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441B1 -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441B1
KR100513441B1 KR10-2003-0057591A KR20030057591A KR100513441B1 KR 100513441 B1 KR100513441 B1 KR 100513441B1 KR 20030057591 A KR20030057591 A KR 20030057591A KR 100513441 B1 KR100513441 B1 KR 10051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jig
plate
mold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7417A (ko
Inventor
허만우
Original Assignee
허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만우 filed Critical 허만우
Priority to KR10-2003-0057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441B1/ko
Publication of KR2004007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4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76Production of contact lenses enabling passage of fluids, e.g. oxygen, tears, between the area under the lens and the lens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7Moulds, cores,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고정판(10), 상원판(11), 스트리퍼판(12), 하원판(13), 받침판(14), 코아(20)등으로 밀폐되는 공간상에 단량체를 주입하여 렌즈접촉면(3)을 구비하는 지그(1)를 성형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원판(11)에 장착되어 하부에 결착구(21a)를 구비하고 지그(1)의 몸체(2)를 결정하는 제1코어(21); 상기 제1코어(21)에 삽설되어 지그(1)의 렌즈접촉면(3)을 결정하는 제2코어(22); 상기 상고정판(10)에 장착되어 제2코어(22)의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드볼트(25); 상기 스트리퍼판(12)에 장착되어 제1코어(21)의 결착구(21a)에 대응하는 결착구(23a)를 구비하고 지그(1)의 바닥면을 결정하는 제3코어(23); 및 상기 하원판(13)에 장착되면서 제3코어(23)에 삽설되고 지그(1)의 내경인 결합공(5)과 걸림턱(6)을 결정하는 제4코어(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은 물론 지그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 증대와 작업성의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The Mold to formative a jig for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를 제작하는 지그를 사출성형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은 물론 지그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 증대와 작업성의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contact lens)는 안구(眼球)의 전면에 렌즈를 직접 콘택트(密着)시켜 좋은 시력을 얻으려고 하는 것으로, 직업상 안경이 흐리거나 위험한 경우에도 사용되고 외형적으로는 안경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사람, 또 의안(義眼)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안경과는 달리 항상 시선과 렌즈의 광축(光軸)이 일치하므로 수차(收差)가 없는 점, 좌우의 굴절도가 달라서 망막상(網膜像)의 크기에 차이가 없어 물체가 이중으로 보이거나 일그러져 보이는 일이 없으므로 시야가 넓은 점, 각막 표면에 요철이나 엷은 혼탁이 있어도 난반사(亂反射)가 없어지고 시력이 좋아지는 점, 렌즈의 착용을 겉보기로는 모른다는 점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콘택트렌즈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선반절삭법(lathe-cutting)과 주형주조법(molding)이 사용되고 있다. 선반절삭법은 단량체(monomer)를 중합(polymer)하여 봉으로 만들어 다시 블랭크(blank)로 제작한 후, 특수한 선반에서 콘택트렌즈의 내면과 외면을 가공한 후, 표면의 미세한 요철면을 연마기로 연마하여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제작자가 필요한 도수에 알맞게 다양한 초점(단일, 이중, 다중 등)과 구형, 타원형, 여러 가지의 비구면 등을 렌즈의 전면과 배면에 제공함은 물론 지름의 크기와 프리즘의 첨가, 커브(곡선)의 변화 등을 제공하여 안구에 안정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요건에 따라 항상 변화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선반절삭법은 렌즈의 직경이나 배면의 곡률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울 뿐아니라, 마지막단계에서 필요시 되는 연마(polishing)는 그 과정이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생산단계가 매우 복잡하여 대량생산이 어렵고 경비 또한 많이 증가되어 원가를 높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반절삭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주형주조법(molding)이 시행되고 있다. 주형주조법은 렌즈의 형상(전면과 배면)을 갖고 있는 한 쌍의 지그에 단량체의 혼합물을 부어 넣은 후 중합하여 제조하여 콘택트렌즈를 만드는 방법으로 다량의 렌즈를 동일한 재현성을 유지하면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의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된다.
