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979B1 - A porous bloc and a unit structure with the bloc - Google Patents

A porous bloc and a unit structure with the blo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979B1
KR100502979B1 KR1020040098781A KR20040098781A KR100502979B1 KR 100502979 B1 KR100502979 B1 KR 100502979B1 KR 1020040098781 A KR1020040098781 A KR 1020040098781A KR 20040098781 A KR20040098781 A KR 20040098781A KR 100502979 B1 KR100502979 B1 KR 10050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ructure
porous block
joining
long hole
st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7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Priority to KR102004009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9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979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식생공간으로 적합할 뿐 아니라 파충류를 비롯한 소동물의 활동공간으로 적합하고 여기에다 수중생물의 생식공간으로도 적합함은 물론이고 성토지 사면과 하천ㆍ호안 등의 환경친화적인 축조를 이루고자 한 것이다. 시공이 용이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의 형상과 구조이고 동시에 이를 배열 시공한 결과 구조 역학적으로 상호 쪼임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부등침하에 대응할 만큼 안정적인 제방 및 옹벽축조를 추구하고자 한 다공질 블록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not only as a vegetation space of plants but also as an activity space for small animals including reptiles, and also as a habitat for aquatic organisms, as well as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of slopes, rivers and lakes. It was to achieve. It is a porous block that is easy to construct and efficient in shape and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structural block mechanically plunged to ensure stable embankment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to cope with uneven settlement.

Description

다공질 블록 및 그 유닛구조 {A porous bloc and a unit structure with the bloc}A porous bloc and a unit structure with the bloc}

본 발명은 토사의 유실이나 세굴방지 및 식생을 위한 하천, 호안, 성토지 사면 등에 축조되는 다공질 블록 및 그 유닛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ous block and its unit structure constructed in rivers, lakes, land slopes, etc. for the prevention of loss or scour of soil and vegetation.

다시 말하면 모래ㆍ토사 유실방지용 및 식생용 제방, 물이 많은 지형에 이용하는 토류옹벽, 어소, 어초로서 사용되는 다공질 블록 및 그 유닛구조에 관한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ous block used as a sand retaining wall, a fishery, a fish reef, and a unit structure thereof for preventing sand and soil loss, a dike for vegetation, and a watery terrain.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법면에 있어 토사유실이나 붕괴를 방지하기위하여 옹벽을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콘크리트제 옹벽 블럭은 식생이 불가능하여 환경친화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환경에 관심이 커지면서 최근에는 식생이 가능한 블록을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다공성 식생블록의 문제점을 들어본다면, 지반의 부등침하에 대한 대처가 어려운 형상과 구조로 되어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부등 침하에 대하여 구조 역학상 불안정한 구조라는 점이다. 그 결과 호안이나 제방의 내구성이 좋지 않아 제방보호가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방치하게 되면 미관을 해치게 된다. 또 하나의 문제점으로는 지금까지 개발된 블록의 형상은 식생공간으로서는 적당할지 몰라도 파충류를 비롯하여 소동물 및 미생물의 활동공간으로서는 부족하다는 점이다. 여기에다 요즘같이 노동인력이 턱없이 모자랄 때 시공성이 나쁘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거의 대부분이 블록 하나하나를 일일이 쌓도록 된 구조와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록의 크기를 크게 하면 취급이 어렵고 작게 하면 그만큼 시간이 더 걸리게 되어 시공이 비효율적이라는 점이다. It is common to build retaining walls on slopes or slopes of incisions to prevent soil loss or collapse. These retaining wall blocks are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they cannot be planted. Recently, a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grows, research into developing a block capable of vegetatio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if you listen to the problems of the porous vegetation block developed so far, it can be said that the shape and structure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unequal settlement of the ground. In other words, it is a structurally unstable structure for uneven settlement. As a result, the protection of the banks and the embankment is not good, so that the embankment is not protected. Another problem is that the shape of the block developed so far may be suitable as a vegetation space, but is insufficient as an active space for reptiles, small animals and microorganisms. In addition, poor workability is a serious problem when the labor force is in short supply these days. Since most of them have a structure and shape that each block is piled up one by one, increasing the size of the block is difficult to handle, and if it is small, it takes more time, so construction is inefficien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한 것으로 투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고, 식물의 식생공간으로 적합할 뿐 아니라 파충류를 비롯한 소동물 및 미생물의 활동공간 즉, 연속공간으로 적합하고 여기에다 수중생물의 생식공간으로도 적합함은 물론이고 성토지 사면과 하천ㆍ호안 등의 환경친화적인 축조를 이루고자함이 본 발명이 추구하는 하나의 목적이고, 또 다른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의 형상과 구조이고 동시에 이를 배열 시공한 결과 구조 역학적으로 상호 쪼임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부등침하에 대응할 만큼 안정적인 제방 및 옹벽축조를 추구하고자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s excellent in permeability and breathability, suitable as a vegetation space of plants, as well as the active space of small animals and microorganisms, including reptiles, that is suitable for continuous spac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be suitable as a reproductive space but also to achieve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of land slopes, rivers, and lakes, 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and efficiently construct a block sha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rsue stable banking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to cope with unequal settlement as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is assur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본 발명의 다공질 블록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orous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satisfy at least the following conditions.

첫째, 다공질이어야 한다. 다공질의 지표로서는 공극율과 투수계수가 있고, 콘크리트의 배합비가 이들 요소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First, it must be porous. Porosity and permeability coefficients are indicative of the porosity, and the mixing ratio of concrete is directly related to these factors.

