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636B1 -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636B1
KR100514636B1 KR20020082942A KR20020082942A KR100514636B1 KR 100514636 B1 KR100514636 B1 KR 100514636B1 KR 20020082942 A KR20020082942 A KR 20020082942A KR 20020082942 A KR20020082942 A KR 20020082942A KR 100514636 B1 KR100514636 B1 KR 100514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callback number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82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6491A (ko
Inventor
김현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20082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6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636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WCDMA망에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특정 목적을 위해 정의된 TP-PID값 및 콜백 넘버용 지시값을 포함시켜 단문 메시지를 인코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회선망이나 패킷망 사이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무선 기지국;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 교환국 및 SGS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에 상기 콜백 넘버용 지시값을 포함시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SMSC; 상기 단문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SMS 게이트웨이; 및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SMSC로 전송하는 SMS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WCDMA망에서 전화번호나 특정 URL로 구성되는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회선망이나 패킷망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ll Back Number Service in WCDM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칭함) 시스템에서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WCDMA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정의되어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의 단문 메시지 규격에서 TP-PID(Transfer Protocol-Protocol Identifier) 값과 사용자 데이터 헤더(Header) 값을 추가적으로 정의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코딩(Coding) 및 디코딩(Decoding)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WCDMA 시스템에서도 다양한 콜백 넘버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으로 상징되는 인터넷 통신 서비스가 각광을 받기 시작한 이후, 통신 서비스는 이미 사회, 경제, 정치 등 모든 측면에서 인류의 삶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인터넷이 불가능한 생활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인터넷은 생활의 일부로 인식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보다 나은 환경에서 이용하기 위해 초고속 통신망 등의 보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등의 통신 서비스는 전송 속도가 빠르고 데이터 입력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벗어나면 더 이상 인터넷 등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므로 고정된 위치에서만 통신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공간을 초월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통신 기업들이 무선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무선 인터넷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중에 무선망(Wireless Network)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과 기술을 말한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이동통신 단말기 보급률의 비약적인 증가는 이러한 무선 인터넷 환경의 발전을 더욱 촉진시켰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환경의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 사업자나 별정통신 사업자는 무선 인터넷의 사용자에게 다양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무선 인터넷의 이용을 더욱 촉진시키고 있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로는 문자 메시지, 전자 메일(E-Mail), 카드, 편지, 게임, 지리/생활 정보, 학습, 만화 등이 있다.
특히,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통화 상태 여부에 관계없이 제한된 길이의 문자 메시지를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전달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화면에 80 Byte(한글 40자, 영문 80자) 내외의 문자를 전송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개인적인 용도에서 기업형 용도에 이르기까지 사용 범위가 확장되어 이용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최근의 SMS는 단순한 개인간 메시지 전송의 차원을 넘어, 그룹(Group)간 전송, 예약 전송, 이메일 도착 통보, 개인 정보 관리, 증권 정보 알림, 상품 정보 알림, 금융 정보 알림, 콜백 넘버 서비스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의 콜백 넘버 전송은 발신자의 전화번호만을 단순하게 전송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특정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정보를 전송하여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버튼만 누르면 해당 URL을 갖는 무선 인터넷 웹페이지로 자동적으로 접속하는 기능 등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동통신 시스템이 진화함에 따라 진화 경로에 따라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관련 규격도 새롭게 정의되어야 한다. 즉, 현재의 2 세대(2G)나 2.5 세대(2.5G)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동기식 3 세대(CDMA 2000)로 진화하느냐 비동기식 3 세대(WCDMA)로 진화하느냐에 따라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규격에 그에 맞게 새롭게 정의되어야 하는 것이다.
