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020B1 -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 Google Patents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020B1
KR100499020B1 KR10-2002-0045685A KR20020045685A KR100499020B1 KR 100499020 B1 KR100499020 B1 KR 100499020B1 KR 20020045685 A KR20020045685 A KR 20020045685A KR 100499020 B1 KR100499020 B1 KR 100499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pipe
girder
tube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237A (ko
Inventor
이기홍
김영호
박종면
박대용
Original Assignee
비비엠코리아(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기홍
강재윤
김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비엠코리아(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기홍, 강재윤, 김병석 filed Critical 비비엠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2-004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0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교량, 철도교, 오버브리지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고분자 복합재료(층상복합재료;FRP, 섬유강화복합재료;FRC)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내지 섬유강화복합재료가 내부에 충전된 복합관(10)과, 상기 복합관(10)과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11)와의 합성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초 성형제작시 복합관(1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구(12)와, 상부 바닥판(70)의 시공시 거푸집 설치를 편리하게 하고자 상기 복합관(10)의 길이방향으로 그 상부 외주면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 사이에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합관(10)을 상부 바닥판(70)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전단 연결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반 강재나 철근콘크리트재로 구성된 교량에 비해 압축강도, 전단강도, 휨강도, 인장강도, 균열저항, 진동저항특성, 경량화, 내구성, 내화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현장용접 및 제작설치에 따른 품질 문제를 개선하여 대부분의 고속도로, 도로 및 철도에 다수 사용되는 수평재인 거더 교량을 대체할 수 있으며, 거더의 높이가 작아 오버브리지에서의 사용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HYBRID GIRDER USING FRP OR FRC}
본 발명은 거더 교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거더, 강재거더, 콘크리트 충전강관 거더 교량을 대체할 수 있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에 관한 것이다.
교량에 있어서 거더의 역할은 상부에서 작용하는 고정하중 및 차량하중 등의 작용하중을 거더를 통하여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교량 요소이다.
기존 거더 교량의 형식은 크게 강재 거더와 철근콘크리트 거더, 그리고 충전강관 거더 교량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중 강재 거더 교량은 많은 수의 강재를 사용하여 용접 조립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싸고, 압축하중 작용시 압축하중에 의한 좌굴에 손상되기 쉬우므로 스티프너와 같은 보강재가 필요하며 제작 및 시공이 복잡해 지고 강성이 작아 처짐 및 진동 등에 문제가 있으며, 유지관리시 꾸준히 강재 표면에 도장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경우 콘크리트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져 교량 전체에 작용하는 무게가 커져 교량 설계시 비경제적이며, 현장에서 모든 공정이 이루어져 시공이 복잡하며, 콘크리트의 특성상 균열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 콘크리트충전강관 거더는 장경간구조나 고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사용되나 많은 거더 수가 필요하며, 길이가 12m를 넘는 경우 운반 문제로 현장에서 용접접합이 이루어져야 하며, 극후대단면을 사용함에 따라 설치시 대형 양중기가 필요하여 현장에서 제작 및 설치작업의 번잡함과 많은 현장 용접작업으로 결함 발생 위험도가 높다. 특히 전단연결재의 용접량이 많아 강관의 국부 변형을 발생시키고 용접 입열량에 의한 표면 경화로 취성화의 위험성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충전 강관 거더는 전단 연결재와 강관의 용접작업의 문제점, 상부 바닥판을 지지하고 거푸집 역할을 하는 지지판과 강관의 용접작업의 문제점, 그리고 강관 내부에 충전된 콘크리트와의 일체적 거동을 확보하기 위한 걸림 돌기 내지 전단연결재의 설치과 제작 문제점 등에 의해 도출되는 콘크리트 충전강관 거더를 제작상과 현장 설치상 내포된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교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진동, 처짐 및 균열에 대한 사용성이 우수하고 조립이나 설치가 단순하며 사용 거더의 수를 줄이고 거더의 형고를 낮출 수 있으며 단면보강요소를 제작단계에서 구현 하므로서 시공공정을 단축시켜 경제성과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교량 거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층상복합관 및 섬유강화복합관의 내부에 돌기(shear key) 내지 리브를 설치하여 충전재료와 복합관과의 일체적 거동을 