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786B1 - Token issuing device having hopper - Google Patents

Token issuing device having hop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786B1
KR100495786B1 KR10-2003-0059821A KR20030059821A KR100495786B1 KR 100495786 B1 KR100495786 B1 KR 100495786B1 KR 20030059821 A KR20030059821 A KR 20030059821A KR 100495786 B1 KR100495786 B1 KR 100495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passage
shutter
issuing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23525A (en
Inventor
박상일
오광택
고기원
이모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9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786B1/en
Publication of KR20050023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5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78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RF토큰 발행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토큰배출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호퍼와; 상기 각 호퍼의 토큰배출구에 연결 설치되며 그 내부에 RF토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 1셔터를 갖는 배출통로와; 상기 각 배출통로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제 2셔터가 구비된 중간통로와; 상기 중간통로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발행구측으로 연장된 발행통로와; 상기 발행통로와 더불어 중간통로의 하단부에 이어지는 회수통로와; 상기 발행통로와 회수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RF토큰을 발행통로나 회수통로로 유도하는 전환부와; 상기 중간통로 내부의 RF토큰에 해당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RF토큰내에 기입력된 정보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정보검출부와; 상기 각 셔터 및 전환부에 의해 RF토큰이 일단 정지되어 있음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각 셔터 및 전환부를 작동하여 해당 통로를 개방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 token issuer. It comprises two or more hoppers equipped with a token ejection device; A discharge passage having a first shutter connected to the token discharge ports of the respective hoppers and controlling a movement of the RF token therein; An intermediate passag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each discharge passage and provided with a second shutter; An issuing passage extending to the issuing side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assage; A recovery passage leading to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passage together with the issue passage;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opening the issuing passage and the collecting passage to guide the RF token to the issuing passage or the collecting passage;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into the RF token inside the intermediate passage; An information detection unit which check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of previously inputted information in the RF token; A detector for detecting that the RF token is once stopped by the shutter and the switching unit; And a controller that opens the corresponding passage by operating the shutter and the switching unit.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RF토큰발행기는, 호퍼를 두 개 이상 설치하여 호퍼내의 토큰배출장치의 부하가 적음은 물론 특히 한쪽 호퍼로부터 배출된 RF토큰이 발행되는 동안 다른 쪽 호퍼내의 RF토큰이 정보기록부의 직전에 미리 위치하고 있으므로 RF토큰의 발행시간에 토큰배출장치의 동작시간이 포함되지 않게 되어 발행이 신속하고 발행시간이 일정하여 신뢰성이 높다.The RF token issu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wo or more hoppers, so that the load of the token discharging device in the hopper is low, and in particular, the RF token in the other hopper is issued while the RF token discharged from one hopper is issued. Since it is located just before the information recording part, the operation time of the token dispensing device is not included in the issuance time of the RF token.

Description

호퍼방식 토큰 발행기{Token issuing device having hopper}Hopper type token issuer {Token issuing device having hopper}

본 발명은 호퍼방식 RF토큰 발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pper type RF token issuer.

버스나 전철 등의 대중 교통수단의 승차요금을 지불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다. 예컨대 해당 요금을 현금으로 지불하는 현금지불방식, 정해진 금액의 토큰(token)이나 승차권을 미리 구매하여 지불하는 승차권지불방식, 비접촉형 IC카드를 이용한 카드지불방식 등이 그것이다.There are many ways to pay the fare for public transport such as buses and trains. For example, a cash payment method for paying a corresponding fee in cash, a ticket payment method for purchasing a token or a ticket for a predetermined amount in advance, and a card payment method using a contactless IC card.

상기 여러 지불방식 중에서 카드 지불방식은 비접촉형 IC카드를 이용하여 승차요금을 지불하는 것으로서, 특히 대중교통수단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사람의 경우에 매우 편리하다.Among the various payment methods, the card payment method pays a fare using a non-contact type IC card, and is particularly convenient for those who regularly use public transportation.

한편, 상기 비접촉형 IC카드를 대신하는 동전형 비접촉식 IC카드(이하, RF토큰)의 사용이 차후의 요금 지불방식으로 예상되어 그에 관련한 다양한 주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RF토큰은 보통의 동전처럼 소정직경 및 두께를 갖는 디스크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에 반도체칩 및 상기 반도체칩에 접속되어 있는 안테나코일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use of a coin-type contactless IC c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RF token) in place of the contactless IC card is expected to be a future payment method, and various peripheral technologies related thereto have been developed. The RF token has a dis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ickness like a normal coin and has a semiconductor chip and an antenna coil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chip therein.

