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554B1 - Combus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Combus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554B1
KR100500554B1 KR10-2002-0043161A KR20020043161A KR100500554B1 KR 100500554 B1 KR100500554 B1 KR 100500554B1 KR 20020043161 A KR20020043161 A KR 20020043161A KR 100500554 B1 KR100500554 B1 KR 100500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urned
ignition
burner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27655A (en
Inventor
타카다슈이치
모리구치세이지
아다치이쿠로우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2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6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554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너와, 그 버너에 점화하는 수단과, 그 점화수단을 제어하는 수단과, 그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수단은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스위치가 ON의 경우에는 점화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OFF의 경우에 점화수단을 동작시킨다. 사용자가 스위치를 ON하는 시간은 단시간이다. 이에 소정시간후에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된 ON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의 연소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되고, 스위치의 ON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점화가 개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안전하다. 따라서, 자동복귀식 스위치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ON되더라도 안전한 연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apparatus, comprising a burner, means for igniting the burner, means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means, and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is ON or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when the switch is ON, the ignition means is operated without turning the ignition means. The user turns on the switch for a short time.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witch is not turned on by the user. The combustion apparatus described above is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and is safe because the ignition is not started when the switch is not turned on by the user's ope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combustion device even when the automatic return type switch is turned ON without the user's operation.

Description

연소장치{Combustion apparatus}Combus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자동복귀식 스위치를 ON하는 것에 의해서 점화동작을 개시시키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가 ON으로 되어 버린 경우에는 점화동작이 개시되지 않도록 해서 안전을 확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ustion device in which a user starts an ignition operation by turning on an automatic return type switc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securing safety by preventing the disclosure.

종래에는 사용자가 자동복귀식 스위치를 ON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점화동작을 동작시켜서 연소운전을 개시시키는 연소장치가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점화동작으로는 점화전극이 스파크를 발생함과 동시에 버너에 가스가 공급되는 동작을 의미한다.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combustion apparatus is known in which a user starts an combustion operation by operating an ignition operation by turning on an automatic return type switch. Here, the ignition operation refers to an operation in which gas is supplied to the burner while the ignition electrode generates sparks.

자동복귀식 스위치는 사용자가 누르면 ON으로 되고, 누른 것을 그만두면 OFF로 된다. 자동복귀식 스위치는 가볍게 조작할 수 있고, 스트로크가 0으로 되거나 또는 작기 때문에 조작감에서 우수하다. The auto reset switch turns on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urns off when the user stops pressing it. The automatic return type switch can be operated lightly and is excellent in operation feeling because the stroke is zero or small.

반면, 자동복귀식 스위치는 그 위에 물건이 올려져 있는 것에 의해서 ON으로 되고, 또, 스위치 기판이 전기적으로 쇼트되어 ON으로 되는 일도 있다. 자동복귀식 스위치를 연소장치의 점화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면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반면,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점화동작이 개시될 가능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return type switch is turned ON by placing an object thereon, and the switch substrate may be electrically shorted to turn ON. If the automatic return type switch is used for initiating the ignition operation of the combustion device, it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gnition operation can be started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rate it.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자동복귀식 스위치가 ON된 때에 점화동작을 개시하는 한편,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ON의 경우에는 점화동작을 정지하고, OFF의 경우에는 점화동작을 계속하는 연소장치가 알려져 있다.In order to cope with this problem, conventionally, the ignition operation is started when the auto-return switch is turned on, while the switch is turned on and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In the case of OFF, a combustion apparatus is known which continues the ignition operation.

이 경우, 자동복귀식 스위치가 ON,OFF 판별시에 이미 점화가 완료되어 연소운전이 개시되어 있고, 또한, 스위치의 판별결과가 ON인 경우에는 연소운전을 종료한다. 자동복귀 스위치의 ON,OFF 판별시에 OFF인 경우에는 연소운전이 계속된다.In this case, when the automatic return type switch is ON and OFF discrimination, the ignition has already been completed and the combustion operation is started, 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witch is ON, the combustion operation is terminated. If it is OFF when the automatic return switch is turned on or off, the combustion operation continues.

이 기술은 사용자가 자동복귀식 스위치를 ON으로 하는 시간은 단시간이라고 하는 사실을 교묘하게 이용하고 있다. 즉, 소정 시간이상 스위치가 ON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한 때문은 아니고, 스위치에 물건이 올려져거나, 혹은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거나 해서 스위치가 ON으로 된 것으로 판단하고, 점화동작을 정지시키거나 혹은 연소운전을 종료시키거나 해서 안전을 확보한다. This technique uses the fact that the time for the user to turn on the automatic return switch is a short time. That is,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not because of the user's manipulation, but it is judged that the switch is turned on because an object is placed on the switch or an electrical short occurs, and the ignition operation is stopped. To ensure safety, or to terminate the combustion operation.

그러나, 상기 연소장치는 자동복귀식 스위치가 ON으로 된 때에 점화동작을 개시하고, 그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때에 필요에 따라 점화동작 혹은 연소운전을 중지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스위치에 물건이 올려져 있거나 혹은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거나 한 경우에도 점화동작이 개시되고(경우에 따라서 연이어 연소운전이 행해지는 일도 있다), 사후적으로 점화동작 혹은 연소운전을 중지해버리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combustion device starts the ignition operation when the automatic return switch is turned on, and then stops the ignition operation or the combustion operation if necessary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 object is placed on the switch. Even if an electrical short occurs or an electrical short occurs, the ignition operation is started (in some cases, the combustion operation may be successively perform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gnition operation or the combustion operation is subsequently stopped.

본 발명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related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복귀식 스위치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ON되어도 안전한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bustion device that is safe even if the automatic return type switch is turned on without user's opera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점화하는 수단과,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발명의 제어수단은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점화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OFF의 경우에 점화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urner, means for igniting the burner, means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means, and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The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switch is ON or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when the switch is ON, the ignition means is operated when the switch is OFF.

상기 연소장치의 제어수단은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스위치가 ON인가 OFF인가를 판별하고, ON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한 것은 아니라고 해서 점화를 행하지 않는다. 한편, OFF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한 것으로서 점화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하기 때문에 스위치의 ON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점화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안전하다.The control means of the combustion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is ON or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if it is ON, does not ignite not being operated by the user.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OFF, the user ignites as operated. Since the control is performed in this way, if the switch is not turned on by the user's operation, the ignition is not performed, so it is safe.

또,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점화하는 수단과,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와, 점화를 개시하더라도 안전한가를 확인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확인수단은 스위치가 ON되면 작동개시한다. 또, 제어수단은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이 종료하고 나서 소정 시간내에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스위치가 ON의 경우에는 점화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OFF인 경우에는 점화수단을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점화를 행하더라도 안전한 것인가가 확인되고 나서 점화가 행해지기 때문에 한층 더 안전이 확보된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rner, means for igniting the burner, means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means,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and means for confirming whether the ignition is safe even if the ignition is started. Equipped with. The check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operation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is turned on or off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onfirmation operation by the confirmation means is finished, and when the switch is ON, the ignition means is not operated, and when it is OFF, the ignition means is operated. 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safety is ensured even after the ignition is confirmed, the safety is further secured.

