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777B1 -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777B1
KR100518777B1 KR10-2003-0062236A KR20030062236A KR100518777B1 KR 100518777 B1 KR100518777 B1 KR 100518777B1 KR 20030062236 A KR20030062236 A KR 20030062236A KR 100518777 B1 KR100518777 B1 KR 100518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data
safety evaluation
safety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970A (ko
Inventor
류정수
윤두병
우종섭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소
Priority to KR10-2003-006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777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analysis, for interpretation, for correction
    • G01V1/282Application of seismic models, synthetic seismogr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unbal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analysis, for interpretation, for correction
    • G01V1/30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 평가 대상의 3축 시간이력 지진데이터와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해석 및 층응답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와 내진설계 기준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지진발생 후 안전성 평가 대상의 안전성 평가를 신속하게 하여 안전성 평가 대상인 구조물과 기기들의 재가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Seismic Evaluation System[SES] for the safety and method of that}
본 발명은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안전성 평가 대상, 바람직하게는 건물 등에 설치된 지진감시시스템으로부터 계측된 지진신호를 이용하여 건물의 동적 구조해석 및 층응답해석을 수행하여 건물 주요위치와 안전관련 기기들의 지진응답해석 자료를 구한 후, 이를 내진설계 기준과 비교하여 지진발생 후의 건물과 안전관련 기기들에 대한 지진 안전성을 신속하게 평가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나 연구용 원자로에 운전기준지진(Operating Basis Earthquake)을 초과하는 지진이 발생할 경우에는 측정 기록된 지진응답 분석자료를 설계자료와 비교, 평가하여 지진발생 후에도 원자로 시설을 안전하게 계속 운전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여야 하며,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에 설치된 안전관련 기기들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보고서를 상부기관 및 규제기관에 제출하도록 되어 있다.
현재까지 발명된 기존의 지진감시시스템은 주로 운전기준지진(설정치)의 초과여부를 판정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지진감지센서가 설치된 몇 개의 위치에서 계측된 지진크기가 운전기준지진 또는 설정치를 초과하였는지를 감시하고 설정치를 초과한 경우 경보만을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지진감시시스템은 건물 내의 지진감지센서가 설치된 몇 개 위치에서의 지진크기 정보만을 취득할 수 있으며, 지진감지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된 안전관련 기기들에 대한 지진응답은 파악할 수 없으므로, 지진발생 후 원자로 건물 전체의 구조건전성 및 건물 내부에 설치된 안전관련 기기들의 지진 안전성을 평가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지진에 의한 원자로 시설의 거동 감시 및 영향 평가를 위한 지진 감시 및 분석 시스템과 관련한 선행기술은 상당수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원자력분야 범용 지진평가시스템인 CARES(Computer Analysis for Rapid Evaluation of Structures)가 있다.
전산프로그램인 CARES는 원전 규제기관의 편리한 인허가 업무의 수행을 위해 원자로 건물의 복잡한 구조적 형태를 단순한 해석모델(예를 들어 stick model) 로 변환하여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지는 않더라도 개략적인 해석결과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CARES는 원전 건물의 구조해석 결과에 대한 검토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규제기관에서 원자로 건물 설계의 적정성을 검토하는데 한하여 적합할 뿐이며,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다양한 형태의 층응답스펙트럼의 처리 및 동적특성 비교 및 평가 기능 등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CARES에는 해석결과, 설계자료 및 건물과 기기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비교, 평가하는 기능이 없으며, 건물 및 주요 기기들의 지진평가결과 취약지점 또는 기기들을 선정하고 평가결과를 문서 형태로 제공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지진발생 후 지진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지진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나 연구용 원자로 시설의 거동 감시 및 영향 평가를 위한 지진 감시 및 분석 시스템과 관련한 기술과 원자력 건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지진분석의 제반 단계를 통합한 원자력분야 범용 지진평가시스템(CARES)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계측된 지진신호를 이용한 건물의 동적 구조해석 및 응답시간이력 산정, 건물 내부 안전관련 기기들의 층응답스펙트럼 분석 등 지진응답 해석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진 발생 후 내진범주 건물 및 구조물에 대해 지진 안전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통합모듈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은 지금까지 없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진발생 후 건물의 임의의 위치와 건물 내부에 설치된 기기들의 지진 