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761B1 - Driving circuit for use in thermo control - Google Patents

Driving circuit for use in thermo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761B1
KR100501761B1 KR10-2002-0082297A KR20020082297A KR100501761B1 KR 100501761 B1 KR100501761 B1 KR 100501761B1 KR 20020082297 A KR20020082297 A KR 20020082297A KR 100501761 B1 KR100501761 B1 KR 10050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ontrol
reference signal
signal
ther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2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55863A (en
Inventor
이경탁
이장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씨
주식회사 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씨, 주식회사 광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to KR10-2002-0082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761B1/en
Publication of KR20040055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8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76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05B11/26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in which the output signal is a pulse-train
    • G05B11/28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in which the output signal is a pulse-train using pulse-height modulation; using pulse-width mod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c-Dc Conver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부하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하며 전력소모와 소자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가 개시된다. 그러한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부하연결 라인과; 상기 부하연결 라인에 연결되어질 부하에 대하여 써모 콘트롤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기준신호와 발진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부하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제어부와;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접속된 부하를 구동하는 부하구동부와; 상기 부하연결 라인에 접속되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상태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변화시키는 모드 판정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A load control circuit for a thermo control that operates adaptively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and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device size is disclosed. Such a thermo-control load drive circuit includes at least one load connection line; A driving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operation of the load by comparing a reference signal and an oscillation signal to perform a thermo control operation on a load to be connected to the load connection line; A load driver which drives a load connecte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f the drive controller; And a mode determination unit for outputting different status signals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connected to the load connection line to change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Description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Driving circuit for use in thermo control} Driving circuit for thermo control {Driving circuit for use in thermo control}

본 발명은 에어 컨디셔너, 히터, 냉장고 등과 같은 냉온기기에 채용하기 적합한 써모 콘트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 control suitable for use in cold and hot equipment such as air conditioners, heaters, refrigerators,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ad drive circuit for a thermo control.

통상적으로, 냉온기기중 에어컨디셔너에 채용된 콤프레셔를 계속해서 가동할 경우에 실내공기 유입관에 얼음이 생겨서 실내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내공기 유입부에 온도센서를 장착하고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외부 릴레이를 차단하여 콤프레셔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다시 일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외부 릴레이를 연결하여 콤프레셔를 재 동작시키는 써모 콘트롤(thermo control)회로가 장착된다. In general, when continuously operating the compressor employed in the air conditioner of the cold and warm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ake of indoor air is blocked by the ice in the indoor air inlet pip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mperature sensor is attached to the indoor air inlet, and when the temperature falls below a certain temperature, the external relay is shut off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an external relay is connected. It is equipped with a thermo control circuit which restarts the compressor.

그러한 써모 콘트롤 회로는 일반적으로, 온도센서부와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정보로부터 릴레이의 구동을 제어하는 부하구동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하구동회로는 대개 펄스폭 변조방식으로 부하를 제어하기 때문에 부하의 종류가 릴레이인 경우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엔진 콘트롤 유닛(ECU)등과 같은 선형 부하를 구동하기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못하므로, 필요시에 별도의 부하구동회로를 제조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Such a thermo control circuit generally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section and a load driving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elay from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In this case, the load driving circuit is usually designed to be suitable when the type of load is a relay because the load is controlled by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Therefore, it is not very suitable for driving a linear load such as an engine control unit (ECU), etc., and there is a burden of manufacturing a separate load driving circuit if necessary.

또한, 상기 부하구동회로에 연결되는 부하의 종류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통상의 릴레이용 부하구동회로 또는 ECU용 부하구동회로를 구별없이 적용할 경우에 오동작 제어가 일어나거나, 회로부품의 손상이 유발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an ordinary relay load driving circuit or ECU load driving circuit is applied without distinction without knowing the type of the load connected to the load driving circuit, malfunction control may occur or damage to circuit components may occur. There is a serious problem.