현재, WCDMA 통신 방식은 IMT-2000에서 권고하는 무선 프로토콜로서 전세계적으로 많은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고 있거나 제공을 준비하고 있다. W-CDMA 시스템은 높은 통화 품질을 가지고, 대역 확산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에도 적합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WCDMA 방식은 음성 코딩을 위해서 32 Kbps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을 채택하였고, 사용자가 시속 100km 정도의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통화가 가능할 정도의 높은 이동성을 지원한다. 또한, WCDMA 통신 방식은 가장 많은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고, 우리나라, 유럽, 일본, 미국, 중국 등의 많은 기관들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를 구성하여 WCDMA를 위한 기술 스펙(Spec)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WCDMA 방식에서 정의되어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관련 규격은 단순한 단문 메시지의 전송에 관련된 것들뿐이다. 따라서, 현재의 WCDMA 통신 시스템에서는 2G나 2.5G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 제공하였던 발신자의 전화번호, 특정 URL 접속 기능 등과 관련된 콜백 넘버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WCDMA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가입자들에게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2G나 2.5G 서비스와도 연계가 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WCDMA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정의되어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단문 메시지 규격에서 TP-PID와 사용자 데이터 헤더값을 추가적으로 정의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코딩 및 디코딩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WCDMA 시스템에서도 다양한 콜백 넘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WCDMA망에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데이터 헤더에 콜백 넘버용 지시값 및 콜백 넘버를 포함시켜 단문 메시지를 인코딩하거나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회선망이나 패킷망 사이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무선 기지국;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이동 교환국;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패킷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 및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SGS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회선망이나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에 상기 콜백 넘버용 지시값을 포함시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SMSC; 상기 회선망이나 패킷망과 상기 SMSC 사이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게이트웨이; 및 단문 메시지 엔티티로부터의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상기 SMSC로 전송하는 SMS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WCDMA망에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 상기 수신 단말기의 MIN, 상기 콜백 넘버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코딩하여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가 송출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 및 상기 회선망이나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SMSC로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SMSC는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SMS 서버로 상기 수신 단말기가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 (d) 상기 SMS 서버는 상기 SMSC로부터 상기 질의를 수신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나 연결된 홈 위치 등록기를 검색하여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SMS 서버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SMSC로 전송하고, 상기 SMSC는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게이트웨이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단문 메시지 게이트웨이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수신 단말기의 망 접속 상태를 질의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교환국이나 상기 SGSN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이동 교환국이나 상기 SGSN은 수신한 상기 단문 메시지를 무선 기지국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CDMA망에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CDMA에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무선 기지국(UTRAN :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120), 이동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130),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132),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140), GGSN(Gateway GPRS Support Register)(150),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60), SMS-GMSC(Gateway Message Service Center)(170),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180), SMS 서버(190) 및 패킷 데이터망(PDN : Packet Data Network)(192)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회선망(CSN : Circuit Switched Network)과 패킷망(PSN : Packet Switched Network)을 통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패킷망인 비동기식 WCDMA망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회선망인 IS-95B(Interim Standard-95B)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IS-95B 시스템과 WCDMA 시스템 모두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접속 단말기(HAT : Hybrid Access Terminal)이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방법으로 WCDMA에서의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수신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휴대폰, 피디에이(PDA) 등이 포함된다.
무선 기지국(120)은 기존의 IS-95B 시스템에서 WCDMA를 지원하기 위한 별도의 기능이 추가된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122)와 무선 제어국(RNC : Radio Network Controller)(124)를 포함한다. RTS(122)는 3GPP 무선 접속 규격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무선 접속 종단 기능을 수행하고,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트래픽(Traffic)을 WCDMA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기능과 송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일반적으로 RTS(122)의 내부 서브시스템은 기지국 정합 서브시스템(BIS : Basestation Interconnection Subsystem), 기저 대역 서브시스템(BBS : Base Band Subsystem) 및 RF 서브시스템(Radio Frequency Subsystem)으로 구성된다.
무선 제어국(124)은 유무선 채널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110)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 프로토콜 정합.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처리, 핵심망 프로토콜 처리,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접속, 장애 관리, 시스템 로딩(Loading)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GPRS는 115 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멀티미디어 메일을 제공하고, 패킷 단위의 데이터 전송으로 전송 회선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비동기 방식의 통신 시스템이다.