안전성을 빠른 시간 내에 평가할 수 있는 건물 및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성 평가 대상 지반의 3축 시간이력 지진데이터를 계측하는 지진감시시스템; 상기 지진데이터를 입력 받아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며,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내진설계 기준에 대한 데이터,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입력 모듈; 상기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입력 모듈에서의 지진데이터를 이용, 동적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지진에 의한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소정의 위치의 응답시간이력과 응답시간이력 최대값을 구하는 구조해석 모듈; 상기 응답시간이력을 입력받아 층응답해석을 수행하여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소정의 위치의 층응답스펙트럼을 구하는 층응답해석 모듈; 상기 내진설계 기준에 대한 데이터, 상기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 현재까지 발생한 지진에 대한 상기 구조해석 및 층응답해석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있는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내진설계 기준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구조해석 및 층응답해석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지진 안전성을 평가하는 비교평가 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결과출력 모듈;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성 평가 대상에 대한 지진신호의 3축 시간이력 지진데이터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지진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내진설계 기준인 가속도응답 허용값 및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지진 데이터로 동적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응답시간이력과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응답시간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에 대한 층응답스펙트럼을 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을 상기 가속도응답 허용값과, 상기 층응답스펙트럼을 상기 설계응답스펙트럼과 각각 비교 분석하여 안전성을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은 지진감시시스템(10), 데이터입력 모듈(20), 구조해석 모듈(30), 층응답해석 모듈(40), 데이터베이스 모듈(50), 비교평가 모듈(60), 결과출력 모듈(70) 및 MMI(Man-Machine Interface)(80) 모듈을 포함한다.
지진감시시스템(10)은 안전성 평가 대상, 바람직하게는 원자로 건물에 설치되어 건물 지반 또는 자유장(free field)의 3축 시간이력 지진데이터를 계측한다.
데이터입력 모듈(20)은 원자로 건물에 설치된 지진감시시스템을 통해 계측된 원자로 건물 지반 또는 자유장(free field)의 3축 시간이력 지진데이터를 지진 안전성평가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맷(format)으로 변환한다.
원자로 건물과 소정의 기기들, 바람직하게는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들의 지진 안전성 평가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내진설계 기준인 가속도응답 허용값 및 설계응답스펙트럼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또한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들에 대한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는 구조해석 모듈(30)에서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입력된 데이터들을 화면, 프린터 및 파일 형태 등으로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발생 후 구조해석 모듈과 층응답해석 모듈에서 수행되는 지진응답해석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조해석 모듈(30)과 층응답해석 모듈(40)을 설명한다.
구조해석 모듈(30)은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와 3축 시간이력 지진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적 구조해석을 수행한다. 그 결과 지진에 의한 원자로 건물 주요위치와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들의 위치의 가속도응답 시간이력 데이터(응답시간이력)를 얻게 된다. 또한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을 구한다.
여기서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 안전관련 기기들의 구조해석 모델은 외부의 지진입력에 의한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의 동적거동을 수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모델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들은 질량행렬 M, 감쇠행렬 C 및 강성행렬 K로 모델링할 수 있으며, 지진에 의한 원자로 건물 및 기기의 주요위치의 응답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지배방정식)
이때 는 각각 원자로 건물 주요위치와 안전관련 기기 위치의 시간 t에 대한 가속도, 속도 및 변위 응답 시간이력들로 구성된 행렬을 나타내고, 는 건물 지반 또는 자유장의 시간 t에 대한 지진입력 데이터로 구성된 행렬을 나타낸다.
동적 구조해석의 수행이란 상기 지배방정식의 해를 구하여 지진에 의한 건물 주요위치와 건물 내부 안전관련 기기 위치의 가속도응답 시간이력(응답시간이력)을 계산하는 것을 말한다.
층응답해석 모듈(40)은 구조해석 모듈(30)에서 계산된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 안전관련 기기 주요위치의 가속도응답 시간이력 데이터(응답시간이력)를 입력으로 하여 층응답해석을 수행한다. 그 결과 원자로 건물 내부에 설치된 안전관련 기기들의 층응답스펙트럼을 얻게 된다.
여기서 층응답스펙트럼은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가 설치된 위치의 가속도응답 시간이력과 이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안전관련 기기의 진동응답간의 상호관계를 나타내며, 지진이 기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주요한 지표이다.