둘째, 블록의 형상이 구조 역학적으로 안정적이어야 한다. 블록자체만으로 보아도 역학적으로 안정적이어야 하고, 이를 복수로 연결한 배열에 있어서도 안정적이면서 그 결속력이 커야한다. Second, the shape of the block must be structurally dynamic. The block itself alone must be mechanically stable, and the arrangement must be stable and the binding force must be large even when the array is connected in plural.

셋째, 사각형 형태로서의 유닛구조가 구조 역학적으로 안정되고 동시에 이를 조립하기가 간편해야한다. 여기에다 유닛구조의 상하 복층배열에 있어서도 수직 결합 보강재가 필요 없을 정도로 유닛구조자체만으로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Third, the unit structure as a rectangular shape should be structurally stable mechanically and at the same time easy to assemble it. In addition, even in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unit structure, the unit structure itself should be enough to withstand so that no vertical coupling stiffener is needed.

넷째, 블록의 배열에 따른 공간형성이 커야한다. 바로 이 공간이 식ㆍ생물의 생식공간이며 수중생물의 생식공간이기 때문이다.Fourth, the spatial forma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blocks should be large. This is because this space is the reproductive space of food and living things and the reproductive space of aquatic life.

첫 번째 조건을 만족하기위해서 공극율이 15-25%이고, 투수계수는 2.5-4.5cm/sec이다. 그 배합비는 ∮5-25mm의 골재 82-86중량%, 포틀란트 시멘트 13-18중량%, 유동방지제 0.02-0.04중량%, 안료 0.1-0.3중량%, 혼화제 0.01중량%로 이루어져있다. 이때 다공질 블록의 압축강도는 130-200kg /cm2 가 된다.To satisfy the first condition, the porosity is 15-25%, and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is 2.5-4.5 cm / sec. The blending ratio consists of 82-86% by weight of aggregates of 5-25 mm, 13-18% by weight of Portland cement, 0.02-0.04% by weight of inhibitor, 0.1-0.3% by weight of pigment, and 0.01% by weight of admixture. At this tim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porous block is 130-200kg / cm 2 .

두 번째 조건을 만족하기위해서 블록의 형상은 땅콩모양이면서 2층 이상의 복층으로 배열할 경우, 위층과 아래층의 배열은 서로 직각되게 배열되면서도 어긋남이 없는 형상이어야 한다. In order to satisfy the second condition, the shape of the block should be a peanut shape and arranged in two or more layers.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should be arrang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without any misalignment.

세 번째 조건을 만족하기위해서 블록에 결합 강재 삽입공이 장축방향과 단축방향에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In order to satisfy the third condition, the joining steel insertion holes in the block must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e long axis direction and short axis direction.

네 번째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식ㆍ생물이 생식하기에 적합한 통기성과 파충류나 소동물의 연속된 공간으로서 활동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통기성 및 활동 공간은 블록이 좌우, 상하 연결될 때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축조의 안정화가 확보되는 한 활동공간이 큰 형상일수록 유리하다. In order to satisfy the fourth condition, an active space must be formed as a continuous space for breathing and reptiles or small animals suitable for food and living. Such a breathable and active space is a space that is formed when the blocks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up and down, and the larger the active space is, as long as the stabilization of the construction is secured.

이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more specifically described as follows.

통기성 및 활동공간과 구조 역학적 특성 및 시공의 효율성을 다공질 블록의 형상과, 유닛구조와, 장공 및 단공의 위치와, 그리고 이들 블록들 간의 상호배열과 관련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Breathability and activity space, structural dynamics, and construction efficiency will b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shape of the porous block, the unit structure, the location of the long and short holes, and the mutual arrangement between these blocks.

가) 다공질 블록의 형상에 있어서A) in the shape of the porous block;

다공질 블록(10)의 형상은 동일 반경의 구(球)를 접면시킨 상태에서 단단히 결속시킨 것과 같은 형태이다. 그러나 두개의 구를 만들어놓은 상태에서 붙여놓은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그러한 형태의 형틀에서 일체로 만든 것이다. 다만 형상적인 특징을 이해하기 쉽게 굳이 말해본다면 그렇다는 말이다. 다시 말하면 동일반경의 두개의 머리부분(11)과 이를 연결하고 있는 허리부분(12)으로 되어있는 형상이다. 허리부분(12)은 두개의 원형 머리부분(11)과 일체화된 연결부분으로서 두 가지 조건이 만족되어 이루어진 형상이다. 하나의 조건은 허리부분(12)은 최소한양측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해야한다. 또 하나의 조건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이 될 수 있는 한 최대가 되어야한다. 허리부분(12)의 형상은 다공질 블록이 사용되는 용도에 알맞은 압축강도가 유지되는 한, 원래 구형이 이루는 고유의 공간(30)과 가장 가까운 형상이다. 원래 구형이 이루는 고유의 공간이 허리부분(12)으로 가려지게 되면 그만큼 연속공간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활동공간이 작아지기 때문이다.The shape of the porous block 10 is the same as that in which the spheres of the same radius are firmly bound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However, the two spheres are not attached in the state of making, but from the beginning, they are made in one form. However, if you can easily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form is said to be so. In other words, it is a shape consisting of two heads 11 and the waist 12 connecting the same radius. Waist portion 12 is a connection portion integrated with the two circular head portion 11 is a shape made of two conditions are satisfied. One condition is that the waist 12 should be strong enough to withstand at least the weight of both sides. Another condition should be as large as possible, which can be a circular space. The shape of the waist 12 is the shape closest to the inherent space 30 formed by the original sphere, as long as the compressive strength suitable for the purpose in which the porous block is used is maintained. If the original space of the original sphere is covered by the waist 12, the size of the continuous space is reduced by that much because the activity space becomes smaller.

