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723B1 -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723B1
KR100510723B1 KR10-2002-0072428A KR20020072428A KR100510723B1 KR 100510723 B1 KR100510723 B1 KR 100510723B1 KR 20020072428 A KR20020072428 A KR 20020072428A KR 100510723 B1 KR100510723 B1 KR 100510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ansparent conductive
touch panel
plastic film
conductive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958A (ko
Inventor
홍희정
박희정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723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도전막을 대체하여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을 상하부 필름 내측면에 형성시켜 터치 누름 동작에 의한 투명 도전막의 깨짐 발생을 줄여 고내구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액정 패널 상에 형성되며 그 내측면에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을 구비한 하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에 대향되어, 내측면에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을 구비한 상부 필름과, 상기 상하부 필름과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두 필름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Touch Panel wit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 도전막을 대체하여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을 상하부 필름 내측면에 형성시켜 터치 누름 동작에 의한 투명 도전막의 깨짐 발생을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 장치 그 밖의 개인전용 정보 처리 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력 장치들은 PC의 용도 확대에 따라 인터페이스로서의 입력 장치로서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제품 대응이 어렵고 보다 간단하고 오조작은 적으면서 누구라도 입력할 수 있고 또 휴대하면서 손으로 문자입력도 가능한 필요성에 의해 발전했다.
현재는 이러한 입력 장치의 일반적 기능과 관련된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 고신뢰성, 새로운 기능의 제공, 내구성, 재료나 물질을 포함한 설계 및 가공과 관련된 제조 기술 등과 같이 미세한 기술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특히,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으며, 휴대하면서 누구라도 입력이 가능하고, 다른 입력기기 없이 문자 입력도 가능한 입력 장치로서 터치 패널(Touch Panel)이 알려져 있으며, 그에 따른 검출 방식, 구조 및 성능 등에 있어서도 자세히 알려져 있다.
검출 방식에 따라 간단히 살펴보면, 직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압력에 의해 눌려진 위치를 전류 또는 전압 값에 변화를 감지하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과, 교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캐패시턴스 커플링(capacitance Coupling)을 이용하는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과, 자계를 인가한 상태에서 선택된 위치를 전압의 변화로써 감지하는 전자 유도 방식(Electro Magnetic type) 등이 있다.
각각의 방식에 따라 신호 증폭의 문제나 해상도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차이 등이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어 장점을 잘 살릴 수 있게 구분하여 그 방식을 선택한다. 선택 기준은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외에 내구성과 경제성 등도 고려된다.
그 중 저항막 방식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와의 조합으로 전자 수첩, PDA, 휴대용 PC 등 입력 기기로서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박형, 소형, 경량 그리고 저소비 전력 등에서 다른 방식에 비해 유리한 설계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저항막 방식의 검출 방식은 디지털 방식과 아날로그 방식이 있고, 기판 재료로서 0.1mm ~ 2mm 두께의 투명한 글래스 또는 필름을 이용하여 상하부 기판을 구성한다.
저항막 방식을 취하는 터치 패널은 상부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기판에 펜 또는 손가락 같은 소정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에 접촉하게 되면, 상부 기판에 형성된 상부 전극과 하부 기판에 형성된 하부 전극이 상호 통전되고, 그 위치의 저항 값에 의하여 변화된 전압 값을 읽어들인 후 제어부에서 전위차의 변화에 따라 위치 좌표를 찾게되는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저항막 방식으로 구동되는 터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 및 터치 패널의 전원인가 관련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각각 내측면에 투명 전극(14, 18)을 구비한 상하부 기판(12, 16)과, 상하부 기판(12, 16)의 비표시 영역에 두 기판(12, 16)의 부착을 위한 접착층(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투명 전극(14, 18)의 가장 자리에는 각각 Y축 방향, X축 방향으로 금속 전극(Ag Paste)이 인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기판(16)에 형성된 투명 전극(18) 상에는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개의 도트 스페이서(20)가 산포되어 상하부 기판(12, 16) 사이의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상하부 기판(12, 16)에 형성된 금속 전극(15a, 15b, 19a, 19b)은 신호선이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 전압(Vcc)과, 접지 전압(GND)을 인가받게 된다. 이 때, 전원 전압(Vcc)과 접지 전압(GND)이 상하부 기판(12, 16)의 어느 쪽에 인가되는지와, 전원 전압(Vcc) 또는 접지 전압(GND)을 인가하는지에 대한 판단은 마이컴(34)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상하부 기판(12, 16)에서 판단되는 아날로그 전압 값은 ADC(32)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전환되어, 마이컴(34)으로 인가되고, 인터페이스부(36)를 통하여 표시 장치 등에 제어하기 위해 시스템(40)으로 인가된다.
