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345B1 - 음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음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345B1
KR100504345B1 KR10-2003-0003886A KR20030003886A KR100504345B1 KR 100504345 B1 KR100504345 B1 KR 100504345B1 KR 20030003886 A KR20030003886 A KR 20030003886A KR 100504345 B1 KR100504345 B1 KR 100504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unit
beverage supply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965A (ko
Inventor
김지선
Original Assignee
김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선 filed Critical 김지선
Priority to KR10-2003-000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34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6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movement of parts, e.g. by movement of reflectors 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탑재된 음료용기에 음료수를 공급하기 위한 음료공급장치에 있어서, 기둥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안착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탑재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음료수를 저장하는 그릇형상의 음료수령부와; 상기 음료수령부에 연통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음료수령부에 저장된 음료수를 상기 용기안착영역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음료안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음료공급시간을 줄이면서 편리하게 음료수를 음료용기단위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공급장치{Beverage SuppIy Device}
본 발명은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음료용기에 음료수를 동시에 배급하기 위한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음료수에는 술, 쥬스 등 먹을 수 있는 모든 액체를 포함된다.
최근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음식문화가 형성되고 있고, 공식적 또는 사교적인 모임에서 여러 명이 테이블에 둘러 앉아 술 등의 음료수를 잔 등의 음료용기에 따라 마시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러한 음료수는 병 등의 저장용기에 담아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이 직접 따라 마시게 하거나 종업원이 직접 가지고 와서 각 고객의 잔 등에 따라 주는 경우도 있다.
음료수를 병 등의 저장용기에 따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경우 저장용기에 수용된 음료수의 양이 고객이 마시는 양보다 많은 경우 남은 음료수를 버려야 하므로 음료용기 단위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음료수를 음료용기 단위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업원이 일일이 고객 옆으로 접근하여 음료용기에 따라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음료수를 제공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종업원 및 고객 모두에게 불편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공급시간을 줄이면서 편리하게 음료수를 음료용기단위로 공급할 수 있는 음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탑재된 음료용기에 음료수를 공급하기 위한 음료공급장치에 있어서, 기둥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안착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탑재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음료수를 저장하는 그릇형상의 음료수령부와; 상기 음료수령부와 상기 용기탑재부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바닥면에는 음료저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릇형상 음료저장부와; 상기 음료수령부에 연통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음료수령부에 저장된 음료수를 상기 음료저장부로 안내하는 저장안내관부와 상기 음료저장부에 안내된 음료수를 상기 용기안착영역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분배안내관부를 구비하는 음료안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음료수 공급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음료공급탱크와, 일단은 상기 음료공급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음료수령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음료공급관과, 상기 음료공급관을 개폐하는 관개폐부와,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관개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수령측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측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형상의 지지부(1)와, 지지부(1)의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결합된 연꽃형상의 용기탑재부(10), 연꽃형상의 음료저장부(20) 및 꽃봉오리 형상의 음료수령부(30)와, 용기탑재부(10)와 음료저장부(20)사이에 개재하는 저장안내관(41)과 음료저장부(20)와 음료수령부(30)사이에 개재하는 분배안내관(43)을 갖고 있다.
용기탑재부(10)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되고, 잔이 안정적으로 놓여지는 용기안착홈(11)이 동일간격으로 분리되어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음료저장부(20)에는 음료저장홈(21)이 용기탑재부(10)에 형성된 용기안착홈(11)에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음료수가 자연적으로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음료저장홈(21)의 주변영역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수령부(30)는 연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향 플랜지(33)가 형성되어 있고, 음료수령홈(31)이 6개소에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음료수가 자연적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음료수령홈(31)의 주변영역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안내관(41)은 음료수령부(30)에 형성된 음료수령홈(31)의 저부로부터 지지부(1)의 내부를 경유하여 음료저장부(20)와 음료수령부(30)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 영역의 외표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배안내관(43)은 음료저장부(20)에 형성된 음료저장홈(21)의 저부로부터 시작하여 용기탑재부(10)에 형성된 용기안착홈(11)의 바로 상측에 하단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공급탱크(65)와, 음료공급탱크(65)에 우측 종단이 연결된 음료공급관(60)과, 음료공급관(60)의 중앙영역에 설치되는 개폐밸브(63)와, 개폐밸브(63)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개폐제어부(51)를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50)와, 원하는 음료공급을 중앙처리장치(50)에 입력하기 위한 음료공급조작부(61)를 갖고 있다.
음료공급관(60)의 좌측 종단영역은 절곡되어 있고, 음료수령부(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50)는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공급된 음료수에 대한 비용을 산출하는 음료비용산출부(53)를 갖고 있다. 여기서 중앙처리장치(50)는 응용프로그램과, 음료수가 공급되는 테이블에 대한 정보 및 음료수의 단가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음료공급조작부(61)는 테이블별로 설치하거나 계산대 등의 특정 장소에 하나 설치할 수 있으며, 음료공급을 요청하는 테이블에 대한 정보와 음료수의 공급요청량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료공급조작부(61)로부터 음료수 공급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50)의 개폐제어부(51)는 개폐밸브(63)를 제어하여 요청된 양만큼의 음료수가 음료공급탱크(65)로부터 음료공급관(6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음료공급제어와는 별도로 중앙처리장치(50)의 음료비용산출부(53)는 음료공급조작부(61)로부터 입력되는 음료수 공급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각 테이블별로 음료수 공급내역과 음료수 비용을 산출한다.
