나사축이 회전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the left and right movement in the frame is coupled, the slide block is coupled to the ink supply mechanism; A screw shaft having both end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screwed to the slide block, and penetrated to transmit a moving force to the slide block; Installed in the frame and coupled to the screw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ower generating mechanism for generating a power to rotate the screw shaft.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수평이동기구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기구의 제작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작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moving mechanism can be simplified to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mechanism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이하,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인쇄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쇄장치가 적용된 자동화 인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화 인쇄장치 평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ed printing apparatus to which the screen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plan view of the automated printing apparatus of FIG.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자동화 인쇄장치는 본 출원인이 2003년 06월 11일 출원한 바 있는 특허출원 제2003-0037419호("휴대폰 프론트 커버용 인쇄장치")를 예시한 것이다.1 and 2 illustrate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3-0037419 ("mobile phone front cover printing apparatus")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on June 11, 2003.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화 인쇄장치(1)는 일측에 공급/배출지점(2)을 갖는 작업테이블(3) 상에 다수개의 지그(4)가 배열장착된 이송기구부(5)가 궤적형성되고, 이송기구부(5)의 궤적선상 일측에 각각 인쇄작업부(6)와 건조기구부(7)가 설치되어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utomated printing apparatus 1 has a trajectory portion 5 formed with a plurality of jigs 4 arranged on a work table 3 having a supply / discharge point 2 on one side. On one side on the locus line of the transfer mechanism part 5, the printing work part 6 and the drying mechanism part 7 are respectively provided.

이와 같은 자동화 인쇄장치(1)는 작업물(O)로 휴대폰의 프론트 커버를 대상으로 예시한다.Such an automated printing apparatus 1 illustrates the front cover of the mobile phone as the workpiece O.

상기 자동화 인쇄장치(1)는 공급/배출지점(2)에서 작업물(O)이 별도의 공급수단(미도시)에 의해 지그(4)에 장착되고, 이송기구부(5)의 구동에 의해 지그(4)가 이동하여 작업물(O)이 인쇄작업위치로 이송된다.In the automated printing apparatus 1, the work O is mounted on the jig 4 by a separate supply means (not shown) at the supply / discharge point 2, and the jig is driven by the transfer mechanism part 5. (4) is moved so that the work piece O is transferred to the print job position.

여기서, 상기 인쇄작업부(6)는 패드인쇄장치(8)와, 스크린 인쇄장치(10)로 구분되는데, 상기 패드인쇄장치(8)는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바 있는 특허출원 제2001-70367호("인쇄 자동화장치의 인쇄수행장치")에 의거하며, 이는 작업물(O)이 패드인쇄장치(8)의 작업지점으로 이송되면 목적하는 도안, 로고가 전사된 패드가 하강하여 작업물(O)에 인쇄를 수행함은 주지된 것과 같다. Here, the print operation unit 6 is divided into a pad printing apparatus 8 and a screen printing apparatus 10, wherein the pad printing apparatus 8 is a patent application No. 2001-70367 that has already been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rc ("printing apparatus of the printing automation device"), which means that when the workpiece O is transported to the working point of the pad printing apparatus 8, the pad on which the desired pattern and logo is transferred is lowered and the workpiece ( Performing printing in O) is as well know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쇄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인쇄장치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4의 인쇄장치 중 설치대를 절개한 측단면도를 나타낸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creen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printing apparatus of Figure 3,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of Figure 4 cut away.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쇄장치(10)는 설치대(20), 스크린 마스크(31)를 갖는 프레임(30), 수평이동기구(40), 잉크공급기구(5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creen prin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ic configuration consisting of the mounting table 20, the frame 30 having the screen mask 31, the horizontal moving mechanism 40, the ink supply mechanism 50 Has

상기 설치대(20)는 지그(4)가 궤적이동되는 선상의 일측 작업테이블(3)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30)이 일측에 결합되기 위해 상, 하로 길이방향을 갖는 슬릿(21)이 형성된다.The mounting table 20 is installed on the work table 3 on one side of the line on which the jig 4 is moved along the trajectory, and a slit 21 having a lengthwise up and down direction is formed to couple the frame 30 to one side. do.

