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450B1 - 액체 분무용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1회용 용기 및 라이너 - Google Patents

액체 분무용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1회용 용기 및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450B1
KR100497450B1 KR10-1999-7006639A KR19997006639A KR100497450B1 KR 100497450 B1 KR100497450 B1 KR 100497450B1 KR 19997006639 A KR19997006639 A KR 19997006639A KR 100497450 B1 KR100497450 B1 KR 100497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reservoir
container
lid
nebu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405A (ko
Inventor
피. 조셉스티븐씨.
더글라스말콤에프.
버틀러알란에프.
바스토우데이비드알.
살휴스제리이.
하르트펠마가렛이.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8065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974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8/000796 external-priority patent/WO1998032539A1/en
Publication of KR20000070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characterised by the container or its attachment means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78Gun with a container which, in normal use, is located above the g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8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with a flex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Landscapes

  • Nozzl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분무기(1)는 제거 가능한 라이너(13)를 수용하는 유체 저장소(1)를 갖는다.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열/진공 성형될 수 있는 라이너(13)는 저장소의 내부에 억지 끼워 맞춤되며, 분무기의 작동 중에 유체가 배출될 때 절첩된다. 바람직하게는 라이너는 비교적 강성인 기부를 가지며, 저장소 외측에서 자립할 수 있다. 라이너의 측벽은 바람직하게는 기부에 비해 얇으며, 라이너의 폐기를 위해 절첩될 수 있다. 저장소(11)는 제거 가능한 뚜껑(15)을 가지며, 유체가 충전될 수 있도록 전도된 상태로 자립할 수 있다. 뚜껑(15)은 또한 저장소 내에 라이너(13)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며, 분무 작업의 종결 시에 뚜껑(15)과 라이너(13)는 저장소(11)로부터 함께 제거되어 폐기됨으로써, 분무기의 청소를 단순화한다.

Description

액체 분무용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1회용 용기 및 라이너{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AND DISPOSABLE CONTAINERS AND LINERS SUITABLE FOR USE THEREWITH}
본 발명은 용기, 특히 1회용 용기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라이너(liner)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분무용 장치(예를 들어, 분무기), 특히 그러한 장치의 액체 용기 또는 저장소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각종 분야에서 1회용 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상품은 구매 전후에 1회용 용기(예를 들어, 가방) 내에 포장된다. 1회용 용기가 플라스틱 가방일 때 이 가방은 구매자에 의해서 다른 리셉터클(receptacle)용의 1회용 라이너로서 자주 재활용된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1회용 라이너는 특히 다른 재사용 가능한 리셉터클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조된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라이너는 (휴지통 내의 라이너의 경우에서처럼) 리셉터클의 내용물의 폐기 처분을 도와주고, 리셉터클 또는 그 내용물을 보호하며, 또는 리셉터클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며, 심지어 리셉터클의 청소를 없애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아교, 도료, 또는 회반죽 등의 물질이 사용을 위해 혼합 또는 수용되는 리셉터클 내에서의 라이너의 사용은 사용 후에 리셉터클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고, 리셉터클 내의 물질이 다른 물질의 잔류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도료가 사용을 위해 혼합 또는 수용되는 리셉터클은 도료의 색상 또는 품질이 다른 물질의 흔적으로 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청소되어야 하며, 그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이 재도색 중에 있고 도료가 기존의 도료와 조화된 필요가 있을 때 특히 중요하다. 도료 혼합시의 오염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실제로 차체 상점에서는 특히 소형의 도료만이 요구될 때 혼합 용기로서 1회용의 왁스칠된 종이컵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사용시 재활용 가능한 프레임형 리셉터클 내에 위치되는 1회용 용기를 제공하는 대안적인 접근 방법이 미국 특허 제4 383 635호에서 제안되고 있다.
분무기의 분야에 있어서 각종 이유로 인해 분무기의 저장소에 1회용 라이너가 사용되어야 한다고 제안되어 왔다[미국 특허 제3 211 324호, 제3 255 972호, 제4 151 929호, 제4 951 875호 및 제5 143 294호와 유럽 공개 특허 제0 678 334호 참조). 액체(예컨대, 도료, 정원용 농약 등)를 분무시키기 위한 총은 공지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분배된 액체가 수용되는 저장소와, 방아쇠 기구의 제어 하에서 액체가 가압 하에 관통 분배되는 분무 노즐을 포함한다. 액체는 저장소로부터 중력 하에서 급송될 수 있거나 그리고/또는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분무기로 공급되는 가압 유체, 예를 들어 공기 또는 물의 흐름 속에 비말 동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분무기의 저장소 내의 액체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낡은 액체의 흔적이 분무기 내에 잔류해서 새로운 액체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분무기를 매우 철저하게 청소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특히, 분무기 내에 잔류한 낡은 1회분의 도료의 어떠한 흔적이 새로운 1회분의 도료가 쓸모 없게 될 정도로 새로운 1회분의 도료의 색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도료 분무기에 적용된다. 이것은 차량에 도포되는 도료가 흔히 기존의 도료 작업과 정확하게 조화될 필요가 있는 차체 상점에서 특히 문제를 야기한다. 대안으로, 도료 잔류물이 분무기 내에서 건조되게 방치된 경우에 이들 도료 잔류물은 얇은 조각으로 벗겨져서 새로운 1회분의 도료를 오염시킬 수 있다. 그러나, 분무기의 청소는 비교적 복잡하며 시간 낭비적인 작업이다. 더욱이, 도료 분무기의 경우에 있어서, 청소 작업은 환경상의 이유로 인해 주의 깊게 취급 폐기되어야 하는 비교적 다량의 용제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이것 또한 도색 작업의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분무기의 도료 저장소(즉, 도료 포트) 내에서의 1회용 라이너의 사용은 분무기의 청소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요구되는 용제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제안된 바 있다(유럽 공개 특허 제0 678 334호 참조).
도1은 도료로 충전될 수 있도록 부분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 종래 기술의 분무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분무기용 도료 저장소의 대안적인 형태의 부품을 분해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저장소를 분무기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와 더불어, 도2의 도료 저장소를 조립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도3의 도료 저장소 및 어댑터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분무기에 부착된 도4의 도료 저장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분무기 상에서 사용 중인 도4의 도료 저장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사용 후에 제거된 도4의 도료 저장소의 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도2와 유사하지만, 변형된 형태의 도료 저장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도2 내지 도4 및 도8의 도료 저장소를 위한 대안적인 형태의 뚜껑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도2와 유사하지만, 다른 변형된 형태의 도료 저장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도10의 도료 저장소의 종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도1의 분무기와 유사하지만, 대안적인 형태의 도료 저장소를 갖는 분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변형된 형태의 도료 저장소를 갖는 도12의 분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도13의 분무기 저장소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5는 도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대안적인 형태의 도료 저장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 및 도17은 도15의 한 부품의 변형된 형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8은 도15의 도료 저장소용 홀더의 사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용기의 사시도이다.
