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238B1 - 경사형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경사형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238B1
KR100504238B1 KR10-2003-0026538A KR20030026538A KR100504238B1 KR 100504238 B1 KR100504238 B1 KR 100504238B1 KR 20030026538 A KR20030026538 A KR 20030026538A KR 100504238 B1 KR100504238 B1 KR 100504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treatment layer
water
inclined botto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2278A (ko
Inventor
오원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룡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룡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룡건설
Priority to KR10-2003-002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2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2Grey water, e.g. from clothes washers, showers or dishwas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animals, e.g. poultry, fish, or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폐수 및 축산분뇨 등 유기물과 모래 등의 무기물을 다량 포함하는 각종의 폐수를 대량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처리하여 무기물 등의 고형분을 제거하는 침사여과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수처리층들 및 이들을 지지하는 바닥이 경사진 경사바닥면(11)으로 이루어져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수처리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경사형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바닥면과 다른 곳으로 물이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벽을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바닥면이 20 내지 40°의 경사각(α)을 가지며; 상기 경사바닥면(11) 상에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직경 2 내지 5cm의 자갈들이 30 내지 5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1수처리층(12)과;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수파이프(14)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상기 제1수처리층(12) 상에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2수처리층(13)과;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상기 제2수처리층(13) 상에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3수처리층(15);들 및 상기 경사바닥면(11), 상기 제1수처리층(12), 상기 제2수처리층(13) 및 상기 제3수처리층(15)들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바닥면(11)을 기준으로 하여 낮은 쪽 방향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차수벽(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차수벽(31)에는 상기 제2수처리층(13)이 형성되는 높이에서 수처리가 완료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311)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형 수처리장치 {Inclinated type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경사형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생활폐수 및 축산분뇨 등 유기물과 모래 등의 무기물을 다량 포함하는 각종의 폐수를 대량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처리하여 무기물 등의 고형분을 제거하는 침사여과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수처리층들 및 이들을 지지하는 바닥이 경사진 경사바닥면으로 이루어져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수처리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경사형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산폐수 등을 포함하여 각종 생활활동, 생산활동 등에서 방출되는 오폐수는 매우 다종, 다양하며, 그 양 또한 매우 많아 적절한 처리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폐수처리는 환경오염과 관련하여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하고 있으며, 폐수처리와 관련된 기술의 개발 역시 활발하기는 하나, 다종, 다양, 대량의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에는 여전히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이면서도 효과적인 폐수처리기술은 아직도 많이 요구되는 기술의 하나이다. 특히, 축산폐수와 같이 유기물과 무기물을 동시에 다량으로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는 극히 비용이 많이 들며, 생산활동의 주체가 영세한 농민들이고, 축산시설 역시 전국에 걸쳐 산재해 있기 때문에, 축산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한편, 한국등록특허번호 제0165636호에는 하천에 설치되어 하천을 통과하는 생활하수를 정화하기 위한 하천의 정화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그 입구에는 수문과 입구망이, 그 출구에는 출구망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덮개판이 개폐가능하게 덮여지며, 그 내부에는 여과재들이 채워져서, 하천의 수로저부의 바닥에 매설되는 도수관과; 상기 도수관의 앞부분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천의 수로저부를 가로질러서 평상시의 하천수면보다 그 상단부가 높게 형성되는 입구제방과; 상기 입구제방을 경유한 모든 하천수는 수문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제방측벽들을 구성요소들로 가지는 하천의 정화장치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단지 이미 유로를 갖는 하천에 설치되어 하천을 통과하는 하수를 단순히 고형분만 정화하는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활폐수 및 축산분뇨 등 유기물과 모래 등의 무기물을 다량 포함하는 각종의 폐수를 대량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처리하여 무기물 등의 고형분을 제거하는 침사여과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수처리층들 및 이들을 지지하는 바닥이 경사진 경사바닥면으로 이루어져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수처리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경사형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수처리장치는,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바닥면과 다른 곳으로 물이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벽을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바닥면이 20 내지 40°의 경사각(α)을 가지며; 상기 경사바닥면 상에 상기 경사바닥면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직경 2 내지 5cm의 자갈들이 30 내지 5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1수처리층과;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수파이프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바닥면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상기 제1수처리층 상에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2수처리층과; 상기 경사바닥면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상기 제2수처리층 