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998B1 - lever structure of code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lever structure of code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998B1
KR100501998B1 KR10-2003-0032236A KR20030032236A KR100501998B1 KR 100501998 B1 KR100501998 B1 KR 100501998B1 KR 20030032236 A KR20030032236 A KR 20030032236A KR 100501998 B1 KR100501998 B1 KR 100501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obbin
button
horizontal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0038A (en
Inventor
최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3-003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998B1/en
Publication of KR2004010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0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99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코드릴 장치의 레버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보빈 브라켓(10)에 축설되는 보빈(20)과, 상기 보빈(2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30)를 구비하여 상기 보빈 브라켓(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레버(40)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40)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50)으로 이루어진 진공 청소기의 코드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40)는 상기 보빈 브라켓(10)의 상면에 중간부가 회전 지지체(6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버튼(50)의 누름단(52)이 접촉되는 경사면(41)이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수평단(42); 상기 수평단(42)의 타측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끝단에 상기 스톱퍼(30)가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재(70)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단(42)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톱퍼(30)가 보빈(20)의 외주연에 밀착/이격되도록 하는 수직단(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40)의 수평단(42)이 버튼(50)의 수직 하중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버튼(50)을 작동시키는 힘이 경감되어 작동감이 향상될 수 있고, 청소기 본체의 사양 변경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 structure of a cord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bbin (20) arranged on the bobbin bracket (10), and a stopper (3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bobbin (20). In the cord reel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lever (4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bbin bracket 10, and a button (50)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operate the lever (40), the lever ( 40 is an inclined surface 41 in which an intermediate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rotary support 6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bracket 10, and the pressing end 52 of the button 50 is in contact with one side thereof. A horizontal end 42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he stopper 3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end 42 and extends directly downward, and an elastic member 70 having a restoring force is installed at an end thereof. It comprises a vertical end 44 to rotate in the direction so that the stopper 30 is in close contact / spac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end 42 of the lever 40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converting the vertical load of the button 50 into the rotational movement, the force for operating the button 50 is reduced to feel the operation The effect can be improved,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cleaner body can be variously made.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코드릴 장치의 레버구조{lever structure of code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Lever structure of code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코드릴 장치의 레버구조에 관한 것이고, 특히 누름단의 수직운동을 수평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 작동되면서 스톱퍼가 보빈의 외주연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코드릴 장치의 레버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 structure of a cord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ver structure of a cord reel device which is operated by converting a vertical motion of a push end into a horizontal rotational motion so that a stopper is spaced apart from an outer circumference of a bobbin. .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팬모터의 구동으로 발생된 강력한 흡인력에 의해 바닥이나 구석, 틈, 벽면에 붙은 먼지나 기타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내부의 집진팩에 의해 포집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general, the vacuum cleaner is capable of collecting dust or other foreign matter on the floor, corners, cracks, walls, etc. by the strong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and collecting the dust by the internal dust collecting pack.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본체의 이동에 따라 전원 콘센트와 청소기 본체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청소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전원선이 인장력에 의해 자동으로 풀리도록 하고, 청소작업을 마친 후 푸쉬버튼을 누르게 되면, 느슨해진 전원선이 태엽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청소기 본체의 안으로 감기도록 하는 전원선 일방향 권취장치, 즉 코드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outlet and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increases with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the vacuum cleaner is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pulling force from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and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after the cleaning operation is loosened, The power supply line is provided with a one-way winding device, that is, a cord reel device, which causes the power cord to be wound back into the cleaner body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이와 같은 코드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 브라켓(1)에 설치된 레버(2)의 스톱퍼(3)가 전선이 감겨진 보빈(4) 외주연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4)은 되감기지 않게 되나, 버튼(6)을 누르게 되면 버튼의 누름단(6-1)이 레버(2)의 일단을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레버(2)가 시소운동을 하게 되며, 레버(2)의 시소운동은 레버(2)의 타단에 설치된 스톱퍼(3)를 보빈(4)의 외주연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어 보빈(4)이 태엽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 