도20은 유사한 도면으로서, 폐기를 위해 절첩 과정에 있는 라이너/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1a 내지 도21c는 도2 내지 도4 및 도10의 도료 저장소용 라이너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22는 도21의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3은 도료 혼합 주전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4는 도23의 주전자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폐기하기가 상당히 저렴하고 폐기되어야 할 시에는 바람직하게는 절첩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시에는 취급 및 충전하기가 비교적 용이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른 리셉터클에서 라이너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분무기 및 이와 유사한 장치의 청소가 단순화될 수 있게 함으로써, 그러한 작업과 관련된 시간과 비용이 감소될 수 있게 해주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료로 열/진공 성형된 비교적 강성인 기부와, 측벽을 포함하고, 측벽은 기부에 비해 얇고 절첩 가능하지만, 용기는 측벽이 직립 연장된 채로 기부 상에서 자립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고, 기부와 측벽은 기부가 비교적 강성이고 측벽은 기부에 비해 얇고 절첩 가능하지만 용기는 측벽이 직립 연장된 채로 기부 상에서 자립할 수 있을 방식으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함께 열/진공 성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리셉터클용 라이너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라이너는 리셉터클의 내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 변형예로서, 본 발명은 또한 리셉터클과 조합되어, 리셉터클 내에 끼워 맞춤되고 리셉터클 내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열/진공 성형되는 1회용 라이너를 제공한다. 라이너는 반드시는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절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유체 저장소와, 저장소 내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저장소 내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제거 가능한 절첩식 라이너와, 라이너 내로부터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무 노즐을 포함하고, 분무기의 작동 중에 액체가 라이너 내로부터 배출될 때 라이너는 절첩되는 분무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소의 개구에 위치되는 제거 가능한 뚜껑을 갖는 유체 저장소와, 저장소 내에 위치되고 뚜껑에 의해 개구의 주연부에서 저장소에 고정되는 제거 가능한 라이너와, 라이너 내로부터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무 노즐을 포함하고, 라이너는 뚜껑과 함께 저장소로부터 제거 가능한 분무 노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저장소의 개구에 위치되는 제거 가능한 뚜껑을 갖는 액체 저장소와, 저장소 내로부터 뚜껑에 있는 유출구를 통해 흡인되는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무 노즐을 포함하고, 저장소는 분무기로부터 제거 가능하며 유체가 개구를 통해서 저장소 내로 장전될 수 있도록 자립할 수 있는 중력 급송식 분무기를 제거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체 저장소와 이 저장소 내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무 노즐을 포함하고, 저장소는 분무기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폐기를 위해 절첩 가능한 자립 용기를 포함하는 분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무기에 부착하기 위한 유체 저장소로서, 이 저장소는 저장소의 개구에 위치되고 저장소용의 유체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거 가능한 뚜껑을 가지며, 이 저장소는 저장소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저장소 내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제거 가능한 절첩식 라이너를 포함하며, 라이너는 뚜껑에 의해 개구의 주연부에서 저장소에 고정되며 뚜껑과 함께 저장소로부터 제거 가능한 유체 저장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분무기에 부착하기 위한 유체 저장소로서, 이 저장소는 저장소의 개구에 위치되고 저장소용의 유체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거 가능한 뚜껑과, 이 뚜껑으로부터 원격인 저장소의 단부에 위치된 폐쇄 가능한 환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유출구는 분무기에 부착되게 성형되는 유체 저장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분무기의 저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한 라이너로서, 이 라이너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저장소 내에 억지 끼워 맞춤되며, 또 이 라이너는 비교적 강성인 기부와, 절첩 가능하며 기부에 비해 얇은 측벽을 갖는 라이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체 저장소와 이 저장소 내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무 노즐을 포함하고, 저장소는 제거 가능한 뚜껑을 가지며, 이 뚜껑에 의해 저장소에 고정되는 제거 가능한 대체로 원추형인 메쉬 여과기를 포함하는 분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체 저장소와, 이 저장소 내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무 노즐을 포함하고, 저장소는 제거 가능한 뚜껑과 이 뚜껑에 의해 저장소 내에 고정되는 제거 가능한 라이너를 갖는 중력 급송식 분무기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열/진공 성형(thermo/vacuum-forming)"은 재료 시트가 연화된 상태로 가열되고, 그러한 연화된 상태인 동안에 주형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성형되어, 한정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공기 차압을 적용함으로써 재료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도와주는 경우를 포함하고, 특히 재료의 한 면에 진공이 발생되어 재료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간단히 "진공 성형"으로도 알려진)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라이너의 측벽을 참조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절첩 가능한(collapsible)"은 적당한 압력(예컨대, 손의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용기의 림이 측벽이 파열됨이 없이 용기의 기부 쪽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측벽이 왜곡될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도료(paint)"는 표면을 채색하기 위한 것이든 그렇지 않든 간에 분무기를 사용해서 표면에 도포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도료형 피복 재료를 포함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단지 예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중력 급송형 도료 분무기(1)를 도시한 도면이다. 분무기(1)는 몸체(2)와, 이 몸체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3)와, 몸체의 전방 단부에 있는 분무 노즐(4)을 포함한다. 분무기는 분무기의 측면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방아쇠(5)에 의해 수동 조작된다. 분무기에 의해 방출되어야 할 도료(또는 유사한 재료)를 수용하는 저장소 또는 도료 포트(pot, 6)가 몸체(2)의 상부에 위치되어 압축 공기용 내부 통로(도시되지 않음)와 연통하며, 상기 내부 통로는 손잡이(3)의 하단부에 있는 커넥터(7)로부터 노즐(4)을 향해 분무기를 통해 연장된다. 사용시에 커넥터(7)는 사용자가 방아쇠(5)를 당길 때 압축 공기가 분무기를 통해 노즐(4)로 송출되고, 중력 하에서 포트(6)로부터 송출 중인 도료를 비말 동반시켜 분무화하는 압축 공기 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도료는 압축 공기에 의해 노즐(4)을 통해 분무 형태로 방출된다.
포트(6)에 수용된 도료는 흔히 손으로 혼합되고 (이를 위해서 별도의 용기 예를 들어 주전자가 요구됨), 포트 내로 주입된다. 도료 내에 원하지 않는 입자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 도료는 통상적으로 여과기를 통해 포트(6) 내로 주입된다. 도1은 이러한 목적으로 제거된 포트(6)의 캡(8)과, 포트의 개방 단부 상에 위치되게 될 원추형 여과기(9)를 도시하고 있다. 여과기(9)는 중실 측면과 원추의 첨단부에 있는 여과기 메쉬부(10)와 공지된 유형의 1회용 원추형 여과기로 도시되고 있다. 포트(6)가 도료로 충전되고 나면 여과기(9)는 제거 방출되며, 포트의 캡(8)이 교체된다. 여과기(9)가 분무기처럼 재활용 가능한 여과기인 경우에, 여과기는 다른 액체 (예컨대, 다른 색상의 도료 또는 다른 화학적 성분을 갖는 액체)와 함께 사용되기 전에 철저하게 청소되어야 한다.
도2는 포트(6) 대신에, 도1의 분무기(1) (또는 임의의 유사한 분무기) 상에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형태의 도료 포트(11)의 부품을 도시하고 있다. 대안적인 형태의 도료 포트(11)가 도3과 도4(단면도)에서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료 포트(11)는 그 기부에 기공(12A)을 갖고 1회용 라이너(13)가 마련된, 크기가 종래의 분무기 도료 포트의 상당하는 개방 용기(12)를 포함한다. 라이너(13)는 형상이 용기(12)의 내부에 일치하고 [억지 끼워 맞춤(close fit)되며], 개방 단부에서 용기의 상부 연부에 안착하는 소폭의 림(14)을 갖는다. 용기(12)는 또한 라이너(13)의 개방 단부에 누름 끼워 맞춤되는 1회용 뚜껑(15)을 구비한다. 뚜껑(15)은 중앙 개구(16)(도4 참조)를 가지며, 이 개구로부터 커넥터 튜브(17)가 연장되며, 이 커넥터 튜브의 단부에는 총검형 접속부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외향 연장체(18)가 형성된다. 개구(16)는 개구 내로 누름 끼워 맞춤될 수 있거나 또는 뚜껑(15)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는 여과기 메쉬(19)에 의해 덮여진다. 뚜껑(15)은 뚜껑의 상부에, 용기 상으로 나사 결합되는 환형 칼라(20)에 의해 용기(12) 상의 제 위치에서 견고하게 유지된다.
도료 포트(11)는 도3 및 도4(단면도)에서 도료 포트와는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 어댑터(21)를 사용함으로서 분무기(1)에 부착된다. 어댑터(21)는 일 단부(22)에서, 도료 포트(11)의 커넥터 튜브(17)에 부착하기 위한 총검형 접속부의 다른 부분이 일체식으로 형성된 관형 부품이다. 어댑터는 다른 단부(23)에서 분무기 도료 포트의 표준 부착구(전형적으로)에 정합하도록 성형된다.
이미 언급된 도료 포트(11)의 라이너(13)는 형상이 용기(12)의 내부에 일치하며, 개방 단부에서 용기의 상부 연부 상에 안착되는 소폭의 림(14)을 갖는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라이너는 자립되지만 절첩 가능하기도 하며,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강성인 기부(13A)와 비교적 얇은 측벽(13B)을 가짐으로써, 라이너의 절첩 시에 이 라이너가 기부보다 더 잘 절첩되는 측벽에 의해 종방향으로 절첩된다. 또한, 라이너(13)는 주름부, 골부, 시임부, 이음부, 또는 보강부를 갖지 않으며, 또 측벽(13B)과 기부(13A)와의 접합부에 홈을 갖지도 않는다. 그러한 유형의 라이너를 도19 및 도20을 참조해서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그러한 라이너를 제조할 수 있는 열 성형 공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료 포트(11)의 용기(11)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되며, 불투명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일 수 있으며, 임의의 적절한 크기로 될 수 있다. 도료 분무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250, 500, 또는 800 ㎖의 용량을 갖는 용기가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뚜껑(15)은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뚜껑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일 수 있으며, 채색될 수도 있다. 칼라(collar, 20)는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이거나, 기계 가공된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부품일 수 있다. 어댑터(21)는 기계 가공된 금속 부품일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산화피막 처리될 수 있다.
