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984B1 -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984B1
KR100512984B1 KR10-2002-0072841A KR20020072841A KR100512984B1 KR 100512984 B1 KR100512984 B1 KR 100512984B1 KR 20020072841 A KR20020072841 A KR 20020072841A KR 100512984 B1 KR100512984 B1 KR 100512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slave
master
network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555A (ko
Inventor
이명종
쩐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409,164 priority Critical patent/US8351339B2/en
Priority to EP20030008012 priority patent/EP1357712A1/en
Priority to CNB031232477A priority patent/CN100428711C/zh
Priority to JP2003121433A priority patent/JP3840197B2/ja
Publication of KR2003008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6Route discovery pac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6Cluster bui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8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for reactiv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이 개시된다. 이 통신방법은 복수개의 피코넷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피코넷에서만 슬레이브인 슬레이브 노드, 하나의 피코넷에서만 마스터인 마스터 노드, 2개의 피코넷에서 모두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슬레이브-슬레이브 조인트 노드 및 다른 피코넷에서 마스터로 동작하는 동안 하나의 피코넷에서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마스터-슬레이브 조인트 노드를 포함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피코넷이 슬레이브-슬레이브 조인트 노드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조인트 노드가 라우팅 트리거를 수신하면, 조인트 노드는 형성된 네트워크에 속하는 피코넷들을 브리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포메이션과 라우팅을 서로 중첩시키지 않고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조인트 노드가 피코넷을 브리지하므로, 피코넷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Communication method in Bluetooth Group Ad hoc network}
본 발명은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인트 노드가 피코넷을 브리지하므로, 피코넷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종래의 네트워크 포메이션 알고리듬에 대하여 알아 본다.
살로니디(Salonidis)등은 스케터넷 포메이션을 위한 블루투스 토폴로지 컨스트럭션 프로토콜 (Bluetooth Topology Construction Protocol: BTCP)을 개시한 바 있다. BTCP는 세가지 단계를 구비한다. 우선, 대칭 링크 포메이션을 위한 상태 변경 테크닉을 이용하여 모든 노드에 대해 정보를 가지고 있는 조정자(코디네이터)가 선택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 선택된 조정자는 각 노드의 역할을 결정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 실질적 연결 구성이 수행된다. BTCP에서는 모든 노드들이 서로의 무선 범위 안에 위치한다는 전제를 둔다.
이러한 전제하에, 그리고 확인된 모든 노드에 기초하여, 아가왈(Aggarwal)등은 네트워크를 개별적인 피코넷 클러스터로 무리 지었다. 모든 노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소위 "슈퍼 마스터(super-master)"가 선택되면, 피코넷의 재구성 과정 및 피코넷간의 연결이 이 슈퍼 리더의 감시에 의해, 또는 조정에 의해 수행된다.
로우(Law) 등은 O(log n)배의 복합도 및 O(n)의 메시지 복합도를 가지는 일단계 스캐터넷 포메이션 알고리듬을 개시했다. 이에 따르면 모든 노드들이 단지 한 리더를 가지도록 분리된다. 그 구성요소는 일단의 서로 연결된 노드들이다. 리더는 '시크/스캔' (seek and scan) 단계로 진입하여 연결, '머지'(merge), '미티게이트'(mitigate) 또는 장치 이동등의 과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로우등이 개시한 바에 따르면 모든 노드들이 서로의 통신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블루트리 알고리즘(Blue-tree algorithm)에서는 한 노드가 자신이 루트 노드(root node)인지의 여부와 자신의 원-홉 (one hop) 주변기기를 알고 있어야 한다.