한편, 본 연소장치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점화하는 수단과,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와, 점화를 개시하더라도 안전한 것인가를 확인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확인수단은 스위치가 ON되면 작동개시되고,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확인작업을 완료한다. 제어수단은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상기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의 종료전에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상기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이 종료하더라도 점화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OFF인 경우에는 상기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 작업의 종료시에 점화수단을 동작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combustion apparatus includes a burner, means for igniting the burner, means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means,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and means for confirming whether the ignition is safe even if the ignition is started. Doing. The checking means is started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checking operation is comple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is ON or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before the end of the checking operation by the checking means. When the switch is ON, the control means operates the ignition means even if the checking by the checking means ends. If it is OFF, the ignition means is operated at the end of the confirmation work by the confirmation means.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스위치가 ON인지 또는 OFF인지의 확인과, 안전확인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가 ON으로 되고 나서 점화가 행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firmation of whether the switch is ON or OFF and the safety confirma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time from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until the ignition is performed can be shortened.

상기 연소장치에 있어서, 점화동작이 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리는 알림수단이 부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mbustion apparatus, it is preferable that an informing means for informing that the ignition operation is not started is added.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스위치를 ON으로 하고 나서 곧 바로 점화가 행해지지 않아서 연소가 개시되지 않더라도 연소장치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combustion apparatus is operating normally even if the ignition is not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combustion is not started.

여기서, 본 연소장치는 버너와, 상기 버너로의 가스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밸브를 폐쇄한 채로해서 두고, OFF인 경우에는 밸브를 개방한다.Here, the combustion apparatus includes a burner,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of gas to the burn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alve, and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The control means discriminates the on / off of the switch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If the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means is left closed and the valve is opened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스위치의 ON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은 경우에는 밸브가 폐쇄된 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버너에 가스가 공급되지 않고, 연소가 개시되지 않으므로 안전하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witch is not turned on by the user's operation, since the valve is closed, no gas is supplied to the burner, and combustion is not started.

그리고, 본 연소장치는 버너와, 상기 버너로의 가스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와, 밸브를 개방하더라도 안전한 것인가를 확인하는 확인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확인수단은 스위치가 ON되면 동작개시한다. 또, 제어수단은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이 종료하고 나서 소정 시간내에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밸브를 폐쇄한 채로 두고, OFF의 경우에는 밸브를 개방한다.The combustion apparatus includes a burner,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of gas to the burner,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alve,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and whether it is safe to open the valve. Confirmation means for confirming is provided. Confirmation means starts operation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is turned on or off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hecking operation by the checking means is completed, and when the switch is ON, the valve is kept closed and the valve is opened.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밸브를 개방해서 가스를 버너에 공급하더라도 안전한 것인가가 확인되기 때문에 보다 안전이 확보된다. In such a configuration, safety is ensured even if the valve is opened to supply gas to the burner.

그리고, 제어수단으로 제어되어 버너에 점화하는 점화수단이 더 부가되어 있으며, 제어수단은 스위치가 OFF되면 점화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n ignition means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to ignite the burner is further added, and the control means preferably operates the ignition means when the switch is OFF.

이와 같이, 스위치가 ON되면 점화동작이 동작되면 밸브가 개방된 시점에서 점화가 확실하게 행해진다.In this way,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ignition operation is operated, the ignition is surely performed at the time when the valve is opened.

여기에, 밸브가 열려져 있지 않은 것을 알리는 알림수단이 더 부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further add a notification means for informing that the valve is not open.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스위치를 OFF하고 나서 곧 바로 연소가 개시되지 않더라도 연소장치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combustion device is operating normally even if combustion is not started immediately after switching of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실시형태><1st embodiment>

본 발명의 연소장치를 가스온풍난방기(10)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A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combus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as air conditioner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온풍난방기(10)의 외곽에 금속판과 수지등으로 제작되어 있는 케이싱(12)이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온풍난방기(10)의 배면측에는 실내의 공기를 취입할 수 있는 실내공기취입구(14)와, 연소용 공기를 흡입하는 연소공기취입구(16)가 개구되어 있다. 실내공기취입구(14)와 연소공기취입구(16)는 케이싱(12)에 착탈자재하게 장착된 방진용 필터(19)에 의해서 덮혀 있다. 가스온풍난방기(10)에는 또한, 배면하부에 접속되어 있는 가스호스(22)와 도시하지 않은 전기코드를 통해서 가스와 전력이 공급된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a casing 12 made of a metal plate, a resin,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gas warm air heater 10. As shown in FIG. 2, an indoor air inlet 14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can be blown and a combustion air inlet 16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air is sucked are opened at the rear side of the gas warm air heater 10. have. The indoor air intake 14 and the combustion air intake 16 are covered by a dustproof filter 19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asing 12. The gas hot air heater 10 is further supplied with gas and electric power through a gas hose 22 connected to the rear bottom and an electric cord (not shown).

가스온풍난방기(10)의 전면측 하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풍을 취출하는 온풍취출구(15)가 개구되어 있다. 또, 가스온풍난방기(10)의 상면에는 조작패널(17)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패널(17)에는 가스온풍난방기(10)를 조작하기 위해 표시기와 복수의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다(이들 표시기와 스위치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술한다).I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gas-heated air heater 10, as shown in FIG. 1, the hot air outlet 15 which blows out warm air is opened. In addition, an operation panel 17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s air conditioner 10. The operation panel 17 is equipped with an indicator and a plurality of switches for operating the gas warm air heater 10 (these indicators and switch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가스온풍난방기(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기취입구(14)와 온풍취출구(15)는 송풍덕트(32)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다. 전동모터(36)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라인 플로우 타입의 송풍팬(34)이 온풍취출구 (15)의 상류에 장착되어 있다(실내공기취입구(14)측을 상류, 온풍취출구(15)측을 하류로 한다). 전동모터(36)에는 그 회전수를 검지하는 회전수센서(35)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실온을 검지하는 서미스터 타입의 실온센서(51)가 실내공기취입구 (14)의 직하류에 장착되어 있다.The structure of the gas hot air heater 10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3, the indoor air intake 14 and the hot air blowout 15 are communicated by the air blowing duct 32. A blower fan 34 of a line flow type that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36 is mounted upstream of the hot air blower outlet 15 (upstream of the indoor air blower outlet 14 and the hot air blower outlet 15 side). Downstream). The electric motor 36 is attached with the rotation speed sensor 35 which detects the rotation speed. And the thermistor type room temperature sensor 51 which detects room temperature is attached directly downstream of the indoor air intake opening 14. As shown in FIG.

송풍팬(34)의 상류측에는 버너(39)가 설치되어 있다. 버너(39)는 연소동(38)과,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연소플레이트(37)와, 연소플레이트(37)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커버(31)로 구성되어 있다. 연소플레이트(37)의 근방에는 연소화염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열전대(43)와, 공기와 가스의 혼합기에 점화하기 위한 점화전극(42)이 장착되어 있다. 또, 전동모터(36), 회전수 센서(35), 실온센서(51), 점화전극(42)은 후술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컨트롤러(6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덕트(44)는 연소공기취입구(16)와 버너(39)의 연소동(38)을 연통시키고 있음과 동시에 그 도중에 지름축소부(44a)가 형성되어 있다.The burner 39 is provided upstream of the blowing fan 34. The burner 39 is composed of a combustion cylinder 38, a combustion plate 37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rovided therein, and a cover 31 disposed upstream of the combustion plate 37. It is. In the vicinity of the combustion plate 37, a thermocouple 43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combustion flame and an ignition electrode 42 for igniting a mixture of air and gas are mounted. The electric motor 36, the rotational speed sensor 35, the room temperature sensor 51, and the ignition electrode 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2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duct 44 communicates the combustion air intake 16 with the combustion cylinder 38 of the burner 39, and a diameter reduction portion 44a is formed therein.