더구나, 종래에는 펄스코드 변조(PWM)방식의 제어 시에 채용소자의 사이즈를 줄이기 어렵고 그에 따른 전력소모가 부담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size of the element employed in the control of the pulse code modulation (PWM) method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a burden according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개선된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thermo-control load driving circuit which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하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ad control circuit for a thermo control that can be adaptiv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소모와 소자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ad control circuit for a thermo control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device siz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하구동회로를 원칩화할 수 있는 써모 콘트롤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mo control circuit capable of one-chip load driving circuit.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aspect)에 따른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부하연결 라인과; 상기 부하연결 라인에 연결되어질 부하에 대하여 써모 콘트롤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기준신호와 발진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부하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제어부와;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접속된 부하를 구동하는 부하구동부와; 상기 부하연결 라인에 접속되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상태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변화시키는 모드 판정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ad control circuit for a thermo control includes: at least one load connection line; A driving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operation of the load by comparing a reference signal and an oscillation signal to perform a thermo control operation on a load to be connected to the load connection line; A load driver which drives a load connecte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f the drive controller; And a mode determination unit for outputting different status signals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connected to the load connection line to change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상기 모드 판정부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과, 1개의 저항으로 구성되며, 연결되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들이 모두 턴온되어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접지전위로 만들 수 있다. The mode determiner may include two transistors and one resistor, and the transistors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to be connected to make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at ground potential.

여기서, 상기 부하의 종류는 엔진콘트롤 유닛 및 릴레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정전압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정전압을 동작전원전압으로서 수신하며 감지전압 신호와 기준전압 신호를 비교한 비교출력을 생성하는 제1 비교부와; 상기 제1 비교부의 비교출력을 동작전원전압으로서 수신하며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발진신호와 인가되는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부하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type of load basically includes an engine control unit and a relay, and the driving controller includes: a regulator for generating a constant voltage; A first comparing unit which receives the constant voltage as an operating power supply voltage and generates a comparison output comparing the sensed voltage signal with a reference voltage signal; And a second compara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comparison output of the first comparator as an operating power supply voltage an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operation of the load by comparing the oscillation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and the applied reference signal.

또한, 상기 부하 구동부는, 제1,2,3 트랜지스터들과, 3개의 저항들 및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ad driver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transistors, three resistors, and a zener diode.

바람직하기로, 상기 레귤레이터의 정전압을 수신하며 온도 이상에 따른 회로과열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2 비교부의 출력단의 전위를 접지로 방전하는 써말 셧 다운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전압을 수신하며 과전압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비교부의 출력단의 전위를 접지로 방전하는 과전압 검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부하에서의 쇼트발생시 내부회로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부하 연결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증가시키는 소자보호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전원전압을 저항분압하여 상기 기준신호를 제공하며 일정전압 이상시 비선형 출력을 갖는 상기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비교전압 발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hermal shutdown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stant voltage of the regulator and discharge a potenti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comparator to ground when a circuit overheat occurs due to a temperature abnormality. In this case, an overvoltage detector for discharging the potenti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comparator to ground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o protect the internal circuit elements in the event of a short circuit in the loa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element protection unit connected to the load connection line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by providing a reference voltage by dividing the power supply voltag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the reference signal having a nonlinear output when the voltage exceeds a predetermined voltage.

상기한 회로구성에 따르면, 부하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하며 전력소모와 소자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circuit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daptiv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and power consumption and device size can be reduc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가 본 발명을 한정할 의도없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Hereinafter, a load control circuit for a thermo contro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thout intending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써모 콘트롤 회로는 크게 온도센서부(36)와 부하구동회로(50)로 나누어지며, 상기 온도센서부(36)는 4개의 저항들(R5-R9)과 써미스터(THR)로 구성되어, 단자(CN1)를 통해 정전압(Vref)을 입력하여 온도를 감지한 결과를 나타내는 감지전압 신호(Vin-)를 단자(CN4)를 통해 출력하고, 기준전압 신호(Vin+)를 단자(CN3)를 출력한다. First, Figure 1 is a load control circuit diagram for a thermo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thermo control circuit is largely divided into a temperature sensor unit 36 and a load driving circuit 50, and the temperature sensor unit 36 is divided into four resistors R5-R9 and thermistor THR. Configured to input a constant voltage Vref through the terminal CN1 to output a sensing voltage signal Vin- representing the result of sensing the temperature through the terminal CN4, and output a reference voltage signal Vin + to the terminal CN3. )