따라서 다공질 블록(10)은 최대의 연속공간 즉, 활동공간의 확보와, 구조 역학적 안정과, 그리고 시공의 효율성, 이 세 가지 요소를 최적화시킨 것이 바로 본 발명의 형상인 것이다. Therefore, the porous block 10 is the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optimizes three elements, that is, securing the maximum continuous space, that is, the active space, structural dynamic stability, and construction efficiency.

한편, 본 발명 다공질 블록(10)은 하나하나 블록을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유닛구조(100)에 의한 매트화 방식의 시공에 주안점을 둔 것이므로 시공성이 아주 좋다. 따라서 본 발명 다공질 블록(10)은 유닛구조(100)를 형성하는데 적합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말할 나위가 없다. 예를 들면 블록의 형상뿐 아니라 블록을 가로 세로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결합강재 삽입공이 블록의 장축과 단축방향에 뚫려있는 점이 바로 그러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orous blo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he construction of the blocks one by one, but focuses on the construction of the matting method by the unit structure 100, the workability is very good.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orous blo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suitable for forming the unit structure 100. For example, not only the shape of the block but also the point where the coupling steel insertion hole for coupling the block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s drilled in the long axis and short axis of the block.

유닛구조(100)는 단층 또는 상ㆍ하 복층시공 어느 것에나 그 효율성이 아주 크다. 특히, 상ㆍ하 복층축조는 구조 역학적으로 안정적이면서 통기공간 및 연속공간 즉, 활동공간(30)의 확보가 최상이다. 그것역시 블록형상에 기인한다. The unit structure 100 has a great efficiency in both single layer and upper and lower two-layer constructions. In particular, the upper and lower duplex constructions are structurally stable, and it is best to secure the ventilation space and the continuous space, that is, the active space 30. It is also due to the block shape.

예컨대, 도 12에서와 같이 모두 블록의 장축 방향 배열로 이루어진 유닛구조(100)로서 축조된 경우, 그 상ㆍ하층부의 배열상태를 보면 상층부의 유닛구조와 하층부의 유닛구조가 장축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되게 배열되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unit structure 100 is constructed as a long-axis arrangement of blocks, the upper and lower layer arrangements show that the unit structure of the upper layer and the unit structure of the lower layer are mutually aligned with respect to the long axis direction. Arranged at right angles.

이와 같은 배열은 상ㆍ하층부의 장축방향의 배열이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에 비하여 그 축조가 구조 역학상으로 견고하다. 본 발명의 시공은 상ㆍ하층부의 유닛구조가 서로 블록의 머리부분(11)(11)과 맞대어져있는 상태로 주로 축조된다. In this arrangement,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in the long-axis direction is made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is mainly constructed with the head portions 11 and 11 of the block facing each other.

이러한 배열의 축조에도 불구하고 상ㆍ하층부의 유닛구조의 블록에 대하여 별도의 수직상의 결합강재가 없어도 축조된 구조체는 구조 역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다. 바로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이 본 발명의 다공질 블록의 형상이기 때문이다. 나) 유닛구조(100)에 있어서Despite the construction of such an arrangement,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vertically bonded steel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block of the unit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the constructed structure is structurally very stable. This is because the shape of the porous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idered. B) in the unit structure 100

유닛구조(100)는 블록을 하나하나 시공하는 것보다는 여러 개의 블록을 한 유닛으로 제작하여 시공한다면, 시공 대상지역이 아무리 넓다하더라도 시공하기가 용이하고 그 시공의 효율성도 훨씬 좋아진다는 것에 그 기초를 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다공질 블록(10)의 형상을 상기에서와 같이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도 유닛구조(100)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유닛구조(100)는 단위 블록을 결합시켜 일정한 규격, 예컨대 직사각형 형태로 만들어야하는데 단위 블록의 조합만으로 직사각형 형태가 가능하여야 하고, 그 결합력은 결합 강재(20) 삽입에 의해서 충분히 얻어질 수 있어야 한다. The unit structure 100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easy to construct and the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is much better, even if the construction target area is large, if several blocks are manufactured in one unit rather than constructing the blocks one by one. It is p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porous block 10 is made to have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as described above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the unit structure 100. The unit structure 100 is to be made in a certain size, for example rectangular shape by combining the unit blocks, the rectangular shape should be possible only by the combination of the unit blocks, the coupling force should be sufficiently obtained by inserting the coupling steel (20).

그런데 본 발명의 블록 형상은 일정한 규격을 이루는 유닛구조(100)에 적합할 뿐 아니라 유닛구조(100)의 결합을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장축방향에 장공(13)과 장공(13)에 직각되게 두개의 단공(14)(14)이 형성되어있고, 장공(13)과 단공(14)은 서로 단차를 두고 있다. 단공(14)은 머리부분(11)의 각각에 형성되어있고 장공(13)은 두개의 머리부분(11)과 허리부분(12)을 관통되게 형성되어있다. 유닛구조(100)는 본 발명 블록의 형상에 따라 여러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예시한 도 6를 중심으로 유닛구조(100)의 시공성과 역학적 견고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By the way, the block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suitable for the unit structure 100 forming a certain standard, but also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 hole 13 and the long hole 13 in the long 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 1 for coupling the unit structure 100. Two short holes 14 and 14 are formed, and the long holes 13 and the short holes 14 are stepped with each other. Short holes 14 are formed in each of the head portion 11 and the long hole 13 is formed to penetrate the two head portion 11 and the waist portion 12. The unit structure 100 may have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6 illustrating this, construction and mechanical robustness of the unit structure 100 will be described.

