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514B1 -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514B1
KR100504514B1 KR10-2003-0060786A KR20030060786A KR100504514B1 KR 100504514 B1 KR100504514 B1 KR 100504514B1 KR 20030060786 A KR20030060786 A KR 20030060786A KR 100504514 B1 KR100504514 B1 KR 100504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d
host
stored
variable
initia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700A (ko
Inventor
조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514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1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3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using cryptography, e.g.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OD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스트에 연결된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에 연결된 POD간의 상호연동작업에 의한 초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저장된 변수가 있다면,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값과 상기 호스트에 기 저장된 변수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값이 같다면, POD와 호스트간 상호 연동작업 없이 각자 내부적으로 상기 저장된 변수값에 해당하는 단계까지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재삽입된 POD에 대해 발생하는 초기화의 불필요한 시간을 줄임으로써 보다 빠르게 사용자가 화면을 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Method of fast initializing in Point Of Deployment}
본 발명은 POD의 초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TB나 디지털 케이블 TV와 POD간의 초기화 과정을 간략히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케이블 디지털 셋탑박스(STB : Set Top Box) 혹은 디지털 TV를 보급함에 있어서 디지털 프로그램의 지적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전송측에서는 비밀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디지털 MPEG 데이터를 뒤섞어서(scrambling) 가입자에게 보내고, 수신측에서는 비밀키에 대응하는 가입자 비밀키를 사용하여 뒤섞여 들어오는 디지털 MPEG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재배열(descrambling)한다.
상기 재배열된 프로그램 데이터는 MPEG 디코더에서 디코딩(decoding) 되어, 가입자가 보고 들을 수 있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로 완전히 복원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뒤섞인 데이터를 재배열하는 기능을 가진 블록(block)이 예전에는 디지털 셋탑박스나 디지털 TV 내부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디지털 셋탑박스의 소매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뒤섞인 데이터를 재배열하는 기능을 갖는 블록을 디지털 셋탑박스와 분리하도록 하였다.
이에 분리된 재배열 블록(descrambling block(module))과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 MPEG 디코더, 및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or) 등이 포함된 케이블 셋탑박스 사이에 인터페이스(interface)가 생겼으며, 이를 규격으로 만들어 임의의 모듈과 호스트(host, 디지털 셋탑박스 혹은 디지털 TV를 지칭)가 서로 잘 접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Open cable POD module spec.)
이 규격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protocol)은 NRSS(National Renewable Security System) 규격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프로토콜이 6개의 층(layer)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6개의 층으로 물리층(Physical layer), 링크층(Link layer), 트랜스포트 층(Transport layer), 세션 층(Session layer), 리소스 층(Resource layer) 및 어플리케이션 층(Application layer)이 있다.
상기 물리층은 하드웨어에 대한 정의를 하고 있으며, 링크층, 트랜스포트 층, 세션 층, 리소스 층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층까지 올바르게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open cable 규격을 만족하는 POD의 초기화 과정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먼저, POD 모듈을 삽입한다.(S11) 상기 POD 모듈이 삽입되면 호스트는 저전압 모듈인지 확인하고 전원을 공급한다.(S13)
전원 공급 후 상기 POD를 리셋(reset)하고(S15), POD가 레디(ready)되었는지 확인 한다.(S17) 상기 POD가 레디되면 POD 안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정보를 읽어 이 카드가 POD 카드인지 확인한다.(S19) 이는 일반적인 호스트의 경우 삽입된 모듈이 POD 모듈이라 판단하기 전에는 pcmcia 카드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POD 확인 과정을 거치면 pcmcia 카드 동작에서 POD 모듈 동작으로 전환한다.(S21) 카드가 POD로 동작하면 POD와 호스트간에 링크 레이어에서, 사용하기 위한 버퍼 크기에 대한 상호 조정을 통해 버퍼 크기를 결정한다.(buffer negotiation)(S23)
일단, 버퍼 크기가 결정되면 그것을 기반으로 트랜스포트 층, 세션 층, 리소스 층 등에 대해 연결(connection)을 시도한다.(S23∼S27)
이처럼 다층에서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요구 및응답에 따라 object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상호 동작을 계속한다.(S31)
이후에 POD를 제거하면 그동안 연결되었던 모든 연결은 끊어버리고, 다시 삽입이 이루어질 때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처럼 POD가 다시 호스트에 삽입되어질 때, 상기와 같은 다단계를 거치면서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된다.
