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380B1 - 구이김 절단기 - Google Patents

구이김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380B1
KR100516380B1 KR1020040099844A KR20040099844A KR100516380B1 KR 100516380 B1 KR100516380 B1 KR 100516380B1 KR 1020040099844 A KR1020040099844 A KR 1020040099844A KR 20040099844 A KR20040099844 A KR 20040099844A KR 100516380 B1 KR100516380 B1 KR 100516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roasting
cutting
cutting blade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경희
Original Assignee
방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경희 filed Critical 방경희
Priority to KR102004009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김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평판 형태의 가압덮개판이 구비되고 그 상면쪽에는 가압용의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덮개판의 저면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측 절단날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측 절단날이 그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직교하도록 배열 형성되어지되 상기 종측 및 횡측 절단날의 각 날끝 간에는 소정 폭의 위치편차를 유지하도록 된 절단날 결합체와, 상기 가압덮개판이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함 형태의 본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상기 종측 절단날 및 횡측 절단날을 수용할 수 있는 종측 절개홈 및 횡측절개홈이 형성된 분할절판을 상기 가압덮개판과 평행하게 형성하여서 된 김 수납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매장이나 가정 등 어디에서나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김이 적층 수납된 김 수납함의 상부에서 그 내부로 절단날 결합체를 하강시키는 일회의 수동 가압동작만으로 다수 장의 구이김을 등분 절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이김 절단기{cutter for stack of roasted lavers}
본 발명은 구이김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장이나 가정 등 어디에서나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의 수동 가압동작만으로 다수 장 적층된 구이김을 등분 절단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된 구이김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와 일본 등 몇몇 국가의 식생활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전통적인 주요 반찬류 중의 하나로서 김을 꼽을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가정에서 별도로 조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원료김을 직접 구입하기보다는, 기름과 소금 등의 조미료를 가미하여 김 구이기로 구운 후 취식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다수 절 등분하여 포장한 구이김을 구입하여 간편하게 취식하는 것을 더욱 선호하는 추세이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판매되고 있는 구이김을 가공방식에 따라 분류해보면, 히팅로울러 장치에 의해 가공된 얇고 편평한 형태의 압착식 구이김과, 김 양면을 직접 굽는 비압착식 (재래)구이김이 있으며, 상기 압착식 구이김은 다수 장 적층시에도 두께가 얇고 균일하게 유지되므로 등분 절단 및 포장 등의 가공성 면에서, 상기 비압착식 구이김은 직화 처리되므로 그 맛의 우수성 면에서 각각 상대적인 이점을 갖고 있다.
한편, 맛과 영양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최근 소비자의 구이김 구매성향 및 실수요를 감안해 볼 때, 공산품 형태로 밀봉 포장되어 판매되는 장기보존이 가능한 절단 구이김 보다는, 식료품 할인유통매장의 즉석가공식품 코너 등에서 판매하는 갓 구운 즉석 구이김을 더 선호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즉석 구이김 매장의 가공시설은 조미김을 구워내는 김 구이기 정도만 갖춰진 곳이 대부분이어서, 김 구이기로 조미김을 구운 후 그 구이김을 일정 장 수 단위로 포장지에 담는 정도의 작업만을 수행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을 뿐 상기 구이김을 균일한 크기로 다수 절 등분할 수 있는 별도의 절단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므로, 결국, 절단되지 않은 구이김을 소비자가 가정에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취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매장이나 가정 등 어디에서나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회의 수동 가압동작만으로 다수 장 적층된 구이김을 등분 절단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구이김 절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는, 평판 형태의 가압덮개판이 구비되고 그 상면쪽에는 가압용의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덮개판의 저면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측 절단날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측 절단날이 그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직교하도록 배열 형성되어지되 상기 종측 및 횡측 절단날의 각 날끝 간에는 소정 폭의 위치편차를 유지하도록 된 절단날 결합체와, 상기 가압덮개판이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함 형태의 본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상기 종측 절단날 및 횡측 절단날을 수용할 수 있는 종측 절개홈 및 횡측절개홈이 형성된 분할절판을 상기 가압덮개판과 평행하게 형성하여서 된 김 수납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김 수납함 본체의 종측 양면에는, 상기 종측 절단날의 양측단부를 수용하여 연직 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김 수납함의 본체 하단부에는 개방형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내에는 구이김의 절단시 발생하는 김 가루를 채집할 수 있는 수납 가능한 가루받이통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의 각부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의 결합상태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의 결합상태를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 장 적층된 구이김을 식료품 할인유통매장 등의 즉석 구이김 판매코너나 가정 등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수동식 구이김 절단기의 구조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구이김을 다수 장(통상적으로 10장)씩 적층시킨 상태로 투입하여 동시에 다수 절 등분 절단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통상의 경우 6등분이나 8등분 또는 9등분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절단하게 