유닛구조(100)의 형태는 사각형 형태로 하고 그 배열은 장공(13)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단공(14) 방향을 가로방향으로 한다. 결합 강재(20)가 장공(13)과 단공(14)에 삽입된다.The unit structure 10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arrangement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 hole 13 direction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short hole 14 direction. The coupling steel 2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3 and the short hole 14.

결합 강재(20)는 도 6에서와 같이 양단을 볼트결합이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도 8에서와 같이 일단에 두부(22)를 타단에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Coupling steel 20 can be bolted to both ends as shown in Figure 6, as shown in Figure 8 may be to be bolted to the other end to the head 22 at one end.

전자의 경우로 설명하면, 가로 세로 방향의 단공(14)과 장공(13)에 결합강재(20)를 삽입한다. 이때 세로 방향의 장공(13)은 유닛구조(100)의 안정에 중요한 근간을 이루는 것이므로 결합강재(20)가 세로 방향의 장공(13)모두에 삽입되어야하지만 세로 방향의 결합강재(20)만으로 유닛구조의 역학적 안정성이 확보된다면 굳이 가로 방향의 단공(14)에 일일이 다 결합강재(20)를 삽입할 필요는 없으므로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끝마무리작업으로는 세로방향인 경우, 결합강재(20) 2개를 1조로 상하 교번되게 연결보강부재(25)의 결합강재 삽입공(252)에 삽입한 다음,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면 유닛구조(100)가 완성되는 것이다. 연결보강부재(25)는 양단부에 결합강재 삽입공(252)과 중앙부에 유닛 체결공(251)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서 결합강재(20)를 볼트로 고정시킨 다음 돌출된 결합강재(20)에다 연결보강부재(25)를 맞대어 용접해도 무방하다. In the case of the former case, the coupling steel 20 is inserted into the short hole 14 and the long hole 13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this time, since the long hole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s an important basis for the stability of the unit structure 100, the coupling steel 20 should be inserted into all of the long holes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unit only with the longitudinal coupling steel 20 If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structure is secured, it is not necessary to insert all the coupling steel 20 into the cross-holes 14 and may be omitted a part. In the finishing operation for fixing the bol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wo coupling steels 20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steel insertion hole 252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member 25 alternately up and down in a pair, and then firmly with bolts. If it is fixed so that the unit structure 100 is completed. The connection reinforcing member 25 is composed of the coupling steel insertion hole 252 and the unit fastening hole 251 in the center portion. In this case, the coupling steel 20 may be fixed by bolts,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member 25 may be welded to the protruding coupling steel 20.

다른 실시예인 일단에 두부(22)를, 타단에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된 결합강재(20)의 경우라면, 결합강재(20)2개를 1조로 두부(22)측에 먼저 연결보강부재(25)를 삽입해두는 것만 다르고 그 이외는 상기에서와 같이 양단이 볼트 고정되는 결합강재(20)와 동일하다. In the case of the coupling steel 20, which allows the head 22 to be coupled to one end and bolts to the other end, which is another embodiment, two coupling steels 20 are connected to the head 22 side first as a pair of reinforcing members 25. ) Is the same as the above, except that the other end is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bolted steel 20 is bolted to both ends.

다음으로 가로방향의 단공(24)의 결합강재(20)의 연결방식에 있어서도 세로방향의 연결과 똑같다. 세로방향이든 가로방향이든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볼트나 두부(22)의 직경은 단공(14)과 장공(13)의 직경보다 약간 커야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Next, also in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coupling steel 20 of the horizontal hole 24 is the same as the longitudinal connection. In either case, the diameter of the bolt or the head 22 should be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hort hole 14 and the long hole 13 in either case.

한편 유닛구조(100)에 구조 역학적 견고성을 더한층 강화시키기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장공(13)을 기준으로 단공(14)(14')의 위치를 상하로 엇갈리게 형성하는 것도 또 하나의 다른 실시 예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닛구조(100)의 제작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다만, 단공(14)(14')의 위치가 달라진 점뿐이다. 이로 인하여 가로방향으로의 결합강재(20)를 삽입하는 위치가 약간 달라진다. 다시 말하면 세로방향으로 블록을 배열함에 있어 단공(14)(14')의 위치를 어떻게 놓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structural dynamics to the unit structure 100, as shown in Figure 4 to alternate the position of the short holes 14, 14 'with respect to the long hole 13, another embodiment is Can be. In this case, the fabrication of the unit structure 10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However, only the positions of the short holes 14 and 14 'are changed. For this reason, the position of inserting the coupling steel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lightly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arrangement of the block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pends on how the positions of the holes 14 and 14 'are placed.

예컨대, 가로방향의 결합강재(20)의 위치는 세로방향의 배열에 따르므로 세로방향의 배열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세로방향의 배열에 있어 첫 번째 블록의 하단 머리부분과 두 번째 블록의 상단 머리부분의 단공(14)(14)의 위치는 같은 위치인 위에 있게 하고, 두 번째 블록의 하단 머리부분과 세 번째 블록의 상단 머리부분의 단공(14')(14')의 위치는 같은 위치인 아래에 놓이게 하는 방식으로 세로방향의 블록을 배열해 나간다. 이는 결합 강재(20)를 2개 1조로 엇갈리게 삽입하고, 연결보강부재(25)를 같은 위치에 있는 것끼리 교호적으로 연결하게 되면 그 결합력이 더 강화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있어서도 교호적으로 연결은 하되 구조적 안정성이 충분하게 주어지는 범위 내에서 그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since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steel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epends on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7, the lower head and the second head of the first block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The positions of the holes 14 and 14 of the upper head of the block are in the same position above, and the positions of the holes 14 'and 14' of the lower head of the second block and the upper head of the third block. Arranges vertical blocks in such a way that they lie below the same position. This is because the coupling force is further strengthened when the coupling steel 20 is alternately inserted into two sets,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members 25 are alternately connected to one another at the same position. Here, the connection may be alternately performed, but a part thereof may be omitted within a range where structural stability is sufficiently given.

