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500B1 - 디스플레이 장치의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500B1
KR100517500B1 KR10-2003-0009608A KR20030009608A KR100517500B1 KR 100517500 B1 KR100517500 B1 KR 100517500B1 KR 20030009608 A KR20030009608 A KR 20030009608A KR 100517500 B1 KR100517500 B1 KR 100517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displayed
image
screen
entir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863A (ko
Inventor
가영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9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50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동화상이든 정지화상이든 관계없이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상 방지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부; 디스플레이 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정지화상인지 동화상인지 고려하지 않고, 일정 시간단위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한다. 시스템 제어부는 전체 화면의 이동 방향에 따른 이동 범위를 다르게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잔상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를 요구할 필요가 없고,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fterimage on display un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잔상 방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정지화상이든 동화상이든 관계없이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잔상은 일정 시간동안 동일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때 발생된다. 특히 CRT 프로젝션(projection) TV와 같이 디스플레이 면이 형광체로 구성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상기 잔상이 뚜렷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동안 동일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지를 검출하고, 일정 시간동안 동일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면, 디스플레이 되던 영상 대신에 사전에 설정한 OSD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스탠바이 모드로 설정하거나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위치가 일정한 픽셀단위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잔상 방지 방법들은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정지화상인 경우에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동화상인 경우에 발생 가능한 잔상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디스플레이 되는 동화상 자체로 인한 잔상 발생은 흔치 않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동화상인 경우에도 정지화상이 디스플레이 될 때와 같은 비율로 잔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 가능한 화면의 포맷이 다양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동화상인 경우에도 정지화상이 디스플레이 될 때와 같이 잔상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VD와 같이 여러 종류의 포맷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의 포맷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와이드 스크린 모드이거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줌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무 신호 구간(101, 102)이 존재한다. 상기 무 신호 구간(101, 102)이 장시간 방치되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동화상과 무신호 구간(101, 102)사이(즉 경계 라인)에서 잔상이 발생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잔상 방지 방법은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대상으로 일정 시간 유지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토대로 잔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므로, 상기 무신호 구간(101, 102)의 장시간 방치여부와는 전혀 무관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의 포맷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화면 모드이거나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멀티 영상 화면인 경우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동화상이라 할지라도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간에 존재하는 경계영역(103, 104)으로 인한 잔상이 발생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잔상 방지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대상으로 일정 시간 유지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토대로 잔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므로, 상기 경계영역의 장시간 방지여부와는 전혀 무관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화면 포맷을 지원함에 따라 발생되는 잔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방지할 수 없어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동화상이든 정지화상이든 관계없이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화면 포맷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포맷과 관계없이 잔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상 방지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부; 상기 디스플레이 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정지화상인지 동화상인지 고려하지 않고, 일정 시간단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전체 화면의 이동 방향에 따른 이동 범위를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전체 화면의 위치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좌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범위와 우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 범위간의 비를 1:m(m은 2이상의 값)으로 하여 상기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전체 화면의 위치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우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 범위와 좌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 범위간의 비를 1:m(m은 2이상의 값)으로 하여 상기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상 방지 방법은,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타이머를 리셋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정지화상인지 동화상인지 고려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체 화면의 이동 방향에 따른 이동범위를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전체 화면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체 화면의 위치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좌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범위와 우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 범위간의 비를 1:m(m은 2이상의 값)으로 하여 상기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체 화면의 위치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우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범위와 좌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 범위간의 비를 1:m(m은 2이상의 값)으로 하여 상기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잔상 방지 장치의 블록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잔상 방지 장치는, 시스템 제어부(201), 타이머(202), 신호 처리부(203),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204), 디스플레이부(205)로 구성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사용자 요구신호가 전원 온 요구신호이거나 타이머 리셋신호이면, 타이머(202)를 리셋시킨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디스플레이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정지화상인지 동화상인지 관계없이 타이머(202)의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마다 디스플레이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제 화면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면서 타이머(202)를 리셋시킨다. 상기 소정 시간은 동일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경우에 잔상이 발생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상기 소정 시간단위로 디스플레이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을 이동할 때, 이동 방향에 따라 다른 이동 범위를 적용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전체 화면의 위치를 이동시킬 경우에, 좌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범위는 'N'으로 하고, 우측 방향과 상측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는 '2N'으로 한다. 상기 '2'는 2보다 큰 다른 값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와 우측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이동범위는 1:m의 관계를 갖는다. 상기 m은 2이상의 값이다.
상기 N은 클럭 스텝 이동 개수로서, N의 값이 증가하거나 많을수록 잔상 발생 빈도가 낮아진다. 예를 들어, 클록 스텝 이동 개수 N이 4인 경우에, 이동 거리는 ±4.8㎜이면, 클록 스텝 이동 개수 N이 2이면, 이동 거리는 ±2.4㎜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부(205)의 화면 사이즈와 시스템 제어부(201)에 로딩된 운영 프로그램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N의 값은 설정된다.
반면에 시계 반대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를 이동시킬 경우에, 우측 방향과 하측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는 'N'으로 하고, 좌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는 '2N'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N과 2N의 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술한 N과 2N의 관계는 디스플레이부(205)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201)는 신호 처리부(203)를 제어하면서, 현재 이동 방향과 이동 범위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현재 이동 방향과 현재 이동 범위 정보를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204)로 제공한다.
신호 처리부(203)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시키는 신호 처리를 한다. 신호 처리부(203)에서의 신호 처리는 기존의 알려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해당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CRT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에, 신호 처리부(203)는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CRT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되도록 신호처리를 한다. 또, 해당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LCD 텔레비전인 경우에, 신호 처리부(203)는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LCD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되도록 신호처리를 한다.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204)는 시스템 제어부(201)로부터 제공되는 이동 방향 및 이동 범위 정보를 토대로 신호 처리부(203)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에 대한 디스플레이부(205)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점(301)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처음 이동시킬 때,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204)는 시스템 제어부(201)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이 클록 스텝 이동 개수 N만큼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은 좌측으로 그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이동된다.
다음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시스템 제어부(201)로부터 제어 신호가 제공되면,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204)는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이 하측으로 클록 스텝 이동 개수 N만큼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은 하측으로 그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이동된다.
그 다음,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시스템 제어부(201)로부터 제어 신호가 제공되면,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204)는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이 우측으로 클록 스텝 이동 개수 2N만큼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은 우측으로 그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이동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시스템 제어부(201)로부터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204)는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이 상측으로 클록 스텝 이동 개수 2N만큼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은 상측으로 그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이동된다.
그 다음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시스템 제어부(201)로부터 제어 신호가 제공되면,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204)는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이 좌측으로 클록 스텝 이동 개수 N만큼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그 다음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시스템 제어부(201)로부터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204)는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이 하측으로 그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경우에, 상술한 예와 다른 이동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상 방지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상 방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로부터 전원 온이 요구되거나 타이머 리셋이 요구되면, 제 401 단계에서 시스템 제어부(201)는 타이머(202)를 리셋시킨다.
제 402 단계에서 시스템 제어부(201)는 타이머(202)의 값이 소정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모니터링 한다. 소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201)는 타이머(202)를 계속 모니터링 한다.
만약 소정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시스템 제어부(201)는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정지화상이든 동화상이든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204)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이동된다. 시스템 제어부(201)의 제어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204)의 동작은 상술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 부(205)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가 이동되면, 제 401 단계로 리턴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동화상이든 정지화상이든 관계없이 일정 시간단위로 전체 화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다양한 화면 포맷이 지원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잔상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에 대해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를 요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일정 시간단위로 화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정지화상인지를 판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정지화상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메모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장치의 가격 다운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의 디스플레이 위치 이동 범위를 일률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이동 방향에 따른 이동 범위를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사이즈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 가능한 화면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잔상 방지 장치의 블록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이동 예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잔상 방지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