지그(1)는 주형주조법에서 렌즈의 형상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지그(1)는 외경에 다단형의 몸체(2)와, 상단에 렌즈접촉면(3)과, 내경에는 선반지그를 삽입하는 결합공(5)과 걸림턱(6)을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지그(1)는 내경의 결합공(5)과 걸림턱(6)에 선반지그를 삽입 장착시켜 콘택트렌즈를 가공한 다음 연마기로 연마하여 콘택트렌즈를 형성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렌즈접촉면(3)을 구비한 지그(1)를 성형하기 위해 제작되는 금형은 렌즈접촉면(3)에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므로 금형의 제작에 있어 중요한 설계 요소의 하나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은 물론 지그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 증대와 작업성의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고정판(10), 상원판(11), 스트리퍼판(12), 하원판(13), 받침판(14), 코아(20)등으로 밀폐되는 공간상에 단량체를 주입하여 렌즈접촉면(3)을 구비하는 지그(1)를 성형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원판(11)에 장착되어 하부에 결착구(21a)를 구비하고 지그(1)의 몸체(2)를 결정하는 제1코어(21); 상기 제1코어(21)에 삽설되어 지그(1)의 렌즈접촉면(3)을 결정하는 제2코어(22); 상기 상고정판(10)에 장착되어 제2코어(22)의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드볼트(25); 상기 스트리퍼판(12)에 장착되어 제1코어(21)의 결착구(21a)에 대응하는 결착구(23a)를 구비하고 지그(1)의 바닥면을 결정하는 제3코어(23); 및 상기 하원판(13)에 장착되면서 제3코어(23)에 삽설되고 지그(1)의 내경인 결합공(5)과 걸림턱(6)을 결정하는 제4코어(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트리퍼판(12)과 하원판(13)에는 지그(1)로 연결되는 기로(氣路)(31)와, 상기 기로(31)를 통하여 강제로 내부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30)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전체 적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들어내어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상고정판(10), 상원판(11), 스트리퍼판(12), 하원판(13), 받침판(14), 코아(20)등으로 밀폐되는 공간상에 단량체를 주입하여 렌즈접촉면(3)을 구비하는 지그(1)를 성형하는 금형에 관련된다. 이하 미설명된 부호 15는 금형 중 최하단에 적층되는 하고정판이고, 부호 16, 17, 18은 각각 밀판고정판, 밀판받침판, 리턴핀이다. 그리고 부호 19는 탕구를 구비하는 노즐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접촉면(3)을 구비하는 지그(1)를 성형하는 코아(20)는 도 2처럼 4부분으로 나누어지는 바, 제1코어(21)는 상원판(11)에, 제2코어(22)는 제1코어(21)에 삽설되고, 제3코어(23)는 스트리퍼판(12)에, 제4코어(24)는 하원판(13)에 각각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원판(11)은 하부에 결착구(21a)를 구비하고 지그(1)의 몸체(2)를 결정하는 제1코어(21)를 장착한다. 상원판(11)은 제1코어(21)의 하부에 구비되는 결착구(21a)는 상원판(11)과 연계되는 스트리퍼판(12)이 유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일정각도의 경사를 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원판(11)과 스트리퍼판(12)이 서로 정밀하게 결합되어 제품(지그)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제1코어(21)는 밀폐되는 공간(캐비티)에 의해 지그(1)의 외형이 완성되고 여기에 탕구와 탕도가 연통되어 합성수지 등의 원료가 공급되어 생성된다. 따라서, 제1코어(21)에 의해 지그(1)의 외형인 다단형의 몸체(2)가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2코어(22)는 상기 제1코어(21)에 삽설되어 지그(1)의 렌즈접촉면(3)을 결정한다. 즉 제2코어(22)에 의해 밀폐되는 공간(캐비티)에 의해 지그(1)의 렌즈접촉면(3)이 완성되고 여기에 탕구와 탕도가 연통되어 합성수지 등의 원료가 공급되어 생성된다.
여기서, 제2코어(2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무드볼트(25)가 설치된다. 무드볼트(25)는 상기 상고정판(10)에 장착되어 제2코어(22)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무드볼트(25)는 머리가 없는 더블볼트로서, 지그(1)의 고정도를 향상하기 위해 제2코어(22)를 가압한다. 따라서, 제2코어(21)를 통해 지그(1)의 렌즈접촉면(3)에 광택작업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코어(23)는 상기 스트리퍼판(12)에 장착되어 제1코어(21)의 결착구(21a)에 대응하는 결착구(23a)를 구비하고 지그(1)의 바닥면을 결정한다. 스트리퍼판(12)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코어(23)의 상부에 구비되는 결착구(23a)는 상원판(11)과 연계되어 유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일정각도의 경사를 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트리퍼판(12)과 상원판(11)은 결착구(23a,21a)를 통하여 서로 정밀하게 결합되어 제품(지그)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제3코어(23)는 밀폐되는 공간(캐비티)에 의해 지그(1)의 바닥면이 완성되고 여기에 탕구와 탕도가 연통되어 합성수지 등의 원료가 공급되어 생성된다. 따라서, 제3코어(23)에 의해 지그(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코어(24)는 상기 하원판(13)에 장착되면서 제3코어(23)에 삽설되고 지그(1)의 내경인 결합공(5)과 걸림턱(6)을 결정한다. 제4코어(24)는 제3코어(23)에 삽설되는데, 이는 제4코어(24)와 제3코어(23)를 서로 경사진 형태로 삽설되는 형태로 인하여 제품의 정도와 금형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제4코어(24)는 그 형태로 인하여 밀폐되는 공간(캐비티)에 의해 지그(1)의 전체적인 내면이 완성되고 여기에 탕구와 탕도가 연동되어 합성수지 등의 원료가 공급되어 생성된다. 따라서, 제4코어(24)에 의해 지그(1)의 결합공(5)과 걸림턱(6)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4에서, 상기 스트리퍼판(12)과 하원판(13)에는 지그(1)로 연결되는 기로(氣路)(31)와, 상기 기로(31)를 통하여 강제로 내부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30)를 더 구비한다. 