상기 설치대(20)에는 프레임(3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기구(60)가 설치되며, 승강구동기구(60)는 슬릿(21)을 통해 프레임(30)과 결합되어 프레임(30)의 승강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61)와, 설치대(20)의 상측에 설치되고 동력전달기구(61)와 결합되어 프레임(30)의 승강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구인 모터(62)로 구성된다.Lifting mechanism 60 for lifting the frame 30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table 20, the lifting drive mechanism 60 is coupled to the frame 30 through the slit 21 to lift the frame 30 It is composed of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61 for transmitting power, and a motor 62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table 20 and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61 to generate the lifting power of the frame 30. .

상기 동력전달기구(61)는 프레임(30)의 설치대(20) 측면에서 슬릿(21)에 관통되도록 돌출형성된 결합돌기(32)와, 상기 모터(62)와 결합되고 설치대(20)의 슬릿(21) 내측에서 슬릿(21)의 길이방향에 의해 상, 하로 구비되어 그 양단이 설치대(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슬릿(21)을 통해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32)를 상, 하로 관통하며 나사결합된 나사축(63)으로 구성된다.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61 is coup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32 protruding to penetrate the slit 21 at the side of the mounting table 20 of the frame 30, and the slit of the mounting table 20 is coupled with the motor 62 21) is provided up and down by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t 21 in the inner side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mounting table 20 and protrude inwardly through the slit 21 up and down. It consists of a screw shaft 63 penetrated and screwed.

상기 결합돌기(32)와 나사축(63)의 결합은 나사축(63)에 정밀한 나사산, 홈을 형성하여 그 구동의 정밀성을 제공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구동정밀도 및 결합력 등이 우수한 볼스크류의 구성을 채택적용하게 된다.The coupling protrusion 32 and the screw shaft 63 are coupled to the screw shaft 63 to form a precise thread and groove to provide the precision of the driving, but more preferably, the ball screw having excellent driving precision and coupling force. The configuration is adopted.

상기 수평이동기구(40)는 프레임(30)에서 좌, 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 블록(41)과, 슬라이드 블록(41)에 수평으로 관통되며 나사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력을 전달하는 나사축(42)과, 프레임(30)의 일측에 장착되고 나사축(42)과 결합되어 나사축(42)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기구인 모터(43)로 구성된다.The horizontal moving mechanism 40 is a slide block 41 slid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frame 30, and a screw shaft for penetrating horizontally and screwed to the slide block 41 to transmit the slide movement force ( 42 and a motor 43 tha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rame 30 and coupled to the screw shaft 42 to rotate the screw shaft 42.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41)은 프레임(30)과의 사이에서 좌, 우 슬라이드 되는 구간을 안내하도록 하는 가이드기구(44)를 갖추게 되며, 가이드기구(44)는 슬라이드 블록(41)의 프레임(30)과의 대향면 상, 하부에 가이드 돌기(45)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프레임(30)의 면에 가이드 홈(4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Here, the slide block 41 is provided with a guide mechanism 44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slide section between the frame 30, the guide mechanism 44 is a frame ( The guide protrusions 45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30 and the guide grooves 46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rame 30 corresponding thereto.

또한, 상기 나사축(42)과 슬라이드 블록(41)의 결합은 앞서 기재된 동력전달기구에서와 같이 볼스크류의 구성을 채택적용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screw shaft 42 and the slide block 41 is preferably adapted to adopt the configuration of the ball screw as in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described above.

상기 잉크공급기구(50)는 외부의 펌프 등에 의해 공급되는 잉크를 간헐적으로 분사시키기 위해 잉크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기구(51)와, 단속기구(51)를 통해 잉크가 공급될 때 분사 유출구가 되는 잉크노즐(52)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은 이미 어셈블리화 되어 널리 주지된 구성을 채택한다.The ink supply mechanism 50 includes an intermittent mechanism 51 for intermittently supplying ink to intermittently eject ink supplied by an external pump or the like, and a jet outlet when ink is supplied through the intermittent mechanism 51. It consists of an ink nozzle 52, which is already assembled and adopts a well-known configuration.

여기서, 상기 잉크노즐(52)의 하측에는 도안, 로고 등의 형태로 형성된 인쇄공이 형성된 스크린 마스크(31)가 위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린 마스크(31)가 프레임(3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지그(4)가 진행되는 선상의 수직상방에 위치되는 것이다.Here, it is obvious that a screen mask 31 having a printing hole formed in the form of a pattern, a logo, or the like should be positioned below the ink nozzle 52. In this embodiment, the screen mask 31 is a frame 3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jig (4) is to be located in the vertical above the line going.