상에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3수처리층;들 및 상기 경사바닥면, 상기 제1수처리층, 상기 제2수처리층 및 상기 제3수처리층들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낮은 쪽 방향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차수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차수벽에는 상기 제2수처리층이 형성되는 높이에서 수처리가 완료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3수처리층 상에 상기 경사바닥면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4수처리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처리층이 모래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3수처리층은 활성탄층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수처리층이 모래층으로, 그리고 상기 제3수처리층이 활성탄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4수처리층은 톱밥층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수처리장치는,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바닥면과 다른 곳으로 물이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벽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바닥면이 20 내지 40°의 경사각(α)을 가지며; 상기 경사바닥면(11) 상에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직경 2 내지 5cm의 자갈들이 30 내지 5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1수처리층(12)과;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수파이프(14)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상기 제1수처리층(12) 상에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2수처리층(13)과;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상기 제2수처리층(13) 상에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3수처리층(15);들 및 상기 경사바닥면(11), 상기 제1수처리층(12), 상기 제2수처리층(13) 및 상기 제3수처리층(15)들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바닥면(11)을 기준으로 하여 낮은 쪽 방향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차수벽(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차수벽(31)에는 상기 제2수처리층(13)이 형성되는 높이에서 수처리가 완료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311)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최하층의 바닥을 20 내지 40°의 경사각(α)을 갖는 경사바닥면(11)으로 형성시켜 처리수의 흐름이 중력에 따라 자연스럽게 경사를 따라 흐르면서 처리되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각(α)이 20°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경사각이 너무 낮아 경사바닥면(11)으로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미비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반대로 40°를 초과하는 경우, 경사각이 너무 높아 수처리층들의 유효 수처리면적이 저하되고, 수처리층들을 구성하는 재료들이 물에 휩쓸려 경사각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각(α)은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가 될 수 있다. 상기 경사바닥면(11) 상으로는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제1수처리층(12), 제2수처리층(13) 및 제3수처리층(15)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제1수처리층(12)은 직경 2 내지 5cm의 자갈들이 30 내지 5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수처리층(13)은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상기 제1수처리층(12) 상에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수처리층(15)은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상기 제2수처리층(13) 상에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처리층(12)은 주로 자갈로 이루어지며, 자갈들 사이의 공극들이 크고 넓게 형성되어 처리수 중의 고형분들이 주로 퇴적될 때 이들 자갈들 사이의 공극들 사이로 퇴적되도록 하여 제2수처리층(13)에서는 이들 고형분들이 잔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처리시 처리수의 흐름을 좋게 하고, 대부분의 실질적인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기능한다. 상기 제1수처리층(12)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수처리층(13)은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상기 제1수처리층(12) 상에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여재로서 모래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제2수처리층(13)은 모래 등으로 구성되어 미세한 유기 및 무기의 고형분들을 여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수처리층(13)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수파이프(14)들이 매립되어 있으며, 이들 통수파이프(14)들은 제2수처리층(13) 내에서의 통수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통수파이프(14)들은 바람직하게는 그 벽에 다수의 통공(141)들이 형성되어 처리수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처리층(13) 상에는 제3수처리층(15)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3수처리층(15) 역시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상기 제2수처리층(13) 상에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여재로서 활성탄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제3수처리층(15)은 활성탄의 흡착기능 등을 이용하여 미생물 기타 분자수준의 오염물질들을 흡착, 제거하며, 이러한 분자수준의 오염물질들의 흡착 및 제거는 활성탄 특유의 다공질에 기인하며, 활성탄에 형성된 무수히 많은 미세한 기공들에 이들 오염물질들이 흡착, 제거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활성탄은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벽(31)은 상기 경사바닥면(11), 상기 제1수처리층(12), 상기 제2수처리층(13) 및 상기 제3수처리층(15)들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바닥면(11)을 기준으로 하여 낮은 쪽 방향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차수벽(31) 내로 상기 경사바닥면(11)으로부터 상부로 순차적으로 수처리층들을 적층하여 형성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수처리장치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수벽(31)에는 상기 제2수처리층(13)이 형성되는 높이에서 수처리가 완료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311)들이 형성되며, 이들은 상기 차수벽(31)에 적어도 20 내지 30mm 직경의 2개 이상의 파이를 2 내지 3열 이상의 배열로 매립하고, 이 파이프들의 일측단부는 상기 차수벽(31) 내로 관통, 개방되어 상기 차수벽(31) 내에 형성되는 상기 제2수처리층(13)과 통수가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들의 타측단부는 상기 차수벽(31) 외로 돌출되어 나와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수처리장치를 통하여 침사여과된 물을 기타 화학적 처리 및/또는 생물학적 처리 등의 후속의 수처리공정들을 거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화학적 처리 및/또는 생물학적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 그대로 방류할 수도 있다.
