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885B1 - 두류 탈곡기 - Google Patents

두류 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885B1
KR100503885B1 KR1020040072896A KR20040072896A KR100503885B1 KR 100503885 B1 KR100503885 B1 KR 100503885B1 KR 1020040072896 A KR1020040072896 A KR 1020040072896A KR 20040072896 A KR20040072896 A KR 20040072896A KR 100503885 B1 KR100503885 B1 KR 100503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stem
housing
puls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도원
Original Assignee
윤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도원 filed Critical 윤도원
Priority to KR1020040072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콩이나 팥과 같은 두류(豆類)를 탈곡하는 과정에서 소형, 경량 구조를 갖는 탈곡기를 통해 운반 및 사용이 용이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탈곡편을 구비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설치된 걸름망의 사용을 통해 탈곡된 콩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두류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전축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모터의 동력이 벨트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서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는 두류의 줄기를 탈곡한 후, 두류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두류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53)의 외주면에 두류의 줄기를 탈곡하기 위한 다수의 탈곡편(53a)이 방사형으로 입설되고, 상기 회전축(53)과 두류배출부(55) 사이에는 탈곡되는 일정 크기 이하의 콩알과, 줄기 및 깍지를 배출하기 위한 걸름망(5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류 탈곡기{Threshing machine for beans}
본 발명은 두류 탈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콩이나 팥과 같은 두류(豆類)를 탈곡하는 과정에서 소형, 경량 구조를 갖는 탈곡기를 통해 운반 및 사용이 용이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탈곡편을 구비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설치된 걸름망의 사용을 통해 탈곡된 콩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두류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류 탈곡기는 콩이나 팥과 같은 두류의 줄기를 투입하여 콩알과, 줄기, 깍지를 분리하는 탈곡작업을 수행하는 기계로서, 통상적인 두류 탈곡기는 드럼축의 외주면에 일체화된 탈곡드럼이 설치되고, 상기 탈곡드럼이 내장되는 외통의 일측에 투입부를 형성하며, 외통의 저부에는 하향경사진 두류배출부를 형성하여 본체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와, 외통 외부로 돌출된 탈곡드럼을 벨트로 연결하여 상기 모터의 동력을 이용해 탈곡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줄기를 탈곡하며, 콩알과, 일정 크기 이하의 줄기, 깍지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나머지 큰 줄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콩알과 깍지, 일정 크기 이하의 줄기는 송풍장치를 통하여 다시 콩알과 불필요한 깍지 및 줄기를 분리,선별하며 이때, 종래의 두류 탈곡기는 상기 탈곡드럼이 일정 직경(약 200φ)이상으로서 구성됨에 따라 탈곡드럼을 둘러싸고 있는 외통 또한 대형화가 요구되므로써 두류 탈곡기 전체 또한 중량화가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농가에서 탈곡을 하고자 할 때, 두류 탈곡기의 운반이나 사용이 쉽지 않고, 비교적 소량의 두류를 경작하는 농가에서는 이러한 두류 탈곡기의 사용이 번거로우며, 상기 탈곡드럼 하부에 탈곡된 일정 크기 이하의 콩알이나, 기타 잔부스러기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걸름망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탈곡과정에서 콩알이 손상된 상태로서 줄기나 깍지와 함께 배출되어 콩알의 손실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탈곡드럼의 사용없이 소정 직경을 갖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봉 형상을 갖는 탈곡면을 다수개 입설하여 사용하므로써,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운반 및 사용이 용이하며, 회전축의 하부에 설치된 걸름망의 사용을 통해 탈곡된 콩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두류 탈곡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두류 탈곡기는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전축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모터의 동력이 벨트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서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는 두류의 줄기를 탈곡한 후, 두류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두류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두류의 줄기를 탈곡하기 위한 다수의 탈곡편이 방사형으로 입설되고, 상기 회전축과 두류배출부 사이에는 탈곡되는 일정 크기 이하의 콩알과, 줄기 및 깍지를 배출하기 위한 걸름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은 두류의 줄기가 상부로부터 투입되고 내면 일측 상단에 상기 줄기의 토출을 방지하기 위한 토출방지판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상에 1개 이상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의 일측에 연설된 반원 형상의 제 2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름망에는 탈곡된 일정 크기 이하의 콩알과, 줄기 및 깍지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름망의 일단부에는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지 않은 콩알과, 줄기 및 깍지가 배출되는 사각 형상의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류 탈곡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류 탈곡기의 부분 절개 및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류 탈곡기에 있어서의 제 2하우징이 오픈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류 탈곡기의 측단면도로서, 이에 따른 두류 탈곡기(50)는 크게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동력발생 및 전달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두류의 줄기를 탈곡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콩알이나, 줄기 및 깍지가 배출되는 걸름망과; 상기 걸름망 하부에 설치되어 콩알이나, 줄기 및 깍지가 자연낙하하는 두류배출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1쌍의 지지 프레임(51a) 상단과, 하단 내측에 1쌍의 연결바(51b,51c)가 고정부착된다.
