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202B1 -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202B1
KR100506202B1 KR20030052761A KR20030052761A KR100506202B1 KR 100506202 B1 KR100506202 B1 KR 100506202B1 KR 20030052761 A KR20030052761 A KR 20030052761A KR 20030052761 A KR20030052761 A KR 20030052761A KR 100506202 B1 KR100506202 B1 KR 100506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optical module
sub
signal
cd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5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4235A (ko
Inventor
조재헌
고준호
김종권
주영훈
오윤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5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202B1/ko
Publication of KR2005001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202B1/ko

Links

Landscapes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지원하는 FTTH망에서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ONU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메인 광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이를 CDR로 인가하여 데이터 복구 및 타이밍 추출 검증과정을 거친 후 저가형 서브 광 모듈로 인가하고,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을 통해 서브 셋탑박스로 광 전송하는 메인 셋탑박스와, 메인 셋탑박스 또는 서브 셋탑박스와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을 통해 연결되고, 메인 셋탑박스 또는 서브 셋탑박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수신부에서 수신하고, 이를 CDR로 인가하여 데이터 복구 및 타이밍 추출 검증과정을 거친 후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송신부로 인가하고, 상기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송신부를 통해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광 전송하는 서브 셋탑박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CONVERGENCE SYSTEM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FOR EXPANDING STRUCTURE OF SUBSCRIBER INTERFACE MODULE UTILIZING LOW COST OPTICAL TRANSCEIVER}
본 발명은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지원하는 FTTH망에서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는 광 전송망인 FTTH망을 이용하여 각각의 가입자에게 방송/통신 데이터를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FTTH 방식은 전화국에서 각 가정까지의 가입자 회선을 광케이블로 설치하여 전화, 팩스, 데이터 통신, TV 영상까지 하나의 광케이블로 전송하는 가입자 선로 구성방식이다.
도 1은 일반적인 FTTH망에서 방송/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통신 통합 시스템은 OLT(10), ONU(20), 가입자 셋탑(30,32,34)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방송/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FTTH망은 가입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방송 사업자로부터 전달받은 방송 데이터를 전광 변환한 후, 하나의 광신호로 묶어 보내는 OLT(Optical Line Terminal)(10)로부터 받은 정보를 가입자로 전달하는 사용자측 장치인 ONU(Optical Network Unit)(20), 그리고 OLT(10)와 ONU(20)를 연결하는 광 케이블로 구성된다. 방송 사업자로부터 전송되는 방송/통신 데이터가 OLT(10)를 거쳐 ONU(20)로 전송되면, ONU(20)는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 제공 중 MPEG 스트림을 전송하는 경우 여러 노드를 거치면서 MPEG 스트림이 가입자 셋탑박스(Settop box)(30,32,34)까지 전송한다. 이와 같이 아날로그 광 전송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전송시스템은 ONU(20)로부터 셋탑박스(30,32,34)까지 수 Km 떨어져 있으며 광 커플러를 이용하여 광을 분기하여 복수의 가입자를 수용한다. 상기와 같은 방송신호 전송시스템의 경우 N개의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해 광커플러를 이용하여 광을 분배 하고있다. 이러한 1:N의 광커플러를 채용하는 구조에서는 가입자 N에 비례하는 만큼의 광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SOA(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또는 EDFA(Erbium Doped Fiber Amplifier)와 같은 광 증폭기가 필수적이다. 또한 종래의 방송신호 전송시스템에서 메인 셋탑박스가 하나의 서브 셋탑박스를 수용하는 방법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방송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의 가입자계의 확장을 위한 방법은 TDD(Time Division Demux)(212)에서 분리된 방송신호(MPTS 1, MPTS 2)중 MPTS 1의 경우 같은 셋탑박스 내의 MEPG decoder(214)에서 처리된다. 또한, MPTS 2의 경우 8개의 병렬의 MPEG 데이터가 동선을 통해 서브 셋탑박스(202)로 연결되어 서브 셋탑박스내의 MPEG decoder(216)에서 처리되어진다. 