이동 교환국(130)은 기존의 IS-95B 망에서의 음성 통화를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호처리를 고속으로 하기 위한 소프트 스위칭(Soft Switching) 구조를 가질 것이다. 여기서, 소프트 스위칭은 종래 교환기의 Circuit 스위치를 소프트웨어 스위치로 업그레이드(Upgrade)하여 음성, 데이터 및 영상 신호를 고속의 패킷 스위치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132)는 이동 교환국(130)의 관할 영역으로 들어오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며, 새로 획득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홈 위치 등록기(160)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60)로부터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의 복사본을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ical Serial Number), 등록된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문자 위치 등록기(132)가 이동 교환국(130)의 외부에 따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방문자 위치 등록기(132)는 이동 교환국(13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SGSN(140)은 GPRS 서비스를 위하여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기반의 스위치 및 라우팅 접속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구조를 갖추고, 각종 데이터 서비스 처리에 따른 운영 체제(OS : Operating System)를 지원한다. 운영 체제의 기능은 GPRS 이동성 관리, GPRS 세션(Session) 관리, GPRS 인증 및 과금 기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GGSN(150)은 GPRS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Serving Node)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이동성 제공 및 각종 데이터 관련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망(192)과 연결된다. 또한, GGSN(150)는 주소 할당, 도메인(Domain) 주소 변경, 과금 정보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제공한다.
홈 위치 등록기(160)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32)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60)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32)로부터 전달받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최초 가입된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프로파일 정보를 가져온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160)는 자신에게 위치 등록이 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접속 상태를 체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Idle 모드인지, Active(활성) 모드인지를 체크하고, Active 모드라면 회선망에 접속되어 있는지, 패킷망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SMS-GMSC(170)는 SMSC(180)로부터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패킷망이나 회선망을 통하여 전송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기 위한 경로 설정을 하는 WCDMA 방식에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게이트웨이다. 즉, SMS-GMSC(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 및 망 접속 정보가 있는 홈 위치 등록기(160)로 전송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망 접속 정보를 질의하고, 응답 결과에 따라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회선망의 이동 교환국(130)이나 패킷망의 SGSN(140)으로 전송한다.
한편, 도 1에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게이트웨이로 SMS-GMSC(170)가 도시되어 있지만, SMS-IWMSC(Inter Working Message Service Center)도 가능하다.
SMSC(18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나 접속되어 있는 SMS 서버(190)로부터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의 MIN을 수신한다. SMSC(18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송출되는 단문 메시지의 수신 확인 신호를 회선망이나 패킷망으로부터 수신하면 저장하고 있는 단문 메시지의 상태를 'SENT'로 설정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삭제한다. 즉, SMSC(180)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일시 저장하였다가(Store) 일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Send)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MSC(1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의하는 데이터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WCDMA 방식에서 다양한 콜백 넘버가 부가된 단문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문 메시지에 콜백 넘버를 부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SMSC(180)는 이동 교환국(130)이나 SGSN(140)으로부터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와 전송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MIN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어떤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전송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지원되는지를 SMS 서버(190)로 질의한다. SMSC(180)는 SMS 서버(19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송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지원되는지의 여부와 어떤 모드로 동작 중인지를 체크하여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송신 가능 여부 및 회선망과 패킷망 중 어느 망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SMS-GMSC(170)는 SMSC(18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모드 정보(회선망 접속, 패킷망 접속, Idle 상태 등)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되는 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SMS 서버(190)는 연결되어 있는 다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 작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SMSC(180)로 전송한다. 또한, SMS 서버(190)는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나 연결되어 있는 홈 위치 등록기(160)를 이용하여 전송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지를 체크한다. 즉, 홈 위치 등록기(160)는 전송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콜백 넘버 서비스가 가능한지의 여부에 대한 질의 메시지를 SMS 서버(190)로부터 수신하여 보유하고 있는 전송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프로파일 정보를 검색하여 콜백 넘버 서비스의 가능 여부에 대한 응답을 SMS 서버(190)로 전송한다.
도 2는 3GPP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해 정의한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3GPP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해 정의한 프로토콜은 SM-LL(Short Message-Link Layer), SM-RL(Relay Layer), SM-TL(Transfer Layer) 및 SM-AL(Application Layer)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2에서 SME(Short Message Entity)는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서버 등을 지칭한다.
3GPP에서 정의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프로토콜은 순방향 채널(Forward Channel)의 경우 호출 채널(Paging Channel)이나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로 전송되고, 역방향 채널(Reverse Channel)의 경우 접속 채널(Access Channel)이나 역방향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의 Data Burst Message로 전송된다. 또한, 사용자가 통화 중일 때는 음성 통화 중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다중화 모드(Multiplex Mode)로 동작된다.
