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000B1 - 잉크 카트리지 및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잉크 카트리지 및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000B1
KR100519000B1 KR10-2002-0075106A KR20020075106A KR100519000B1 KR 100519000 B1 KR100519000 B1 KR 100519000B1 KR 20020075106 A KR20020075106 A KR 20020075106A KR 100519000 B1 KR100519000 B1 KR 100519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artridge
ink
opening
sensor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559A (ko
Inventor
사사끼도요노리
이이지마쇼오따
Original Assignee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73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using optical means for ink level indication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 카트리지는 중공 니들, 레버, 돌출벽 및 광 센서를 구비한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레버 및 광 센서는 중공 니들의 양 측면 상에 위치되지만,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개구에 더 가깝다. 잉크 카트리지에는 돌출벽 및 광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잉크 카트리지의 전방면 및 하부면에 개방된 두 개의 홈이 형성된다. 차광 부재는 광 센서에 대응하는 홈에 배치된다. 잉크 카트리지가 기록 장치에 장착될 때, 하나의 홈은 수용하며 돌출벽에 의해 안내된다. 다른 홈은 차광 부재가 광 센서 내로 돌출하도록 센서를 수용한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의 전방면은 레버와 접하며, 잉크 카트리지의 전방면의 잉크 공급 구멍이 중공 니들로 삽입되도록 중공 니들을 개방한다.

Description

잉크 카트리지 및 기록 장치{INK CARTRIDGE AND RECORDING DEVICE}
본 발명은 기록 장치 및 기록 장치에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기록 장치에 기록 작업용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카트리지가 마련된다.
일본 특허 제2,768,817호는 개방부가 전방면에 마련된 기록 장치를 개시한다. 서로 다른 컬러의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가 개방부에 마련된다.
미국 특허 제6,142,617호는 상향 개방된 개방부를 구비한 기록 장치를 개시한다.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에 대응하는 홈들이 개방부에 대면하는 측면 모서리에 마련된다. 잉크 카트리지는 홈들과 정렬시킴으로써 위로부터 삽입되고 개방부 내로 낙하된다.
기록 장치를 보다 콤팩트하게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얇고 작은 잉크 카트리지가 제공되고 기록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장치가 보다 콤팩트하도록 보다 편평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를 갖는 것으로서 잉크 카트리지가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기록 장치를 제공하고, 보다 얇고 작으며 기록 장치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는 기록 장치 및 잉크 카트리지의 조합은 기록 장치 및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기록 장치는 개방부, 바닥면, 천장면, 중공 니들, 커버, 레버, 돌출벽 및 센서부를 포함한다. 개방부는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갖는다. 바닥면 및 천장면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는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다. 중공 니들은 기록 헤드에 잉크를 공급한다. 중공 니들은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커버는 개방부에 대해 중공 니들을 선택적으로 덮거나 개방한다. 레버는 니들을 개방하도록 커버를 이동시킨다. 레버는 커버보다 개방부에 가깝게 위치된다. 돌출벽은 레버에 인접해서 바닥면 상에 위치된다. 돌출벽은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센서부는 서로 대면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한다. 레버 및 센서부는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방향 니들의 가상 연장부를 사이에 개재한 두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한다.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면, 전방면, 돌출벽, 작업부, 센서 만입부 및 차광 부재를 포함한다. 하부면은 바닥면에 대해 접하고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중공 니들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전방면은 중공 니들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다. 돌출벽 만입부는 돌출벽을 수용한다. 작업부는 돌출벽 만입부에 인접하고 레버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작업부는 레버를 작용시키기 위한 것이다. 센서 만입부는 센서부를 수용한다. 차광 부재는 잉크 카트리지에 잔류하는 잉크의 양에 대응해서 이동한다. 차광 부재는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센서 만입부로 돌출하고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센서부와 대응해서 마련된다. 센서 만입부 및 돌출벽 만입부는 전방면측에서 볼 때 잉크 공급 구멍의 양 측면을 개재한 위치에서 전방면 및 하부면에서 개방되어 형성된다.
센서부 및 레버는 중공 니들의 양 측면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레버 및 레버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와 커버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 연결된 회로 기판과 충돌하지 않고 기록 장치에 배열될 수 있다. 결국,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는 보다 편평하게 제조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바닥면은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기 용이하도록 잉크 카트리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활주시킬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는 센서부와 확실히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록 장치는 사실상 동일한 가상면 상에서 바닥면 상에 정렬된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는 동일 평면 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는 보다 편평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는 기록 헤드에 의해 기록된 시트에 대한 운송 경로 아래에 위치된다.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는 시트 운송 경로 아래에 배치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전체는 보다 편평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록 장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잉크 카트리지는 상부면을 더 포함한다. 돌출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수평 단부에 마련되며 천장면으로부터 바닥면쪽으로 돌출한다. 상부면은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보다 기록 장치의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천장면쪽으로 더 높게 연장된다. 돌출부는 잉크 카트리지가 개방부에 삽입될 때 잉크 카트리지의 높이 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돌출벽 만입부와 작업부는 기록 장치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잉크 카트리지의 부분에 인접해서 마련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잘못해서 잉크 카트리지의 상면이 아래로 되어 삽입되지 않고 개방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가 잘못된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은 중공 니들로부터 천장면보다 더 멀리 연장된다. 결국,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개방부에 삽입될 때,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가 개방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를 넘어 연장되어서 바닥면을 가로질러 활주하는 바닥부의 부분에 대해 접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고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니들과, 개방부에 대해 중공 니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니들을 개방하도록 커버를 이동시키고 커버보다 개방부에 근접해서 위치된 레버와, 레버에 인접한 바닥면 상에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벽과, 센서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부는 서로 대면하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한다. 레버와 센서부는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방향 니들의 가상 연장부를 사이에 개재한 두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며 하부면, 전방면, 돌출벽 만입부, 작업부, 센서 만입부 및 차광 부재를 포함한다. 하부면은 바닥면에 대해 접하며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중공 니들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전방면은 중공 니들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다. 돌출벽 만입부는 돌출벽을 수용한다. 작업부는 돌출벽 만입부에 인접하고 레버의 위치에 대응하고 레버를 작용시키기 위한 위치에 마련된다. 센서 만입부는 센서부를 수용한다. 차광 부재는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잔량에 대응해서 이동한다. 차광 부재는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센서 만입부로 돌출하고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센서부에 대응해서 마련된다. 센서 만입부 및 돌출벽 만입부는 전방면측에서 볼 때 잉크 공급 구멍의 양 측면을 개재하는 위치에서 전방면 및 하부면에서 개방되어 형성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보다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바닥면을 가로질러 보다 안정적으로 활주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가 기록 장치에 장착될 때 기록 장치의 천장면과 대면하는 상부면을 더 포함한다. 상부면은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보다,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수평 단부에서 천장면 상에 마련된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고 바닥면쪽으로 돌출한 부분에서 천장면쪽으로 더 높게 연장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잘못해서 잉크 카트리지의 상면이 아래로 되어 삽입되지 않고 개방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방면은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더 높고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낮은 돌출 형상을 갖는다. 잉크 공급 구멍은 전방면의 높은 부분의 사실상 수평 중심부에 형성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공급 구멍의 직경은 더 크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공급 구멍에 장착된 플러그의 직경은 더 크게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중공 니들을 사용해서 플러그를 천공하는 것은 보다 용이한다.
돌출벽의 개방부측 선단부가 센서부의 개방부측 선단부보다 개방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기록 장치가 형성될 때, 바람직하게는, 전방면에 개방된 돌출벽 만입부의 단부에 대향하는 돌출벽 만입부의 단부는 전방면에 개방된 센서 만입부의 단부에 대향하는 센서 만입부의 단부보다 전방면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될 때, 돌출벽 만입부와 돌출부는 잉크 카트리지가 폭 방향으로 위치된 후 센서 만입부가 센서부에 도달하도록 잉크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센서 만입부는 센서부를 신뢰성 있게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며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니들과, 개방부에 대해 중공 니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니들을 개방하도록 커버를 이동시키고 커버보다 개방부에 근접해서 위치된 레버와, 레버에 인접한 바닥면 상에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벽과, 서로 대면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레버와 센서부는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방향 니들의 가상 연장부를 사이에 개재한 두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잉크 카트리지는 하부면, 전방면, 돌출벽 만입부 및 센서 만입부를 포함한다. 하부면은 바닥면에 대해 접하고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중공 니들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전방면은 중공 니들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다. 돌출벽 만입부는 돌출벽을 수용한다. 센서 만입부는 센서를 수용한다. 센서 만입부와 돌출벽 만입부는 전방면측에서 볼 때 잉크 공급 구멍의 양 측면을 개재한 위치에서 전방면과 하부면에서 개방되어 형성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보다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바닥면을 가로질러 보다 안정적으로 활주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기록 장치가 천장면으로부터 바닥면쪽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포함할 때, 바람직하게는, 돌출부는 잉크 카트리지가 개방부에 삽입될 때의 잉크 카트리지의 높이 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잘못해서 잉크 카트리지의 상면이 아래로 되어 삽입되지 않고 개방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며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니들과, 개방부에 대해 중공 니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커버보다는 개방부에 근접해서 위치되며 니들을 개방하도록 커버를 이동시키기기 위해 바닥면 상에 있고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니들 축방향으로부터 변위된 위치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한 레버와, 레버에 인접한 바닥면 상에 위치된 돌출벽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돌출벽은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레버는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방향 니들의 가상 연장부를 사이에 개재한 두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면, 전방면, 돌출벽 만입부 및 작업부를 포함한다. 하부면은 바닥면에 대해 접하고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중공 니들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전방면은 중공 니들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다. 돌출벽 만입부는 돌출벽을 수용하기 위해 하부면과 전방면으로 개방된다. 돌출벽 만입부는 전방면측에서 볼 때 하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잉크 공급 구멍으로부터 변위된다. 작업부는 돌출벽 만입부에 인접하고 레버의 위치에 대응하고 레버를 작용시키기 위한 위치에 마련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보다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바닥면을 가로질러 보다 안정적으로 활주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가 기록 장치에 장착될 때 기록 장치의 천장면과 대면하는 상부면을 더 포함한다. 상부면은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보다,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수평 단부에서 천장면 상에 마련된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고 바닥면쪽으로 돌출한 부분에서 천장면쪽으로 더 높게 연장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잘못해서 잉크 카트리지의 상면이 아래로 되어 삽입되지 않고 개방부로 삽입될 수 있다. 원하는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가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 사이에서 용이하게 장착되고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방면은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더 높고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낮은 돌출 형상을 갖는다. 잉크 공급 구멍은 전방면의 높은 부분의 사실상 수평 중심부에 형성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공급 구멍의 직경은 더 크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공급 구멍에 장착된 플러그의 직경은 더 크게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중공 니들을 사용해서 플러그를 보다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게 된다. 잉크 카트리지는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바닥면으로부터 천장면으로연장된 좌우 측면들과,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며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니들과, 개방부에 대해 중공 니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바닥면 상에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벽과, 서로 대면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와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센서부는 하부면과 평향한 방향으로 니들 축방향으로부터 변위된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한다. 센서부는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방향 니들의 가상 연장부를 사이에 개재한 두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면, 전방면, 센서 만입부 및 차광 부재를 포함한다. 하부면은 바닥면에 대해 접하고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중공 니들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전방면은 중공 니들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다. 센서 만입부는 센서부를 수용하기 위해 전방면 및 하부면으로 개방된다. 센서 만입부는 전방면측에서 볼 때 하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잉크 공급 구멍으로부터 변위된다. 차광 부재는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잔량에 대응해서 이동한다. 차광 부재는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센서 만입부로 돌출하고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센서부에 대응해서 마련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보다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바닥면을 가로질러 보다 안정적으로 활주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잉크 잔량이 검출될 수 있다.
기록 장치가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좌우 측면 사이의 거리가 다른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좌우 측면 사이의 거리와 다른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를 포함할 때,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의 좌우 측면중 하나와 센서 만입부 사이의 거리는 다른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의 좌우 측면중 하나와 센서 만입부 사이의 거리와 다르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예컨대 서로 다른 컬러의 잉크로 인쇄하기 위해, 복수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잉크 카트리지가 사용될 때, 잉크 카트리지가 잘못된 위치에 장착되면 센서부는 잉크 카트리지에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가 잘못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기록 장치가 천장면으로부터 바닥면쪽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포함할 때, 바람직하게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가 개방부에 삽입될 때 기록 장치의 돌출부와 바닥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 높이를 갖는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잘못해서 잉크 카트리지의 상면이 아래로 되어 삽입되지 않고 개방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벽이 센서 만입부에 마련된다. 고정벽은 고정부가 발광부 및 수광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개방부 내로의 삽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내부 홈을 포함한다. 홈은 이동 가능한 조건으로 차광 부재를 수용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잔량은 신뢰성 있게 검출될 수 있으며 동시에 편평 구성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는 연결부와, 서로 대면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센서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외부 형상부 및 차광 부재를 포함한다. 외부 형상부는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내측과 사실상 일치한다. 외부 형상부는 센서부를 수납하는 외형을 포함한다. 차광 부재는 외부 형상부의 외형 내에 배치된다. 차광 부재는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진입하거나 이들 사이로부터 나오도록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잔량에 대응해서 이동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차광 부재가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돌출하지 않은 편평한 구성을 갖는다. 결국, 잉크 카트리지는 기록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부를 수납하는 센서 만입부가 외형에 마련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편평한 형상으로 간단히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형상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연결부와 잉크 공급 구멍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센서 만입부를 더 포함한다. 차광 부재는 잉크 공급 구멍을 연결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센서 만입부에서 연장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편평한 형상으로 간단히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벽이 센서 만입부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벽은 고정부가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개방부로의 삽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내부 홈을 포함한다. 홈은 이동 가능한 조건에서 차광 부재를 수납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차광 부재는 외측으로부터 차단됨으로써 잉크가 누출할 위험이 없다. 또한, 잉크 잔량이 신뢰성 있게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며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고 연결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수평 단부에서 마련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돌출부는 천장면으로부터 바닥면으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하부면과 전방면과 상부면을 포함한다. 하부면은 바닥면에 대해 접하고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연결부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전방면은 연결부와 연결 가능한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다. 상부면은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보다 기록 장치의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천장면쪽으로 더 높게 연장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보다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바닥면을 가로질러 보다 안정적으로 활주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는 잘못해서 잉크 카트리지의 상면이 아래로 되어 삽입되지 않고 개방부로 삽입될 수 있다.
기록 장치가 돌출부보다 천장면의 연결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마련되고 하향 돌출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할 때, 바람직하게는, 돌출부에 대응하고 스프링 부재와 활주가능하게 접하도록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잉크 카트리지를 삽입하기 위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부면이 마련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바닥면을 가로질러 보다 안정적으로 활주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유지부 및 가요성 필름을 더 포함한다. 잉크 유지부는 천장면쪽으로 더 높이 연장되는 상부면의 부분에 대응하는 내부에 배치된다. 가요성 필름은 잉크 유지부를 덮는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가 편평 형상이더라도 대량의 잉크가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방면은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높고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낮은 돌출 형상을 갖는다. 잉크 공급 구멍은 전방면의 높은 부분의 사실상 수평 중심부에 형성된다. 잉크 공급 구멍은 직경이 크기 때문에, 잉크 공급 구멍은 기록 장치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중공 니들과 에어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와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 공급 부재는 중공 니들에 인접하며 에어 압력원에 연결된 에어 공급 구멍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케이스와, 가요성 필름과, 탄성 플러그 부재와, 개방부와, 에어 공급 부재에 접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케이스에는 내부에 잉크 챔버가 마련된다. 가요성 필름은 잉크 챔버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탄성 플러그 부재는 잉크 챔버를 차단한다. 중공 니들은 탄성 플러그 부재를 천공하며 잉크 챔버로부터 기록 장치로 잉크를 공급한다. 개방부는 플러그 부재에 인접한 위치에서 케이스에 형성된다. 개방부는 잉크 챔버로 개방된다. 잉크 공급 부재와 접하는 부분은 잉크 카트리지가 기록 장치에 장착될 때 에어 공급 구멍이 공급부를 덮는 방식으로 접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의 기록 헤드는 정화 작업이 기록 장치에 의해 수행될 때 정압이 잉크에 인가되기 때문에 양호한 작업 조건으로 복귀될 수 있다.
기록 장치가 잉크 카트리지의 케이스와 접하는 에어 공급 구멍의 선단부에 마련된 탄성 링형 시일 부재를 더 포함할 때, 바람직하게는, 시일 부재에 접하는 케이스의 부분은 사실상 편평하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케이스의 에어 공급 구멍과 개방부는 신뢰성 있게 유체 연통될 수 있다.
기록 장치가 잉크 카트리지의 케이스와 접하는 에어 공급 구멍의 선단부에 마련된 탄성 링형 시일 부재와, 케이스쪽으로 시일 부재를 압박하는 에어 공급 구멍 상에 마련된 스프링 수단과, 로크 수단을 더 포함할 때, 바람직하게는, 잉크 카트리지의 케이스는 스프링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해서 로크 수단과 결합하는 만입부를 포함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만입부는 잉크 카트리지가 기록 장치에 장착되고 잉크 카트리지의 전방면이 스프링 수단의 작업에 대항해서 에어 공급 구멍과 접할 때 기록 장치의 로크 수단과 결합한다. 결국, 잉크 카트리지는 스프링 수단의 압박력에 관계없이 소정 위치에 유지되며 에어 공급 구멍과 중공 니들은 연결 조건으로 유지될 수 있다.
기록 장치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장착 위치에 잉크 카트리지를 로킹하는 로크 수단을 더 포함할 때, 바람직하게는, 중공 니들 및 에어 공급 구멍에 잉크 카트리지를 연결하고 분리하는 방향은 중공 니들과 탄성 플러그 부재가 연결된 후 에어 공급 구멍과 개방부가 유체 연통하고 중공 니들과 탄성 플러그 부재가 분리되기 전에 에어 공급 구멍과 개방부가 분리되도록 관련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에어 공급 구멍과 개방부는 잉크 카트리지가 기록 장치로 장착될 때 중공 니들이 탄성 플러그 부재로 삽입된 후 연결된다. 또한, 중공 니들은 잉크 카트리지가 제거될 때 에어 공급 구멍과 개방부가 분리된 후 탄성 플러그 부재로부터 분리된다. 에어 공급원이 작동하는 동안 잉크 카트리지가 제거되더라도, 중공 니들이 탄성 플러그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 잉크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록 장치가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개방부에 대해 중공 니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커버보다 개방부에 근접해서 위치되며 니들을 개방하도록 커버를 이동시키기 위해 바닥면 상에 있고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니들 축방향으로부터 변위된 위치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방향 니들의 가상 연장부를 사이에 개재한 두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하는 레버와, 레버에 인접한 바닥면 상에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벽을 더 포함하며, 중공 니들과 에어 공급 구멍은 개방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 경우, 잉크 카트리지는 하부면, 전방면, 돌출벽 만입부 및 작업부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하부면은 바닥면에 대해 접하고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중공 니들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전방면은 개방부와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다. 돌출벽 만입부는 돌출벽을 수용하기 위해 하부면과 전방면으로 개방된다. 돌출벽 만입부는 전방면측에서 볼 때 하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잉크 공급 구멍으로부터 변위된다. 개방부는 잉크 공급 구멍과 돌출벽 만입부 사이에 위치된다. 작업부는 돌출벽 만입부에 인접하고 레버의 위치에 대응하고 레버를 작용시키기 위한 위치에 마련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에 작업부와 만입부와 개방부와 탄성 플러그 부재가 마련되면서도, 잉크 카트리지는 보다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바닥면을 가로질러 보다 안정적으로 활주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바닥면의 사실상 동일 평면 상에서 상호간에 서로의 다음에 정렬된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며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된 중공 니들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와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하부면과 전방면과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하부면은 잉크 공급 구멍을 연결부에 연결하는 방향으로 개방부측으로부터 바닥면을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전방면은 중공 니들과 연결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다. 후방 단부는 전방면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있다. 후방 단부는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 조건에 있을 때 개방부로부터 노출된다. 후방 단부는 복수개의 카트리지 장착부가 정렬된 방향으로 전방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다. 잉크 카트리지의 후방 단부는 좁은 폭을 갖기 때문에,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잉크 카트리지의 후방 단부 사이에는 공간이 개방된다. 하나의 원하는 잉크 카트리지의 후방 단부가 용이하게 파지되어 취출될 수 있다. 또한, 기록 장치에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할 때, 사용자는 후방 단부를 파지해서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부에 삽입하고, 다른 잉크 카트리지 사이에 잉크 카트리지를 정렬시키기 위해 바닥면 위로 잉크 카트리지를 활주시킨다.
