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762B1 -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762B1
KR100506762B1 KR10-2002-0081514A KR20020081514A KR100506762B1 KR 100506762 B1 KR100506762 B1 KR 100506762B1 KR 20020081514 A KR20020081514 A KR 20020081514A KR 100506762 B1 KR100506762 B1 KR 10050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fixed
tube
retai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4963A (ko
Inventor
이광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76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17Brackets for mounting the sun visor support arm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65Attachments of sun visors to mounting means including details of sun visor bearing member regulating the rotational friction on the support 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선바이져의 고정튜브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되 압축 및 복원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고정튜브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고정 리테이너를 중앙을 오목한 수납홈으로 그 외주면을 고정튜브의 마찰 슬라이딩면이 되도록 성형하여 줌으로써, 선바이져 사용시 선바이져를 방향에 관계없이 당기게 되면 선바이져의 고정튜브가 고정 리테이너의 수납홈으로부터 마찰 슬라이딩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빠져나와 선바이져의 인출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또한 선바이져 미사용시 선바이져를 방향에 관계없이 밀어 넣으면 고정튜브가 고정 리테이터의 마찰 슬라이딩 면을 따라 그 중앙의 수납홈으로 부드럽고 신속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한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Structure for holding or separating sunvisor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바이져를 사용 위치로 인출시키거나, 미사용 위치로 수납시키는 동작시, 선바이져의 고정 튜브를 인출 또는 수납방향에 상관없이 고정 리테이너로부터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고, 또한 고정 리테이너에 용이하게 삽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동작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선바이져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천정면에 상하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의 윈드 쉴드 글래스 또는 측방향의 도어 글래스로부터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선바이져는 첨부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갖는 선바이져(10)와, 이 선바이져(10)의 상단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천정면에 고정되는 회전로드(44)와, 선바이져의 상단 반대측에 형성된 고정튜브(12b)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정튜브(12b)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 수납되어지는 고정 리테이너(14c)를 포함한다.
상기 종래의 고정 리테이너(14c)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및 상부가 개방된 후크와 같은 단면 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천정면에 스크류등을 이용하여 장착되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바이져의 종래 인출 및 수납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선바이져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선바이져를 사용 위치로 인출시키는 동작을 취하게 되는 바, 상기 선바이져의 고정튜브를 고정 리테이너로부터 탈거한 후, 회전로드의 고정점을 중심으로 선바이져를 사용 위치로 이동시켜 햇빛을 가리게 된다.
반면에, 선바이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선바이져를 본래의 위치로 수납시키는 동작을 취하게 되는 바, 상기 선바이져를 회전로드의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고정튜브를 상기 고정 리테이너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동작은 다음과 같은 불편한 점이 있었다.
선바이져의 고정튜브를 고정 리테이너로부터 탈거 또는 삽입 고정시키는 작동감(感)이 부드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불편하고 어렵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선바이져를 고정 리테이너로부터 탈거시키는 동작시, 고정튜브가 고정리테이너의 개구 방향(상부 개방부)를 통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전중에 급작스런 햇빛 유입으로 눈이 부시게 되면, 미처 고정리테이너의 개구방향을 찾지 못하여 신속하게 선바이져의 고정튜브를 고정 리테이너로부터 탈거하여 사용위치로 회동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경우 안전 사고의 우려가 있다.