탠(Tan)등은 각각 루트 및 루프 프리 경로(loop free path)를 하나씩 구비함으로써 패킷의 라우팅 및 일정조정을 단순화했다. 그러나, 이러한 트리형 구조(tree style structure)에서는, 조인트 노드가 한 피코넷에서는 마스터이고 다른 피코넷에서는 슬레이브이기 때문에 두 개의 피코넷이 서로에게 밀접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위에 설명한 모든 알고리듬들이 실제 트래픽 상황(traffic condition)과 트레픽 리퀘스트(traffic request)는 고려하지 않은채, 데이터 링크층에서의 단독적인 동작에만 스캐터넷 포메이션의 촛점을 맞추었다. 대부분의 링크가 거의 트래픽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스캐터넷 포메이션시, 혹은 그 후에 구성된 점대점 링크가 물리적 링크 차원의 스캐터넷 전체의 접속여부를 확실시 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액티브"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불필요한 링크 유지로 인해 무선 통신 기기에게 있어 중요한 존재인 전력이 낭비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자각한 라만 (Raman)등은 '온-디맨드형(on-demand)' 라우팅 작동을 구비한 스캐터넷 링크 포메이션의 층간 최적화 논리를 들고 나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확실한 분석과 그 실시여부에 대한 자세사항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바그왓(Bhagwat)과 시걸(Segall)은 형성된 스캐터넷에서 패킷의 트래픽을 라우팅할 수 있는 라우팅 벡터 방법을 제안했다. Y.류 (Liu Y.)는 새로이 정의된 LMP 명령어를 사용한 네트워크 포메이션을 사용했다. 그러나 모의 테스트에서 발견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내의 많은 인콰이어리로 인해 트래픽의 대기시간이 심각히 늘어났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포메이션과 라우팅을 서로 중첩시키지 않고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모든 종류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수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파워를 절약할 수 있고, 피코넷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인접한 복수개의 무선통신장치들로 이루어진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피코넷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피코넷에서만 슬레이브인 슬레이브 노드, 하나의 피코넷에서만 마스터인 마스터 노드, 2개의 피코넷에서 모두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슬레이브-슬레이브 조인트 노드 및 다른 피코넷에서 마스터로 동작하는 동안 하나의 피코넷에서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마스터-슬레이브 조인트 노드를 포함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피코넷이 슬레이브-슬레이브 조인트 노드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및 상기 조인트 노드가 라우팅 트리거를 수신하면, 상기 조인트 노드는 상기 형성된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피코넷들을 브리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노드는 새로운 마스터에 의해 발견되도록 인콰이어리 스캔을 규칙적으로 행하고, 라우팅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인접한 네트워크를 찾기 위해 인콰이어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노드는 새로운 마스터에 의해 발견되어 새로운 링크가 추가되면 조인트 노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스터 노드는 통신가능 범위에 위치하는 프리노드를 발견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인콰이어리를 행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가 다른 마스터 노드와 서로 무선범위에 있을 때 다른 마스터 노드에 의해 발견되도록 규칙적으로 인콰이어리 스캔을 행하고, 다른 마스터 노드에 의해 발견되면 슬레이브 노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우팅 트리거는 라우팅 프로토콜 또는 관리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로서, Route REQuest(RREQ), Route REPly(RREP) 또는 Route ERRor(RERR)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동일한 피코넷 또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 노드의 데이터 구조가 테이블로 기록되어 있고, 상기 테이블에 의거하여 라우팅이 행해진다.
상기 테이블은 새로운 노드 또는 새로운 네트워크가 발견될 때 갱신되고, 링크가 상실되면, 해당 노드를 상기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에는 적어도 마스터 노드 BD-ADDR, 슬레이브 노드 BD-ADDR, 연결 수명, 피코넷 또는 네트워크 수명 및 슬레이브/슬레이브 조인트 노드의 BD-ADDR이 기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도 1에서, 네트워크 포메이션(26)이 L2CAP(28) 및 BNEP(25)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네트워크 포메이션(26)의 주목적은 블루투스의 데이터 링크층 및 물리층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빠르고 더 나은 품질로 블루투스 피코넷 및 스캐터넷을 구현하는데에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라우팅 프로토콜은 IP층(24)내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이것은 라우팅 프로토콜 등의 상위층에서 블루투스를 실행하는 것을 숨기고 있다.
일반적으로 라우팅 프로토콜은 기존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에서 최선의 라우트를 찾아내기 위한 것이다.
각기 동작은 다르나, 라우팅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포메이션은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Bluetooth Group Ad hoc network)를 기반으로 긴밀하게 공조하고 있다.
여기서, "L3 트리거(L3 trigger)"를 네트워크 포메이션이 라우팅 프로토콜 및 기타 상위층의 프로파일들과 통신하도록 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라고 정의한다. L3 트리거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화살표는 프로파일, 라우팅 프로토콜 및 관리부를 네트워크 포메이션과 연결하기 위한 신호관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포메이션은 메시지나 명령어를 상위층의 프로토콜 또는 프로파일과 교환할 수 있다.
네트워크 포메이션은 정의된 프로파일 또는 라우팅 프로토콜의 제어에 따라 더 나은 품질의 네트워크 더 나아가 멀티호핑 네트워크-형성을 위한 유틸리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직경이 작고, 패킷간 충돌이 적고, 주변 피코넷과의 중복이 적으며, 피코넷간 일정이 많은 네트워크일수록 피코넷의 수도 적어지기 마련이다. 반면, 네트워크 유지비는 되도록 저렴하게 해야 한다.
