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689B1 -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 - Google Patents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689B1
KR100510689B1 KR10-2003-0003495A KR20030003495A KR100510689B1 KR 100510689 B1 KR100510689 B1 KR 100510689B1 KR 20030003495 A KR20030003495 A KR 20030003495A KR 100510689 B1 KR100510689 B1 KR 100510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sus
common interface
pump
system software
hos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434A (ko
Inventor
안규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3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68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6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트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서비스(SSUS) 프로토콜이 처리할 수 있는 최고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 내부적으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동기화시키고,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서비스(SSUS) 스트림을 공통 인터페이스(CI)를 통하여 호스트 블록과 연결되는 TS 출력으로 바로 전송하는 TS 펌퍼;상기 SSUS 스트림을 저장하고 내부 버스를 통하여 TS 펌퍼로 SSUS 스트림을 전송하는 저장부;호스트 블록과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 신호 및 어드레스, 데이터를 주고받는 명령 인터페이스;상기 TS 펌퍼와 저장부를 제어하고 외부의 명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들어오는 호스트 블록의 명령들을 수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Common Interface Module for updating system software}
본 발명은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스트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서비스(SSUS) 프로토콜이 처리할 수 있는 최고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시스템은 유럽에서 만든 디지털 비디오 방송에 관한 규격으로 위성(DVB-Satellite), 케이블(DVB-C), 지상파(DVB-T) 세가지가 있으며, 국내 디지털 위성 방송도 이 DVB-S 규격을 사용하고 있다.
이 중에서 위성과 지상파의 수신 시스템에는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가 내장되게 되는데 이 중의 하나가 DVB-CI(Common Interface)이다.
공통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인 외부 애플리케이션 모듈(application module)을 공통 인터페이스에 삽입함으로써 외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신기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현재 이 규격은 DVB-S와 DVB-T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모두 채택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의 케이블(cable) 수신기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 종래 기술의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과 호스트 블록과의 연결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3은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인코딩 포맷 구성도이다.
CI(Common Interface)는 디지털 TV나 셋 탑 박스(STB)와 같은 수신기의 외부 모듈인 CI 모듈간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며, 상기 수신기에서 수행하지 않은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와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CI모듈은 PCMCIA 카드 형태로 구현되며 주로 유료 방송 시청을 위한 CAS(Conditional Access System)의 수신측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CI 모듈과 호스트 블록의 연결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외부 방송 신호 및 명령 신호를 입력으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호스트 블록(8)과, 호스트 블록(8)의 명령 신호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외부 장치로 연결시키는 공통 인터페이스(Common Interface;CI)와,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되는 명령 신호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는 CI 모듈(9)로 구성된다.
상기 호스트 블록(8)은 방송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하는 디지털 티브이(TV)나 STB와 같은 수신기이며 튜너(1)와,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2),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5), MPEG 디코더(3), 마이크로프로세서(4)로 구성된다.
여기서, 디모듈레이터(2)는 스크램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CI 모듈(9)의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7)로 출력한다.
디모듈레이터(2)는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7)에서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스크램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받어 MPEG 디코더(3)로 출력하고 이는 디코딩되어 재생된다.
그리고 CI 모듈(9)은 상기 호스트 블록(8)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저장/재생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처리하며 사용자의 원격 조정 신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호스트 블록(8)과 CI 모듈(9)간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 명령 인터페이스와 트랜스포트 스트림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호스트 블록(8)에 연결된 CI 모듈(9)은 도 2에서와 같이, 공통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스크램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크램블 처리하여 출력하는 디스크램블러(21)와, 호스트 블록(8)에서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필터링 및 추출(Extract)하여 내부 버스(Internal Bus)를 통하여 저장하는 필터/확장부(22)와, 호스트 블록과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 신호 및 어드레스, 데이터를 주고받는 명령 인터페이스(command interface)(23)와, 내부 버스를 통하여 디스크램블러(21),필터/확장부(22),명령 인터페이스(23)에 연결되는 CPU(24a),ROM/EPROM(24b),RAM/NVRAM(24c), Security 프로세서(24d)로 구성된다.
상기 ROM/EPROM(24b),RAM/NVRAM(24c)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저장과 재생을 제어하는 CI 모듈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포함하며, CI 모듈의 초기화에 필요한 CIS(Card Information Structure)도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명령 인터페이스(23)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호스트 블록에서 내장해야 할 리소스와 CI 모듈의 어플리케이션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은 첫째, 컴팩트 플래시를 이용하는 방법과, 둘째, OTA(Over The Air) 시스템 소프트웨어 수신 및 업데이트 방식이 있다.