가스호스(22)의 하류에 장착되어 있는 가스공급관(46)에는 상류측에서 차례로 2개의 전자개폐밸브(47,48), 전자비례밸브(49)가 장착되어 있다. 전자개폐밸브 (47,48)와 전자비례밸브(49)는 컨트롤러(62)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개폐밸브 (47,48)는 솔레노이드를 내장한 개폐밸브이고, 통전되면 개방되어 가스를 유통시키고, 통전이 정지되면 폐쇄되어 가스의 유통을 막는다. 전자비례밸브(49)는 통전전류가 증대하는 것에 수반해서 개도가 커지는 타입의 비례밸브이고, 통전전류와 가스유통량이 비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In the gas supply pipe 46 mounted downstream of the gas hose 22, two electromagnetic opening and closing valves 47 and 48 and an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49 are provided in order from the upstream side. The electromagnetic opening and closing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49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2. The solenoid valve 47, 48 is an on / off valve incorporating a solenoid, and is open when the energization is conducted, and when the energization is stopped, the valve is closed to prevent the distribution of gas.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49 is a proportional valve of a type in which the opening degree increases with increasing conduction current, and has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conduction current is proportional to the gas flow rate.

가스공급관(46)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노즐(46a)은 덕트(44)의 지름축소부 (44a)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The nozzle 46a formed at the tip of the gas supply pipe 46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diameter reducing portion 44a of the duct 44.

조작패널(17)은 운전스위치(54), 실온설정스위치(55), 액정표시기(56)를 구비하고 있다. 운전스위치(54), 실온설정스위치(55), 액정표시기(56)는 컨트롤러 (62)에 접속되어 있다. 운전스위치(54)는 자동복귀식이고, 사용자가 누르면 ON으로 되고,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서 OFF로 된다. 실온설정스위치(55)는 가스온풍난방기(10)가 난방하는 실내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1℃ 씩으로 온도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정패널(56)에는 실온설정 스위치(55)가 설정한 온도와 가스온풍난방기(10)의 운전상황등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The operation panel 17 includes an operation switch 54, a room temperature setting switch 55,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56. The operation switch 54, the room temperature setting switch 55,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56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2. The operation switch 54 is an automatic return type, and is ON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when it removes the pressed force, it returns to an original position and turns OFF. The room temperature setting switch 55 is a switch for setting the room temperature at which the gas hot air heater 10 heats, and the temperature can be set by 1 ° C. The liquid crystal panel 56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the temperature set by the room temperature setting switch 55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gas hot air heater 10.

도 4에 표시되어 있는 컨트롤러(62)는 내장한 CPU, 메모리등에 의해서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하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식 제어기이다. 컨트롤러(62)는 연소제어부(62a), 팬제어부(62b), 안전확인/타이머부(62c)를 내장하고 있다. 연소제어부(62a), 팬제어부(62b), 안전확인/타이머부 (62c)는 서로 통신해서 그 내부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컨트롤러(62)에는 운전스위치(54), 실온설정스위치(55), 실온센서(51), 회전수센서(35), 열전대 (43)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고, 전자개폐밸브(47,48), 전자비례밸브(49), 점화전극 (42), 전동모터(36)으로 제어신호가 출력된다.The controller 62 shown in FIG. 4 is a digital controller which processes signals input by the built-in CPU, memory, et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program and outputs control signals. The controller 62 incorporates a combustion control unit 62a, a fan control unit 62b, and a safety confirmation / timer unit 62c. The combustion control unit 62a, the fan control unit 62b, and the safety confirmation / timer unit 62c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transmi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internal processing thereof. The controller 62 receives signals from the operation switch 54, the room temperature setting switch 55, the room temperature sensor 51, the rotational speed sensor 35, and the thermocouple 43, and the electromagnetic open / close valves 47 and 48.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49, the ignition electrode 42, and the electric motor 36.

컨트롤러(62)의 연소제어부(62a)는 운전스위치(54)와 실온설정스위치(55)로부터의 지시신호, 실온센서(51)와 열전대(43)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입각해서 전자개폐밸브(47,48), 전자비례밸브(49), 점화전극(42)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버너(39)의 연소제어를 행한다. 팬제어부(62b)는 운전스위치(54)와 실온설정스위치(55)로부터의 지시신호, 실온센서(51)와 열전대(43)와 회전수센서(35)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입각해서 전동모터(36)의 회전수를 제어한다.The combustion control unit 62a of the controller 62 is based on an indic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switch 54 and the room temperature setting switch 55 and a detection signal from the room temperature sensor 51 and the thermocouple 43. 48, combustion control of the burner 39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49 and the ignition electrode 42. The fan control unit 62b uses an electric motor based on an indic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switch 54 and the room temperature setting switch 55 and detection signals from the room temperature sensor 51 and the thermocouple 43 and the rotation speed sensor 35. Control the number of revolutions.

안전확인/타이머부(62c)는 점화가 개시되기 전에 송풍팬(34)과 열전대(43)의 기능을 체크하는 안전확인과, 운전스위치가 OFF로 되는 타이밍과 타이머의 시간과의 관계로부터 운전스위치(54)의 ON이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 아닌지의 판별을 행한다.The safety confirmation / timer portion 62c is a safety switch that checks the function of the blower fan 34 and the thermocouple 43 before starting ignition, and the operation switch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ing at which the operation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time of the timer. It is judged whether ON of 54 is by the user.

가스온풍난방기(10)의 운전스위치(54)가 조작되면서 점화개시까지 혹은 이상이 검지되어 점화가 개시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도 5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when the ignition is not started because the operation switch 54 of the gas warm air heater 10 is operated or an abnormality is detected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lowchart of FIG. 5.

운전스위치(54)가 ON으로 되면(S1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신호를 컨트롤러(62)가 수신하고, 안전확인/ 타이머부(62c)에 의해서 전동모터(36)의 기동과 열전대의 출력체크가 실행되는 것에 의해 안전확인이 시작된다(S18). 전동모터(36)의 기동체크는 전동모터(36)에 동작신호를 송신하고, 회전수센서(35)가 검지한 전동모터(36)의 회전수가 소정치 이상인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 전동모터(36)의 기동체크는 점화가 개시되기 전에 송풍덕트(32) 내부를 환기해서 만일의 가스의 대류를 방지하는 퍼지운전과 겸행해서 행해진다. 열전대(43)의 출력체크는 열전대(43)의 출력전압이 연소개시전에 상정되는 연소동(38) 내부의 온도에 대응한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When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n (S14),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ler 62 receives the signal, and the safety confirmation / timer section 62c starts the electric motor 36 and the thermocouple. The safety check is started by executing the output check (S18). The starting check of the electric motor 36 is performed by send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electric motor 36 and confirming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electric motor 36 detected by the rotation speed sensor 35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starting check of the electric motor 36 is carried out in conjunction with a purge operation which ventilates the inside of the blowing duct 32 before the ignition starts and prevents the convection of gas in case. The output check of the thermocouple 43 is performed by confirming that the output voltage of the thermocouple 43 is in the predetermined rang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mbustion cylinder 38 assumed before combustion commences.