상기 하우징(52)은 제 1하우징(52a)과, 상기 제 1하우징의 일측에 연설된 제 2하우징(52c)으로 구성되어지되, 제 1하우징(52a)은 사각 형태로서 상면과 저면이 개방되고 전면에는 후술하는 제 2하우징(52c)과 연통되기 위한 반원 형상의 가공부가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두류의 줄기가 투입되고, 내면 일측 상단에는 탈곡과정에서 줄기의 상방향으로의 토출을 방지하기 위한 토출방지판(52b)이 약 45°각도로서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며, 제 1하우징(52a)의 양측 수평 절곡부는 후술하는 두류배출부(55)의 상단 양측에 각각 볼트(bolt)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52c)은 반원 형상으로 상기 제 1하우징(52a)의 일측에서 양측 수평 절곡부가 상기 두류배출부(55)의 상단 양측에 각각 볼트고정된다.
상기 회전축부는 지지 프레임(51a)의 양측 상단에 고정설치된 베어링블록(53c,53d)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소정 직경을 갖는 회전축(53)의 일단은 상기 제 1하우징(52a)을 관통하여 일측 베어링블록(53c)에 연결되고, 회전축(53)의 타단은 상기 제 2하우징(52c)을 관통하여 타측 베어링블록(53d)에 연결되며, 회전축(53)의 외주면에는 두류의 줄기를 탈곡하기 위한 봉 형상을 갖는 다수의 탈곡편(53a)이 방사형으로 용접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상기 걸름망(54)은 중앙부 내면과 양측면에 탈곡된 일정 크기 이하의 콩알과, 줄기 및 깍지가 배출되는 배출공(54a, 직경 약 15㎜)이 다수개 통공되고, 걸름망(54)의 일단부에는 상기 배출공(54a)을 통해 배출되지 않은 콩알과, 줄기 및 깍지가 배출되는 사각 형상의 배출구(54b)가 형성되며, 상단 양측의 수평 절곡부가 상기 두류배출부(55)의 상단 양측에 각각 재치되어 전술한 제 1, 제 2하우징(52a,52c)을 관통하는 볼트에 체결된다.
상기 두류배출부(55)는 하부가 약 45° 각도로 하향경사진 상태로서 상부 양측 수평 절곡부와, 전,후단부가 상기 연결바(51b)의 상면에 재치되어 상기 제 1, 제 2하우징(52a,52c)과, 걸름망(54)의 양측을 관통하는 볼트에 각각 체결되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1d는 모터지지바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는 제 1하우징(52a)이 1개만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두류 작업량에 따라 보다 많은 양의 두류 탈곡을 원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51a)의 간격을 넓히고, 제 1하우징(52a)을 2개 혹은 3개 설치할 경우, 복수의 제 1하우징(52a) 상부를 통해 두류의 줄기를 각각 투입하므로써, 동일한 두류 탈곡기(50)를 통해 두류의 탈곡 작업량을 2~3배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6)의 구동에 따라 모터축에 착설된 구동풀리(56a)가 회전하면, 이 회전력이 벨트(57)를 통해 상기 회전축(53)의 일단부에 착설된 종동풀리(53b)에 전달되면서 상기 회전축(53)이 회전을 시작한다.
이후, 상기 제 1하우징(52a)의 상부를 통해 두류의 줄기가 투입되면, 상기 탈곡편(53a)에 의해 두류의 줄기가 탈곡되면서 상기 걸름망(54)의 배출공(54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콩알이나, 줄기 및 깍지는 상기 배출공(54a)을 통해 배출되고, 이러한 작용은 상기 방사형으로 입설된 탈곡편(53a)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두류배출부(55)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연속적으로 계속된다.
한편, 위와 같은 작용을 통하여도 배출공(54a)의 직경보다 큰 줄기, 깍지와, 배출공으로 배출되지 않은 일부 극소량의 콩알은 상기 배출구(54b)를 통해 두류배출부(55)로 낙하한다.
위와 같은 탈곡과정에서 상기 회전축(53)이 일정 직경 이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별도의 탈곡드럼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므로써 두류 탈곡기(50)의 전체 크기나 중량이 크게 감소되어 농가에서 비교적 적은 양의 두류를 탈곡하는 데 있어서 두류 탈곡기(50)의 운반이나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일정 크기 이하의 콩알과, 줄기 및 깍지는 상기 걸름망(54)의 저면과 양측의 배출공(54a)을 통해 두류배출구(55)로 낙하하므로 콩알의 손상이 크게 줄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여 콩알과, 줄기 및 깍지가 배출공(54a)과 두류배출부(55)를 통해 모두 배출되면 이를 수거하여 풍구등 별도의 송풍장치를 통해 콩알과, 줄기 및 깍지를 분리하여 손상이 최소화된 상태의 콩알만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콩이나 팥과 같은 두류의 줄기 탈곡을 위한 별도의 탈곡드럼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류 탈곡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므로써, 운반이나 사용이 용이하고, 비교적 소량의 두류를 경작하는 농가에 있어서 두류 탈곡기의 사용이 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축 하부에 설치된 걸름망을 통해 탈곡된 일정 크기 이하의 콩알이나, 기타 잔부스러기를 배출하므로써, 탈곡과정에서의 콩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류 탈곡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류 탈곡기의 부분 절개 및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류 탈곡기에 있어서의 제 2하우징이 오픈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류 탈곡기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두류 탈곡기 51a : 지지 프레임
52 : 하우징 52b : 토출방지판
53 : 회전축 53a : 탈곡편
53b : 종동풀리 54 : 걸름망
54a : 배출공 54b : 배출구
55 : 두류배출부 56 : 모터
56a : 구동풀리 57 : 벨트

