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161B1 -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결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결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161B1
KR100513161B1 KR10-2003-0097204A KR20030097204A KR100513161B1 KR 100513161 B1 KR100513161 B1 KR 100513161B1 KR 20030097204 A KR20030097204 A KR 20030097204A KR 100513161 B1 KR100513161 B1 KR 100513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un
unit
nouns
compound
sema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019A (ko
Inventor
양성일
김영길
박상규
나동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1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6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국어를 원문으로 하는 기계 번역에 있어 대역어를 선정하기 위한 명사의 의미 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합명사를 구성하는 단위명사의 중의성을 해결하여 해당의미에 따른 대역어를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로부터 입력된 형태소 분석결과에서 관형격 조사나 관형사를 제거하여 복합명사를 추출하는 복합명사 처리부와, 상기 복합명사 처리부에 의해 정제된 복합명사에서 접사를 처리하여 단위명사들을 추출및 서술성 명사를 구분하는 복합명사 정규화부와, 상기 복합명사 정규화부로부터 입력된 단위명사들 중에서 서술성 명사인 경우, 동사로 취급하고, 동사로 등록된 동사구 패턴을 의미제약 조건사전에서 찾아 단위명사의 의미를 결정하는 의미 격정보 분석부와, 상기 서술성 명사의 용언적 사용을 뒤에 나오는 단위명사를 수식하기 위한 관형절의 관계로 사용하여 서술성 명사의 격성분을 뒤에 나오는 단위명사에 대해 필수격으로 취급하여 격정보를 채우도록 의미정보를 결정하는 관형절격 정보 분석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결정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of Word Sense Disambiguation for Korean Complex Noun Phrase for Target Word Generation}
본 발명은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사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국어를 원문으로 하는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명사로 이루어진 복합명사의 대역어를 선정하고자 하는 경우, 복합명사 전체를 대역어 사전에 등록하지 않아도 단위명사의 중의적 의미를 해소하여 해당 의미에 따른 대역어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계 번역장치에서의 복합명사 대역어 선정은 해당 복합명사를 대역어 사전에 등록하여 입력 문장에서 해당 복합명사에 대해 미리 지정한 대역어를 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일반명사나 복합명사의 대역어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단어를 키워드로 하는 대역어 사전의 엔트리가 있어야 하며, 없는 경우 사람의 이름과 같은 고유명사로 간주하여 대역어를 산정 하게된다.
그러나, 사실상 복합명사의 조합수는 무한하므로 상기 복합명사의 대역어는 사전에만 의존할 수 없으며, 복합명사를 구성하는 단위명사의 대역어를 조합하여 대역어를 산정 하게된다.
이때, 단위명사가 의미적 중의성을 갖는 경우 대역어를 선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지금까지 지역성(Locality)에 근거하여 인접한 명사들과의 공기정보를 이용한 중의성 해결방식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인접명사와의 공기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대량의 의미표지 말뭉치가 필요하여 의미정보의 대량구축이 필요하고, 중의성 해결을 위한 의미 공기정보 구축의 규모를 가늠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기계번역 장치에서 복합명사라 함은 '한국+통신+심의+위원'과 같은 형태로 단위가 되는 명사들의 모음으로 전체가 하나의 명사의 역할을 해내는 독립품사를 복합명사라 한다.
한국어를 원문으로 하는 기계번역 장치에서 서술성 명사라 함은 '하다', '되다', '시키다'와 함께 붙어 용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명사를 서술성 명사라 한다.
한국어를 원문으로 하는 기계번역 장치라 함은 한국어를 자동번역 하기 위한 입력 문장으로 하여 대상 언어의 대역어를 생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명사의 중의성이라 함은 '밤'이라는 명사와 같이 의미적 해석이 여러 가지로 가능한 명사를 뜻한다.
기계번역 장치에서 동사구 패턴이라 함은 하나의 동사와 함께 공기할 수 있는 명사의 의미를 격 성분에 따라 구분하여 표기하고, 모든 격 정보를 채우는 명사와 동사로 이루어진 단문 단위의 대역어를 기술한 패턴을 동사구 패턴이라 말한다.