기록 장치의 바닥면이 중공 니들측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천장면보다 더 연장될 때, 바람직하게는, 후방 단부는 천장면 너머로 연장되는 바닥면의 일 부분에 위치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개방부 내로 삽입될 때, 잉크 카트리지는 개방부 너머로 연장되는 바닥면의 부분에 대해 접하고 바닥면 위로 활주함으로써 개방부 내로 용이하게 활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며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며 연결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바닥면은 연결부측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부보다 더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하부면과 전방면과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하부면은 연결부에 잉크 공급 구멍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개방부로부터 바닥면을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전방면은 중공 니들과 연결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다. 후방 단부는 전방면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있다. 후방 단부는 개방부로부터 돌출한 바닥면의 일 부분 상에 위치된다. 후방 단부에는 그 상부면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기 위한 상향 돌출 리브가 형성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할 때, 사용자는 리브를 누르고 그 하부면을 바닥면 위에서 활주시킴으로써 잉크 카트리지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40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와 잉크 카트리지(200)를 사용하는 다기능 장치(1)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1 내지 도11을 참조로 잉크 카트리지(200)를 사용하는 다기능 장치(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장치(1)를 도시한다. 다기능 장치(1)는 스캐너 기능과, 복사 기능과, 팩시밀리 기능을 포함한다. 다기능 장치(1)는 검색 유닛(10)과 잉크 제트 기록 유닛(20)을 포함하는 얇고 콤팩트한 구성을 갖는다. 잉크 제트 기록 유닛(20)은 검색 유닛(10) 상에 배치된다. 제어 패널(12)은 검색 유닛(10) 상에 마련된다. 잉크 제트 기록 유닛(20)에는 시트 공급 트레이(22)가 마련된다. 다기능 장치(1)에는 전화기(24)와 안테나(26)가 마련된다. 전화기(24)는 안테나(26)를 사용해서 무선 핸드폰(도시 안됨)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전화기(24)는 공중 전화 회로와의 접속이 가능하고 무선 핸드폰이 전화 통화용으로 사용중에 무선 핸드폰(도시 안됨)용 전송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전력원, 주 기판, NCU 기판 및 두 개의 매체 기판 장치(28)가 기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와 더불어 잉크 제트 기록 유닛에 마련된다. 주 기판은 다기능 장치(1)의 작업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NCU 기판은 팩시밀리 기능 및 전화기 기능을 위한 공중 전화 회로와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두 개의 매체 슬롯(29)은 잉크 제트 기록 유닛(20)의 전방면에 마련된다. 매체 슬롯(29)중 어느 하나에 외부 메모리 매체를 삽입함으로써, 외부 매체는 매체 기판 장치(28)중 하나에 대응해서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매체 기판 장치(28)는 외부 메모리 매체로부터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취해진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검색하며, 이 데이터는 인쇄 등을 위해 사용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유닛(10)은 평반형 검색 유닛이고 검색 유닛 케이스(14)를 포함한다. 검색 유닛 케이스(14)는 스캐닝될 서류가 위치된 서류 글래스(15)를 포함한다. 접촉 화상 센서(16)가 서류 글래스(15) 아래에 배치된다. 접촉 화상 센서(16)의 스캐닝 이동을 생성하는 구성이 마련된다. 서류 글래스(16)의 상부면을 덮기 위한 상부 커버(17)가 검색 유닛 케이스(14)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어 패널(12)은 검색 유닛 케이스(14)의 전방으로 상부면 상에 마련된다. 사용자는 복사 작업, 팩시밀리 작업 또는 스캐너 작업과 같은 다기능 장치(1)의 작업을 위한 명령을 제어 패널(12)을 거쳐 입력한다.
평반형 검색 유닛(10)이 잉크 제트 기록 유닛(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착 수단(도시 안됨)이 마련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유닛(10) 아래의 잉크 제트 기록 유닛(20)은 하우징(30)을 포함한다. 시트 공급 트레이(22)는 하우징(30)의 내측으로부터 하우징(30)의 후방부 위로 돌출한다. 시트 공급 롤러(23)는 시간당 한 장의 시트가 공급될 수 있도록 시트 공급 트레이(22)에 마련된다. 프린터 엔진(60)은 시트가 시트 공급 트레이(22)로부터 수납된 위치에 기록부로서 마련된다. 시트 배출부(D)는 프린터 엔진(60)의 전방에 마련된다. 프린터 엔진(60)에 의해 기록된 시트는 시트 배출부(D)로부터 배출된다. 시트 배출 트레이(34)는 시트 배출부(D)에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다. 시트 배출 트레이(34)는 시트 운송 경로의 일 부분으로서 작용한다. 잉크 카트리지(200)(도12)가 장착되는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는 시트 배출부(D)와 하우징(30)의 기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런 방식에서,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는 프린터 헤드(6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커버(40)에 의해 위로부터 덮힌다. 커버(40)는 엔진 커버부(42)와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를 갖는다. 엔진 커버부(42)는 위로부터 프린터 엔진(60)을 덮는다.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는 시트 배출부(D) 아래에 마련되며 위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를 덮는다. 엔진 커버부(42)의 전방면은 시트 배출 포트(46)를 형성하도록 개방된다. 카트리지 유지부(44)는 프린터 엔진(60)에 의해 기록된 시트가 운송되는 경로 아래, 즉 시트 배출 트레이(34) 아래에 위치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는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의 천장면으로 기능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는 잉크 카트리지(200)가 전방면 개방부(O)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의 후방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와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 사이에 형성된다. 전방면 커버(50)는 전방면 개방부(O)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된다(도4, 도6). 전방면 커버(50)는 상부면 벽(52)과 전방면 벽(54)을 포함한다. 전방면 커버(5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될 때, 상부면 벽(52)은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와 동일한 가상 평면 상에 정렬되며 전방면 벽(54)은 상부면 벽(52)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만곡형 돌출 리브(47)가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다. 만곡형 돌출 리브(47)의 만곡 형상은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에 장착된 네 개의 잉크 카트리지(200)의 상부면의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노치(48)가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의 좌우측 단부에 형성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 커버(50)에 마련된 한 쌍의 아암(56)은 전방면 커버(50)가 개방될 때 노치(48)에 의해 수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섯 개의 격벽(110)은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의 기부벽(32) 상에 정렬된다. 피봇 샤프트(57)가 두 개의 단부 위치 격벽(110)으로부터 돌출한다. 전방면 커버(50)의 아암 쌍(56)은 사용자가 전방면 커버(50)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피봇 샤프트(57)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곱 개의 수직 리브(58)는 커버(50)가 폐쇄될 때 수직 방향 연장되도록 전방면 커버(50)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수직 리브(58)는 전방면 커버(50)의 전방면 벽(54)으로부터 상부면 벽(52)의 일 부분으로 연장된다. 일곱 개의 수직 리브(58)중 네 개는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200)의 폭방향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방면 커버(50)가 도6에 도시된 개방 조건으로부터 폐쇄될 때, 대응하는 수직 리브(58)는 임의의 부분 삽입된 잉크 카트리지(200)를 잉크 유지부 기록 시트(P) 내로 자동적으로 깊이 누름으로써 잉크 카트리지(200)중 하나가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 내로 불완전하게 삽입될 때에도 잉크 카트리지(200)가 정확히 삽입된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측방향 리브가 전방면 커버(50)의 후방면에도 형성된다. 측방향 리브는 일곱 개의 수직 리브(58)와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곱 개의 수직 리브(58)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은 전방면 개방부(O)쪽으로 잉크 카트리지(200)를 안내하기 위해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된다.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된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의 부분에는 격벽(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만입부(102)가 형성된다. 만입부(102)는 평면에서 볼 때 사분원 또는 반원 형상을 갖는다. 만입부(102)는 사용자가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에 내장된 잉크 카트리지를 손가락을 사용해서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에 내장된 잉크 카트리지(200)의 파지부(202)보다 좁은 폭을 갖는다.
도7은 커버(40)와 전방면 커버(50)가 잉크 제트 기록 유닛(20)으로부터 제거된 다기능 장치(1)를 도시한다. 도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개방 상부측을 가지며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의 전방면 개방부(O)는 하우징(30)의 전방면측이다. 두 개의 매체 기판 장치(28)는 매체 슬롯(29)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후술할 정압 펌프(36)는 매체 기판 장치(28) 뒤에 배치된다.
블랙(K)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k), 시안(C)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c), 옐로우(Y)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y) 및 마젠타(M)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m)는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의 좌우 방향으로 정렬된다. 블랙(K)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k)는 블랙(K) 잉크 카트리지(200k)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시안(C)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c)는 시안(C) 잉크 카트리지(200c)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옐로우(Y)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y)는 옐로우(Y) 잉크 카트리지(200y)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마젠타(M)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m)는 마젠타(M) 잉크 카트리지(200m)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블랙(K) 잉크 카트리지(200k), 시안(C) 잉크 카트리지(200c), 옐로우(Y) 잉크 카트리지(200y) 및 마젠타(M) 잉크 카트리지(200m)를 종합해서 잉크 카트리지(200)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블랙(K)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k), 시안(C)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c), 옐로우(Y)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y) 및 마젠타(M)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m)를 종합해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로 지칭하기로 한다.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는, 커버(40)의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를 형성하는 천장판 아래에서 그리고 시트 운송 경로의 일 부분으로서 작용하는 시트 배출 트레이(34) 아래에서, (기부벽(32) 상의) 동일 가상면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정렬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로부터 형성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는 전체적으로 편평하고 사실상 평행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다기능 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은 얇고 콤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잉크 공급 기구(80), 정압 인가 기구(90) 및 카트리지 장착 기구(1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마련된다. 각각의 카트리지 장착 기구(100)는 후술하는 대응하는 잉크 카트리지(200)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정압 인가 기구(90)는 정압 펌프(36)로부터 장착 잉크 카트리지(200)의 잉크에 정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잉크 공급 기구(80)는 프린터 엔진(60)으로 장착 잉크 카트리지(200)의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프린터 엔진(60)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튜브(T)는 잉크 공급 기구(80)로부터 연장된다. 즉, 블랙(K) 잉크 공급 튜브(Tk)는 블랙(K)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k)로부터 연장되며, 시안(C) 잉크 공급 튜브(Tc)는 시안(C)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c)로부터 연장되며, 옐로우(Y) 잉크 공급 튜브(Ty)는 옐로우(Y)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y)로부터 연장되며, 마젠타(M) 잉크 공급 튜브(Tm)는 마젠타(M)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m)로부터 연장된다. 이하에서는, 블랙(K) 잉크 공급 튜브(Tk), 시안(C) 잉크 공급 튜브(Tc), 옐로우(Y) 잉크 공급 튜브(Ty) 및 마젠타(M) 잉크 공급 튜브(Tm)를 종합해서 잉크 공급 튜브(T)로 지칭하기로 한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폐잉크 흡수재가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 뒤 프린터 엔진(60) 아래에서 하우징(30)에 배치된다. 프린터 엔진(60)은 엔진 하우징(62)을 포함한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시트 운송 슬롯이 엔진 하우징(62)의 후방면에 형성된다. 시트 운송 슬롯은 시트 공급 트레이(22)로부터 공급된 시트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엔진측 시트 배출 슬롯(64)은 엔진 하우징(62)의 전방면에 형성된다. 엔진측 시트 배출 슬롯(64)은 프린터 엔진(60)에 의해 기록된 시트를 시트 배출부(D)쪽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시트 운송 경로는 시트 운송 슬롯으로부터 엔진측 시트 배출 슬롯(64)으로 엔진 하우징(62)에 추가로 한정된다. 인쇄된 시트는 커버(40)가 하우징(30)을 덮는 동안 엔진측 시트 배출 슬롯(64)이 시트 배출 포트(46)와 대면하기 때문에(도4) 시트 배출부(D)쪽으로 배출된다. KC 튜브 개구(66) 및 YM 튜브 개구(68)가 엔진 하우징(62)의 전방면에 형성된다. KC 튜브 개구(66)는 프린터 엔진(60)에 블랙(K) 잉크 공급 튜브(Tk)와 시안(C) 잉크 공급 튜브(Tc)를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YM 튜브 개구(68)는 프린터 엔진(60)에 옐로우(Y) 잉크 공급 튜브(Ty)와 마젠타(M) 잉크 공급 튜브(Tm)를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린터 엔진(60)으로 주 회로 기판에 연결된 케이블들을 도입하기 위한 케이블 개구가 엔진 하우징(62)의 전방면에도 형성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운송 기구(76)가 엔진 하우징(62)에 내측에 마련된다. 시트 운송 기구(76)는 시트 공급 롤러(23)로부터 시트 운송 경로를 따라 엔진측 시트 배출 슬롯(64)으로 시트를 운송하는 복수개의 롤러쌍으로 제조된다. 캐리지 스캔 샤프트(72)는 시트 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에서 연장된다. 캐리지(74)가 캐리지 스캔 샤프트(72)를 따라 왕복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캐리지 스캔 샤프트(72) 상에 마련된다.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가 캐리지(74)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한 그룹의 노즐이 상술한 복수개의 잉크 컬러의 각각에 대해 형성된다. 각각의 노즐은 노즐이 잉크를 기록 시트 상으로 하향 토출하도록 하향 대면한다. 네 개의 잉크 공급 튜브(T)(Tk, Tc, Ty, Tm)와 케이블은 네 개의 잉크(블랙, 시안, 옐로우, 마젠타)를 공급하고 압전 잉크 제트 헤드(72)로 신호를 구동하도록 대응하기 위해 노즐 그룹에 연결된다. 캐리지(74)는 캐리지 스캔 샤프트(72)와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를 따라 주사하며 노즐 그룹의 폭에 대응하는 폭의 대역으로 기록한다. 한 번의 주사가 완료되는 각각의 시간에, 시트 운송 기구(76)는 기록 대역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시트를 공급한다. 정화 유닛(78)이 캐리지 스캔 샤프트(72) 위에 그리고 시트 운송 경로로부터 변위된 위치에 마련된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정화 유닛(78)은 공지된 캡과 펌프를 포함한다.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가 움직이지 않을 때와 같은 어떤 상황에서,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는 정화 유닛(78)과 대면하는 위치로 운송되며, 캡이 노즐을 덮고 펌프가 노즐로부터 캡을 거쳐 잉크를 흡입하는 정화 작업이 수행된다.
단지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만이 캐리지(74) 상에 장착된다.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에 내장된 잉크 카트리지(200)로부터의 잉크는 튜브(T)를 거쳐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로 공급된다. 또한,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는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 위에 수직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와 잉크 카트리지(200) 사이에는 압력 헤드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부압, 즉 잉크(도시 안됨)가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의 노즐로부터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 압력이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의 노즐의 잉크 상에 작용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공급 기구(80), 정압 인가 기구(90) 및 카트리지 장착 기구(100)는 네 개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각각에 대해 사실상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잉크 공급 기구(80)는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과 잉크 공급 튜브(T)에 연결된 버퍼 탱크(84)로 형성된다.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은 전방면 개방부(O)쪽으로 연장된다. 중공 니들(82)은 중공형이며 공지된 중공 니들 방식으로 선단부의 측면들 상에 내측으로 연결된 한 쌍의 구멍이 형성된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대응하는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은 잉크가 버퍼 탱크(84)로 공급되도록 잉크 카트리지(200)로 삽입된다. 버퍼 탱크(84)는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에 의해 공급된 잉크를 일시로 유지하며 잉크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낸다. 그후 이런 방식으로 걸러진 잉크는 대응하는 잉크 공급 튜브(T)를 거쳐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로 공급된다.
정압 인가 기구(90)는 잉크 카트리지(200)의 잉크에 정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정압 인가 기구(90)는 정압 펌프(36)에 연결된 정압 인가 부재(91)로 형성된다. 네 개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마련된 전체 네 개의 정압 인가 부재(91)가 정압 인가 튜브(92)를 거쳐 정압 펌프(36)에 직접 연결된다. 정압 펌프(36)와 정압 인가 튜브(92) 사이에는 릴리프 밸브(도시 안됨)가 있다. 정압 인가 펌프(36)를 구동하면 에어는 네 개의 정압 인가 부재(91)로부터 정압 인가 튜브(92)를 거쳐 잉크 카트리지(200)로 사실상 동일한 압력으로 유동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정압 인가 부재(91)는 링형 탄성 부재(93)와 지지 부재(96)로 제조된다. 지지 부재(96)는 링형 탄성 시일 부재(93)를 지지하지만 스프링(94)는 링형 탄성 시일 부재(93)를 전방면 개방부(O)쪽으로 압박한다. 링형 탄성 시일 부재(93)는 정압 펌프(36)로부터 정압 인가 튜브(92)와 유체 연결된 중심에 위치된 정압 구멍(98)을 포함한다. 정압 구멍(98)은 전방면 개방부(O)와 대면한다.
카트리지 장착 기구(100)는 격벽(110)과,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 상의 만입부(102)와, 가이드 돌출벽(120)과, 니들 보호판(130)과, 니들 보호판(130)의 로크 부재(180)(도11)와, 레버를 형성하는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와, 취출 로크 돌출부(160)와,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를 포함한다.
격벽(110)은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으로부터 상향 돌출하고 전방면 개방부(O)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쪽으로 연장되도록 각각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격벽(110)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폭을 한정한다. 인접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 사이에 위치된 격벽(110)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를 격리하도록 작용하기도 한다.