도료 포트(11)를 사용하기 위해서, 어댑터(21)는 [단부(23)가] 분무기에 부착되고 좌측 위치에 있다. 다음에, 도료 포트(11)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된 채로 뚜껑(15)이 용기(12) 내부로 밀어 넣어진다. 다음에, 도료가 용기 내로 넣어지고, 뚜껑(15)이 제 위치로 밀어 넣어지며, 칼라(20)가 하방으로 견고하게 나사 결합되어 뚜껑을 제 위치에 유지한다. 다음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13)의 상부가 뚜껑(15)과 용기(12) 사이에 포획되고, 라이너 림(14)이 용기의 상부 연부와 칼라(20) 사이에 포획된다. 유리하게는, 뚜껑(15)에는 그 표면상에 바브(barb)(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라이너의 상부에 결합해서 이를 보유한다. 다음에, 분무기(1)는 커넥터 튜브(17)의 단부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1)에 부착될 수 있도록 그 정상 작동 위치로부터 반전되며, 그후에 분무기는 (도6에 도시된) 정상 위치로 복귀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식으로 사용할 준비가 된다. 도료(13)가 라이너(13)로부터 제거된 후에 라이너 측면은 라이너 내의 압력 감소의 결과로 인해 절첩된다. 보다 강성이 있는 라이너의 기부는 라이너가 횡방향보다는 종방향으로 절첩되기 쉬워서 도료의 포켓이 라이너 내에 포획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그 형상을 유지한다.
사용자는 분무기(1)를 작동시키기 전에 라이너(13) 내로부터 공기를 소기시키는 것을 선택할 수 있지만, 이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것은 공기가 도료 포트(11)로부터 분무기 내로 침입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분무기가 만족스럽게 기능을 하는 각도 범위를 증가시킨다. 라이너(13) 내로부터 공기를 소기시키기 위해서 분무기의 방아쇠(5)는 분무기가 계속해서 도5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동안에 작동되어야 한다.
사용 후에, 분무기를 청소하고자 할 때 분무기는 재전도될 수 있으며, 방아쇠(5)는 분무기 내의 도료가 포트(11) 내의 라이너 내로 도로 유출될 수 있도록 잠깐 동안 작동될 수 있다. 다음에, 포트(11)는 (분무기 상에 체류하고 있는) 어댑터(21)로부터 커넥터 튜브(17)를 탈착시킴으로써 분무기로부터 제거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20)가 용기(12)로부터 제거된 다음, 뚜껑(15)이 당겨내어지고, 이 뚜껑과 함께 절첩된 라이너(13)를 꺼낸다. 라이너와 (여과기(19)를 포함한) 뚜껑은 폐기되고, 용기(12)와 칼라(20)는 깨끗한 상태로 새로운 라이너 및 뚜껑과 함께 재사용할 준비가 된다. 단지 분무기 자체만 청소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 용제의 량이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사용되지 않은 도료를 포트(11)로부터 엎지를 우려도 상당히 감소되는데, 이는 라이너(13)가 제 위치에서 뚜껑(15)과 함께 제거되어 폐기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라이너는 절첩된 상태로 폐기되기 때문에 사용된 라이너의 수집을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양이 최소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너(13)는 용기(12) 내측에 정밀 끼워 맞춤되고 매끄러운 내부면을 갖기 때문에, 별도의 리셉터클(receptacle)이 아닌 용기(12) 자체 내에서 도료를 혼합시킨다. 그러한 방식으로, 별도의 혼합 리셉터클에 대한 청소가 제거되어 사용되는 용제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한 가능성은 도1의 도면 부호 6으로 도시된 종래의 도료 포트를 갖는 중력 급송 분무기의 사용시에 존재하지 않는데, 이는 종래의 도료 포트가 양 단부에서 개방되기 때문이다. 라이너(13)가 혼합 기구에 의해 천공되어 손상 받을 가능성이 최소화되는데, 이는 첫 번째로 라이너가 용기(12) 내측에 정확하게 끼워 맞춤되고, 두 번째로 (이하에서 설명될) 라이너의 자립 특성은 라이너가 혼합 과정 중에 용기 내측에서 질질 끌릴 가능성이 거의 없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용기(12)의 혼합 리셉터클로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용기의 측벽에는 용기 내용물의 체적이 판정될 수 있게 해주는 눈금(25)(도2 및 도3 참조)이 마련될 수 있다. 용기(12)의 일반적인 형상, 특히 용기가 평탄한 바닥으로 되어 있고 도2에 도시된 배향 시에 안정적이라는 사실은, 용기가 이미 설명된 반투명하다는 사실에서와 같이, 혼합 리셉터클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게 한다. 그러나, 용기(12)가 불투명하다면 이 용기는 측벽에 슬롯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슬롯을 통해서 라이너(13)를 볼 수 있어서 분무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때라도 포트(11) 내의 도료의 양을 산정할 수 있게 한다.
도료가 용기(12) 내에서 혼합될 때, 용기 뚜껑(15) 내에 여과기 메쉬(19)가 포함되어 있으면 도면 속의 원치 않는 입자가 분무기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메쉬(19)는 도료가 직물성인 경우, 또는 도료가 별도의 리셉터클 내에서 혼합되고 도료가 정렬된 용기(12)로 옮겨질 때 여과되는 경우, 또는 용기 내의 오염물의 존재가 중요하지 않을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도료 포트(11)의 칼라(20)는 별도의 품목인 것으로 상술하였지만, 이 칼라는 뚜껑(15)과 조합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이 칼라 또한 폐기 처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대안으로서, [커넥터 튜브(17)와 메쉬(19)를 갖는] 뚜껑(15)은 라이너(13)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라이너에는 뚜껑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 이음부(2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뚜껑과 라이너는 사용후 뚜껑으로부터 함께 제거되지만, 뚜껑이 사용후 라이너 내의 제 위치에서 남아 있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여전히 필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뚜껑이 라이너의 입구부부 내측에 끼워 맞춤될 필요가 없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칼라(20)는 뚜껑(15)과 라이너(13)를 제 위치에 보유하도록 포트(11)의 상부 둘레에 고정되는 밴드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밴드는 포트에 고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항아리 및 병의 상부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유형의 금속 클립 장구의 일부일 수 있다.
도2 내지 도4의 뚜껑(15)과 라이너(13)간에 보다 확실한 결합이 요구되는 경우에 뚜껑은 도시된 바와 같은 누름 끼워 맞춤(push-fit) 대신에 라이너와 스냅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너에는 뚜껑의 인접 표면상의 대응 홈에 결합하도록 위치 설정된 내주연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푸시-인(push-in) 뚜껑(15)은 도9에 도시된 형태를 갖는 뚜껑(27)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뚜껑(27)은 라이너 내측에 누름 끼워 맞춤되지만, 형상이 대체로 원추형이고 그 상단부(28)의 형상이 도2 내지 도4의 커넥터 튜브(17)의 단부에 대응하므로 이 뚜껑은 동일 어댑터(21)에 결합하게 된다. 뚜껑(27)은 라이너 림(14)의 상부에 안착하게 될 외향 연장 림(29)과 라이너의 내부면과 결합하게 될 성형부(29A)를 갖는다. 성형부(29A)의 형태는 뚜껑(27)이 라이너의 입구부부 내로 밀어 넣어질 수 있게 해주며, 또 뚜껑이 견고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라이너의 연부가 접촉될 수 있는 오목부(29B)를 제공한다. 도9에 도시된 성형부의 형태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도4의 뚜껑(15)을 참조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바브를 포함하는 대체물이 사용될 수 있다. 뚜껑(27)은 칼라(20)와 유사하고 뚜껑의 림(29) 상에 안착하게 될 나사 부착 칼라에 의해 용기 상의 제 위치에 유지된다. 대안으로, 뚜껑(27)은 도2 내지 도5의 여과기(19)와 유사한 여과기를 합체할 수 있다. 대안으로, 각각의 경우에 여과기는 총검형 접속부에 인접한 단부로부터 뚜껑이 관형 부품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뚜껑의 관형 부품의 내부 성형은 분무기가 사용 중일 때 여과기가 제 위치에 체류할 수 있게 해준다.
도료 포트(30)의 대안적인 형태의 구성 부품들이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도2의 포트(11)와 유사한 포트(30)는 용기(12)와 라이너(13)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포트(11)의 여과기(19)는 용기(12)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고 주연 밀봉 가스킷(32)을 포함하는 별도의 물품(31)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2의 포트의 뚜껑(15)과 칼라(20)는 용기 상으로 나사 끼워 맞춤되고 상단부가 도3의 커넥터 튜브(17)와 유사한 형상으로 되고 동일 어댑터(21)에 결합하게 될 관형 연장체(34)를 갖는 대체로 원추형인 뚜껑(33)으로 대체된다. 포트(30)는 라이너(13)를 용기(12) 내측으로 밀어 넣은 다음, 도료를 용기 내로 투입한 후 여과기(31)를 용기의 상부에 설치하고, 뚜껑(33)을 하방으로 나사 결합해서 여과기를 제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그 다음, 라이너(13)의 림(14)과 여과기(31)의 밀봉 가스킷(32) 양자 모두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3)과 용기(12) 사이에 포획됨으로써, 포트가 분무기에 고정되고 사용을 위해 전도되었을 때 상기 위치에서 포트(30)로부터의 도료의 누설을 방지한다.