데이터베이스 모듈(50)은 현재까지 발생한 원자로 건물 지반 또는 자유장의 3축 시간이력 지진데이터,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들의 내진설계 기준에 대한 데이터,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 안전관련 기기들의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 안전관련 기기들의 구조해석결과인 응답시간이력과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에 대한 데이터,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 안전관련 기기들의 층응답해석 결과인 층응답스펙트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비교평가 모듈(60)은 원자로 건물과 안전관련 기기들의 주요 위치 #1, #2, ... #n, ..., #N 각각의 내진설계 기준과 구조해석 및 층응답해석의 결과를 비교하여 원자로 건물과 안전관련 기기들의 지진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발생 후 비교평가 모듈에서 수행되는 지진 안전성 평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교평가 모듈(60)은 데이터베이스 모듈에서 주요 위치 #1, #2, ... #n, ..., #N의 내진설계 기준인 가속도응답 허용값와 설계응답스펙트럼, 구조해석의 결과인 응답시간이력(가속도응답 시간이력 데이터)과 층응답해석의 결과인 층응답스펙트럼을 입력 받는다.
주요 위치 각각에 대하여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과 가속도응답 허용값을 비교한다. 주요 위치 #n(n은 자연수)의 가속도응답 허용값보다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이 큰 경우에는 주요 위치 #n은 지진발생 후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을 한다. 반면에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보다 가속도응답 허용값이 큰 경우에는 층응답스펙트럼과 설계응답스펙트럼을 비교한다.
주요 위치 #n(n은 자연수)의 설계응답스펙트럼보다 층응답스펙트럼이 큰 경우에는 주요 위치 #n은 지진발생 후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을 한다. 층응답스펙트럼보다 설계응답스펙트럼이 큰 경우에는 주요 위치 #n은 지진발생 후 안전하다고 판단을 한다.
결과출력 모듈(70)은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에 설치된 안전관련 기기들의 지진 안전성 평가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출력의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보고서형식으로 한다.
MMI(Man-Machine Interface)(80) 모듈은 지진감시시스템(10), 데이터입력 모듈(20), 구조해석 모듈(30), 층응답해석 모듈(40), 데이터베이스 모듈(50), 비교평가 모듈(60) 및 결과출력 모듈(70)의 작동상태를 통합하여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각 모듈의 작동상태와 출력결과를 확인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발생 후 건물의 안전성 평가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지진발생 후 건물의 안전성 평가방법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단계에서, 원자력 발전소 또는 연구용 원자로에 설치된 지진감시시스템 (10)에 의해 지진신호가 계측된다.
110단계에서, 지진감시시스템(10)에서 계측한 원자로 건물 기초슬래브(base slab) 또는 자유장(free field)의 지진신호의 3축 시간이력 데이터(time-history data)는 데이터입력 모듈(20)에 입력된 후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다. 변환된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형태의 파일로 데이터베이스 모듈(50)에 저장된다.
120단계에서, 데이터입력 모듈(20)에서는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들의 내진설계 기준인 가속도응답 허용값와 설계응답스펙트럼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들의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도 입력 받는다. 이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 모듈(50)에 저장되며,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들의 지진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의 판정기준으로 사용된다.
130단계에서, 구조해석 모듈(30)은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와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지진신호의 3축 시간이력 데이터를 입력으로 원자로 건물의 동적 구조해석을 수행한다. 그 결과로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들의 주요 위치에서의 응답시간이력과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을 얻는다. 그리고 그 값들을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 모듈(50)에 저장한다.
140단계에서, 층응답해석 모듈(40)은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들의 주요 위치에서 얻은 응답시간이력를 입력으로 하여 층응답해석을 수행한다. 그 결과로 원자로 건물 및 건물 내부의 안전관련 기기들에 대한 가속도 층응답스펙트럼을 얻는다. 층응답해석 결과는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고, 파일 형태로 변환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 모듈(50)에 저장한다.
150단계에서, 비교평가 모듈(6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자로 건물과 안전관련 기기들의 가속도응답 허용값과 설계응답스펙트럼을 구조해석 및 층응답해석을 통해 계산된 원자로 건물과 안전관련 기기들의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과 층응답스펙트럼과 비교 분석하여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에 설치된 안전관련 기기(내진범주 구조물)에 대한 내진 안전성을 평가한다. 또한 비교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50)에 저장하며, 화면 또는 인쇄용지 등 다양한 형태로 출력한다.
160단계에서, 결과출력 모듈(70)은 데이터베이스 모듈(50)에 저장된 자료들 전부 또는 일부을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을 통해 구한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에 설치된 안전관련 기기들의 지진 안전성 분석 및 평가 결과를 보고서 형태로 출력한다.