각각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폭은 대응하는 잉크 카트리지(200)가 내부에 장착되도록 대응하는 잉크 카트리지(200)의 폭에 적절한 크기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안(C) 잉크 카트리지(200c), 옐로우(Y) 잉크 카트리지(200y) 및 마젠타(M) 잉크 카트리지(200m)의 폭은 동일하다. 내부의 블랙 잉크가 인쇄중에 보다 자주 사용되는 블랙(B) 잉크 카트리지(200k)의 폭은 시안(C) 잉크 카트리지(200c), 옐로우(Y) 잉크 카트리지(200y) 및 마젠타(M) 잉크 카트리지(200m)의 폭보다 크며, 큰 내부 용량을 갖는다. 이런 이유로 해서, 시안(C)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c), 옐로우(Y)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y) 및 마젠타(M)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m)의 폭은 동일하며 블랙(B)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k)의 폭은 다른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폭보다 크다.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은 중공 니들(82)로부터 전방면 개방부(O)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된다. 천장면, 즉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는 전방면 개방부(O)의 위치까지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보다 더 전방으로 연장된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의 부분은 전방면 커버(50)가 개방 조건에 있는 동안 위로부터 개방되며 잉크 카트리지(200)가 장착되는 동안 전방면 개방부(O)쪽으로 잉크 카트리지(200)를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모든 카트리지 장착 기구(100)는 사실상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10을 참조해서 대표 카트리지 장착 기구(100)를 설명한다. 니들 보호판(130)과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와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와 취출 로크 돌출부(160)는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의 길이 방향 연장되는 축에 대해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의 측면으로부터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의 전방으로 순서대로 위치된다. 가이드 돌출벽(120)과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와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는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의 길이 방향 연장되는 축을 사이에 두며, 여기에서 가이드 돌출벽(120)과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는 하나의 폭 방향측에 있고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는 다른 폭방향측에 있다. 가이드 돌출벽(12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는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 돌출벽(120)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니들 보호판(130)은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 돌출벽(120)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사이에 위치되며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보다 더 후방으로 위치된다.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도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 돌출벽(120)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사이에 위치되며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보다 더 깊이 위치된다.
도9에서, 가이드 돌출벽(120) 및 가장 근접한 격벽(110)은 모든 카트리지 장착부(Sc, Sy, Sm, Sk)에서 좌우 방향으로 동일 거리(La)만큼 분리된다. 또한, 가이드 돌출벽(120)과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는 시안(C)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c), 옐로우(Y)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y) 및 마젠타(M)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m)에서 좌우 방향으로 동일 거리(Lb1)만큼 분리된다. 그러나, 다른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한 가이드 센서 개재 거리(Lb1)보다 블랙(K)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k)에서 가이드 돌출벽(120)과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는 더 긴 거리(Lb2)만큼 분리된다.
다시 도6에서, 격벽(110)은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으로부터 커버(40)의 하부면까지 상향 연장된다. 도10에서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확장부(112)이 각각의 격벽(110)의 상부에 형성된다. 도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확장부(112)는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로부터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쪽으로 돌출한다. 확장부(112)는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된 후 잉크 카트리지의 수직 경사와 위치를 조절한다. 각각의 격벽(110)의 전방면 개방부(O)측 단부에서 확장부(112)에는 하부측에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테이퍼 형상이 형성된다. 각각의 격벽(110)의 전후방 중심에 형성된 확장부(112)는 잉크 카트리지(200)를 하향 압박하고 삽입된 잉크 카트리지(200)의 수직 이동을 조절하는 스프링(114)을 포함한다.
다시 도10의 대표예를 볼 때, 가이드 돌출벽(120)은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에 인접한 위치에서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으로부터 상향 돌출한다. 가이드 돌출벽(120)과 인접한 격벽(110) 사이의 거리(La)는 사용자가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와 접촉하고 니들 보호판(130)의 로크 조건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평균 사용자의 손가락의 두께보다 충분히 작다. 또한, 가이드 돌출벽(120)은 잉크 카트리지(200)를 좌우 방향으로 위치시키면서 전방면 개방부(O)측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까지 전후 방향으로 삽입된 잉크 카트리지(200)를 안내하도록 작용한다. 가이드 돌출벽(120)에는 가이드 돌출벽(120)이 두께 부분에 대응하는 두 지점에서 사실상 잉크 카트리지(200)와 접촉하도록 그 중심부보다 두터운 전방면측 단부 및 후방측 단부가 형성된다. 좌우 방향으로의 배치는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200)를 안내하고 배치하는 것은 또한 격벽(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격벽(110)과 가이드 돌출벽(120)의 상호 협동 작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는 적외광 발광부(172) 및 적외광 수광부(174)로 제조되며 잉크 카트리지(200)의 잉크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는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 아래에 배치된 회로 기판에 연결된다.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는 회로 기판으로부터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 위로 돌출한다.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될 때 잉크 카트리지(200)로부터 적외광 발광부(172) 및 적외광 수광부(174)를 보호하기 위한 센서 가드(176)는 전방면 개방부(O)에 근접한 적외광 발광부(172) 및 적외광 수광부(174)의 측면들로부터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으로부터 상향 돌출한다. 센서 가드(176)에는 전방면 개방부(O)에 가장 가까운 센서 가드들의 대향면의 부분에 곡면이 형성된다.
니들 보호판(130)은 니들 보호판과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 사이에 공간을 두고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의 전방면 개방부(O) 측에 위치된다. 니들 보호판(130)은 전방면 개방부(O)와 대면하는 측면으로부터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의 선단부를 덮기 위한 것이다. 도11은 도10의 대표적 카트리지 장착 기구(100)의 니들 보호판(130),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와, 취출 로크 돌출부(160)에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다. 니들 보호판(130)은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니들 보호 피봇 샤프트(132) 둘레에서 피봇 가능하게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 아래에서 지지된다. 니들 보호판(130)은 커버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커버 위치에서, 니들 보호판(130)은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에 형성된 개구(104)로부터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 위로 돌출한다. 해제 위치에서, 니들 보호판(130)은 개구(104) 내에서 회수된다. 니들 보호판(130)은 스프링(183)에 의해 커버 위치쪽으로 지속적으로 압박된다. 로크 부재(180)는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 아래에서 샤프트(184) 둘레에서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압판(140)은 로크 부재(180)의 일 단부로부터 상승한다. 스프링(182)의 작업은 니들 보호판(130)의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측 표면과 대면하도록 가압판(140)을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로크 부재(180)를 이동시킨다. 로크 부재(180)는 샤프트(184)와 가압판(130) 사이에서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를 일체로 포함한다. 스프링(182)의 압박력은 가이드 돌출벽(120)과 격벽(110) 사이에서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에 형성된 개구(106)로부터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를 돌출시킨다.
이런 조건에서, 잉크 카트리지(200)가 전방면 개방부(O)로부터 삽입될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우선 잉크 카트리지(200)의 하부측은 로크 부재(180)가 피봇하고 가압판(140)이 니들 보호판(130)의 이면으로부터 하향 회수되도록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를 누른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장착부(S)의 전후 방향으로 더욱 이동될 때, 잉크 카트리지(200)의 전방면은 니들 보호판(130)을 누른다. 그러나, 가압판(140)은 니들 보호판(130)의 이면 아래에서 회수되었기 때문에 니들 보호판(130)의 피봇 동작은 차단되지 않으며,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과 연결될 수 있도록 개구(104)쪽으로 하강한다.
반대 작업에서, 즉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로부터 잉크 카트리지(200)를 제거하기 위해, 스프링(183)은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을 덮는 위치에서 니들 보호판(130)을 수직하게 이동시킨다. 이어서, 잉크 카트리지(200)의 하부면은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로부터 분리되며 스프링(182)은 니들 보호판(130)의 이면으로 가압판(140)을 복귀시킨다.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가 하향으로 눌리지 않는다면, 니들 보호판(130)의 이면은 가압판(140)과 접함으로서, 외력이 니들 보호판(130)의 전방면 개방부(O)로부터 인가되더라도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은 전방면 개방부(O)로 노출되지 않는다.
누출 방지 로크 부재(190)는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200)를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로부터 당기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정압 인가 부재(91)의 스프링(94)에 의한 압박력에 대해 탄성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누출 방지 로크 부재(190)는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에 형성된 개구(108)로부터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 위로 돌출할 수 있는 취출 로크 돌출부(160)를 포함한다. 누출 방지 로크 부재(190)는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 아래에서 샤프트(192) 둘레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누출 방지 로크 부재(190)는 스프링(182)에 의해 상향으로 압박된다. 일반적으로, 돌출부(160)는 개구(108)로부터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 위로 상향 돌출하며, 장착 위치에 있는 잉크 카트리지(200)의 후술할 누출 방지 로크 만입부(246)(도18)에 끼워진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200)의 착탈시에 생성된 힘에 의해 돌출부(160)와 접할 때, 누출 방지 로크 부재(190)는 돌출부(160)가 하향으로 회수하고 잉크 카트리지(200)가 착탈될 수 있도록 샤프트(192) 둘레에서 피봇한다.
본 실시예의 시안, 옐로우, 마젠타 및 블랙 잉크 카트리지(200)는 모두 도12에 도시된 형상을 갖는다. 즉, 이들 모두는 사실상 투명한 수지로 제조된 주 케이스(230)와 리드(210)로부터 제조된다. 전체 잉크 카트리지(200)는 편평하고 사실상 평행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시안, 옐로우 및 마젠타 잉크 카트리지(200)(컬러 잉크 카트리지)는 사실상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블랙 잉크 카트리지(200)는 컬러 잉크 카트리지(200)와 사실상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블랙 잉크 카트리지의 폭은 컬러 잉크 카트리지의 폭보다 넓다.
다음으로, 도12 내지 도39에 도시된 대표적 예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주 케이스(230)는 좌우 방향으로 양 측면 상에 편평 측벽(232)을 포함한다. 측벽들 사이의 거리, 즉 주 케이스(230)의 폭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양 측면에 마련된 격벽(11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리드(210)는 구형으로 외향 만곡된 구형 외향 만곡부(212)가 사실상 중심부에 마련된 상태의 사실상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편평형 돌출부(213)는 좌우 단부를 제외하고 리드(210)의 융기된 전방 단부로부터 형성된다. 편평부(214)가 돌출부(213)의 좌우 측면에 그리고 리드(210)의 구형 외향 만곡부(212) 둘레에 형성된다. 돌출부(213)의 좌우에 위치된 그리고 구형 외향 만곡부(212)의 편평부(214)의 부분은 잉크 카트리지(200)의 길이(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로 삽입될 때, 편평부(214)의 전후방 연장부는 확장부(112)의 하측면과 대면해서 스프링(114)에 대해 활주한다. 만곡부(212)과 돌출부(213)는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의 하부면의 방향으로 돌출하며, 만곡부(212)의 양 측면과 돌출부(213) 상에 위치된 확장부(112)의 하부면보다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의 하부면, 즉 천장면에 더 가깝다. 만곡부(212)와 돌출부(213)는 편평부(214)보다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쪽으로 높게 연장된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기록 장치에 장착될 때, 커버부(212)와 돌출부(213)는 잉크 카트리지(200)가 전방면 개방부(O)를 통해 삽입될 때의 잉크 카트리지(200)의 높이 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잉크 카트리지(200)는 잉크 카트리지(200)가 장착부(S)의 장착 위치에 있을 때 후방 단부가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로부터 돌출하도록 카트리지 유지 커버부(44)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잉크 카트리지(200)의 후방 단부는 다른 영역보다 조금 좁은 파지부(202)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에 내장될 때 원하는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200)를 용이하게 파지해서 취출할 수 있다. 반대로, 잉크 카트리지(200)는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에서 인접하게 내장될 때에도 파지되어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리브(217)는 좌우 방향으로 선형 연장되도록 리드(210)의 후방 단부에 근접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리브(217)에 걸어서 잉크 카트리지(200)를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사용자는 한 손가락으로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로부터 잉크 카트리지(200)를 당길 수 있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35)가 주 케이스(230)의 전방면 벽(234) 상에 형성된다. 돌출부(235)는 전방면 벽(234)의 좌우 중심 영역에서 상향 돌출한다. 잉크 공급 구멍(260)이 전방면 벽(234)의 사실상 중심에 형성된다. 잉크 공급 구멍(260)은 주 케이스(230)에 마련된 잉크 수용부(300)(도14)로부터 외측으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구멍이다. 잉크 공급 러버 플러그(262)(도39a)는 잉크 공급 구멍(260)에 억지끼움 장착된다. 잉크 주입 구멍(270)이 잉크 공급 구멍(260) 다음에 개방된다. 잉크 주입 러버 플러그(272)(도39a)가 잉크 주입 구멍(270)에 억지끼움 장착된다. 또한, 대기 연결 구멍(280)도 전방면 벽(234)에 개방된다. 대기 연결 구멍(280)은 직경이 작고 긴 얇은 구멍이며,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정압 인가 부재(91)의 정압 구멍(98)과 유체 연통한다. 또한, 가이드 홈(236)과 센서 수용홈(240)이 전방면 및 하부면에서 개구되도록 전방면 벽(234)에 주 케이스(230)의 하부벽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가이드 홈(236)은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가이드 돌출벽(120)과 결합하기 위한 만입된 부분이다. 작업부를 형성하는 로크 해제부(238)는 가이드 홈(236)과 근접 측벽(232) 사이에 있는 잉크 형트리지(200)의 하부 후방면에 의해 한정된다. 가이드 홈(236)과 로크 해제부(238)는 기록 장치의 확장부(112)에 대응하는 잉크 카트리지(200)의 부분에 근접해서 마련된다. 로크 해제부(238)는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를 누르도록 기능한다. 센서 수용홈(240)은 잉크 카트리지(200)의 외부 형상의 외형에서 만입된 부분이고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를 수용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케이스(230)는 그 내측에 잉크 수용부(300)를 포함하고 그 상부측에서 개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주 케이스(230)는 전방면 벽(234)과 측벽(232)과 후방면 벽(237)을 포함한다. 측벽(232)은 주 케이스(230)의 좌우측에 있다. 측벽(232)은 전방면 벽(234)과 후방면 벽(237)을 연결한다. 파지부(202)는 후방면 벽(237)의 후방에 형성된다. 잉크 수용부(300)는 전방면 벽(234), 측벽(230) 및 후방면 벽(237)에 의해 둘러싸인다. 잉크 수용부(300)에는 후술할 잉크 유지부(310)(도15)에 가요성 필름(302)이 형성된다. 잉크 유지부(310)는 주 케이스(230)의 내측에 형성된다. 가요성 필름(302)은 잉크 유지부(310)의 개방 주연 모서리(312) 상에 용접된다. 잉크는 가요성 필름(302)과 잉크 유지부(310) 사이에 유지된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로 충전된 동안, 가요성 필름(302)은 만곡면 내로 상향 팽창한다. 잉크 공급 구멍(260)과 잉크 주입 구멍(270)은 잉크 수용부(300)의 내측과 유체 연통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잉크 공급 구멍(260)은 작은 직경의 잉크 공급 연결 경로(268)를 통해 잉크 수용부(300)과 유체 연통한다. 잉크 주입 구멍(270)은 잉크 주입 구멍(270)으로부터 작은 직경의 잉크 공급 연결 경로(268)을 통과함으로써 잉크 수용부(300)와 유체 연통한다.
사실상 직사각형 판 형상 인장판(306)은 그 길이 방향이 잉크 카트리지(200)의 길이(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가요성 필름(302) 상에 마련된다. 인장판(306)은 양면 접착 테이프에 의해 가요성 필름(302)의 사실상 중심부에 길이 방향 중심부에서 접착된다.
케이스 몸체의 길이 방향 단면 형상(도21)은 블랙 잉크 카트리지나 컬러 잉크 카트리지 모두에서 동일하다. 인장판(306)은 길이 방향으로 접착되기 때문에, 모든 컬러 잉크 카트리지에 대해 동일한 길이를 갖는 인장판(306)을 준비해서 접착함으로써 동일한 인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인장판(306)의 길이는 길이 방향으로 잉크 수용부(300)의 치수보다 조금 짧게 형성된다. 인장판의 재료는 PET 필름과 같은 수지로 제조된 필름이다. 인장판(306)의 상세한 작업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대기 연결 구멍(280)과 유체 연통하는 대기 챔버(290)가 잉크 수용부(300)의 주연부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격벽(282)이 전방면 벽(234)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격벽(282)은 측벽(232)들을 연결한다. 또한, 외측 돌출벽(211)이 리드(210)로부터 형성된다. 외측 돌출벽(211)은 주 케이스(230)의 격벽(282), 측벽(232) 및 후방면 벽(237)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리드(210)가 주 케이스(230)에 부착되고 외측 돌출벽(211)이 격벽(282), 측벽(232) 및 후방면 벽(237)과 결합될 때, 대기 챔버(290)는 격벽(282), 측벽(232) 및 후방면 벽(237)에 의해 둘러싸이며, 또한 잉크 수용부(300)를 둘러싸는 (리드(210)에 의해 덮힌) 영역을 한정한다. 대기 챔버(290)는 단지 대기 연결 구멍(280)을 통해서만 외측과 연통되는 사실상 밀봉 조건에 있다. 여기에서, 대기 연결 구멍(280)은 전방면 벽(234)과 격벽(282) 사이에서 연장되고 전방면 벽(234)과 격벽(282)으로 개방된 관통 구멍이다. 또한, 잉크 공급 연결 경로(268)과 잉크 주입 연결 경로(278)는 격벽(282)을 관통하고 잉크 수용부(300)와 유체 연통한다. 리드(210)가 주 케이스(230) 상에 부착되고 주 케이스(230)의 개구를 덮을 때, 대기 챔버(290)는 단지 대기 연결 구멍(280)을 통해서만 대기와 유체 연통한다. 대기 챔버(290)에 대기압 또는 정압을 인가함으로써, 압력은 잉크 수용부(300)의 잉크가 잉크 공급 구멍(260)을 통해 잉크 카트리지(200)의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잉크 수용부(300)의 외측으로부터 잉크 수용부(300)의 가요성 필름(302)쪽으로 인가될 수 있다.
복수개의 리브(292)(도15)가 대기 챔버(290)의 내측에 형성됨으로서 주 케이스(230)의 강도는 증가한다.