뚜껑이 분무기(1) 상의 표준 도료 포트 부착구에 직접 결합될 수 있도록 용기(11, 30) 뚜껑의 관형 부품(17, 34)의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어댑터(21)는 생략될 수 있다.
도12는 분무기(1)(도1 참조)의 표준 도료 포트(6)가 보유되고, 예컨대 분무기와 라이너 사이에 가요성 O링(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몸체를 액체 밀봉하도록 포트 내측에 끼워 맞춤되고 바람직하게는 분무기의 몸체(2)와의 접속부 내로 연장되는 라이너(35)를 구비한 대안적인 분무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라이너(35)는 도료가 포트 내로부터 제거될 때 절첩되지 않으며, 보다 강성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어서 라이너를 포트(6) 내에 위치 설정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라이너(35)는 제 위치에 위치 설정되고나면 라이너의 개방 단부에 있는 외향 연장 림(36) 상으로 하방으로 나사 결합되는 캡(8)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부가적으로, 도12의 포트(6)에는 대체로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메쉬 재료로 형성되며 또 사용시에 라이너(35) 내에 위치 설정되는 여과기(37)가 제공된다. 라이너(35)와 유사한 여과기(37)는 라이너 림(36)의 상부 상에 놓여지고 마찬가지로 포트(6)의 캡(8)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외향 연장 림(38)을 갖는다.
도12의 포트(6)는 도3의 포트(11)와는 달리, 분무기(1)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 도료로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라이너(35)와 여과기(37)가 제 위치에 설치되고 도료가 포트 내에 주입된 다음, 캡이 끼워 맞춤된다. 이러한 조작 중에 여과기는 빠질 염려가 없으며, 또 여과기는 전체적으로 메쉬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도료가 포트 내로 주입되고 있는 동안에 도료 수준을 항상 볼 수 있다. 다음에, 분무기(1)는 사용 준비 상태가 된다. 분무기에 의해 분배되는 모든 도료는 여과기를 통과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료가 포트(6) 내로 주입되고 있는 동안에는 도료가 여과될 필요가 없다. 사용후에, 캡(8)을 나사 결합 해제하면 여과기(37)와 라이너(35)가 제거될 수 있다. 라이너(35)는 폐기되며 여과기(37)도 폐기 가능한 지의 여부에 따라 폐기되거나 청소된다. 라이너(35)의 재사용은 분무기(1)를 청소하는데 필요한 용제의 양을 감소시키며, 용제의 양은 1회용 여과기(37)의 사용을 통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여과기(37)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여과기의 유효 면적으로 증대시키도록 세로 홈이 형성된 면을 가질 수 있다.
도13에 도시된 변형된 구조에 있어서, 라이너(35)와 여과기(37)는 단일 유닛(39)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경우에 여과기는 라이너와 함께 폐기된다.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구조의 각각에 있어서, 라이너(35)와 여과기(37)는 뚜껑(8)과 함께 포트(6)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뚜껑(8), 라이너(35) 및 여과기(37)가 함께 폐기될 수 있도록 포트(6)의 종래의 뚜껑(8)을 1회용 뚜껑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3의 1회용 유닛(39)은 도료 포트 내측에 끼워 맞추어지지 않고 분무기(1)의 도료 포트(6)를 대신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이 유닛(39)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가 이미 충전된 밀봉식 카트리지(50)로서 공급될 수 있다. 외형상, 카트리지(50)는 도료 포트(6)와 유사하며 동일한 방식으로 분무기(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카트리지는 밀봉되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외부 단부(51)가 천공되어, 환기구가 예컨대 카트리지의 다른 단부(52)에 제공되어 도료가 분무기 내로 유동될 수 있게 해준다. 카트리지(50)의 출구 단부(51)는 예를 들어 (출구 단부가 최상부에 위치된) 카트리지가 (전도된) 분무기에 부착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분무기(1)는 카트리지(50)의 분무기에의 부착 시에 출구 단부(51)가 자동 천공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그 다음, 수동으로 또는 예컨대 카트리지가 제 위치에 설치될 때 이 카트리지를 천공하도록 설계된 별도의 캡(53)을 부착해서 카트리지의 다른 단부(52)를 천공함으로써 카트리지(50)의 다른 단부(52)에는 카트리지가 분무기에 부착된 후에 환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분무기가 사용 준비 상태가 되었을 때 단순히 개방시키기만 하면 되는 환기구가 카트리지 내에 사전 성형될 수 있다.
사용후에 카트리지(50)는 분무기로부터 제거되어 폐기된다. 카트리지(50)는 여과기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자는 도료를 카트리지 내로 장전하기 전에 이 도료를 여과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도료가 사전에 여과된 경우에는 카트리지(50) 내의 여과기가 생략될 수 있다.
도15는 완전 1회용인 분무기(1)용의 도료 포트(40)의 대안적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료 포트(40)는 용기(12)가 이하에서 설명될 1회용 용기(41)로 대체되고 라이너(13)가 생략된 사실을 제외하고는 도10에 도시된 포트(30)와 대체로 유사하다.
도15의 용기(41)는 도료를 수용하고 도료 포트 뚜껑(42)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통상적인 1회용 용기일 수 있다. 용기(41)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내용물을 볼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용기 내용물의 용적이 판정될 수 있도록 측벽 상에 눈금(43)을 갖는, 예를 들어 얇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구멍(44)이 필요에 따라 이 공기 구멍을 폐쇄시키는 몇몇 수단과 더불어 용기의 기부에 형성된다. 상기 수단은 구멍(44)을 개방시키도록 뒤로 벗겨지고, 필요에 따라 이 구멍을 폐쇄시키도록 재부착될 수 있는 접착성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의 스트립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플립-탑(flip-top) 폐쇄부 또는 몇몇 수동 밸브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도10의 뚜껑(33)과 대체로 유사하고 또 (필요에 따라 적절한 어댑터에 의해) 분무기에 부착되도록 개방 단부(42A)가 성형된 뚜껑(42)에 부착하기 위해서 용기(41)의 개방 단부에는 외부 나사산이 형성된다. 뚜껑(42)은 용기(41)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일 수 있다. 역시 1회용인 납작한 여과기 메쉬(45)는 용기(41)의 입구부부를 횡단해서 연장된다. 메쉬(45)는 그 주연부가 뚜껑(42)과 용기(41) 사이에 유지되는 별도의 물품일 수 있으며, 또는 뚜껑과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포트(40)를 사용하기 위해서, 뚜껑(42)과 여과기 메쉬(45)는 용기(41)로부터 제거되며, 그 다음 상기 용기는 도료로 충전된다[이 때, 용기의 기부에 있는 공기 구멍(44)이 폐쇄되어 있는 지를 확인해야 함]. 도료의 용기(41) 내로의 투입 시에 도료를 여과시키는 것이 불필요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도료를 용기 내에서 혼합함으로써 그러한 목적을 위한 별도의 리셉터클에 대한 필요성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뚜껑(42) 및 메쉬(45)는 용기(41) 상의 제 위치로 되돌려지며, 뚜껑(42)이 (전도된) 분무기(1)에 부착된 다음에 이 분무기는 정상 위치로 복귀되며, 용기의 기부에 있는 공기 구멍(44)은 개방된다. 이제 분무기(1)는 통상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분무 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공기 구멍(44)은 재폐쇄되며, 포트(40)는 분무기(1)로부터 탈착된 다음, 청소되어야 할 분무기만을 남긴 채 폐기될 수 있다. 포트(40)가 탈착된 후에 분무기(1)는 다시 전도될 수 있으며, 분무기의 방아쇠(5)가 조작되어 분무기 내에 잔류한 과잉 도료가 포트 내로 도로 흘러 들어갈 수 있게 해준다. 어느 경우에든 포트(40) 내에 충분한 도료가 잔류하고 있으면 이 포트는 (폐기되지 않고) 재밀봉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포트의 용기(41)는 사용후에 절첩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뚜껑(42)도 절첩식으로 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뚜껑(42)은 재활용 부품일 수 있으며 분무기로 청소되게 된다. 그러한 유형의 구조에 있어서, 1회용 용기(41)는 도료로 이미 충전되고, 용기가 뚜껑(42)에 부착되기 전에 간단하게 제거될 덮개에 의해 밀봉되는 카트리지로서 공급될 수 있다. 여과기 메쉬(45)는 1회용 또는 재활용 부품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용기(41)와 뚜껑(42)은 함께, 뚜껑의 상단부(42A)에 마련되어 카트리지가 분무기에 부착되기 전에 카트리지로부터 제거될 제거 가능한 덮개에 의해 밀봉되는 카트리지로서 공급될 수 있다. 그러한 형태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도14의 카트리지(50)와 유사하다.
