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313B1 - 자동차연료탱크용필러파이프유니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연료탱크용필러파이프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313B1
KR100508313B1 KR1019970072477A KR19970072477A KR100508313B1 KR 100508313 B1 KR100508313 B1 KR 100508313B1 KR 1019970072477 A KR1019970072477 A KR 1019970072477A KR 19970072477 A KR19970072477 A KR 19970072477A KR 100508313 B1 KR100508313 B1 KR 10050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uel
tank
filler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2934A (ko
Inventor
프란체스코 치미넬리
유게니오 시비에로
기울리오 카스타그네리
Original Assignee
에르곰 마테리 플라스티체 에쎄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곰 마테리 플라스티체 에쎄뻬아 filed Critical 에르곰 마테리 플라스티체 에쎄뻬아
Priority to KR101997007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3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7Manufacturing of the fuel inlet or connecting elements to fuel inlet, e.g. pipes or vent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자동차 연료탱크용 필러파이프 유니트는, 차체에 연결가능한 제1 말단(3a) 및 연료탱크에 연결하는 제2 말단(3b)을 가지는 대략 강성의 연료주입파이프(3)로 이루어진다. 배기파이프(5)를 상기 제1 말단 및 제2 말단(3a, 3b)사이의 연료주입파이프(3)에 연결하고, 또한 연료탱크에 연결하게 될 연료주입파이프(3)와 일체로형성한다. 상기 유니트(1)는 연료주입파이프(3)의 제1 말단(3a)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그것과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연료증기를 수집하는 탱크(2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탱크용 필러파이프 유니트 {A FILLER PIPE UNIT FOR THE FUEL TANK OF VEHIC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연료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보디에 부착가능한 제1 말단 및 연료탱크에 연결하는 제2 말단을 가지는 대략 강성의 연료주입파이프와, 이 연료주입파이프와 일체이고, 상기 제1 및 제2 말단사이의 연료주입파이프에 연결되고, 또한 연료탱크에 연결하게 될 배기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연료탱크용 필러파이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종류의 공지된 필러파이프 유니트는, 그들이 비교적 강성이기 때문에 자동차에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그것을 제 위치에 지지하는 고정부재가 거의 필요하지 않으므로 차체내에 소정의 통로를 형성한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탄화수소가스의 대기중으로의 최대배출량을 제한하는 규정에 따라서, 전형적으로 증기용 팽창용조 및 축압기로서 기능하는 연료증기수집용 체임버를 이들 공지의 유니트와 결합한다. 그러나, 필러파이프 유니트와 별개로 제조된 이 체임버를 자동차에 부착하여야 하고, 이는 결합된 연결부재와 함께 자동차내에 고착하기 위한 영역의 한정을 필요로 하며, 이 유니트로 인하여 연료공급시스템의 설치에는 시간이 더 걸리고 일반적으로 보다 힘든 작업을 하게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주입파이프의 제1 말단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그것과 함께 일체로 제조되는 연료증기수집용 체임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한 종류의 유니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들 특징으로 인하여, 필러파이프 유니트는 연료공급시스템의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은 시스템의 전체적인 밀봉을 바람직하게 향상시켜 대기중으로 증기배출이 감소되고, 자동차내에 상당히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것은 필러파이프 유니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를 최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비한정적인 예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에 따른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부호 1은 일반적으로 차량, 특히 자동차용 필러파이프 유니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연료주입용 튜블러파이프(tubular pipe)(3) 및 이 파이프(3)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보다 작은 섹션인 튜블러배기파이프(5)를 포함한다. 유니트(1)은 단체(單體)이고, 대략 강성의 부재,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계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되어 탄화수소 및 그들의 증기에 대하여 최상의 밀봉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재료의 사용은 중공성형프로세스에 의한 형성에 특히 적합하다.
파이프(3)은 제1 말단(3a) 및 연료탱크에 연결하는 반대쪽 말단(3b)을 가지고, 상기 제1 말단에는 그 안에 형성된 개구에 대응하여 차체에 연결되는 플랜지가 배설된 커넥터(7)가, 예를 들어, 외부 커넥터링을 그 말단(3a)에 걸쳐 몰딩처리함으로써 접합된다.