Claims (4)

  1. 삭제
  2.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하우징을 관통하여 외주면에 두류의 줄기를 탈곡하기 위한 다수의 탈곡편이 방사형으로 입설된 회전축을 설치하고, 모터의 동력이 벨트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서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는 두류(豆類)의 줄기를 탈곡한 후, 두류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회전축과 두류배출부 사이에는 탈곡되는 일정 크기 이하의 콩알과, 줄기 및 깍지를 배출하기 위한 걸름망이 설치된 두류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2)의 내면 상단에 상기 줄기의 토출을 방지하기 위한 토출방지판(52b)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상기 걸름망(54)의 일단부에는 상기 배출공(54a)을 통해 배출되지 않은 콩알과, 줄기 및 깍지가 배출되는 사각 형상의 배출구(54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 탈곡기.
  3. 삭제
  4. 삭제
KR1020040072896A 2004-09-13 2004-09-13 두류 탈곡기 KR100503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896A KR100503885B1 (ko) 2004-09-13 2004-09-13 두류 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896A KR100503885B1 (ko) 2004-09-13 2004-09-13 두류 탈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3885B1 true KR100503885B1 (ko) 2005-07-27

Family

ID=3730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896A KR100503885B1 (ko) 2004-09-13 2004-09-13 두류 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88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260B1 (en) Direct drive system with a flywheel for an agricultural combine
US3742686A (en) Axial flow combine harvester
US4004404A (en) Rotary combine with improved concave
US4031901A (en) Concave for an axial flow type combine
US5873226A (en) McLeod harvesting system and method
KR101048261B1 (ko) 곡물 탈곡 및 배아 제거 방법과 장치
CA1040043A (en) Rotor for a combine
KR100503885B1 (ko) 두류 탈곡기
Akubuo PH—Pastharvest Technology: Performance Evaluation of a Local Maize Sheller
KR100639976B1 (ko) 콩 탈곡기
KR100996963B1 (ko) 콩 수확용 보통형 콤바인 탈곡드럼
CN217614884U (zh) 一种用于稻谷脱粒机的稻谷筛选装置
CN115812424A (zh) 一种自走式大豆收割脱粒一体设备
JP5797940B2 (ja) コンバインの扱胴
CN107258241A (zh) 一种油菜脱粒及秸秆粉碎装置
KR100465753B1 (ko) 콩 탈곡장치
KR200392897Y1 (ko) 콩 탈곡기
CN107371635A (zh) 一种剥玉米系统及其工作方法
KR200394295Y1 (ko) 콩 탈곡기
CN207040265U (zh) 一种油菜脱粒及秸秆粉碎装置
RU2243642C1 (ru) Зерн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KR200225667Y1 (ko) 상토제조기와 탈곡 겸용장치
KR200377285Y1 (ko) 두류 탈곡기의 줄기 절단장치
WO2005048684A3 (en) Green cicer bean harvesting apparatus and method
CN218244561U (zh) 一种水稻收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