도료 포트(40)의 뚜껑(42)의 치수에 대한 적절한 선택을 통해서 하나의 뚜껑이 각종 크기로 된 용기(41)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적절한 양의 도료를 수용하는 용기(41)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사용 중인 도료의 종류에 가장 적합한 메쉬 크기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각종 메쉬 크기의 범위를 갖는 여과기(45)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과기 메쉬(45)가 도15에 도시된 형태 및/또는 위치를 갖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추형 형태를 갖거나 그리고/또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42)의 출구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료가 용기(41) 내로 투입 전에 이 도료가 여과된 경우 또는 도료 내의 오염물의 존재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 여과기(45)는 생략될 수 있다.
뚜껑(42)은 도15에 도시된 정확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 부착 칼라와 조합된 푸시-인 뚜껑으로 대체될 수 있다.
[뚜껑(42)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용기(41)가 도료 (또는 기타 피복 재료)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로서 공급될 때, 몇몇 경우에 있어서 도료/피복 재료는 카트리지 내의 밀봉된 절첩식 라이너 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것은 예를 들어 도료/피복 재료가 피복될 표면으로 분무되기 전까지 예를 들어 공기 또는 빛으로부터 격리된 채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면, 용기(41)의 공기 구멍(44)은 항상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또는 용기(41) 자체가 기밀식이 아닌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용기가 전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용기(41)의 형상에 따라 용기를 위치 설정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18에 도시된 하나의 적합한 홀더(50)는 용기(41)와 형상이 유사하지만 이보다는 약간 더 크고, 확장된 기부(52)를 갖춘 용기부(51)를 포함한다. 용기(41)는 충전되고 있는 중이거나 및/또는 분무기(1)에 부착되고 있는 동안에 직립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용기부(5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도료 분무기에 관한 것이었지만 예를 들어, 정원용의 농약 등의 물질을 분무하기 위해 (공기 공급 라인이 아닌) 물 호스에 부착되는 유형의 분무기를 포함한 기타 유형의 분무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설명은 흡인-급송(suction-feed) 분무기, 즉 분무기의 사용시에는 저장소로부터 액체 출구가 저장소의 상부에 위치되고, 분무기를 유동하는 압축 공기 또는 기타 가압 유체의 작용에 의해 액체가 저장소로부터 공급관을 통해 흡인되는 분무기에도 적용된다. 그러한 경우에, 저장소용으로 라이너가 제공되면 라이너 및/또는 공급관은 라이너가 공급관을 폐색하지 않고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분무기가 사용되기 전에 모든 공기가 라이너로부터 배출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짧은 공급관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라이너와 함께 절첩될 가요성 공급관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강성 기부를 갖지 않는 변형된 라이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 라이너는 도2의 라이너(13)와는 상이한 방식으로 절첩된다. 흡인-급송 분무기의 저장소는 중력 급송 분무기에서처럼 사용 중에 전도되지 않기 때문에, 저장소와 분무기간의 접속부에 의해 공기가 저장소와 라이너 사이의 공간 내로 들어갈 수 있게 되기만 하면, 저장소에 공기 구멍을 제공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이제 도2의 도료 포트(11)를 다시 참조해서, 라이너(13)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과 더불어 이 라이너(13)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9 및 도20에서 격리 상태로 도시된 라이너는 바람직하게는 반투명이며 단일편의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열 성형된다. 라이너의 형상은 용기(12)의 내부 형상에 의해 좌우된다. 비교적 강성인 기부(13A)는 원형이며, 용기(12)의 내부와 유사한 라이너(13)는 대체로 원통형이지만 입구부로부터 기부(13A) 쪽을 향해서 테이퍼진다. 기부와 유사한 림부(14)도 비교적 강성이지만, 측벽(13B)은 가요성이 있으며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절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라이너(13)가 절첩되면 비교적 강성인 기부(13A)는 그 형태를 유지하지만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3B)의 절첩으로 인해 라이너의 림부(14) 쪽으로 움직인다. 측벽(13B)은 (예컨대 분할, 절취 또는 균열에 의해) 파열되지 않고 플라스틱 가방과 유사한 형태로 절첩된다.
한 가지 형태로서, 라이너는 약 110 ㎜의 높이와, 약 78 ㎜의 기부(13A) 직경과, 약 86 ㎜의 [림부(14)를 제외한] 입구부 직경을 갖는다. 기부는 약 400 ㎛의 두께를 갖고, 림부(14)는 약 900 ㎛의 두께를 가지며, 측벽(13B)은 약 150 ㎛의 두께를 갖는다. 다른 형태로서, 라이너는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기부 및 입구부 직경을 갖지만, 기부는 약 300 ㎛의 두께를 갖고, 림부는 약 200 ㎛의 두께를 가지며, 측벽은 50 내지 250 ㎛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다.
이제 도21a 내지 도21c를 참조해서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이너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두께가 약 250 x 225 ㎜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시트(60)가 진공 성형 기계의 주형 프레임(61)의 주연부에서 클램핑되었다. LDPE 재료는 예를 들어 영국 체셔주 위드네스 소재의 플라스텍 익스트루젼 엘티디(Plastech Extrusion Ltd.)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진공 성형 기계는 웨일즈 카마르쎈셔주 암만포드 소재의 씨.알. 클라크 앤 컴퍼니사의 모델명 "FLB725"이었다. 그러나, 임의의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열/진공 성형 기계를 사용해서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시트(60)가 제 위치에 설치된 후에, 진공 성형 기계의 가열기(62)의 뱅크(bank)가 (도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상부 위치로 이동되었으며, 시트는 진공 성형에 적합한 연성의 유연한 상태로 가열되었다. 시트가 적절한 온도에 도달했다는 사실은 그 외관이 우유빛에서 반투명으로 변화되는 것으로서 알 수 있다.
다음에, 가열기(62)의 뱅크가 제거되고 주형 플래튼(63)이 시트(60)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되어, 주형(64)이 시트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시트를 상방으로 변형시켰다. 이때, 기계의 진공 펌프가 켜져서 시트(60) 아래로부터 공기를 제거했다. 주형 플래튼(63)의 상방 이동은 플래튼이 그 행정의 상사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었으며, 상기 상사점에서 플래튼은 프레임(61)에 대해 밀봉되어 시트(60)를 보유한다[도21b 참조]. 주형(64)은 분무기 도료 포트(11)의 용기(12)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졌다.
진공 펌프의 작동은 주형 플래튼이 프레임(61)에 대해 밀봉된 채로 계속되었으며, 시트(60)의 상부면과 하부면간에 생성된 차압은 [주형(64)의 상부와 이미 접촉 상태였던) 시트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주형의 측면들과 접촉되게 하였다[도21c 참조]. 다음에, 주형 플래튼(63)은 냉각된 시트(6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 소망하는 라이너(13)의 형상을 갖고, 측벽(13B)과 기부(13A)간의 내부 이음부에 어떠한 주름, 골, 솔기, 마디 또는 미늘, 또는 어떠한 홈을 갖지 않는 성형부(65)를 남겼다. 프레임(61)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시트(60)는 성형부(65)의 입구부 둘레에서 마름질(trimming)되어 라이너(13)의 림(14)을 형성했다. 림(14)의 폭은 시트(60)가 상기 단계에서 마름질되는 위치에 결정되며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공정은 성형 공정 중에 주형(64)의 측면들과 접촉하게 되었던 플라스틱 시트(60) 부분이 주형의 상부와 접촉하게 되었던 부분보다 상당히 더 얇아진 성형부(65)[및 라이너(13)]를 낳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공정은 가능한 한 성형부(65)의 두께 차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또 그러한 목적으로 주형 플래튼(63)이 프레임(61)에 대해 밀봉되기 전에 시트가 반구형 형상을 취하도록 도21a 단계 전에 가열된 시트(60)의 하부면에 공기압을 인가하는 부가적인 단계[이 단계에 의해, 시트의 두께는 도21c 단계에서 시트가 이동되어 주형(64)과 접촉 상태로 되더라도 비교적 균일하게 됨]를 포함하는 종래의 진공 성형 공정과는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도21에 도시된 공정에서 소정 크기의 시트(60)에 있어서 주형(64)의 크기는 파생된 라이너(13)의 기부보다는 측면의 두께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시 말해서, 주형(64)의 크기가 증대되면 파생된 라이너(13)의 기부의 두께는 거의 동일해지지만, 라이너의 측면들은 훨씬 더 얇아지게 된다. 반면에, 주형의 크기가 감소되면 라이너(13)의 측면에서 종방향 주름이 출현하는 지점에 도달됨을 발견할 수 있다.