다음에 음료공급관(60)에 유입된 음료수는 음료수령부(30)로 흘러 들어간다. 이 때 플랜지(33)에 의해 음료수가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음료수령부(30)로 흘러 들어간 음료수는 음료수령홈(31)에 모아진 후 저장안내관(41)을 통해 음료저장부(20)로 유입된다.
다음에 음료저장부(20)에 유입된 음료수는 음료저장홈(21)과 분배안내관(43)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용기탑재부(10)의 용기안착홈(11)에 탑재된 잔으로 흘러 들어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음료수령부(30)와 음료수령부(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잔등의 음료용기를 탑재하는 용기탑재부(10)와 음료수령부(30)에 수령된 음료수를 자연적으로 용기탑재부(10)에 탑재된 음료용기로 안내하는 음료안내관(41, 42)을 마련함으로써 종업원들이 일일이 잔 등의 음료용기에 따를 필요 없이 음료수령부(30)에만 한 번 음료수를 공급하면 잔 등의 음료용기에 음료수가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음료수령부(30)와 용기탑재부(10)사이에 음료저장부(20)를 마련함으로써, 음료용기의 용량에 대응하여 음료수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음료공급탱크(65)에 많은 양의 음료수를 저장하고 밸브 등을 이용하여 음료수령부(30)에 자동적으로 음료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음료저장부를 설치하고 있으나 음료용기의 용량 및 수량에 따라 음료저장부를 증설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공급시간을 줄이면서 편리하게 음료수를 음료용기단위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수령측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측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지부 10 : 용기탑재부
11 : 용기안착홈 20 : 음료저장부
21 : 음료저장홈 30 : 음료수령부
31 : 음료수령홈 33 : 플랜지
50 : 중앙처리장치 51 : 개폐제어부
60 : 음료공급관 61 : 음료공급조작부
63 : 개폐밸브 65 : 음료공급탱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탑재된 음료용기에 음료수를 공급하기 위한 음료공급장치에 있어서,
    기둥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안착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탑재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음료수를 저장하는 그릇형상의 음료수령부와;
    상기 음료수령부와 상기 용기탑재부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바닥면에는 음료저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릇형상 음료저장부와;
    상기 음료수령부에 연통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음료수령부에 저장된 음료수를 상기 음료저장부로 안내하는 저장안내관부와 상기 음료저장부에 안내된 음료수를 상기 용기안착영역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분배안내관부를 구비하는 음료안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음료공급탱크와, 일단은 상기 음료공급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음료수령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음료공급관과, 상기 음료공급관을 개폐하는 관개폐부와,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관개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
KR10-2003-0003886A 2003-01-21 2003-01-21 음료공급장치 KR100504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886A KR100504345B1 (ko) 2003-01-21 2003-01-21 음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886A KR100504345B1 (ko) 2003-01-21 2003-01-21 음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965A KR20040066965A (ko) 2004-07-30
KR100504345B1 true KR100504345B1 (ko) 2005-07-27

Family

ID=3735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886A KR100504345B1 (ko) 2003-01-21 2003-01-21 음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3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965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45496B (zh) 自动饮料配制器
US5566732A (en) Beverage dispenser with a reader for size indica on a serving container
US6607013B1 (en) Automatic bar
US5490547A (en) System for providing a supply of chilled fluid
US4094445A (en) High speed beer dispensing method
US3933275A (en) Portable wine dispenser
US4944332A (en) Beverage dispenser for filling cups and extra-large receptacles with automatic dispensing shut off
US20070251955A1 (en) Liquid container valve system
KR20170042637A (ko) 다수의 용기를 위한 음료 분배 기기
US20180009648A1 (en) Reusable Vessel for Dispensing Beverages and Method of Storing and Dispensing Beverages
US1778248A (en) Portable dispensing apparatus
WO2011029747A1 (en) Machine for multiple beverage dispensing, particularly for coffee and/or still water and/or hot and/or chilled beverages
US5063977A (en) Beverage receptacle tray for extra-large receptacles
US8631814B2 (en) Flow control device
US6422132B1 (en) Multi-use brew bowl
US6059146A (en) Liquid delivery system that automatically delivers liquid from a plurality of containers
KR100504345B1 (ko) 음료공급장치
KR20200136413A (ko) 원격 제어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
US10266386B1 (en) Easy clean water bottle dispenser
JPH0920395A (ja) ビールディスペンサ
KR101632413B1 (ko) 관로 교체가 용이한 액체저장용기용 디스펜서
NL7906822A (nl)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dranken.
JPH08324694A (ja) ビールディスペンサ
US2167309A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11952259B2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