상기 RF토큰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IC카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다. 즉, 보통의 IC카드는 통상 신용카드에 합쳐져 있으므로 IC카드의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신용카드를 분실할 위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대중교통을 자주 사용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에는 어쩌다 한 두 번 사용하기 위해 신용카드를 신규 발급 받을 수는 없는 것이므로 IC카드 자체를 사용하기 곤란한 것이다.The RF token is develop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IC card which is currently used a lot. That is, ordinary IC cards are usually combined with credit cards, which can provide a risk of losing credit cards due to the frequent use of IC cards. Since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 new credit card, it is difficult to use the IC card itself.

상기 RF토큰은 거의 대부분 일회용이며 경우에 따라 2회용이나 3회용 및 그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된다. 여기서 일회용이나 2,3회용이란 의미는 대중교통을 사용하는 횟수를 뜻하며 RF토큰을 이른바 정액권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뜻한다. RF토큰을 일회용 또는 2,3회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장되어 있는 반도체칩내에 해당 횟수만큼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인코딩한다. 상기 금액이 모두 차감 소모되면 RF토큰을 회수하여 원하는 금액만큼 다시 인코딩하여 재판매한다.The RF token is almost always disposable and may be manufactured to be used twice or three times or more in some cases. Here, one-time use or two- or three-time use means the number of times the public transportation is used and means that the RF token can be used as a so-called fixed price. In order to use RF tokens for single use or for 2 or 3 times, the amount of money that can be used the number of times is encoded in the embedded semiconductor chip. When the amount is deducted, RF tokens are collected, re-encoded by the desired amount, and resold.

상기 RF토큰의 사용방법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철 정액권의 사용방법과 거의 동일한 메카니즘으로 구현될 것이다. 즉, 차량에 승차하기 위해 개찰게이트를 통과할 때 개찰게이트의 투입구에 RF토큰을 투입하면 투입된 RF토큰은 게이트 내부의 소정경로를 통과하며 그동안 반도체칩에 인코딩되어 있는 내용이 읽혀진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The method of using the RF token will be implemented with almost the same mechanism as that of the currently used method of train securities. In other words, when passing through the ticket gate to get on the vehicle, the RF token is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ticket gate and the RF token passes through the predetermined path inside the gate, and the contents encoded in the semiconductor chip are read out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do.

통행자는 상기와 같이 배출된 RF토큰을 회수한 후 내리는 목적지 역의 개찰게이트를 통과하기위해 개찰게이트에 마련되어 있는 투입구에 RF토큰을 다시 투입한다. 이 때 RF토큰은 내부의 반도체칩에 입력되어 있는 금액 중 방금 사용된 금액이 차감된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차감된 후 금액이 남아 있지 않을 경우 RF토큰은 배출되지 않고 내부의 수거함에 모인다.After collecting the RF tokens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the passer re-injects the RF tokens into the entrances provided at the ticket gates to pass through the ticket gates of the destination station. At this time, the RF token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fter deducting the amount just used from the amount input to the internal semiconductor chip. If there is no remaining amount after the deduction, RF tokens are not discharged and are collected in the internal collection box.

한편, 공지의 승차권 자동발매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RF토큰을 판매하기 위한 RF토큰발행기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RF토큰 발행기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호퍼와, 구매자가 외부에서 버튼을 누름에 따라 RF토큰이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어 소정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RF토큰 내부에 구매자가 원하는 금액을 입력하는 정보입력부와, 입력된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검출부를 공통적으로 갖는다.On the other hand, RF token issuing machines for selling the RF tokens have also been developed as well as known ticket vending machines. There are many kinds of such RF token issuers, and a hopper,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a desired amount of money inside the RF token while the RF token is discharged from the hopper and mov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as the buyer pushes a button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detection unit commonly checks the input information.

상기 호퍼는 발행할 RF토큰을 수용하며 그 내부에 토큰배출장치를 갖는다. 상기 토큰배출장치는 토큰을 보다 신속히 선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RF토큰을 뒤섞는 로터리와 상기 로터리의 하부에 위치하며 로터리가 회전하는 동안 선별된 RF토큰을 통과시키는 구멍을 갖는 플레이트를 갖는다.The hopper accepts an RF token to be issued and has a token dispensing device therein. The token dispensing apparatus is for discharging tokens more quickly. The token discharging device has a rotary plate intermixing RF tokens and a plate having a hole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ry and passing through the selected RF tokens while the rotary rotates.