또, 이 안전확인은 연소제어부(62a)와 팬제어부(62b)와 안전확인/타이머부 (62c)에 모의적인 신호를 입력하고, 처리된 결과의 출력신호가 소정 것을 체크하는 것에 의해 이들의 기능이 정상인 것을 확인하도록 해도 좋다. These safety checks are performed by inputting simulated signals to the combustion control section 62a, the fan control section 62b, and the safety check / timer section 62c, and checking that the output signals of the processed results are predetermined. You may make sure that it is normal.

계속해서, S22에 있어서는 안전확인이 종료한 것인가 아닌가가 판별된다. 안전확인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의 경우)에는 안전확인 종료까지 대기한다. 안전확인이 종료하고 있는 경우(예의 경우)에는 계속해서 S26으로 이행한다. S26에 있어서는 운전스위치(54)의 조작이 사용자에 의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타이머가 시작되고, 계속해서 S30에 있어서, 운전스위치(54)가 ON인가 OFF인가가 판별된다. 운전스위치(54)가 ON인 경우 (아니오의 경우)에는 S34로 이행해서 타이머의 시작으로부터 15초가 경과한것인가 아닌가가 판별된다. S34에서 15초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아니오의 경우)에는 S30의 전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Subsequently, in S2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afety check has been completed. If the safety check is not completed (No), wait until the safety check finishes. If the safety check has ended (in the case of the example), the flow proceeds to S26. In S26, a tim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54 is performed by the user is started. Subsequently, in S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switch 54 is ON or OFF. If the operation switch 54 is ON (No), the routine advances to S34 and determines whether 15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start of the timer. If it is determined in S34 that 15 seconds have not elapsed (No), the process returns to the processing before S30.

사용자가 운전스위치(54)를 ON으로하고 나서 누르는 힘을 제거하여 OFF로 하기까지의 시간은 단시간이다. 따라서, S34에 있어서, 운전스위치(54)가 15초 경과후에도 ON으로 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ON은 아니고, 운전스위치(54)의 위에 물건이 올려져있어서 ON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The time from when the user turns the operation switch 54 ON to remove the pressing force and turns it OFF is a short time. Therefore, in S3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ing switch 54 is turned ON even after 15 seconds have elapsed, the operation is not turned ON by the user's operation, but the object is placed on the driving switch 54 and turned ON. Or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electrical short has occurred.

따라서, S34에서 15초 경과후에 스위치가 ON이라고 판별된 경우(예의 경우)에는 S38로 이행해서 조작패널(17)의 액정표시기(57)가 이상표시가 행해진다.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in S34 that the switch is ON after 15 seconds has elapsed (in the case of the example), the process proceeds to S38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57 of the operation panel 17 performs abnormal display.

또, 이상표시가 행해지지 않고, 이상정지상태로 되돌아 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display to return to the abnormal stop state without performing abnormal display.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운전스위치(54)의 ON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도 이것이 컨트롤러(62)의 메모리에 에러 이력으로서 기억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것은 사용자가 운전스위치(54)를 누르는 것을 계속하는 오조작을 행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오조작에 의해서 본래 남겨두어야 하는 에러 이력이 겹쳐져서 없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Ev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switch 54 is not turned ON by the user's operation,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is is not stored as an error history in the memory of the controller 62. This is to prevent the error history which should be left inherent by the misoperation overlapping and disappearing because the user may perform misoperation which continues to press the operation switch 54.

S30에 있어서, 운전스위치(54)가 OFF로 판별된 경우에는 S42에서 점화전극 (42)이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S46에서 전자개폐밸브(47,48)과 전자비례밸브(49)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에 점화되어 연소운전이 개시된다. In S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switch 54 is OFF, the ignition electrode 42 generates a spark in S42, and in S46, the solenoid opening and closing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49 are opened. This ignites the gas and air mixer and starts the combustion operation.

또, S30에서 운전스위치(54)가 OFF로 판별된 경우에도 S42와 S46의 작동은 바로 행하지 않고, 타이머의 시작으로부터 15초 경과하고 나서 행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운전스위치(54)가 ON으로 되고 나서 점화가 개시되기까지의 사이는 조작패널(17)의 액정표시기(57)에 '안전확인 타이머'의 표시가 행해진다. 이 표시가 행해지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안전확인과 타이머의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온풍난방기(10)가 고장나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의심을 가지는,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even when the operation switch 54 is determined to be OFF in S30, the operations of S42 and S46 are not performed immediately, but can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after 15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start of the timer. The display of the "safety confirmation timer" is perform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57 of the operation panel 17 after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N until ignition is started. By the display being performed,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safety confirmation and the timer operation are being perform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stress having a suspicion that the gas hot air heater 10 is broken.

이상 설명한 도 5의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동작하면 운전스위치(54)가 OFF로 되는 타이밍에 의해서 점화의 개시시점이 어떻게 변화하는 가를 도 6의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서는 운전스위치가 OFF로 되는 타이밍이 다른 3개의 현상(현상1,현상2,현상3)에 있어서, 각 현상마다 운전스위치(54)의 ON/OFF와 점화와 연소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 도 6에 있어서는 시간은 좌로부터 우로 향해서 경과한다.Referring to the timing chart of FIG. 6, how the start point of the igni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timing at which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when operating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5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Fig. 6, in three phenomena (development 1, development 2, development 3) having different timings at which the operation switch is turned off, the ON / OFF, ignition and combustion states of the operation switch 54 are shown for each phenomenon. 6, time passes from the left to the right.

<현상1>Phenomenon 1

ON으로 된 운전스위치(54)는 안전확인이 종료하기 전에 OFF로 된다. 운전스위치(54)가 안전확인 종료전에 OFF로 되어도 곧 바로 점화는 개시되지 않고, 안전확인 종료후에 점화가 개시된다. The operation switch 54 which is turned ON is turned off before the safety confirmation ends. Even if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before the end of the safety check, the ignition is not immediately started, and the ignition is started after the end of the safety check.

또, 연소운전은 전동모터(36)가 작동하고, 통전된 점화전극(42)이 스파크를 발생하며, 전자개폐밸브(47,48)와 전자비례밸브(49)가 개방되어 연소동(38)내부로서 가스와 공기와의 혼합기가 공급되고, 혼합기에 점화되는 것에 의해서 개시된다.In the combustion operation, the electric motor 36 operates, the energized ignition electrode 42 generates sparks, and the electromagnetic opening / closing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49 are opened to burn the combustion cylinder 38. The inside is started by supplying a mixture of gas and air and igniting the mixer.

<현상2>Phenomenon 2

운전스위치(54)는 타이머 시간내(타이머가 시작되고 나서 15초 이내)에 OFF로 된다. 운전스위치(54)가 타이머 시간내에 OFF로 되면, 운전스위치(54)가 OFF로 된 시점에서부터 점화가 시작되고, 연소운전이 행해진다.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within the timer time (within 15 seconds after the timer starts). When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within the timer time, the ignition starts from the time when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and the combustion operation is performed.

<현상3>Phenomena 3

운전스위치(54)가 타이머시간이 경과한 후에 OFF로 된다. 이 경우에는 점화는 개시되지 않고, 이상표시가 행해진다. 따라서, 연소운전은 실행되지 않는다.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after the timer time has elapsed. In this case, ignition is not started and abnormal display is performed. Therefore, the combustion operation is not executed.