특히, 데이터가 뒤섞인 채널을 보기 위해 POD 삽입한 후, 수초간의 초기화 작업을 거쳐야 화면을 볼 수 있어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POD 재삽입 후 초기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화면의 늦은 디스플레이를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을 통해 해결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은,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에 연결된 POD간의 상호연동작업에 의한 초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저장된 변수가 있다면,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값과 상기 호스트에 기 저장된 변수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값이 같다면, POD와 호스트간 상호 연동작업 없이 각자 내부적으로 상기 저장된 변수값에 해당하는 단계까지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와 호스트에 저장된 변수값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 및 호스트에 기 저장된 변수값을 SHA-1 함수를 통해 160비트의 길이를 갖는 초기화 변수로 각각 변환시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구가 끝난 단계 이후 남아있는 초기화 단계가 있다면 상호 연동 작업에 의한 초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 및 호스트에 저장된 변수는, 상기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에 연결된 POD간의 최초 초기화 단계에서 얻어지는 일련의 정보 중 상기 POD가 제거되기 전 단계까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기화 단계에서 얻어지는 일련의 정보는, 트랜스포트 연결시 생성되는 트랜스포트 아이디 및 트랜스포트 연결 태그와, 세션 레이어 연결시 생성되는 세션 번호와, 상기 세션 번호에 일대일로 매칭되는 리소스 아이디와, 리소스 레이어에서 사용되는 변수를 이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가 없거나, 비교 결과 값이 같지 않다면, 상기 POD와 호스트간 상호 연동 작업에 의해 각 단계별로 일반적인 초기화 단계를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의 S101에서 S113에 이르는 일련의 단계는 POD 모듈인지 확인하고, 버퍼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앞서 설명한 도 1에서의 단계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S119에서 초기화 변수가 같은지 비교하는 단계가 포함되는데,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초기화 변수라 함은, 버퍼 크기를 결정한 후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각각의 과정에 해당하는 부여받은 아이디(id)와 동작중에 발생한 변수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이러한 변수들의 값을 SHA-1이라는 함수에 넣어 얻게되는 고정된 160비트(bit)의 값을 의미한다.
상기 SHA-1이라는 함수는 임의의 가변적인 입력받은 변수들에 대해 고정된 160비트의 출력값을 내는 함수로서, 상기 입력받는 변수가 1비트라도 틀린 경우 출력되는 값이 달라지는 특징을 갖는다. 때문에, 출력값이 같다면 상기 입력되는 변수가 같다는 걸 의미하게 되고, 이러한 SHA-1이라는 함수는 해킹등의 불법적인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초기화 변수의 획득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POD 모듈이 삽입되면, 버퍼 크기 결정 이후 트랜스포트 연결이 이루어질 때 생기는 변수인 트랜스포트 아이디 및 트랜스포트 연결이 이루어졌다는 태그(tag)가 저장된다. 세션 층은 리소스(resource)를 사용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세션이 오픈될 수가 있는데, 세션의 연결시마다 세션 번호가 생성 된다. 이러한 세션 번호에는 일대일로 리소스 아이디가 매칭(matching)이 되는데, 이 정보도 저장된다. 또한, 리소스 층에서 사용되거나 결정된 변수들도 함께 저장된다.
즉, 이러한 정보들은 POD 모듈의 삽입후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에 따라 호스트 및 POD에 차례로 저장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저장된 정보는 POD가 제거되었다가 다시 삽입될 때 버퍼 크기 결정 과정을 거치고, SHA-1이라는 함수의 입력값으로 사용됨으로써 초기화 변수를 얻게 된다.
따라서, 상기 초기화 변수가 저장된 호스트와 POD간에 교환하여 비교하면, 상기 호스트와 POD가 바로 이전에 연결이 있었는지 여부를 알 수가 있으며, 연결이 있었다면 어떤 상태까지 연동되었는지도 알게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비교한 값이 같다면 바로 이전에 연결이 있었던 POD이며, 이 경우 POD는 POD대로, 호스트는 호스트대로 POD가 제거되기 전 상황까지 복구를 하고, 복구가 끝난 시점에서 복구 확인 과정을 거쳐 정상적인 상호 연동 작업을 계속한다.
상기 비교한 값이 상이하다면 새로운 POD라 판단하고 새로운 초기화 작업을 시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첨부한 도 2를 통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버퍼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S113) 이후에 삽입된 POD에 변수가 저장되어있는지 확인한다.(S115)
상기 확인 결과 POD에 저장된 변수가 없다면 이는 처음 삽입된 POD이므로, S123에서 S127에 이르는 새로운 초기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POD에 저장된 변수가 있다면 이는 재삽입된 POD이므로, 상기 저장된 변수를 SHA-1 함수를 통해 160비트의 길이를 갖는 초기화 변수로 변환한다.(S117)
최초 삽입된 POD에 관한 변수 값은 호스트 내부에 단계별로 저장되어 160비트의 길이를 갖는 초기화 변수값으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S117에서 변환된 POD의 초기화 변수값과 비교하는 과정을 거친다.(S119)
상기 비교 결과 값이 다르다면 이는 새로운 POD라 판단하고, 다시 S123에서 S127에 이르는 초기화 과정을 거친다.