since the stopper 3 of the lever 2 installed in the bobbin bracket 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4 on which the electric wire is wound, the bobbin 4 is When the button 6 is pressed, the push end 6-1 of the button presses one end of the lever 2, which causes the lever 2 to move in a seesaw motion. The seesaw movement is such that the stopper 3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ever 2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4 so that the bobbin 4 rotates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그러나, 이와 같은 코드릴 장치의 레버(2)는 그 중간부가 축설되어 시소 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고, 버튼(6)의 누름단(6-1)과 레버(2)의 일단이 수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레버(2)의 복원스프링(2-1) 탄성을 극복하면서 버튼(6)을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상기 복원스프링(2-1)의 탄성력이 그대로 버튼(6)에 전달되어 버튼(6)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However, the lever 2 of such a cord reel device is constructed so that its middle part is constructed so as to perform a seesaw motion, and the push end 6-1 of the button 6 and one end of the lever 2 are vertically contacted. Since it was configured, the user had to press the button 6 while overcoming the elasticity of the restoring spring 2-1 of the lever 2. That is, the elastic force of the restoring spring 2-1 is transmitted to the button 6 as i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button 6 is not smooth.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레버(2)는 버튼(6)의 힘을 수직으로 받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의 사양 변경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 즉 버튼(6)의 누르는 힘이 레버(2)에 수직으로 직접 작용되도록 레버(2)와 버튼(6)을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레버(2) 또는 버튼(6)의 사양변경은 물론, 본체 커버의 사양 변경도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lever 2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force of the button 6 vertically,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specification of the cleaner body, that is, the pressing force of the button 6 is applied to the lever 2. By providing the lever 2 and the button 6 so as to directly act vertical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specification of the body cover as well as the specification of the lever 2 or the button 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버튼의 누르는 수직 하중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버튼을 작동시키는 힘이 경감되어 작동감이 향상될 수 있고, 청소기 본체의 사양 변경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rt the pressing vertical load of the button into a rotary motion to act to reduce the force to operate the button to improve the operation feeling It is possible to, and to provide a means for varying the specification of the cleaner body can be made in various way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결합되는 보빈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선이 감겨지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연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그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를 구비하여 상기 보빈 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으로 이루어진 진공 청소기의 코드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보빈 브라켓의 상면에 중간부가 회전 지지체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버튼의 누름단이 접촉되는 경사면이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누름단의 수직 운동이 수평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는 수평단; 상기 수평단의 타측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끝단에 상기 스톱퍼가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단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톱퍼가 보빈의 외주연에 밀착/이격되도록 하는 수직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코드릴 장치의 레버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provided with a bobbin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bbin bracket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wire is wound, and a stopper for selectively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to control the rotation thereof. In the cord reel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consisting of a lev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bbin bracket, and a button installed on the main body for operating the lever, the lever is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bracket by a rotating support A horizontal end rotatably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on one side, an inclined surface contacting the pressing end of the button is inclined downward, and a horizontal end of the pressing end converted into a horizontal rotational motion; The stopper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end and extends downward, and the stopper is installed at the end thereof,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a restoring force is installed at the middle part thereof. It provides a lever structure of a cord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rtical end / to be spaced apar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레버(40)가 적용되는 코드릴 장치는 본체에 결합되는 보빈 브라켓(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선이 감겨지는 보빈(20)과, 상기 보빈(20)의 외주연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그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30)를 구비하여 상기 보빈 브라켓(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레버(40)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40)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50)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2 to 4a and 4b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rd reel device to which the lev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bbin bracket 10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wires are wound. A lever 4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bbin bracket 10 and having a bobbin 20 and a stopper 30 for selectively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20 to control the rotation thereof; I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consists of a button 50 for operating the lever 40.