일부 제조 업체에서는 컴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카드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는 있으나, CI 모듈을 이용해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OTA (Over The Air) 시스템 소프트웨어 수신 및 업데이트 방식은 이전의 STB 또는 디지털 TV 시스템에서는 제조 업체가 이미 업데이트 하는 채널 및 서비스 정보를 알고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모르게 업데이트 되는 구조이다.
사용자가 주어진 채널로 원격 조정으로 해당 서비스에 들어갈 때, 새로운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검색해서 필요한 경우에 업데이트 하게 된다.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 포맷은 OTA(DVB-SSUS) 전송 규약을 참조하면,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인코딩은 DSMCC(ISO/IEC 13818-6) data carousel 규격을 DVB-SSUS를 위한 전송 규약으로 사용한다.
이것을 MPEG 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형태로 전개하면 도 3에서와 같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컴팩트 플래시 카드를 이용하는 방법과, OTA(Over The Air) 시스템 소프트웨어 수신 및 업데이트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컴팩트 플래시 카드를 사용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식에서는 컴팩트 플래시 카드 및 기타 메모리 카드에 대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STB 및 디지털 TV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제작시에 함께 작성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컴팩트 플래시 카드의 데이터 액세스 속도가 느려 대용량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시간 소요가 많다.
그리고 OTA 시스템 소프트웨어 수신 및 업데이트 방식은 사용자가 모르게 업데이트 되는 구조로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호스트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서비스(SSUS) 프로토콜이 처리할 수 있는 최고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은 내부적으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동기화시키고,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서비스(SSUS) 스트림을 공통 인터페이스(CI)를 통하여 호스트 블록과 연결되는 TS 출력으로 바로 전송하는 TS 펌퍼;상기 SSUS 스트림을 저장하고 내부 버스를 통하여 TS 펌퍼로 SSUS 스트림을 전송하는 저장 수단;호스트 블록과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 신호 및 어드레스, 데이터를 주고받는 명령 인터페이스;상기 TS 펌퍼와 저장 수단을 제어하고 외부의 명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들어오는 호스트 블록의 명령들을 수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이하에서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트 스트림 펌퍼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DVB-SSUS (System Software Upgrade Service)에서 CI 모듈을 이용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I 모듈은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호스트 블록의 튜너부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입력이 없어도 된다.
그 구성은 도 4에서와 같이, 내부적으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클럭을 생성하고, 플래시 ROM(43c)에서 내부 버스(Internal BUS)를 통해서 읽은 SSUS(System Software Upgrade Service) 스트림을 그대로 트랜스포트 스트림 출력(TS output)으로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펌퍼(TS pumper)(41)와, 업데이트 하려고 하는 대상의 소프트웨어 저장 영역이상의 용량을 갖고 SSUS 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인 플래시 ROM(43c)과, 플래시 ROM(43c)과 TS 펌퍼(41)를 제어하여 TS 스트림 데이터의 전달을 제어하고 외부의 명령 인터페이스(Command Interface)(42)를 통해서 들어오는 HOST 명령들에 대해서 적절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수단인 CPU(43a)와, 호스트 블록과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 신호 및 어드레스, 데이터를 주고받는 명령 인터페이스(command interface)(42)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그리고 TS 펌퍼(41)는 도 5에서와 같이,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 때에 비트율(bit rate)을 조정하기 위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clock generator)와, 클럭 발생 및 클럭 발생부에서 분주되는 시그널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 동기 신호(TS sync signal)의 생성을 제어하고 CPU(43a)와 통신을 하면서 CPU(43a)에서 오는 명령을 처리하는 컨트롤러(controller)로 구성된다.
여기서, 컨트롤러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저장되는 플래시 ROM(43c)에서 TS를 내부 버스를 통해서 읽어오고 이를 FIFO 메모리를 통해서 TS 출력으로 전달하는 것을 제어한다.
즉, TS 데이터가 TS 펌퍼의 로컬 버스를 통해서 전송이 되고 있을 때, 이를 TS 출력으로 내 보낼지 여부를 FIFO 메모리를 제어해서 수행한다.
또한, 비트율 조정을 위해서 필요한 경우 널 트랜스포트 패킷(null transport packet)을 삽입하기도 한다.
