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617B1 - 분무형 드럼 세탁기 - Google Patents

분무형 드럼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617B1
KR100517617B1 KR10-2003-0024911A KR20030024911A KR100517617B1 KR 100517617 B1 KR100517617 B1 KR 100517617B1 KR 20030024911 A KR20030024911 A KR 20030024911A KR 100517617 B1 KR100517617 B1 KR 10051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ub
washing machine
wash water
centrifug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1195A (ko
Inventor
오수영
김진웅
우경철
전시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617B1/ko
Priority to US10/822,748 priority patent/US7584633B2/en
Priority to CNB2004100329994A priority patent/CN1303279C/zh
Publication of KR2004009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617B1/ko
Priority to US11/649,241 priority patent/US20070107472A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브 내의 세탁수를 펌핑하여 미립화한 후 드럼 내부로 분사하여 세탁 및 헹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무형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수가 담겨지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내부에 피세탁물이 수용되며 수공이 형성된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 모터와; 상기 터브에서 배수된 세탁수를 펌핑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세탁수를 원심 방사하는 원심 판과; 상기 원심 판의 외측에 배치되어 원심 방사되는 세탁수가 통과하면서 미립화되는 망과; 상기 망을 통과하면서 미립화된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로 압송시키는 팬과; 상기 원심 판과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무형 드럼 세탁기{ Spray type drum washing machine }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브 내의 세탁수를 미립화한 후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분무형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는 터브 내에 담겨진 세탁수의 작용을 이용하여 드럼에 수용된 의복, 침구 등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을 통해 피세탁물을 세정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종래의 드럼 세탁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 상측에 배치되어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에 피세탁물(m)이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홀(2a)이 형성된 케이싱(2)과, 상기 케이싱(2)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출입홀(2a)을 개폐하는 도어(4)와, 상기 케이싱(2)의 내부에 완충 가능하게 지지된 터브(6)와, 상기 터브(6)의 내부로 세제가 용해된 물 또는 깨끗한 물(이하, 세탁수(w)라 칭함)을 공급하는 급수장치(10)와, 상기 터브(6) 내의 세탁수(w)를 케이싱(2)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장치(12)와, 상기 터브(6) 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피세탁물(m)이 수용되는 드럼(20)과, 상기 드럼(20)을 회동시키는 드럼 모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브(6)는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피건조물(m)이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2)의 출입홀(2a) 후방에 출입홀(7)이 형성된다.
상기 드럼(20)은 피건조물(m)이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2)의 출입홀(2a) 후방에 출입홀(21)이 형성되고, 그 하부가 상기 터브(6) 내의 세탁수에 잠기도록 배치되며, 상기 터브(6) 내의 세탁수(w)가 출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수공(22)이 둘레부와 배면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럼(20)의 내주에는 수용된 피세탁물(m)이 드럼(20)의 내측 상부로 들어올려졌다가 자중에 의해 낙하될 수 있도록 피세탁물(m)을 리프팅 시키는 리프트(26)가 장착된다.
상기 드럼 모터(30)는 상기 터브(6)의 배면부에 장착되고, 회전축(32)이 상기 터브(6)의 배면부 중앙을 관통하여 드럼(20)의 배면부 중앙에 연결되도록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깝게 배치된다.
미설명부호 48은 상기 터브(6)에 장착되어 도어(4)의 닫힘시 상기 도어(4)와 터브(6)의 출입홀 사이의 누수를 막는 개스킷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럼(20)의 내부로 피세탁물(m)을 투입한 후 상기 도어(4)를 닫고, 드럼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터브(6)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급수장치(10)에서 공급된 세탁수(w)가 고이게 되고, 상기 드럼(20)의 하부는 세탁수(w)에 잠기며, 상기 드럼(20) 내의 피세탁물(m)은 상기 드럼(20)의 수공(22)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w)에 적셔지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드럼 모터(30)가 구동되어 상기 드럼(20)이 회전되게 되면 상기 드럼(20) 내부에 수용된 피세탁물(m)은 상기 리프트(26)에 의해 올려졌다가 낙하되면서 세탁수(w)의 작용에 의해 묻은 때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세탁 행정이 종료된 후 상기 터브(6) 내의 오염된 세탁수(w)는 상기 배수장치(12)를 통해 상기 드럼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상기 세탁기는 세탁물(m)에 남은 거품을 헹궈내기 위한 헹굼 행정이 수차례 이루어지는 바, 상기 급수장치(10)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되어 터브(6) 내에 담겨지게 되고, 상기 드럼 모터(30)가 구동되어 드럼(20)이 회전되게 되면 상기 드럼(20) 내부에 수용된 피세탁물(m)은 상기 리프트(26)에 의해 올려졌다가 낙하되면서 거품이 헹궈진다.