상기 부하구동회로(5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부하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자들(CN8,CN9)에 접속된 부하연결 라인들과, 상기 부하연결 라인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질 부하에 대하여 써모 콘트롤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기준신호와 발진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부하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제어부와,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접속된 부하를 구동하는 부하구동부와, 상기 부하연결 라인에 접속되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상태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변화시키는 모드 판정부(46)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The load driving circuit 50 has a load control line connected to terminals CN8 and CN9 to which different types of loads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and a thermo control for the loa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load connection line. A driv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operation of the load by comparing a reference signal and an oscillation signal to perform an operation, a load driver for driving a load connecte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f the drive control unit, and the load Basically, the mode determination unit 46 outputs different status signals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to change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상기 구동제어부는, 전원전압(VCC)에 연결된 저항(R3)의 일단과 접지(GND)간에 연결되어 정전압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31), 상기 정전압을 동작전원전압으로서 수신하며 상기 감지전압 신호와 기준전압 신호를 비교한 비교출력을 생성하는 제1 비교부(35)와, 상기 제1 비교부(35)의 비교출력을 동작전원전압으로서 수신하며 발진기(32)로부터 출력되는 발진신호와 노드(NO2)에 나타나는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부하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부(33)를 포함한다. The driving control unit includes a regulator 31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a resistor R3 connected to a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a ground GND to generate a constant voltage, and receiving the constant voltage as an operating power supply voltage, and receiving the sensed voltage signal and a reference. The first comparator 35 generating a comparison output comparing the voltage signals, and the oscillation signal and the node NO2 received from the oscillator 32 while receiving the comparison output of the first comparator 35 as an operating power supply voltage. And a second comparator 33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load by comparing the reference signals appearing in FIG.

상기 구동제어부내의 상기 제2 비교부(33)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단자들(CN8,CN9)에 연결가능한 부하들을 구동하기 위한 부하 구동부(49)는, 제1,2,3 트랜지스터들(Q1,Q100,Q3)과, 저항들(R100,R102,R103)과, 버퍼(BF1)와, 제너 다이오드(D3)를 포함한다. The load driver 49 for driving loads connectable to the terminals CN8 and CN9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comparator 33 in the driving control unit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transistors Q1. Q100 and Q3, resistors R100, R102 and R103, a buffer BF1, and a zener diode D3.

한편, 상기 전원전압(VCC)를 수신하는 비교전압 발생부(45)는 상기 노드(NO2)에 기준신호를 제공하며, 소자 보호부(ISC:42)는 회로소자의 보호를 위해 노드(NO3)에 연결된다. 또한, 노드(NO4)에 각기 연결된 과전압 검출부(47)와 써멀 셧 다운부(48)는 각기 과전압 검출동작 및 써멀 셧 다운 동작을 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45 receiv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provides a reference signal to the node NO2, and the device protection unit ISC 42 provides a node NO3 to protect circuit elements. Is connected to. In addition, the overvoltage detection unit 47 and the thermal shutdown unit 48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node NO4 perform the overvoltage detection operation and the thermal shutdown operation, respectively.

상기 부하구동회로(50)의 외부에는, 단자(CN7)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에미터로 전원전압(VCC)을 수신하며 단자(CN9)에 컬렉터가 연결된 pnp 타입의 부하 트랜지스터(Q2)와,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캐소드가 연결되고 애노드가 배터리에 연결된 다이오드(D1)와,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캐소드가 연결되고 애노드가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에 연결된 다이오드(D2)가 설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부하가 릴레이인 경우에 릴레이(34)의 제어입력단자는 제2 부하노드(RD2)를 통해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에 연결된다. 또한, 사용되는 부하가 ECU(엔진 콘트롤 유닛)인 경우에도 ECU는 상기 제2 부하노드(RD2)를 통해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에 연결된다. 한편, 단자(CN9)를 통해 연결된 제1 부하노드(RD1)에는 ECU 만이 연결가능하다. A pnp type load transistor Q2 having a base connected to a terminal CN7, receiving a power supply voltage VCC through an emitter, and a collector connected to a terminal CN9 outside the load driving circuit 50, and A diode D1 having a cathode connected to the emitter of the load transistor Q2 and an anode connected to the battery, a cathode connected to the emitter of the load transistor Q2, and an anode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load transistor Q2 Diode D2 is installed. Here, when the load used is a relay, the control input terminal of the relay 34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load transistor Q2 through the second load node RD2. In addition, even when the load used is an ECU (engine control unit), the ECU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load transistor Q2 through the second load node RD2. Meanwhile, only an ECU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oad node RD1 connected through the terminal CN9.