가스온풍난방기(10)의 연소운전개시 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소운전중에는 컨트롤러(62)에서 제어되고, 전동모터(36)가 회전되고, 전자개폐밸브 (47,48)가 개방되고, 전자비례밸브(49)에 의해서 가스공급량이 조정된다. 전동모터 (36)가 회전되면, 이것으로 구동되는 송풍팬(34)도 회전하고, 실내공기취입구(14)에서부터 실내의 공기가 송풍덕트(32) 내부로 흡입되고, 버너(39)의 주위를 흐른다. 버너(39)의 주위를 공기가 흐르면 커버(31)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연소동(38) 내부의 압력이 부압으로 되고, 덕트(44)를 경유해서 실내의 공기가 연소동(38) 내부에 흡입된다. 전자개폐밸브(47,48)가 개방되고, 전자비례밸브(49)가 가스공급량을 조정하면, 가스공급관(46)의 노즐(46a)에서 가스가 덕트(44) 내부로 분출되고,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와 혼합된다. 혼합된 공기와 가스는 연소동(38) 내부에서 연소되고, 온풍취출구(15)에서 온풍이 불기 시작하여 실내를 난방한다. 컨트롤러(62)는 실온설정스위치(55)와 실온센서(51)에서의 입력신호에 입각해서 전동모터(36)의 회전수와 전자비례밸브(49)의 개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난방풍량과 난방온도를 적절히 제어한다. The operation after commencement of the combustion operation of the gas hot air heater 10 will be described. During the combustion operation, 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2, the electric motor 36 is rotated, the electromagnetic opening and closing valves 47 and 48 are opened, and the gas supply amount is adjusted by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49. When the electric motor 36 is rotated, the blowing fan 34 driven therein also rotates, and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blowing duct 32 from the indoor air intake opening 14, and the surroundings of the burner 39 are rotated. Flows. When air flows around the burner 39, the cover 31 is installed, so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combustion cylinder 38 becomes a negative pressure, and the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duct 44 to the interior of the combustion cylinder 38. Is inhaled. When the electromagnetic open / close valves 47 and 48 are opened,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49 adjusts the gas supply amount, the gas is ejected into the duct 44 from the nozzle 46a of the gas supply pipe 46 and is sucked indoors. Mixed with air. The mixed air and gas are burned in the combustion cylinder 38, and the warm air starts to blow from the hot air outlet 15 to heat the room. The controller 62 adjus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ctric motor 36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49 based on the input signals from the room temperature setting switch 55 and the room temperature sensor 51. Control the temperature appropriately.

또, 컨트롤러(62)는 열전대(42)의 출력치가 소정 전압이하인 경우에는 산소부족 혹은 실화에 의해서 연소가 행해지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전자개폐밸브 (47,48)와 전자비례밸브(49)를 폐쇄하는 소화제어가 실행된다. In addition,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thermocouple 42 is below a predetermined voltage, the controller 62 determines that combustion is not performed due to lack of oxygen or misfire, and closes the solenoid opening and closing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ity valve 49. Extinguishing control is executed.

연소운전중에 운전 스위치(54)가 ON으로 되면 컨트롤러(62)로 제어되어 전자개폐밸브(47,48)와 전자비례밸브(49)가 폐쇄되고, 전동모터(36)가 정지되는 것에 의해 가스온풍난방기(10)의 운전은 정지된다.When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n during the combustion operation, 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2 to close the electromagnetic open / close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ity valve 49, and stop the electric motor 36. Operation of the heater 10 is stopped.

<제 2 실시형태><2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7,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와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In addition, the description which overlaps with 1st Embodiment is abbreviate | omitted.

본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다르고, 운전스위치(54)가 ON인가 OFF인가의 판별이 안전확인 종료전에 행해진다. 이 동작을 도 7의 플로우챠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This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operation switch 54 is ON or OFF is performed before the safety confirmation ends. Thi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lowchart of FIG.

운전스위치(54)가 ON으로 되면(S52), S56에서 안전확인이 시작되고, 계속해서 S60에 있어서 운전스위치(54)의 조작이 사용자에 의한 것인가 아닌가의 판별 타이머가 시작된다. S64에서는 운전스위치(54)가 ON인가 OFF인가가 판별된다. S64에서 운전스위치(54)가 ON으로 판별된 경우(아니오의 경우)에는 S66으로 이행해서 타이머의 시작에서부터 15초경과한 것인가 아닌가가 판별된다. S66에서 15초를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별되는 경우(아니오의 경우)에는 S64의 전의 처리로 되돌아 간다.When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N (S52), the safety check is started in S56, and then the determination timer of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54 is performed by the user in S60 is started. In S6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switch 54 is ON or OFF. If it is determined in S64 that the operation switch 54 is ON (No), the routine advances to S66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15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start of the timer. If it is determined in S66 that 15 seconds have not elapsed (No), the process returns to the processing before S64.

S66에서 15초 경과해 있다고 판별된 경우(예의 경우)에는 ON으로 되고 나서 15초 후에도 운전스위치(54)가 ON이고, 운전스위치(54)의 위에 물건이 올려져서 ON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S66에서 15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예의 경우)의 경우에는 S70으로 이행해서 조작패널(17)의 액정표시기(57)에서 이상표시가 행해진다.If it is determined in S66 that 15 seconds have elapsed (in the case of the example),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N even after 15 seconds after being turned ON, and an object is placed on the operation switch 54 to be turned ON or is electrically It can be judged that a short is occurring. Therefore,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15 seconds have elapsed in S66 (in the case of the example), the process proceeds to S70 and abnormal display is perform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57 of the operation panel 17.

S64에서 운전스위치(54)가 OFF로 판별된 경우(예의 경우)에는 S74로 이행해서 안전확인이 종료한 것인가 아닌가가 판별된다. S74에서 안전확인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아니오의 경우)에는 안전확인종료까지 대기한다. 안전확인이 종료하고 있는 경우(예의 경우)에는 계속해서 S78이 행해진다. S78에 있어서는 점화전극(42)이 작동해서 스파크가 발생되고, S82에서 전자개폐밸브(47,48)와 전자배례밸브(49)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에 점화되어 연소운전이 개시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64 that the operation switch 54 is OFF (in the case of the example), it proceeds to S74 to determine whether the safety check has been completed. If the safety check has not been completed in S74 (No), it waits until the safety check finishes. If the safety confirmation has ended (in the case of the example), S78 is continued. In S78, the ignition electrode 42 is operated to generate sparks, and in S82, the electromagnetic opening and closing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bypass valve 49 are opened to ignite the gas and air mixer to start the combustion operation. do.

이상 설명한 플로우챠트(도7)에 따라서 동작하면 운전스위치(54)가 OFF로 된 타이밍에 의해서 점화의 개시시점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도 8에 타이밍 챠트로서 도시한 현상 4 ~ 현상 6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When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low chart (Fig. 7) is performed, how the start point of igni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timing at which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will be explained using the phenomenon 4 to phenomenon 6 shown in Fig. 8 as the timing chart. do.

<현상4>Phenomena 4

ON으로 된 운전스위치(54)는 타이머 시간내에 OFF로 된다. 운전스위치(54)가 타이머 시간내에 OFF로 되더라도, 곧 바로 점화는 개시되지 않고, 안전확인 종료후에 개시된다.The operation switch 54 which is turned on is turned off within the timer time. Even if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within the timer time, the ignition is not immediately started, but is started after the safety check ends.