복합명사의 대역어 선정이라 함은 '한국 자동차 산업'과 같은 복합명사에 대해 복합명사의 뜻을 나타낼 수 있는 대역어를 생성하는 것으로, 복합명사의 의미 분석에 의한 대역어 선정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미구분을 위한 최소단위를 문장으로 가정하고, 모든 명사의 의미 중의성은 하나의 동사를 취하는 단문을 기준으로 동사와의 공기관계에서 해소 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복합명사구 내에서 등장하는 서술성 명사를 동사로 취급하고, 단문단위 대역어 산정을 위해 구축된 동사구 패턴을 재활용하여, 서술성 명사의 격 성분을 채우는 단위명사의 의미 중의성을 해소하고 해소된 의미에 따라 대역어 사전에 등록된 대역어를 선정하기 위한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결정장치 및 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분석장치는,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로부터 입력된 형태소 분석결과에서 관형격 조사나 관형사를 제거하여 복합명사를 추출하는 복합명사 처리부와, 상기 복합명사 처리부에 의해 정제된 복합명사에서 접사를 처리하여 단위명사들을 추출 및 서술성 명사를 구분하는 복합명사 정규화부와, 상기 복합명사 정규화부로부터 입력된 단위명사들 중에서 서술성 명사인 경우, 동사로 취급하고, 동사로 등록된 동사구 패턴을 의미제약 조건사전에서 찾아 단위명사의 의미를 결정하는 의미 격정보 분석부 및 상기 서술성 명사의 용언적 사용을 뒤에 나오는 단위명사를 수식하기 위한 관형절의 관계로 사용하여 서술성 명사의 격성분을 뒤에 나오는 단위명사에 대해 필수격으로 취급하여 격정보를 채우도록 의미정보를 결정하는 관형절격 정보 분석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결정방법은, 형태소 분석결과를 입력으로 받아 관형격 조사나 관형사를 제거하여, 복합명사구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합명사에서 접사를 처리하여 단위명사들을 추출 및 서술성 명사를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명사들 중에서 서술성 명사인 경우, 동사로 취급하고, 상기 서술성 명사 앞에 공기하는 단위명사의 의미격 정보를 제약조건으로 격 정보를 결정하여 단어의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술성 명사 뒤에 공기하는 단위명사의 의미정보를 의미 격정보의 필수격으로 결정하여 단어의미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복합 명사 의미 분석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계번역 장치에서 복합명사 의미 결정장치는, 자연어 형태로 입력되는 한국어 문장은 텍스트 스트링의 형태로 입력되어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형태소 분석결과가 얻어지고, 이것을 처리장치의 입력으로 삼는다.
먼저, 복합명사 처리부(10)에서는 형태소 분석결과를 입력으로 받아 '의'와 같은 관형격 조사나 '그', '이'와 같은 관형사를 제거한 순수 복합명사를 얻어낸다.
복합명사 정규화부(20)는 상기 복합명사 처리부(10)에 의해 정제된 복합명사를 입력으로 받아 '컴퓨터용'에서 등장하는 '용'이나, '한국관'에서 등장하는 '관' 등과 같은 접사를 처리하여 순수한 단위명사들을 얻어낸다.
의미 격정보 분석부(30)는 상기 복합명사 정규화부(20)로부터 입력된 단위명사들 중에서 서술성 명사인 경우 '하다', '되다', '시키다'등과 붙여 동사로 취급하고, 이러한 동사로 등록된 동사구 패턴을 의미제약 조건사전(200)에서 찾아 단위명사의 의미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후보자가 되는 단위명사의 의미는 의미정보를 함께 등록하여 구축된 의미부착형 형태소 사전(100)에서 얻는다.
이때, 얻어지는 의미후보는 동사구 패턴과의 의미격 정보를 비교하면서 대상 의미를 결정하게 된다.
관형절격 정보 분석부(40)는 서술성 명사 뒤에 등장하는 단위 명사의 의미를 결정하기 위하여 동사구 패턴을 적용할 때, 마치 앞에 나온 서술성 명사의 용언적 사용을 뒤에 나오는 단위명사를 수식하기 위한 관형절의 관계로 사용하여 서술성 명사의 격성분을 뒤에 나오는 단위 명사에 대해 주격이나 목적격과 같은 필수격으로 취급하여 우선 격정보를 채우도록 의미 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복합명사 처리부(10)와 상기 복합명사 정규화부(20), 의미 격정보 분석부(30), 관형절격 정보 분석부(40)를 '백화점 시식용 밤'라는 입력에 맞도록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백화점 시식용 밤'라는 복합명사에 대한 의미분석의 일예시도이다.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의 결과는 도 1에서 제시된 복합명사 처리부(10)의 입력이 되며 이러한 결과에는 각 단위 명사의 의미 표지와 대역어를 갖게 된다.