이와 같이 셋탑박스는 각각 1대의 TV에 연결되어 하나의 가입자를 수용하고, 하나의 서브 셋탑박스 외에 또 다른 셋탑박스를 수용하는데 있어 가입자계의 확장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메인 셋탑박스(200)와 서브 셋탑박스들(202, 204)간에 전송선로가 병렬 데이터 라인(Parallel data line)으로 연결되어 있어 커넥터와 케이블의 대형화가 불가피하며, 인접 데이터 전송선로간의 간섭발생으로 짧은 전송거리의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은 메인 셋탑박스에 하나의 서브 셋탑박스만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어 더 이상의 가입자계의 확장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셋탑박스간의 데이터 전송선로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커넥터와 케이블의 대형화를 초래할 뿐 아니라, 인접 전송선로간의 누화나 간섭발생으로 인해 전송거리가 짧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입자계의 확장이 필요한 경우 전송거리의 제약을 줄이고, 인접 전송선로간의 누화나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OLT(Optical Line Terminal)와 ONU(Optical Network Unit)와 하나의 메인 셋탑박스와 하나 이상의 서브 셋탑박스로 구성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ONU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메인 광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이를 제 1 CDR(Clock and Data Recovery)로 인가하여 데이터 복구 및 타이밍 추출 검증과정을 거친 후 제 1 서브 광 모듈로 인가하고, 상기 제 1 서브 광 모듈을 통해 하위의 서브 셋탑박스로 광 전송하는 메인 셋탑박스와, 상기 메인 셋탑박스 내지 상위의 서브 셋탑박스 중의 하나의 장치와 제 2 서브 광 모듈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메인 셋탑박스 내지 상위의 서브 셋탑박스 중의 하나의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제 2 서브 광 모듈의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제 2 CDR로 인가하여 데이터 복구 및 타이밍 추출 검증과정을 거친 후 제 2 서브 광 모듈의 송신부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서브 광 모듈의 송신부를 통해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광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셋탑박스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서브 셋탑박스 추가 시 복수의 가입자를 수용하며 셋탑박스간에 전송되는 데이터 손실이나 간섭의 제한 없이 수 십m이내의 댁내, 구내 또는 근거리 망에서 거리의 제약없이 가입자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이하 한 개의 메인 셋탑박스와 N개의 서브 셋탑박스간에 저가의 광 채널을 구성하여 가입자계를 확장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FTTH망에서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셋탑박스와 서브 셋탑박스 및 서브 셋탑박스와 서브 셋탑박스간 확장구조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입자계는 메인 셋탑박스(300)와 N개의 서브 셋탑박스(310,…, 320)로 구성된다.
메인 셋탑박스(300)는 ONU(Optical Network Unit)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광 모듈(206, 208)을 통해 연결되며, 별도의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송신부(309)를 통해 제 1서브 셋탑박스(310)와 연결된다. 또한, 제 1서브 셋탑박스(310)는 저가형 광 모듈을 통해 제 2서브 셋탑박스(320)로 연결된다. 이러한 데이지 체인 구조를 이용하여 가입자계는 N개의 서브 셋탑박스 수용이 가능하다. 이때 저가형 광 모듈은 메인 광 모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광전송 선로를 갖고, LED등과 같은 저가의 모듈과 POF(Plastic Optical Fiber)또는 MMF(Multi Mode Fiber)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메인 셋탑박스(300)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도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분기형 전송 선로로 구성되는 메인 셋탑박스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메인 셋탑박스(300)는 ONU와 광 채널을 구성하는 메인 광 모듈(302, 304)과 가입자계의 확장을 위하여 서브 셋탑박스(310) 및 서브 셋탑박스와 광 채널을 구성하는 저가형 서브 광 모듈(309, 310)로 구성된다.
먼저, ONU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메인 광 모듈의 수신부(302)에서 수신하여 파형정형(reshaping) 및 증폭율 조정(reamplifier)된 신호를 CDR(Clock and Data Recovery)(306)에 인가한다. 그러면, 광 모듈의 수신부(302)로부터 CDR(306)에 입력된 신호는 타이밍 추출 검증(retiming)된 신호로 TDD(Time Division Demultiplexer)와 서브 셋탑박스로 출력하기 위한 저가형 서브 모듈의 송신부(309)로 출력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메인 광 모듈(302, 3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CDR(306)을 통해 데이터 복구(Recovery) 및 타이밍 추출검증(Retiming) 과정을 거친 후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을 통해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신호가 전송된다. 이와 같이 CDR(306)을 거친 Rx+/Rx- 차동 전송선로(differential transmission line)중 Rx+(또는 Rx-)한가지를 TDD의 입력으로 받아 아날로그 방송용 기기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CDR(306)에서 출력되는 메인 광 모듈 수신부(302)의 나머지 Rx-(또는 Rx+)는 저가형 서브 광 모듈 송신부(309)의 Tx-(또는 Tx+)로 연결되어 파형정형(reshaping) 및 증폭율 조정(reamplifier)된 신호를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광 전송된다. 이때, 저가형 서브 광 모듈 송신부(309)의 Tx+(또는 Tx-)는 50Ω으로 접지시킨다.