그리고, 거품을 포함하는 오염된 세탁수는 상기 배수장치(1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은 수 차례의 헹굼 행정 이후에 상기 드럼 세탁기는 피세탁물(m)의 물기를 빼내기 위한 탈수 행정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드럼 모터(30)가 상기 드럼(2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피세탁물(m) 내의 물기는 원심 탈수되면서 상기 드럼(20)의 수공(22)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터브(6)에 모이게 되고, 상기 배수장치(1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드럼 세탁기는 상기 터브(6)에 담겨진 세탁수(w)가 상기 드럼(20)의 수공(22)을 통해서만 피세탁물(m)에 적셔지므로, 세제가 충분하게 용해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세탁수(w)의 흡수 속도가 느리고, 터브(6)에 담겨진 세탁수(w) 중 일부가 피세탁물(m)의 세정에 이용되지 않고 배수되므로 세탁 및 헹굼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브 내의 세탁수를 미립화한 후 드럼 내부로 분사하여 세탁 및 헹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무형 드럼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무형 드럼 세탁기는 세탁수가 담겨지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내부에 피세탁물이 수용되며 수공이 형성된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 모터와; 상기 터브에서 배수된 세탁수를 펌핑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세탁수를 원심 방사하는 원심 판과; 상기 원심 판의 외측에 배치되어 원심 방사되는 세탁수가 통과하면서 미립화되는 망과; 상기 망을 통과하면서 미립화된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로 압송시키는 팬과; 상기 원심 판과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형 드럼 세탁기 일실시예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무형 드럼 세탁기 일실시예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무형 드럼 세탁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1)의 상측에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52)이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52)의 전면에 피세탁물(m)이 출입될 수 있는 출입홀(54)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출입홀(54)을 개폐하기 위해 도어(56)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케이싱(52)의 내부에는 세제가 용해된 물 또는 깨끗한 물(이하, 세탁수라 칭함)이 담겨지는 터브(60)가 장착된다.
상기 터브(60)는 상기 케이싱(52)의 출입홀(54) 후방에 피세탁물(m)이 출입될 수 있는 출입홀(62)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56)의 사이로 세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출입홀(62) 전방 둘레에 개스킷(64)이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51)의 상면에 장착되는 댐퍼(66)에 하부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51)에 완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케이싱(52)의 상부에 장착되는 스프링(68)에 상부가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52)에 매달리듯이 완충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상기 터브(60)의 내측에는 피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70)이 위치된다.
상기 드럼(70)은 상기 케이싱(52) 및 터브(60)의 출입홀(54,62) 후방에 피세탁물(m)이 출입될 수 있는 출입홀(72)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60) 내의 세탁수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둘레부 또는 배면부에 복수개의 수공(74)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수용된 피세탁물(m)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졌다가 자유 낙하될 수 있도록 리프트(76)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분무형 드럼 세탁기는 상기 드럼(7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 모터(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 모터(80)는 상기 터브(60)의 배면에 장착되고, 회전축(82)이 상기 터브(60)의 배면을 관통하면서 지지되어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며, 회전축(82)의 단부가 상기 드럼(70)의 배면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드럼 모터(80)는 상기와 같이 상기 터브(60)의 배면에 장착되는 이외에 상기 터브(6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상기 터브(60)의 배면에는 별도의 회전축(미도시)이 관통되게 지지되어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드럼 모터(80)의 회전축과 상기 터브(60)의 배면에 장착된 회전축에는 벨트가 감긴다.