도 2는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 블루투스 노드의 프로토콜 스택을 간결히 보여준 도면이다. 네트워크 응용층이 두 노드간의 통신을 초기화한다. 라우팅 프로토콜이 목적지로의 라우트를 알고 있는 경우라면, 데이터 패킷은 직접 목적지로 전송된다. 라우팅 프로토콜이 목적지로의 라우트를 모르고 있는 경우라면, 라우팅 프로토콜은 아래에 위치한 네트워크 포메이션층에 목적지로의 경로가 유효한지 의뢰한다. 네트워크 포메이션 프로토콜에서 발송지와 목적지간의 경로가 유효하면, 유효한 경로 모두가 라우팅 프로토콜로 보고된다.
네트워크 포메이션 프로토콜은 라우팅 프로토콜에 비해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대해 더 알고 있어야 한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그들중 라우트를 하나 선택한다. 만약 네트워크 포메이션 프로토콜에 목적지로의 경로가 없다면, 라우팅 프로토콜은 HCI(Host Controller Interface)를 통하여 "인콰이어리/페이지(Inquiry and page)"과정의 개시를 요청하여 근접한 노드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그러면,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또는 목적지 요구는 2개의 근접노드의 네트워크 포메이션 프로토콜사이에서 교환된다. 이 과정은 목적지가 발견되거나 다른 조건이 이것을 정지시킬 때까지 반복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라우팅 프로토콜은 근접지에 존재하는 노드를 통한 목적지로의 경로를 설정한다.
다음은 블루스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하여 정의한다.
●슬레이브 노드: 하나의 피코넷에서만 슬레이브 멤버인 노드
●마스터 노드: 하나의 피코넷에서만 마스터인 노드
●조인트 노드: 적어도 2개 이상의 피코넷에서 멤버인 노드. 노드가 가입할 수 있는 최대 피코넷의 수는 M이다. 노드가 M+1번째 피코넷에 가입한 후, M개의 피코넷중 하나의 링크는 다운되어야 한다. 스캐터넷에서 2종류의 조인트 노드, 즉 S-S 조인트 노드와 M-S 조인트 노드가 있다.
●S-S조인트 노드: 양 피코넷에서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조인트 노드
●M-S조인트 노드: 다른 피코넷에서 마스터로 동작하는 동안 하나의 피코넷에서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조인트 노드
●인콰이어리 상태: 주변에 존재하는 노드를 찾기 위해 자신의 어드레스(Address) 정보와 클록(clock)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주파수를 사용하여 질의(Inquiry)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태. 인콰이어리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가 인콰이어리 메시지에 응답하면, 2개의 노드간에 링크를 형성하도록 페이지 진행이 행해진다.
●휴지(dormant) 상태: 커넥션 상태 및 대기 상태에서 홀드모드, 스니프모드 및 파크모드를 포함하는 배터리 파워를 절약하기 위한 블루투스 노드의 저전력 상태
●블루스타 아일랜드: 조인트노드가 S-S 조인트 노드인 피코넷 또는 스캐터넷. 블루스타에서 스타는 스타형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를 나타낸다. 피코넷에서 마스터는 중앙(center)이다. S-S 조인트 노드를 갖는 스캐터넷에서는 2개의 중앙이 있다.
블루스타 아일랜드 네트워크 포메이션(Blue-star islands network formation)은 2단계 프로토콜이다. 블루스타 아일랜드 네트워크 포메이션의 제 1단계는 프리노드(Free Node)에서 자동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프리노드는 어떤 노드에도 접속되지 않은 노드를 일컫는다. 즉, 처음으로 단말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다.
블루스타 아일랜드는 조인트 노드 (Joint Node)가 양 피코넷에서 슬레이브가 되는 피코넷이거나 스캐터넷이 된다.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노드의 디폴트 상태는 프리 노드이다. 그런 다음, 노드는 인콰이어리 (Inquiry) 단계, 인콰이어리 스캔 (Inquiry scan) 등으로 그 상태를 전환한다. 이 과정에서 다른 노드의 존재를 파악하지 못하였다면, 노드는 배터리 파워를 절약하기 위해 휴지 단계로 상태를 전환한다. 노드들은 각기 독립적이며 서로에 대해 무지한 상태이다. 각 노드는 슬레이브 자격으로 접속하여 슬레이브 노드(Slave Node)가 될 수도 있고, 마스터 자격으로 접속하여 마스터 노드(Master Node)가 될 수도 있다. 슬레이브 노드가 정기적으로 인콰이어리 스캔단계로 들어가 다른 피코넷에게 발견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블루스타 아일랜드가 형성될 수 있다. 마스터 노드는 인콰이어리 단계로 들어가 좀 더 많은 슬레이브를 발견한다. 또한 마스터 노드는 인콰이어리 스캔 단계로 들어가 다른 마스터에게 발견되도록 함으로써, 자신을 다른 마스터에 대한 슬레이브로 연결할 수 있어 전체 피코넷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모든 블루투스 노드들은 자가 구성(self-organized) 되었으므로, 개별적인 멀티 블루스타 아일랜드의 형성도 가능하다. 도 3은 두개의 이웃한 블루스타 아일랜드가 서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는 한 예를 보여준다.