파이프(3, 5)는 나란히 배치되고, 파이프(5)는 말단(3a, 3b) 사이의 일반적으로 중간부를 따라서 파이프(3)에 연결된다. 파이프(3,5)사이에는 이 연결부로부터 시작하는 구조상의 보강리브(13)가 형성되고, 이 리브는 파이프(3, 5)와 함께 일체로되고 말단(3b)를 향하여 연장된다. 필러파이프 유니트(1)를 고정하는 돌출부 (15)가 리브(13)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주입파이프(3)는 연료탱크에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말단(3b)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일체이고 용이하게 구부리기 쉬운 벨로우즈부(9)를 가지고, 배기파이프(5)에는, 연료가 파이프(3)내로 주입될 때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일체인 팽창체임버(6)를 파이프(3)에 연결하는 말단(5a)의 반대쪽 말단(5b)에 근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벨로우즈부(9) 및/또는 팽창체임버(6)는 파이프(3, 5) 와 별개로 형성한 후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거기에 연결할 수 있다.
파이프(3)과 함께 형성되고, 팽창체임버로서 작용하는 연료증기수집용 탱크 (20)는 연료주입파이프(3)의 제1 말단(3a)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탱크(20)는 배기파이프(5)의 대략 반대쪽인 파이프(3)의 일부분, 일반적으로 파이프(3)의 커브부에 배치되는 브래킷으로 기능하는 다른 리브(21)에 의하여 지지된다.
탱크(20)의 상단에는, 예를 들어 베이어넷(bayonet) 연결로 연결되고, 밸브 (23)의 상류와 하류 환경사이의 결합된 소정의 압력차 스레시홀드가 초과할 때 개방되고, 자동차가 소정의 각도를 넘어 기울어질 때 폐쇄되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다기능 타입의 자동 압력안전밸브(23)가 구비된다.
밸브(23)는 서비스튜브(25)를 가진 커넥터스피곳(24)을 구비하여 그 안에 수집된 증기를 어떤 상태하에서 배출가능하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연휘발유 또는 가솔린(무연휘발유와 알콜의 혼합물)을 연료로서 사용하는 자동차에 설치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1)는, “카본 캐니스터”로서 또한 알려진 활성카본트랩을 포함하는 공지된 타입의 증발방지설비 및 엔진의 주입매니폴드에 연결되고, 이로써 탱크(20)내의 증기가 활성카본트랩에 유지가능하게 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의 공기와 함께 필요에 따라 엔진으로 릴리스된다. 이 경우, 탱크(20)는 연료주입파이프(3)와 단속되고, 그 베이스에 배치된 커넥터(27)가 하나 이상의 서비스튜브(28a, 28b)(이러한 2개의 튜브를 첨부도면에 예로서 나타낸다)를 연결하여 연료탱크의 상단벽상에 설비된 도시하지 않은 결합된 안전플로우트밸브와 연결된다.
경유, 유연휘발유 또는 알콜을 연료로서 사용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증발방지설비는 안전규정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더라도, 탱크(20)는, 이 경우에, 외부환경과 직접 연통하는 결합된 튜브(도 4 참조)를 구비한 밸브(23)를 여전히 가진다. 이 경우에도, 탱크(20)는 그 저면에 근접하여 탱크에 이르고, 지지 리브(21)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커넥터파이프(22)에 의하여 파이프(3)와 또한 연통된다.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텅(tongues)(30)을 파이프(3)의 외측상에 일체로 형성하여 튜브(25) 및 만약 실재하는 경우의 튜브(28a, 28b)를 파이프(3)의 일부에 대하여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필러파이프 유니트(1)는 자동차에 설치가 특히 용이하고, 이것은 결합된 탱크와 함께 단체이고 대략 강성의 부재이므로 그것을 정확한 위치에 지지하는 연결부재가 거의 필요하지 않으므로 차체내에 소정의 통로를 형성한다. 유니트가 대략 강성이기 때문에, 벨로우즈부(9)는 특히 연료탱크 및 전체 유니트(1) 양자가 그들 각각의 최종위치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연료탱크입구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 벨로우즈부는 변형가능성이 높아서, 자동차의 운행중에 주로 열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그것에 연결된 부재의 크기 변형의 흡수 및 자동차의 운행중에 발생하는 진동의 감쇠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러파이프 유니트의 제조 중에, 폴리아미드계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되고 가능하면 소량의 일래스토머(elastomeric)재료를 함유하는 예비 튜블러보디, 즉 패리슨(parison)을 먼저 압출하여 패리슨을 중공성형하는 다음 단계를 용이하게 한다.