또한, 상기 분무형 드럼 세탁기는 상기 터브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90)와, 상기 터브(60)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100)와, 상기 터브(60)에서 배수된 세탁수를 케이싱(52)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장치(110)와, 상기 터브(60)에서 배수된 세탁수를 미립화한 후 상기 드럼(70)의 내측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시키는 순환/미립화 장치(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수장치(90)는 세탁수를 안내하는 급수호스(94)와, 상기 급수호스(94)를 통해 급수된 세탁수의 급수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급수통로 일측에 세제가 담겨지는 세제 수용부가 구비된 세제통(96)과, 상기 세제통(96)을 통과한 세탁수를 상기 터브(60)의 내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터브(60)와 연통되는 급수 밸로우즈(98)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장치(110)는 상기 터브(60)의 하부 일측에 연통되어 터브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 밸로우즈(112)와, 상기 배수 밸로우즈(112)로 배수된 세탁수를 펌핑(혹은 단속)하는 배수 펌프(114, 혹은 배수 밸브)와, 상기 배수 펌프(114, 혹은 배수 밸브)를 통과한 세탁수를 세탁기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 호스(116)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무형 드럼 세탁기 일실시예의 순환/미립화 장치의 확대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형 드럼 세탁기 일실시예의 순환/미립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순환/미립화 장치(1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60)에서 배수된 세탁수를 펌핑시키는 펌프(122)와, 상기 펌프(122)에서 펌핑된 세탁수를 원심 방사하는 원심 판(124)과, 상기 원심 판(124)의 외측에 배치되어 원심 방사되는 세탁수가 통과하면서 미립화되는 망(126)과, 상기 망(126)을 통과하면서 미립화된 세탁수를 상기 터브(60) 내로 압송시키는 팬(128)과, 상기 원심 판(124)과 팬(128)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원심 판(1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이격되게 중첩 배치되어, 최초의 원심판에서 망(126)측으로 원심 방사되지 못하고 그 가장자리를 타고 넘어온 세탁수와 상기 망(126)에 부딪혀 되돌아온 세탁수를 재차 원심 방사토록 한다.
상기 망(126)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심 판(124)의 반경 방향 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원심 판(124)의 두께 보다 큰 높이의 원형 띠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원심 판(124)의 저면에 이격 배치된 저면부와 원심 판(124)의 상면에 이격 배치된 상면부와 상기 원심판(124)의 반경 방향 둘레에 배치된 둘레부로 구성되어 상기 원심판(124)의 외측을 에워싸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심 판(124)의 회전중심과 팬(128)의 회전중심에 회전축(131a,131b)이 축설된 모터(130)이다. 상기 모터(130)는 상기 원심 판(124)과 팬(128)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원심 판(124)에 제 1 회전축(131a)이 축설되며, 상기 팬(128)에 제 2 회전축(131b)이 축설된 양축모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순환/미립화 장치(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60)에 형성된 배수구에 일단이 연통되고 상기 펌프(122)의 입구에 타단이 연통되어 상기 터브(60) 내의 세탁수를 상기 펌프(122)로 안내하는 펌프 호스(132)와, 상기 펌프(122)의 출구에 일단이 연통되고 상기 원심 판(124)에 타단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펌프(122)에 의해 펌핑되는 세탁수를 상기 원심 판(124)의 일면으로 안내하는 제 1 안내관(13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순환/미립화 장치(1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126)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미립화된 세탁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망 하우징(136)과, 상기 팬(128)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팬(128)에 의해 압송되는 미립화된 세탁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팬 하우징(138)과, 상기 팬(128)에 의해 압송되는 미립화된 세탁수를 상기 드럼(70)의 내부로 안내하는 제 2 안내관(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프 호스(132)는 상기 터브(60)의 진동으로 인해 상기 터브(60) 및 펌프(122)의 연결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중간 일측에 주름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안내관(134)은 상기 망 하우징(136)을 관통하고, 상기 원심 판(124)의 일면에 단부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망 하우징(136)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안내관(134)이 관통되는 관통홀(136a)이 일면에 형성되고, 미립화된 세탁수가 상기 팬 하우징(138)의 내부로 압송될 수 있도록 상기 팬 하우징(138)의 대향면에 개구홀(136b)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면(136c) 또는 둘레면(136d)에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송풍홀(136e)이 형성된다.
상기 팬 하우징(13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립화된 세탁수가 압송될 수 있도록 상기 망 하우징(136)의 대향면에 개구홀(138a)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미립화된 세탁수를 토출하는 토출홀(138b)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안내관(140)은 일단이 상기 팬 하우징(138)의 토출홀(138b)에 연통되고, 상기 개스킷(64)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개스킷(64)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안내관(1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이 상기 드럼(70)의 내부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안내관(140)은 상기 드럼(70)의 내부를 향해 분사되는 미립화된 세탁수가 확산되면서 퍼지도록 단부에 깔대기 모양의 확산 노즐(146)이 장착된다.