도면 중 부호64는 모터(62)가 나사축(63)을 회전시키기 위해 각각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이다.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64 denotes a power transmission member such as a gear, in which a motor 62 is coupled to each rotation shaft to transmit the power to rotate the screw shaft 63.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수행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6A to 6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printing process of the screen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서와 같은 초기의 상태에서 작업물(O)이 지그(4)의 이동에 의해 작업위치로 이송되면, 승강구동기구(60)가 구동되어 스크린 마스크(31)가 도 6b에서와 같이 하강되어 작업물(O)의 상면에 근접된다.When the workpiece O is transferred to the working position by the movement of the jig 4 in the initial state as in FIG. 6A, the lifting drive mechanism 60 is driven to lower the screen mask 31 as in FIG. 6B. And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piece (O).

이 때, 상기 스크린 마스크(31)는 승강구동기구(60)의 모터(62)가 회전되면 모터(62)와 결합된 나사축(63)이 회전되고, 나사축(63)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30)의 결합돌기(32)가 나사축(63)의 나사선을 따라 하강되어 프레임(30)과 결합된 스크린 마스크(31)가 하강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motor 62 of the elevating driving mechanism 60 is rotated, the screen mask 31 rotates the screw shaft 63 coupled with the motor 62, and the frame is rotated by the screw shaft 63. The coupling protrusion 32 of the 30 is lowered along the screw line of the screw shaft 63 so that the screen mask 31 coupled with the frame 30 is lowered.

이와 같이 스크린 마스크(31)가 작업물(O)과 근접되면 수평이동기구(40)가 동작되어 잉크공급기구(50)를 도 6c와 같이 수평이동시키며 잉크공급기구(50)에서 잉크를 분사하여 스크린 마스크(31)를 통해 작업물(O)에 인쇄를 수행하게 된다.When the screen mask 31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workpiece O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moving mechanism 40 is operated to horizontally move the ink supply mechanism 50 as shown in FIG. 6C and spray ink from the ink supply mechanism 50.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workpiece O through the screen mask 31.

이 때, 상기 잉크공급기구(50)는 수평이동기구(40)의 모터(43)가 회전됨에 의해 나사축(42)이 회전되어 슬라이드 블록(41)이 이동됨에 의해 수평이동되며, 동시에 상기 잉크공급기구(50)는 단속기구(51)에 의해 잉크노즐(52)을 하측으로 하강시켜 잉크가 잉크노즐(52)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ink supply mechanism 50 is horizontally moved as the screw shaft 42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43 of the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40 and the slide block 41 is moved. The supply mechanism 50 is to lower the ink nozzle 52 by the intermittent mechanism 51 so that the ink is injected through the ink nozzle 52.

여기서, 상기 단속기구(51)에 의한 잉크노즐(52)의 하강 또는 상승은 잉크의 분사를 위해 구동상태이며, 상기 단속기구(51)와 잉크노즐(52)로 된 잉크공급기구(50)는 주지된 기술사안이므로 구체적인 기재를 생략한다.Here, the lowering or raising of the ink nozzle 52 by the intermittent mechanism 51 is driven to eject the ink, and the ink supply mechanism 50 comprising the intermittent mechanism 51 and the ink nozzle 52 is Since it is a well-known technical matter,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상기 도 6c에서와 같은 과정이 수행되면 원내 도면에서와 같이 잉크가 스크린 마스크(32)의 인쇄공(33)을 통해 작업물(O)의 표면에 점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후 지그(4)가 진행되어 인쇄공(33) 내에 잔류하는 잉크가 작업물(O) 표면에 번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승강구동기구(60)가 구동되어 도 6d에서와 같이 프레임(30)을 상측으로 승강시키게 된다.When the process as shown in FIG. 6C is performed, the ink remain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O through the printing hole 33 of the screen mask 32, as shown in the drawing. Then, the jig 4 ), The lifting drive mechanism 60 is driven to prevent the ink remaining in the printing hole 33 from spreading on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O, and the upper side of the frame 30 as shown in FIG. 6D. Will be elevated.

이와 같은 프레임(30)의 상승은 스크린 마스크(31)를 승강시키는 과정으로, 이 과정의 수행에 의해 스크린 마스크(31)의 인쇄공(33)에 잔류하는(구체적으로는 잉크가 작업물 표면에 점착된 상태에서 상측 부분이 인쇄공에 존재하는) 잉크와 분리시키게 된다.The rise of the frame 30 is a process of elevating the screen mask 31, which is left in the printing hole 33 of the screen mask 31 by performing the process (specifically, ink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The upper part is separated from the ink present in the printer.