그 후, 패리슨을 중공오픈몰드내에 배치하여 인접하는 파이프(3, 5)의 외측면은 연결리브(13)와, 탱크(20)는 결합된 리브(21)와 형성하여 파이프(3)에 연결한다. 탱크(20)은 말단(3a)에 근접한 파이프(3)의 상단부 및 배기파이프(5)의 반대쪽 말단에 배치되고, 파이프(5)는 실재하지 않거나 또는 이 영역에는 비교적 소형섹션이므로, 탱크(20)는 파이프 직경이 작거나 또는 실재하지 않기 때문에 잉여의 패리슨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탱크(20)가 파이프(3)의 말단(3a)에 근접하여 실재하므로, 유니트(1)의 영역내에 패리슨재료의 사용이 최적화되고, 따라서 재료의 낭비를 방지한다.
몰드는 팽창체임버(6), 벨로우즈부(9), 부품돌출부(15) 및 탄성텅(30)을 형성가능하도록 하여 이들 부재를 유니트(1)와 일체로 제조할 때마다 서비스튜브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은 당연하다.
필러파이프 유니트는 연료공급시스템의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은 시스템의 전체적인 밀봉을 바람직하게 향상시켜 대기중으로 증기배출이 감소되고, 자동차내에 상당히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것은 필러파이프 유니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를 최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러파이프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유니트를 상이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의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Claims (13)

  1. 자동차보디에 연결가능한 제1 말단(3a) 및 연료탱크에 연결하는 제2 말단(3b)을 가지는 대략 강성의 연료주입파이프(3)와 상기 제1 말단 및 제2 말단(3a, 3b)사이에서 연결되고, 또한 연료탱크에 연결하게 될 연료주입파이프(3)와 일체인 배기파이프(5)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연료탱크용 필러파이프 유니트로서,
    연료주입파이프(3)의 제1 말단(3a)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료증기수집용 탱크(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탱크용 필러파이프 유니트.
  2. 제1항에서,
    상기 연료증기수집용 탱크(20)는 상기 배기파이프(5) 대향부상의 상기 연료주입파이프(3)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연료증기수집용 탱크(20)에는 자동, 다기능안전밸브(23)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
  4. 제3항에서,
    상기 연료증기수집용 탱크(20)는 상기 연료주입파이프(3)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
  5. 제4항에서,
    상기 연료증기수집용 탱크(20)는 결합된 서비스튜브(28a, 28b)에 의하여 연료탱크에 배치된 최소한 하나의 안전플로우트밸브에 연결되고, 자동 압력안전밸브(23)를 통하여 활성카본트랩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
  6. 제3항에서,
    상기 연료증기수집용 탱크(20)는 커넥터파이프(22)를 통하여 상기 연료주입파이프(3)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
  7. 제6항에서,
    상기 연료증기수집용 탱크(20)는 상기 자동 압력안전밸브(23)를 통하여 외부환경과 연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필러파이프 유니트는 폴리아미드계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보강리브(13)가 상기 파이프(3, 5)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3, 5)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
  10. 제9항에서,
    상기 리브(13)는 일체인 부품부재(1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
  11.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연료주입파이프(3)에는 상기 제2 말단(3b)에 근접하여 벨로우즈부(9)를 일체로 배치하여 상기 연료탱크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배기파이프(5)는 일체인 팽창체임버(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
  13. 제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연료주입파이프(3)는 일체인 지지수단(30)을 가지고 상기 연료증기수집용 탱크(20)와 결합된 서비스파이프(25, 25, 28a, 28b)를 함께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파이프 유니트.