지금까지 원자로 건물과 건물 내부에 설치된 안전관련 기기들에 대한 지진 안전성 평가를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건물과 기기들뿐만 아니라 지진발생 후 안전성 평가가 필요한 안전성 평가 대상인 모든 구조물, 기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발생 후 원자로 건물의 임의의 위치와 건물 내부에 설치된 안전관련 기기들의 지진 안전성을 빠른 시간 내에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지진 안전성 평가 결과를 근거로 하여 지진발생 후 원자력 발전소 또는 연구용 원자로의 가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자로 건물은 물론 건물 내에 위치한 안전관련 기기들에 대한 정밀 내진분석이 가능하므로 원자력 분야의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도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은 원자력 분야의 원자로 건물 이외의 다른 건물이나 비원자력 분야의 지진 안전성 확보가 필요한 건물 및 기기에 대해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의 구조해석 모듈의 구성과 역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발생 후 건물의 안전성 평가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발생 후 구조해석 모듈과 층응답해석 모듈에서 수행되는 지진응답해석의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발생 후 비교평가 모듈에서 수행되는 지진 안전성 평가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안전성 평가 대상 지반 또는 자유장의 3축 시간이력 지진데이터를 계측하는 지진감시시스템;
    상기 지진데이터를 입력받아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며,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내진설계 기준에 대한 데이터,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입력 모듈;
    상기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입력 모듈로 입력된 지진데이터를 이용, 동적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지진에 의한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소정의 위치의 응답시간이력과 응답시간이력 최대값을 구하는 구조해석 모듈;
    상기 응답시간이력을 입력받아 층응답해석을 수행하여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소정의 위치의 층응답스펙트럼을 구하는 층응답해석 모듈;
    상기 내진설계 기준에 대한 데이터, 상기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 현재까지 발생한 지진에 대한 상기 구조해석 및 층응답해석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있는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내진설계 기준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구조해석 및 층응답해석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지진 안전성을 평가하는 비교평가 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결과출력 모듈;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입력 모듈, 상기 구조해석 모듈, 상기 층응답해석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 상기 비교평가 모듈 및 상기 결과출력 모듈의 작동상태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MMI(Man-Machine Interface) 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모듈의 작동상태와 각 모듈의 출력결과를 확인하는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4. 안전성 평가 대상에 대한 3축 시간이력 지진데이터를 계측하는 단계;
    상기 지진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내진설계 기준인 가속도응답 허용값 및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구조해석 모델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형태로 변환된 지진 데이터로 동적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의 응답시간이력과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응답시간이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전성 평가 대상에 대한 층응답스펙트럼을 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을 상기 가속도응답 허용값과, 상기 층응답스펙트럼을 상기 설계응답스펙트럼과 각각 비교 분석하여 안전성을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안전성 평가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성을 평가하는 단계는
    안전성 평가 대상의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을 안전성 평가 대상의 가속도응답 허용값과 비교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전자가 큰 경우에는 안전성 평가 대상이 지진발생 후 안전하지 않다고 평가하고, 전자가 작은 경우에는 안전성 평가 대상의 층응답스펙트럼을 안전성 평가 대상의 설계응답스펙트럼과 비교하는 2단계; 그리고
    상기 층응답스펙트럼이 상기 설계응답스펙트럼보다 큰 경우에는 안전성 평가 대상이 지진발생 후 안전하지 않다고 평가하고, 상기 층응답스펙트럼이 상기 설계응답스펙트럼보다 작은 경우에는 안전성 평가 대상이 지진발생 후 안전하다고 평가하는 3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안전성 평가 방법.