블루스타 아일랜드 네트워크 포메이션의 제 2단계는 "L3 트리거"에 의해 시작된 블루스타 아일랜드를 브리징(bridge)하는 것이다. 여기서 "L3 트리거"는 라우팅 프로토콜, 프로파일 혹은 관리부 등에서 전송된 짧은 통지이다. 예를 들면, "L3 트리거"는 라우팅 알고리듬에서 "Route REQuest" 이던가 "HELLO"와 같은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에서 전송된 소정 명령어, 예를 들면,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 명령 등도 "L3 트리거"의 한 예라고 하겠다. "L3 트리거"의 트리거가 있은 후, 모든 에지 노드 (edge nodes), 슬레이브 노드 등이 인콰이어리 단계를 수행하여 무선 범위안에 다른 슬레이브 노드가 있는지 체크한다. 새로운 블루스타 아일랜드가 발견되면, 새로운 피코넷이 형성된다. 이 경우, 조인트 노드는 M-S 조인트 노드를 말한다.
IEEE 802.11b에서는, 동기화는 프레임별로 이루어지고 사전 링크 설정 과정이 없으므로 어떤 노드도 서로의 무선 범위 안에 위치한다면 통신을 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 말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항상 사용 가능하다는 얘기이다. 멀티-호핑의 경우를 들면, 네트워킹은 라우팅 알고리듬에 위해 실시된다. 네트워크 포메이션 체제나 802.11에서의 하부층(sub-layer) 프로토콜 스택이란 없다.
그러나, 블루투스 노드는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우선 피코넷에 등록해야만 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라우팅 프로토콜과 정의된 프로파일은 네트워크가 구성된 이후로는 주로 발신지(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네트워크 포메이션은 라우트뿐만 아니라 이 발신지와 목적지 사이에서의 데이터 링크층을 기준으로 "더 나은" 라우트를 제공하고 유지시키는데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두 노드간에는 다수개의 경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그 중 경로와 라우트를 선택하는 것이 바로 라우팅 알고리듬과 정의된 프로파일의 목적이다. 여기서 '경로'와 '라우트'로 용어를 분리해 사용함은 '경로'는 두 노드간의 모든 네트워크 연결을, '라우트'는 패킷 전송을 위해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선택된 한 경로를 가리키기 위함이다. 물론 라우팅 알고리듬과 정의된 프로파일들 역시 네트워크 구성을 도울 수도 있다. 이로 알려진 것이 '온-디맨드형(on-demand)' MANET 라우팅 알고리즘의 "라우트 디스커버리(Route Discovery)"이다. 또한, 멀티캐스팅과 QoS 보증 (QoS guarantee) 역시 라우팅 프로토콜상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모든 노드를 선택된 라우트를 통해 재구성함으로써 블루투스 물리층 및 데이터 링크의 차원에서 더 나은 패킷 전송을 하도록 하는 것은 네트워크 포메이션의 목적이다. 여기서 중점은 "더 나은 품질"을 가진 네트워크에 모아진다. 그러므로, 언제, 그리고 어떤 노드가 마스터가 되고, 슬레이브가 되어야 하는지, 또는 발송지와 목적지사이의 라우트상에 어떤 종류의 조인트 노드가 있는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도 4는 블루스타 네트워크 포메이션에서 노드 역할과 역할의 전환을 나타내고, 도 5는 각각의 노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프리노드(53)는 네트워크가 형성되기 전에 존재하는 노드로서, 다른 노드와 연결을 가지지 않는 노드로 정의된다.
프리노드(53)는 파워온(power-on)된 후의 디폴트 노드이다. 프리노드(53)는 다른 노드와 연결을 가지지 않고, 연결상태에 있지 못한다. 프리노드(53)는 인콰이어리 상태, 인콰이어리 스캔 상태, 또는 휴지 상태로 들어간다(단계 S502). 파워온되거나 휴지상태에서 깨어난 후, 프리노드는 [0, 1] 사이에서 난수(Rnode)를 발생한다.
Rnode < R0이면, 노드는 인콰이어리 상태에 들어간다.
Rnode > R0이면, 노드는 인콰이어리 스캔 상태에 들어간다.
인콰이어리와 인콰이어리 스캔후에 아무런 연결설정이 없으면, 노드는 휴지 모드로 들어간다.