상기 터치 패널의 위치 감지 동작을 전원인가와 관련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터치 동작으로 인해 상하부 기판(12, 16)의 접촉이 일어나게 되면, 상기 상부 기판(12)에 인쇄된 투명 전극(14)의 좌우측에 형성된 금속 전극(15a, 15b)을 통해 전원 전압(Vcc) 및 접지전압(GND)을 인가하고, 상기 하부 기판(16)의 투명 전극(18)과, 금속 전극(15a, 15b) 및 각 금속 전극(15a, 15b)에 연결된 신호선을 통해서 상기 접촉된 지점의 전압 값을 읽어내어 X축 상의 좌표 값을 인식한다.
이어, 상기 하부 기판(16)에 인쇄된 투명 전극(18)의 상하측에 형성된 금속 전극(19a, 19b)을 통해 전원 전압(Vcc) 및 접지전압(GND)을 인가하고, 상기 상부 기판(12)의 투명 전극(14)과 금속전극(19a, 19b) 및 상기 금속 전극(19a, 19b)에 연결된 신호선을 통해서 상기 접촉된 지점의 전압 값을 읽어내어 Y축 상의 좌표 값을 인식한다.
이와 같이,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접촉이 일어난 부분의 저항에 따라 구배되는 전압 값을 전압이 인가된 기판과 마주보는 기판에서 읽어들여 접촉된 부분의 X-Y 좌표 값을 읽어내어 접촉된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액정 표시 장치와 결합했을 때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와 같이,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은 액정 패널(1)의 상부 편광판(미도시)과 접착제에 의해 터치 패널(10)이 전면 접착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접착층은 접착 성분이 상기 상부 편광판의 전 영역에 도포되어질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터치 패널(10)의 가장 자리에 해당되는 영역에만 도포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액정 패널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상하부 기판과 그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으로 형성되며, 상하부 기판 외측(外側)면에 각각 상부 편광판, 하부 편광판이 형성된다.
그리고, 터치 패널(10)은 서로 대향되어 상부 기판(12), 하부 기판(16)으로 형성되며, 상하부 기판(12, 16)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 1, 제 2 투명 도전막(14, 18)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상하부 기판(12, 16)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Propylene Terephtalate), 폴리 에틸렌-2(Poly Ethylene-6), 6-나프탈레이트(6-Naphtalate), 신디옥타틱 폴리스티렌(Cyndyoxtatic Polystyrene), 노르보넨계 폴리머(Norbonen Polymer),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 아릴레이트(Poly Arylate) 등의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한다.
그 밖에, 상기 상부 기판(12)은 터치 동작이 직접 이루어지는 부위이므로, 상기에서 기술한 연질의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을 형성하여야 하나, 하부 기판(12)의 경우, 글래스 기판을 이러한 연질의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 하부에 형성하거나, 또는 글래스 기판만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제 2 투명 도전막(14, 18)은 투명성과 도전성을 지닌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아연,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 주석-안티몬 복합 산화물, 인듐-아연 복합 산화물, 은 및 은 합금, 동 및 동 합금, 금 등이 단층 혹은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ITO(Indium Tin Oxide)의 투명 전극으로 형성한다.
이어, 상기 상부 및 하부 기판(12, 16)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 1, 제 2 투명 도전막(14, 18)의 각각의 외곽 영역에는 접착제 성분을 도포하여 상기 상하부 기판(12, 16)을 합착한다.
터치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면 위에 설치되어 신호 입력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이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해당되는 표시 영역(viewing area, V/A)과, 상기 표시 영역을 감싸도록 표시 영역 주변부에 형성되는 비 표시 영역(dead space)으로 구분되어 정의된다. 상기 접착층(25)이나, 각 금속 전극(도 2에는 미도시, 도 1의 15, 19) 및 신호선들이 비 표시 영역(dead space)에 형성되며, 이 부위에서는 화상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의 터치 패널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액정 패널의 상부 편광판 상에 바로 투명 도전막을 증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하부 기판(16)이 생략되고, 제 2 투명 도전막(18)이 바로 액정 패널(미도시)의 상부 편광판 상에 형성되는 구조는 편광판의 내열 온도가 약 80℃ 정도인 점을 감안할 때, 제 2 투명 도전막(18)을 스퍼터링 방법으로 상부 편광판 상에 바로 증착하게 될 경우, 안정적으로 제 2 투명 도전막(18)의 증착이 이루어지기 힘들다.