상기 로터리에 의한 RF토큰의 선별메카니즘에 관해서는 이미 잘 알려진 것이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election mechanism of the RF token by the rotary is already well known,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아무튼 상기 호퍼로부터 하부로 빠져나온 호퍼는 소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정보입력부와 정보검출부를 통과한 후 구매자에게 전달된다.In any case, the hopper exiting from the bottom of the hopper moves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passes to the purchaser after passing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and the information detection unit.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RF토큰발행기는 호퍼를 하나만 사용하므로 토큰을 발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느리고 특히 발행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토큰배출장치를 통해 선별 배출되는 RF토큰이 로터리 하부의 구멍을 한번에 통과할 수 도 있지만 한 번이 아니라 로터리가 여러번 회전한 후에 통과할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RF token issu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time required for issuing the token is slow because the hopper is used only one, and in particular, the issuing time is not constant. This is because the RF token that is sel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token discharging device may pass through the hole at the bottom of the rotary at once, but also passes after the rotary rotates several times instead of once.

RF토큰에 대한 정보의 입력 및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은 매우 짧으므로 결국 RF토큰의 발행시간은 RF토큰이 호퍼로부터 하부로 내려오는 시간에 좌우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같이 RF토큰이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발행기의 보다 신속한 발행성능을 위해서는 상기 토큰배출장치의 동작을 돕는 또 다른 장치 예컨대 토큰 정렬기나 토큰 카세트 등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별도의 장치들은 호퍼의 내부환경을 매우 복잡하게 하고 유지보수를 어렵게 하며 잦은 고장을 발생한다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Since the time required for input and detection of information on the RF token is very short, the issuing time of the RF token is ultimately dependent on the time when the RF token comes down from the hopper.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F token may be discharged from the hopper for a long time, another device for assisting the operation of the token dispensing device, such as a token sorter or a token cassette, may be required for faster issuance of the issuing machine. These separate devices create another problem that greatly complicates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hopper, makes maintenance difficult and causes frequent failure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호퍼를 두 개 이상 설치하여 호퍼내의 토큰배출장치의 부하가 적음은 물론 특히 한쪽 호퍼로부터 배출된 RF토큰이 발행되는 동안 다른 쪽 호퍼내의 RF토큰이 정보기록부의 직전에 미리 위치하고 있으므로 RF토큰의 발행시간에 토큰배출장치의 동작시간이 포함되지 않게 되어 발행이 신속하고 발행시간이 일정하여 신뢰성이 높은 RF토큰 발행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stallation of two or more hoppers, the load of the token dispensing device in the hopper is less load, in particular the RF token in the other hopper while the RF token is discharged from one hopper is issued Since it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corder in advance, the operation time of the token dispensing device is not included in the issuance time of the RF token,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ighly reliable RF token issuer with quick issuance and constant issuance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투입된 다수의 RF토큰을 수용하며 각각의 내부에는 RF토큰을 선별하여 토큰배출구를 통해 하부로 내려보내는 토큰배출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호퍼와; 상기 각 호퍼의 토큰배출구에 연결 설치되며 하부로 연장되고 선별 배출된 RF토큰을 소정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으로 그 내부에 RF토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 1셔터를 갖는 배출통로와; 상기 각 배출통로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며 하부로 연장되고 임의 배출통로의 제 1셔터가 개방됨에 따라 이동되어온 RF토큰을 통과시키며 그 내부에는 RF토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 2셔터가 구비된 중간통로와; 상기 중간통로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중간통로를 통과한 RF토큰을 발행구로 이동시킬 수 있게 발행구측으로 연장된 발행통로와; 상기 발행통로와 더불어 중간통로의 하단부에 이어지며 중간통로를 통과한 RF토큰을 회수함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회수함측으로 연장된 회수통로와; 상기 중간통로를 통과한 RF토큰을 일단 정지시킨 상태로 상기 발행통로와 회수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RF토큰을 발행통로나 회수통로로 유도하는 전환부와; 상기 중간통로의 내부에서 제 2셔터에 의해 일단 정지되어 있는 상태의 RF토큰에 해당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전환부에 의해 일단 정지되어 있는 상태의 RF토큰내에 기입력된 정보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정보검출부와; 상기 각 셔터 및 전환부에 의해 RF토큰이 일단 정지되어 있음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각 셔터 및 전환부를 작동하여 해당 통로를 개방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or more hoppers that accommodate a plurality of RF tokens input from the outside and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a token discharge device for selecting the RF tokens and sending them down through the token outlets; A discharge passage having a first shutter connected to the token discharge ports of the respective hoppers and sliding downwardly extending and selectively discharging the RF token along a predetermined path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F token therein;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each discharge passage is extended to the lower and passes through the RF token that has been moved as the first shutter of any discharge passage is opened, therein the intermediate passage is provided with a second shutt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RF token Wow; An issuing passage extending to the issuing 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passage to move the RF token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passage to the issuing port; A recovery passage extending alo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assage along with the issuing passage and extended to the collecting vessel to move the RF token through the intermediate passage to the collecting vessel; 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the issuing passage and the collecting passage while stopping the RF token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passage to guide the RF token to the issuing passage or the collecting passage;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into the RF token once stopped by the second shutter in the intermediate passage; An information detection unit that checks for abnormality of previously inputted information in the RF token once stopped by the switching unit; A detector for detecting that the RF token is once stopped by the shutter and the switch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for opening the corresponding passage by operating the shutter and the switching unit.