도14는 잉크 카트리지(200)에 부착된 리드(210)의 내면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리드(210)는 사실상 편평하다. 리드(210)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형 외향 만곡부(212)는 가요성 필름(302)의 팽창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다. 편평부(214)의 환형부는 구형 외향 만곡부(212)를 둘러싸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후술하는 잉크 수용 주연부(216)를 한정한다. 홈 형상의 노치(218)가 잉크 수용 주연부(216)를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리드(210)가 주 케이스(230)에 결합될 때, 잉크 수용 주연부(216)와 개방 주연 모서리(312)에 부착된 가요성 필름(302)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한다. 잉크 카트리지가 후술하는 방식으로 진공 포장될 때, 리드(210)와 주 케이스(230)는 서로에 대해 가요성있게 변형된다. 잉크 수용 주연부(216)의 리드측이 가요성 필름(302)에 밀접 접촉하더라도, 후술할 돌출벽 노치(219)와 홈 형상 노치(218)는 구형 외향 만곡부(212)와 가요성 필름(302) 사이의 공간을 대기 챔버(290)와 유체 연통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돌출벽(215)은 잉크 수용 주연부(216)의 외측에 있는 외측 돌출벽(211)의 내측에 형성된다. 돌출벽(215)은 잉크 수용 주연부(216)를 둘러싸도록 리드(210)로부터 연장되고 돌출한다. 돌출벽(215)은 리드(210)가 주 케이스(230)에 장착될 때 도27을 참조해서 후술할 개방 주연 모서리(312)의 외부 주연부를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돌출벽(215)은 측벽(232)을 따르고 외측 돌출벽(211)에 접근해서 연결되는 부분에서 불연속적이다. 돌출벽(215)의 이들 불연속 부분은 돌출벽 노치(219)를 한정한다. 하나의 돌출벽 노치(219)는 홈형상 노치(218)에 인접해서 위치되며 다른 돌출벽 노치(219)는 좌우 방향으로 홈형상 노치(218)에 대향해서 위치된다. 돌출벽 노치(219)는 또한 구형 외향 만곡부(212)와 가요성 필름(302) 사이의 공간을 대기 챔버(290)와 연통시키고 대기 연결 구멍(280)으로부터의 정압이 돌출벽(215)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유지부(310)는 개방 주연 모서리(312)에 의해 둘러싸이며 터브부(320)를 포함한다. 터브부(320)는 상부면에서 개방된다. 개방 주연 모서리(312)의 형상은 일 부분(328)에서 외향 팽창하는 타원형 또는 원형이다. 터브부(320)는 원형(또는 타원형) 포위 모서리(322)로부터 사실상 만곡된 형상으로 하향 만곡하는 만곡 표면부(324)를 포함한다. 포위 모서리(322)는 개방 주연 모서리(31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만곡 표면부(324)의 사실상 중심은 최하 위치이다. 만곡 표면부(324)는 편평한(만곡안된) 경사 표면부(326)를 포함한다. 개방 주연 모서리(312)의 외측으로 팽창한 수평 방향 연장된 편평 견부(328)는 개방 주연 모서리(312)와 원형(또는 타원형) 포위 모서리(322) 사이에 형성된다. 가요성 필름(302)은 터브부(320)를 덮도록 개방 주연 모서리(312)에 부착되기 때문에, 잉크는 가요성 필름(302)과, 경사 표면부(326)를 포함하는 만곡 표면부(324)와, 편평 견부(328) 사이에 저장된다.
편평 견부(328)의 높이는 가요성 필름(302)이 편평 견부(328) 위로 소량만 팽창하도록 개방 주연 모서리(312)의 높이와 사실상 일치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리드(210)가 주 케이스(230) 상에 장착된 동안, 사용자는 편평 견부(328)와 가요성 필름(302) 사이에 축적된 잉크의 컬러를 봄으로써 리드(210) 위에서 잉크의 컬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터브부(320)가 잉크로 충전된 때, 터브부(320)의 잉크 컬러는 잉크의 층이 두텁기 때문에 사실상 블랙으로 보인다. 그러나, 잉크의 실제 컬러는 편평 견부(328)와 가요성 필름(302) 사이의 얇은 잉크층에서 관찰될 수 있다.
가요성 필름(302)은 잉크 유지부(310)에 잉크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을 때 잉크 유지부(310)의 내면과 밀접 접촉하는 만곡 형상으로 사전 성형된다. 이하에서는 이런 형상의 가요성 필름(302)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가요성 필름(302)은 이런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가요성 필름은 잉크가 가요성 필름(302)과 잉크 유지부(310) 사이에 완전 충전될 때로부터 잉크 유지부(310)에 아무런 잉크가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잉크의 양을 따라 부드럽고 점차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잉크 상에는 가요성 필름 자체로부터, 예컨대 탄성 회수과 같은 압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에어 제거/잉크 공급 홈(332)이 터브부(320)의 기부면에 형성된다. 에어 제거/잉크 공급 홈(332)은 잉크 주입 구멍(270)(잉크 주입 연결 경로(268))과 유체 연통하는 잉크 주입 홈(330)과 잉크 공급 구멍(260)(잉크 공급 연결 경로(268))과 유체 연통한다. 감지 기구(340)가 터브부(320)의 기부면에 추가로 마련된다. 감지 기구(340)는 터브부(320) 상에 잔류하는 잉크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기구(340)는 센서 레버 수용홈(350)과 차광 부재를 형성하는 센서 레버(360)와 억제 필름(342)으로부터 제조된다. 센서 레버(360)는 센서 레버 수용홈(350) 내에 배치된다. 억제 필름(342)은 T 형상을 갖는다. 센서 레버 수용홈(350)은 터브부(320)의 기부면에서 개방된다. 센서 레버 수용홈(350)은 주 케이스(230)의 하부면(도18)을 따르는 기부면(352)을 갖는다. 센서 레버 수용홈(350)은 터브부(320)의 만곡 표면부(324)의 중심 위치로부터 케이스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45도 변위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터브부(320)의 원형(또는 타원형) 포위 모서리(322)에 도달하는 곳에서 45도 절곡되고, 이어서 케이스 몸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케이스 몸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센서 레버 수용홈(350)의 부분을 홈 부분(354)이라 하며, 편평 견부(328)에서 상향으로 개방된다. 이런 방식에서, 센서 레버 수용홈(350)은 터브부(320)의 만곡 표면부(324)의 중심부로부터 경사 표면부(326)까지 위치에서 케이스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45도 변위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개방되고, 편평 견부(328)의 상부면에서 케이스 몸체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개방된다. 센서 레버 수용홈(350)의 깊이는 만곡 표면부(324)에서 사실상 고정되고, 경사 표면부(326)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다시 편평 견부(328)에서 사실상 고정된다. 센서 레버 수용홈(350)의 홈 부분(354)은 터브부(320)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센서 레버 수용홈(350)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벽을 따르고, 센서 레버 수용홈(350)의 내측에 도달함으로써, 도18에 도시된 돌출부(372)를 형성한다. 또한, 센서 레버 수용홈(350)은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홈(351)을 갖는다.
센서 레버(360)는 잉크의 비중보다 높은 비중을 가지며 적외광을 차단할 수 있는 블랙 컬러 수지로 형성된다. 센서 레버(360)는 센서 레버 수용홈(350) 내에 배치된다. 센서 레버(360)는 피봇 받침부(362)와 작업 아암부(364)와 감지 아암부(366)를 갖는 긴 모양의 판형 부재이다. 피봇 받침부(362)는 삼각 프리즘 형상을 갖는다. 작업 아암부(364) 및 감지 아암부(366)는 피봇 받침부(362)의 대향하는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반구형 피봇(365)(잉크 잔량 검출점)이 작업 아암부(364)의 단부에 마련된다. 센서 레버(360)는 반구형 피봇(365)이 터브부(320)의 만곡 표면부(324)의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센서 레버 수용홈(350) 내에 배치된다. 결국, 반구형 피봇(365)은 만곡 표면부(324)의 최하 위치에 배치된다. 감지 아암부(366)는 그 단부에 근접해서 45도 각도로 절곡됨으로써, 센서 레버 수용홈(350)(편평 견부(328)에서 개방된 부분)에 위치되고 감지점으로서 기능하는 절곡 단부를 형성한다. 피봇 받침부(362)는 센서 레버 수용홈(350)의 교차홈(351) 내측에 배치된다. 피봇 받침부(362)의 삼각형 단면의 정점은 교차 홈(351)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잉크에 잠긴다. 결국, 센서 레버(360)는 받침대로서 피봇 받침부(362)로서 피봇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감지 아암부(366)의 무게는 작업 아암부(364)의 무게보다 크다. 본 예에서, 감지 아암부(366)의 무게는 작업 아암부(364)의 무게보다 다섯 배가 크다. 이런 이유로 해서, 충분한 잉크가 남을 때, 센서 레버(360)의 감지점(367)은 도17의 실선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센서 레버 수용홈(350)의 기부면(352) 상에 위치된다. 반구형 피봇(365)(잉크 잔량 검출점)에서 잉크는 기부면으로부터 위로 부유하며 터브부(320)의 바닥 위로 돌출한다. 한편, 잉크가 고갈되어서 가요성 필름(302)이 터브부(320)쪽으로 하향 이동할 때, 가요성 필름(302)은 절곡 단부(367)(감지점)가 상승하도록 도17의 이점 쇄선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피봇(365)(잉크 잔량 검출검)을 아래로 누른다. 센서 레버(360)는 터브부(320) 아래로부터 터브부(320)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센서 레버 수용홈(350)에 이런 방식으로 수용되기 때문에, 센서 레버(360)는 가요성 필름(302)이 터브부(320)쪽으로 변형될 때 가요성 필름(302)을 차단하지 않는다. 따라서, 잉크 잔량 검출이 보다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레버(360)의 감지 아암부(366)의 길이(L1)는 작업 아암부(364)의 길이(L2)보다 길다. 본 예에서, 감지 아암부(366)의 길이(L1)는 작업 아암부(364)의 길이(L2)의 약 네 배이다. 따라서, 가요성 필름(302)이 반구형 피봇(365)(잉크 잔량 검출검)을 단지 조금만 하강시키더라도, 절곡 단부(367)는 후술하는 잔량 검출 센서(70)를 사용한 검출이 신뢰성 있게 수행되도록 크게 상승한다.
PET 필름 인장판(306)은 잉크가 최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사용되지 않고 남는 잉크가 거의 없을 때 센서 레버(360)가 신뢰성 있게 작업하는 것을 보증한다. 즉, 인장판(306)이 마련되지 않았다면, 가요성 필름(302)이 잉크의 저감과 관련해서 하강되고 가요성 필름(302)이 터브부(320)와 밀접 접촉하게 될 때 가요성 필름(302)의 일 부분에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레버(360)는 잉크가 고갈되지 않도록 잉크가 주름부와 터브부(320) 사이에 잔류함으로서 잉크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 가동될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단지 터브부(320)의 중심, 즉 센서 레버(360)의 반구형 피봇(36)과 대면하는 부분만이 가요성 필름(302)의 중심부에 연결된다. 인장판(306)은 많은 양의 잉크가 터브부(320)에 있을 때 도17의 실선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팽창하는 가요성 필름(302)의 상부에 놓인다. 인장판(306)은 잉크의 저감과 관련해서 하향 이동한다. 그러나, 소량의 잉크가 남을 때, 인장판(306)의 양 단부는 인장판(306)이 더욱 하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개방 주연 모서리(312)보다 낮고 터브부(320)의 최하 위치보다는 높은 위치에서 터브부(320)의 내부 주연면에 접한다. 결국, 비록 가요성 필름(302)의 주연부는 터브부(320)의 내부 주연면을 따라 밀접 접촉하지만, 가요성 필름(302)의 중심부는 인장판(306)때문에 상승된다. 이 때, 상승된 가요성 필름(302)의 중심부는 그 사이에 개방된 공간을 갖는 상태로 센서 레버(360)의 반구형 피봇(365)과 대면한다.
잉크의 양이 더욱 저감될 때, 가요성 필름(302)의 중심부는 인장판(306)의 탄성에 대항해서 더욱 아래로 이동한다. 그러나, 일단 터브부의 잉크량이 소정량 범위보다 적게 저감되어 거의 잉크가 잔류하지 않게 되면, 가요성 필름(302)은 인장판의 압박력을 넘어섬으로써 가요성 필름(302)의 중심부는 센서 레버(360)의 반구형 피봇(365)을 누른다. 이 때, 터브부(320)의 내부 주연면을 따라 밀접 접촉하는 가요성 필름(302)의 주연부의 표면 영역은 가요성 필름(302)의 중심부가 센서 레버(360)를 누를 때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즉, 인장판(306)은 이를 따라서 가요성 필름(302)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요성 필름(302)은 잉크가 터브부(320)의 중심에 수집되는 동안 아래로 이동한다. 따라서, 센서 레버(360)는 사용되지 않고 남은 잉크가 거의 없는 조건에서 신뢰성있게 작동한다.
인장판(306)은 상술한 사실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하향 이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억제될 때 인장판의 형상이 가요성 필름(302)과 센서 레버(360)의 반구형 피봇(36) 사이에서 공간을 허용하는 한, 삼각 형상, 별 형상, 원 형상 또는 임의의 선택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이들 다른 형상으로 된 부재의 외부 주연부는 터브부(320)의 내부 주연면과 접할 필요가 없지만 개방 주연 모서리(3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장판(306)은 잉크 수용부(300)의 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탄성과 무게를 갖는다. 그러나, 잉크 수용부(300)의 압력은 탄성과 무게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많은 양의 잉크가 있을 때, 인장판(306)은 단지 가요성 필름(302)의 중심부에만 접촉하기 때문에, 인장판(306)의 무게는 잉크 수용부(300)의 내측에 정압을 인가한다. 단지 소량의 잉크만이 남을 때, 인장판(306)은 가요성 필름(302)의 중심부를 상승시키는 비임으로서 기능한다. 결국, 부압이 잉크 수용부(300)에 인가된다. (잉크가 남아 있지 않을 때의 부압과 관련된) 스프링력과, 인장판(306)의 (많은 잉크가 남을 때의 정압과 관련된) 무게 및 (정압 인가로부터 부압 인가로의 절환 타이밍과 관련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잉크의 소비 조건에 적절한 압력이 잉크 수용부(300)에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장판(306)은 단지 소량의 잉크만 남을 때까지 가요성 필름(302)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요성 필름(302)에 연결된다. 한편, 인장판(306)은 단지 소량의 잉크만이 잔류할 때 터브부(320)에 의해 하향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며, 피봇(잉크 잔량 검출점)(36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요성 필름(302)을 압박하는 탄성을 갖는다. 인장판(306)은 적어도 소량의 잉크가 잔류한 후 피봇(잉크 잔량 검출점)(365)과 대면하는 부분 이외의 가요성 필름(302)의 부분이 터브부(320)를 따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인장판(306)은 피봇(잉크 잔량 검출점)(36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봇(잉크 잔량 검출점)(365)과 대면하는 가요성 필름(302)의 부분을 압박한다. 또한, 약간 양의 잉크가 남아 있는 후 잉크의 저감과 관련해서, 인장판(306)은 인장판(306)의 압박에 대항해서 피봇(잉크 잔량 검출점)(365)쪽으로 접근한다. 이런 방식에서, 잉크는 신뢰성 있게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 형상의 억제 필름(342)은 PET로부터 제조되고, 센서 레버(360)를 센서 레버(360) 위로부터 센서 수용홈으로 아래로 누르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면, 억제 필름(342)은 일체형 고정부(342a)와 탄성판부(342b)를 갖는다. 탄성판부(342b)는 감지 아암부(366)를 누른다. 센서 레버 수용홈(350)의 피봇 받침부(362)를 수용하는 홈(351)에는 수준 차이가 형성된다. 한 쌍의 구멍(344)이 고정부(342a)에 형성된다. 한 쌍의 돌출부(356)를 한 쌍의 구멍(344)에 끼우고 돌출부(356) 쌍을 압착함으로써, 고정부(342a)는 터브부(3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피봇 받침부(362)는 피봇 받침부와 T 형상 억제 필름(342) 사이에 개방된 공간을 두고 교차 홈(351)에서 지지된다. 센서 레버(360)는 받침대로서의 피봇 받침부(362)에 의해 자유롭게 피봇될 수 있다. 탄성판부(342b)는 고정부(342a)로부터 감지 아암부(366)쪽으로 연장되도록 센서 레버 수용홈(350) 내측에 삽입 배치된다. 이로써, 감지 아암부(366)는 탄성판부(342b)에 의해 아래로 이동한다. 즉, 반구형 피봇(365)은 터브부(320)의 바닥면 위로 돌출하도록 압박되기 때문에, 반구형 피봇(36)은 잉크 카트리지의 운송중에 잉크 카트리지의 상면이 아래로 가더라도 터브부(320)의 기부면 위에서 신뢰성 있게 돌출될 수 있다. 탄성판부(342b)의 탄성은 잉크의 저감과 관련해서 감지 아암부(366)의 추가적인 상승 이동을 차단하기에 충분히 크다.
감지 아암부(366)를 수용하는 센서 레버 수용홈(350)의 부분은 경사 표면부(326)에 형성된다. 경사 표면부(326)의 경사도는 구형 표면부의 경사도보다 크기 때문에, 감지 아암부(366)는 가요성 필름(302)과 접촉하거나 방해받지 않고도 충분한 양만큼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케이스(230)의 하부면은 카트리지 장착부(S)에 대해 활주할 수 있는 편평 평활면(242)을 포함한다. 편평 평활면(242)은 양 측면 상에서 측벽(232)에 의해 연결된다. 주 케이스(230)의 하부면에는 가이드 홈(236)과 센서 수용홈(240)이 형성된다.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36)과 폭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측벽(232) 사이의 거리(Lac)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서의 가이드-격벽 사잇 거리(La)에 대응한다.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36)에는 전방면 벽(234)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돌출벽(120)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Lcc)만이 형성된다. 특히, 가이드 홈(236)에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서의 정압 인가 부재(91)와 가이드 돌출벽(120)의 전방면 개방부(O)의 측면 단부 사이의 길이(Lc)보다 길거나 적어도 그 만큼 긴 길이가 형성된다. 이런 이유로 해서, 가이드 홈(236)은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가이드 돌출벽(120)을 수용할 수 있다.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36)과 가이드 돌출벽(120) 사이의 거리(Lbc)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가이드-센서 상호간 거리에 대응한다.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수용홈(240)은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벽으로부터 길이 방향의 정압 인가 부재(91)와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 사이의 거리(Ld)에 대응하는 길이(Ldc)로 형성된다.
복수개의 리브(243)는 주 케이스(23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리브(243)는 터브부(320)의 하부면으로부터 터브부(320)의 강도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닥 중심축 리브(244)는 주 케이스(2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주 케이스(230)의 폭 방향으로 중심 위치에 형성된다. 바닥 중심축 리브(244)는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바닥면 위에서 활주할 때 바닥면 아래로 취출 로크 돌출부(160)(도면에서 검색 유닛(10))를 계속해서 회수한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취출 로크 돌출부(160)가 누출 방지 로크 만입부(246)과 결합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200)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로부터 당겨지지 않는다.
센서 레버 수용부(370)은 센서 레버 수용홈(350)의 내부를 형성한다. 센서 레버 수용부(370)는 터브부(320)로부터 돌출하도록 주 케이스(23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센서 레버 수용홈(350)의 기부면(352)에 대응하는 센서 레버 수용부(370)의 부분(센서 레버 수용 돌출부(372))은 센서 레버 수용홈(350)의 폭방향 중심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한다. 센서 가드(176)의 대면하는 정면들에 형성된 곡면은 센서 가드(176)와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의 적외광 발광부(176)와 적외광 수광부(174) 사이에 돌출부(37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되고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가 센서 수용홈(240)에 내장될 때, 감지 수용 돌출부는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의 적외광 발광부(176)와 적외광 수광부(174) 사이에 위치된다. 돌출부(372)의 홈부(354)에 위치된 센서 레버(360)의 감지 아암 단부(367)(감지점)는 결국 적외광 발광부(176)와 적외광 수광부(174) 사이에 위치된다. 적어도 주 케이스의 돌출부(372)는 적외광에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도19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200)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19는 리드(210)가 주 케이스(230)에 장착된 상황을 도시한다. 내부 구성은 점선에 의해 지시된다. 도20은 도19의 화살표 A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취한 도면, 즉 잉크 카트리지(200)의 전방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1 내지 도28은 각각 선 B-B, C-C, D-D, E-E, F-F, G-G, H-H 및 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명료한 도시를 위해 가요성 필름(302)과 리브(243, 292)는 도면에서 지시하지 않기로 한다. 그러나, 바닥 중심축 리브(244)는 몇몇 도면에 도시된다.