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이김을 6등분하는 구조만을 예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횡방향으로 직교하는 한 쌍의 절단날(12)(13)을 구비한 절단날 결합체(10)와, 구이김을 상부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하부 내측으로 상기 절단날 결합체(10)의 각 절단날(12)(13)들을 연직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절개홈(22a)(23a)이 형성된 김 수납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단날 결합체(10)는, 구이김과 대응되는 장방형 평판 구조의 가압덮개판(11)이 구비되고, 그 상면쪽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가압손잡이(14)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덮개판(11)의 저면쪽에는 그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직교하도록 배열된 한 개의 종측 절단날(12)과 2개의 횡측 절단날(13)이 각각 연직 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덮개판(11)은 그 둘레가 상기 김 수납함(20)의 수납함 본체(21)의 둘레에 비해 약간 큰 정도의 규격을 유지하도록 제작됨으로써 상기 가압판덮개(11)의 저면 둘레가 상기 수납함 본체(21)의 상부 가장자리에 얹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종측 절단날(12)과 횡측 절단날(13)의 각 날끝 간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폭의 위치편차(d)가 존재한다. 이는 상기 종측 절단날(12)이 먼저 구이김에 닿아 상기 구이김을 종방향으로 2등분한 후, 그 2등분된 절단 구이김을 순차적으로 재차 다수 절 등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종단 및 횡단 절단날이 직교하도록 할 때에 상기 날들이 소정의 위치 편차를 유지하지 않게 되면, 구이김을 절단할 때에 구이김이 잘라지면서 절단되는 것이 아니라 부서지면서 절단되기 때문에 가루가 많이 생기게 되고, 또 많은 장을 한꺼번에 절단할 수가 없게 된다.
상기 종측 절단날(12)과 횡측 절단날(13)은 위에서는 각각 1개의 종측 절단날(12)과 2개의 횡측 절단날(13)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를 하였지만 김을 8등분 또는 9등분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측 절단날(12)과 횡측 절단날(13)을 각각 2개 이상의 날들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김 수납함(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덮개판(11)이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함 형태의 수납함 본체(21)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상기 종측 절단날(12) 및 횡측 절단날(13)을 수용할 수 있는 종측 절개홈(22a) 및 횡측절개홈(23a)이 형성된 분할절판(22)을 상기 가압덮개판(11)과 평행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할절판(22)의 종측 절개홈(22a)과 횡측 절개홈(23a)의 개수는, 구이김을 몇 등분할 것이냐에 따라 2~3개 또는 그 이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앞서도 설명한 바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이김을 6등분으로 절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구이김을 8등분이나 9등분을 할 수도 있는 것은 당연히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함 본체(21)의 종측 양면에는, 상기 종측 절단날(12)의 양측단부를 수용하여 연직 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1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21a)의 상부에는, 상기 종측 절단날(12)의 양측단부 하단모서리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V-홈의 구조를 이루는 안내용 모따기부(24)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함 본체(21)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공간부(25)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공간부(25) 내에는 구이김의 절단시 발생하는 김 가루를 채집할 수 있는 수납 가능한 가루받이통(26)이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에 의한 구이김 절단과정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 수납함(20)의 분할절판(22) 상부에 다수 장(통상 10장 정도)의 구이김(1)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수납함 본체(21)의 안내홈(21a)과 절단날 결합체(10)의 종측 절단날(12) 양측하단부 모서리가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수납함 본체(21)의 상부에 상기 절단날 결합체(10)를 배치해 둔다.
그 다음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압손잡이(14)를 파지한 채 상기 절단날 결합체(10)를 상기 안내홈(21a)을 따라 1차 절단위치(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까지 하강시켜 구이김(1)을 종방향 2등분의 형태로 절단한다.
마지막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날 결합체(10)를 상기 안내홈(21a)을 따라 상기 절단날 결합체(10)의 횡측 절단날(13) 날끝을 2차 절단위치(상기 김 수납함(20)의 하단부 위치)까지 계속 가압하여 하강시키게 되면, 종방향으로 2등분된 구이김(1)이 각각 횡방향으로 재차 3등분되어 모두 6등분된 절단 구이김을 얻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이김 절단기에 의하면, 매장이나 가정 등 어디에서나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김이 적층 수납된 김 수납함의 상부에서 그 내부로 절단날 결합체를 하강시키는 일회의 수동 가압동작만으로 다수 장의 구이김을 간편하게 등분 절단할 수 있으면서도 구이김을 절단할 때에 구이김이 부서지면서 절단되어 가루가 많이 생기게 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의 각부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의 결합상태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의 결합상태를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김 절단기의 작동 메커니즘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본 발명의 김 수납함 내에 다수 장의 구이김을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김 수납함의 안내홈을 따라 절단날 결합체의 종측 절단날 날끝을 1차 절단위치까지 하강시킴으로써 구이김을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2등분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c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상기 절단날 결합체의 횡측 절단날 날끝을 2차 절단위치(김 수납함의 하단부)까지 계속 하강시킴으로써 2등분된 구이김을 각각 횡방향으로 재차 다수 절 등분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 ; 날의 위치편차 1 ; 구이김
10 ; 절단날 결합체 11 ; 가압덮개판
12 ; 종측 절단날 13 ; 횡측 절단날
14 ; 가압손잡이 20 ; 김 수납함
21 ; 수납함 본체 21a ; 안내홈
22 ; 분할절판 22a ; 종측 절개홈
23a ; 횡측 절개홈 24 ; 안내용 모따기부
25 ; 공간부 26 ; 가루받이통