또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중간통로와 발행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중간통로와 발행통로를 차단하는 제 3셔터와, 상기 중간통로와 회수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중간통로와 회수통로를 차단하는 제 4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version unit; And a third shutter positioned between the intermediate passage and the issuing passage and blocking the intermediate passage and the issuing passage, and a fourth shutter positioned between the intermediate passage and the collecting passage and blocking the intermediate passage and the collecting passage. do.

아울러, 상기 감지부는 RF토큰이 제 1셔터나 제 2셔터 또는 제 3셔터나 제 4셔터에 의해 걸려있는 사실을 센싱하여 상기 콘트롤러에 전달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to sense the fact that the RF token is caught by the first or second shutter or the third or fourth shutter and transmits to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각 셔터는 각 통로에서의 RF토큰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바닥면으로부터 RF토큰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RF토큰의 슬라이딩 이동을 차단하는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shutter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utter to block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F token by projec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F toke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F token sliding sliding in each passa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호퍼를 두 개 이상 설치함으로서 호퍼에 집중되는 토큰발행기의 부하를 분산함은 물론 한쪽 호퍼의 RF토큰이 발행되는 동안 다른 쪽 호퍼의 RF토큰을 발행 준비시켜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전체적인 발행속도를 증기시킬 수 있다는 견해에 기초하고 있다.Bas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the load of the token issuer focused on the hopper by installing two or more hoppers, and prepares to issue an RF token of the other hopper while the RF token of one hopper is issued, thus adding a separate device. It is based on the view that it can steam the overall speed even if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방식 토큰 발행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chanism of the hopper token issu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RF토큰발행기는, 내부에 다수의 RF토큰을 수용하는 두 개의 호퍼(11,13)와, 상기 각 호퍼(11,13)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호퍼(11,13)로부터 하부로 배출된 RF토큰(R)을 소정경로로 유도하여 구매자에게 인도하거나 또는 회수통(미도시)으로 회수하는 슬라이드(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F token issu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wo hoppers 11 and 13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RF tokens therein, and ar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hoppers 11 and 13 and have a hopper ( 11 and 13 are configured to include a slide (55) for guiding the RF token (R) discharged from the lower portion to a predetermined path to guide the buyer or to the recovery container (not shown).

상기 슬라이드(55)는 RF토큰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경사판으로서 각 호퍼(11,13)의 토큰배출구(14)에 연결 설치되며 그 하단부가 한군데로 모인 배출통로(15,17)와, 상기 배출통로(15,17)의 하단부에 이어지는 중간통로(49)와, 상기 중간통로(49)의 하단부에 이어지며 RF토큰을 구매자에게 공급하는 발행통로(19)와, 상기 발행통로(19)와 더불어 중간통로(49)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회수통로(21)로 이루어진다.The slide 55 is an inclined plate that slides the RF token and is connected to the token outlets 14 of the respective hoppers 11 and 13, and the discharge passages 15 and 17 of which the lower ends are gathered together, and the discharge passage ( An intermediate passage 49 leading to the lower end of the 15 and 17, an issuing passage 19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passage 49 and supplies the RF token to the buyer, and an intermediate passage together with the issuing passage 19 The recovery passage 2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49.