SM-LL에는 Data Burst Message가 송수신되고, SM-RL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Idle Mode, Traffic Mode 등)와 메시지 길이에 따라서 전송 채널을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SM-RL은 SM-TL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다음 단으로 지시된 중계 지점(Relay Point)이나 종단 지점(End Point)으로 송신하고, 메시지가 다음 단의 중계 지점이나 종단 지점으로 전송되지 못하면 SM-TL로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SM-TL은 기본적으로 메시지를 생성하는 SMSC와 이동통신 단말기(MS : Mobile Station)와의 Peer-to-Peer 접속을 형성하고, SM-AL로부터 단문 메시지 파라미터를 접수하여 메시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메시지를 SM-RL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SM-RL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SM-AL로 전달한다. SM-TL의 메시지에는 음성 사서함, 일반 메시지 등과 같은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텔레서비스 구분자(Teleservice Identifier), 발신측 전화번호, 응답 요구 여부(Bearer Reply Option) 및 베어러 데이터가 포함된다.
SM-AL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확인 메시지(SMS User Ack Message)를 전송할 경우 목적지 주소를 SM-TL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한 메시지가 전송 메시지(SMS Deliver Message)일 경우 Relay 옵션이 세팅되었을 때, 해당 사실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SM-AL은 수신 메시지의 내용이 들어있는 사용자 데이터, 단문 메시지의 비밀 여부, 메시지 도착 알림 및 언어 구분자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은 3GPP에서 정의하는 SM-AL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각 구성 요소(엘리먼트)에 대해 설명하면, UDL(User Data Length)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체 길이이고, UDHL(User Data Header Length)은 사용자 데이터 헤더의 전체 길이이고, IEI(Information Element Indicator)는 정보가 시작됨을 알리는 지시자이고, IEIDL(IEI Data Length)은 IEI의 데이터 길이이고, IED(Information Element Data)는 실제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즉, UDL 엘리먼트부터 IEDn 엘리먼트까지가 사용자 데이터 헤더이다.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 헤더 다음에 있는 SM(8 bit 데이터 or UCS-2 데이터) 엘리먼트에는 실질적인 메시지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르면, 단문 메시지 포맷에 사용되는 TP-PID(TP-Protocol Identifier)에 특정 범위의 값을 설정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특정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을 미리 정의한다. 여기서, TP-PID는 상위 계층(Layer)의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프로토콜로서 8 비트값을 갖는다. 즉,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나 SMSC(180)에서는 단문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TP-PID값을 확인하여 해당 단문 메시지가 특정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을 판단하거나, 해당 메시지를 특정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미리 정의된 특정 TP-PID값을 할당하여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르면, 특정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용도로 정의된 TP-PID값을 이용하여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앞에서 설명한 사용자 데이터 헤더의 IEI을 특정하여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임을 미리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EI의 값이 FE(Octets)이면 해당 단문 메시지에 콜백 넘버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물론, 콜백 넘버 서비스를 위한 IEI의 값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TP-PID의 값을 먼저 디코딩하여 해당 메시지가 특정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을 인식한 후, 사용자 데이터 헤더의 IEI값을 디코딩하여 해당 단문 메시지에 콜백 넘버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나 SMSC(180)는 콜백 넘버가 부가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TP-PID에 특정 용도로 설정된 값을 부가하고, 사용자 데이터 헤더의 IEI에 콜백 넘버 서비스에 설정되어 있는 특정값(FE)을 할당한다.
한편, 도 3에서 IEDa에는 콜백 넘버에 대한 DCS(Data Codec Scheme)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즉,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IEDa에 포함되어 있는 DCS 정보를 이용하여 콜백 넘버가 어떤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DCS의 7 비트부터 5 비트까지가 000이면 콜백 넘버가 숫자(예컨대, 전화번호 등)임을 나타내고, 001이면 GSM(Group Special Mobile)7로 코딩된 URL, 010이면 UCS(UniCode System)2로 코딩된 URL, 011이면 아스키(ASCII)로 코딩된 URL임을 나타낸다. 한편, 나머지 값들(100, 101, 110, 111)은 차후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보류된(Reserved) 상태로 남겨둔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IEDb 이상의 엘리먼트에는 콜백 넘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콜백 넘버에는 숫자, 각종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된 영어나 한글의 URL 정보가 가능하다. 따라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IEDb 이상의 엘리먼트에 포함되어 있는 콜백 넘버를 디코딩하여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콜백 넘버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도중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접속 연결과 관련된 키값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URL 주소로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시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작성 및 발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콜백 넘버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의 작성 메뉴를 선택한다(S400).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문 메시지 입력 화면상에서 키버튼을 이용하여 소정의 단문 메시지를 입력한다(S402). 단계 S402에서 단문 메시지의 입력을 완료한 사용자는 콜백 넘버를 입력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4).