상기 제3수처리층(15) 상에는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4수처리층(1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침사여과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수처리층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수처리층(13)이 모래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3수처리층(15)은 활성탄층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처리층(13)이 모래층으로, 그리고 상기 제3수처리층(15)이 활성탄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4수처리층(16)은 톱밥층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처리층, 제2수처리층, 제3수처리층 및/또는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제4수처리층 모두에 각각 통수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다. 처리수의 유,무기 고형분의 농도에 따라 각 층에의 통수파이프의 설치를 각각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수벽(31)을 기준으로 하여 그 내측에 상기 경사바닥면(11)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수처리장치의 최상위의 수처리층 상에 처리수를 유입시키면, 처리수층(21)이 일정시간 유지되면서 점차로 처리수가 최상위의 수처리층으로부터 점차로 하위의 수처리층으로 이행하면서 톱밥층, 활성탄층, 모래층을 통하여 침사여과되어 여과가 종료된 물만이 상기 차수벽(31)의 배수구(3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후속의 화학적 처리 및/또는 생물학적 처리 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바의 경사바닥면(11)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40°의 경사각(α)을 이루면서 상기 수처리층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중력의 도움으로 낮은 경사쪽으로부터 신속하게 여과가 진행되며, 어느 일부 즉,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차수벽(31)에 가까운 쪽이 여과된 고형분들로 폐색되는 경우에 순차적으로 상기 차수벽(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면서 지속적으로 여과되면서 최상위의 수처리층으로부터 차례로 하위의 수처리층으로 이행되면서 점차로 여과되고 난 후, 배수구(311)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또한, 가장 폐색되기 쉬운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모래층으로 구성되는 제2수처리층(13)의 경우 그 내부에 다수의 통수파이프(14)들이 매립되어 있어 수처리의 처리량을 대량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수평여과수로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침사여과조의 경우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가 요구되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종래의 수평식 침사여과조와는 달리 무동력으로도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실시예
경사형 수처리장치의 구성
30°의 경사각(α)을 갖는 경사바닥면(11)과; 상기 경사바닥면(11) 상에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평균 직경 3cm의 자갈들이 4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1수처리층(12)과;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수파이프(14)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모래가 상기 제1수처리층(12) 상에 4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2수처리층(13)과;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수파이프(14)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바닥면(11)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활성탄이 상기 제2수처리층(13) 상에 4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3수처리층(15);들을 각각 적층시켜 형성시키고, 상기 경사바닥면(11), 상기 제1수처리층(12), 상기 제2수처리층(13) 및 상기 제3수처리층(15)들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바닥면(11)을 기준으로 하여 낮은 쪽 방향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차수벽(31);을 형성시키고, 상기 차수벽(31)에 상기 제2수처리층(13)이 형성되는 높이에서 수처리가 완료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311)들을 형성시켜서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수처리장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평균 직경 3cm의 자갈들이 4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자갈층과 모래가 4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모래층 및 톱밥이 4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톱밥층으로 이루어지며, 각 층들이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종래의 침사여과조를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여과효율의 측정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각 침사여과조로부터 여과 후 배출되는 처리수를 채취하여 자외선/가시광선 스펙트로메터(UV/VIS spectrometer)로 투광도를 측정하여 고형분의 오염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비교예의 처리수는 농도가 진하므로 각 파장에서 흡수량이 많게 나타났으며, 실시예의 처리수는 농도가 묽으므로 각 파장에 따라 흡수량이 적게 나타났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침사여과조의 여과효율이 우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처리속도의 측정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각 침사여과조에 처리수를 공급하고 난 후, 시간 당 유출되는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의 처리수의 배출속도가 평균 0.3톤/시간으로 나타남에 비하여, 실시예의 처리수의 배출속도가 평균 1.1톤/시간으로 여과속도가 현저히 빨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생활폐수 및 축산분뇨 등 유기물과 모래 등의 무기물을 다량 포함하는 각종의 폐수를 대량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처리하여 무기물 등의 고형분을 제거하는 침사여과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수처리층들 및 이들을 지지하는 바닥이 경사진 경사바닥면(11)으로 이루어져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수처리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경사형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수처리장치의 여과효율을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경사바닥면 12 : 제1수처리층