미설명부호 152는 상기 망 하우징(136)의 내부에 상기 망(126)이 이격되게 고정되기 위한 지지봉이고, 미설명부호 154는 상기 팬 하우징(138)에 상기 양축 모터(130)가 고정되기 위한 모터 마운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70)의 내부로 피세탁물(m)을 투입한 후 상기 도어(56)를 닫고, 상기 분무형 드럼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터브(60)의 내측 하부와 상기 펌프 호스(132)에는 상기 급수장치(90)에서 공급된 세탁수(w)가 담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드럼(70)의 하부는 세탁수(w)에 잠기게 되고, 상기 터브(60) 내에 담겨진 세탁수는 상기 드럼(70)의 수공(74)을 통해 드럼(70) 내부로 유입되어 피세탁물(w)에 적셔지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드럼 모터(80)가 구동되어 상기 드럼(70)이 회전되게 되면 상기 드럼(70) 내부에 수용된 피세탁물(m)은 상기 리프트(76)에 의해 들어 올려졌다가 낙하되면서 세탁수(w)의 작용에 의해 묻은 때가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분무형 드럼 세탁기는 상기와 같은 급수 또는 세탁 행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상기 펌프(122) 및 양축 모터(130)가 구동되게 되고, 상기 터브(60) 내의 세탁수(w)는 상기 펌프(122)에 의해 펌핑되며, 상기 원심 판(124) 및 팬(128)은 상기 양축 모터(130)의 구동으로 회전된다.
상기 펌프(122)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는 상기 제 1 안내관(134)을 통해 상기 망 하우징(136) 내부로 안내되고, 회전 중인 원심 판(124)의 일면에 부딪히면서 원심 판(124)의 안내를 받아 원심 방사되며, 이후 상기 망(126)을 통과하면서 미립화된다.
상기 망(126)을 통과하면서 미립화된 세탁수는 상기 팬(128)에 의해 압송되어 상기 제 2 안내관(140)으로 안내되고, 상기 안내관(140) 내부를 통하여 상기 개스킷(64) 내측으로 비 또는 안개처럼 분사된다.
상기 개스킷(64) 내측으로 분사된 미립화된 세탁수는 상기 드럼(70)에 수용된 피세탁물에 직접 적셔지게 되고, 피세탁물(w)에 묻은 오염과 신속하게 반응하여 세정 능력을 높이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세탁 행정이 종료된 후 상기 터브(60) 내의 오염된 세탁수는 상기 배수장치(110)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그런 다음, 상기 분무형 드럼 세탁기는 피세탁물(m)에 남은 거품을 헹궈내기 위한 헹굼 행정이 수차례 이루어지는 바, 상기 급수장치(90)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되어 터브(60) 내에 담겨지게 되고, 상기 드럼 모터(80)가 구동되어 드럼(70)이 회전되게 되면 상기 드럼(70) 내부에 수용된 피세탁물(m)은 상기 리프트(76)에 의해 올려졌다가 낙하되면서 거품이 헹궈진다.
한편, 상기 분무형 드럼 세탁기는 상기와 같은 급수 또는 헹굼 행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상기 펌프(122) 및 양축 모터(130)가 구동되고, 상기 터브(60) 내의 세탁수(w)는 세탁의 경우와 같이 상기 펌프(122)에 의해 펌핑된 후 상기 원심 판(124)과 망(126)에 의해 미립화되며, 이후 피세탁물(m)에 직접 적셔져서 피세탁물에 남아 있는 거품을 신속하고 헹궈냄과 아울러 헹굼 능력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헹굼 행정이 종료된 후 거품을 포함하는 오염된 세탁수는 상기 배수장치(110)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은 수 차례의 헹굼 행정 이후에 상기 세탁기는 세탁물(m)의 물기를 빼내기 위한 탈수 행정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드럼 모터(80)가 상기 드럼(7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피세탁물(m) 내의 물기는 원심 탈수되면서 상기 드럼(70)의 수공(74)을 통해 드럼(70)의 외부로 배출되고, 이후 상기 터브(60)의 내측 하부로 모인 후, 상기 배수장치(110)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분무형 드럼 세탁기는 터브에서 배수된 세탁수가 원심 판에 의해 원심 방사되고 망을 통과하면서 미립화된 후 팬에 의해 압송되어 드럼의 내측으로 분사되므로, 최대한 많은 양의 세탁수가 피세탁물에 적셔질 수 있고, 세탁수가 피세탁물에 신속하게 흡수됨과 아울러 오염과의 접촉이 증대되어 피세탁물의 세탁 및 헹굼 성능이 향상됨과 아울러 물 사용량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형 드럼 세탁기 일실시예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무형 드럼 세탁기 일실시예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무형 드럼 세탁기 일실시예의 순환/미립화 장치의 확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형 드럼 세탁기 일실시예의 순환/미립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 베이스 52: 케이싱
54: 출입홀 56: 도어
60: 터브 62: 출입홀
64: 개스킷 66: 댐퍼
68: 스프링 70: 드럼
72: 출입홀 74: 수공
76: 리프트 80: 드럼 모터
82: 회전축 90: 급수장치
100: 히터 110; 배수장치
120: 순환/미립화장치 122: 펌프
124: 원심 판 126: 망
128: 팬 130: 구동수단
131a: 제 1 회전축 131b: 제 2 회전축
132: 펌프 호스 134: 제 1 안내관
136: 망 하우징 136a: 관통홀
136b: 개구홀 136e: 송풍홀
138: 팬 하우징 138a: 개구홀
138b: 토출홀 140: 제 2 안내관
146: 확산 노즐 152: 지지봉
154: 모터 마운터

Claims (4)