상위층으로부터 트래픽이 오면, 프리노드(53)는 인콰이어리 과정을 개시한다. R0는 고정된 임계값이다. (R0의 값은 시뮬레이션을 통한 TBD(To Be Decided)이다). 프리노드가 인콰이어리 스캔을 수행하여 슬레이브 노드로 연결되는 것이 전체 피코넷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프리노드는 인콰이어리 상태보다 인콰이어리 스캔상태로 되기 위한 높은 확률을 가져야 한다. 프리노드(53)는 트래픽 패킷 발신지 및 패킷 목적지일 수 있다. 처음 노드역할 설정시까지 프리노드(53)는 그 역할을 유지한다.
역할이 설정될 때, 프리노드(53)는 링크가 형성된 상태에 따라서 마스터 노드 또는 슬레이브노드가 될 수 있다(단계 S504, S505). 그 후, 슬레이브 노드 또는 마스터 노드의 링크가 깨지면, 슬레이브 노드 또는 마스터 노드는 프리노드로 전환된다(단계 S509, S510).
슬레이브 노드는 하나의 피코넷에서만 슬레이브 멤버인 노드로 정의한다.
슬레이브 노드(54)는 트래픽 패킷 발신지 및 패킷 목적지일 수 있다. 슬레이브 노드(54)는 더 큰 블루스타 아일랜드를 형성하기 위해 새로운 마스터에 의해 발견되도록 인콰이어리 스캔 상태에 규칙적으로 들어가고, 트래픽이 없으면, 배터리 파워를 절약하기 위해 휴지 상태에 들어간다(단계 506).
상위층으로부터 "L3 트리거"를 수신하면, 슬레이브 노드(54)는 근접한 블루스타 아일랜드를 발견하기 위해 인콰이어리 상태에 들어간다(단계 S508). 슬레이브 노드(54)의 인콰이어리 스케쥴은 조심스럽게 정렬되어야 한다. 모든 슬레이브노드(54)가 인콰이어리를 동시에 행할 때, 심각한 IP 패킷 충돌이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인콰이어리 동작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즉 연결설정을 길게 하고, 대역폭의 낭비를 가져온다.
다른 피코넷과의 링크가 다운되거나 새로운 링크가 추가될 때까지 슬레이브 노드(54)는 그 역할을 유지한다. 링크가 다운되면, 슬레이브 노드(54)는 프리노드(53)가 되도록 전환되어 링크를 상실한다(단계 S510). 새로운 링크가 추가되면, 슬레이브 노드는 조인트 노드가 되도록 전환된다.
한편, 마스터 노드(51)는 패킷 발신지, 패킷 목적지 및 트래픽 패킷 릴레이 노드가 될 수 있다. 마스터 노드는 인콰이어리 상태와 인콰이어리 스캔 상태에 규칙적으로 들어간다(단계 S512).
마스터 노드(51)는 N개의 액티브 슬레이브(N<=7)가 발견될 때까지 그 범위에서 프리노드를 발견하도록 인콰이어리 상태에 규칙적으로 들어간다. 또한, 마스터노드(51)는 인콰이어리 스캔 상태에 규칙적으로 들어간다. 이것은 서로 무선영역에 있는 경우에 다른 마스터에 의해 발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1마스터노드가 제 2마스터 노드에 의해 발견되면, 제 1마스터 노드는 제 2마스터 노드의 피코넷에서 조인트 노드(M-S 조인트 노드)가 된다. 그러면, 제 1마스터 노드는 자신을 중심으로 형성된 피코넷 내의 하나의 슬레이브 노드와 마스터-슬레이브 역할 스위칭을 행하고, 제 1마스터 노드는 S-S 조인트 노드가 된다.
한편, 제 1마스터 노드에 속한 다른 슬레이브 노드는 새로운 피코넷과 조인을 시도하여 조인트노드가 된다(단계 S514).
마스터 노드는 각각의 연결의 수명을 기록하고 연결을 통하여 다니는 모든 패킷에 대하여 수명을 갱신한다. 연결수명이 경과한 후, 연결노드(슬레이브)는 슬레이브 자원이 되기 위해 휴지 상태에 들어가도록 명령된다.
모든 링크가 깨어지거나 다른 마스터에 의해 발견될 때까지 마스터 노드는 그 역할을 유지한다. 모든 링크가 깨어지는 경우에 마스터 노드는 프리노드로 전환되고, 다른 마스터에 의해 발견되는 경우 발견된 마스터 노드는 슬레이브와의 모든 링크를 깨뜨리고 새로운 피코넷에서 슬레이브 노드로 전환된다.