도21c 단계에서 시트(60)가 주형(64)의 측면들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시트(60) 두께의 추가 감소가 요구되는 경우에, 시트(60)는 성형 기계의 프레임(61) 내에 클램핑될 때 2개의 얇은 금속 판(66)(도22 참조)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금속 판(66)은 주형(64)의 위치에서 주형의 최대 단면적보다 크기가 큰 구멍(67)을 갖는다. 판(66)은 또한 프레임(61) 내에 클램핑되며, 그 다음 도21의 공정이 반복된다. 판(66)은 시트(60)의 중앙부만이 가열기(62)에 노출되고 주형(64)이 상방으로 [이 경우 판(66)의 구멍(67)을 통해서] 이동될 때 주형(64) 위로 당겨지는 것에 영향을 준다. 그러한 방식으로, 보다 적은 양의 시트(60)가 성형부(65)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파생된 라이너(13)는 약간 더 얇은 기부(13A) 및 림(14)과 상당히 더 얇은 측벽(13B)을 갖게 된다. 또한, 도22에 도시된 상부판(66)만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동등한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22에 도시된 공정의 변형예로서, 플라스틱 시트(60)는 2개의 판(66)들 사이의 주연부에서 클램핑되는 원형 재료 디스크의 형태로 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크의 크기에 따라서, 클램핑된 주연부는 라이너(13)의 림(14)을 형성할 수 있으며, 마름질해서 버려야 할 과잉 재료가 없어질 수 있다.
도21 및 도22를 참조해서 설명된 어떤 하나의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라이너(13)는 도2의 분무기 저장소에서 사용될 때 도20을 참조해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절첩하게 된다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라이너(30)는 또한 손으로 라이너의 기부를 림(14) 쪽으로 누름으로써 손으로 절첩될 수 있다. 라이너는 통상적으로 그 기부(13A) 상에서 자립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분무기 저장소(11)에서 라이너를 사용하는데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저장 목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라이너는 측벽(13B)과 기부(13A)간의 내부 이음부에 어떠한 주름, 골, 솔기, 마디 또는 미늘, 또는 어떠한 홈을 갖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어떠한 내부 위치에서도 라이너 내의 재료가 포획되어질 수 없다. 물론, 라이너의 기부(13A)는 분무기 저장소(11)의 용기(12)의 기부에서 약간의 공간을 차지하게 될 것이므로 그러한 사실을 고려해서 용기(12)의 벽 상의 눈금이 위치 설정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2의 도료 포트(11)에서의 사용과 관련해서 도19의 라이너(13)를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또는 유사한 물품이 (필요에 따라 적절한 치수 변동의 지배를 받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유형의 물품은 분무기 저장소가 아닌 많은 형태의 리셉터클 내의 라이너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고, 청소를 용이하게 하며, 리셉터클 또는 그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서 흔히 리셉터클에 1회용 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9에 도시된 유형의 라이너는 그러한 목적들 중 어느 하나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라이너 내측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재료가 포획되어 혼합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을 수가 없기 때문에 물질들이 함께 혼합되는 리셉터클에서 특히 유용하다.
도19에 도시된 유형의 물품은 예를 들어 차체 상점에서 도료를 혼합하기 위한 리셉터클 내의 라이너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 상기 물품은 흔히 그러한 목적으로 채택되는 1회용 음용 컵에 대한 훌륭한 대안을 제공하게 된다. 차체 상점에서 차량의 수리된 부분을 도색하기 전에, 수리업자는 요구되는 색상의 1회분의 도료를 혼합시켜서 차량 주변부의 색상과 조화시켜야 한다. 1회분의 도료를 위한 각종 성분들은 용적적으로 또는 중량적으로 정확하게 측정되어 사용 전에 이들 성분들이 철저하게 함께 혼합되는 적절한 용기 내로 넣어져야 한다. 혼합이 철저하지 못한 경우 또는 용기가 절대적으로 청결하지 못할 경우 1회분의 도료의 색상/품질과 그로 인한 수리 품질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료 혼합이 편리하지만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19에 도시된 유형의 라이너는 도23에 도시된 측정 용기(7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측정 용기(70)는 성형된 림(72)에 있는 주둥이(71)와 손잡이(73)를 갖는 주전자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주전자의 측벽 상에는 눈금(74)이 마련되어, 주전자 내용물의 용적이 판정될 수 있게 해준다. 도21을 참조해서 이미 설명된 방법을 사용해서 도19에 도시된 유형의 라이너들은 주전자(70) 내측에 정밀하게 끼워 맞추어지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그러한 라이너를 이용함으로써 1회분 도료용의 각종 성분들은 실제로 주전자(70)와 접촉하지 않고도 주전자(70) 내에 수집되어 혼합될 수 있다.
주전자(70)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라이너(75)가 도24에 도시되어 있다. 라이너(75)는 주전자(70)의 내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라이너(13)의 보다 두껍고 외향 연장된 림부(14)가 생략되고 라이너(75)의 측벽(76)들이 주전자의 림(72) 및 주둥이(71)에 대응하는 성형 림(77)을 포함한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도19에 도시된 라이너(13)와 대체로 유사하다. 라이너(75)는 주전자(70)의 내측에 정확하게 끼워 맞추어지기 때문에 도료가 주전자 내에서 혼합 중일 대 혼합 기구에 의해 천공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부가적으로, 라이너 내부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재료가 포획되지 않기 때문에, 주전자 내로 측정되어 들어가는 모든 재료의 효과적인 혼합에 대한 장애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료가 혼합되고 나서 주전자(70)로부터 (예를 들어 분무기의 도료 포트로) 옮겨지고 나면, 라이너(75)가 제거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어 폐기되며, 주전자(70)는 청결한 상태로 되어 추가 사용을 위한 준비 상태가 된다.
라이너(75)의 기부(78)는 주전자(70)의 바닥에서 약간의 공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그러한 사실을 고려해서 주전자 측벽 상의 눈금들이 위치 설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주전자(70)의 형상에 따라서 주전자의 림(72) 위에서 되접힐 수 있는 연장체를 라이너(75)의 상부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 중에 주전자(70)에 대해 라이너(75)를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라이너와 주전자가 림(77, 72)에서 함께 스냅 끼워 맞춤될 수 있도록 라이너와 주전자에 대한 몇 가지 성형 형태를 제공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주전자(70)의 라이너(75)는 사용후에 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절첩 가능한 것이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것이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더욱이, 라이너(75)의 형상은 라이너가 사용될 주전자(70)의 내부 형상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라이너가 용기 외부에서 자립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도19에 도시된 유형의 물품이 단순히 용기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 상기 용기는 측벽(13B)의 가요성이 플라스틱 가방에 필적하지만 충전되고 있는 동안과 또 그 후에 자립하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용기는 임의의 적절한 크기로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분말 및 액체를 포함한 많은 각종 유형의 품목을 수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단순히 소매업자에 의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플라스틱/종이 가방에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용기는 용기 내의 재료가 어떠한 내부 위치에서도 포획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용기의 내용물에 따라서 용기 입구부를 폐쇄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 몇 가지 적절한 형태의 폐쇄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 폐쇄부는 예를 들어 입구부의 한쪽 반부 둘레에서 용기의 내측 상에 내부 리브 형태를 취하고 입구부의 다른 반부 둘레에서 용기의 내측 상에 짝결합 홈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홈 내로 리브가 가압되어 용기를 폐쇄시킬 수 있다. 용기 벽(13B)의 가요성은 부가적으로 벽이 내용물 주위에서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게 해주며, 이에 의해 필요한 경우 용기 내의 공기 공간을 감소시킨다.
사용후에, 용기를 폐기시킬 필요가 있을 때, (도20에 도시된 형태의) 용기가 보다 적은 폐기용 공간을 필요로 하도록 측벽(13B)은 림(14)을 기부 쪽으로 누름으로써 손으로 절첩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측벽(13B)은 (예컨대, 분할, 절취 또는 균열에 의해) 파열되지 않고 플라스틱 가방과 유사한 방식으로 절첩된다.