이는 ITO(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 도전막의 스퍼터링 방법에 의한 증착 온도가 120℃ 이상이므로, 스퍼터링 공정을 거치게 되면, 액정 패널의 상부 편광판이 열팽창을 하게 되어 형상의 왜곡이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상부 편광판이 갖는 표면 거칠기로 인하여, 스퍼터링법을 이용한 제 2 투명 도전막(18)의 증착 과정을 거치면서, 제 2 투명 도전막(18) 자체가 표면 거칠기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니폼(uniform)한 투명 도전막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약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액정 패널 상부 편광판 상에 투명 도전막이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의 구조는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점 때문에, 실제 제품화에는 거의 적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누름 동작이 반복적으로 일어날 경우, 또는 강한 누름 동작이 일어날 경우, 상하 필름 상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도전막이 깨질 수가 있다. 따라서, 깨짐 부분이 발생한 부위에서는 오류 동작이 일어나며, 안정적인 화상을 얻기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투명 도전막을 대체하여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을 상하부 필름 내측면에 형성시켜 터치 누름 동작에 의한 투명 도전막의 깨짐 발생을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은 액정 패널 상에 형성되며 그 내측면에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을 구비한 하부 필름과, 상기 하부 필름에 대향되어, 내측면에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을 구비한 상부 필름과, 상기 상하부 필름과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두 필름을 접착하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상부 필름 또는 하부 필름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 신디옥타틱 폴리스티렌, 노르보넨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아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저항이 100~10000Ω/㎠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은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에 도전성 물질을 첨가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도전성 물질로는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아연,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 주석-안티몬 복합 산화물, 아연-알루미늄 복합 산화물, 인듐-아연 복합 산화물을 이용하며,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로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 신디옥타틱 폴리스티렌, 노르보넨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아릴레이트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은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 상에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표면의 소정 영역에 도전성을 갖도록 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 탈레이트, 폴리 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 신디옥타틱 폴리스티렌, 노르보넨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아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은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 상에 확산 공정을 통해 표면의 소정 영역에 도전성을 갖도록 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 탈레이트, 폴리 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 신디옥타틱 폴리스티렌, 노르보넨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아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은 도전성 양면 접착제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상하부 필름의 내측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이 상기 상하부 필름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여러 가지 물질의 전기 전도도를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3과 같이, 절연체(41), 반도체(42), 금속별(43)로 여러 가지 물질의 전기 전도도를 살펴보면 거의 반도체(42) 및 금속(43)의 전기 전도도에 해당하는 영역과 전도성 고분자(50)의 전기 전도도 영역이 오버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50)는 플라스틱 물질 중 전도성을 띤 물질을 나타내는데, 어떤 플라스틱 물질 중에는 구리나 철, 은과 거의 유사한 정도로 전기 전도도를 띠기도 한다.
따라서, ITO와 같은 투명 도전막의 표면 저항이 약 500Ω/㎠정도임을 감안하면, 이는 어떤 종류의 플라스틱 물질은 투명 도전막을 대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지만, 특정 물질(예를 들어, 요오드)을 첨가하면 금속처럼 전도성을 띠게 된다.
과학 기술 연구원 박막 기술 연구 센터에서는 2000년 3월 12일에 표면 재질 기술을 응용해 폴리 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플라스틱 위에 전도성 재료인 인듐 주석산화물(InSnO3)을 첨가하여 플라스틱에 전기를 통하게 한 전도성 플라스틱 물질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방법 외로,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에 이온 도핑이나, 확산 공정을 진행하여 표면의 소정 영역에 선택적으로 도전성을 띠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한 투명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하부 필름을 형성한 터치 패널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에 도전성 물질을 첨가하여 경화시켜 형성한 투명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와 같이,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에 도전성 물질을 첨가한 후, 이를 경화시켜 투명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은, 플라스틱 물질과 도전성 물질이 일정 비율로 섞인 상태로 경화되기 때문에 투명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의 전 영역에서 동일한 저항율을 갖게 된다.
이 때, 첨가되는 도전성 물질은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아연,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 주석-안티몬 복합 산화물, 아연-알루미늄 복합 산화물, 인듐-아연 복합 산화물 등으로 하며,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 신디옥타틱 폴리스티렌, 노르보넨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아릴레이트 등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ITO와 같은 투명 도전막 물질이 표면 저항이 100~10000Ω/㎠이므로,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도 이에 준하는 표면 저항 값을 갖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투명 도전성 플라스틱 물질에 도전성 물질을 첨가시켜 경화하는 공정 외에 투명 플라스틱 물질에 이온 주입이나 확산 공정을 하여 투명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을 형성시에는 이온 주입이 이루어지는 영역이나 확산 공정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정하여 원하는 소정 부위 표면에 도전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5a 및 도 5b는 도 4의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의 상부 필름 및 이에 대향되는 하부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a 및 도 5b의 Ⅰ~Ⅰ' 선상의 구조 단면도이다.