KR1019970072477A 1997-12-23 1997-12-23 자동차연료탱크용필러파이프유니트 KR10050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477A KR100508313B1 (ko) 1997-12-23 1997-12-23 자동차연료탱크용필러파이프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477A KR100508313B1 (ko) 1997-12-23 1997-12-23 자동차연료탱크용필러파이프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934A KR19990052934A (ko) 1999-07-15
KR100508313B1 true KR100508313B1 (ko) 2006-05-16

Family

ID=4173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477A KR100508313B1 (ko) 1997-12-23 1997-12-23 자동차연료탱크용필러파이프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535B1 (ko) * 2007-05-07 2007-12-17 정호순 자동차의 필러 튜브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6511A (en) * 1990-03-16 1993-08-17 Schott Glaswerke Plasma CVD process for coating a dome-shaped substrate
US5255702A (en) * 1990-05-23 1993-10-26 Paul Journee S.A. Venting system for a fuel tank
EP0636505A1 (en) * 1993-07-26 1995-02-01 ERGOM MATERIE PLASTICHE S.p.A Filler unit for a fuel tank, particularly for a motor-vehicle
EP0822110A2 (en) * 1996-07-30 1998-02-04 ERGOM MATERIE PLASTICHE S.p.A A filler pipe unit for the fuel tank of a motor vehicle
KR19980051134A (ko) * 1996-12-23 1998-09-15 박병재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6511A (en) * 1990-03-16 1993-08-17 Schott Glaswerke Plasma CVD process for coating a dome-shaped substrate
US5255702A (en) * 1990-05-23 1993-10-26 Paul Journee S.A. Venting system for a fuel tank
EP0636505A1 (en) * 1993-07-26 1995-02-01 ERGOM MATERIE PLASTICHE S.p.A Filler unit for a fuel tank, particularly for a motor-vehicle
EP0822110A2 (en) * 1996-07-30 1998-02-04 ERGOM MATERIE PLASTICHE S.p.A A filler pipe unit for the fuel tank of a motor vehicle
US5996622A (en) * 1996-07-30 1999-12-07 Ergom Materie Plastiche S.P.A. Filler pipe unit for the fuel tank of a motor vehicle
KR19980051134A (ko) * 1996-12-23 1998-09-15 박병재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934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6622A (en) Filler pipe unit for the fuel tank of a motor vehicle
US6835234B2 (en) Intake tube assembly with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device
KR20060046247A (ko) 급유시 증기회수시스템
KR19990088038A (ko) 연료탱크
JP2001512803A (ja) 燃料供給システム
US6019127A (en) Structure for connecting filler tube to fuel tank
CN207257365U (zh) 无盖车辆加燃料口、无盖车辆加燃料口系统和车辆系统
EP1747111B1 (en) Fuel system
KR100508313B1 (ko) 자동차연료탱크용필러파이프유니트
US6619343B2 (en) Seal for fuel filler tubes
CN100432421C (zh) 摇动三轮车的燃料供给构造
KR100408968B1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연료주입관
CN102120436B (zh) 车辆发动机的燃料供给装置
RU2203190C2 (ru) Узел заливочной трубки для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моторизован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6331021B1 (en) Fuel system vent line
RU2089408C1 (ru) Система топливных бак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CN219587676U (zh) 用于车辆的发动机顶置式进气系统
RU2270107C1 (ru) Запра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01128373Y (zh) 一种汽车用燃油蒸发控制碳罐总成
CN208184828U (zh) 可匹配传感器式文氏管装置
US20070095840A1 (en) Fastening device
EP0879727B1 (en) Valve unit for a motor vehicle fuel supply system
RU2087335C1 (ru) Топливный бак малотоннажного автомобиля
KR100236320B1 (ko) 자동차의 연료급유관
US6131598A (en) Fuel tank ve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