그러면, 상기한 도 4와 같이 구성된 메인 셋탑박스(300)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서브 셋탑박스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분기형 전송 선로로 구성되는 서브 셋탑박스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서브 셋탑박스(310)는 메인 셋탑박스(300) 또는 다른 서브 셋탑박스와 광 채널을 구성하는 저가형 서브 광 모듈(312, 314)을 구비한다.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수신부(312)는 메인 셋탑박스(300) 또는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CDR(316)에 인가한다. 이때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수신부(312)는 입력된 신호를 파형정형(reshaping) 및 일정한 증폭율로 증폭(reamplifier)된 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CDR(316)은 상기한 도 4에서 설명한 CDR(306)과 마찬가지로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수신부(312)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데이터 복구(recovery) 및 타이밍 추출검증(Retiming)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복구(recovery) 및 타이밍 추출 검증(retiming)된 신호를 TDD(318)와 또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출력하기 위해서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송신부(314)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CDR(306)을 통해 데이터 복구(Recovery) 및 타이밍 추출검증(Retiming) 과정을 거친 Rx+/Rx- 차동 전송선로(differential transmission line)중 Rx+(또는 Rx-)를 TDD(318)로 입력하여 아날로그 방송용 기기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CDR(316)을 거쳐 출력되는 저가형 서브 광 모듈(312)의 나머지 Rx-(또는 Rx+)는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광 전송된다. 이때,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Tx+(또는 Tx-)는 50Ω으로 접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CDR(306, 31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TDD(308, 318)와 저가형 서브 광 모듈(309, 314)로 각각 동일한 신호 크기(power)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버퍼를 구비한다. 즉, 셋탑박스 내에 버퍼를 더 구비하여 CDR로 입력된 신호와 TDD 및 저가형 서브 광 모듈로 출력되는 신호가 모드 동일한 신호크기를 가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한 버퍼를 구비하는 가입자계에서 버퍼를 이용하여 차등 전송선로를 구현하는 방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메인 셋탑박스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ONU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메인 광 모듈의 수신부(302)로 수신하여 파형정형(reshaping) 및 일정한 증폭율로 증폭(reamplifier)된 신호를 CDR(Clock and Data Recovery)(306)에 인가한다. 그러면, 광 모듈의 수신부(302)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CDR(306)을 통해 타이밍 추출 검증(retiming) 과정 및 데이터 복구(recovery)과정을 거쳐 버퍼(600)로 출력된다. 버퍼(600)는 CDR(306)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TDD(Time Division Demux)와 서브 셋탑박스로 출력하기 위한 저가형 서브 모듈의 송신부로 동일한 신호 세기로 출력된다. 상기한 버퍼(6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광 전송하기 위해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송신부(309)로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송신부(309)는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또 다른 버퍼(600)의 출력신호는 TDD(308)의 입력되어 아날로그 방송용 기기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서브 셋탑박스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수신부(312)는 메인 셋탑박스(300) 또는 다른 서브 셋탑박스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CDR(316)에 인가한다. 이때 CDR(316)은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수신부(312)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데이터 복구(Recovery) 및 타이밍 추출검증(Retiming)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복구(Recovery) 및 타이밍 추출 검증(retiming)과정을 거친 신호를 버퍼(700)로 출력된다. 버퍼(700)는 CDR(316)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TDD(318)와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출력하기 위한 저가형 서브 모듈의 송신부(314)로 각각 동일한 신호 세기로 출력한다. 상기한 버퍼(7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광 전송하기 위해 저가형 서브 광 모듈의 송신부(309)로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송신부(309)는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신호를 송신한다. 