도 2는 도 1중 비교전압 발생부(45)의 구체적 일예도이다. 4개의 저항들(R10-R13)과, 1개의 npn 타입 트랜지스터(Q11)로 구성된 상기 비교전압 발생부(45)는 도 1의 노드(NO2)에 도 6의 그래프(G2)와 같은 특성을 지닌 기준전압을 제공한다. 도 6은 상기 비교전압 발생부(45)의 개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으로서, 저항들(R1,R2)의 전압분배에 의존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기준전압을 생성하여 왔던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나, 트랜지스터(Q11)를 채용하여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경우에 PWM펄스의 듀티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빗금친 영역(EF)만큼의 전력 절감이 달성된다. 펄스코드 변조(PWM)신호의 듀티비 개선은 또한 부하 트랜지스터 소자의 사이즈를 콤팩트 하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제공한다. FIG. 2 is a detailed example of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45 of FIG. 1.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45 including four resistors R10 to R13 and one npn type transistor Q11 has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graph G2 of FIG. 6 at the node NO2 of FIG. Provide a reference voltage.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mprovement effect of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45. In FIG. 6, a reference voltage that increases linearly depending on voltage distribution of resistors R1 and R2 is generated. In addition, since the duty ratio of the PWM pulses can be adjusted when the transistor Q11 is used to generate a non-linearly increasing reference voltage, power saving by the hatched region EF is achieved. Improving the duty ratio of the pulse code modulated (PWM) signal also provides the advantage of making the size of the load transistor device compact.

도 3은 도 1중 모드 판정부(46)의 구체적 일예도로서,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Q20,Q21)과, 1개의 저항(R20)으로 구성된 예이다. 부하의 종류에 따라 pnp 타입 트랜지스터(Q20)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면, npn 트랜지스터(Q21)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노드(NO2)의 전위를 접지레벨 또는 비교전압 발생부(45)에 의해 생성된 기준신호의 레벨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부하의 종류가 ECU인 경우에 상기 pnp 타입 트랜지스터(Q20)와 npn 트랜지스터(Q21)가 모두 턴온되어, 상기 노드(NO2)의 전위는 접지레벨로 되는데 이것이 바로 선형 동작모드이다. 반대로, 릴레이 부하를 구동하는 PWM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pnp 타입 트랜지스터(Q20)와 npn 트랜지스터(Q21)가 모두 턴오프되고, 상기 노드(NO2)의 전위는 상기 비교전압 발생부(45)에 의해 생성된 기준신호의 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따른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게된다. 결국, 상기 모드 판정부(46)의 채용에 의해 릴레이 또는 엔진콘트롤 유닛등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구동회로에 연결되는 부하의 종류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적용하더라도 선형 모드 또는 펄스폭 변조방식의 구동제어가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오동작 제어가 일어나거나, 회로부품의 손상이 유발되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됨은 물론이다.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mode determination unit 46 in FIG. 1 and includes two transistors Q20 and Q21 and one resistor R20. When the pnp type transistor Q20 is turned on or turned off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the npn transistor Q21 is turned on or turned off to generate the potential of the node NO2 by the ground level or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45.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is maintained as it is. Here, when the type of load is an ECU, both the pnp type transistor Q20 and the npn transistor Q21 are turned on so that the potential of the node NO2 is at ground level, which is a linear operation mode. On the contrary, in the PWM operation mode for driving the relay load, both the pnp type transistor Q20 and the npn transistor Q21 are turned off, and the potential of the node NO2 is generated by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45. It is maintained at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Accordingly, the thermo-control load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hange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As a result, by adopting the mode determining unit 46, it is possible to apply and drive all irrespective of the relay or the engine control unit. In addition, even when applied to a state that does not know the type of the load connected to the load driving circuit, the linear mode or the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of the drive control is automatically performed, so that the malfunction control or damage to the circuit components are fundamental. Of course it is prevented.