도 5a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의 상부 필름은 제 1 필름(100)의 내측면에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의 좌우에 전압을 X축 방향으로 인가하기 위한 금속 전극(110a, 11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전극(110a, 110b)에 외부 전압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선(120a, 120b)이 연결된다. 이 때, 상기 금속 전극(110a, 110b)은 상기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선(120a, 120b)은 도전성을 갖지 않는 제 1 필름(10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5b와 같이, 상기 상부 필름에 대향되는 하부 필름은 제 2 필름(140)의 내측면에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50)을 구비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50)의 상하로 전압을 Y축 방향으로 인가하기 위한 금속 전극(110c, 110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전극(110c, 110d)에 외부 전압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선(120c, 120d)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금속 전극(110c, 110d)은 상기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5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5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선(120c, 120d)은 도전성을 갖지 않는 제 2 필름(14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50)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도 6을 통해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과, 금속 전극 및 신호선의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 1, 제 2 필름(100, 140)의 내측면에 각각 제 1, 제 2 접착층(125, 145)을 구비하여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 150)이 부착되며,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 150)의 가장 자리에 금속 전극을 형성한다. 이 때, 신호선(120d)은 도전성을 갖지 않는 제 1 필름(100) 상에 직접 형성되므로, 신호선(120d)의 절연 공정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나머지 신호선들(120a, 120b, 120c, 120d)의 경우에도 각각 제 1, 제 2 필름(100, 140) 상에 바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 150)은 제 1, 제 2 필름(100, 140)과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이 때는 신호선(120a, 120b, 120c, 120d)을 형성함에 있어, 신호선(120a, 120b, 120c, 120d)들이 각각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 150)이 지나가는 부위에 절연성 재료를 더 형성하여야 하므로, 증착의 곤란함과, 집적도의 감소라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금속 전극(110a, 110b, 110c, 110d) 및 신호선(120a, 120b, 120c, 120d)들이 형성되는 부위는 비 표시 영역(dead space)에 해당하며, 이 부위에는 절연성 접착제(190)가 도포되어 상기 제 1, 제 2 필름(100, 140)의 합착이 이루어진다.
마주보는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 150) 사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트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터치 패널의 상하부 필름 사이에 소정의 갭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필름(100, 140)은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하며, 그 예로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Propylene Terephtalate), 폴리 에틸렌-2(Poly Ethylene-6), 6-나프탈레이트(6-Naphtalate), 신디옥타틱 폴리스티렌(Cyndyoxtatic Polystyrene), 노르보넨계 폴리머(Norbonen Polymer),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 아릴레이트(Poly Arylate) 등이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 상하부에 구성하는 제 1, 제 2 필름(100, 140)을 생략하고, 각각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 150)만을 형성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는 하부쪽에 위치하는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50)은 액정 패널 상에 전면 부착하며, 이에 대향되는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은 금속 전극을 형성하는 부위를 경계로 하여 선택적인 영역에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50)에는 앞서 기재한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의 3가지 형성 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30)은 누름 동작이 직접 일어나는 부위이므로, 전 영역에 동일한 저항율을 갖는 믹싱법으로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을 형성시에는 외부의 손 또는 펜 등과 접촉이 일어날 때, 도전성이 접지되어 사라질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150)과 마주보는 표면에 선택적으로 도전성을 갖는 이온 주입이나 확산법을 이용하여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해, 터치 패널의 하부 기판을 제외함과 동시에 투명 도전막(ITO) 대신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두께 감소뿐만 아니라, 깨지기 쉬운 투명 도전막 대신 플라스틱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생산성 및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누름 동작에 의해 깨짐 특성이 강한 투명 도전막을 대체하여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물질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의 상하부 기판을 구성하여, 충격에 대해 내구성을 강화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 및 터치 패널의 전원인가 관련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물질의 전기 전도도를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표
도 4는 본 발명의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에 도전성 물질을 첨가하여 경화시켜 형성한 투명 도전성 플라스틱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의 상부 필름 및 이에 대향되는 하부 필름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a 및 도 5b의 Ⅰ~Ⅰ' 선상의 구조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제 1 필름 110a, 110b, 110c, 110d : 금속 전극
120a, 120b, 120c, 120d : 신호선 125 : 제 1 접착층
130 :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140 : 제 2 필름
145 : 제 2 접착층 150 : 제 2 투명 전도성 필름 플라스틱 필름

Claims (13)

  1. 액정 패널 상부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된 하부 필름 및 상부 필름;
    상기 상부 필름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상기 하부 필름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상기 상부 필름과 상기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두 필름을 접착하는 제 1 접착층; 및