또 다른 버퍼(700)의 출력신호는 TDD(318)의 입력으로 받아 아날로그 방송용 기기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CDR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차등(differential)으로 Buffer에 인가하여 CDR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TDD와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송신되는 신호가 CDR로 입력되기 전의 신호 세기와 각각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의 가입자 측에서 복수의 서브 셋탑박스를 구성하여 확장이 필요할 때 메인 셋탑박스와 서브 셋탑박스 그리고 서브 셋탑박스와 다른 서브 셋탑박스간에 저가의 광 채널을 구성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의 가입자 측에서 복수의 서브 셋탑박스를 구성하여 확장이 필요할 때 메인 셋탑박스와 서브 셋탑박스 그리고 서브 셋탑박스와 다른 서브 셋탑박스간에 저가의 광 채널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종래의 셋탑박스간 병렬 데이터 선로로 인한 커넥터와 케이블의 대형화와, 짧은 전송거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근거리 망에서 메인 셋탑박스가 제공하는 기능 외에 상대적으로 저가격의 서브 셋탑박스를 복수 개 구성하여 HDTV를 비롯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향후 댁내 또는 병원 호텔 학교 등과 같이 가입자계에서 확장이 필요한 경우 전송거리의 제약이 적으며 누화나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저가의 확장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FTTH(Fiber To The Home)망에서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방송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송/통신 통합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FTTH망에서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 방송/통신 통합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분기형 전송 선로로 구성되는 메인 셋탑박스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분기형 전송 선로로 구성되는 서브 셋탑박스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버퍼를 이용한 분기형 전송 선로로 구성되는 메인 셋탑박스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퍼를 이용한 분기형 전송 선로로 구성되는 서브 셋탑박스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도,

Claims (8)

  1. OLT(Optical Line Terminal)와 ONU(Optical Network Unit)와 하나의 메인 셋탑박스와 하나 이상의 서브 셋탑박스로 구성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ONU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메인 광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이를 제 1 CDR(Clock and Data Recovery)로 인가하여 데이터 복구 및 타이밍 추출 검증과정을 거친 후 제 1 서브 광 모듈로 인가하고, 상기 제 1 서브 광 모듈을 통해 하위의 서브 셋탑박스로 광 전송하는 메인 셋탑박스와,
    상기 메인 셋탑박스 내지 상위의 서브 셋탑박스 중의 하나의 장치와 제 2 서브 광 모듈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메인 셋탑박스 내지 상위의 서브 셋탑박스 중의 하나의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제 2 서브 광 모듈의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제 2 CDR로 인가하여 데이터 복구 및 타이밍 추출 검증과정을 거친 후 제 2 서브 광 모듈의 송신부로 인가하고, 상기 제 2 서브 광 모듈의 송신부를 통해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광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셋탑박스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셋탑박스와 상기 적어도 1 이상의 서브 셋탑박스들은 데이지 체인 구조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광 모듈은 상기 메인 광 모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광전송 선로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광 모듈은 LED, POF(Plastic Optical Fiber) 및 MMF(Multi Mode Fiber) 중의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셋탑박스는,
    상기 ONU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파형정형(reshaping) 및 증폭율 조정(reamplifier)된 신호를 상기 제 1 CDR에 인가하는 메인 광 모듈과,
    상기 메인 광 모듈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데이터 복구(Recovery) 및 타이밍 추출 검증(retiming)하여, TDD(Time Division Demux) 및 상기 제 1 서브 광 모듈로 출력하는 제 1 CDR과,
    상기 제 1 CDR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하위의 서브 셋탑박스로 송신하기 위한 서브 광 모듈과,
    상기 제 1 CDR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로 하여 아날로그 방송용 기기로 전달하는 TD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셋탑박스는,
    상기 ONU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파형정형(reshaping) 및 증폭율 조정(reamplifier)된 신호를 상기 제 1 CDR(Clock and Data Recovery)에 인가하는 메인 광 모듈과,
    상기 메인 광 모듈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데이터 복구(Recovery) 및 타이밍 추출 검증(retiming)된 신호로 출력하는 제 1 CDR과,
    상기 제 1 CDR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제 1 CDR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와 상기 제 1 서브 광 모듈 및 TDD로 출력되는 신호가 동일한 신호세기를 가지도록 출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신호를 상기 하위의 셋탑박스로 송신하기 위한 상기 제 1 서브 광 모듈과,
    상기 버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신호를 아날로그 방송용 기기로 전달되도록 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TD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셋탑박스들 각각은,
    상기 메인 셋탑박스 내지 상위의 서브 셋탑박스 중의 하나의 장치와 광 채널을 구성하고, 상기 메인 셋탑박스 내지 상위의 서브 셋탑박스 중의 하나의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파형정형(reshaping) 및 일정한 증폭율로 증폭(reamplifier)된 신호로 출력하는 제 2 서브 광 모듈의 수신부와,