또한 유닛구조(100)는 기계의 힘을 이용하고자한 것이다. 유닛구조(100)를 시공 장소에 이동하거나 정확한 설치위치에 놓기 위해서는 유닛구조(100)를 어느 정도 높이까지는 위로 들어올릴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유닛구조(100)는 어떠한 형태로든 어느 정도 휘어질 수밖에 없는데 이때 블록상호간에 유동은 불가피하다. 블록상호간의 유동은 접촉면의 파손을 유발한다.In addition, the unit structure 100 is intended to use the power of the machine. In order to move the unit structure 100 to the construction site or to place the correct installation, the unit structure 100 has to be lifted up to a certain height. In general, in the lifted state, the unit structure 100 has to be bent to some extent in some form, but flow between blocks is inevitable. The flow between blocks crosses the contact surface.

이 점에 착안하여 접촉면의 횟수를 줄이고자 한 것이 본 발명의 다공질 블록이다. 그 뿐 아니라 다공질 블록은 원래 투수성을 전제한 것이므로 압축강도가 보통 블록에 비하여 매우 약하기 때문에 유동에 의한 파손의 정도도 생각보다 크게 일어난다. 강력한 유동에 의하여 약한 압축강도의 다공질 블록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동되는 접촉의 횟수를 적게 할 수밖에 없다는 판단하에 두개의 머리부분(11)(11)을 허리부분(12)으로 잇는 형태로 일체화시킨 블록이다. 허리부분(12)을 잇는 장축형상이 이러한 배경에서 태어난 것이다.With this in mind, it is a porous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number of contact surfaces. In addition, since the porous block originally assumed permeability, the compressive strength is much weaker than that of the general block, and thus the degree of breakage due to flow also occurs more than expected. In order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porous block of weak compressive strength due to the strong flow, the two heads 11 and 11 are integrated into the waist 12 in the judgment that the number of flowing contacts is small. Block. The long axis shape connecting the waist 12 is born from this background.

장축형상은 유닛구조(100)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역학적으로도 안정적인 구조를 이룬다. 그 뿐 아니라 이와 같이 만들어진 유닛구조(100)를 가지고 머리부분(11)(11)을 맞댄 상태로 복층구조를 축조할 경우에도 상하블록을 삽입ㆍ결합하는 수직상의 결합강재가 필요 없을 정도로 구조 역학적으로 안정적이다.The long axis shape facilitates the fabrication of the unit structure 100 and forms a mechanically stable structure. In addition, even when the multi-layer structure is constructed with the unit structure 100 made as described above and the head parts 11 and 11 are in a state of construction, the structural dynamics do not require the vertical coupling steel for inserting and joining the upper and lower blocks. Stable

한편, 지금까지는 두개의 머리부분을 일체화시킨 다공질 블록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런데 유동되는 접촉횟수를 줄인다는 관점에서 두개이상의 머리부분을 일체화시키는 다공질 블록이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두개이상의 머리부분을 일체화시킨 다공질 블록은 두개의 머리부분을 일체화시킨 다공질 블록과 동일한 개념선상에 있는 것이다. In the meantime, the porous block in which the two heads are integrated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orous block that integrates two or more heads is more advantageous in view of reducing the number of flowing contacts. Then, the porous block in which two or more heads are integrated is on the same concept line as the porous block integrating two heads.

예컨대 도 13a, 도 13b에서와 같이 세 개의 머리부분(11)을 갖는 다공질 블록과 두개의 머리부분(11)을 갖는 다공질 블록을 조합하여 유닛구조(100)를 만들게 되면, 두개의 머리부분(11)을 갖는 다공질 블록만으로 된 유닛구조(100)보다 더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사각형의 유닛구조(100)에는 두개의 머리부분(11)을 갖는 다공질 블록이 이루는 유닛구조와는 달리 두개 또는 세 개의 머리부분(11)을 갖는 블록에 의하여 가로 세로방향으로의 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닛구조(100)가 훨씬 견고해진다. 예컨대, 도 13a, 도 13b에서와 같이 머리부분(11)(11)의 갯수가 3 x 2로된 블록을 가지고 직사각형 형태를 만든다고 할 때, 세 개의 머리부분(11)(11)을 갖는 블록을 가로방향의 상단부와 세로방향의 좌측에 위치시키면 나머지 공간에는 여섯 개의 머리부분(11)을 놓을 수 있다. 여섯 개의 머리부분을 두개의 머리부분(11)을 갖는 블록으로 채울 경우, 가로와 세로방향에 따른 조합은 도 13a 와 도 13b의 경우가 될 것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두개의 머리부분(11)을 갖는 블록을 한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보다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배열한 것이 더 견고해지기 때문이다. 이때 세 개의 머리부분(11)을 갖는 블록의 장공(13)과 단공(14)은 앞서 두 개의 머리부분(11)을 갖는 블록의 장공(13)과 단공(14)의 위치와 서로 바뀌어야함은 당연하다. 세 개의 머리부분(11)을 갖는 블록의 단공(14)이 중앙에 위치하고, 그 장공(13)은 단공(14)의 위나 아래에 위치해야한다. 이와 같이 유닛구조(100)를 조합하는 블록의 머리부분(11)의 개수에 따라 장공(13)과 단공(14)의 위치가 달라져야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기 때문에 여기서 일일이 그 위치를 지정하지 않아도 앞서와 똑같은 개념에 따라 그 위치를 정하는데 있어 별문제가 없을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when the porous block having the three heads 11 and the porous block having the two heads 11 are combined to form the unit structure 100, the two heads 11 are formed. That is,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bonding force more than the unit structure 100 of the porous block having only). Unlike the unit structure formed by the porous block having two heads 11, the rectangular unit structure 100 can be combin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y a block having two or three heads 11. The unit structure 100 becomes much strong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a block having three heads 11 and 11 is formed when the number of heads 11 and 11 is 3 × 2 to form a rectangular shape. When placed at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eft of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lace six heads 11 in the remaining space. When the six heads are filled with a block having two heads 11, the combination along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will be the case of Figs. 13A and 13B. This is because, as shown in FIG. 6, the blocks having two heads 11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more firmly than in the one direction. In this case, the long hole 13 and the short hole 14 of the block having the three heads 11 should be interchanged with the positions of the long holes 13 and the short hole 14 of the block having the two heads 11. Of course. The short hole 14 of the block with three heads 11 should be centrally located, and the long hole 13 should be above or below the short hole 14. Thu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ositions of the long hole 13 and the short hole 14 have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heads 11 of the blocks combining the unit structure 100. There will be no problem in positioning it according to the same concept.