이는 스트리퍼판(12)과 하원판(13)에 진공 Vent구조를 채택하여 기로(31)와 토출구(30)를 통하여 제품(지그)으로 연결되는 진공통로를 만들어 이 곳을 통하여 강제진공시켜 금형내의 진공상태로 유지한다. 이하 미설명된 부호 O는 제품의 진공도를 보다 향상하기 위해 상원판(11)과 하원판(13)에 설치되는 O-링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의 구조중에서 코어(20)를 4부분으로 구분되도록 형성하는 한편, 각 코어를 통하여 지그를 형성함에 따라 제품의 품질 향상은 물론 지그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 증대와 작업성의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은 물론 지그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 증대와 작업성의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전체 적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들어내어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지그 2: 몸체 3: 렌즈접촉면
5: 결합공 6: 걸림턱 10: 상고정판
11: 상원판 12: 스트리퍼판 13: 하원판
14: 받침판 20: 코어 21: 제1코어
21a: 결착구 22: 제2코어 23: 제3코어
23a: 결착구 24: 제4코어 25: 무드볼트
30: 토출구 31: 기로(氣路)

Claims (2)

  1. 상고정판(10), 상원판(11), 스트리퍼판(12), 하원판(13), 받침판(14), 코아(20)등으로 밀폐되는 공간상에 단량체를 주입하여 렌즈접촉면(3)을 구비하는 지그(1)를 성형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원판(11)에 장착되어 하부에 결착구(21a)를 구비하고 지그(1)의 몸체(2)를 결정하는 제1코어(21);
    상기 제1코어(21)에 삽설되어 지그(1)의 렌즈접촉면(3)을 결정하는 제2코어(22);
    상기 상고정판(10)에 장착되어 제2코어(22)의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드볼트(25);
    상기 스트리퍼판(12)에 장착되어 제1코어(21)의 결착구(21a)에 대응하는 결착구(23a)를 구비하고 지그(1)의 바닥면을 결정하는 제3코어(23); 및
    상기 하원판(13)에 장착되면서 제3코어(23)에 삽설되고 지그(1)의 내경인 결합공(5)과 걸림턱(6)을 결정하는 제4코어(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판(12)과 하원판(13)에는 지그(1)로 연결되는 기로(氣路)(31)와, 상기 기로(31)를 통하여 강제로 내부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
KR10-2003-0057591A 2003-08-20 2003-08-20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 KR10051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591A KR100513441B1 (ko) 2003-08-20 2003-08-20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591A KR100513441B1 (ko) 2003-08-20 2003-08-20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417A KR20040077417A (ko) 2004-09-04
KR100513441B1 true KR100513441B1 (ko) 2005-09-07

Family

ID=3736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591A KR100513441B1 (ko) 2003-08-20 2003-08-20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424B1 (ko) * 2011-03-18 2014-01-22 이세현 전원 연결용 인넷 소켓 플러그 핀 성형어셈블리와 다이캐스팅에 의한 전원 연결용 인넷 소켓 플러그 핀 제조방법
KR101394310B1 (ko) * 2013-03-05 2014-05-13 주식회사 백산사 미용콘택트렌즈 상부몰드 고정 장치
KR101357533B1 (ko) * 2013-03-05 2014-01-29 주식회사 백산사 콘택트렌즈 하부몰드 위치조정 지그
KR101866714B1 (ko) * 2018-03-16 2018-06-11 김주환 렌즈 어레이 금형 가공용 지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417A (ko) 200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1205A (en) Lens mold assembly
US6732993B2 (en) Mold for making contact lenses
EP0662877A1 (en) Method of making plastic molds and process for cast molding contact lenses
CN102202875A (zh) 经机加工的镜片模具以及其制作及使用方法
KR910018158A (ko) 콘택트 렌즈 제조 방법
WO2007068892A1 (en) Contact lens production
US6158861A (en) Prism ballast type contact lens,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mold assembly used in producing the lens
CN100447585C (zh) 一种新型透镜及加工模具
TWI404990B (zh) 複曲面隱形眼鏡製造之軸控制
CN101341434B (zh) 复曲面隐形镜片
CN103246084A (zh) 一种固定通道长度的渐进多焦点镜片
KR100513441B1 (ko) 콘택트렌즈 제작용 지그를 성형하는 금형
CN105137611B (zh) 一种超环面散光眼镜片及其制备方法
CN109891302A (zh) 直接表面加工优化的镜片毛坯
CA2344329A1 (en) Manufacturing of positive power opthalmic lens
WO200005568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pectacle lenses
US3405995A (en) Preformed blank for multifocal lens
CN101513757A (zh) 一种镜片一模多配的生产工艺及方法
KR20020060445A (ko) 성형몰드 및 그 성형몰드에 의하여 성형된 누진다초점렌즈제조용 유리몰드
US6451227B1 (en) Method for making eye glass lenses and preforms for use therein
WO1997015437A1 (fr) Moule pour mouler une lentille en resine et lentille en resine obtenue au moyen de ce moule
CN112041729A (zh) 用于模制刚性目镜的设备和方法
KR200214037Y1 (ko) 콘택트렌즈의 자외선 경화 중합용 주형
JPH02153709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型
CN2415982Y (zh) 一种车灯配光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