<현상 5><Phenomena 5>

운전스위치(54)는 타이머 시간이 종료하면서 안전확인 종료전까지의 사이에 OFF로 된다. 이 경우에는 점화는 개시되지않고, 이상표시가 행해진다. 따라서, 연소운전은 실행되지 않는다.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until the end of the safety check while the timer time expires. In this case, ignition is not started, and abnormal display is performed. Therefore, the combustion operation is not executed.

<현상 6>Phenomena 6

운전스위치(54)는 안전확인 종료후에 OFF로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현상 5와 마찬가지로 점화는 개시되지않고, 이상표시가 행해진다. 따라서, 연소운전은 실행되지 않는다.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after the safety confirmation ends. In this case, ignition is not started similarly to the above phenomenon 5, and abnormal display is performed. Therefore, the combustion operation is not executed.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9,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와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In addition, the description which overlaps with 1st Embodiment is abbreviate | omitted.

본 제 3 실시형태는 운전스위치(54)가 ON되면 점화전극(42)의 작동과 안전확인이 행해지고, 안전확인이 종료하면 점화전극(42)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안전확인이 종료하고 나서 소정 시간내에 운전스위치(54)가 ON인가 OFF인가를 판별하고, ON의 경우에는 전자개폐밸브(47,48)와 전자비례밸브(49)가 폐쇄된 채로 있게 된다. 여기서, 안전확인으로는 예를 들어 연소제어부(62a)와 팬제어부(62b)와 안전확인/타이머부(62c)에 모의적인 신호를 입력하고, 처리된 결과의 출력신호가 소정의 것을 체크하는 것에 의해 이것들의 기능이 정상인 것을 확인하도록 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operation and safety confirmation of the ignition electrode 42 are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n, and the ignition electrode 42 is operated when the safety check is completed.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switch 54 is ON or OFF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afety check is completed. In the case of ON, the solenoid opening and closing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ity valve 49 remain closed. . Here, for safety confirmation, for example, a simulated signal is inputted to the combustion control unit 62a, the fan control unit 62b, and the safety confirmation / timer unit 62c,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processed result is checked. This ensures that their function is normal.

본 제 3 실시형태의 연소장치의 동작을 도 9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운전스위치(54)가 ON되면(S110), S118에서 안전확인이 시작되고, 계속해서 S120에서 점화전극(42)이 작동된다. 즉, 운전스위치(54)가 ON되면 안전확인의 시작과 점화전극(42)의 작동이 행해진다. 계속해서, S122에서는 안전확인이 종료한 것인가 아닌가가 판별되고, 안전확인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의 경우)에는 그 종료까지 대기한다. 안전확인이 종료하고 있는 경우(YES의 경우)에는 S128로 이행한다.The operation of the combustion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9. When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n (S110), the safety check is started at S118, and then the ignition electrode 42 is operated at S120. That is, when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N, the start of safety confirm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ignition electrode 42 are performed. Subsequently, in S12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afety check has been completed, and if the safety check has not been completed (No), the process waits until the end. If the safety check has been completed (YES), the routine proceeds to S128.

S128에 있어서는 운전스위치(54)의 조작이 사용자에 의한 것인가 아닌가의 판별 타이머가 시작되고, S130으로 이행한다. S130에서는 운전스위치(54)가 ON인가 OFF인가가 판별된다. S130에서 운전스위치(54)가 ON으로 판별된 경우(아니오의 경우)에는 S134로 이행하고, 타이머의 시작으로부터 15초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가 판별된다. S134에서 15초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아니오의 경우)에는 S130의 전의 처리로 되돌아 간다. S134에서 15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별된 경우(예의 경우)에는 S138로 이행해서 조작패널(17)의 액정표시기(57)에서 이상표시가 행해진다.In S128, the tim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54 is performed by the user is start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130. In S1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switch 54 is ON or OFF. If it is determined in S130 that the operation switch 54 is ON (No), the flow advances to S134,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15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start of the timer. If it is determined in S134 that 15 seconds have not elapsed (No), the process returns to the processing before S130. If it is determined in S134 that 15 seconds have elapsed (in the case of the example), the process proceeds to S138 and abnormal display is perform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57 of the operation panel 17.

S130에서 운전스위치(54)가 OFF로 판별된 경우(예의 경우)에는 S146에서 전자개폐밸브(47,48)와 전자비례밸브(49)가 개방되고,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가 버너(39)로 공급된다. 이미, S120에 있어서 점화전극(42)이 작동해서 스파크가 발생해 있기 때문에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에 점화가 행해져서 연소운전이 개시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130 that the operation switch 54 is OFF (in the case of the example), the solenoid opening and closing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ity valve 49 are opened in S146, and the gas and air mixture is transferred to the burner 39. Supplied. Since the ignition electrode 42 is operated and sparks are generated in S120, the ignition is performed on the gas-air mixture and the combustion operation is started.

또, 운전스위치(54)가 ON되고 나서 전자개폐밸브(47,48)와 전자비례밸브(49)가 개방되기까지의 사이는 조작패널(17)의 액정표시기(57)에서 '안전확인/타이머'의 표시가 행해진다.In addition, between the operation switch 54 being turned on and the solenoid opening / closing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ity valve 49 being open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57 of the operation panel 17 indicates the 'safety confirmation / timer'. 'Is displayed.

이상 설명한 플로우챠트(도9)에 따라서 동작하면, 운전스위치(54)가 OFF로 되는 타이밍에 의해서 점화의 개시시점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도 10에 타이밍 챠트로서 도시한 현상7 ~ 현상9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flow chart (Fig. 9), how the start point of ignition is changed by the timing at which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is used by using the phenomenon 7 to the phenomenon 9 shown in Fig. 10 as the timing chart. Explain.

<현상7>Phenomena 7

ON으로 된 운전스위치(54)는 안전확인 종료전에 OFF로 된다. 점화전극(42)은 운전스위치가 ON으로 되면 작동을 시작한다. 이 경우에는 안전확인이 종료한 시점에서 전자개폐밸브(47,48)와 전자비례밸브(49)가 개방되고, 점화전극(42)이 발생하고 있는 스파크가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에 점화해서 연소운전이 개시된다. The operation switch 54 which is turned ON is turned off before the safety confirmation ends. The ignition electrode 42 starts to operate when the operation switch is turned ON. In this case, when the safety check is completed, the electromagnetic shutoff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49 are opened, and the spark in which the ignition electrode 42 is generated ignites the gas and air mixer to perform combustion operation. This is disclosed.

<현상 8>Phenomena 8

운전 스위치(54)는 타이머 시간내에 OFF로 된다. 이 경우에는 운전스위치 (54)가 OFF로 된 시점에서 전자개폐밸브(47,48)와 전자비례밸브(49)가 개방되고, 연소운전이 개시된다.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within the timer time. In this case, when 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the solenoid opening and closing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ity valve 49 are opened, and the combustion operation is started.

<현상9>Phenomena 9

운전스위치(54)는 타이머 시간경과후에 OFF로 된다. 이 경우에는 전자개폐밸브(47,48)와 전자비례밸브(49)는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소운전은 행해지지 않는다.The operation switch 54 is turned OFF after the timer time elapses. 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ic opening and closing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49 are not opened. Therefore, no combustion operation is performed.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것들은 예시에 불과하고,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예를 여러 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specific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these are only illustrations and do not limit a claim. In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서 설명한 기술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서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할 수 있고, 출원시의 청구항 기재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고, 그 중의 1개의 목적을 달성하는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technical elem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or drawing can show technical usability alone or in various combinations, and is not limited to the combination of the claim description at the time of application. In addition, the technique illustrated in this specification or drawing achieves a plurality of purposes simultaneously, and has technical utility in itself by achieving one of them.