상기 레버(40)는 수평단(42)와 상기 수평단(42)의 타측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단(44)로 이루어져 대략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lever 4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consisting of a horizontal end 42 and a vertical end 44 extending straight down from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end 42.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수평단(42)은 그 중간부가 회전 지지체(60)에 의해 보빈 브라켓(10)의 일측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 지지체(60)는 와셔나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end 42 is installed so that the middle portion thereof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bbin bracket 10 by the rotating support 60. The rotating support 60 may be a washer screw or the like.

이러한 수평단(42)의 일측에는 하부로 경사진 경사면(41)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41)은 상기 버튼(50)의 누름단(52)이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누름단(52)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41)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41)에 접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누름단(52)은 그 끝단이 만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An inclined surface 41 inclined downwar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end 42, and the inclined surface 41 is formed such that the pressing end 52 of the button 50 contacts. The pressing end 52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ed surface 41 as shown in FIG. 4A to b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41. However, the pressing end 52 may be formed so that the end is curved.

상기 수직단(44)은 상기 수평단(42)의 타단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그 끝단에는 상기 스톱퍼(30)가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탄성부재(70)가 보빈 브라켓(10)에 일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The vertical end 44 is formed to extend directly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end 42, the stopper 30 is installed at the end thereof, the elastic member 70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obbin bracket 10 One end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결국, 상기 레버(40)는 수평단(42)과 수직단(44)은 서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단(42)이 회전 지지체(60)에 의해 보빈 브라켓(10)에 설치되므로 상기 수평단(42)과 수직단(44)은 상기 회전 지지체(60)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lever 40 has a horizontal end 42 and the vertical end 44 is formed in a '┓' shap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orizontal end 42 to the bobbin bracket 10 by the rotary support 60 Since the horizontal end 42 and the vertical end 44 is installed so as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support 6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2 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40)의 수평단(42)이 회전 지지체(60)에 의해 보빈 브라켓(10)의 상면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단(44)에는 보빈(20)의 외주연에 밀착되거나 외주연으로부터 이격되는 스톱퍼(30)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단(44)의 중간부에는 레버(40)에 복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70)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5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단(52)은 수평단(42)의 경사면(41)에 접촉되고, 이로 인하여 레버(40)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 As shown in FIG. 2 or FIG. 4A, the horizontal end 42 of the lever 4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bracket 10 by the rotating support 60, and the vertical end ( 44 is provided with a stopper 30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20 or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y,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 restoring elastic force to the lever 40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end 44 (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50 as shown in FIG. 4A with the 70 installed, the push end 52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41 of the horizontal end 42, thereby lever 40. )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즉, 상기 누름단(52)은 경사면(41)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누름단(52)이 경사면(41)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경사면(41)은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단(52)이 가압하는 힘에 의해 일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That is, the pressing end 52 presses the inclined surface 41, and when the pressing end 52 presses the inclined surface 41, the inclined surface 41 is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pressing end ( 52) is pushed to one side by the pressing force.

다시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단(52)이 경사면(41)에 접촉된 상태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허용된 수평단(42)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이 허용된 방향(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누름단(52)의 수직운동이 수평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pressing end 52 moves downward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41 as shown in FIG. 4A, the horizontal end 42 freely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hown in FIG. 4B. As shown in the figure, the rotation is allowed to rotate in the allowed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ing end 52 is converted into a horizontal rotational movement.

이러한 과정으로 상기 수평단(42)과 일체로 된 수직단(44)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직단(44)은 탄성부재(70)를 압축시키면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수직단(44)의 끝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빈(2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보빈(20)의 회전을 제어하고 있던 스톱퍼(30)가 보빈(20)의 외주연으로부터 이격되어 보빈(20)은 내장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을 하면서 전선을 되감게 되는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vertical end 44 integrated with the horizontal end 42 is also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B, wherein the vertical end 44 is rotated while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70. Due to this, the stopper 3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20 in the state of being installed at the end of the vertical end 44 and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bobbin 2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20. The bobbin 20 is to rewind the wire while rotating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built-in spring.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버튼(50)을 가하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70)는 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수직단(44)을 최초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레버(40) 전체가 최초 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In this state,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50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70 generates a restoring force to rotate the vertical end 44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itial rotation direction, thereby lever (40) The whole is to rotat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itial rotation direction.

상기 레버(40)가 탄성부재(70)에 의해 최초 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톱퍼(30)는 다시 보빈(2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보빈(2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When the lever 4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itial rotation direction by the elastic member 70, the stopper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20 again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bobbin 20 do.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레버(40)는 버튼(50)의 수직 하중을 수평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스톱퍼(30)를 보빈(20)의 외주연에서 이격시키고, 탄성부재(7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최초 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톱퍼(30)를 보빈(20)의 외주연에 밀착시키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ever 40 converts the vertical load of the button 50 into a horizontal rotational motion to rotate the stopper 30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20 while rot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lastic member 7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topper 30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itial rotational direction to bring the stopper 3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20.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용 코드릴 장치의 레버구조는 보빈 브라켓의 상면에 중간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단과, 상기 수평단의 타단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으로 이루어진 레버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의 수평단이 버튼의 수직 하중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버튼을 작동시키는 힘이 경감되어 작동감이 향상될 수 있고, 청소기 본체의 사양 변경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The lever structure of the cord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ver having a horizontal end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a bobbin bracket, and a vertical extension extending directly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end of the lever converts the vertical load of the button into a rotational movement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force for operating the button can improve the operating feeling, the specification change of the cleaner body Various effects can be provid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typically defin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with knowledge of the world can make many variation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 청소기용 코드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rd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코드릴 장치의 레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ver of the cord re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코드릴 장치의 레버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gaged state showing the lever of the cord reel device shown in FIG.