사용자는 키버튼을 이용하여 소정의 콜백 넘버를 입력하고,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발신키를 입력한다(S406). 사용자에 의해 단문 메시지와 콜백 넘버가 입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발신할 단문 메시지에 특정 서비스용 TP-PID값 및 콜백 넘버 서비스용 IEI값을 할당한다(S408).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계 S408에서 TP-PID값 및 콜백 넘버 서비스용 IEI값이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발신한다(S410). 만약, 단계 S404에서 사용자에 의해 콜백 넘버 입력 메뉴가 선택되지 않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입력된 단문 메시지만 기존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의해 인코딩하고 단계 S410으로 진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송출된 단문 메시지는 UTRAN(120) 및 SMSC(180)로 전송되고, 성공적으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UTRAN(120) 및 SMSC(180)는 수신 확인 응답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412). UTRAN(120) 및 SMSC(180)로부터 수신 확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S41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송출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WCDMA망에서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쳐 발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는 UTRAN(120)을 거쳐 MSC(130)로 전송된다(S500). 물론, 도 5에서는 발신 단말기에서 송출된 단문 메시지가 MSC(130)로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도 1에서 설명하였듯이 발신 단말기에서 송출된 단문 메시지는 SGSN(140)으로도 전송될 수 있다. 이는 UTRAN(120)의 RNC(124)에서 발신 단말기가 단문 메시지를 발신할 때 회선망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는지, 패킷망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는지를 판단하여 단문 메시지를 어느 망으로 전송할 지를 결정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발신 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MSC(130)는 SMSC(180)로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502). MSC(130)로부터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구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SMSC(180)는 MSC(130)로 발신 응답 신호를 전송하고(S504), SMSC(180)로부터 발신 응답 신호를 수신한 MSC(130) 역시 발신 단말기로 발신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S506).
또한, MSC(130)로부터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구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SMSC(180)는 수신 단말기가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SMS 서버(190)로 문의한다(S508).
SMSC(180)로부터 수신 단말기의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 가능 여부와 관련된 문의를 수신한 SMS 서버(190)는 내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나 연결되어 있는 홈 위치 등록기(160)에 저장된 수신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검색하여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 가능 여부를 검색한다(S510).
SMS 서버(190)는 단계 S510에서 판단한 수신 단말기의 콜백 넘버 서비스 지원 가능 여부에 대한 검색 결과를 SMSC(180)로 전송한다(S512). SMS 서버(190)로부터 수신 단말기가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단말기임을 통보 받은 SMSC(180)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회선망이나 패킷망을 거쳐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수신 단말기는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를 착신한다(S514).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는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하여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S516). 또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는 정상적으로 수신이 완료되었음을 SMSC(180)로 통보하고, 수신 단말기로부터 수신 응답 신호를 수신한 SMSC(180)는 해당 단문 메시지의 상태를 'SENT'로 변경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삭제한다(S518).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ME에서 요청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WCDMA망에서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특정 SME(예컨대, 서버)로부터 수신 단말기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이 SMS 서버(190)로 전송된다(S600). 특정 SME로부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 SMS 서버(190)는 SMSC(180)로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 신호를 전달한다(S602).
SMS 서버(190)로부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한 SMSC(180)는 도 3에서 설명하였듯이, 수신한 단문 메시지에 소정의 TP-PID와 콜백 넘버 서비스용 IEI값을 할당하고 인코딩하여 MSC(130)로 인코딩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604).
SMSC(180)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MSC(130)는 홈 위치 등록기(160)나 방문자 위치 등록기(132)에 있는 수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UTRAN(120)의 RNC(124)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UTRAN(120)은 해당 수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606).