또한, 프레임(30)을 상승시키는 동작은 승강구동기구(60)의 모터(62)가 회전되어 나사축(63)을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돌기(32)가 나사축(63)의 나사선에 의해 상승되어 수행되는 과정이며, 이 후, 상기 수평이동기구(40)의 모터(43)가 회전되면 모터(43)와 결합된 나사축(42)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41)이 도 6a에서와 같이 초기의 위치로 복귀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frame 30 is performed by the screw 62 of the screw shaft 63 as the engaging projection 32 rotates as the motor 62 of the lifting drive mechanism 60 rotates the screw shaft 63. After this, the slide block 41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42 coupled with the motor 43 when the motor 43 of the horizontal moving mechanism 40 is rotated.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상기된 인쇄 및 잉크공급기구(5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작업완료된 작업물(O)이 장착된 지그(4)가 진행되고 그 다음 차례의 작업물(O)이 장착된 지그(4)가 당 인쇄작업위치로 이동되어 위의 과정을 재수행함에 따라 연속된 인쇄과정이 수행되는 것이다. When the printing and ink supply mechanism 50 described abov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jig 4 on which the finished work O is mounted proceeds, and the jig 4 on which the next work O is mounted proceeds. It is moved to the print job position and the continuous printing process is performed as the above process is performed again.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잉크의 분사가 완료된 후 지그가 진행되기 전에 스크린 마스크가 상, 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여 지그의 진행에 따른 잉크의 번짐 등이 해소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스크린 마스크와 작업물의 간격을 보다 근접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우수한 인쇄상태(정확한 형태의 인쇄 및 높은 인쇄 선명도 등)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creen mask to be lifted up and down after the jet of ink is completed and before the jig proceeds, thereby eliminating the bleeding of the ink due to the progress of the jig, and thus the screen mask. By all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piece and the workpiece to be closer to each other, a better printing state (exact form printing and high print sharpness)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잉크공급기구를 이송시키는 구성을 나사축과 모터 등의 기구에 의해 단순하게 구성하므로써 제작될 때의 시간 및 제작원가를 절감시켜 시간적, 경제적 이익을 얻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time and manufacturing cost when manufactured by simply configuring the configuration for transferring the ink supply mechanism by a mechanism such as a screw shaft and a motor to obtain a time and economic benefit.

도 1은 자동화 인쇄장치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ed printing apparatus.

도 2는 도 1의 인쇄장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printing apparatus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쇄장치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reen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인쇄장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the printing apparatus of FIG.

도 5는 도 4의 인쇄장치 중 일부를 절개한 측단면도.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쇄장치의 구동상태 예시도.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driving state of the screen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스크린 인쇄장치 20: 설치대10: screen printing apparatus 20: mounting table

21: 슬릿 30: 프레임21: Slit 30: Frame

31: 스크린 마스크 32: 결합돌기31: screen mask 32: engaging projection

40: 수평이동기구 41: 슬라이드 블록40: horizontal moving mechanism 41: slide block

42: 나사축 43: 모터42: screw shaft 43: motor

50: 잉크공급기구 60: 승강구동기구 50: ink supply mechanism 60: lift drive mechanism

61: 동력전달기구 62: 모터61: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62: motor

63: 나사축 63: screw shaft

Claims (3)