아울러 상기 각 통로에는 다수의 셔터(23,25,27,29) 및 센서(33,35,37,39)가 설치되며, 슬라이드(55)의 측부에는 슬라이ELD 이동하는 RF토큰에 해당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41)와, 정보검출부(43)와, 상기 정보입력부(41)와 정보검출부(43) 및 상기 셔터(23,25,27,29)를 제어하는 콘트롤러(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hutters (23, 25, 27, 29) and sensors (33, 35, 37, 39) are installed in each passage,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inputted to the RF token moving in the slide ELD on the side of the slide (55). And an information input unit 41, an information detector 43, a controller 45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input unit 41, the information detector 43, and the shutters 23, 25, 27, and 29. do.

상기 각 호퍼(11,13)는 공지의 것으로 그 내부에 토큰배출장치(12)를 가지며 상기 토큰배출장치(12)의 하부에는 토큰배출구(1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토큰배출장치(12)는 호퍼(11,13) 내부에 투입된 RF토큰을 선별하여 토큰배출구(14)를 통해 배출하는 공지의 배출장치이다.Each of the hoppers 11 and 13 is known and has a token discharging device 12 therein, and a token discharging port 14 is provided below the token discharging device 12. The token discharging device 12 is a known discharging device that selects the RF tokens put into the hoppers 11 and 13 and discharges them through the token discharging port 14.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11,13)를 두 개 설치하였지만 호퍼의 개수는 두 개 이상이면 무방하며 공간이 허락될 경우 예비호퍼를 포함하여 세 네 개 정도를 적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hoppers 11 and 13 are installed, but the number of hoppers may be two or more, and three or four may be applied, including a spare hopper, when space is allowed.

상기 슬라이드(55)는 RF토큰(R)이 각 통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RF토큰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하향 경사져있다. 그러나 상기 RF토큰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면 슬라이드(55)를 수직으로 세울 수 도 있다.The slide 55 is inclined downward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F token so that the RF token R can slide along each passage. However, if the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F token can be secured, the slide 55 can be erected vertically.

여하튼 상기 배출통로(15,17)의 내부에는 제 1셔터(23,25)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셔터(23,25)의 측부에는 제 1센서(33,3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셔터(23,25)는 상시 닫힘 셔터로서 후술할 콘트롤러(45)의 신호가 없을 경우 항상 닫혀 위에서 내려온 RF토큰의 이동을 일시 정지시킨다. In any case, the first shutters 23 and 25 are provided in the discharge passages 15 and 17, respectively, and the first sensors 33 and 35 are provided on the sides of the shutters 23 and 25, respectively. The first shutters 23 and 25 are normally closed shutters, and are always closed when there is no signal from the controller 45 to be described later to temporarily stop the movement of the RF token that is brought down from above.

상기 제 1셔터(23,25)의 동작메카니즘은 실시예에 따라서 다르게 구현할 수 있으며 예컨대 배출통로(15,17)의 바닥면(51)으로부터 제 1셔터를 돌출시켜 RF토큰의 이동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트롤러(45)로부터 개방신호가 전달되면 제 1셔터(23,25)는 바닥면(51)의 내부로 삽입되어 RF토큰이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게 비켜준다. 이러한 제 1셔터(23,25)의 동작특성은 후술할 제 2,3,4셔터(27,29,31)에서도 동일하다.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first shutters 23 and 25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or example, the first shutter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51 of the discharge passages 15 and 17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F token. Can be. In this case, when the ope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45, the first shutters 23 and 25 ar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51 so that the RF token can slide down.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hutters 23 and 25 are the same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shutters 27, 29 and 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아울러 상기 제 1센서(33,35)는 제 1셔터(23,25)에 RF토큰이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 사실을 콘트롤러(45)에 전달하는 센서이다. 즉 제 1셔터(23,25)에 RF토큰이 대기하고 있다면 그 사실을 콘트롤러(45)에 전달하여 콘트롤러로 하여금 추후 필요시 해당 셔터를 개방하도록 하거나, RF토큰이 없다면 토큰배출장치(12)를 동작시켜 하나의 RF토큰을 미리 배출시켜 놓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sensors 33 and 35 are sensors for detecting whether the RF token is located in the first shutters 23 and 25 and transmitting the facts to the controller 45. That is, if RF tokens are waiting in the first shutters 23 and 25, the facts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45 so that the controller can open the shutter later if necessary, or if there is no RF token, the token ejector 12 It is operated to discharge one RF token in advance.