다) 시공방법에 있어서C) In the construction method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개의 머리부분(11)을 갖는 다공질 블록(10)으로 이루어진 유닛구조(100)(100')로서 제방 등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constructing an embankment or the like as the unit structure 100 (100 ') consisting of the porous block 10 having two heads 11 will be described.

도 10에서와 같이 제방을 단층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유닛구조(100)를 시공할 대상에 정확히 위치시키면 된다. 이때 유닛구조(100)와 유닛구조(100)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유닛구조(100)에 교번적으로 연결되어있는 연결보강부재(25)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연결보강부재의 유닛체결공(251)에 체결볼트(253)를 삽입하고, 이를 고정시킴으로써 그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단층으로 시공하는 경우와는 달리 도 12에서와 같이 상하 복층으로 축조되는 제방이라면 장공(13)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각층의 유닛구조(100)가 동일한 방향으로 축조되는 것이 아니고, 장공(13)방향이 직각되는 방향으로 각층의 유닛구조(100)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축조되는 것이다. 물론 각층의 유닛구조(100)는 머리부분(11)을 맞댄 상태로 축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하복층 축조에 있어서도 상하를 결합하는 강재가 삽입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장공(13)방향이 직각되는 방향으로 각층의 유닛구조(100)를 배치하는 방식은 구조적으로 그 만큼 안정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dike in a single layer as shown in FIG. 10, the unit structure 100 may be positioned exactly on the object to be constructed. At this time, in connecting the unit structure 100 and the unit structure 100, as shown in FIG. 7, the unit reinforcing member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einforcing members 25 alternately connected to the unit structure 100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the fastening bolt 253 to the ball 251, and fixing it. However, unlike the case of constructing a single layer, as shown in FIG. 12, if the embankment is constructed in the upper and lower duplexes, the unit structure 100 of each layer is not construct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viewed based on the long hole 13 direction. 13)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the unit structure 100 of each layer i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course, the unit structure 100 of each layer is constructed with the head 11 back to the state. Even in such a vertical and double layer construction, the steel which couples up and down is not inserted. It can be said that the method of arranging the unit structures 100 of each lay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hole 13 direction is structurally stable in that much.

상하복층으로 축조되는 경우 유닛구조(100)와 유닛구조(100)의 연결에 있어서도 연결보강부재의 유닛체결공(251)을 맞대고 체결볼트(253)로 체결하면 견고하게 유닛구조(100)를 연결할 수 있다. Wh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constructed, the unit structure 100 is firmly connected to the unit fastening bolt 253 by facing the unit fastening member 251 of the connection reinforcing member also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nit structure 100 and the unit structure 100. Can be.

유닛구조(100)의 조합형태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들어보기로 한다.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unit structure 100 will be described.

도 13a, 도 13b에서와 같이 3 x 2로 직사각형 형태를 만든다고 할 때, 세 개의 머리부분을 갖는 다공질 블록과 두개의 머리부분을 갖는 다공질 블록을 조합하여 유닛구조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도 두개의 머리부분을 갖는 다공질 블록과 그 시공에 있어서는 다를 바 없다. 세 개의 머리부분을 갖는 다공질 블록과 그 이하의 머리부분을 갖는 다공질 블록으로 조합된 유닛구조의 시공도 동일하다. 13A and 13B, when the rectangular shape is made of 3 x 2, two heads are formed even when a unit structure is formed by combining a porous block having three heads and a porous block having two heads. The porous block having the same and its construction is no different. The construction of the unit structure combined with a porous block having three heads and a porous block having a lower head is also the same.