또한, 선바이져를 원위치로 수납시킬 때, 선바이져의 고정튜브를 고정 리테이너의 상부 개방부로 정확하게 삽입시켜야 하므로, 수납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오히려 불편함을 주게 되는 바, 주행중에 이러한 불편한 수납 동작은 안전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선바이져의 고정튜브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되 압축 및 복원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고정튜브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고정 리테이너를 중앙을 오목한 수납홈으로 그 외주면을 고정튜브의 마찰 슬라이딩면이 되도록 성형하여 줌으로써, 선바이져 사용시 선바이져를 방향에 관계없이 당기게 되면 선바이져의 고정튜브가 고정 리테이너의 수납홈으로부터 마찰 슬라이딩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빠져나와 선바이져의 인출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또한 선바이져 미사용시 선바이져를 방향에 관계없이 밀어 넣으면 고정튜브가 고정 리테이터의 마찰 슬라이딩 면을 따라 그 중앙의 수납홈으로 부드럽고 신속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한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바이져의 고정튜브 설치구 양측면에 한 쌍의 고정튜브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되, 전진 및 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각 고정튜브의 후단이 삽입되고, 고정튜브에 의하여 압축 가능한 압축스프링이 내재된 실린더를 선바이져의 내부에 설치하며; 양측면 중앙에 수납홈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은 슬라이딩 마찰면으로 성형된 고정 리테이너를 천정면에 장착하여; 상기 각 고정튜브의 안쪽 끝단면이 상기 고정 리테이너의 슬라이딩 마찰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수납홈에 수납되거나 수납홈으로부터 인출 이동되어,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 후면과 압축스프링의 후단 사이에 별도의 밀봉 가압판이 내재되고, 상기 실린더의 후면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오일튜브와, 이 오일튜브의 타단이 연결되며 일면에는 오일압력조절용 노브가 부착된 오일실린더가 선바이져의 내부에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고정 리테이너는 양측 중앙에 오목한 수납홈을 갖는 사각 형상이고, 슬라이딩 마찰면은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사방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동시에 최대 높이에서 다시 사방 끝단까지 점차 낮아지는 경사각을 갖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고정 리테이너는 양측 중앙에 오목한 수납홈을 갖는 원형 형상이고, 슬라이딩 마찰면은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전체 외부방향을 따라 동일한 곡면을 가지며 볼록하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정면도이다.
통상, 선바이져(10)에는 고정튜브가 장착되는 설치구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설치구의 양측면에 한 쌍의 고정튜브(12a)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되, 후술하는 압축스프링(16)을 압축하며 후진 이동하게, 그리고 압축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튜브(12a)가 압축 및 복원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서, 선바이져(10)의 내부에 압축스프링(16)이 내재된 실린더(18)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튜브(12a)의 후단이 실린더(18)의 내부에 있는 압축스프링(16)을 압축할 수 있게 삽입되며, 고정튜브(12a)의 후단 끝부분에는 실린더(18)로 이탈되지 않게 보다 큰 직경의 걸림단(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며 인접되게 위치되어 있는 고정튜브(12a)를 가압하게 되면, 고정튜브(12a)는 압축스프링(16)을 압축하며 후진 이동될 수 있고, 가압을 해제하면 압축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전진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스프링(16)을 압축하면서 후진 이동하는 고정튜브(12a)의 이동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선바이져(10)의 내부에 더 설치될 수 있고,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실린더(18)의 내후면과 압축스프링(16)의 후단 사이에 별도의 밀봉 가압판(22)을 내설하여, 밀봉 가압판(22)의 후면과 실린더(18)의 내후면 사이의 공간이 오일 충진공간(24)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각 실린더(18)의 후면에는 상기 오일 충진공간(24)과 통하도록 오일튜브(26)의 일끝단이 연결되고, 이 오일튜브(26)는 타단은 하나로 합쳐져서 선바이져(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오일 실린더(28)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오일 실린더(28)의 일면에는 그 내부의 피스톤(30)과 연결되는 오일압력 조절용 노브(32)가 부착된다. 물론, 상기 오일 실린더(28)와 오일튜브(26), 그리고 오일 충진공간(24)에는 오일이 채워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오일 실린더(28)의 피스톤(30)의 표면에는 숫나사(34)가 형성되고, 이 피스톤(30)이 지나가는 오일 실린더(28)의 일면에는 암나사(36)가 형성되는 바, 이에 상기 오일압력 조절용 노브(32)를 회전시키면 피스톤(30)이 나사회전되면서 오일 실린더(28)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을 하게 되어, 오일의 압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오일압력 조절용 노브(32)의 회전 조작으로 피스톤(30)을 밀게 되면 오일압력이 더 증대되고, 증대된 오일압력에 의하여 상기 밀봉 가압판(22)이 압축스프링(16)을 가압시켜 압축 정도가 더 커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튜브(12a)가 압축스프링(16)을 압축시키는 힘이 더 들게 된다.
반면에, 상기 오일압력 조절용 노브(32)의 회전 조작으로 피스톤(30)을 당기게 되면 오일압력이 감소되고, 감소된 오일압력에 의하여 상기 밀봉 가압판(22)이 압축스프링(16)에 의하여 뒤로 밀려나게 되는 동시에 압축스프링(16)의 압축 정도가 약해지게 되어, 결국 상기 고정튜브(12a)가 압축스프링(16)을 압축시키는 힘이 덜 들게 된다.