유도하며, 상부바닥판과 복합관과의 합성거동을 확보하기 위한 전단 연결재를 쐐기 내지 접착제를 활용하여 간단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시공 편의성을 제공한 교량 거더를 이루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또는 섬유강화복합재료가 내부에 충전된 복합관(10)과, 상기 복합관(10)과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11)와의 합성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초 성형제작시 복합관(1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구(12)와, 상부 바닥판(70)의 시공시 거푸집 설치를 편리하게 하고자 상기 복합관(10)의 길이방향으로 그 상부 외주면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 사이에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합관(10)을 상부 바닥판(70)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전단 연결재(30)를 포함하는 충전 복합관 거더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복합관과 상부 바닥판과의 일체적 거동을 이룩하고자 강재인 듀벨바 내지 탄소게열 층상복합인 전단 연결재를 이용하여 복합관과 쐐기(edge) 내지 접착제(bond)를 이용한 연결로 바닥판과 층상복합관과의 합성 거동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복합관(16), 상기 외부 복합관(1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내부 복합관(18), 상기 외부 복합관(16)과 내부 복합관(18)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재(19) 및 상기 외부 복합관(16)과 내부 복합관(18) 사이에 충전된 콘크리트 내지 복합재료(11)를 포함하는 복합관(10)과, 상부 바닥판(70)의 시공시 거푸집의 역할을 하며 상기 외부 복합관(16)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외주면에 한 쌍으로 설치된 지지판(20)과, 상기 복합관(10)을 상부 바닥판(70)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외부 복합관(16)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단 연결재(30)를 포함하는 충전 복합관 거더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 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복합관 거더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내지 섬유강화복합재료가 내부에 충전된 복합관(10)과, 상기 복합관(10)과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11)와의 합성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초 성형제작시 복합관(1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구(12)와, 상부 바닥판(70)의 시공시 거푸집 설치를 편리하게 하고자 상기 복합관(10)의 길이방향으로 그 상부 외주면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 사이에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합관(10)을 상부 바닥판(70)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전단 연결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합관(10)은 일반적인 보강재(무기질섬유; 탄소섬유, 유리섬유, 브론섬유, 또는 유기질섬유; 아라미드섬유)와 결합재(수지계)를 사용하여 원형관 등으로 구성되며, 제작시 내주면에 요철 내지 리브를 형성시켜 제작한다. 또한 복합관(10)과 내부 충전재 간에 일체거동을 더욱 확보하고자 복합관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통공을 형성한 복수의 내부 다이아프램을 설치함으로써 내부 콘크리트의 구속효과를 증진시켜 합성작용을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복합관(10)의 내부에는 충전재료(11)인 콘크리트(보통, 경량, 기포) 내지 섬유강화복합재료를 충전함으로써 충전재료와 복합관의 상호 구속효과로 휨강도 및 강성을 증진시키고 소음이나 진동을 감소시킨다. 충전재료(11)를 충전함에 있어 연속교량인 경우 중간 지점부 근처의 복합관 거더에는 가벼운 경량 콘크리트 내지 섬유강화복합재료로 채우고, 경간 중앙부에는 에어 모르타르(air mortar)로 채워 자중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경간 중앙부의 정 모멘트 영역에 복합관과 충전재료의 합성 거더로서 거동한다.
그리고 충전재료(11)와 복합관(10)의 합성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복합관(10) 내부에 복수 요철 내지 리브의 연결구(12)를 설치하여 복합관(10)과 충전재료(11)의 합성작용을 극대화하였다. 이러한 연결구(12)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복합관을 최초 제작시 관내부에 성형시키거나, 복합관의 내주면에 층상섬유복합재료인 탄소계를 이용하여 제작된 shear connector(스터드, T자형, ㄷ자형, L자형 등)을 에폭시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복합관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격막인 다이아프램을 설치하여 복합충전재료의 구속정도를 높인다.