이와 같이 구성된 다공질 블록은 유닛구조를 만들기가 쉬운 형상이면서 압축강도에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고 있는 형상인데다 식물의 식생공간과 소동물의 활동공간 즉, 소동물이 활동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연속공간이 만들어지는 형상이므로 친환경적 시공이라는 점에 두드러진 특징이 있는 것이다. 유닛구조의 시공성이 뛰어나는 것은 물론이다. 더욱이 요즘같이 노동인력이 부족한 현실을 감안할 때 시공성이 뛰어나다는 것은 더 이상의 말이 필요 없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The porous block structured as above is a shape that is easy to make a unit structure and reinforces a weak part to compressive strength, and a continuous space of sufficient size for the vegetation space of the plant and the activity space of small animals, that is, small animals, is created. As it loses its shape, it is distinguished by its eco-friendly construction. Of course, the construction of the unit structure is excellent. Moreover, in view of the reality of labor shortages these days, excellent construction is a useful invention that does not require any further words.

도 1은 다공질 블록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ous block

도 2는 다공질블록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ous block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2의 다른실시예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5는 다공질블록의 다른실시예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porous block

도 6은 도 1의 다공질블록으로 이루어진 유닛구조의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nit structure consisting of the porous block of FIG.

도 7은 도 6의 유닛구조의 요부 및 유닛구조와의 연결요부 확대단면도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unit structure of FIG. 6 and a connection main portion with the unit structure;

도 8은 도 6의 유닛구조의 다른 요부 평면도8 is a plan view of another essential part of the unit structure of FIG.

도 9는 도 6의 유닛구조의 다른 실시예9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unit structure of FIG.

도 10은 유닛구조를 사면에 설치한 상태도10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unit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slope

도 11은 다공질블록의 단층배열 설명도1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monolayer arrangement of a porous block

도 12는 다공질볼록의 복층축조 설명도Fig. 1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double layer construction of porous convex

도 13의 a, b도는 다공질블록의 조합에 의한 유닛구조의 실시예13A and 13B show an embodiment of a unit structure by combining porous blocks.

Claims (9)

일정한 투수계수와 공극율을 갖는 다공질 블록에 있어서 두개의 머리부분과 허리부분으로 일체로 형성하되 두개의 머리부분은 동일 반경을 갖으며 두개의 머리부분이 맞대어 접면된 상태에서 땅콩모양의 허리부분으로 일체화되고, 결합강재 삽입공의 위치는 장공은 장축방향의 중앙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두개의 단공은 양 머리부분에 위치되고 이와 함께 그 단공은 장공방향과 직각을 이루면서 장공의 위나 아래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블록In the porous block having a constant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porosity,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wo heads and a waist, but the two heads have the same radius, and the two heads are face-to-face and integrated into a peanut-shaped waist.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steel insertion hole is formed so that the long hole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long axis direction, and the two short holes are located at both heads, and the short holes are formed above or below the long hole at right angles to the long hole direction. Porous block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투수계수 2.5 ~ 4.5cm/sec 와 공극율15 ~25% 와 압축강도 130-200kg /cm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블록The porous block of claim 1, wherein the porous block has a permeability coefficient of 2.5 to 4.5 cm / sec, a porosity of 15 to 25%, and a compressive strength of 130 to 200 kg / cm 2 .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배합비는 ∮5~25mm의 골재 82 ~ 86중량%, 포틀랜트 시멘트 13~18중량%, 유동방지제 0.02 ~ 0.04 중량%, 안료 0.1 ~ 0.3중량%, 및 혼화제 0.01중량%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블록The compounding ratio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unding ratio is 82 to 86% by weight of aggregates of 5 to 25 mm, 13 to 18% by weight of Portland cement, 0.02 to 0.04% by weight of anti-flow agent, 0.1 to 0.3% by weight of pigment, and admixture Porous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0.01% by weight 청구항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두개의 단공은 장공방향과 직각을 이루면서 장공의 위와 아래에 엇갈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블록The porous block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wo short holes are alternately formed above and below the long hole at right angles to the long hole direction.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만들어진 다공질 블록으로 사각형 형태의 유닛구조를 형성함에 있어 세로방향으로 장공이 위치되게 복수의 블록을 사각형 형태로 배열한 다음,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양단에 나선이 형성된 결합 강재를 세로방향의 장공에 삽입하고, 결합강재 2개를 1조로 하여 연결보강부재를 삽입하되 상하부를 교번되게 삽입한 후 결합강재를 볼트로서 고정시킨 다음, 가로방향의 단공에도 세로방향의 장공에 결합강재 2개를 1조로 상하부를 서로 교번되게 삽입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한 후, 여기에다 연결보강부재를 삽입한 다음 볼트로서 좌우의 결합강재를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블록의 유닛구조 In forming the rectangular unit structure with the porous block made in claim 1, a plurality of blocks are arranged in a quadrangular shape so that the long holes are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the joining steels having spirals at both ends thereof are vertically arranged to allow bolting. Insert the reinforcing reinforcing member by inserting the two reinforcing steels into one set, inser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alternately, and fixing the joining steels as bolts, and then joining the longitudinal steel holes to the longitudinal holes. The unit structure of the porous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dog is inserted into the pair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alternately inserted, and then the connecting reinforcing member is inserted therein, and then the left and right coupling steels are fixed by bolts.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연결보강부재는 양단부에 결합강재 삽입공과 유닛 체결공으로 구성되고 유닛구조의 연결시 서로 유닛 체결공을 맞대어 체결볼트로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블록의 유닛구조   The unit structure of the porous block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necting reinforcing member is composed of a coupling steel insertion hole and a unit fastening hole at both ends, and the unit fastening bolts are fastened to each other when the unit structu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일단에 두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선이 형성된 결합 강재를 2개 1조로 하여 연결보강부재를 먼저 두부 측에 삽입해 놓은 상태에서 이를 세로방향의 장공에 삽입하되 상하부를 교번되게 삽입한 후 결합강재를 볼트로서 고정시킨 다음, 가로방향의 단공에도 세로방향의 장공에 교번적으로 삽입ㆍ고정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좌우의 결합강재를 결합ㆍ고정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블록의 유닛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member is first inserted into the hea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wo pairs of joining steels formed with a spiral to allow bolt coupling at the other end. After inser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alternately, fix the joining steel as bolts, and then join and fix the left and right joining steels in the same way as the alternating inserting and fixing in the longitudinal long holes alternately. Unit structure of porous block to make 결합강재 삽입공의 위치가 장공은 장축방향의 중앙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양 머리부분에 위치된 두개의 단공은 장공방향과 직각을 이루면서 장공의 위와 아래에 엇갈리게 형성된 다공질 블록으로 사각형 형태의 유닛구조를 형성함에 있어 세로방향으로 장공이 위치되게 하되 첫째 행의 하단 머리부분과 둘째 행의 상단 머리부분의 단공의 위치를 같게 하고 둘째 행의 하단 머리부분과 셋째 행의 상단 머리부분의 단공의 위치를 같게 배열하여 사각형 형태로 만든 다음,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양단에 나선이 형성된 결합 강재를 세로방향의 장공에 삽입하고, 결합강재 2개를 1조로 하여 연결보강부재를 삽입하되 상하부를 교번되게 삽입한 후 결합강재를 볼트로서 고정시킨 다음, 가로방향의 단공에도 세로방향의 장공에 결합강재 2개를 1조로 상하부를 서로 교번되게 삽입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한 후, 여기에다 연결보강부재를 삽입한 다음 볼트로서 좌우의 결합강재를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블록의 유닛구조 The position of the joining steel insertion hole is formed so that the long hole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long axis direction, and the two short holes positioned at both heads are formed in a rectangular block structure with the porous blocks alternately formed above and below the long hole at right angles to the long hole direction. In forming, the long hole is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position of the short hole of the lower head of the first row and the upper head of the second row is equal, and the position of the short hole of the lower head of the second row and the upper head of the third row is the same. After arranging it into a rectangular shape, insert the joining steels with spirals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able bolted joining, and insert the connecting reinforcing members with one set of two joining steels, and insert the upper and lower parts alternately. After fixing the bonded steel as bolts,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two bonded steel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long hole even in the horizontal short hole. Then in the same way to be alternately inserted into, yeogieda of the porous block, characterized by Sikkim secure the coupling of the right and left as a steel bolt, and then insert the connection reinforcing member unit structure 청구항 5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좌우부에 교번되게 삽입되는 2개 1조의 결합강재를 가로방향의 단공에 삽입하되 일부의 블록의 단공에만 삽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블록의 유닛구조The unit structure of the porous block according to claim 5 or 8, wherein the two sets of joining steels alternately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portions are inserted into the short hol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ut only into the short holes of some blocks.
KR1020040098781A 2004-11-29 2004-11-29 A porous bloc and a unit structure with the bloc KR1005029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781A KR100502979B1 (en) 2004-11-29 2004-11-29 A porous bloc and a unit structure with the blo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781A KR100502979B1 (en) 2004-11-29 2004-11-29 A porous bloc and a unit structure with the blo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2979B1 true KR100502979B1 (en) 2005-07-21