단계 S606에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는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인코딩된 단문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단문 메시지의 내용 및 콜백 넘버의 정보를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608). 물론, MSC(130)로부터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수신 단말기는 수신 확인 신호를 MSC(130)로 전송하고(S610), MSC(130)는 SMSC(180)로 전송하고(S612), SMSC(180)는 SMS 서버(190)로 전송한다(S614).
물론 도 6에서도 회선망에서의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처리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패킷망에서도 SGSN(140)이 회선망에서의 MSC(13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원활하게 처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문 메시지의 수신이 가능한 정상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700). 정상 대기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RTS(122)로부터 송출되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다(S702).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TP-PID값 및 사용자 데이터 헤더값을 디코딩하여 분석한다(S704).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계 S704에서 분석한 결과 단문 메시지에 콜백 넘버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706).
단계 S706에서 판단한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사용자 데이터 헤더에 포함된 DCS 정보를 이용하여 콜백 넘버를 디코딩한다(S708). 그렇지 않고, 단계 S706에서 콜백 넘버가 포함되지 않은 단문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처리 알고리즘(Algorithm)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처리한다(S710).
단계 S708에서 콜백 넘버를 디코딩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문 메시지의 내용과 함께 콜백 넘버를 디스플레이한다(S712). 액정 화면에 콜백 넘버를 디스플레이 중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접속 키값이 눌려져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714).
단계 S714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소정의 접속 키값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수신한 콜백 넘버의 종류에 따라 음성 통화 연결을 수행하거나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S716). 즉,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수신된 콜백 넘버가 전화번호면 음성 통화 연결을 수행하고, 영어나 한글로 표기된 특정 URL 정보이면 해당 URL을 갖는 웹사이트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종래 WCDMA망에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콜백 넘버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르면 전화번호와 같은 숫자 뿐만 아니라, 영어나 한글 등으로 표기된 특정 URL 정보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에서의 콜백 넘버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면 현재 IS-95B망에서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무선 인터넷 푸쉬(Push)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어 WCDMA망에서도 IS-95B망에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승계할 수 있고, 신규 서비스의 개발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CDMA망에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3GPP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해 정의한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3GPP에서 정의하는 SM-AL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작성 및 발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출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WCDMA망에서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ME에서 요청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WCDMA망에서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동통신 단말기 120 : 무선 기지국
122 : RTS 124 : 무선 제어국
130 : 이동 교환국 132 : 방문자 위치 등록기
140 : SGSN 150 : GGSN
160 : 홈 위치 등록기 170 : SMS-GMSC
180 : SMSC 190 : SMS 서버
192 : 패킷 데이터망

Claims (25)

  1. WCDMA망에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WCDMA망에서 정의된 특수한 용도의 TP-PID(TP-Protocol Identifier)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 헤더에 콜백 넘버용 지시값 및 콜백 넘버를 포함시켜 단문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송신하거나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회선망이나 패킷망 사이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무선 기지국;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이동 교환국;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패킷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 및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단문 메시지 엔티티(SME)로부터의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SMS 서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회선망이나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가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상기 SMS 서버로 질의하여 판단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및
    상기 회선망이나 패킷망과 상기 SMSC 사이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게이트웨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 상기 콜백 넘버용 지시값을 포함시켜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해석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MSC는 수신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단문 메시지에 상기 TP-PID값을 할당하고, 상기 콜백 넘버용 지시값을 상기 사용자 데이터 헤더에 포함시켜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시스템.
  9. 삭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서버는 상기 SMSC로부터 상기 질의를 수신하여 내장하고 있는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의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WCDMA망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정보 및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이동 교환국, 상기 SGSN,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게이트웨이 및 상기 SMS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시스템.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SMS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기의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 여부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시스템.
  13.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수신 단말기가 어떤 망에 접속 중인지를 질의하여 상기 홈 위치 등록기의 응답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회선망이나 상기 패킷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게이트웨이에는 SMS-GMSC(Gateway Message Service Center) 및 SMS-IWMSC(Inter Working Message Service Center)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시스템.