상부 바닥판(70) 콘크리트 타설을 원활히 하고자 복합관(10)의 상부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으로 지지판(20)이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일종의 거푸집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바닥판 폭만큼으로 제작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바닥판(70)과의 전단 연결을 위해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전단 연결재(30)를 삽입형식, edge형식 내지 에폭시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상부 바닥판(70)은 충전 복합관 거더로 지지되고 복합관 거더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전단 연결재(30)로 접합된다. 이로써 충전 복합관 거더와 상부 바닥판(70)을 연결하여 전체하중에 대해 상부 바닥판(70)과 충전 복합관 거더 전체의 단면이 인장, 압축력에 대하여 전 단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단 연결재(30)로는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를 이용한 dowel bar로 복합관에 끼워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도 2b 및 도 2h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공 복합판인 전단연결재(30)는 판상형, 곡면형, T형, L형, Z형으로 제작하고, 상부 바닥판과 합성작용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복합판을 천공(33)하거나 가공시 엇갈리게 벌려 찢고(34), 복합판의 면은 빗살무늬(32) 내지 돌기(36)를 설치하며, 플랜지에는 돌기(35)를 설치하여 바닥 콘크리트와의 합성작용을 보다 극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관(10)과 전달연결재(30)의 연결방법(구조)은 에폭시계 접착제(37)로 부착하든지(3a) 돌기형 반쐐기(38)(3b) 내지 돌기형 쐐기(39)(3c)로 형성시켜 삽입하여 끼워 맞춘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복합관 거더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외부 복합관(16), 상기 외부 복합관(1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내부 복합관(18), 상기 외부 복합관(16)과 내부 복합관(18)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재(19) 및 상기 외부 복합관(16)과 내부 복합관(18) 사이에 충전된 콘크리트 내지 복합재료(11)를 포함하는 복합관(10)과, 상부 바닥판(70)의 시공시 거푸집의 역할을 하며 상기 외부 복합관(16)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외주면에 한 쌍으로 설치된 지지판(20)과, 상기 복합관(10)을 상부 바닥판(70)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외부 복합관(16)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단 연결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 복합관(16)의 내주면 또는 내부 복합관(18)의 외주면은 관 제작시 성형 및 절삭 가공하여 톱니형상, 물결무늬 형상 등의 요철을 원주방향과 관의 길이방향 그리고 나선 형태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복합관과 콘크리트 내지 복합재료와의 부착강도 및 미끄럼저항을 증진시켜 합성 작용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재(19)는 내부 복합관(18)과 외부 복합관(16)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한 것으로, 내부 복합관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의 중심개구가 형성된 사각 또는 원형의 강판을 분할하여 내부 복합관(18) 및 외부 복합관(16)의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 간격재(19)의 갯수는 전단력에 의해 결정되며, 외부 복합관(16)과 내부 복합관(18)의 간격유지 및 콘크리트 내지 복합충전재료와의 일체적 합성 거동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본 제 2 실시예에 따른 충전 복합관 거더에도 격막인 다이아프램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전 복합관 거더와 동일하다.
기타 상기 지지판(20), 전단 연결재(3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연결구조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전 복합관 거더와 동일하다.
한편, 섬유강화복합재료 내지 콘크리트 충전 복합관 거더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복합관(18)에도 콘크리트 내지 복합재료(11)를 충전함으로써 거더로서의 내구성 및 사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내지 복합재료을 충전한 복합관 거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층상복합재와 콘크리트 내지 섬유강화복합재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한 발명으로서, 복합관과 내부 충전 콘크리트 내지 복합재료와의 합성작용으로 복합관의 구속효과에 의한 충전재료의 내력상승과, 충전 콘크리트 내지 복합재료에 의한 복합관의 국부좌굴 방지효과에 의해 내력 및 변형능력 등 구조 성능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단면의 증가 없이 내력이 크게 증가하므로 복합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합관과 상부 바닥판 콘크리트와의 합성작용을 dowel bar 내지 층상복합재료로 제작된 전단 연결재(30)를 사용하여 극대화함으로써 상부 바닥판과 거더의 전단면을 유효하게 할 수 있어 상부에서 오는 압축력, 인장력, 균열, 진동 및 소음에 대하여 우수한 구조를 형성한다.
한편, 이중 복합관 거더의 경우 내부 복합관에 콘크리트 내지 복합재료를 충전하지 않는 경우 그 내부에 각종 설비를 위한 전선, 케이블, 배관 등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강재 거더 교량의 문제점인 중량의 증가로 인한 고비용, 수많은 스티프너의 보강재 삽입, 진동과 소음문제와, 콘크리트 거더 교량에 있어 시공성의 문제, 자체 중량 과다로 인한 하중 증가 문제, 콘크리트 특성상의 균열문제 등을 해결하도록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구성한 것으로, 일반 강재나 콘크리트재로 구성된 교량에 비해 압축강도, 전단강도, 휨강도, 인장강도, 균열저항 등이 우수하여 대부분의 고속도로, 도로 및 철도교에 다수 사용되는 거더 교량을 대체할 수 있으며, 거더의 형고가 작을 뿐만 아니라 미관 측면에서도 미려한 외형을 형성하기 때문에 오버브리지에서의 사용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것이다.