Family

ID=3730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781A KR100502979B1 (en) 2004-11-29 2004-11-29 A porous bloc and a unit structure with the blo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97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956B1 (en) 2006-08-07 2006-11-24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Bottom block establishment structure for river ecosystem protection
KR100745439B1 (en) 2007-02-23 2007-08-02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Environmental friendly block structure
KR101046563B1 (en) * 2007-05-31 2011-07-05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Concrete revetment block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956B1 (en) 2006-08-07 2006-11-24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Bottom block establishment structure for river ecosystem protection
KR100745439B1 (en) 2007-02-23 2007-08-02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Environmental friendly block structure
KR101046563B1 (en) * 2007-05-31 2011-07-05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Concrete revetment block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1792B1 (en) Artificial reef structure
KR101104810B1 (en) Wave dissipation sea forest, marine flora and fauna transplant functional and wave dissipation structure
CN101387107A (en) Ecological riverbank with pile type wave-protection structure
KR100502979B1 (en) A porous bloc and a unit structure with the bloc
KR100834259B1 (en) Hybrid type artificial reef integrated with concrete and steel and large artificial reef having them
KR100322868B1 (en) An Ecological Stabilization Block
KR101167655B1 (en) Octagon roof type artificial reef
JP2764553B2 (en) Purification block and protective floor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891738B1 (en) The crib block for a vegetation and shore protection which has a fishway facilities
KR200247955Y1 (en) Inter Locking Multi-Function Block
KR100680516B1 (en) An environment friendly vegetative retaining wall block
KR20060096874A (en) Water purifying system of river bank based on ecologicalengineering
KR101025104B1 (en) Hybrid artificial reef which can expand inhabitation space of fish, and large artificial reef having them
KR100632251B1 (en) Artificial reef
CN201228353Y (en) Ecological riverbank with pile type wave-protection structure
KR200262788Y1 (en) Inter locking multi-function block for river conservation work
JP3785162B2 (en) Revetment block and revetment structure using the revetment block
KR200381308Y1 (en) an environmental wall with various batter
JP2761192B2 (en) Bed guard block
JP3357641B2 (en) Revetment block
JP3638880B2 (en) Concrete block
KR20010070795A (en) Inter Locking Multi-Function Block
KR100919614B1 (en) The crib block for a vegetation and shore protection which has a fishway facilities
JP3420309B2 (en) Nesting fish nest block
JP4325774B2 (en) Filling baske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