  1. 세탁수가 담겨지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내부에 피세탁물이 수용되며 수공이 형성된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 모터와;
    상기 터브에서 배수된 세탁수를 펌핑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세탁수를 원심 방사하는 원심 판과;
    상기 원심 판의 외측에 배치되어 원심 방사되는 세탁수가 통과하면서 미립화되는 망과;
    상기 망을 통과하면서 미립화된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로 압송시키는 팬과;
    상기 원심 판과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형 드럼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판은 복수개가 이격되게 중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형 드럼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원심 판의 회전중심과 팬의 회전중심에 회전축이 축설된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형 드럼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형 드럼 세탁기는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일단이 연통되고 상기 원심 판에 타단이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세탁수를 상기 원심 판의 일면으로 안내하는 제 1 안내관과, 상기 팬에 의해 압송되는 미립화된 세탁수를 상기 드럼의 내부로 안내하는 제 2 안내관과, 상기 제 2 안내관의 단부에 설치된 깔대기 모양의 확산 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형 드럼 세탁기.
KR10-2003-0024911A 2003-04-14 2003-04-19 분무형 드럼 세탁기 KR10051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911A KR100517617B1 (ko) 2003-04-19 2003-04-19 분무형 드럼 세탁기
US10/822,748 US7584633B2 (en) 2003-04-14 2004-04-13 Spray type drum washing machine
CNB2004100329994A CN1303279C (zh) 2003-04-14 2004-04-14 喷雾式滚筒洗衣机
US11/649,241 US20070107472A1 (en) 2003-04-14 2007-01-04 Spray type drum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911A KR100517617B1 (ko) 2003-04-19 2003-04-19 분무형 드럼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195A KR20040091195A (ko) 2004-10-28
KR100517617B1 true KR100517617B1 (ko) 2005-09-28

Family

ID=3737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911A KR100517617B1 (ko) 2003-04-14 2003-04-19 분무형 드럼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6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224U (ko) * 1997-05-23 1998-12-05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물순환장치
KR19990023507U (ko) * 1997-12-06 1999-07-05 전주범 세탁기용 샤워링의 구조
KR20030057927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 세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224U (ko) * 1997-05-23 1998-12-05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물순환장치
KR19990023507U (ko) * 1997-12-06 1999-07-05 전주범 세탁기용 샤워링의 구조
KR20030057927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195A (ko)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633B2 (en) Spray type drum washing machine
US20050028564A1 (en) Washing machine
EP1500736B1 (en) Washing machine
US7010942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860053B1 (ko) 드럼세탁기
JP2006110362A (ja) 洗濯機
KR100517617B1 (ko) 분무형 드럼 세탁기
JPH0492697A (ja) 回転ドラム式洗濯機
JPS6266895A (ja) 洗たく機
KR101010692B1 (ko) 드럼 세탁기
KR101223441B1 (ko) 드럼세탁기
KR101114327B1 (ko) 세탁기
CN2425105Y (zh) 离心脱污式洗衣机
KR20040091194A (ko) 드럼 세탁기
KR101114329B1 (ko) 세탁기
KR101133613B1 (ko)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KR100201856B1 (ko) 드럼 세탁기용 드럼의 세탁수 분사장치
KR100494983B1 (ko) 세탁기용 건조장치
KR100379491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의 외조커버
KR20000007315A (ko) 분무/흡입형 세탁기
KR20230059573A (ko) 세탁물을 탈수 시 헹굼수를 분사하는 세탁기용 헹굼수 분사장치
KR100336127B1 (ko) 드럼세탁기
KR100413431B1 (ko) 공기순환기능를 갖는 펄세이터 및 이를 이용한 건조세탁기
KR101245137B1 (ko) 드럼세탁기
KR200358901Y1 (ko) 드럼 세탁기의 드럼 프론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