Claims (8)

  1. 삭제
  2. 잔상 방지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정지화상인지 동화상인지 고려하지 않고, 일정 시간단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전체 화면의 위치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인지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인지에 따라 상기 전체 화면의 이동 범위를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장치.
  3. 제 2 항에서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전체 화면의 위치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좌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범위와 우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 범위간의 비를 1:m(m은 2이상의 값)으로 하여 상기 전체 화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전체 화면의 위치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우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 범위와 좌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 범위간의 비를 1:m(m은 2이상의 값)으로 하여 상기 전체 화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장치.
  5. 삭제
  6.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잔상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타이머를 리셋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이 정지화상인지 동화상인지 고려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 이동 제어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인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인지에 따라 이동범위를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 이동 제어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좌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범위와 우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 범위간의 비를 1:m(m은 2이상의 값)으로 하여 상기 전체 화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 이동 제어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전체 화면의 위치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우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범위와 좌측 방향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 범위간의 비를 1:m(m은 2이상의 값)으로 하여 상기 전체 화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상 방지 방법.
KR10-2003-0009608A 2003-02-15 2003-02-15 디스플레이 장치의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517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608A KR100517500B1 (ko) 2003-02-15 2003-02-15 디스플레이 장치의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608A KR100517500B1 (ko) 2003-02-15 2003-02-15 디스플레이 장치의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863A KR20040073863A (ko) 2004-08-21
KR100517500B1 true KR100517500B1 (ko) 2005-09-28

Family

ID=3736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608A KR100517500B1 (ko) 2003-02-15 2003-02-15 디스플레이 장치의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0772B2 (en) 2017-10-25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137B1 (ko) 2015-01-13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423615B1 (ko) 2015-09-30 2022-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706249B (zh) * 2019-10-10 2022-06-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器图像处理的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0772B2 (en) 2017-10-25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863A (ko) 200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9213A1 (en) Image data output device, image data output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0421017B1 (ko) 잔상 현상 제거 장치 및 방법
JP576195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50266923A1 (en) Display mode switch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roduct
CN1983380B (zh) 图像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70025292A (ko) 디스플레이장치
CN109189359B (zh) 一种显示设备主分辨率输入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0421006B1 (ko) 잔상 현상 제거 장치 및 방법
US798272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ecking input signals
KR10051750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잔상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70014586A (ko) Pip 표시 제어방법
JP2006330027A (ja)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7411605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image sticking of video display appliance and method thereof
TW200404458A (en) Signaling display device to automatically characterize video signal
EP145034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solution of graphic image
KR20090047689A (ko) 멀티 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US20060125783A1 (en) Display device with detachable housing
JP200125797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20041948A (ko) 영상기기의 매뉴얼 디스플레이 방법
JP2003174601A (ja) 映像表示装置
KR10126031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35507A (ko) Ptz 카메라의 제어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0304186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동기 신호 주파수 표시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516609B1 (ko) 입력 신호에 따른 텔레비전의 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JP2000175122A (ja) 表示装置及びその焼き付き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