한편, 상기 선바이져(10)의 일표면에는 첨부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일압력 조절용 노브(32)가 회전 가능하게 노출되도록 절개홀(3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고정튜브(12a)가 삽입되어 선바이져(10)의 수납이 이루어지게 하는 고정 리테이너(14a,14b)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에 채택된 고정 리테이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실시예로서 상기 고정 리테이너(14a)는 양측 중앙에 오목한 수납홈(40)을 갖는 사각체로서, 수납홈(40)으로부터 사방 끝단까지는 슬라이딩 마찰면(42a)으로 성형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마찰면(42a)은 상기 수납홈(40)으로부터 사방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동시에 최대 높이에서 다시 사방 끝단까지 점차 낮아지는 경사각을 갖게 성형된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에 채택된 고정 리테이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 리테이너(14b)는 양측 중앙에 오목한 수납홈(40)을 갖는 원형의 판체로서, 수납홈(40)으로부터 전체 외부방향 끝단까지 슬라이딩 마찰면(42b)으로 성형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마찰면(42b)은 상기 수납홈(40)으로부터 점차 높아지는 경사각을 가지면서 다시 끝단까지 점차 낮아지는 경사각을 가지는 바, 상기 수납홈(40)으로부터 외부방향을 따라 동일한 곡면을 가지며 볼록하게 성형된 것이다.
이러한 고정 리테이너(14a,14b)는 별도의 브라켓과 같은 부착수단으로 천정면에 장착시키거나, 또는 고정 리테이너(14a,14b)의 상단에 부착단을 일체로 형성하여 천정면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장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에 대한 그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에 채택된 고정튜브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한 고정 리테이너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동작 궤적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서로 인접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한 쌍의 고정튜브(12a)가 고정 리테이너(14a,14b)의 수납홈(40)에 삽입된 상태는 선바이져(10)가 미사용 위치로서 수납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선바이져(10)를 방향에 관계없이 당기게 되면, 상기 한 쌍의 고정튜브(12a)가 고정 리테이너(14a,14b)의 수납홈(40)으로부터 이탈되는 동시에 슬라이딩 마찰면(42a,42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되고, 결국 고정 리테이너(14a,14b)로부터 탈거되어 선바이져(10)를 원하는 사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고정튜브(12a)가 슬라이딩 마찰면(42a,42b)중 점차로 높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마찰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때에는 고정튜브(12a)는 압축스프링(16)을 압축시키면서 뒤로 이동하게 되고, 연속해서 점차 낮아지는 경사각의 마찰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때에는 고정튜브(12a)는 압축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진 이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한 쌍의 고정튜브(12a)의 각 안쪽 끝단면(서로 마주보고 있는 면)은 항상 고정 리테이너(14a,14b)의 슬라이딩 마찰면(42a,42b)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선바이져(10)의 미사용시 선바이져(10)를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선바이져(10)를 방향에 관계없이 원위치로 밀어주게 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튜브(12a)가 고정 리테이너(14a,14b)의 슬라이딩 마찰면(42a,42b)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되어, 그 중앙의 수납홈(40)으로 삽입되어 선바이져(10)의 수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고정튜브(12a)가 전진 또는 후진할 때의 이동력을 조절하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일압력 조절용 노브(32)를 회전 조작하여 압축스프링(16)의 압축정도를 조절해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에 의하면 선바이져에 전진 또는 후진 이동 가능한 한 쌍의 고정튜브를 설치하고, 고정 리테이너를 중앙의 수납홈과 그 외주면에 슬라이딩 마찰면을 갖는 것으로 설치하여 한 쌍의 고정튜브가 슬라이딩 마찰면을 따라 수납홈에 수납되거나 탈거되되도록 함으로써, 선바이져의 수납 또는 인출 동작이 방향성에 관계없이 부드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선바이져의 수납 또는 인출 동작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선바이져의 사용시 편의성을 크게 제공하는 동시에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에 채택된 고정 리테이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에 채택된 고정 리테이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에 채택된 고정튜브가 도 2내지 도 3에 도시한 고정 리테이너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동작 궤적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종래의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고정튜브와, 이 고정튜브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바이져 12a,12b : 고정튜브