SI/PSI(Service Information/Program Specification) 정보 인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등은 컨트롤러에서 체크를 하여 일정 주기(ISO/IEC 13818-1 과 EN 300 468 같은 스펙에서는 1초이내에 한번씩)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인코딩할 시점에 DSMCC Spec 의 DSI, DII 테이블 정보는 5 ~ 10초 이내에 주기적으로 전송될수 있도록 DDB(실제 데이터 블록 테이블)들 중간 중간에 반복적으로 넣어주어야 효율적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은 유용하고 쉽게 STB 및 디지털 TV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CI 모듈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여 유용하고 쉽게 STB 및 디지털 TV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대용량의 데이터라고 할지라도 호스트 블록의 SSUS 프로토콜 기능이 처리할 수 있는 최고의 속도로 호스트 블록에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셋째, 호스트 블록에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Air로 전송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 것으로 이전의 소프트웨어를 수정할 필요가 없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도 증대할 수 있고 제조 업체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과 호스트 블록과의 연결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의 구성도
도 3은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인코딩 포맷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트 스트림 펌퍼의 상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트랜스포트 스트림 펌퍼 42. 명령 인터페이스
43a. CPU 43b. RAM/NVRAM
43c. 플래시 메모리

Claims (3)

  1.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 및 디코딩하는 호스트 블록과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에 있어서,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서비스(SSUS)스트림을 저장하고, 내부 버스를 통하여 상기 SSUS 스트림을 출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SSUS를 입력받아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 블록으로 전송하는 TS펌퍼;
    상기 호스트 블록과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 신호 및 어드레스, 데이터를 주고받는 명령 인터페이스;
    상기 TS 펌퍼와 저장부를 제어하고 상기 명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들어오는 호스트 블록의 명령들은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TS 펌퍼는,
    상기 호스트 블록으로 출력되는 SSUS의 비트율을 조정하기 위한 클럭이 발생되는 클럭 발생부와;
    상기 저장부에서 읽어 온 SSUS를 일시 저장하는 FIFO와;
    상기 클럭발생부의 클럭 발생을 제어하며, 상기 저장부에서 SSUS를 읽어 와 상기 FIFO에 저장하거나, 상기 FIFO에 저장된 SSUS를 상기 호스트 블록으로 출력하는 펌퍼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퍼 제어부는,
    비트율 제어를 위해 상기 호스트로 출력되는 SSUS에 널 트랜스포트 패킷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
KR10-2003-0003495A 2003-01-18 2003-01-18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 KR100510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495A KR100510689B1 (ko) 2003-01-18 2003-01-18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495A KR100510689B1 (ko) 2003-01-18 2003-01-18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434A KR20040066434A (ko) 2004-07-27
KR100510689B1 true KR100510689B1 (ko) 2005-08-31

Family

ID=3735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495A KR100510689B1 (ko) 2003-01-18 2003-01-18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6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544B1 (ko) * 2009-11-30 2013-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방송 중계 장치
KR101420188B1 (ko) * 2010-05-17 2014-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방송 제공 방법, 방송 중계 장치, 다중화기 및 다중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843B1 (ko) * 2005-12-26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544B1 (ko) * 2009-11-30 2013-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 서비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재난 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방송 중계 장치
KR101420188B1 (ko) * 2010-05-17 2014-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방송 제공 방법, 방송 중계 장치, 다중화기 및 다중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434A (ko)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0208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system
US7649949B2 (en) Multipurpose television module
EP1662361B1 (en) Universal bidirectional serial data transport interface and its data transport method
AU2008281625B2 (en) Transport stream module for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20030084440A1 (en) Method of providing a code upgrade to a host device having a smart card interface
KR20050040752A (ko) 방송 수신 장치
US200600901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service information in open cable system
JP2007528154A (ja) トランスコード処理を行うケーブルカード
US8327413B2 (en) Digital cable broadcas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510689B1 (ko) 시스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모듈
KR20060131443A (ko) 케이블 방송 수신기, 그의 리셋 방법, 그리고 데이터 구조
US200501087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ple audio/video programs transmitted over a digital link
US20050259751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udio/video presentation on a sink device
US20070288972A1 (en) Open cable broadcas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10092488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부가서비스 데이터 처리 장치
JP4670893B2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KR20070113002A (ko) 방송 시스템, 채널 정보 처리 방법, 및 데이터 구조
JP4135241B2 (ja) 信号処理装置
KR200385300Y1 (ko) 일체형 디지털 오픈 케이블 방송용 양방향 통신을 위한 내장형 dsg모듈
KR20050019588A (ko) 셋탑박스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
KR100763399B1 (ko) 케이블 방송 시스템 및 코덱 방법
EP3644615A1 (en) An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main receiver
KR200375304Y1 (ko) 일체화된 시스템 제어 및 역다중화부를 구비하는 개인용비디오 녹화시스템
KR20040068275A (ko) 인터페이스 모듈 및 디지털 어플리케이션 전달 방법
KR20130048047A (ko) 방송 수신기에서 둘 이상의 스크램블 된 콘텐츠를 처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