도 4a,4b는 본 발명에 의한 코드릴 장치의 레버 작동을 도시한 도면으로, 4a는 일부확대 측면도이고, 4b는 일부확대 평면도.Figure 4a, 4b is a view showing the lever operation of the cord re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4b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보빈 브라켓 20 : 보빈10: bobbin bracket 20: bobbin

30 : 스톱퍼 40 : 레버30: stopper 40: lever

41 : 경사면 42 : 수평단41: slope 42: horizontal end

44 : 수직단 50 : 버튼44: vertical stage 50: button

52 : 누름단 60 : 회전 지지체52: pressing end 60: rotating support

70 : 탄성부재70: elastic member

Claims (1)

본체에 결합되는 보빈 브라켓(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선이 감겨지는 보빈(20)과, 상기 보빈(20)의 외주연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그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톱퍼(30)를 구비하여 상기 보빈 브라켓(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레버(40)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40)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50)으로 이루어진 진공 청소기의 코드릴 장치에 있어서, It is provided with a bobbin 20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bbin bracket 10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 wire wound thereon, and a stopper 30 selectively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20 to control the rotation thereof. In the cord reel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lever (4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bbin bracket 10 and a button (50)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operate the lever (40), 상기 레버(40)는 상기 보빈 브라켓(10)의 상면에 중간부가 회전 지지체(6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버튼(50)의 누름단(52)이 접촉되는 경사면(41)이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누름단(52)의 수직 운동이 수평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는 수평단(42);The lever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bracket 10 so that the middle par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rotation support 60, and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end 52 of the button 50. A horizontal end 42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nd the vertical motion of the pressing end 52 is converted into a horizontal rotational motion; 상기 수평단(42)의 타측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끝단에 상기 스톱퍼(30)가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재(70)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단(42)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톱퍼(30)가 보빈(20)의 외주연에 밀착/이격되도록 하는 수직단(44);The stopper 3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end 42 and extends downward, and an elastic member 70 having a restoring force is installed at an end thereof. Vertical end 44 to rotate in the direction so that the stopper 30 is in close contact / spac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코드릴 장치의 레버구조.Lever structure of the cord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KR10-2003-0032236A 2003-05-21 2003-05-21 lever structure of code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KR1005019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236A KR100501998B1 (en) 2003-05-21 2003-05-21 lever structure of code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236A KR100501998B1 (en) 2003-05-21 2003-05-21 lever structure of code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038A KR20040100038A (en) 2004-12-02
KR100501998B1 true KR100501998B1 (en) 2005-07-25

Family

ID=3737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236A KR100501998B1 (en) 2003-05-21 2003-05-21 lever structure of code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99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038A (en)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476A (en) Vacuum cleaner having an apparatus for releasing cord reel of cord winder
KR100501998B1 (en) lever structure of code reel device for a vacuum cleaner
JPH0747B2 (en) Hot air generator
KR100759129B1 (en) Outlet box
CN101874723B (en) Roller brush transmission structure of electric vacuum dust remover
CN208985893U (en) A kind of foot controller
US5666688A (en) Cleaner having a switch button for operating a power on/off switch and a cord-winding unit
JP3156834U (en) Dewatered bucket
CN210629321U (en) Passive wireless switch
JP7414630B2 (en) Vacuum cleaner suction body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same
CN217852767U (en) Floor cleaning device
JPH0142898Y2 (en)
JPH06151A (en) Suction implement of vacuum cleaner
CN114078290A (en) Surface treatment device with remote unlocking means for an accessory device
CN1050000C (en) Push-button digital switch
KR960008297Y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cord-reel of a vacuum cleaner
JP3572624B2 (en) Vacuum cleaner suction device and vacuum cleaner
KR20020000076A (en) Operating button for vacuum cleaner
JP3089268U (en) Power tool switch safety device
KR19990031397U (en) Cord Reel Assembly for Vacuum Cleaner
KR19990011401A (en) Vertical vacuum cleaner
KR100562547B1 (en) Cord reel lever for vacuum cleaner
JPH08168457A (en) Vacuum cleaner
KR20010035708A (en) cord-reel device in vacuum cleaner
KR20030032495A (en) On-off device for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