상기한, 표 1은 이러한 의미표지를 갖도록 구축된 의미부착 형태소 사전(200)에서 '밤'이라는 단위 명사가 등록된 예시를 보여주는 것이다.
각 의미 표지는 이에 해당되는 대역어를 갖게 된다.
상기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세부적 설명을 위하여 형태소 분석기의 결과를 약식으로 표기하여 분석결과에서 얻어지는 의미표지는 생략하고 표기하여 처리되는 예를 설명한다.
우선, 입력문 '백화점 시식용 밤'는 도 1에서 설명한 복합명사 처리부(10)에 의해 단위명사인 '백화점', '시식용', '밤'로 추출이 되며, 이때 추출된 '밤'은 중의적 표현으로 도 2에서 의미 중의성 해결 대상명사(107)가 된다.
이러한, 의미 중의성 해결 대상명사(107)의 의미 중의성을 해결하기 위해 추출된 결과는 복합명사 정규화부(20)에 의해 접사처리가 되어 '시식용'이란 단어가 '시식'과 '용'으로 분리가 되며, 이에 따라 '시식하다'로 쓰일 수 있는 서술성 명사(108)를 얻어내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서술성 명사(108)는 '하다'와 함께 연결되어 '시식하다'를 표제어로 하는 동사구 패턴에서 의미제약 조건(110)을 얻어내어 공기하는 의미 격정보를 제약 조건(110)으로 비교하게 된다.
상기 의미제약 조건(110)은 '가'로 대표되는 주격 조사와 '를'로 대표되는 목적격 조사, '으로, 에게'등으로 나타나는 부사격 조사를 격 성분을 채우는 명사의 의미와 함께 표기하여 의미제약 조건(110)을 기술한다.
따라서, 도 2에 의해 함께 공기하고 있는 '백화점'은 서술성 명사(108)의 부사격 제약을 채우는 단위명사(109)가 되고, '밤'는 서술성 명사(108)의 목적격을 채우는 단위명사가 되어 의미제약 조건에 의해 의미 중의성 해결 대상명사(107) '밤'는 의미 표지가 '식품'임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결정방법의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복합명사 의미 결정방법은 복합명사 처리부(10)로부터 형태소 분석결과를 입력받아 관형격 조사나 관형사를 제거하여 순수 복합명사를 추출한다.
이렇게 정제된 복합명사는 복합명사 정규화부(20)에 의해 접사가 처리(S101)되어 순수한 단위명사 추출 및 서술성 명사가 구분된다(S102).
이어, 상기 의미 격정보 분석부(30)에서 상기 추출된 단위명사가 서술성 명사인 경우, 동사로 취급하고, 이러한 동사로 등록된 동사구 패턴을 의미 제약조건 사전(200)에서 찾아 단위 명사의 의미를 결정하게 된다(S103).
또한, 상기 서술성 명사 앞에 공기하는 단위명사의 의미격 정보를 제약조건으로 격 정보를 결정하여 단어의미를 결정하고, 상기 서술성 명사 뒤에 공기하는 단위명사의 의미정보를 의미 격정보의 필수격으로 결정하여 단어의미를 결정한다(S104).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사와의 의미 격정보를 사용하는 대역어 패턴인 동사구 패턴을 재활용하여 복합명사 내부에서 공기하는 단위명사의 의미 중의성을 해소하고, 이에 따른 대역어를 선정하여, 중의적인 의미를 갖는 단위명사에 효과적으로 대역어를 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결정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결정방법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결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복합명사 처리부 20 : 복합명사 정규화부
30 : 의미 격정보 분석부 40 : 관형절격 정보 분석부
100 : 의미부착 형태소 사전 200 : 의미제약 조건사전

Claims (3)

  1.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로부터 입력된 형태소 분석결과에서 관형격 조사나 관형사를 제거하여 복합명사를 추출하는 복합명사 처리부;
    상기 복합명사 처리부에 의해 정제된 복합명사에서 접사를 처리하여 단위명사들을 추출 및 서술성 명사를 구분하는 복합명사 정규화부;
    상기 복합명사 정규화부로부터 입력된 단위명사들 중에서 서술성 명사인 경우, 동사로 취급하고, 동사로 등록된 동사구 패턴을 의미제약 조건사전에서 찾아 단위명사의 의미를 결정하는 의미 격정보 분석부;
    상기 서술성 명사의 용언적 사용을 뒤에 나오는 단위명사를 수식하기 위한 관형절의 관계로 사용하여 서술성 명사의 격성분을 뒤에 나오는 단위명사에 대해 주격이나 목적격과 같은 필수격으로 취급하여 격정보를 채우도록 의미정보를 결정하는 관형절격 정보 분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 격정보 분석부는
    의미정보가 등록되어 구축된 형태소 사전에서 상기 단위명사의 의미후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의미후보와 동사구 패턴의 의미격 정보를 비교하여 단위명사의 의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결정장치.