KR10-2003-0062236A 2003-09-05 2003-09-05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18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236A KR100518777B1 (ko) 2003-09-05 2003-09-05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236A KR100518777B1 (ko) 2003-09-05 2003-09-05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970A KR20050024970A (ko) 2005-03-11
KR100518777B1 true KR100518777B1 (ko) 2005-10-06

Family

ID=3723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236A KR100518777B1 (ko) 2003-09-05 2003-09-05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7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21B1 (ko) 2013-08-14 2013-12-06 이승희 수리구조물 실시간 안전계측 시스템 및 그 분석방법
KR20180089598A (ko) 2017-01-31 2018-08-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재 및 비구조재의 수리비용을 고려한 건축물 내진성능평가 구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628B1 (ko) * 2005-03-25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스트링을 사용하여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및비휘발성 저장 장치
KR100923949B1 (ko) * 2007-08-06 2009-10-29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지진 이력의 데이터베이스화 및 제공 방법
KR101649070B1 (ko) * 2015-02-25 2016-08-1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대장을 이용한 내진설계 여부 확인 방법
KR101643971B1 (ko) * 2016-04-14 2016-07-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넌파라메트릭 코리젼얼리제이션을 이용한 추계학적 지진 단층 파열 모델링 장치 및 방법
WO2020130227A1 (ko) * 2018-12-20 2020-06-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적 특성을 고려한 지반-말뚝 시스템의 내진설계 시스템 및 내진설계 방법
KR102241476B1 (ko) * 2019-10-17 2021-04-16 한국원자력연구원 취약도 수준 평가를 위한 진동대 시험 장치 및 그 방법
KR102512543B1 (ko) * 2021-04-06 2023-03-21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확률론적 지진해석의 대용량 지진응답 후처리 자동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8798A (ja) * 1990-11-29 1992-07-20 Toshiba Corp 原子力プラントの地震時機器監視装置
KR19990016688A (ko) * 1997-08-19 1999-03-15 장병주, 이일쇄 반응 스펙트럼을 이용한 지진에 대한 초고층 건물의 반응 측정방법
JP2003161783A (ja) * 2001-11-28 2003-06-06 Toshiba Corp 地震被害予測システムの被害推定方法
JP2003222566A (ja) * 2002-01-31 2003-08-08 Yamato Sekkei Kk 構造物の損傷推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8798A (ja) * 1990-11-29 1992-07-20 Toshiba Corp 原子力プラントの地震時機器監視装置
KR19990016688A (ko) * 1997-08-19 1999-03-15 장병주, 이일쇄 반응 스펙트럼을 이용한 지진에 대한 초고층 건물의 반응 측정방법
JP2003161783A (ja) * 2001-11-28 2003-06-06 Toshiba Corp 地震被害予測システムの被害推定方法
JP2003222566A (ja) * 2002-01-31 2003-08-08 Yamato Sekkei Kk 構造物の損傷推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21B1 (ko) 2013-08-14 2013-12-06 이승희 수리구조물 실시간 안전계측 시스템 및 그 분석방법
KR20180089598A (ko) 2017-01-31 2018-08-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재 및 비구조재의 수리비용을 고려한 건축물 내진성능평가 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970A (ko) 200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i et al. Development of sensor validation methodologies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 comprehensive review
Chen et al. Modeling geometric imperfections for reticulated shell structures using random field theory
Roy et al. ARX model-based damage sensitive features for structural damage localization using output-only measurements
Zhang et al. Bayesian structural model updating using ambient vibration data collected by multiple setups
Tondreau et al. Local modal filters for automated data-based damage localization using ambient vibrations
Zhou et al. Strain gauge placement optimization for structural performance assessment
WO2015033603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Mendler et al. A reliability-based approach to determine the minimum detectable damage for statistical damage detection
Shan et al. Model‐reference health monitoring of hysteretic building structure using acceleration measurement with test validation
KR100518777B1 (ko) 지진 안전성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042177A1 (en) Vibration detecting transducer integrated with a network transfer function
Hernandez‐Garcia et al. A structural decomposition approach for detecting, locating, and quantifying nonlinearities in chain‐like systems
Ibrahim et al. Effect of sensor error on the assessment of seismic building damage
JP6934434B2 (ja) 建物評価システム及び建物評価方法
Pham‐Bao et al. Energy dissipation‐based material deterioration assessment using random decrement technique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 case study of Saigon bridge in Ho Chi Minh City, Vietnam
Lakshmi et al. Structural damage detection using ARMAX time series models and cepstral distances
Prakash et al. Bayesian two-phase gamma process model for damage detection and prognosis
Zhang et al. Integrated system identification and reliability evaluation of stochastic building structures
JP6609403B2 (ja) 構造物検証システム、構造物検証装置、構造物検証プログラム
JP6389663B2 (ja) 構造物検証システム、構造物検証装置、構造物検証プログラム
Xiang et al. Pattern Matching-Based Structural Damage Identification Using Mode Shape Difference Ratio with Limited Sensors
CN103162984B (zh) 基于熵理论的在役桥梁安全预警方法
Sadhu et al. Blind source separation-based optimum sensor placement strategy for structures
Berardengo et al. The monitoring of palazzo Lombardia in Milan
JP2020112445A (ja) 地震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