도 4는 도 1중 과전압 검출부(47)의 구체적 일예도로서, 두 개의 저항들(R40,R41)과, 1개의 트랜지스터(Q40)으로 구성된 예이다. 전압 분배용 저항들(R40,R41)에 의해 과전압이 검출되면 검출노드(ND2)의 전압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40)가 턴온됨에 의해, 노드의 전위는 접지로 방전된다. FIG. 4 is a detailed example of the overvoltage detector 47 of FIG. 1, and includes two resistors R40 and R41 and one transistor Q40. When an overvoltage is detected by the voltage distribution resistors R40 and R41, the voltage of the detection node ND2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transistor Q40 is turned on so that the potential of the node is discharged to ground.

도 5는 도 1중 써멀 셧 다운부(48:Thermal Shut Down)의 구체적 일예도로서, 3개의 저항들(R30,R31, R33)과, 1개의 트랜지스터(Q30)으로 구성된 예이다. 도 1의 레귤레이터(31)로부터 정전압(Vref)을 수신하는 상기 써멀 셧 다운부(48)는 온도 이상에 따른 과열이 발생할 경우 노드(NO4)의 전위를 접지로 방전하여 회로를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a thermal shut down unit 48 of FIG. 1, and includes three resistors R30, R31, and R33 and one transistor Q30. The thermal shut-down unit 48 that receives the constant voltage Vref from the regulator 31 of FIG. 1 functions to discharge a potential of the node NO4 to ground when the overheat occurs due to a temperature abnormality, and cut off the circuit. .

도 1의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부하구동회로(50)를 원칩화하는 경우에, 원가부담, 점유면적의 증대 문제가 아울러 해결됨은 물론이다. As shown in the drawing of FIG. 1, when the load driving circuit 50 is one-chip, the problem of cost burden and increase of the occupied area is of course solved.

상기한 바와 같은 도 1의 회로에서의 기본적인 동작은 본원출원인에 의해 2002년 7월 11출원된 10-2002-0040413호의 제목 "릴레이 구동용 집적회로"를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동작만이 예를 들어 설명될 것이다. For the basic operation in the circuit of FIG. 1 as described above,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title “re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 of 10-2002-0040413 filed Jul. 11, 2002,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Only operation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 by way of example.

단자(CN9)을 통해 연결된 노드(RD2)에 릴레이(34)가 부하로서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모드 판정부(46)의 동작에 의해 노드(NO2)에는 상기 비교전압 발생부(45)에 의해 설정된 기준신호가 나타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비교부(33)는 기준신호의 레벨과 발진기(32)로부터 출력되는 삼각파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삼각파의 신호레벨이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보다 큰 구간에서만 하이 논리의 출력신호를 노드(NO4)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부하 구동부(49)가 하이 논리인 경우에만 동작하여 PWM 방식으로 릴레이(34)가 구동된다. 이 경우에 상기 비교전압 발생부(45)의 내부 고유동작에 의해 비선형적인 기준신호의 생성이 가능하므로 PWM 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할 수 있어 도 6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은 전력절감의 효과가 얻어진다. When the relay 34 is connected as a load to the node RD2 connected through the terminal CN9 as a load,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45 is connected to the node NO2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determining unit 46. The set reference signal appears. Accordingly, the second comparator 33 compares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with the triangular wave signal output from the oscillator 32, and outputs a high logic output signal only in a section in which the signal level of the triangular wave is greater than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Output to node NO4. Accordingly, the relay 34 is driven by the PWM method by operating only when the load driver 49 is high logic. In this case, since the non-linear reference signal can be generated by the internal intrinsic operation of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45, the duty ratio of the PWM signal can be adjusted to obtain the effect of power saving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한편, 단자(CN9)을 통해 연결된 노드(RD2)에 ECU가 부하로서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모드 판정부(46)의 동작에 의해 노드(NO2)의 전위는 접지레벨로 된다. 결국, 상기 비교전압 발생부(45)에 의해 설정된 기준신호가 나타남이 없이 상기 기준신호는 로우레벨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출력신호는 항상 하이레벨로 되어 선형동작모드에 적합하게 된다. 결국, 부하 구동부(49)가 동작하여 리니어 제어 방식으로 상기 엔진콘트롤 유닛이 정상적으로 구동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CU is connected as a load to the node RD2 connected via the terminal CN9, the potential of the node NO2 is brought to the ground level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determining section 46. As a result, the reference signal set to the low level without the reference signal set by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45 appears. As a result, the output signal is always at a high level, which is suitable for the linear operation mode. As a result, the load driver 49 operates to normally drive the engine control unit in a linear control mann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동차에 채용된 에어 컨디셔너 제어를 위한 부하구동회로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 컨디셔너 이외에 냉장고 또는 히터에도 써모 콘트롤 회로가 채용될 수 있으며, 회로의 세부 구성을 사안에 따라 적절히 가감 또는 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load driving circuit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employed in an automobile, bu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thereof. For example, a thermo control circuit may be employed in the refrigerator or the heater in addition to the air conditioner,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can be appropriately add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cas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부하구동회로에 따르면, 모드 판정부를 구비함에 의해 릴레이 또는 엔진콘트롤 유닛등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부하구동회로에 연결되는 부하의 종류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적용하더라도 선형 모드 또는 펄스폭 변조방식의 구동제어가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오동작 제어가 일어나거나, 회로부품의 손상이 유발되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더구나, 펄스코드 변조(PWM)방식의 제어 시에 듀티비를 개선할 수 있어 부하 트랜지스터 소자의 사이즈를 콤팩트 하게 하거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load driv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mode determination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and driven regardless of the relay or the engine control unit. In addition, even when applied to a state that does not know the type of the load connected to the load driving circuit, the linear mode or the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of the drive control is automatically performed, so that the malfunction control or damage to the circuit components are fundamental.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voided. In addition, the duty ratio can be improved during the control of the pulse code modulation (PWM) method, so that the size of the load transistor element can be made compact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도1 is a load control circuit diagram for a thermo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중 비교전압 발생부(45)의 구체적 일예도FIG. 2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45 of FIG. 1.