도15 및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연벽(231)이 주 케이스(230)에 형성된다. 주연벽(231)은 터브부(320)의 개방부를 한정하는 개방 주연 모서리(312)로부터 일체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주 케이스(230)의 바닥면측(터브부(320)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주연 벽부(233)는 터브부(320)의 주연으로부터 터브부(320)를 지지한다. 주연 벽부(233)는 주연벽(231)과 측벽(232)과 편평 평활면(242)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주연벽(231)과 측벽(232)은 개재된 공간만큼 분리되며 복수개의 벽형 리브(29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리드의 편평부(214)는 주연 벽부(233)의 상부 단부에 결합되며 주연 벽부(233)와 대면하는 외부 주연부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잉크 수용부(300)의 하부면은 사실상 구형으로 형성되더라도 편평 평활면(242)에 의해 안정화된다. 다기능 장치(1)에 착탈하는 것은 간단하다. 가요성 필름(302)은 개방 주연 모서리(312)에 부착되고 리드(210)는 주연 벽부(233)의 상부 단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잉크는 가요성 필름(302)의 부착된 부분이 리드(210)와 충돌하지 않고도 신뢰성 있게 밀봉될 수 있다. 주연 벽부(233)는 주연벽(231)과 측벽(232)으로 제조된 2층 구성을 갖고 주연 벽부(233)와 주연벽(231)이 복수개의 리브(292)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연 벽부(233)는 잉크 카트리지(200)가 후술하는 진공 포장 과정에 처해지더라도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18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리브(243)는 터브부(320)의 하부면과 주연 벽부(233)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런 이유로 해서, 리브(243)는 잉크 카트리지(200)가 후술하는 진공 포장 과정에 처해지더라도 터브부(320)와 주연 벽부(23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잉크 카트리지(200)는 편평 하부면을 갖는다.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은 폭방향으로 양 단부(측벽(232))에서의 높이보다 높은 만곡 형상을 갖는다. 폭 방향으로 양 단부에서의 높이(편평 평활면(242)으로부터 편평부(214)까지의 높이)는 격벽(110)의 전방면 개방부(O)측 단부의 상부 상에 형성된 확장부(112)와 기부벽(32) 사이의 거리와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200)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구형 외향 만곡부(212)와 돌출부(213)의 높이는 폭방향으로 양 측면에서의 높이보다 높고 장착부(S)의 천장면의 만곡 형상 돌출벽(47)은 잉크 카트리지(200)의 구형 외향 만곡부(212)를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200)의 상면이 아래로 가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주 케이스(230)의 하부면은 매끄러우며 여기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주연 벽부(233)가 형성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200)는 취출 로크 돌출부(160)가 회수 조건에 있는 동안 단지 잉크 카트리지(200)를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삽입하고 이것을 바닥면 위로 활주시킴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200)의 폭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격벽(110) 사이의 길이에 대응하고, 가이드 홈(236)과 폭방향으로 가장 근접한 측벽(232) 사이의 거리(Lac)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가이드 격벽 개재 거리(La)에 대응하고, 가이드 홈(236)과 센서 수용홈(240) 사이의 거리(Lbc)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가이드 센서간 거리(Lb)에 대응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 내로 삽입될 때 가이드 홈(236)이 가이드 돌출벽(120)에 의해 안내되도록 카트리지를 활주시킴으로써,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는 센서 수용홈(240)에 신뢰성 있게 내장되고 센서 수용홈(240)의 절곡 단부(367)는 적외광 발광부(172)와 적외광 수광부(174) 사이에 삽입된다.
도9 및 도3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가이드 돌출벽(120)의 전방면 개방부(O)측의 단부의 위치는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의 전방면 개방부(O)측의 단부(센서 가드(176))의 위치보다 전방면 개방부(O)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된다. 전방면 벽(234)에 대향하는 가이드 홈(234)의 단부는 전방면 벽(234)에 대향하는 센서 수용홈(240)의 단부보다 전방면 벽(234)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 내로 삽입되고 유지부 기부벽(32) 위로 활주할 때, 센서 수용홈(240)은 가이드 홈(236)이 가이드 돌출벽(120)을 수용한 후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에 도달한다. 주 케이스(230)는 가이드 돌출벽(120)과 가이드 홈(236) 사이의 결합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200)의 폭방향으로 위치된 후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에 도달하기 때문에, 센서 수용홈(240)의 절곡 단부(367)는 적외광 발광부(172)와 적외광 수광부(174) 사이에 삽입된다.
가이드 돌출벽(120)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폭방향으로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에 가깝고 가이드 홈(236)은 잉크 카트리지(200)의 폭방향으로 로크 해제부(238)에 가깝기 때문에, 로크 해제부(238)는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에 신뢰성 있게 접하고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이것을 회수시킨다. 또한, 스프링(114) 부재는 가이드 돌출벽(120)의 근처에서 격벽(110) 위로부터 잉크 카트리지(200)를 아래로 누르기 때문에,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를 회수하기 위한 작업은 보다 신뢰성이 있다.
도29 및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200)는 전방면 벽(234)측에서 볼때 잉크 공급 구멍(260)의 양 측면 상에 배치된 위치에서 전방면 벽(234) 및 바닥면의 개구로서 센서 수용홈(240)과 가이드 홈(236)을 포함한다. 센서 수용홈(240)은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홈(236)은 가이드 돌출벽(120)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감지 아암 단부(367)는 적외광 발광부(172)와 적외광 수광부(174) 사이에 삽입되며 돌출부(372)에 이동 가능하게 내장된다. 돌출부(372)는 센서 수용홈(240)으로 돌출하고 로크 해제부(238)는 가이드 홈(236)에 인접해서 마련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200)는 편평한 형상일 수 있고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기부벽(32)을 가로질러 매끄럽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200)는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잉크 잔량은 단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잉크 카트리지(200)를 장착함으로써 신뢰성 있게 검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200)는 도30 내지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된다. 사용자는 잉크 카트리지 유지부(P)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전방면 커버(50)를 피봇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전방면 개방부(O) 내로 잉크 카트리지(200)를 삽입하고 카트리지 유지부 기부벽(32) 위로 잉크 카트리지(200)의 하부면을 활주시킨다. 결국, 우선 도30 및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 벽(234)은 취출 로크 돌출부(160)를 회수한다. 그 후,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로크 돌출부(160)는 카트리지가 전방으로 활주하는 동안 바닥 중심축 리브(244)에 의해 계속해서 회수된다. 안내 홈(236)은 가이드 돌출벽(120)과 결합하며 더욱 활주한다. 전방면 벽(234)의 로크 해제부(238)가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를 가격할 때, 로크 부재(180)는 니들 보호판(130)의 로크를 해제한다(가압판(140)을 하강시킨다). 그 후,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보호판(130)은 잉크 카트리지(200)의 전방면 벽(234)이 니들 보호판(130)을 누를 때 회수된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더 전방으로 이동되고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 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은 잉크 공급 구멍(260)의 잉크 공급 러버 플러그(262)(도39a)를 천공한다. 그 후, 도34 및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 벽(234)은 정압 인가 부재(91)의 러버 캡(93)에 접한다. 카트리지는 카트리지가 조금 더 진행할 때까지 정압 인가 부재(91)의 스프링(94)의 힘에 대해 눌려진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의 전방면은 카트리지의 전방 진행이 차단되도록 스토퍼 벽(도시 안됨)에 대해 접한다. 그 후, 비록 카트리지는 스프링(94)의 힘에 의해 조금 뒤로 이동하지만, 취출 로크 돌출부(160)는 카트리지의 하부면에서 누출 방지 로크 만입부(246)에 결합된다. 결국, 카트리지는 적소에 로크되고 밖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런 방식에서, 잉크 카트리지(200)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된다. 잉크 카트리지(200)의 전방면 벽(234)은 사실상 편평부로써 링형 탄성 시일 부재(93)와 접하기 때문에, 링형 탄성 시일 부재(93)의 대기 연결 구멍(280)과 정압 구멍(98)은 어떤 에어 누출도 없이 신뢰성 있게 유체 연통되도록 된다.
블랙 잉크 카트리지는 다른 컬러 잉크 카트리지보다 넓은 폭을 갖기 때문에, 블랙 잉크 카트리지가 컬러 잉크 카트리지용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 내에 실수로 삽입될 수 없다. 한편, 잘못하여 다른 컬러 잉크 카트리지가 블랙 잉크 카트리지용 장착부 내에 삽입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홈(236)과 센서 수용홈(240) 사이의 폭방향 거리(Lb1)는 블랙 잉크 카트리지용 하우징부의 가이드 돌출벽(120)과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 사이의 폭방향 거리(Lb2)보다 좁다. 따라서, 카트리지의 전방면은 가이드 홈(176)이 가이드 돌출벽(120)과 결합하고 잉크 카트리지가 활주하더라도 센서 가드(176)에 대해 접하고 조금도 더 전방으로 진행하지 않는다. 컬러 카트리지의 폭이 블랙 카트리지용 하우징부의 가이드 돌출벽(120)과 가이드 돌출벽(120)에서 먼 측면에서의 격벽(110) 사이에 삽입되기에 충분히 크더라도,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는 가이드 홈(236)이 가이드 돌출벽(120)과 결합되지 않는다면 회수될 수 없다. 따라서, 니들 보호판(130)은 회수될 수 없고 따라서 카트리지의 전방면은 니들 보호판(130)에 대해 접하고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은 잉크 공급 구멍(260)으로 삽입될 수 없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은 잉크 수용부(300) 내측으로부터 버퍼 탱크(84)로 잉크를 공급한다. 버퍼 탱크(84)로부터의 잉크는 기록 작업과 관련해서 잉크 공급 튜브(T)를 거쳐 잉크 제트 헤드(70)로 공급된다.
비록 정압 펌프(36)가 정상 인쇄 작업중에 그리고 대기 시간중에 정지되더라도, 잉크 카트리지(200)의 내측에는 펌프(36), 정압 인가 튜브(92), 정압 인가 부재(91) 및 대기 연결 구멍(280)을 거쳐 잉크 카트리지(200) 내측 대기 챔버(290)의 대기압이 인가된다. 이런 이유로 해서, 가요성 필름(302)은 잉크에 압력을 인가하지 않고도 잉크의 저감과 관련해서 변형되며, 가요성 필름(302)의 사전 성형된 형상은 사실상 터브부(320)를 따르고 터브부(320)와 밀접 접촉한다. 따라서, 잉크 제트 헤드(70)로 공급된 잉크의 압력은 매우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잉크 제트 헤드(70)로부터의 잉크 분사는 안정화될 수 있다. 가요성 필름(302)이 터브부(320)와 밀접 접촉되어 끝나기 때문에 잉크 잔량은 사실상 터브부(320)를 따라 저감될 수 있다. 또한, 터브부(3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그 단면 영역이 터브부(320)의 위(개방측)로부터의 거리와 관련해서 감소하는 만곡 표면부(324)이다. 따라서, 가요성 필름(302)은 단지 소량의 잉크만이 잔류할 때 터브부(320)를 용이하게 따를 수 있다. 잉크 잔량은 저감될 수 있고 공급된 잉크의 압력은 마지막까지 사실상 고정되어 유지된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는 수직 방향으로 잉크 제트 헤드(70)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이런 이유로 해서, (도3에서) 압력 헤드의 차이는 일반 잉크 제트 기록 장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의 노즐의 잉크에 부압을 계속 인가한다. 그러나, 정상 조건 하에서 노즐의 잉크 메니스커스의 표면 장력은 부압에 대해 노즐의 잉크를 유지한다. 공지된 정화 유닛(78)의 작업후, 즉 캡을 사용해서 노즐을 덮고 펌프를 사용해서 노즐로부터 잉크를 흡입한 후, 펌프에 의한 흡입 작업이 중지될 때 캡에 버블을 갖는 잉크는 압력 헤드(70)의 차이에 의해 노즐로 진입한다. 인쇄 작업이 잉크 제트 헤드(70)에 의해 수행될 때 불완전한 토출이 나중에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압 펌프(36)는 캡이 개방될 때까지 정화 작업후 작용된다. 정압 펌프(36)의 작업은 정화 작업중에도 시작될 수 있다. 결국, 정압 에어 유동은 카트리지의 대기 챔버(290)로 공급된다. 정압은 가요성 필름(302)을 거쳐 잉크로 인가된다. 결국, 정압은 카트리지측으로부터 잉크 제트 헤드(70)의 노즐의 잉크로 인가될 수 있고 버블이 노즐로 유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때, 정압 펌프(36)에 의해 인가된 압력은 버블이 노즐로 진입하지 않기에 충분한 압력일 수 있다. 비록 노즐로부터 잉크를 실제로 눌러서 배출하기에 충분히 큰 압력을 인가할 필요는 없지만, 이와 같은 큰 압력이 사용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되고 있을 때, 대기 연결 구멍(280)은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이 취출 로크 돌출부(160)의 잉크 공급 러버 플러그(262)를 천공한 후 정압 인가 부재(91)에 접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의 니들 구멍과 정압 인가 부재(91)의 러버 캡(93)의 전방면 사이에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의 거리(A)는 잉크 공급 러버 플러그(262)가 잉크 카트리지(200)의 전방면으로부터 잉크 공급 구멍(260)의 내측을 차단하는 거리(B)보다 크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로부터 당겨질 때,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은 대기 연결 구멍(280)이 정압 인가 부재(91)로부터 분리된 후 잉크 공급 구멍(260) 내측의 러버 플러그(262)로부터 당겨진다. 따라서, 정압 펌프(36)가 잉크 카트리지(200)에 정압을 인가하는 동안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로부터 당겨지더라도,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이 천공 상태에 있는 동안 대기 연결 구멍(280)이 처음으로 정압 인가 부재(91)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따라서, 잉크가 잉크 카트리지(200)로부터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이어서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 잉크 검출 광 센서(170)의 적외광 발광부(172)와 적외광 수광부(174)는 센서 레버(360)의 감지 아암부(367)(감지점)를 수용하는 돌출부(372)를 개재하도록 센서 수용홈(240)에 수용된다. 따라서, 센서 레버(360)의 감지 아암 단부(367)(감지점)는 적외광 발광부(172)와 적외광 수광부(174) 사이에 위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200)에서 잉크가 고갈될 때의 조건을 검출하기 위한 잉크 감지 기구는 완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잉크 감지 기구의 센서부(170)(발광부(172) + 수광부(174))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마련된다. 센서부(170)가 온(ON) 또는 오프(OFF)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레버(블랙 수지 센서 레버(360))는 잉크 감지 기구가 잉크 카트리지를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도록 잉크 카트리지(200)에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레버(360)는 감지 아암 단부(367)(감지점)를 잉크 잔량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충분한 양의 잉크가 잔류할 때, 감지 아암 단부(367)는 적외광 발광부(172)와 적외광 수광부(174) 사이에 위치되며 적외광을 차단한다. 잉크가 거의 소모되었을 때, 감지 아암 단부(367)는 적외광 수광부(174)가 적외광을 수광하도록 적외광 발광부(172)와 적외광 수광부(174) 사이로부터 당겨진다. 결국,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잉크의 존재나 비존재를 용이하게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고 기록 장치의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170)는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단지 잉크의 존재 여부만을 검출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200)는 수지로만 형성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200)의 기본 구성은 잉크를 사이에 보유한 수지 케이스 위에 씌워진 필름이다. 즉, 단일 시트의 필름이 주 케이스(230)의 터브부(320)를 가로질러 씌워지며 잉크는 주 케이스(230)와 필름 사이에 충전된다. 주 케이스(230) 상에 리드(210)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필름을 만지거나 필름을 파손하는 것이 방지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주 케이스(230)는 잉크의 성질을 약화시키는 것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갖는 수지로부터 제조된다. 본 예에서, 주 케이스(230)는 내부에 개재된 첨가물이 없는 비첨가형 폴리프로필렌(PP)으로 제조된다. 폴리프로필렌에 첨가물이 개재되면, 주 케이스(230)(잉크 유지부(310))는 잉크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잉크는 첨가물을 용해한다. 한편, 리드(210)는 리드(210)가 잉크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첨가물이 첨가된 첨가형 폴리프로필렌(PP)으로 제조된다. 이런 방식에서, 주 케이스(230)와 리드(210)는 모두 동일한 수지재(PP)로부터 제조되기 때문에 초음파 용접을 사용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잉크 수용부(300)는 터브부(320)와 가요성 필름(302) 사이에 한정된다. 잉크를 유지하는데 어떤 발포제도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잉크는 완전히 소모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200)는 어떤 발포제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수지로부터 제조되기 때문에, 잉크가 고갈된 후 잉크 카트리지(200)가 소각될 때 다이옥신이 생성되지 않는다. 이로써 폐재료로 인한 환경에 대한 역효과가 저감된다. 또한, 잉크 수용부(300)가 가방 형상이라면 필요할 수도 있는 탭부나 홈통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대량의 잉크가 단지 작은 체적의 케이스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 수용부(300)는 단지 오목한 유지 용기를 제공하고 이것을 필름으로 덮은 간단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런 간단한 구성은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재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필름(302)은 2층 구성이다. 즉, 가요성 필름(302)은 열 용융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30 ㎛ 두께)으로 제조된 내층과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나일론으로 제조된 외층을 서로 부착함으로서 마련된다. 폴리프로필렌(30 ㎛ 두께)은 내부에 첨가물이 거의 개재되지 않은 비첨가형이다. 내층은 잉크와 접촉하기 때문에, 내층이 첨가물을 개재하고 있는 경우 내층은 잉크에서 용해될 수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30 ㎛ 두께)은 기계적 충격에 극히 약하다. 이런 이유로 해서, 나이론 외층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마련된다. 폴리프로필렌(30 ㎛ 두께)으로 제조된 내층과 나일론으로 제조된 외층으로부터 제조된 2층 구성은 열이 인가될 때 펼쳐지는 성질을 가지며 에어나 다른 가스에 대한 투과성도 갖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재료는 본 실시예의 가요성 필름(302)용으로 사용되기에 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이층 가요성 필름(302)은 잉크 유지부(310)에 부착될 때 외향 팽창하도록 후술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가요성 필름(302)은 폴리프로필렌(30 ㎛ 두께)으로 제조된 내층(302a)과 나일론으로 제조된 외층(302b)으로 제조된다.