조인트 노드(52)는 패킷 발신지, 패킷 목적지 및 블루스타 아일랜드 사이에서 트래픽 패킷 릴레이 노드가 될 수 있다. 조인트 노드는 근접한 블루스타 아일랜드에 의해 규칙적으로 발견되도록 인콰이어리 스캔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상위층에서 "L3 트리거"를 수신하면, 조인트 노드는 인콰이어리 상태에 들어가서 근접한 블루스타 아일랜드를 발견한다.
그러나, M+1번째 피코넷에 조인한 뒤, 조인트 노드는 연결수명과 피코넷 수명에 의거하여 어느 이전의 액티브 연결을 깨뜨려야 한다. 조인트 노드가 라우트 병목(bottle neck)이 확실히 되지 않도록 한다. M값은 TBD이다. 배터리 파워를 절약하기 위해 트래픽이 없으면 조인트 노드는 휴지 상태에 들어간다(단계 S516).
조인트 노드(52)는 하나의 링크가 깨질 때까지 그 역할을 유지한다. S-S 조인트 노드 링크가 깨지면, 조인트 노드는 슬레이브 노드가 된다(단계 S518). M-S 조인트 노드링크가 깨지면, 조인트 노드는 어떠한 노드가 깨어졌는가에 따라서 마스터 노드 또는 슬레이브 노드가 된다.
L3 트리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L2 트리거"가 L2용 많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드래프트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L2 트리거를 대신하여 "L3 트리거"라는 이름이 부쳐졌다. IETF에서 "L2 트리거는L2로부터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가 또는 발생하려고 하는가의 통지의 축약이다(잠재적으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여)"라고 정의되어 있다. 트리거는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L3 트리거"는 L2CAP 상위의 층으로부터 통지를 나타내도록 사용한다.
라우팅 프로토콜로부터 "L3 트리거"는 온디맨드 프로토콜에서 "RREQ" 종류의 메시지일 수 있고, 테이블 드리븐 및 온디맨드 프로토콜에서 "HELLO" 종류의 메시지일 수 있다. "RREQ" 메시지는 IP 어드레스로 라벨된 노드를 발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HELLO" 메시지는 근접한 노드가 여전히 가능한지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노드로부터 "RREQ" 메시지를 수신하면, 슬레이브 노드는 발신지 노드와 목적지 노드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여 그 도달가능한 범위에 목적지가 있는지 체크한다. 이것은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행해진다.
만약, 목적지가 있으면,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RREP(Route REPly)메시지가 라우팅 알고리즘에 의해 발생된다. 노드는 발신지로의 백워드 경로를 따라서 RREP 메시지를 송신한다.
만약, 목적지가 없으면, 노드는 "L3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여 모든 도달가능한 슬레이브 노드에 알려서 알고리즘에 따라서 근접한 블루스타 아일랜드를 구하도록 인콰이어리를 행한다.
인콰이어리에 응답노드가 없으면, 노드는 인콰이어리를 중단한다.
인콰이어리에 응답하는 노드가 있으면, 그들사이에 BNEP(Bluetooth Network Encapsulation Protocol) 연결이 발생된 후 "RREQ" 메시지는 노드에 송신된다.
목적지가 발견되거나 최대 홉(hop) 수 id에 도달할 때까지 과정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RREQ" 메시지는 중간의 블루스타 아일랜드에 릴레이된다. 이와 반대로, "HELLO" 메시지는 근접 노드를 감지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어떠한 목적지 노드도 정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HELLO" 메시지는 릴레이없이 발신지 블루스타 아일랜드에서만 트리거를 개시할 수 있다.