따라서, 예를 들면 이하에서 기재하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comprise, for example as described below.

① 점화전극(42)작동전, 혹은 전자개폐밸브(47,48)와 전자비례밸브(49)가 개방하고 있지 않은 것의 알림은 반드시 표시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멜로디와 소리에 의한 것이어도 좋다.(1) The notification that the ignition electrode 42 is not operating or that the electromagnetic open / close valves 47 and 48 and the electromagnetic proportionality valve 49 are not ope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isplay. For example, it may be based on melody and sound.

② 운전스위치의 ON으로 안전확인과 운전스위치가 ON인가 OFF인가를 확인하는 타이머가 개시되고, 안전확인 종료후의 운전스위치가 ON으로 되고나서 소정 시간내에 운전스위치의 ON인가 OFF인가의 확인이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안전확인과 스위치가 ON인가 OFF인가의 확인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가 ON으로 되고나서 점화동작개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2) The timer for checking safety and whether the operation switch is ON or OFF is started by turning on the operation switch, and checking whether the operation switch is ON or OFF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operation switch is turned ON after the safety confirmation is completed. You may comprise. With this arrangement, the safety confirmation and the confirmation of whether the switch is ON or OFF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time from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to the start of the ignition operation can be shortened.

이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점화하는 수단과,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발명의 제어수단은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점화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OFF의 경우에 점화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burner, means for igniting the burner, means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means, and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The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switch is ON or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when the switch is ON, the ignition means is operated when the switch is OFF.

상기 연소장치의 제어수단은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스위치가 ON인가 OFF인가를 판별하고, ON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한 것은 아니라고 해서 점화를 행하지 않는다. 한편, OFF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한 것으로서 점화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하기 때문에 스위치의 ON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점화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안전하다.The control means of the combustion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is ON or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if it is ON, does not ignite not being operated by the user.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OFF, the user ignites as operated. Since the control is performed in this way, if the switch is not turned on by the user's operation, the ignition is not performed, so it is safe.

또,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점화하는 수단과,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와, 점화를 개시하더라도 안전한가를 확인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확인수단은 스위치가 ON되면 작동개시한다. 또, 제어수단은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이 종료하고 나서 소정 시간내에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스위치가 ON의 경우에는 점화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OFF인 경우에는 점화수단을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점화를 행하더라도 안전한 것인가가 확인되고 나서 점화가 행해지기 때문에 한층 더 안전이 확보된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rner, means for igniting the burner, means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means,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and means for confirming whether the ignition is safe even if the ignition is started. Equipped with. The check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operation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is turned on or off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onfirmation operation by the confirmation means is finished, and when the switch is ON, the ignition means is not operated, and when it is OFF, the ignition means is operated. 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safety is ensured even after the ignition is confirmed, the safety is further secured.

한편, 본 연소장치는 버너와, 상기 버너에 점화하는 수단과,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와, 점화를 개시하더라도 안전한 것인가를 확인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확인수단은 스위치가 ON되면 작동개시되고,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확인작업을 완료한다. 제어수단은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상기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의 종료전에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상기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이 종료하더라도 점화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OFF인 경우에는 상기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 작업의 종료시에 점화수단을 동작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combustion apparatus includes a burner, means for igniting the burner, means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means,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and means for confirming whether the ignition is safe even if the ignition is started. Doing. The checking means is started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checking operation is comple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is ON or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before the end of the checking operation by the checking means. When the switch is ON, the control means operates the ignition means even if the checking by the checking means ends. If it is OFF, the ignition means is operated at the end of the confirmation work by the confirmation means.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스위치가 ON인지 또는 OFF인지의 확인과, 안전확인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가 ON으로 되고 나서 점화가 행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firmation of whether the switch is ON or OFF and the safety confirma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time from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until the ignition is performed can be shortened.

상기 연소장치에 있어서, 점화동작이 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리는 알림수단이 부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mbustion apparatus, it is preferable that an informing means for informing that the ignition operation is not started is added.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스위치를 ON으로 하고 나서 곧 바로 점화가 행해지지 않아서 연소가 개시되지 않더라도 연소장치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combustion apparatus is operating normally even if the ignition is not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combustion is not started.

여기서, 본 연소장치는 버너와, 상기 버너로의 가스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밸브를 폐쇄한 채로해서 두고, OFF인 경우에는 밸브를 개방한다.Here, the combustion apparatus includes a burner,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of gas to the burn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alve, and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The control means discriminates the on / off of the switch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If the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means is left closed and the valve is opened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스위치의 ON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은 경우에는 밸브가 폐쇄된 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버너에 가스가 공급되지 않고, 연소가 개시되지 않으므로 안전하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witch is not turned on by the user's operation, since the valve is closed, no gas is supplied to the burner, and combustion is not started.

그리고, 본 연소장치는 버너와, 상기 버너로의 가스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와, 밸브를 개방하더라도 안전한 것인가를 확인하는 확인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확인수단은 스위치가 ON되면 동작개시한다. 또, 제어수단은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이 종료하고 나서 소정 시간내에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밸브를 폐쇄한 채로 두고, OFF의 경우에는 밸브를 개방한다.The combustion apparatus includes a burner,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of gas to the burner,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alve,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and whether it is safe to open the valve. Confirmation means for confirming is provided. Confirmation means starts operation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is turned on or off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hecking operation by the checking means is completed, and when the switch is ON, the valve is kept closed and the valve is opened.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밸브를 개방해서 가스를 버너에 공급하더라도 안전한 것인가가 확인되기 때문에 보다 안전이 확보된다. In such a configuration, safety is ensured even if the valve is opened to supply gas to the burner.

그리고, 제어수단으로 제어되어 버너에 점화하는 점화수단이 더 부가되어 있으며, 제어수단은 스위치가 OFF되면 점화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n ignition means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to ignite the burner is further added, and the control means preferably operates the ignition means when the switch is OFF.

이와 같이, 스위치가 ON되면 점화동작이 동작되면 밸브가 개방된 시점에서 점화가 확실하게 행해진다.In this way,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ignition operation is operated, the ignition is surely performed at the time when the valve is opened.

여기에, 밸브가 열려져 있지 않은 것을 알리는 알림수단이 더 부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further add a notification means for informing that the valve is not open.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스위치를 OFF하고 나서 곧 바로 연소가 개시되지 않더라도 연소장치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combustion device is operating normally even if combustion is not started immediately after switching off.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온풍난방기의 전면측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side of a gas warm air hea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온풍난방기의 배면측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ide of the gas warm air he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온풍난방기의 내부모식도,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gas warm air he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러의 내부구성과, 컨트롤러와 다른 구성부품과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모식도,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troller and other components;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운전 스위치가 ON으로되고 나서 점화동작이 개시되기까지의 플로우챠트,Fig. 5 is a flowchart from when the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n until the ignition operation is star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스위치가 ON으로 되고나서 점화동작이 개시되기까지의 타이밍챠트,6 is a timing chart from when the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n until the ignition operation is star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 스위치가 ON으로 되고나서 점화동작이 개시되기까지의 플로우챠트,Fig. 7 is a flowchart of the time from when the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n until the ignition operation is star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 스위치가 ON으로 되고나서 점화동작이 개시되기까지의 타이밍챠트,Fig. 8 is a timing chart from when the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n until the ignition operation is star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 스위치가 ON으로 되고 나서 점화동작이 개시되기까지의 플로우챠트, 및Fig. 9 is a flowchart from when the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n until the ignition operation is started, and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스위치가 ON으로 되고나서 점화동작이 개시되기까지의 타이밍 챠트이다.10 is a timing chart from when the oper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n until the ignition operation is start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가스온풍난방기 12 ; 케이싱10; Gas hot air heater 12; Casing