도3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필름(302)은 가요성 필름(302)이 편평 조건에 있는 동안 터브부(320)의 개방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그 후, 열이 가요성 필름(302)을 통해 개방 주연 모서리(312)에 인가된다. 결국, 단지 내층(302a)만이 용해되고 개방 주연부(312)에 열 융합된다. 다음으로, 도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안된 진공 장치가 터브부(320)와 유체 연통하는 잉크 공급 구멍(260)에 연결된다. 진공 장치는 공간에 진공 조건을 생성하기 위해 가요성 필름(302)과 터브부(320) 사이의 에어 및 다른 가스를 배기시키는 데 사용된다. 외측으로부터 가요성 필름(302)으로 인가된 대기압은 가요성 필름을 터브부(320)와 밀접 접촉하도록 이동한다. 진공이 인가됨과 동시에, 열은 가요성 필름(302) 위에 마련된 외부 열원(도시 안됨)에 의해 가요성 필름(302) 전체에 인가된다. 결국, 가요성 필름(302)은 터브부(320)를 따르는 형상으로 소성적으로 변형된다. 결국, 가요성 필름(302)은 터브부(320)에 정확히 달라붙도록 형성된다. 결국, 가요성 필름(302)은 터브부(320)의 기부면 상에 성형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잉크가 터브부(320)와 가요성 필름(302) 사이에 도입될 때, 가요성 필름(302)은 터브부(320)의 체적의 두 배의 잉크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가요성 필름을 터브부(320)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팽창한다. 잉크가 사용될 때, 가요성 필름(302)은 터브부(320)에 접근한다. 잉크가 완전히 사용될 때, 가요성 필름(302)은 터브부(320)에 달라붙는다. 따라서, 잉크는 완전히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외층(302b)의 나일론은 외부 열원(도시 안됨)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지만, 나일론은 내열성을 갖기 때문에 용해되지 않는다. 한편, 내층(302a)의 폴리프로필렌층은 외부 열원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되기 때문에 용해하지 않고 단지 소성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가요성 필름(302)은 가요성 필름(302)이 단층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되었다면 잠재적인 문제가 될 수 있는 외부 열원으로 인해 용해되지 않는다.
압력 롤링에 의해 가요성 필름(302)을 누르고자 했다면, 가요성 필름(302)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고 잉크 및 에어가 누출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문제는 상술한 방법이 사용될 때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는 만곡 표면부(324) 자체가 주형으로 사용되고 가요성 필름(302)이 만곡 표면부(324)의 형상을 가요성 필름(302)으로 전이하도록 신장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만곡 표면부(324)는 임의의 선택적 발포제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요성 필름(302)은 선택적 발포제를 따르도록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부(320)의 형상 변화는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상술한 열처리중에 가요성 필름(302)이 만곡 표면부(324)에 들러붙는 것은 후술할 복수개의 잉크 주입 홈(330)과 잉크 공급 홈(332)을 형성하거나 만곡 표면부(324) 상에 결정화를 형성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가요성 필름(302)이 팽창 형상으로 가압되고 개방 주연 모서리(312)에 부착되는 경우보다 적은 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잉크 수용부(300)로 진입할 위험이 저감된다. 또한, 처리 작업을 위한 개별 주형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한 설비로도 충분한다.
내층(302a)과 외층(302b)은 외층(302b)을 나일론 대신 용해하기 어려운 첨가식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하고 내층(302a)을 비첨가식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함으로써 서로 다른 특성의 두 종류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형(400)는 터브부(32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주형(400)는 개별적으로 마련되며 터브부(320)의 형상과 대칭인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가요성 필름(302)이 편평 조건으로 개방 주연 모서리(312)에 열 융합되면, 주형(400)를 가열하는 동안, 가압된 에어가 잉크 공급 구멍(260)을 통해 가요성 필름(302)과 터브부(320) 사이로 밀어 넣어진다. 결국, 가요성 필름(302)은 팽창하고 주형(400)의 만입 형상은 가요성 필름(302)으로 전이된다. 가요성 필름(302)과 주형(400) 사이의 공간에서의 압력은 이 공간에 에어를 밀어 넣음으로써 가요성 필름(302)과 터브부(320) 사이의 내부 공간 내측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대신 저감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39a 및 도39b를 참조로 팽창 형상으로 형성된 가요성 필름(302)과 터브부(320) (잉크 유지부(300)) 사이에 잉크를 주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3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밸브(264)와 잉크 공급 러버 플러그(262)(실리콘 러버 부시)가 잉크 공급 구멍(260) 내측에 마련된다. 잉크 주입 러버 플러그(272)(실리콘 러버 부시)는 잉크 주입 구멍(270) 내측에 마련된다. 잉크 주입 러버 플러그(272)는 잉크부(266)에 의해 잉크 공급 러버 플러그(262)에 연결된다. 잉크 주입 니들 삽입 만입부(274)와 플러그 피크(276)가 서로 오프셋된 위치에서 잉크 주입 러버 플러그(272)에 형성된다. 비록 러버 플러그(262, 27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니들에 의해 천공되지만, 러버 플러그(262, 272)는 니들이 빼내어진 후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천공된 위치를 폐쇄하는 성질을 갖는다.
우선, 도3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공급 러버 플러그(262)와 잉크 주입 러버 플러그(272)는 잉크 공급 구멍(260)과 잉크 주입 구멍(270)에 결합된다. 잉크 주입 러버 플러그(272)는 플러그 피크(276)가 잉크 주입 연결 경로(278)로부터 분리된 조건으로 잉크 주입 구멍(270)에 부분적으로 끼워진다. 주 케이스(230)의 전방면 벽(234)이 수직하게 상향 대면하는 자세에 있는 동안, 니들(502, 504)이 대응하는 러버 플러그의 내부 만입부에 노출될 때까지 에어 제거 중공 니들(502)은 잉크 공급 러버 플러그(262)를 천공하고 잉크 주입 니들(504)은 잉크 주입 러버 플러그(272)를 천공한다. 에어 제거 중공 니들(502)은 도시 안된 에어 제거 진공 펌프와 유체 연통하며 잉크 주입 니들(504)은 잉크 펌프와 유체 연통한다. 에어는 잉크 수용부(300) 내측에 진공을 달성하기 위해 잉크 공급 구멍(260)을 거쳐 잉크 수용부(300) 내측으로부터 유인된다. 이어서, 잉크 펌프는 잉크 주입 구멍(270)으로 잉크를 주입하도록 작동된다. 잉크 주입 니들 삽입 만입부(274)는 좁기 때문에, 진공이 얼마나 높게 달성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잉크 주입 니들 삽입 만입부(274) 내의 모든 잔류하는 에어를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에어가 잉크 수용부(300)에서 혼합되면, 에어가 팽창해서 잘못된 잔량 검출을 일으키고 헤드로의 잉크 공급을 방해한다. 이런 이유로 해서, 잉크 주입 러버 플러그(272)는 잉크 주입이 완료된 후 잉크 주입 구멍(270) 내로 완전히 눌려진다. 도3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로 인해 플러그 피크(276)는 결국 잉크 주입 연결 경로(278)를 완전히 차단한다. 따라서, 잉크 주입 삽입 만입부(274)에 잔류하는 소량의 잉크가 잉크 수용부(300)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주입 홈(330)은 잉크 주입 구멍(270)(잉크 주입 연결 경로(278))과 유체 연통하며 만곡 표면부(324)를 적절히 따르도록 형성됨으로써 잉크는 터브부(320) 둘레에서 유동한다. 잉크가 주입될 때, 잉크는 잉크 주입 홈(330)을 따르며 터브부(320)로 진입한다. 따라서, 에어 제거가 향상된다. 에어 제거/잉크 공급 홈(332)은 잉크 공급 구멍(잉크 공급 연결 경로(278))과 유체 연통하며, 만곡 표면부(324)를 적절히 따르도록 형성되며, 또한 잉크 주입 홈(330)과 유체 연통한다. 따라서, 에어는 에어 제거중에 보다 용이하게 제거된다. 즉, 가요성 필름(302)이 에어 제거중에 만곡 표면부(324)에 밀접하게 달라붙더라도, 에어 제거 공간이 에어 제거/잉크 공급 홈(332)에 의해 개방되기 때문에, 에어는 전체 잉크 수용부(3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임의의 계곡 형상의 표면은 잉크 수용부(300)로부터 에어를 제거하는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예컨대, 에어 제거/잉크 공급 홈(332) 대신에 또는 이에 부가해서, 터브부(320)에는 계곡부가 결정면의 결정들 사이에 형성된 결정면이 형성될 수 있다. 계곡부는 잉크 주입 홈(330)과 유체 연통하며 따라서 에어 제거를 향상시킨다. 또한, 포위 모서리(322) 또는 범프(bump)는 잉크가 잉크 제트 헤드로 공급될 때 잉크 유동이 적극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만곡 표면부(324)의 최하 위치, 즉 반구형 피봇(365) 둘레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잉크는 소량의 잉크가 남아있더라도 낮은 위치로부터 용이하게 유인될 수 있으며 가요성 필름(302)과 만곡 표면부(324)가 서로에 대해 달라붙는 힘은 후방 압력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도록 저감될 수 있다.
잉크가 잉크 수용부(300) 내로 도입된 후, 리드(210)는 주 케이스(230) 상에 장착되고 잉크 카트리지(200)는 완성된다. 그 후, 잉크 카트리지(200)는 진공 팩내에 포장된다. 즉,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잉크 카트리지(200)는 수지 필름재의 시트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 후 진공 조건으로 배기된다. 잉크 제트 헤드(70)는 압력파를 사용해서 잉크를 토출하기 때문에, 잉크 내의 임의의 버블들은 잉크가 적절히 토출될 수 없도록 압력을 흡수한다. 버블은 잉크에 용해된 에어로부터 시간에 걸쳐 형성되고 성장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200)는 잉크 카트리지(200)를 충전하는 잉크 내의 용해된 에어량을 억제하도록 진공 포장된다.
잉크 수용부(300) 내로 주입된 잉크에서 에어는 이미 소정 범위까지 제거된다. 즉, 잉크의 에어 성분량은 포화량의 약 30 내지 35 %이다. 잉크 수용부(300)는 잉크로 충전되며 전체 잉크 카트리지(200)는 필름재 내에서 둘러싸인다. 그 후 진공 조건이 필름재 내에서 달성될 때, 잉크 내의 에어는 폴리프로필렌 및 나일론으로부터 형성된 가요성 필름(302)과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수지로부터 제공된 주 케이스의 벽을 통과해서, 진공 포장 내측으로 유인된다. 에어는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로부터 더욱 제거된다. 수 일이 경과한 후, 잉크 카트리지 내의 잉크의 에어 성분은 포화 조건의 약 20 %까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진공 포장된 잉크 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서 에어 제거 수준이 높은 잉크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200)가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은 잉크 공급 구멍(260)의 잉크 공급 러버 플러그(262) 내로 삽입된다.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은 버퍼 탱크(84) 및 잉크 공급 튜브(T)를 거쳐 잉크 제트 헤드(70)와 유체 연통한다. 잉크에 용해된 에어는 시간이 지나면 버블로 성장해서 버퍼 탱크(84) 및 잉크 공급 튜브(T)의 내벽에 달라붙는다. 버블은 온도 등의 변화중에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다. 잉크 공급 구멍(260)의 역류 방지 밸브(264)는 약간의 외부 압력이 인가되더라도 잉크 공급 구멍(260)을 차단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역류 방지 밸브(264)는 작은 압력이 역류 방지 밸브(264)에 인가되도록 버블이 버퍼 탱크(84) 및 잉크 공급 튜브(T)에서 성장할 때에도 폐쇄된다. 한편, 역류 방지 밸브(264)는 압전 잉크 제트 헤드(70)에 의한 잉크의 당김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한다. 이런 이유로 해서, 비록 역류 방지 밸브(264)는 어떤 양의 잉크도 공급할 수 있지만, 역류 방지 밸브(264)는 버블이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수용부(300)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블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으로 인해 폐쇄된다. 따라서, 버블이 잉크 카트리지 내로 진입하고 버블이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헤드로 진입하고 불완전 토출을 야기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잉크 주입 구멍(270)과 잉크 공급 구멍(260)은 이것들이 잉크 카트리지의 전방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개방 정렬되게 마련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마련된다. 단지 하나의 구멍만 잉크 카트리지의 전방면에 마련된다. 이 구멍을 통해 모두 수행되는 진공 작업, 잉크 주입 및 잉크 공급인 경우, 구멍에 장착된 동일한 러버 플러그는 니들에 의해 세 번 천공될 필요는 없다. 구멍 직경 자체는 니들이 세 개의 서로 다른 위치를 천공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확장될 필요가 있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구멍은 잉크 주입 및 잉크 공급을 위한 구멍이 개별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구멍이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잉크 공급 구멍(260)이 잉크 주입 동안 진공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도록, 에어 제거 중공 니들(502)이 잉크 공급 러버(262)를 천공하는 위치는 잉크 카트리지(200)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S)에 장착될 때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이 잉크 공급 러브 플러그(262)를 천공하는 위치와 달라야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공급 구멍(260)은 사실상 높이 방향 및 폭 방향 중심에서 전방면 벽(234)에 형성된다. 돌출부(235)는 전방면 벽(234)의 폭방향으로 대략 중심에 형성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200)의 높이(두께)는 폭방향 단부보다 돌출부(235)에서 더 크다. 따라서, 잉크 공급 구멍(260)은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잉크 공급 러버 플러그(262)는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 제거 중공 니들(502)은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에 의해 천공된 위치와 다른 잉크 공급 러버 플러그(262)의 위치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는 진공 포장에서 밀봉된다. 이 때, 주 케이스와 리드(210)를 서로 미는 압력이 인가된다. 이 압력에 저항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드(210)의 구형 외향 만곡부(212)가 대략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리브에 의해 강화된 구성이 사용된다.
도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리드(210)의 구형 외향 만곡부(212)는 구형 외향 만곡부(212)의 주연에서 잉크 수용 주연부(216)가 주 케이스측의 개방 주연 모서리(312)의 내부 모서리로부터 조금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잉크 수용 주연부(216)의 내부 주연 모서리부(216a)는 개방 주연 모서리(312)의 외부 모서리 및 내부 모서리의 중간부와 대면한다. 내부 주연 모서리(216a)가 개방 주연 모서리(312)의 내부 주연부의 내측에 위치되었다면, 리드(210)와 터브부(320)가 진공 팩으로부터의 압력 하에서 서로 접근할 때 내부 주연 모서리(216a)가 가요성 필름(302)에 접해서 가요성 필름(302)을 손상시켰을 위험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드(210)는 개방 주연 모서리(312)의 내부 모서리로부터 조금 외측 위치에, 즉 개방 주연 모서리(312) 위에 접한다. 가요성 필름(302)은 개방 주연 모서리(312) 상에 단단히 용접되며 주 케이스(230)의 수지와 합체된다. 따라서, 리드(210)의 잉크 수용 주연부(216)는 이것이 개방 주연 모서리(312) 상의 가요성 필름(302)에 직접 접하더라도 가요성 필름(302)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41 내지 도53b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제1 내지 제12 변경예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41은 가이드 홈(236)과 센서 수용홈(240)이 측벽(232)에 개방되는 형상인 본 실시예의 제1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이 경우, 잉크 카트리지(200)는 가이드 돌출벽(120)에 대응하는 측면을 따르도록 가이드 홈 노치 만입부(236')를 활주시킴으로써 안내된다. 도42는 도41의 잉크 카트리지(200)에 대해 변경된 기록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다. 로크 해제 작업 리브(150)는 잉크 도입 중공 니들(82)이 배치된 측면에 가이드 돌출벽(120)에 근접해서 마련된다. 대기 연결 구멍(280) 아래의 위치에 대응하는 잉크 카트리지(200)의 전방면 벽(234)의 부분은 로크 해제부(238)로서 기능한다.
도43a 및 도43b는 복수개의 리브(243)가 거북껍질 구성으로 배열된 본 실시예의 제2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도44a 및 도44b는 복수개의 리브(243)가 포위 모서리(322)와 동심인 원에 배열된 본 실시예의 제3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도45a 및 도45b는 복수개의 리브(243)가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배열된 본 실시예의 제4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도46a 및 도46b는 잉크 카트리지(200)의 하부면이 어떤 리브도 없이 매끄러운 본 실시예의 제5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도47a 및 도47b는 파지부(202)와 측벽(232)이 본 실시예와 다른 형상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제6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도48a 및 도48b는 파지부(202)와 측벽(232)이 본 실시예와 다른 형상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제7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도49a 및 도49b는 파지부(202)와 측벽(232)이 본 실시예와는 다른 형상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제8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도50a 및 도50b는 파지부(202)와 측벽(232)이 본 실시예와는 다른 형상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제9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도51a 및 도51b는 파지부(202)와 측벽(232)이 본 실시예와는 다른 형상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제10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도52a 및 도52b는 부분(212)이 구형 외향 만곡 형상이 아닌 거북껍질 패턴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제11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도53a 및 도53b는 부분(212)이 구형 외향 만곡 형상이 아닌 구 형상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제12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200)를 도시한다.
비록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와 그 변경예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그 범위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다양한 개조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예컨대, 니들 보호판(130), 로크 부재(180) 및 누출 방지 로크 부재(190)의 구성은 도11에 도시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 조합의 구성 요소가 특히 유효한다. 예컨대, 제1 조합에서,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유지부, 가요성 필름 및 센서 레버를 포함한다. 잉크 유지부는 만입 표면부와 개방부를 갖는다. 가요성 필름은 잉크 유지부의 개방부를 덮으며 만입 표면부에서의 잉크량 저감과 관련해서 만입 표면부쪽으로 변형될 수 있다. 센서 레버는 두 단부를 갖는다. 일 단부는 잉크 잔량 검출점으로서 기능하며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 위로 상향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타 단부는 잉크 유지부로부터 연장된다. 가요성 필름은 가요성 필름이 만입 표면부쪽으로 변형될 때 센서 레버의 잉크 잔량 검출점을 누른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유지부의 잉크 잔량이 감소할 때, 가요성 필름은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쪽으로 변형된다. 센서 레버의 잉크 잔량 검출부는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센서 레버는 가요성 필름이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에 도달할 때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잉크 카트리지에는 잉크가 거의 완전히 비게 된다. 따라서, 잉크 유지부의 잉크는 최대량까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는 만곡 형상을 가지며 잉크 잔량검출점은 만입 표면부의 최하 위치에 배치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가요성 필름은 잉크 잔량이 잉크 유지부에서 감소할 때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의 최하 위치쪽으로 변형된다. 잉크 잔량 검출점은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의 최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센서 레버는 가요성 필름이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의 최하 위치에 도달할 때 그리고 따라서 잉크가 거의 완전히 소모될 때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유지부 내의 잉크는 최대량까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유지부는 수지로 형성되며, 만입 표면부 아래에서 만입 표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한다. 이 경우, 센서 레버는 홈에 위치된다. 센서 레버는 만입부 아래에 형성된 홈에 위치되기 때문에, 센서 레버는 가요성 필름이 만입 표면부쪽으로 변형될 때 가요성 필름과 충돌하지 않는다. 따라서, 잉크 잔량은 신뢰성 있게 검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레버는 피봇점과, 작업 아암부와, 감지 아암부를 포함한다. 작업 아암부와 감지 아암부는 피봇점의 양 측면으로 연장된다. 잉크 잔량 검출점은 작업 아암부 상에 마련된다. 감지 아암부의 단부는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외측의 센서와 대면할 수 있도록 연장된다.