상기 비교 결과 값이 같다면, 호스트와 POD는 각자 내부 초기화 과정을 통해 POD가 제거되기 전 상황까지 복구를 하게 된다.(S121)
이 때, 전체 초기화 과정 중 시행되지 못한 단계가 있다면 마저 처리하게 되고, 이러한 초기화 과정이 끝나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함으로써 모든 초기화 과정을 마치게 된다.(S129)
이러한 단계로 초기화를 시행하게 되면, 호스트와 POD가 주고 받는 단계가 생략되어 복구 시간이 매우 빨라지게 되며, 전체 초기화 과정이 단순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은 호스트와 POD간의 상호 동작 과정을 담고 있는 변수를 확인함으로써 재삽입된 POD에 대해 발생하는 초기화의 불필요한 시간을 줄여 보다 빠르게 사용자가 화면을 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POD의 초기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OD의 초기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Claims (6)

  1.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에 연결된 POD간의 상호연동작업에 의한 초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저장된 변수가 있다면,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값과 상기 호스트에 기 저장된 변수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값이 같다면, POD와 호스트간 상호 연동작업 없이 각자 내부적으로 상기 저장된 변수값에 해당하는 단계까지 복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와 호스트에 저장된 변수값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 및 호스트에 기 저장된 변수값을 SHA-1 함수를 통해 160비트의 길이를 갖는 초기화 변수로 각각 변환시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가 끝난 단계 이후 남아있는 초기화 단계가 있다면 상호 연동 작업에 의한 초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 및 호스트에 저장된 변수는,
    상기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에 연결된 POD간의 최초 초기화 단계에서 얻어지는 일련의 정보 중 상기 POD가 제거되기 전 단계까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단계에서 얻어지는 일련의 정보는,
    트랜스포트 연결시 생성되는 트랜스포트 아이디 및 트랜스포트 연결 태그와,
    세션 레이어 연결시 생성되는 세션 번호와,
    상기 세션 번호에 일대일로 매칭되는 리소스 아이디와,
    리소스 레이어에서 사용되는 변수를 이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OD에 저장된 변수가 없거나, 비교 결과 값이 같지 않다면,
    상기 POD와 호스트간 상호 연동 작업에 의해 각 단계별로 일반적인 초기화 단계를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KR10-2003-0060786A 2003-09-01 2003-09-01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KR100504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786A KR100504514B1 (ko) 2003-09-01 2003-09-01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786A KR100504514B1 (ko) 2003-09-01 2003-09-01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700A KR20050024700A (ko) 2005-03-11
KR100504514B1 true KR100504514B1 (ko) 2005-08-02

Family

ID=3723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786A KR100504514B1 (ko) 2003-09-01 2003-09-01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5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700A (ko) 200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38561T3 (es) Interfaz bidireccional universal de transporte de datos serie y metodo de transporte asociado.
KR101499925B1 (ko) 미디어 콘텐츠 스트림의 복호화 방법과 장치와 시스템
JP5773179B2 (ja) 複数の暗号解読モードを有するtv受信機装置
CN102273218B (zh) 用于内容保护端口的预先认证及维持认证的方法、装置及系统
US84792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V and set back box
US20090172405A1 (en) Audio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EP3051801B1 (en) Video switch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US20110013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Switching Between Source Multimedia Devices
US20140082658A1 (en) Terminal based on conditional access technology
CN100442743C (zh) 网络接口单元
JPH09162859A (ja) スクランブル方法及び装置、デスクランブル方法及び装置、並びに、データ伝達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8219796A (ja) データ再生装置と送信器
KR101538711B1 (ko)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에러 검출을 이용하는 암호화의 검출
WO2011090663A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previewing contents from multiple protected sources
US20130227187A1 (en) Operation of Video Source and Sink With Hot Plug Detection Not Asserted
KR102095911B1 (ko) 오디오 리턴 데이터 링크를 통한 디지털 컨텐트 보호
CN109040853A (zh) 一种数字流媒体指纹水印保护方法及装置
US20100325651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et Top Box
US20140093075A1 (en) Secur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 stream
KR20060131443A (ko) 케이블 방송 수신기, 그의 리셋 방법, 그리고 데이터 구조
KR100504514B1 (ko) Pod의 빠른 초기화 방법
CN105376619B (zh) 一种机顶盒及与智能卡的通讯方法
US20090144805A1 (en) Information transf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060398B2 (ja) 受信機のソフトウエアの暗号化された形態の更新情報を読み取る方法、ビデオ通信受信機及びマイクロプロセッサカード
KR100837430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보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