    상기 하부 필름과 상기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두 필름을 접착하는 제 2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필름 또는 하부 필름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 신디옥타틱 폴리스티렌, 노르보넨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아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저항이 100~10000Ω/㎠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은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에 도전성 물질을 첨가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물질은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아연,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 주석-안티몬 복합 산화물, 아연-알루미늄 복합 산화물, 인듐-아연 복합 산화물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 신디옥타틱 폴리스티렌, 노르보넨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아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은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 상에 이온 주입 공정을 통해 표면의 소정 영역에 도전성을 갖도록 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 탈레이트, 폴리 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 신디옥타틱 폴리스티렌, 노르보넨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아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은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 상에 확산 공정을 통해 표면의 소정 영역에 도전성을 갖도록 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프로필렌 테레프 탈레이트, 폴리 에틸렌-2, 6-나프탈레이트, 신디옥타틱 폴리스티렌, 노르보넨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아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도전성 양면 접착제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과 제 2 접착층은 각각 상기 상부 필름과 하부 필름의 내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제 1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의 상기 상부 필름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착층은 상기 제 2 투명 전도성 플라스틱 필름의 상기 하부 필름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KR10-2002-0072428A 2002-11-20 2002-11-20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KR10051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428A KR100510723B1 (ko) 2002-11-20 2002-11-20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428A KR100510723B1 (ko) 2002-11-20 2002-11-20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958A KR20040043958A (ko) 2004-05-27
KR100510723B1 true KR100510723B1 (ko) 2005-08-30

Family

ID=3734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428A KR100510723B1 (ko) 2002-11-20 2002-11-20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012B1 (ko) 2007-10-08 2014-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제조방법
WO2010082693A1 (ko) * 2009-01-14 2010-07-22 신와전공주식회사 터치패널 제조용 패드,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패널
KR101066932B1 (ko) * 2010-03-12 2011-09-23 박준영 터치패널용 패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패널용 패드
KR101113471B1 (ko) 2010-04-01 2012-02-2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350A (ko) * 1995-12-19 1997-07-29 윤종용 터치패널
JP2000062074A (ja) * 1998-08-18 2000-02-29 Mitsubishi Chemicals Corp 導電性プラスチック積層体
KR20010093732A (ko) * 2000-03-28 2001-10-29 쓰무라 준 지 투명 도전성 필름, 투명 도전성 시트 및 터치패널
KR20020041871A (ko) * 2000-11-29 2002-06-05 이규상 터치패널의 투명도전막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350A (ko) * 1995-12-19 1997-07-29 윤종용 터치패널
JP2000062074A (ja) * 1998-08-18 2000-02-29 Mitsubishi Chemicals Corp 導電性プラスチック積層体
KR20010093732A (ko) * 2000-03-28 2001-10-29 쓰무라 준 지 투명 도전성 필름, 투명 도전성 시트 및 터치패널
KR20020041871A (ko) * 2000-11-29 2002-06-05 이규상 터치패널의 투명도전막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958A (ko)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1773B1 (ko) 디지털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
CN1307528C (zh) 触摸板及其制造方法以及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8115751B2 (en) Capacitive touch sensing assembly
US8054738B2 (en) Touch panel, method for driving sam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3145537U (ja) キャパシティブ式タッチディスプレイパネル
TWI394067B (zh) Multi - sensor touchpad
CN103135841A (zh) 集成式触摸屏
KR101372525B1 (ko) 감광성 금속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JP2000029612A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US10452219B2 (en) Touch sensor
TW200846991A (en) Touch screen stack-ups
TW200301440A (en) Touch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510721B1 (ko)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KR20100108389A (ko) 금속화된 표면 퇴적에 기초한 멀티컨택트 투명 촉각 센서
US20050017956A1 (en) Touch panel
CN111475046B (zh) 一种触控基板、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100510723B1 (ko)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US8400421B2 (en) Touch panel and multi-touch detecting method thereof
KR20100124365A (ko) 터치 패널용 상판
KR100480825B1 (ko)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JP2015099407A (ja) 入力装置
KR20040084504A (ko) 전자기 유도형 터치 패널을 구비한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100368688B1 (ko) 터치 패널의 기판 배선 구조
JP3174469U (ja) 引っ掻き防止層を具えた抵抗式タッチパネル
KR100531412B1 (ko)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