13 : 제2수처리층 14 : 통수파이프
15 : 제3수처리층 16 : 제4수처리층
21 : 처리수층 31 : 차수벽
141 : 통공 311 : 배수구

Claims (4)

  1.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바닥면과 다른 곳으로 물이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벽을 포함하는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바닥면이 20 내지 40°의 경사각(α)을 가지며;
    상기 경사바닥면 상에 상기 경사바닥면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직경 2 내지 5cm의 자갈들이 30 내지 5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1수처리층과;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수파이프들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바닥면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상기 제1수처리층 상에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2수처리층과;
    상기 경사바닥면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상기 제2수처리층 상에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3수처리층;들 및
    상기 경사바닥면, 상기 제1수처리층, 상기 제2수처리층 및 상기 제3수처리층들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낮은 쪽 방향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차수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차수벽에는 상기 제2수처리층이 형성되는 높이에서 수처리가 완료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들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형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처리층 상에 상기 경사바닥면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하여 활성탄, 톱밥, 모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여재가 30 내지 60cm의 두께로 퇴적되어 수처리층을 형성하는 제4수처리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경사형 수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처리층이 모래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3수처리층은 활성탄층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경사형 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처리층이 모래층으로, 그리고 상기 제3수처리층이 활성탄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4수처리층은 톱밥층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경사형 수처리장치.
KR10-2003-0026538A 2003-04-25 2003-04-25 경사형 수처리장치 KR100504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538A KR100504238B1 (ko) 2003-04-25 2003-04-25 경사형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538A KR100504238B1 (ko) 2003-04-25 2003-04-25 경사형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278A KR20040092278A (ko) 2004-11-03
KR100504238B1 true KR100504238B1 (ko) 2005-07-27

Family

ID=3737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538A KR100504238B1 (ko) 2003-04-25 2003-04-25 경사형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290B1 (ko) * 2014-08-11 2016-02-29 박성배 폐수 여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278A (ko) 200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US6423216B1 (en) Biological oxidation filter system
CN101708891B (zh) 曝气生物活性炭滤池及应用其净化给水的方法
KR100820863B1 (ko) 오수처리용 인공습지 시설
KR101815246B1 (ko) 고효율 복합 인공습지 시스템
KR100891656B1 (ko)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101564A (ko) 오수처리용 인공습지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0536952B1 (ko) 폴리에틸렌 여재를 사용한 다단계 수두차 여과식 하천정화 장치
JP2004209465A (ja) 湿地型水質浄化処理システム
KR20090033680A (ko)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KR100880535B1 (ko)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100504238B1 (ko) 경사형 수처리장치
KR102414675B1 (ko) 하수처리 시스템
KR100960643B1 (ko) 오염수 처리장치
KR101025581B1 (ko) 제방에 설치되는 계단식 수질 정화장치
KR100424289B1 (ko) 정화처리용 자연평형 수직흐름형 인공습지 설비
KR101543548B1 (ko) 중력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총인여과방법
KR200257303Y1 (ko)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장치
KR100441620B1 (ko) 자갈 및 세라믹을 채운 다층 구조의 상향류식 하천 정화장치 및 정화 방법
KR20170063126A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110099930A (ko) 하천수 및 비점오염 정화장치
KR20210048388A (ko) 일체형 방류수 수직여과장치
KR20100047042A (ko) 월류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