Claims (3)

  1. 평판 형태의 가압덮개판이 구비되고, 그 상면쪽에는 가압용의 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덮개판의 저면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측 절단날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측 절단날이 그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직교하도록 배열 형성되어지되, 상기 종측 및 횡측 절단날의 각 날끝 간에는 소정 폭의 위치편차를 유지하도록 된 절단날 결합체; 및
    상기 가압덮개판이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함 형태의 본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상기 종측 절단날 및 횡측 절단날을 수용할 수 있는 종측 절개홈 및 횡측절개홈이 형성된 분할절판을 상기 가압덮개판과 평행하게 형성하여서 된 김 수납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김 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 수납함 본체의 종측 양면에는, 상기 종측 절단날의 양측단부를 수용하여 연직 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김 절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 수납함의 본체 하단부에는 개방형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내에는 구이김의 절단시 발생하는 김 가루를 채집할 수 있는 수납 가능한 가루받이통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김 절단기.
KR1020040099844A 2004-12-01 2004-12-01 구이김 절단기 KR100516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844A KR100516380B1 (ko) 2004-12-01 2004-12-01 구이김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844A KR100516380B1 (ko) 2004-12-01 2004-12-01 구이김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6380B1 true KR100516380B1 (ko) 2005-09-30

Family

ID=3730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844A KR100516380B1 (ko) 2004-12-01 2004-12-01 구이김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3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328B1 (ko) 2012-05-30 2014-02-13 김성환 구이김 절단장치
KR101668565B1 (ko) * 2015-09-03 2016-10-21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컷팅 가능한 김 보관통
KR101793268B1 (ko) * 2016-05-10 2017-11-02 조병철 구이김 절단 기능을 갖춘 김 보관용기
KR20230012319A (ko) * 2021-07-15 2023-01-26 박철현 김 절단이 가능한 김 보관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328B1 (ko) 2012-05-30 2014-02-13 김성환 구이김 절단장치
KR101668565B1 (ko) * 2015-09-03 2016-10-21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컷팅 가능한 김 보관통
KR101793268B1 (ko) * 2016-05-10 2017-11-02 조병철 구이김 절단 기능을 갖춘 김 보관용기
KR20230012319A (ko) * 2021-07-15 2023-01-26 박철현 김 절단이 가능한 김 보관함
KR102577224B1 (ko) * 2021-07-15 2023-09-08 박철현 김 절단이 가능한 김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0410A1 (en) Food cutting device
CN102026882B (zh) 由互锁的坯件形成的包装和陈列盘
KR100516380B1 (ko) 구이김 절단기
KR20140115293A (ko) 박스형 두부 커팅기
AU2016100248A4 (en) Container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CN210175434U (zh) 包装箱
EP3178748B1 (en) Pizza box
KR101200164B1 (ko) 컵 캐리어
US6224928B1 (en) Method for making sandwiches
KR101359328B1 (ko) 구이김 절단장치
KR200389034Y1 (ko) 김 절단 보관함
KR20140060838A (ko) 소스 수용부 형성을 위한 절취면을 구비한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CN209306177U (zh) 一种可层叠的宫格包装盒
KR101793268B1 (ko) 구이김 절단 기능을 갖춘 김 보관용기
JP5046870B2 (ja) 食材切断装置
US20130220848A1 (en) Methods for separating constituents of biologic liquid mixtures
US1993355A (en) Bread band
KR20170006708A (ko) 김 절단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KR20220020612A (ko) 꽃삼겹 제공 방법
US20180037366A1 (en) Anti-sog sandwich box
KR200331444Y1 (ko) 케이크류 포장케이스
KR20090018279A (ko) 식사도구통
TWM506120U (zh) 收納盒
JPS63233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