후술할 제 2센서(37) 및 제 3센서(39)도 RF토큰이 해당 셔터(27,29,31)에 걸려있는지 여부를 콘트롤러(45)에 알려주어 콘트롤러(45)가 적절한 제어동작을 할 수 있게 한다.The second sensor 37 and the third sensor 39 to be described later also inform the controller 45 whether the RF token is hanging on the corresponding shutters 27, 29, and 31 so that the controller 45 can perform an appropriate control operation. To be able.

상기 배출통로(15,17)의 하단부는 한군데로 모이며 중간통로(49)와 연결된다. 상기 배출통로(15,17)와 중간통로(49)의 바닥면(51)이 동일한 평면을 가짐은 물론이다.Lower ends of the discharge passage (15, 17) are gathered in one place and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passage (49). Of course, the discharge passage (15, 17) and the bottom surface 51 of the intermediate passage 49 has the same plane.

상기 중간통로(49)는 상기 배출통로(15,17)를 통해 이동되어온 RF토큰(R)을 통과시키며 그동안 RF토큰(R)에 해당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해당정보라 함은 구매자가 누른 목적지 버튼에 대응하는 요금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간통로(49)에는 제 2셔터(27)와 제 2센서(3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 2셔터(27)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RF토큰(R)에 상기 해당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해 RF토큰(R)을 일시 정시시키는 것이다.The intermediate passage 49 passes the RF token R which has been mov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s 15 and 17 and inpu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to the RF token R during that tim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eans a fe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button pressed by the buyer. To this end, the intermediate passage 49 is provided with a second shutter 27 and a second sensor 37. The second shutter 27 temporarily pauses the RF token R in order to inpu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to the RF token R sliding downward.

상기 중간통로(49)의 하부에는 발행통로(19) 및 회수통로(21)가 연결된다. 상기 발행통로(19)는 RF토큰(R)을 발행장치의 외부로 내보내는 통로이며 회수통로(21)는 RF토큰을 회수함으로 보내는 통로이다. The issuing passage 19 and the recovery passage 21 ar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assage 49. The issuing passage 19 is a passage for sending out the RF token R to the outside of the issuing apparatus, and the collecting passage 21 is a passage for sending the RF token with recovery.

아울러 상기 발행통로(19)는 중간통로(49)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회수통로(21)는 중간통로(49)로부터 분기된 형태를 취한다.In addition, the issuing passage 19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termediate passage 49 and the recovery passage 21 takes the form of branching from the intermediate passage 49.

상기 중간통로(49)와 발행통로(19)의 사이에는 제 3셔터(29)가 위치하고 중간통로(49)와 회수통로(21)의 사이에는 제 4셔터(31)가 설치된다. 상기 제 3셔터(29) 및 제 4셔터(31)는 바닥면(5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상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한 RF토큰을 일단 정지시켜 정보검출부(43)가 RF토큰에 입력되어 있는 정보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게 한다.A third shutter 29 is dis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passage 49 and the issuing passage 19, and a fourth shutter 31 is dis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passage 49 and the recovery passage 21. The third shutter 29 and the fourth shutter 31 stop the RF token slidingly moved from the top while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51, so that the information detector 43 is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inputted to the RF token. Check for abnormalities.

상기 정보검출부(43)는 정보를 읽은 결과 정보입력부(41)가 올바로 동작하여 정확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그 사실을 콘트롤러(45)에 보내어 제 3셔터(29)가 개방되도록 하고 정보입력에 에러가 있을 경우에는 콘트롤러(45)로 하여금 제 4셔터(31)가 개방되도록 한다.When the information input unit 41 operates correctly as a result of reading the information and the correct information is input, the information detection unit 43 sends the fact to the controller 45 so that the third shutter 29 is opened and an error is input in the information input unit 41. If so, the controller 45 causes the fourth shutter 31 to be opened.

결국 상기 제 3셔터(29) 및 제 4셔터(31)는 각자의 통로를 차단한 상태로 대기하다가 콘트롤러(45)의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RF토큰이 발행되거나 회수되도록 한다.As a result, the third and fourth shutters 29 and 31 wait with their respective passages blocked, and are selectively opened by signals of the controller 45 so that RF tokens are issued or recovered.