"L3 트리거"는 매니지먼트 엔터티, 한정적인 프로파일 또는 서비스 디스커버리로부터 올 수 있다. 이 경우에, 네트워크 포메이션으로부터 라우팅 프로토콜로의 상향 인터페이스만이 있다. "서비스 디스커버리"와 관리 종류의 메시지는 "L3 트리거"일 수 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기록하기 위해, 모든 노드는 동일한 피코넷에서, 동일한 블루스타 아일랜드에서 도달가능함을 포함하는 노드 리스트를 유지해야 한다. 모든 노드는 M-S 조인트 노드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노드의 가능한 데이터 구조는 표 1로 리스트되어 있다. 새로운 노드 또는 블루스타 아일랜드가 발견될 때, 노드는 그 기록을 더하고, 모든 도달가능한 노드에 정보를 알린다. 링크가 상실되면, 노드는 하나 또는 일 군의 노드를 그 기록에서 삭제한다. 표 1은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베이스 밴드로의 경로를 매핑한 것이다. 동일한 것이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발생한다. 커넥션 수명 속성은 커넥션의 액티브시간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링크에서의 모든 패킷은 수명 속성을 새롭게 한다. 블루스타 아일랜드 수명은 2개의 마스터가 서로 무선범위에 있을 때 어느 것이 슬레이브가 되는지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일 피코넷에서의 노드 동일 블루스타 아일랜드에서의 노드 다른 블루스타 아일랜드에서의 노드
마스터 노드 BD-ADDR슬레이브 노드 BD-ADDR연결 수명피코넷 수명 마스터 노드 BD-ADDR슬레이브 노드 BD-ADDR연결 수명블루스타 아일랜드 수명S/S 조인트 노드의 BD-ADDR 마스터 노드 BD-ADDR슬레이브 노드 BD-ADDR연결 수명블루스타 아일랜드 수명S/S 조인트 노드의 BD-ADDRM/S 조인트 노드의 BD-ADDR
테이블 구동된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정보와 조합하도록 구동된다. 노드 기록 및 라우팅 테이블은 거의 동일하다. 온디맨드 라우팅 프로토콜의 경우에, 라우팅 테이블 및 노드기록은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포메이션과 라우팅을 서로 중첩시키지 않고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테이블 구동 및 온-디맨드 프로토콜과 같이 모든 종류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수용할 수 있다.
조인트 노드가 피코넷을 브리지하므로, 피코넷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슬레이브 노드는 오직 인콰이어리 스캔만 하므로 관리를 최소화하고 배터리파워를 최소화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하고,
도 2는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 블루투스 노드의 프로토콜 스택을 간결히 보여준 도면이고,
도 3은 두개의 이웃한 블루스타 아일랜드가 서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블루스타 네트워크 포메이션에서 노드 역할과 역할의 전환을 나타내는 신호호름도이고, 그리고
도 5는 각각의 노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0)

  1. 서로 인접한 복수개의 무선통신장치들로 이루어진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피코넷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피코넷에서만 슬레이브인 슬레이브 노드, 하나의 피코넷에서만 마스터인 마스터 노드, 2개의 피코넷에서 모두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슬레이브-슬레이브 조인트 노드 및 다른 피코넷에서 마스터로 동작하는 동안 하나의 피코넷에서 슬레이브로서 동작하는 마스터-슬레이브 조인트 노드를 포함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피코넷이 슬레이브-슬레이브 조인트 노드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및
    상기 조인트 노드가 라우팅 트리거를 수신하면, 상기 조인트 노드는 상기 형성된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피코넷들을 브리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레이브 노드는 새로운 마스터에 의해 발견되도록 인콰이어리 스캔을 규칙적으로 행하고,
    라우팅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인접한 네트워크를 찾기 위해 인콰이어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노드는 새로운 마스터에 의해 발견되어 새로운 링크가 추가되면 조인트 노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노드는 통신가능 범위에 위치하는 프리노드를 발견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인콰이어리를 행하고,
    상기 마스터 노드가 다른 마스터 노드와 서로 무선범위에 있을 때 다른 마스터 노드에 의해 발견되도록 규칙적으로 인콰이어리 스캔을 행하고,
    다른 마스터 노드에 의해 발견되면 슬레이브 노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트리거는 라우팅 프로토콜 또는 관리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로서, 적어도 Route REQuest(RREQ), Route REPly(RREP) 또는 Route ERRor(RERR)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동일한 피코넷 또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 노드의 데이터 구조가 테이블로 기록되어 있고, 상기 테이블에 의거하여 라우팅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새로운 노드 또는 새로운 네트워크가 발견될 때 갱신되고, 링크가 상실되면, 해당 노드를 상기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는 적어도 마스터 노드 BD-ADDR, 슬레이브 노드 BD-ADDR, 연결 수명, 피코넷 또는 네트워크 수명 및 슬레이브/슬레이브 조인트 노드의 BD-ADDR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9. 복수개의 무선통신장치들로 이루어진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데이터패킷의 발송지인 제1노드로부터 데이터패킷의 목적지인 제2노드로의 통신경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통신경로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1노드의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무선통신장치인 제3노드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노드는 상기 제3노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패킷을 상기 제2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노드로부터 상기 제2노드로의 통신경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3노드로부터 상기 제2노드로의 통신경로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3노드의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통신장치인 제4노드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노드는 상기 제3노드 및 상기 제4노드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패킷을 상기 제2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KR10-2002-0072841A 2002-04-25 2002-11-21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KR100512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09,164 US8351339B2 (en) 2002-04-25 2003-04-09 Method for bluetooth on-demand routing and network form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in bluetooth group ad hoc network