  15. WCDMA망에서 정의된 특수한 용도의 TP-PID(TP-Protocol Identifier)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 헤더에 콜백 넘버용 지시값 및 콜백 넘버를 포함시켜 단문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송신하거나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회선망이나 패킷망 사이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무선 기지국;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이동 교환국;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패킷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 및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단문 메시지 엔티티(SME)로부터의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SMS 서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회선망이나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가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상기 SMS 서버로 질의하여 판단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신 단말기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및 상기 회선망이나 패킷망과 상기 SMSC 사이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WCDMA망에서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 상기 수신 단말기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상기 콜백 넘버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코딩하여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가 송출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 및 상기 회선망이나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SMSC로 전송되는 단계;
    (c) 상기 SMSC는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SMS 서버로 상기 수신 단말기가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
    (d) 상기 SMS 서버는 상기 SMSC로부터 상기 질의를 수신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나 연결된 홈 위치 등록기를 검색하여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
    (e) 상기 SMS 서버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SMSC로 전송하고, 상기 SMSC는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게이트웨이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단문 메시지 게이트웨이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수신 단말기의 망 접속 상태를 질의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교환국이나 상기 SGSN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이동 교환국이나 상기 SGSN은 수신한 상기 단문 메시지를 무선 기지국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단문 메시지 입력 요청과 관련된 키값이 입력되면 단문 메시지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콜백 넘버의 입력 요청과 관련된 키값이 입력되면 콜백 넘버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콜백 넘버는 숫자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포맷으로 생성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포맷에는 GMS7(Group Special Mobile 7), UCS2(UniCode System 2) 및 아스키(ASCII)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URL은 영어 알파벳 및 한글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에는 상기 수신자의 MIN, 상기 TP-PID값, UDL(User Data Length), UDHL(User Data Heder Length), IEI(Information Element Indicator), IEIDL(IEI Data Length) 및 IED(Information Element Data) 순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데이터 헤더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최초 8 비트의 상기 IED에는 상기 콜백 넘버에 대한 DCS(Data Codec Scheme)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22. 제 15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콜백 넘버는 두번 째 이상의 상기 IED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회선망에 접속 중이면 상기 이동 교환국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기 패킷망에 접속 중이면 상기 SGSN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24. 제 15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장하고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 헤더에 포함된 상기 DCS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콜백 넘버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25.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콜백 넘버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가 디코딩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콜백 넘버로의 연결과 관련된 키값이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콜백 넘버의 종류에 따라 음성 통화나 무선 인터넷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 제공하는 방법.
KR20020082942A 2002-12-23 2002-12-23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14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82942A KR100514636B1 (ko) 2002-12-23 2002-12-23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82942A KR100514636B1 (ko) 2002-12-23 2002-12-23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491A KR20040056491A (ko) 2004-07-01
KR100514636B1 true KR100514636B1 (ko) 2005-09-14

Family

ID=3734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82942A KR100514636B1 (ko) 2002-12-23 2002-12-23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176B1 (ko) * 2005-03-10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sms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sms 데이터 포맷
KR100708340B1 (ko) * 2005-08-09 2007-04-17 시스템베이스 주식회사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착신전환장치 및 그 방법
KR100748271B1 (ko) * 2005-12-06 2007-08-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Wcdma망에서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491A (ko)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30384C2 (ru) Преобразование коротких сообщений между различными форматами для систем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87315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5098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rating short message from origination point
EP16729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short text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EP1175797B1 (en) Method for storing and informing propertie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2224743A (zh) 通过无线ip网络的移动源发的sms
KR100706486B1 (ko) 지능망을 이용하여 발신번호를 변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1055338B1 (en) Data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in a multimedia system
KR20030000491A (ko) 단문메시지 전달방법
KR100514636B1 (ko) Wcdma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콜백 넘버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18790B1 (ko) Cdma망에서 wcdma 단문 메시지(sms)를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4237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의 착신 상태를 발신단말기로 통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18609A (ko) 통신망을 이용한 장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27762B1 (ko) 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단문메시지(sms)를 장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93717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sms)를변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02151B1 (ko)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1839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국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006253B1 (ko) 멀티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시스템, 방법 및 멀티메시지 변환기
KR100627778B1 (ko) 비동기식망과 동기식망 간의 핸드오버 중 단문 메시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86833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착신 품질을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20080004638A (ko) 엠엠에스메시지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KR101016269B1 (ko) 해외 로밍 메시징 서비스에서 주번호와 부번호를 이용하여발신 및 착신을 처리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TWI273804B (en) A transforming method of a gateway of the multimedia messaging services inter-exchange between PHS and GPRS network
KR100871157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이동 단말에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3671A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회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