가요성 필름은 잉크의 저감과 관련해서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쪽으로 절곡되기 때문에, 가요성 필름은 잉크가 완전 고갈될 때 잉크 잔량 검출점을 누른다. 결국, 센서 레버는 피봇 받침대 둘레에서 피봇하며 감지 아암의 단부는 상승한다.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외부에 마련된 센서가 단부의 상승 이동을 감지할 때, 잉크가 고갈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로써 간단한 구성을 사용해서 잉크 잔량이 신뢰성 있게 검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레버의 감지 아암부의 길이는 작업 아암부의 길이보다 길다. 결국, 가요성 필름이 잉크 잔량 검출점을 누르는 양에 대응해서 감지 아암이 상승하는 양은 증가된다. 따라서, 소량의 잉크가 잔류할 때 가요성 필름의 작은 위치 변화는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증폭될 수 있다. 센서는 잉크가 완전히 고갈되었을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엠프티 조건의 검출은 최대 한계에 가까게 지연될 수 있기 때문에 만입 표면부의 잉크가 최대량까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레버의 감지 아암부의 무게는 작업 아암부의 무게보다 무겁다. 결국, 잉크 잔량 검출점은 잉크가 고갈될 때 가요성 필름이 잉크 잔량 검출점을 누르도록 일반적으로 만입 표면부 위로 돌출한다. 센거 레버가 잘못 작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박 부재가 센서 레버의 감지 아암부 위에 추가로 마련된다. 압박 부재는 잉크 잔량 검출점이 만입 표면부 위로 돌출하도록 센서 레버를 압박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잔량 검출점은, 예컨대 운반중에 잉크 카트리지의 상면이 아래로 가더라도 적절하게 돌출한다. 이로써 안정적인 센서 레버의 작업이 가능한다.
바람직하게는, 억제 부재가 만입 표면부에 추가로 고정되며 주 케이스가 잉크 유지부를 지지하기 위해 추가로 마련된다. 센서 레버의 피봇점은 억제 부재와 주 케이스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게 개재된다. 피봇점은 피봇 가능하게 개재되기 때문에, 작업은 정밀하다.
바람직하게는, 억제 부재는 잉크 잔량 검출점이 만입 표면부 위로 돌출하도록 센서 레버의 감지 아암부를 압박하는 탄성판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잔량 검출점은 검출이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만입 표면부 위로 일정하게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소량의 잉크가 만입 표면부에 잔류할 때 대면부가 아닌 가요성 필름의 부분이 만입 표면부의 형상을 사실상 따르도록 하면서 잉크 잔량 검출점으로부터 대면부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대면부를 압박하는 압박 수단이 추가로 마련된다. 이 경우, 가요성 필름은 잉크 잔량 검출점을 누르기 위해 어떤 잉크도 튜브부에 거의 잔류하지 않을 때 압박 수단의 압박력을 극복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잔량 검출점과 대면하지 않는 가요성 필름의 부분은 사용되는 잉크와 관련해서 만입 표면부를 따른다. 가요성 필름의 대면부는 만입부에 잉크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을 때에만 잉크 잔량 검출점에 도달함으로써, 잉크 유지부의 잉크는 최대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박 수단은 소정량 범위보다 많은 잉크가 만입 표면부에 잔류할 때 가요성 필름을 뒤따라 이동시키고 소정량 범위의 잉크가 만입 표면부에 잔류할 때 잉크 유지부를 붙잡을 수 있도록 가요성 필름에 연결된다. 압박 수단은 소정량 범위의 잉크가 만입 표면부에 잔류하는 동안 잉크 잔량 검출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가요성 필름을 압박하는 가요성을 갖는다. 압박 수단은 잉크 잔량 검출점과 대면하지 않는 가요성 필름의 부분이 만입 표면부를 따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잉크 유지부의 잉크는 최대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박 수단은 양 단부가 자유롭고 중심부가 가요성 필름에 고정된 판형 스프링이다. 판형 스프링의 단부들은 판형 스프링의 중심부에 연결된 가요성 필름의 부분이 잉크 잔량 검출점에 도달하기 전에 만입 표면부에 접한다. 판형 스프링의 중심부에 연결된 가요성 필름의 부분은 판형 스프링의 단부들이 만입 표면부에 대해 접한 후 판형 스프링으로부터의 저항에 대항해서 잉크 잔량 검출점쪽으로 이동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가요성 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하며 잉크 유지부의 잉크는 최대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만입 표면부는 단면 영역이 개방부로부터 만입 표면부의 가장 깊은 부분까지의 거리에 따라 저감되도록 형성된다. 잉크 잔량 검출점은 만입 표면부의 가장 깊은 부분에 위치된다. 판형 스프링의 양 단부는 소정량 범위의 잉크가 만입 표면부에 잔류할 때 개방부와 가장 깊은 부분 사이의 만입부와 접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유지부의 잉크는 최대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조합에서, 잉크 카트리지는 주 케이스와 가요성 필름을 포함한다. 주 케이스는 잉크를 유지하기 위한 잉크 유지부를 포함한다. 잉크 유지부는 만입 표면부와 개방측을 갖는다. 가요성 필름은 잉크 유지부의 개방측을 덮는다. 가요성 필름은 잉크 유지부 내에 잉크가 사실상 보유되지 않을 때 만입 표면부의 형상을 사실상 따르는 형상을 갖는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가요성 필름은 잉크에 압력을 인가하지 않고도 잉크의 저감과 관련해서 변형된다. 따라서, 잉크 제트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압력은 사실상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잉크 토출 작업은 잉크 제트 헤드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잉크 잔량(잉크 제트 헤드로 공급될 수 없는 잉크의 양)은 저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만입 표면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잉크 유지부의 개방측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감소하는 단면 영역을 갖는 반구형 형상을 갖는다. 이런 이유로 해서, 가요성 필름은 단지 소량의 잉크만이 잔류할 때 용이하게 만입부를 따를 수 있다. 사용되지 않은 잉크의 양은 저감될 수 있으며 잉크의 공급을 위해 잉크에 인가되는 압력은 거의 모든 잉크가 사용될 때까지 사실상 고정된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다. 잉크 공급이 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에 연결된 잉크 제트 헤드는 잉크를 안정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유지부의 개구측은 잉크 잔량이 감소할 때 가요성 필름이 만입부쪽으로 용이하게 변형하도록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잉크 공급을 위해 잉크에 인가된 압력은 고정된 수준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 케이스는 진공 구멍이 형성된 벽을 포함한다. 진공 구멍은 잉크 유지부와 유체 연통하며 잉크 유지부의 내측에 진공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만입 표면부는 만입 표면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따르고 진공 구멍과 유체 연통하는 계곡 형상부를 포함한다. 에어는 잉크가 잉크 유지부 내로 도입되기 전에 진공 구멍을 거쳐 잉크 유지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에어가 제거될 때, 가요성 필름이 이동해서 만입 표면부와 접촉한다. 이 때 가요성 필름이 불균일하게 절곡되면, 가요성 필름은 만입 표면부와 밀접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에어는 가요성 필름과 만입 표면부 사이에 잔류한다. 그러나, 만입 표면부의 계곡 형상부는 진공 구멍과 유체 연통하기 때문에, 가요성 필름이 불규칙하게 절곡되더라도 에어는 잉크 유지부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가요성 필름은 잉크 유지부에 잔류하는 에어가 없이 잉크가 주입될 수 있도록 만입 표면부와 완전히 밀접 접촉하게 될 수 있다. 계곡 형상부는 에어가 거의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예컨대 만입 표면부의 루프 형상홈이거나 만입 표면부의 결정화된 표면일 수 있다.
제3 조합에서,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유지부와 강성 상부면을 포함한다. 잉크 유지부는 강성의 만입 표면부와 가요성 필름을 포함한다. 만입 표면부는 가요성 필름에 의해 덮힌 만입 표면부의 일 측면에 개방측을 갖는다. 잉크는 만입 표면부와 가요성 필름 사이에 수용된다. 상부면은 가요성 필름에 대해 만입 표면부에 대향해서 위치된다. 상부면은 만입 표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하는 사실상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의 상부면은 만입 표면부와 가요성 필름 사이의 잉크 충전으로 인한 가요성 필름의 팽창에 대응해서 만입 표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의 크기가 콤팩트하더라도, 큰 체적의 잉크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면은 만입 표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팽창하는 사실상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면은 충분히 강하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는 절곡이나 휨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갖게 되고 뭉게지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주 케이스와 리드를 추가로 제공한다. 주 케이스는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를 포함하며, 만입 표면부의 개방측이 덮히도록 가요성 필름이 부착된다. 리드는 주 케이스와 개별 부재로서 마련되며 상부면을 포함한다. 상부면은 주 케이스의 만입 표면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만곡부를 가지며, 가요성 필름이 그 사이에 위치된다. 만곡부는 만입 표면부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방향으로 사실상 반구형 형상으로 만곡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는 만곡부가 가요성 필름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만입 표면부와 대면하도록 단지 주 케이스와 리드를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 케이스의 만입 표면부는 리드의 만곡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사실상 반구형 형상으로 만곡된 벽으로부터 형성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만입 표면부를 형성하는 벽은 벽이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리드의 만곡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사실상 반구형 형상으로 만곡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는 절곡이나 휨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갖게 되고 뭉게지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유지부는 만입 표면부의 개방측을 한정하는 포위 모서리를 포함한다. 가요성 필름은 포위 모서리에 부착된다. 주 케이스는 잉크 유지부를 둘러싸도록 주 케이스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주 케이스의 하부 모서리까지 잉크 유지부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연벽을 갖는다. 주연벽의 하부 모서리는 주 케이스의 하부면의 외부 주연 모서리부를 사실상 한정한다. 리드는 주연벽과 대면하고 주연벽의 상부 모서리와 결합된 외부 모서리부를 갖는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비록 잉크 유지부의 하부면이 사실상 반구형 형상을 갖더라도,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가 예컨대 테이블 상부에 위치될 때 주 케이스의 주연벽의 하부 모서리에 의해 안정화된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는 기록 장치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가요성 필름은 잉크 유지부의 포위 모서리에 부착되고 리드는 주연벽의 상부 모서리에 부착되기 때문에, 잉크는 부착된 가요성 필름의 부분과 리드가 충돌하지 않고 잉크 카트리지에서 신뢰성있게 밀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 케이스는 잉크 유지부의 개방측을 둘러싸는 주 케이스 개방측 주연 모서리부를 갖는다. 주 케이스 개방측 주연 모서리부는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와 개방측 사이의 경계를 한정하는 내부 모서리를 갖는다. 가요성 필름은 잉크 유지부의 개방측을 덮도록 주 케이스 개방측 주연 모서리부에 부착된다. 리드는 만곡부를 둘러싸는 리드 개방 주연부를 갖는다. 리드 개방 주연부는 주 케이스 개방측 주연 모서리부의 내부 모서리의 외측으로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서 형성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가요성 필름은 주 케이스 개방측 주연 모서리부에 부착된다. 또한, 주 케이스 개방측 주연 모서리부는 리드 개방 주연부의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리드 만곡부와 대면한다. 따라서, 리드 개방 주연 모서리부는 주 케이스와 리드가 서로 접근하도록 눌려지더라도 주 케이스 개방측 주연 모서리부에 부착되는 곳에서 가요성 필름과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요성 필름의 모서리는 손상되지 않는다. 잉크는 누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주 케이스는 주 케이스의 주연벽을 벽의 하부면에 연결하는 복수개의 리브를 갖는다. 복수개의 리브는 주 케이스의 주연벽을 벽의 하부면에 연결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리브는 사실상 반구형 형상의 벽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주 케이스의 주연벽은 제1 주연벽과, 제2 주연벽과, 제1 및 제2 주연벽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벽을 포함한다. 제1 주연벽은 잉크 유지부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만입 표면부의 개방측을 한정하는 포위 모서리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주연벽은 제1 주연벽과의 사이에 공간을 개재한 상태로 잉크 유지부보다 제1 주연벽의 대향측 상에 위치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주 케이스의 주연벽은 주연벽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2층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주 케이스에는 잉크 공급 구멍과 대기 연결 경로가 형성된다. 잉크 공급 구멍은 잉크 유지부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외측으로 잉크를 유인하기 위한 것이다. 대기 연결 경로는 잉크 유지부의 외측으로부터 가요성 필름으로 대기압을 인가하기 위해 잉크 카트리지의 외측과 리드 및 가요성 필름 사이의 공간을 연결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가요성 필름에 대기 연결 경로를 거쳐 대기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잉크 유지부의 잉크는 잉크 공급 구멍을 통해 유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 케이스는 잉크 공급 구멍과 대기 연결 구멍을 한정하는 벽부를 포함한다. 잉크 공급 구멍은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로부터 잉크 카트리지의 외측으로 잉크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대기 연결 구멍은 잉크 유지부의 외측으로부터 가요성 필름으로 대기압을 인가하기 위해 잉크 카트리지의 외측과 리드 및 가요성 필름 사이의 공간을 연결한다. 리드는, 주 케이스 개방측 주연 모서리부에 대면하는 적어도 한 부분에서, 리드의 만곡부와 가요성 필름 사이에 한정된 공간을 대기 연결 구멍과 유체 연통시키기 위한 홈이 마련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대기 연결 구멍을 거쳐 진입하는 에어는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쪽 방향으로 가요성 필름에 압력을 인가하기 때문에, 만입 표면부의 잉크는 잉크 카트리지의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주 케이스 개방측 주연 모서리부의 상부면이 소정적으로 변형될 때 주 케이스 개방측 주연 모서리부의 상부면은 가요성 필름과 밀접 접촉하게 됨으로써 밀봉된 공간이 리드의 만곡부를 둘러싸는 외부 모서리부와 가요성 필름 사이에 형성될 위험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밀봉된 공간은 압력이 가요성 필름으로 인가될 수 없도록 대기 연결 구멍과 유체 연통되지 않기 때문에, 잉크는 잉크 카트리지 외측으로 적절하게 공급될 수 없다. 그러나, 홈은 리드가 주 케이스 개방측 주연 모서리부와 대면하는 곳에 형성되기 때문에, 만곡부와 가요성 필름 사이의 공간은 주 케이스 개방측 주연 모서리부가 가요성 필름과 밀접 접촉하더라도 대기 연결 구멍과 유체 연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공급 기능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필름은 내층 및 외층으로 형성된다. 내층은 열 용융성을 가지며 주 케이스의 주연벽의 상부 모서리와 접촉한다. 외층은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며 리드의 만곡부와 접촉한다. 열 용융성을 갖는 내층만이 열적으로 용융되어 주 케이스의 주연벽에 부착된다. 한편, 외층은 가요성 필름이 쉽게 파열되지 않도록 내충격성을 가짐으로써, 잉크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층은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첨가형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며 내층은 비첨가형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가요성 필름은 주 케이스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고 파열하기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주 케이스와 리드가 추가로 마련된다. 주 케이스는 잉크 유지부의 만입 표면부를 포함하며 수지로부터 형성된다. 리드는 상부면을 포함하며 주 케이스의 수지와 다른 수지로부터 형성된다. 주 케이스의 잉크 유지부는 잉크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잉크 유지부는 예컨대 첨가형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리드의 상부면은 잉크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따라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물이 첨가되지 않은 비첨가형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될 수 있다. 수지재, 예컨대 동일한 수지재로 주 케이스 및 리드를 제조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는 초음파 용접을 사용해서 주 케이스와 리드의 결합부를 서로 일체로 용융함으로써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주 케이스는 잉크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갖는 수지로부터 형성된다. 잉크 유지부는 잉크에 직접 접촉한다. 그러나, 잉크 유지부는 잉크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갖는 수지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잉크 유지부는 잉크에 의해 부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필름은 가스 투과성을 갖는다. 잉크 카트리지가 진공 팩에 포장될 때, 잉크에 용해된 에어 또는 다른 가스는 가요성 필름을 거쳐 배기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는 단지 소량의 버블만이 생성되도록 낮은 수준의 용해 가스를 포함한다.
잉크 카트리지를 생산하는 제1 방법에서, 잉크를 유지하기 위한 잉크 유지부를 포함하는 주 케이스가 마련된다. 잉크 유지부는 만입 표면부와 개방측을 갖는다. 잉크 유지부의 개방측은 가요성 필름으로 덮힌다. 마지막으로, 가스가 잉크 유지부와 가요성 필름 사이로부터 배기되는 동안 가요성 필름은 잉크 유지부에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가열된다. 결국, 가요성 필름은 만입 표면부의 표면 형상을 따라 변형된다.
본 방법은 만입 표면부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가요성 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개방측이 가요성 필름으로 덮힌 잉크 유지부를 구비한 주 케이스를 포함하는 잉크 카트리지는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생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필름이 반구형 만입 표면부의 표면을 따르도록 불균일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반구형 형상의 만입 표면부를 형성한다. 가요성 필름의 어떠한 부분도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에서 사용된 가요성 필름은 내열층과 열 용융층을 포함한다. 열 용융층은 케이스의 잉크 유지부의 개방측을 둘러싸는 주 케이스의 모서리 부분 상에 위치된다. 이어서 모서리부는 열 용융층을 모서리부에 열 융합시키기 위해 가열된다. 또한, 가요성 필름은 가요성 필름의 내열측으로부터 가열된다. 결국, 내열층은 가요성 필름을 변형시키기 위해 가요성 필름을 가열하는 동안 용해되지 않는다. 가요성 필름은 만입 표면부의 형상을 따르도록 소정 형상으로 변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주 케이스에는 잉크 유지부를 주 케이스의 외측과 유체 연통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에어와 같은 가스는 가요성 필름과 잉크 유지부 사이에 진공 조건을 생성하기 위해 관통 구멍으로부터 잉크 유지부에서 제거된다. 결국, 가요성 필름과 잉크 유지부 사이의 공간은 용이하게 진공으로 환원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를 생산하는 제2 방법에서, 잉크를 유지하기 위한 잉크 유지부를 포함하는 주 케이스가 마련된다. 잉크 유지부는 만입 표면부와 개방측을 갖는다. 잉크 유지부의 개방측은 가요성 필름으로 덮힌다. 주형이 가요성 필름으로 덮인 잉크 유지부와 대면해서 위치된다. 주형의 대면하는 표면은 원하는 형상을 갖는다. 잉크 유지부와 가요성 필름 사이에서의 압력이 감소하는 동안 또는 진공이 주형과 가요성 필름 사이에서 생성되는 동안 가요성 필름은 주형의 표면 형상을 따르도록 가열된다. 잉크 유지부의 개방측을 덮는 가요성 필름은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형은 만입 표면부의 형상과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잉크 유지부의 개방측을 덮는 가요성 필름은 만입 표면부의 형상을 따르도록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다기능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평반형 검색 장치의 상부 커버가 개방된 도1의 다기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1의 다기능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4는 평반형 검색 장치가 제거된 도1의 다기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다기능 장치의 커버 몸체의 하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커버 몸체가 개방된 다기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평반형 검색 유닛과 커버 몸체가 제거된 다기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다기능 장치의 프린터 엔진의 구성에 대한 개략 사시도.
도9는 다기능 장치의 잉크 카트리지 수용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10은 잉크 카트리지 수용부의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니들을 보호하고, 니들이 보호되는 조건을 로킹하고,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로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바닥면 아래에 마련된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후방 단부로부터 도시한 사시도.
도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전방 단부로부터 도시한 사시도.
도14는 리드가 주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가요성 필름이 부착된 주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16은 주 케이스의 만입부에 마련된 감지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7은 도16의 감지 기구의 작업을 지시하는 작업 다이어그램.
도18은 주 케이스의 저면도.
도19는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르 도시한 평면도.
도20은 도19의 화살표 A로부터 취한 도면.