  3. 형태소 분석결과를 입력으로 받아 관형격 조사나 관형사를 제거하여, 복합명사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합명사에서 접사를 처리하여 단위명사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위명사들 중에서 서술성 명사인 경우, 동사로 취급하고, 상기 서술성 명사 앞에 공기하는 단위명사의 의미격 정보를 제약조건으로 격 정보를 결정하여 단어의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술성 명사 뒤에 공기하는 단위명사의 의미정보를 의미 격정보의 필수격으로 결정하여 단어의미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 결정방법.
KR10-2003-0097204A 2003-12-26 2003-12-26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결정장치 및 방법 KR100513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204A KR100513161B1 (ko) 2003-12-26 2003-12-26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결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204A KR100513161B1 (ko) 2003-12-26 2003-12-26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결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019A KR20050066019A (ko) 2005-06-30
KR100513161B1 true KR100513161B1 (ko) 2005-09-08

Family

ID=3725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204A KR100513161B1 (ko) 2003-12-26 2003-12-26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결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1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64B1 (ko) * 2005-12-09 2007-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존 대역 전자사전의 어휘 대역어 공기 정보 및 확률정보를 이용한 복합명사 대역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092354B1 (ko) * 2008-12-22 2011-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합 명사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6710B2 (en) 2007-02-27 2010-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mp holding unit
KR100975044B1 (ko) * 2007-11-09 2010-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합 명사의 동일 의미 문장 생성을 위한 문장 성분 복원 장치 및 방법
KR102395926B1 (ko) * 2017-09-29 2022-05-10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복합명사 분석장치 및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34012A (ko) 2018-09-10 2020-03-31 이영호 빅데이터 기반 특허 문서 번역 및 검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64B1 (ko) * 2005-12-09 2007-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존 대역 전자사전의 어휘 대역어 공기 정보 및 확률정보를 이용한 복합명사 대역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092354B1 (ko) * 2008-12-22 2011-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합 명사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019A (ko)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 Champollion: A Robust Parallel Text Sentence Aligner.
US57941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rphological analysis and generation of natural language text
JP2583386B2 (ja) キーワード自動抽出装置
US20070233460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Use in a Translation System
WO1997004405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earch and retrieval processing
KR20030056655A (ko) 번역 지원 시스템에서의 유사 문장 검색 방법
GB24155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on based on a repository of existing translations
Álvarez et al. Towards customized automatic segmentation of subtitles
KR20040101678A (ko) 복합 형태소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0513161B1 (ko) 기계번역 대역어 선정을 위한 한국어 복합명사 의미결정장치 및 방법
KR20100025885A (ko) 다단계 용언구 패턴을 적용한 번역장치와 이를 위한적용방법 및 추출방법
KR101092354B1 (ko) 복합 명사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ariyawasam et al. A rule based stemmer for Sinhala language
Hatem et al. Morphological analysis for rule based machine translation
KR20200073524A (ko) 특허 문서의 키프레이즈 추출 장치 및 방법
JP2536633B2 (ja) 複合語抽出装置
KR100831037B1 (ko) 병렬 말뭉치를 이용한 신조어의 대역어 자동 선정 방법 및장치
Bessou et al. An accuracy-enhanced stemming algorithm for Arabic information retrieval
KR100286649B1 (ko) 연어패턴에 기초한 어휘 변환방법
Bessou et al. An accuracy-enhanced stemming algorithm for Arabic information retrieval
Fan et al. Automatic extraction of bilingual terms from a chinese-japanese parallel corpus
Rahman et al. An implementation of Apertium based Assamese morphological analyzer
JP3136973B2 (ja) 言語解析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0250913A (ja) 実例型自然言語翻訳方法、対訳用例集作成方法および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08117A (ko) 사용자 어휘력 수준에 맞춘 문장 내 단어 자동 표시 방법,시스템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