또한 교량의 내용연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제작비용의 저렴하고 시공기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어 공사비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어떠한 수정이나 변형도 포함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복합관 거더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h는 전단 연결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복합관에 접합되는 전단 연결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복합관 거더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복합관 12 : 연결구
16 : 외부 복합관 18 : 내부 복합관
20 : 지지판 30 : 전단 연결재
70 : 바닥판

Claims (17)

  1. 콘크리트 또는 섬유강화복합재료가 내부에 충전된 복합관(10);
    상부 바닥판(70)의 시공시 거푸집 설치를 편리하게 하고자 상기 복합관(10)의 길이방향으로 그 상부 외주면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지지판(20); 및
    상기 지지판(20) 사이에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합관(10)을 상부 바닥판(70)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전단 연결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연결재(30)는 판상형, 곡면형, T형, L형, Z형중 하나로 제작하고, 상부 바닥판과 합성작용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복합판을 천공(33)하거나 가공시 엇갈리게 벌려 찢고(34), 복합판의 면은 빗살무늬(32) 내지 돌기(36)를 설치하며, 플랜지에는 돌기(3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2. 콘크리트 또는 섬유강화복합재료가 내부에 충전된 복합관(10);
    상부 바닥판(70)의 시공시 거푸집 설치를 편리하게 하고자 상기 복합관(10)의 길이방향으로 그 상부 외주면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지지판(20); 및
    상기 지지판(20) 사이에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합관(10)을 상부 바닥판(70)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전단 연결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연결재(30)는 돌기형 반쐐기(38) 또는 돌기형 쐐기(39)로 형성시켜 상기 복합관(10)에 끼워 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관(10)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관(10)과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11)와의 합성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복합관(10)의 내주면에 복수의 연결구(12)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2)는 복합관(10)의 제작시 일체로 형성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관(10)의 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격막인 다이아프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연결재(30)는 강재를 이용한 'ㄷ' 형상의 도웰 바(dowel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연결재(30)는 상기 복합관(10)과 에폭시계 접착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10. 외부 복합관(16), 상기 외부 복합관(16)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내부 복합관(18), 상기 외부 복합관(16)과 내부 복합관(18)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재(19) 및 상기 외부 복합관(16)과 내부 복합관(18) 사이에 충전된 콘크리트 내지 복합재료(11)를 포함하는 복합관(10);
    상부 바닥판(70)의 시공시 거푸집의 역할을 하며 상기 외부 복합관(16)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외주면에 한 쌍으로 설치된 지지판(20); 및
    상기 복합관(10)을 상부 바닥판(70)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외부 복합관(16)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전단 연결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복합관(16)의 내주면 또는 내부 복합관(18)의 외주면에는 관 제작시 성형 및 절삭 가공하여 톱니형상, 물결무늬 형상 등의 요철을 원주방향과 관의 길이방향 그리고 나선 형태 등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19)는 내부 복합관(18)과 외부 복합관(16)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한 것으로, 내부 복합관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의 중심개구가 형성된 사각 또는 원형의 강판을 분할하여 내부 복합관(18) 및 외부 복합관(16)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 외부 복합관(18)(16)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연결재(30)는 강재를 이용한 'ㄷ' 형상의 도웰 바(dowel 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연결재(30)는 판상형, 곡면형, T형, L형, Z형으로 제작하고, 상부 바닥판과 합성작용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복합판을 천공(33)하거나 가공시 엇갈리게 벌려 찢고(34), 복합판의 면은 빗살무늬(32) 내지 돌기(36)를 설치하며, 플랜지에는 돌기(3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연결재(30)는 상기 복합관(10)과 에폭시계 접착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연결재(30)는 돌기형 반쐐기(38) 또는 돌기형 쐐기(39)로 형성시켜 상기 복합관(10)에 끼워 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KR10-2002-0045685A 2002-08-01 2002-08-01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KR10049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685A KR100499020B1 (ko) 2002-08-01 2002-08-01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685A KR100499020B1 (ko) 2002-08-01 2002-08-01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090U Division KR200294571Y1 (ko) 2002-08-01 2002-08-01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237A KR20040012237A (ko) 2004-02-11
KR100499020B1 true KR100499020B1 (ko) 2005-07-05

Family

ID=3732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685A KR100499020B1 (ko) 2002-08-01 2002-08-01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907B1 (ko) * 2004-09-17 2007-12-17 조현준 중공관을 내부에 장착한 복합거더
KR20180055017A (ko) * 2016-11-15 2018-05-25 주식회사 포스코 이중강관 및 이중강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237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853B1 (ko) 교량시공용 합성거어더
US6381793B2 (en) Composite deck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5346676B2 (ja) 床版ユニット、床版の接合構造及び床版の構築方法
AU2018200080B2 (en) Corrosion resistant concrete reinforcing member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2155646B1 (ko) Frp보강 pc 데크와 이를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frp보강 pc 데크의 제작방법
JP5595393B2 (ja) セグメントから作られる芯材によって強化された軽量負荷支持構造
KR100499019B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 거더
KR101577327B1 (ko) 혼합형 합성거더
KR200286012Y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 거더
KR100499020B1 (ko)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KR200294571Y1 (ko)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전 복합관 거더
JP2003213623A6 (ja) 橋梁の上部構造
KR20080099753A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0502584B1 (ko)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20100091355A (ko) 이중강관을 이용한 보도교
KR100748939B1 (ko) 이방향 골판형 합성상판
KR102267643B1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118305B1 (ko) 강합성 교량 및 이를 가설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주탑
KR100489382B1 (ko) 폐합단면형 데크플레이트와 아이형 빔의 복합형 합성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980797B1 (ko) 하이브리드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KR100608173B1 (ko) 콘크리트 스터드를 이용한 냉간성형 합성보 및 그시공방법
KR101483707B1 (ko) 한 쌍의 채널형 절곡부재로 이루어진 거더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US20090064615A1 (en) Building Element and a Building Structure Comprising the Build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