    상기 제 2 서브 광 모듈의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데이터 복구(recovery) 및 타이밍 추출검증(Retiming) 과정을 거친 후 출력하는 제 2 CDR과,
    상기 제 2 CDR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광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 2 서브 광 모듈의 송신부와,
    상기 제 2 CDR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방송용 기기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TD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셋탑박스들 각각은,
    상기 메인 셋탑박스 내지 상위의 서브 셋탑박스 중의 하나의 장치와 광 채널을 구성하고, 상기 메인 셋탑박스 내지 상위의 서브 셋탑박스 중의 하나의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파형정형(reshaping) 및 일정한 증폭율로 증폭(reamplifier)된 신호로 출력하는 제 2 서브 광 모듈의 수신부와,
    상기 제 2 서브 광 모듈의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데이터 복구(recovery) 및 타이밍 추출검증(Retiming) 과정을 거친 후 출력하는 제 2 CDR과,
    상기 제 2 CDR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와, 상기 제 2 서브 광 모듈 및 TDD로 출력되는 신호가 동일한 신호세기를 가지도록 출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다른 서브 셋탑박스로 송신하기 위한 상기 제 2 서브 광 모듈의 송신부와,
    상기 버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방송용 기기로 상기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TD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KR20030052761A 2003-07-30 2003-07-30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KR10050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2761A KR100506202B1 (ko) 2003-07-30 2003-07-30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2761A KR100506202B1 (ko) 2003-07-30 2003-07-30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235A KR20050014235A (ko) 2005-02-07
KR100506202B1 true KR100506202B1 (ko) 2005-08-05

Family

ID=3722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52761A KR100506202B1 (ko) 2003-07-30 2003-07-30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85Y1 (ko) 2014-10-23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테나 폴용 받침대
CN105915306A (zh) * 2016-06-14 2016-08-31 北京海尔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一种中国数字音频广播cdr接收终端及其实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235A (ko) 2005-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6213A (en) Optical fiber network system
US6606430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with analog distribution
CN101755410B (zh) 一种用于提供双向射频服务的无源光网络系统
US7382982B2 (e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for integrating broadcast and communication based on time division multiplexing scheme
US7412169B2 (en) FTTH system for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switched broadcasting
KR101239300B1 (ko) 기가 비트 수동형 광 네트워크의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
US7936991B2 (en) Optical line terminating apparatus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4545048A (en) Service integrated digital transmission system
CN103262449B (zh) 无源光网络装置和方法
US8412044B2 (en) Optical fiber network with improved fiber utilization
US7418204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providing simultaneously both broadcasting service and data service
KR100701158B1 (ko) 펌프 광원이 단일 집적된 광송수신기 및 광송수신기 모듈
KR100506202B1 (ko) 저가형 광 모듈을 이용하여 가입자계를 확장하기 위한방송/통신 융합 시스템
KR100744540B1 (ko) 결합된 방송 신호를 위한 전광 수신/전송 장치 및 광전수신/송신 장치
JP2001251252A (ja) 光アクセス網、幹線ノード装置及び支線ノード装置
KR100506230B1 (ko) 광가입자 망 시스템
CN101420412B (zh) 一种信号处理的方法、系统和光线路终端
KR100576730B1 (ko)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 방송 데이터 서비스와 통신 데이터 서비스의 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광 회선 터미널과 광 네트워크 터미널
JP2006166465A (ja) 受動型光加入者網システムでの放送信号伝送方法及びその受動型光加入者網システム
KR100609696B1 (ko)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장치
KR100547782B1 (ko) 광신호 전송 시스템
KR100584395B1 (ko) Mpeg-ts 전송 장치
CN113411696B (zh) 一种数据传输系统及方法
JPWO2007083384A1 (ja) 受動光網システムにおける片方向伝送信号分配方法、局側装置及び加入者宅側装置
Hein et al. RACE 1051: a multigigabit transport and distribution technology for provision of digital video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