도19에 도시된 유형의 물품에 대해서 많은 다른 용도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유형의 라이너는 예를 들어 단순히 쓰레기통용의 라이너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라이너는 종래의 가방 형상의 라이너보다 통 내측에 보다 쉽게 끼워 맞추어질 수 있고, 기부(13A) 상에서 직립하기 때문에 통으로부터의 제거 시에 보다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비교적 신속하게 경화되는 재료(예를 들어, 아교, 왁스 또는 회반죽)용의 버켓 또는 기타 용기에서 유사한 라이너들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회반죽 등의 재료는 실제로 혼합 버켓과 함께 판매되는데, 그러한 경우에 라이너 공급품은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상황에서 하나의 라이너가 제거되면 다음 라이너가 이미 제 위치에 있도록 리셉터클 내측의 위치에서 하나의 라이너가 다른 라이너의 내측에 적층되는 형태로 복수의 라이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이, 리셉터클은 라이너를 수용하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리셉터클의 벽은 반드시 고형일 필요가 없으며, 리셉터클은 예를 들어 라이너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물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19에 도시된 유형의 물품에 있어서 기부(13A)는 대표적으로 두께가 적어도 25 ㎛이고, 보다 대표적으로는 두께가 적어도 100 ㎛이다. 측벽(13B)들은 기부(13A)에 비해, 이들 측벽들이 설명된 바와 같이 절첩되어 라이너/용기의 폐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얇은데, 전형적으로 측벽의 두께는 기부(13A) 두께의 1/2보다 더 작을 수 있으며 기부 두께의 1/5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사용되는 재료와 라이너/용기의 소기의 용도에 따라서 측벽(13A)은 통상적으로 두께가 250 ㎛보다 작게 된다.
도19에 도시된 유형의 물품에 대한 떤 용도상의 이유로 림부(14)는 필수적인 것이 아닐 수 있으며 (도24의 라이너에서처럼) 생략될 수 있다. 림(14)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도21c의 시트(60)는 성형부(65)의 입구부에 바로 인접해서 마름질됨은 물론이다. 라이너/용기의 자립 특성은 림부(14)가 생략된 경우에도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도19에 도시된 유형의 용기/라이너의 기부(13A)는 원형일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의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리셉터클용의 라이너의 경우에 있어서, 그 형상은 리셉터클의 형상의 지배를 받을 수 있는데, 특히 라이너가 리셉터클의 내부에 끼워 맞춤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그러하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기부는 강성일 필요가 없다.
또한, 도21 및 도22에 도시된 공정은 분무기의 도료 포트용 라이너의 제조로 제한되지 않으며, 기타 목적을 위한 라이너/용기를 제조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성형 작업의 완료 시에 시트(60)가 제거될 수 있도록 주형(64)이 (도21 및 도2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단부에서 최대 단면이 되는 약간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것을 필요로 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정이 용기의 내측에 끼워 맞추어지는 것을 필요로 하는 라이너를 제조하는 데 이용되면, 용기는 내부가 유사하게 테이퍼져야 할 필요가 있다. 라이너/용기는 수용하고자 하는 재료에 대해 불침투인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박판 형태로 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식품 포장 등의 특정 응용예에 있어서는 가스 침투성이 낮은 플라스틱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응용예에 있어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들이 비교적 저렴하고 쉽게 열 성형 가능하며, 대부분의 수성 및 유기 유체에 대해 불활성이기 때문이다.

Claims (54)

  1. 유체 저장소와, 저장소의 내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저장소의 내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제거 가능한 절첩식 라이너와, 라이너 내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무 노즐을 포함하고, 라이너는 분무기의 작동 중에 유체가 라이너 내로부터 배출될 때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라이너 내로부터 분무 노즐로 흐르는 유체를 여과하도록 위치된 제거 가능한 여과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 제2항에 있어서, 여과기는 저장소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소의 개구에 위치되고 라이너를 개구의 주연부에서 저장소에 고정시키는 제거 가능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저장소의 개구에 위치되고 라이너를 개구의 주연부에서 저장소에 고정시키는 제거 가능한 뚜껑을 포함하고, 여과기는 뚜껑과 함께 저장소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6. 제4항에 있어서, 라이너 내로부터 분무 노즐로의 유체용 유출구가 뚜껑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7. 제4항에 있어서, 라이너는 뚜껑과 함께 저장소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8. 저장소의 개구에 위치되는 제거 가능한 뚜껑을 갖는 유체 저장소와, 저장소의 내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저장소의 내에 억지 끼워 맞춤되는 제거 가능한 절첩식 라이너와, 라이너 내로부터 흡인된 유체를 뚜껑에 있는 유출구를 통해서 분배하기 위한 분무 노즐을 포함하고, 라이너는 분무기로부터 제거 가능하며, 유체가 개구를 통해서 저장소 내로 장전될 수 있도록 자립할 수 있으며, 폐기를 위해 절첩 가능한 중력 급송식 분무기.
  9. 제8항에 있어서, 폐쇄 가능한 환기구가 뚜껑으로부터 원격인 저장소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저장소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저장소 내로부터 분무 노즐로 흐르는 유체를 여과하도록 위치된 제거 가능한 여과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여과기는 저장소 내에 위치되고 뚜껑과 함께 저장소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3. 유체 저장소와, 저장소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분무 노즐을 포함하고, 저장소는 분무기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폐기를 위해 절첩 가능한 자립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용기는 저장소 내로부터의 유체용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거 가능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5. 제14항에 있어서, 뚜껑 역시 분무기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라이너 내로부터 분무 노즐로 흐르는 유체를 여과하도록 저장소에 위치된 제거 가능한 여과기를 더 포함하고, 여과기는 뚜껑과 함께 용기로부터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7. 제14항 또는 제15에 있어서, 뚜껑으로부터 원격인 용기의 단부에 폐쇄 가능한 환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8.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9. 분무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떠한 다른 리셉터클의 존재 없이 형성하도록 분무기에 부착되는 용기에 있어서, 이 용기는 밀봉된 용기이며 그 내부에 유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용기는 분무기에의 부착 시에 개방되어 분무기용의 유체 저장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1. 제20항에 있어서, 개방 시에 용기로부터 유체가 용기로부터 유동될 수 있게 해주는 환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는 외부 케이싱을 포함하며, 이 외부 케이싱 내에는 상기 유체를 수용하는 라이너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3. 분무기에 부착하기 위한 유체 저장소로서, 이 저장소는 저장소의 개구에 위치되고 저장소용의 유체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거 가능한 뚜껑과, 이 뚜껑으로부터 원격인 저장소의 단부에 위치된 폐쇄 가능한 환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유출구는 분무기에 부착되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저장소.