도 3는 도 1중 모드 판정부(46)의 구체적 일예도FIG. 3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mode determination unit 46 in FIG.

도 4는 도 1중 과전압 검출부(47)의 구체적 일예도 FIG. 4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overvoltage detector 47 of FIG. 1.

도 5는 도 1중 써멀 셧 다운부(48)의 구체적 일예도5 is a specific example of the thermal shutdown unit 48 of FIG.

도 6은 상기 비교전압 발생부(45)의 개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6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n improvement effect of the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45.

Claims (12)

적어도 하나이상의 부하연결 라인과; At least one load connecting line; 상기 부하연결 라인에 엔진콘트롤 유닛 또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부하가 연결되는 경우에도 써모 콘트롤 동작이 적합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기준신호와 발진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부하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제어부와; Drive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load by comparing the reference signal and the oscillation signal in order to make the thermo control operation properly even when a load including an engine control unit or a relay is connected to the load connection line Wow;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접속된 부하를 선형 모드 또는 펄스폭 변조방식 중의 하나로 구동하는 부하구동부와; A load driver for driving a load connecte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f the drive controller in one of a linear mode and a pulse width modulation scheme; 상기 부하연결 라인에 접속되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상태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변화시키는 모드 판정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And a mode determination unit for outputting different status signals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connected to the load connection line to change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판정부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과, 1개의 저항으로 구성되며, 연결되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들이 모두 턴온되어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접지전위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de determiner comprises two transistors and one resistor, and the transistors are all turned on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to be connected to make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at ground potential. Load control circuit for thermo contro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e control unit, 정전압을 생성하는 레귤레이터와;A regulator for generating a constant voltage; 상기 정전압을 동작전원전압으로서 수신하며 감지전압 신호와 기준전압 신호를 비교한 비교출력을 생성하는 제1 비교부와;A first comparing unit which receives the constant voltage as an operating power supply voltage and generates a comparison output comparing the sensed voltage signal with a reference voltage signal; 상기 제1 비교부의 비교출력을 동작전원전압으로서 수신하며 발진기로부터 출력되는 발진신호와 인가되는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부하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 And a second comparator configured to receive a comparison output of the first comparator as an operating power supply voltage, and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operation of a load by comparing an oscillation signal output from an oscillator and an applied reference signal. Load driving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구동부는, 제1,2,3 트랜지스터들과, 3개의 저항들 및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The load control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load driver comprises first, second, and third transistors, three resistors, and a zener dio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의 정전압을 수신하며 온도 이상에 따른 회로과열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2 비교부의 출력단의 전위를 접지로 방전하는 써말 셧 다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 The thermo-control loa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thermal shutdown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stant voltage of the regulator and discharge the potenti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comparator to ground when a circuit overheat occurs due to a temperature abnormality. Driving circu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을 수신하며 과전압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제2 비교부의 출력단의 전위를 접지로 방전하는 과전압 검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 The load control circuit as claimed in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overvoltage detec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discharge the potential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comparator to ground when an overvoltage is detected. 제4항에 있어서, 부하에서의 쇼트발생시 내부회로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부하 연결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증가시키는 소자보호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 The load control circuit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element protection unit connected to the load connection line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to protect an internal circuit element when a short occurs in a load. 