도21은 도19의 선 B-B를 따라 취한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22는 도19의 선 C-C를 따라 취한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23은 도19의 선 D-D를 따라 취한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24는 도19의 선 E-E를 따라 취한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25는 도19의 선 F-F를 따라 취한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26은 도19의 선 G-G를 따라 취한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27은 도19의 선 H-H를 따라 취한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28은 도19의 선 I-I를 따라 취한 잉크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29는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부 개구로 삽입될 때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부의 격벽 상에 형성된 팽창부와, 잉크 카트리지의 높이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천장면 상에 형성된 만곡된 볼록벽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30은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장착부 개구로 삽입될 때, 취출 로크 돌출부가 잉크 카트리지 전방면에 의해 회수되는 조건을 도시한 평면도.
도31은 도30에 도시된 조건의 단면도.
도32는 잉크 카트리지의 가이드 홈이 가이드 보호벽과 결합하고 잉크 카트리지가 활주할 때 니들 보호 로크 부재가 니들 보호 로크 해제 레버를 가격하는 로크 해제부에 의해 니들 보호판의 로크된 조건을 해제하는 조건을 도시한 단면도.
도33은 잉크 카트리지의 전방면이 니들 보호판을 누른 후 잉크 도입 중공 니들이 잉크 공급 구멍으로 삽입되고 니들 보호판의 로크가 해제된 후 니들판이 회수되는 조건을 도시한 단면도.
도34는 잉크 도입 중공 니들이 잉크 공급 구멍에 삽입된 후 잉크 카트리지의 전방면이 당김 유지 로크 만입부 내로의 당김 유지 로크 돌출부의 결합과 관련해서 정압 인가 부재의 러버 캡과 접하는 조건을 도시한 단면도.
도35는 도34에 도시된 조건의 평면도.
도36은 진공 포장 조건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37a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필름을 개방 주연부에 부착하기 위한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37b는 가요성 필름의 팽창 형상을 생성하는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38은 가요성 필름의 팽창 형상 생성 과정의 변경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39a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러버 플러그를 잉크 공급 구멍 내로 완전히 끼우고 잉크 주입용 러버 플러그를 잉크 주입 구멍으로 부분적으로 끼우는 과정과, 잉크 수용부 및 주입 잉크로부터 에어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39b는 잉크 주입 구멍의 모서리에 끼워진 잉크 주입용 잉크 러버 플러그의 플러그 피크부를 도시한 도면.
도40은 리드의 만곡부의 외측에서 구면 형상의 모서리(잉크 수용 주연부)와, 개방 주연부의 내부 모서리와, 가요성 필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41은 가이드 홈과 센서 수용홈이 측벽쪽으로 개방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제1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42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니들 보호 로크 해제 레버의 위치가 변경된 잉크 카트리지에 대응해서 변하는 도41의 잉크 카트리지와 사용하기 위해 변경된 기록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43a는 본 실시예의 제2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43b는 도43a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44a는 본 실시예의 제3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44b는 도44a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45a는 본 실시예의 제4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45b는 도45a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46a는 본 실시예의 제5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46b는 도46a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47a는 본 실시예의 제6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47b는 도47a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48a는 본 실시예의 제7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48b는 도48a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49a는 본 실시예의 제8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49b는 도49a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50a는 본 실시예의 제9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50b는 도50a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51a는 본 실시예의 제10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51b는 도51a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52a는 본 실시예의 제11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52b는 도52a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53a는 본 실시예의 제12 변경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53b는 도53a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기능 장치
10 : 검색 유닛
12 : 제어 패널
14 : 검색 유닛 케이스
15 : 서류 글래스
16 : 접촉 화상 센서
17 : 상부 커버
20 : 잉크 제트 기록 유닛
22 : 시트 공급 트레이
24 : 전화기
26 : 안테나
28 : 매체 기판 장치
29 : 매체 슬롯
30 : 하우징
34 : 시트 배출 트레이
40 : 커버
42 : 엔진 커버부
46 : 시트 배출 포트
60 : 프린터 엔진
200 : 잉크 카트리지

Claims (34)

  1. 기록 장치는,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갖는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고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니들과,
    개방부에 대해 중공 니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니들을 개방하도록 커버를 이동시키고 커버보다 개방부에 가깝게 위치된 레버와,
    레버에 인접해서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벽과,
    서로 대면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레버 및 센서부는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방향 니들의 가상 연장부를 사이에 개재한 두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하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는,
    바닥면에 대해 접하고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중공 니들로 활주하도록 구성된 하부면과,
    중공 니들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 전방면과,
    돌출벽을 수용하는 돌출벽 만입부와,
    돌출벽 만입부에 인접하고 레버의 위치에 대응하고 레버를 작용시키기 위한 위치에 마련된 작업부와,
    센서부를 수용하는 센서 만입부와,
    잉크 카트리지에 잔류하는 잉크의 양에 대응해서 이동하고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센서 만입부로 돌출하고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센서부와 대응해서 마련된 차광 부재를 포함하고,
    센서 만입부 및 돌출벽 만입부는 전방면측에서 볼 때 잉크 공급 구멍의 양 측면을 개재한 위치에서 전방면 및 하부면에서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및 잉크 카트리지의 조합.
  2. 제1항에 있어서, 기록 장치는 사실상 동일 가상면에서 바닥면에 정렬된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및 잉크 카트리지의 조합.
  3. 제2항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는 기록 헤드에 의해 기록된 시트에 대한 운송 경로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및 잉크 카트리지의 조합.
  4. 제1항에 있어서, 기록 장치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수평 단부에 마련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돌출부는 천장면으로부터 바닥면쪽으로 돌출하며,
    잉크 카트리지는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보다 기록 장치의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천장면쪽으로 더 높게 연장된 상부면을 더 포함하며,
    돌출부는 잉크 카트리지가 개방부에 삽입될 때 잉크 카트리지의 높이 방향 위치를 조절하고, 돌출벽 만입부와 작업부는 기록 장치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잉크 카트리지의 부분에 인접해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및 잉크 카트리지의 조합.
  5. 제1항에 있어서, 바닥면은 중공 니들로부터 천장면보다 더 멀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및 잉크 카트리지의 조합.
  6.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고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니들과, 개방부에 대해 중공 니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니들을 개방하도록 커버를 이동시키고 커버보다 개방부에 근접해서 위치된 레버와, 레버에 인접한 바닥면 상에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벽과, 서로 대면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레버와 센서부가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방향 니들의 가상 연장부를 사이에 개재한 두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한 기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잉크 카트리지이며,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닥면에 대해 접하고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중공 니들로 활주하도록 구성된 하부면과,
    중공 니들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 전방면과,
    돌출벽을 수용하는 돌출벽 만입부와,
    돌출벽 만입부에 인접하고 레버의 위치에 대응하고 레버를 작용시키기 위한 위치에 마련된 작업부와,
    센서부를 수용하는 센서 만입부와,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잔량에 대응해서 이동하고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센서 만입부로 돌출하고 발광부 및 수광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센서부에 대응해서 마련된 차광 부재를 포함하며,
    센서 만입부 및 돌출벽 만입부는 전방면측에서 볼 때 잉크 공급 구멍의 양 측면을 개재하는 위치에서 전방면 및 하부면에서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가 기록 장치에 장착될 때 기록 장치의 천장면과 대면하는 상부면을 더 포함하며, 상부면은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보다,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수평 단부에서 천장면 상에 마련된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고 바닥면쪽으로 돌출한 부분에서 천장면쪽으로 더 높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전방면은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더 높고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낮은 돌출 형상을 가지며, 잉크 공급 구멍은 전방면의 높은 부분의 사실상 수평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9. 제6항에 있어서, 돌출벽의 개방부측 선단부가 센서부의 개방부측 선단부보다 개방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기록 장치가 형성될 때, 전방면으로 개방된 돌출벽 만입부의 단부에 대향하는 돌출벽 만입부의 단부는 전방면으로 개방된 센서 만입부의 단부에 대향하는 센서 만입부의 단부보다 전방면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0.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며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니들과, 개방부에 대해 중공 니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니들을 개방하도록 커버를 이동시키고 커버보다 개방부에 근접해서 위치된 레버와, 레버에 인접한 바닥면 상에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벽과, 서로 대면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레버와 센서부가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방향 니들의 가상 연장부를 사이에 개재한 두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하는 기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잉크 카트리지이며,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닥면에 대해 접하고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중공 니들로 활주하도록 구성된 하부면과,
    중공 니들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 전방면과,
    돌출벽을 수용하는 돌출벽 만입부와,
    센서부를 수용하는 센서 만입부를 포함하며,
    센서 만입부와 돌출벽 만입부는 전방면측에서 볼 때 잉크 공급 구멍의 양 측면을 개재한 위치에서 전방면과 하부면에서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기록 장치가 천장면으로부터 바닥면쪽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포함할 때, 돌출부는 잉크 카트리지가 개방부에 삽입될 때 잉크 카트리지의 높이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2.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며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니들과, 개방부에 대해 중공 니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커버보다는 개방부에 근접해서 위치되며 니들을 개방하도록 커버를 이동시키기기 위해 바닥면 상에 있고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니들 축방향으로부터 변위된 위치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방향 니들의 가상 연장부를 사이에 개재한 두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한 레버와, 레버에 인접한 바닥면에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벽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잉크 카트리지이며,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닥면에 대해 접하고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중공 니들로 활주하도록 구성된 하부면과,
    중공 니들에 연결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 전방면과,
    돌출벽을 수용하기 위해 하부면과 전방면으로 개방되고 전방면측에서 볼 때 하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잉크 공급 구멍으로부터 변위된 돌출벽 만입부와,
    돌출벽 만입부에 인접하고 레버의 위치에 대응하고 레버를 작용시키기 위한 위치에 마련된 작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가 기록 장치에 장착될 때 기록 장치의 천장면과 대면하는 상부면을 더 포함하며, 상부면은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보다,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수평 단부에서 천장면 상에 마련된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고 바닥면쪽으로 돌출한 부분에서 천장면쪽으로 더 높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전방면은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더 높고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낮은 돌출 형상을 가지며, 잉크 공급 구멍은 전방면의 높은 부분의 사실상 수평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5.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바닥면으로부터 천장면으로 연장된 좌우 측면들과,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며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니들과, 개방부에 대해 중공 니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와, 바닥면 상에 위치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벽과, 서로 대면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고 하부면과 평향한 방향으로 니들 축방향으로부터 변위된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하고 니들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방향 니들의 가상 연장부를 사이에 개재한 두 위치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잉크 카트리지이며,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닥면에 대해 접하고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중공 니들로 활주하도록 구성된 하부면과,
    중공 니들이 연결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 전방면과,
    센서부를 수용하기 위해 전방면 및 하부면으로 개방되고 전방면측에서 볼 때 하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잉크 공급 구멍으로부터 변위된 센서 만입부와,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잔량에 대응해서 이동하고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센서 만입부로 돌출하고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센서부에 대응해서 마련된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기록 장치가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좌우 측면 사이의 거리가 다른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좌우 측면 사이의 거리와 다른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를 포함할 때,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의 좌우 측면중 하나와 센서 만입부 사이의 거리는 다른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의 좌우 측면중 하나와 센서 만입부 사이의 거리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기록 장치가 천장면으로부터 바닥면쪽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포함할 때,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가 개방부에 삽입될 때 기록 장치의 돌출부와 바닥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8. 제16항에 있어서, 고정벽이 센서 만입부에 마련되며, 고정벽은 고정부가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개방부 내로의 삽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내부 홈을 포함하며, 홈은 이동 가능한 조건으로 차광 부재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9.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는 연결부와, 서로 대면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고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돌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에 사용되는 잉크 카트리지이며,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내측과 사실상 일치하고 센서부를 수납하는 외형을 갖는 외부 형상부와,
    외부 형상부의 외형에 배치되고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진입하거나 이들 사이로부터 나오도록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잔량에 대응해서 이동하는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센서부를 수납하는 센서 만입부가 외형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1. 제19항에 있어서, 외부 형상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연결부에 잉크 공급 구멍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센서 만입부를 더 포함하며, 차광 부재는 잉크 공급 구멍을 연결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센서 만입부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2. 제21항에 있어서, 고정벽이 센서 만입부에 마련되며, 고정벽은 고정부가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개방부로의 삽입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내부 홈을 포함하며, 홈은 이동 가능한 조건에서 차광 부재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3.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개방부와 바닥면과 천장면에 의해 한정된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며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되고 연결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의 수평 단부에서 마련되고 천장면으로부터 바닥면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잉크 카트리지이며,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바닥면에 대해 접하고 개방부로부터 기록 장치의 연결부로 활주하도록 구성된 하부면과,
    연결부와 연결 가능한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 전방면과,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보다 기록 장치의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천장면쪽으로 더 높게 연장된 상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4. 제23항에 있어서, 기록 장치가 돌출부보다 천장면의 연결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마련되고 하향 돌출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할 때, 돌출부에 대응하고 스프링 부재와 활주 가능하게 접하도록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잉크 카트리지를 삽입하기 위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부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5. 제23항에 있어서, 천장면쪽으로 더 높이 연장되는 상부면의 부분에 대응하는 내부에 배치된 잉크 유지부와,
    잉크 유지부를 덮는 가요성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6. 제23항에 있어서, 전방면은 돌출부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높고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낮은 돌출 형상을 가지며, 잉크 공급 구멍은 전방면의 높은 부분의 사실상 수평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바닥면의 사실상 동일 평면 상에서 상호간에 서로의 다음에 정렬된 복수개의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와,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며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된 중공 니들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잉크 카트리지이며,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잉크 공급 구멍을 연결부에 연결하는 방향으로 개방부측으로부터 바닥면을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된 하부면과,
    중공 니들과 연결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 전방면과,
    전방면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있고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 조건에 있을 때 개방부로부터 노출되고, 복수개의 카트리지 장착부가 정렬된 방향으로의 폭은 전방면의 폭보다 좁은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33. 제32항에 있어서, 기록 장치의 바닥면이 중공 니들측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천장면보다 더 연장될 때, 후방 단부는 천장면 너머로 연장되는 바닥면의 일 부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34.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개방부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천장면과, 기록 헤드로 잉크를 공급하며 개방부와 대면해서 위치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바닥면은 연결부측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부보다 더 연장된 기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잉크 카트리지이며,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연결부에 잉크 공급 구멍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개방부로부터 바닥면을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된 하부면과,
    중공 니들과 연결되는 잉크 공급 구멍을 갖는 전방면과,
    전방면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있고 개방부로부터 돌출한 바닥면의 일 부분 상에 위치되고 상부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기 위한 상향 돌출 리브가 형성된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KR10-2002-0075106A 2002-07-10 2002-11-29 잉크 카트리지 및 기록장치 KR100519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D-2002-00018538 2002-07-10
JP2002018536 2002-07-10
JPJP-D-2002-00018535 2002-07-10
JPJP-D-2002-00018540 2002-07-10
JPJP-D-2002-00018539 2002-07-10
JPJP-D-2002-00018543 2002-07-10
JP2002018541 2002-07-10
JP2002018539 2002-07-10
JPJP-D-2002-00018542 2002-07-10
JP2002018537 2002-07-10
JP2002018544 2002-07-10
JPJP-D-2002-00018544 2002-07-10
JPJP-D-2002-00018537 2002-07-10
JPJP-D-2002-00018536 2002-07-10
JP2002018535 2002-07-10
JP2002018538 2002-07-10
JP2002018542 2002-07-10
JP2002018543 2002-07-10
JP2002018540 2002-07-10
JPJP-D-2002-00018541 2002-07-10
JPJP-D-2002-00019753 2002-07-23
JPJP-D-2002-00019748 2002-07-23
JP2002019757 2002-07-23
JPJP-D-2002-00019752 2002-07-23
JP2002019762 2002-07-23
JP2002019751 2002-07-23
JPJP-P-2002-00214079 2002-07-23
JP2002019754 2002-07-23
JP2002019763 2002-07-23
JP2002019759 2002-07-23
JP2002214079 2002-07-23
JP2002019752 2002-07-23
JPJP-D-2002-00019760 2002-07-23
JPJP-D-2002-00019754 2002-07-23
JP2002019749 2002-07-23
JP2002019755 2002-07-23
JPJP-D-2002-00019750 2002-07-23
JP2002019753 2002-07-23
JP2002019761 2002-07-23
JPJP-D-2002-00019757 2002-07-23
JP2002019748 2002-07-23
JPJP-D-2002-00019759 2002-07-23
JPJP-D-2002-00019761 2002-07-23
JP2002019758 2002-07-23
JP2002019756 2002-07-23
JPJP-D-2002-00019756 2002-07-23
JPJP-D-2002-00019762 2002-07-23
JPJP-D-2002-00019758 2002-07-23
JP2002019760 2002-07-23
JP2002019750 2002-07-23
JPJP-D-2002-00019749 2002-07-23
JPJP-D-2002-00019763 2002-07-23
JPJP-D-2002-00019751 2002-07-23
JPJP-D-2002-00019755 2002-07-23
JPJP-P-2002-00218192 2002-07-26
JP2002218192 2002-07-26
JPJP-P-2002-00225293 2002-08-01
JP2002225294 2002-08-01
JP2002225293 2002-08-01
JPJP-P-2002-00225292 2002-08-01
JPJP-P-2002-00225295 2002-08-01
JP2002225292 2002-08-01
JPJP-P-2002-00225294 2002-08-01
JP2002225295 2002-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559A KR20040005559A (ko) 2004-01-16
KR100519000B1 true KR100519000B1 (ko) 2005-10-06

Family

ID=373239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106A KR100519000B1 (ko) 2002-07-10 2002-11-29 잉크 카트리지 및 기록장치
KR10-2002-0075105A KR100518999B1 (ko) 2002-07-10 2002-11-29 잉크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105A KR100518999B1 (ko) 2002-07-10 2002-11-29 잉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5190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4564A (ja) * 1983-05-10 1984-11-19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US4604633A (en) * 1982-12-08 1986-08-05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Ink-jet recording apparatus
EP0689936A2 (en) * 1990-04-19 1996-01-03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ssette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7578B2 (ja) * 1990-09-22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該記録装置に装着可能な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3163883B2 (ja) * 1994-01-28 2001-05-08 富士電機株式会社 インク切れ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4633A (en) * 1982-12-08 1986-08-05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S59204564A (ja) * 1983-05-10 1984-11-19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EP0689936A2 (en) * 1990-04-19 1996-01-03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ssett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558A (ko) 2004-01-16
KR20040005559A (ko) 2004-01-16
KR100518999B1 (ko)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9418B2 (en) Ink cartridge and recording device
US6886928B2 (en) Ink cartridge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US7137689B2 (en) Ink cartridge
JP4356722B2 (ja) 記録装置と記録装置に装着可能なインクカートリッジとの組み合わせ
US7226153B2 (en) Ink cartridge
EP1348556B1 (en) Ink cartridge
JP4123858B2 (ja) 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4075507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EP1348557B1 (en) Ink cartridge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EP1348555B1 (en) Ink cartridge
KR100519000B1 (ko) 잉크 카트리지 및 기록장치
JP2005193695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EP1466740B1 (en) Ink cartridge and recording device
JP2004066489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2004066491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CA2412214C (en) Ink cartridge
JP4359898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AU2002311244B8 (en) Ink cartridge and recording device
JP2006321249A (ja) 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6321250A (ja) 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6321251A (ja) 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6321247A (ja) 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