작업테이블(2) 상에서 작업물(O)이 장착되는 지그(4)의 진행선상 일측에 설치대(20)가 구비되고, 지그(4)의 진행선상 상측에 구비된 스크린 마스크(31)가 하단부에 결합된 프레임(30)이 설치대(20)의 일측에 장착되며, 스크린 마스크(31) 상부에서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기구(50)와, 잉크 공급기구(50)가 결합되어 수평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평이동기구(40)가 프레임(30)에 설치되어 구성된 스크린 인쇄장치에 있어서,The mounting table 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jig 4 on which the workpiece O is mounted on the work table 2, and the screen mask 31 provided above the progress line of the jig 4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combined frame 3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table 20, and the ink supply mechanism 50 for supplying ink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mask 31 and the ink supply mechanism 50 are combined to allow horizontal movement. In the screen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 horizontal moving mechanism 40 is installed in the frame 30, 상기 설치대(20)의 프레임(30) 측면에는 프레임(3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슬릿(21)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0)은 슬릿(21)을 통해 설치대(20) 내부에 설치되어 프레임(30)을 승강시키는 동력전달기구(61)와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기구(61)와 결합되어 승강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구(62)가 설치대(20)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성된 승강구동기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인쇄장치용 스크린 인쇄장치.A slit 21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rame 3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rame 30 of the mounting table 20, and the frame 30 is installed inside the mounting table 20 through the slit 21 to be framed. Is coupled to the elevating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61 for elevating (30), the power generating mechanism 6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table 20 is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61 to generate the lifting power Screen printing apparatus for an automated printing device comprising a lift drive mechanism (60) configu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61)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61 프레임(30)의 설치대(20) 측면에서 설치대(20)의 슬릿(21)을 관통하여 형성된 결합돌기(32)와;A coupling protrusion 32 formed through the slit 21 of the mounting table 20 at the side of the mounting table 20 of the frame 30; 상기 결합돌기(32)의 상,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대(2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동력발생기구(6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프레임(30)이 승강시키는 나사축(6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인쇄장치용 스크린 인쇄장치.The screw shaft through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2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mounting table 20 and is rotated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ng mechanism 62 to move the frame 30 up and down. Screen printing apparatus for an automated pri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6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기구(4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40 프레임(30)에서 좌, 우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잉크 공급기구(50)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41)과;A slide block 41 coupled to the frame 30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and to which the ink supply mechanism 50 is coupled; 상기 프레임(30)의 양측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드 블록(41)에 나사결합되며 관통되어 슬라이드 블록(41)에 이동력을 전달하는 나사축(42)과;Both ends of the frame (30)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screwed to the slide block (41) and penetrates through the screw shaft (42) for transmitting a moving force to the slide block (41);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되고 나사축(42)과 결합되어 나사축(42)이 회전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기구(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인쇄장치용 스크린 인쇄장치.And a power generating mechanism (43) installed on the frame (30) and coupled with the screw shaft (42) to generate power for rotating the screw shaft (42).
KR10-2003-0037690A 2003-06-11 2003-06-11 Screen printer for automatic print system KR1005192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690A KR100519270B1 (en) 2003-06-11 2003-06-11 Screen printer for automatic pri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690A KR100519270B1 (en) 2003-06-11 2003-06-11 Screen printer for automatic print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343U Division KR200324856Y1 (en) 2003-06-11 2003-06-11 Screen printer for automatic pri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583A KR20030051583A (en) 2003-06-25
KR100519270B1 true KR100519270B1 (en) 2005-10-10

Family

ID=2957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690A KR100519270B1 (en) 2003-06-11 2003-06-11 Screen printer for automatic pri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2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66B1 (en) * 2005-10-17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Printing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panel display
KR100885661B1 (en) * 2008-10-16 2009-02-25 주식회사 다도피엠에스 Container iso mark auto marking equipment
KR20130142452A (en) * 2012-06-19 2013-12-30 라인시스템(주) Turn table fully automatic screen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583A (en)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708B1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marking a rubber hose
CN210996592U (en) High-efficient steel sheet drilling machine
KR100519270B1 (en) Screen printer for automatic print system
KR200324856Y1 (en) Screen printer for automatic print system
KR101252157B1 (en) A window glass printing device
JP39046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dhesive
CN209426383U (en) Print the air brushing cutting integration machine of content visible
JP5091334B2 (en) Head nozzle unit,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CN108950916B (en) Embroidery and ink-jet integrated mechanism and method using same
CN212041269U (en) Three proofings coating equipment
CN212353282U (en) Nozzle hole patching device
CN211340156U (en) Full-automatic strip-aligning and lattice-aligning high-speed single-layer cutting machine
CN202685559U (en) Inkjet printing device
KR100558431B1 (en) Printer for a portable telephone pront- cover
CN214717658U (en) Multi-pattern continuous spraying device
CN108738245B (en) Automatic solder paste feeding device for solder paste printer
CN103507412A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CN212827399U (en) Ink jet device and up-down reciprocating ink jet system thereof
CN219442147U (en) Transfer paper spraying machine
KR100537861B1 (en) Object supply device for printer apparatus
KR20020074676A (en) Apparatus boring air vent hole of tire - mould
CN101870192B (en) Straight-rail type automatic bench screen printing machine
KR20030039439A (en) Print processing device for an auto-printing apparatus
JPH10209632A (en) Dispenser in part mounting system
KR100537862B1 (en) Screen printer having a single dri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