14 ; 실내공기취입구 15 ; 온풍취출구 14; Indoor air intake 15; Hot air outlet

16 ; 연소공기취입구 17 ; 조작패널16; Combustion air intake 17; Control panel

19 ; 필터 22 ; 가스호스19; Filter 22; Gas hose

31 ; 커버 32 ; 송풍덕트31; Cover 32; Blowing duct

34 ; 송풍팬 35 ; 회전수센서34; Blower fan 35; RPM sensor

36 ; 전동모터 37 ; 연소플레이트36; Electric motor 37; Combustion Plate

38 ; 연소동 39 ; 버너38; Combustion copper 39; burner

42 ; 점화전극 43 ; 열전대42; Ignition electrode 43; thermocouple

44 ; 덕트 44a ; 지름축소부44; Duct 44a; Diameter reduction part

46 ; 가스공급관 46a ; 노즐46; Gas supply pipe 46a; Nozzle

47,48 ; 전자개폐밸브 49 ; 전자비례밸브47,48; Solenoid valve 49; Electronic proportional valve

51 ; 실온센서 54 ; 운전스위치51; Room temperature sensor 54; Operation switch

55 ; 실온설정스위치 56 ; 액정표시기55; Room temperature setting switch 56; LCD display

62 ; 컨트롤러 62a ; 연소제어부62; Controller 62a; Combustion control unit

62b ; 팬제어부 62c ; 안전확인/타이머부62b; Fan control unit 62c; Safety check / timer section

Claims (8)

버너와, 상기 버너에 점화하는 점화수단과,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상기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상기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점화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OFF의 경우에 점화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A burner, an ignition means for igniting the burner,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means, and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wherein the control means is provided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ignition means is operated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ignition means is not operated when the switch is ON. 버너와, 상기 버너에 점화하는 수단과,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와, 소정의 기능 체크를 함으로써 점화를 개시하더라도 안전한가를 확인하는 확인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확인수단은 상기 스위치가 ON되면 작동개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이 종료하고나서 소정 시간내에 상기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상기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점화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OFF인 경우에 점화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A burner, means for igniting the burn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means,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and confirmation means for confirming whether the ignition is safe by star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check. And the checking means starts operation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is turned on or off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hecking operation by the checking means ends, and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ignition means is operated when it is OFF. 버너와, 상기 버너에 점화하는 점화수단과,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그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와, 소정의 기능 체크를 함으로써 점화를 개시하더라도 안전한가를 확인하는 확인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확인수단은 상기 스위치가 ON되면 동작개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치가 ON되면서 소정 시간후에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의 종료전에 상기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상기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이 종료 하더라도 점화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OFF의 경우에는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의 종료시에 점화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A burner, an ignition means for igniting the burner,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means,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and a confirmation means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ignition is safe by star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check. And the checking means starts operation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is turned on or off before the end of the checking operation by the checking means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ignition means is operated at the end of the confirmation operation by the confirmation means when the switch is ON, even if the confirmation by the confirmation means is completed.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점화수단의 동작이 개시하고 있지 않는 것을 알리는 알림수단이 더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And a notifying means for notifying that the operation of the ignition means is not started. 버너와, 상기 버너로의 가스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치가 ON되고 나서 소정 시간후에 상기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상기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밸브를 폐쇄한 채로 두고, OFF의 경우에는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A burner,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of gas to the burner,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alve, and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wherein the control means is provided after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switch is discrimina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valve is closed when the switch is ON, and the valve is opened when the switch is OFF. 버너와, 상기 버너로의 가스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자동복귀식 스위치와, 소정의 기능 체크를 함으로써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도 안전한가를 확인하는 확인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확인수단은 상기 스위치가 ON되면 작동개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작업이 종료하고 나서 소정 시간내에 상기 스위치의 ON,OFF를 판별하고, 상기 스위치가 ON인 경우에는 밸브를 폐쇄한 채로 두고, OFF의 경우에는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Is it safe to open the valve by a burner,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of gas to the burner,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alve, an automatic return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check It is provided with a confirmation means for confirming, the confirmation means starts operation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means determines the ON, OFF of the switch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onfirmation operation by the confirmation means, And the valve is closed when the switch is ON, and the valve is opened when OFF.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제어수단으로 제어되어 버너에 점화하는 점화수단이 더 부가되어 있고,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치가 ON되면 점화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And an ignition means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to ignite the burner, wherein the control means operates the ignition means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6, 상기 밸브가 열려지지 않은 것을 알리는 알림수단이 더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And a notifying means for notifying that the valve is not opened.
KR10-2002-0043161A 2001-09-28 2002-07-23 Combustion apparatus KR1005005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01085A JP3954340B2 (en) 2001-09-28 2001-09-28 Combustion device
JPJP-P-2001-00301085 2001-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655A KR20030027655A (en) 2003-04-07
KR100500554B1 true KR100500554B1 (en) 2005-07-12

Family

ID=1912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161A KR100500554B1 (en) 2001-09-28 2002-07-23 Combus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54340B2 (en)
KR (1) KR100500554B1 (en)
CN (1) CN1191443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3992B2 (en) * 2011-06-23 2014-04-16 リンナイ株式会社 Hot air heater
JP6682314B2 (en) * 2016-03-28 2020-04-15 アズビル株式会社 Combustion control device
CN106594795A (en) * 2016-12-10 2017-04-26 俞杨许 Circuit control device in air-breathing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0710A (en) 2003-04-16
KR20030027655A (en) 2003-04-07
JP3954340B2 (en) 2007-08-08
CN1191443C (en) 2005-03-02
JP2003106522A (en) 200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3702A1 (en)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activating a gas valve
KR100500554B1 (en) Combustion apparatus
JP2005106338A (en) Heating cooker
JP3558448B2 (en) Combustion equipment
JP3722977B2 (en) Combustion type hot air heater
JP3649804B2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for temperature control device
JP3795817B2 (en) Gas combustion equipment
JP5089356B2 (en) Water heater
JP3305894B2 (en) Water heater combustion control device
JP2694890B2 (en) Combustion stopping device for incomplete combustion of combustion equipment
JP2977656B2 (en) Prevention device for empty firing of gas combustion equipment
JP2023009946A (en) Burning device
JP4048929B2 (en) Gas hot air heater
KR0159149B1 (en) Combustion device and detecting method of blockading of air supplying and discharging ports of combustion device
JP2002130668A (en) Combustion apparatus
JP2000146167A (en) Combustion equipment
JPH07190342A (en) Combustion equipment
JP2742015B2 (en) Water heater
JP5816221B2 (en) Gas combustion equipment
JP2000266412A (en) Fuel combustion heating device
JP2566046B2 (en) Hot air heater
JP2005016910A (en) Computer equipment, and housing facility and equipment, and water heater provided with the same
JP3678873B2 (en) Hot air heater
JPH08233355A (en) Combustion apparatus
JPH102551A (en) Filter clogging detecting device for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