EP20030008012 EP1357712A1 (en) 2002-04-25 2003-04-10 Method for bluetooth network formation based on on-demand routing protocol
CNB031232477A CN100428711C (zh) 2002-04-25 2003-04-24 蓝牙按请求进行路由和网络形成的方法、及通信方法
JP2003121433A JP3840197B2 (ja) 2002-04-25 2003-04-25 ブルートゥースオンデマンドルーティング方法及びブルートゥースグループ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824 2002-04-25
KR20020022824 2002-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555A KR20030084555A (ko) 2003-11-01
KR100512984B1 true KR100512984B1 (ko) 2005-09-07

Family

ID=323804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673A KR100485774B1 (ko) 2002-04-25 2002-06-20 블루투스 온-디맨드 라우팅 및 네트워크 형성방법
KR10-2002-0072841A KR100512984B1 (ko) 2002-04-25 2002-11-21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673A KR100485774B1 (ko) 2002-04-25 2002-06-20 블루투스 온-디맨드 라우팅 및 네트워크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485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46A (ko) * 2002-05-09 2003-1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루투스 스캐터넷내의 두 피코넷간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0756039B1 (ko) * 2004-01-14 2007-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678932B1 (ko) 2004-04-02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본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정자 기반 무선망간의 통신방법및 장치
KR100678931B1 (ko) 2004-04-26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본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정자 기반 무선망간의 통신방법및 장치
KR100713145B1 (ko) * 2005-02-18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네트워크형성방법
US9998863B2 (en) 2013-08-19 2018-06-12 Estimote Polska Sp. Z O. O.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beacon systems
EP3036930B1 (en) 2013-08-19 2019-12-18 Estimote Polska Sp. Zo. o. Method for distributing notifications
US10136250B2 (en) * 2015-09-02 2018-11-20 Estimote Polska Sp. Z O. O. System and method for lower power data routing
US20170290069A1 (en) * 2016-04-01 2017-10-05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and systems for logical mesh network control
US10523685B1 (en) 2018-08-22 2019-12-31 Estimote Polska Sp z o.o.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device security
WO2020039251A2 (en) 2018-08-24 2020-02-27 Estimote Polska Sp z o.o. A method and system for asset management
CN111522361B (zh) * 2020-05-27 2021-07-27 北京理工大学 主-从模式的多无人机编队一致性控制方法
KR102630127B1 (ko) * 2021-01-08 2024-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애드혹 망 구성을 위한 동적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ble 통신모듈, 무인 이동체 및 그 방법
CN113015124A (zh) * 2021-03-05 2021-06-22 成都国星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北斗通信的环境监测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774B1 (ko) 2005-04-28
KR20030084555A (ko) 2003-11-01
KR20030084539A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0197B2 (ja) ブルートゥースオンデマンドルーティング方法及びブルートゥースグループ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方法
Van Hoesel et al. Prolonging the lifetime of wireless sensor networks by cross-layer interaction
Shah et al. Energy aware routing for low energy ad hoc sensor networks
JP6323856B2 (ja) 通信制御方法および移動端末
US9386504B2 (en) Energy-efficient network protocol and node device for sensor networks
US7496065B2 (en) Efficient piconet formation and maintenance in a Bluetooth wireless network
KR100512984B1 (ko) 블루투스 그룹 애드 호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방법
WO2017101575A1 (zh) 一种无线自组网的路由方法及装置
US20040018839A1 (en) Protocol and structure for mobile nodes in a self-organizing communication network
JP2008283675A (ja) 順方向および逆方向のマルチポイントリレー(mpr)スパニングツリー経路を用いる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経路制御プロトコル
Yujun et al. The research on an AODV-BRL to increase reliability and reduce routing overhead in MANET
CN106034322A (zh) 一种移动自组网中基于链路质量的路由切换方法
Basagni et al. Sensor-DMAC: dynamic topology contr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0915555B1 (ko) 지그비 네트워크에서 질의 기반의 경로 탐색을 수행하는지그비 메쉬 라우팅 방법
Pal et al. E-Darwin2: A smartphone based disaster recovery network using WiFi tethering
Zhen et al. Scatternet formation of bluetooth ad hoc networks
CN114374639B (zh) 基于空中唤醒的LoRa-Mesh组网方法及移动终端入网方法
JP5003900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GB2468065A (en) Energy-efficient network protocol and node device for sensor networks
Sunkavai et al. MTSF: a fast mesh scatternet formation algorithm for Bluetooth networks
El Ghanami et al. Grids: geographically repulsive insomnious distributed sensors–an efficient node selection mechanism using passive clustering
Jie Ad hoc access gateway selection algorithm
KR100770878B1 (ko)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Bakhsh et al. Dynamic energy-aware network maintenance for Bluetooth
Li et al. Power and mobility-aware adaptive dynamic source routing in MA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