제1항에 있어서, 전원전압을 저항분압하여 상기 기준신호를 제공하며 일정전압 이상시 비선형 출력을 갖는 상기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비교전압 발생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 The load control circuit as claimed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for providing the reference signal by dividing a power supply voltage and generating the reference signal having a non-linear output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or more is exceeded. 적어도 하나이상의 부하연결 라인과; At least one load connecting line; 전원전압을 저항분압하여 기준신호를 제공하며 일정전압 이상시 비선형 출력을 갖는 상기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비교전압 발생부와;A comparison voltage generator which provides a reference signal by dividing a power supply voltage and generates the reference signal having a nonlinear output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exceeded; 상기 부하연결 라인에 연결되어질 부하에 대하여 써모 콘트롤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준신호와 발진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부하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동제어부와; A driving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load by comparing the reference signal and the oscillation signal to perform a thermo control operation on the load to be connected to the load connection line;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접속된 부하를 선형 모드 또는 펄스폭 변조방식 중의 하나로 구동하는 부하구동부와; A load driver for driving a load connecte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f the drive controller in one of a linear mode and a pulse width modulation scheme; 상기 부하연결 라인에 접속되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상태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변화시키는 모드 판정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And a mode determination unit for outputting different status signals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connected to the load connection line to change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판정부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과, 1개의 저항으로 구성되며, 연결되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들이 모두 턴온되어 상기 기준신호의 레벨을 접지전위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ode determiner is composed of two transistors and one resistor, and the transistors are all turned on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 to be connected to make the level of the reference signal a ground potential. Load control circuit for thermo control.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종류는 엔진콘트롤 유닛 및 릴레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써모 콘트롤용 부하구동회로.The load control circuit for thermo-control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type of the load basically includes an engine control unit and a relay.
KR10-2002-0082297A 2002-12-23 2002-12-23 Driving circuit for use in thermo control KR100501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297A KR100501761B1 (en) 2002-12-23 2002-12-23 Driving circuit for use in thermo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297A KR100501761B1 (en) 2002-12-23 2002-12-23 Driving circuit for use in thermo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863A KR20040055863A (en) 2004-06-30
KR100501761B1 true KR100501761B1 (en) 2005-07-18

Family

ID=3734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297A KR100501761B1 (en) 2002-12-23 2002-12-23 Driving circuit for use in thermo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76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863A (en)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2372B1 (en) Brushless DC fan module incorporating integral fan control circuit with a communication port for receiving digital commands to control fan
JP4589966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US7271561B2 (en) Fan module and control device thereof
US7542251B2 (en) Auto-protected power modules and methods
US6380704B1 (en) Fan linear speed controller
US5530788A (en) Electric motor drive control apparatus
JPH0953450A (en) Automobile cooling fan control system
US20110018621A1 (en) Current mirror circuit
KR20060132941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witching power source device using the same
KR100501761B1 (en) Driving circuit for use in thermo control
JPH0731190A (en) Drive circuit for fan motor
US7064940B2 (en) Over heat protection circuit for a brushless dc motor
US5676196A (en) Dual energy saver for air conditioning
JP2002354870A (en) Brushless motor drive
KR100608215B1 (en) A driving control apparatus for car cooperation blower motor be possessed of protection function
US5029040A (en) Output circuit having a fail-safe function
KR100376225B1 (en) thermo control circuit for use in coldness and warmness system
US5434488A (en) Device for preventing the burning of a coil for a brushless motor and capable of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US6433556B1 (en) Circuit for generating a ramp signal between two temperature points of operation
KR100306971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otation velocity of motor
JP3053065B2 (en)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KR100436971B1 (en)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relay and method for driving relay using the same
JPH07227038A (en) Load driving circuit
KR100455780B1 (en)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relay
WO2004004089A1 (en) Fault sensing circuit for simple motor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