14a,14b,14c : 고정 리테이너 16 : 압축스프링
18 : 실린더 20 : 걸림단
22 : 밀봉 가압판 24 : 오일 충진공간
26 : 오일튜브 28 : 오일 실린더
30 : 피스톤 32 : 오일압력 조절용 노브
34 : 숫나사 36 : 암나사
38 : 절개홀 40 : 수납홈
42a,42b : 슬라이딩 마찰면 44 : 회전로드

Claims (4)

  1. 삭제
  2. 선바이져(10)의 고정튜브 설치구 양측면에 한 쌍의 고정튜브(12a)를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되, 전진 및 후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각 고정튜브(12a)의 후단이 삽입되고 고정튜브(12a)에 의하여 압축 가능한 압축스프링(16)이 내재된 실린더(18)를 선바이져(10)의 내부에 설치하며, 양측면 중앙에 수납홈(40)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은 슬라이딩 마찰면(42a,42b)으로 성형된 고정 리테이너(14a,14b)를 천정면에 장착하여서, 상기 각 고정튜브(12a)의 안쪽 끝단면이 상기 고정 리테이너(14a,14b)의 슬라이딩 마찰면(42a,42b)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수납홈(40)에 수납되거나 수납홈(40)으로부터 인출 이동되어 선바이져(10)의 인출 및 수납이 이루어지게 한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8)의 내부 후면과 압축스프링(16)의 후단 사이에 별도의 밀봉 가압판(22)이 내재되고, 상기 실린더(18)의 후면에 일측단이 연결되는 오일튜브(26)와, 이 오일튜브(26)의 타단이 연결되며 일면에는 오일압력조절용 노브(32)가 부착된 오일실린더(28)가 선바이져(10)의 내부에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테이너(14a)는 양측 중앙에 오목한 수납홈(40)을 갖는 사각 형상이고, 슬라이딩 마찰면(42a)은 상기 수납홈(40)으로부터 사방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동시에 최대 높이에서 다시 사방 끝단까지 점차 낮아지는 경사각을 갖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테이너(14b)는 양측 중앙에 오목한 수납홈(40)을 갖는 원형 형상이고, 슬라이딩 마찰면(42b)은 상기 수납홈(40)으로부터 전체 외부방향을 따라 동일한 곡면을 가지며 볼록하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
KR10-2002-0081514A 2002-12-20 2002-12-20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 KR10050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514A KR100506762B1 (ko) 2002-12-20 2002-12-20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514A KR100506762B1 (ko) 2002-12-20 2002-12-20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963A KR20040054963A (ko) 2004-06-26
KR100506762B1 true KR100506762B1 (ko) 2005-08-08

Family

ID=3734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514A KR100506762B1 (ko) 2002-12-20 2002-12-20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970B1 (ko) 2005-11-29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바이저 어셈블리
KR101628518B1 (ko) * 2014-11-05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선바이저 리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963A (ko) 200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5308A (en) Sliding visor
US7234209B2 (en)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vehicle interior parts
US6174019B1 (en) Extruded visor control
US20040068839A1 (en) Vehicle sunshade guide mechanism
US7556308B2 (en) Sunvisor of a vehicle
US4690450A (en) Visor system
KR100506762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인출 및 수납 구조
US5316361A (en) Expandable visor
JPH05286362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EP3401139B1 (en) Vanity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sun visor
US6892786B2 (en)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guide rail and one slide for a roll-up sun screen in a motor vehicle
US6626423B2 (en) Longitudinal entry clip for use in a vehicle jack system and a vehicle jack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5755005A (en) Wiper assembly attachment mechanism
US7066522B2 (en) Vehicle sun visor
CN107685693B (zh) 安装计算机设备
KR100197229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컵홀더장치
CN220785655U (zh) 一种汽车用内饰安装板
CN219134010U (zh) 一种隐藏式座椅挂钩
CN210116444U (zh) 一种具有自动收回功能的汽车后视镜
JP2000318528A (ja) 自動車のスライド式トノカバー
CN215323020U (zh) 一种车灯的快拆装置以及车灯
CN218661619U (zh) 安装装置以及终端支架
CN211764841U (zh) 一种汽车遮阳板
KR100510296B1 (ko) 가변형 컵홀더
GB2244964A (en) A sun vi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