  2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무기의 저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한 라이너로서, 이 라이너는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열/진공 성형되고 저장소 내에 억지 끼워 맞춤되며, 또 이 라이너는 비교적 강성인 기부와, 절첩 가능하며 기부에 비해 얇은 측벽과, 분무기 저장소의 개구의 연부 상에 안착되도록 성형된 납작한 외향 연장 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25. 제24항에 있어서, 림부도 비교적 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26. 제24항에 있어서, 림부는 라이너의 측벽보다 사실상 더 뚜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27. 제24항에 있어서, 라이너는 측벽이 직립 연장된 채로 기부 상에서 자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너.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KR10-1999-7006639A 1997-01-24 1998-01-14 액체 분무용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1회용 용기 및 라이너 KR100497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701447.6A GB9701447D0 (en) 1997-01-24 1997-01-24 Container
GB9701447.6 1997-01-24
GB9712784.9 1997-06-18
GBGB9712784.9A GB9712784D0 (en) 1997-01-24 1997-06-18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PCT/US1998/000796 WO1998032539A1 (en) 1997-01-24 1998-01-14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and disposable containers and liners suitable for use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405A KR20000070405A (ko) 2000-11-25
KR100497450B1 true KR100497450B1 (ko) 2005-07-01

Family

ID=10806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639A KR100497450B1 (ko) 1997-01-24 1998-01-14 액체 분무용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1회용 용기 및 라이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6) EP1415719B1 (ko)
KR (1) KR100497450B1 (ko)
CA (1) CA2660187C (ko)
DE (1) DE69841278D1 (ko)
ES (5) ES2497497T3 (ko)
GB (2) GB9701447D0 (ko)
HK (1) HK10856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578A (ko) * 2017-05-27 2020-01-20 썬쩐 위즈덤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 분사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0824B1 (en) 1998-01-14 2004-1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disposable containers and liners suitable for use therewith
US7086549B2 (en) 2004-01-16 2006-08-08 Illinois Tool Works Inc. Fluid supply assembly
US7165732B2 (en) 2004-01-16 2007-01-23 Illinois Tool Works Inc. Adapter assembly for a fluid supply assembly
US7665672B2 (en) 2004-01-16 2010-02-23 Illinois Tool Works Inc. Antistatic paint cup
DE102004003438A1 (de) 2004-01-22 2005-08-18 Sata Farbspritztechnik Gmbh & Co.Kg Fließbecher für eine Farbspritzpistole
US20050258271A1 (en) * 2004-05-18 2005-11-24 Kosmyna Michael J Disposable paint cup
US7766250B2 (en) 2004-06-01 2010-08-03 Illinois Tool Works Inc. Antistatic paint cup
US7757972B2 (en) 2004-06-03 2010-07-20 Illinois Tool Works Inc. Conversion adapter for a fluid supply assembly
US7353964B2 (en) 2004-06-10 2008-04-08 Illinois Tool Works Inc. Fluid supply assembly
US7798711B2 (en) 2004-07-27 2010-09-21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CA2595507C (en) 2004-12-16 2014-08-12 Louis M. Gerson Co., Inc. Liquid supply cup and liner assembly for spray guns
US8075188B2 (en) 2006-02-24 2011-12-13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with improved flex crack resistance
US8182152B2 (en) 2006-03-28 2012-05-22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with improved tensile strength
US11040360B2 (en) 2006-06-20 2021-06-22 Saint-Gobain Abrasives, Inc. Liquid supply assembly
ES2400161T3 (es) 2006-06-20 2013-04-08 Saint-Gobain Abrasives, Inc. Conjunto de suministro de líquido
US9016555B2 (en) 2007-04-03 2015-04-28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and bag-in-box container systems
US8567660B2 (en) 2009-11-17 2013-10-29 Cdf Corporation Sustainable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liquid or viscous products
US9120608B2 (en) 2009-11-17 2015-09-01 Cdf Corporation Sustainable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liquid or viscous products
US10286414B2 (en) 2010-07-12 2019-05-14 Carlisle Fluid Technologies, Inc. Liquid supply container for a spray coating device
US11180280B2 (en) 2010-11-16 2021-11-23 Cdf Corporation Secondary packaging system for pre-packaged products
US20120279613A1 (en) 2011-05-06 2012-11-08 Saint-Gobain Abrasifs Paint Cup Assembly Support Structure
ES2739299T3 (es) 2011-06-30 2020-01-30 Saint Gobain Abrasives Inc Conjunto de envase de pintura
EP2797697B1 (en) 2011-12-30 2020-11-04 Saint-Gobain Abrasives, Inc. Convertible paint cup assembly with air inlet valve
KR101982798B1 (ko) * 2018-07-27 2019-05-28 케이티메드 주식회사 휴대용 고분자 용액 분무기
CN108745690A (zh) * 2018-08-25 2018-11-06 昆山左右顺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喷漆壶结构
CN109764768B (zh) * 2019-03-22 2024-01-23 中国工程物理研究院化工材料研究所 一种具有弹衬结构的爆炸弹
DE102021120306A1 (de) * 2021-08-04 2023-02-09 Sata Gmbh & Co. Kg Pistolenkörper einer Farbspritzpistole sowie Farbspritzpisto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2104A (en) * 1967-03-23 1969-03-11 Theodore L Kaltenbach Seal spray gun siphon cup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3269A (en) * 1929-03-02 1932-02-02 Leo W Capser Spraying apparatus
US3066872A (en) * 1960-03-03 1962-12-04 Frank R Kobee Viscous fluid applicator
FR1282085A (fr) 1960-12-07 1962-01-19 Pierre Bevengut Ets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appareils de pulvérisation
US3157902A (en) * 1963-01-04 1964-11-24 Thomas L Hardwick Disposable paint tray liner
US3211324A (en) 1963-10-10 1965-10-12 Raymond C Henery Liner for paint receptacle of paint spray gun
US3255972A (en) 1964-03-12 1966-06-14 Hultgren Disposable container
US3401842A (en) * 1966-11-28 1968-09-17 Betty L Morrison Combination paint cup and filler for spray guns
US3672645A (en) 1971-01-08 1972-06-27 Joseph L Terrels Container and stirrer for paint sprayer
DE2412743A1 (de) 1974-03-16 1975-09-25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m erzielen eines konstanten mischungsverhaeltnisses
US4151929A (en) 1976-07-09 1979-05-01 Sapien Sisto V Plastic liner with collar for a paint receptacle
JPS594922Y2 (ja) 1979-02-15 1984-02-14 実 世取山 塗料調合用使捨て内容器
US4321922A (en) 1980-01-21 1982-03-30 Deaton David W Medical receptacle with disposable liner assembly
US4516693A (en) * 1983-09-06 1985-05-14 Gaston Roy T Sanitary drinking water system
DE3346165A1 (de) * 1983-12-21 1985-07-11 Heinrich Ihmels + Sohn, 2905 Edewecht Spruehmitteleinsatz fuer spruehpistolen
DE3517122C1 (de) * 1985-05-11 1986-05-28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Korb- oder becherförmige Aufnahmevorrichtung für Farbbehälter an Farbspritzpistolen
CA1280109C (en) 1987-07-08 1991-02-12 Laszlo Murzsa Paint mixing container
FR2631254A1 (fr) * 1988-05-10 1989-11-17 Pham Kien Duong Aerographe perfectionne
DE8807118U1 (ko) * 1988-06-01 1988-08-11 Schneider, Helmhold, 5230 Altenkirchen, De
US5248089A (en) 1988-08-15 1993-09-28 Wagner Spray Tech Corporation Combination carrying case/paint container
US4951875A (en) 1988-09-19 1990-08-28 Devey Daniel A Diposable liner system for spray guns
US4998696A (en) * 1988-10-14 1991-03-12 Warren Desjardins Paint can caddy
NO166397C (no) * 1989-03-16 1991-07-17 Elkem As Anordning for tilsetning av finfordelt microsilica slurrytil et toerrsproeytebetongmunnstykkes vannroer.
US5143294A (en) 1991-04-08 1992-09-01 Lintvedt Arnold M Pliant container for storage of a liquid and liquid application therefrom
JPH06335643A (ja) 1993-05-28 1994-12-06 Horie Kinzoku Kogyo Kk スプレーガン用液体容器
US5400916A (en) * 1994-03-01 1995-03-28 Weber; Daniel C. Paint roller bucket
CA2143277C (en) 1994-04-19 2000-05-16 Michael J. Kosmyna Hand held paint spray gun with top mounted paint cup
GB2303087B (en) 1995-07-11 1999-09-29 Harri Probert Mostyn Spraying device with detachable atomiser
DE19618514A1 (de) * 1996-05-08 1997-11-13 Schreinerei U Moebelhandel Geo Meßbecher
US5727878A (en) 1996-10-17 1998-03-17 Cdf Corporation Liner for a mixing container and an assembly and method for mixing fluid components
DE29905100U1 (de) * 1999-03-20 1999-06-10 Ruda Martin Mischbecher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2104A (en) * 1967-03-23 1969-03-11 Theodore L Kaltenbach Seal spray gun siphon cu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578A (ko) * 2017-05-27 2020-01-20 썬쩐 위즈덤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 분사통
KR102209126B1 (ko) 2017-05-27 2021-01-27 썬쩐 위즈덤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 분사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712784D0 (en) 1997-08-20
EP1611960A1 (en) 2006-01-04
HK1085688A1 (en) 2006-09-01
EP1579922B1 (en) 2012-04-18
EP2105208A3 (en) 2011-11-02
EP1435265A2 (en) 2004-07-07
ES2491518T3 (es) 2014-09-08
EP1435265B1 (en) 2009-11-04
EP1415719B1 (en) 2006-11-29
EP1415719A1 (en) 2004-05-06
DE69841278D1 (de) 2009-12-17
ES2406109T3 (es) 2013-06-05
EP1435265A3 (en) 2004-11-03
EP2105208B1 (en) 2013-02-27
EP1435265B2 (en) 2013-03-06
EP2090373B1 (en) 2014-06-18
KR20000070405A (ko) 2000-11-25
ES2504218T3 (es) 2014-10-08
CA2660187C (en) 2013-07-09
EP2090373A3 (en) 2011-11-02
EP2105208A2 (en) 2009-09-30
GB9701447D0 (en) 1997-03-12
ES2497497T3 (es) 2014-09-23
EP1579922A1 (en) 2005-09-28
ES2386145T3 (es) 2012-08-10
CA2660187A1 (en) 1998-07-30
EP2090373B2 (en) 2020-03-18
EP2090373A2 (en) 2009-08-19
EP1611960B1 (en)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450B1 (ko) 액체 분무용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1회용 용기 및 라이너
JP4301577B2 (ja) 液体噴霧装置
US9211553B2 (en)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and adapters and liquid reservoirs suitable for use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