도면부호 47은 셔터작동부이다. 상기 셔터작동부(47)는 상기한 제 1,2,3,4셔터의 개폐를 담당하는 것으로 셔터의 구동메카니즘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다. 예컨대 셔터 동작기구로 솔레노이드를 적용할 경우에는 전기공급장치가 될 것이고 승강이나 회동 도어일 경우에는 모터나 공압실린더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셔터의 종류 및 그를 위한 동작메카니즘은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ence numeral 47 denotes a shutter operation part. The shutter operation unit 47 is responsib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hutter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shutter. For example, if the solenoid is applied as a shutter operating mechanism, the electric supply device will be used, and in the case of a lifting or rotating door, a motor or a pneumatic cylinder may be applied. The type of the shutter and the operation mechanism therefor may be modified in any 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상기 정보입력부(41) 및 정보검출부(43) 자체는 공지의 것으로 RF토큰(R)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반도체칩에 해당정보를 무선 입력 및 검출하는 것이다.The information input unit 41 and the information detection unit 43 are known and wirelessly input and detec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a semiconductor chip installed inside the RF token R.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RF토큰발행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Operation of the RF token issu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as follows.

먼저 콘트롤러(45)는 각 호퍼(11,13)내의 토큰배출장치(12)를 동작시켜 해당 배출통로(15,17)의 내부로 RF토큰(R)을 배출하도록 한다. 배출통로(15,17)로 배출된 RF토큰(R)은 배출통로(15,17)를 미끄러져 하향 이동하며 제 1셔터(23,25)에 도달하여 일단 멈춘 상태로 대기한다. RF토큰(R)이 대기하고 있음은 제 1센서(33,35)를 통해 콘트롤러(45)로 보고된다. 만약 RF토큰(R)이 대기하고 있지 않다면 콘트롤러(45)는 해당 호퍼의 토큰배출장치를 동작시켜 RF토큰을 배출시킨다.First, the controller 45 operates the token discharging device 12 in each hopper 11 and 13 to discharge the RF token R into the corresponding discharge passages 15 and 17. The RF token 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s 15 and 17 moves downward by sliding the discharge passages 15 and 17 and reaches the first shutters 23 and 25 to stand by in a stopped state. The RF token R is waiting is reported to the controller 45 through the first sensors 33 and 35. If the RF token R is not waiting, the controller 45 operates the token discharging device of the hopper to discharge the RF token.

여하튼 상기 대기 상태에서 RF토큰 구매자가 토큰 구매버튼을 누르면 콘트롤러(35)는 한쪽 제 1셔터를 개방하여 한 개의 RF토큰이 중간통로(49)로 흘러들게 한다. 중간통로(49)로 이동한 RF토큰(R)은 제 2셔터(27)에 의해 가로막혀 다시 멈추고 이와 동시에 제 2센서(37)는 RF토큰(R)의 도착사실을 콘트롤러(45)에 알린다.In any case, when the RF token purchaser presses the token purchase button in the standby state, the controller 35 opens one first shutter so that one RF token flows into the intermediate passage 49. The RF token R moved to the intermediate passage 49 is blocked by the second shutter 27 and stopped again. At the same time, the second sensor 37 informs the controller 45 of the arrival of the RF token R. .

상기와 같이 RF토큰이 제 2셔터(27) 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개방되었던 제 1셔터는 즉시 원위치되고 콘트롤러(45)는 RF토큰이 빠져나간 통로의 호퍼에 신호를 보내어 다시 새로운 RF토큰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hutter that was opened while the RF token was moved to the second shutter 27 side immediately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controller 45 sends a signal to the hopper of the passage where the RF token has exited, so that a new RF token is discharged again to the bottom. Be sure to

한편 콘트롤러(45)는 RF토큰(R)이 제 2셔터(27)에 도달한 사실을 보고 받은 직후 정보입력부(41)로 하여금 RF토큰(R)에 해당 요금을 무선 입력하게 한다. 상기 무선입력방식도 종래의 방식을 따른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45 causes the information input unit 41 to wirelessly input the corresponding charge to the RF token R immediately after receiving the fact that the RF token R reaches the second shutter 27. The wireless input method also follows a conventional method.

상기 정보입력부(41)의 동작이 완료되면 콘트롤러(45)는 제 2셔터(27)를 개방한다. 상기 제 2셔터(27)가 개방되면 RF토큰(R)은 하향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3셔터(29) 및 제 4셔터(31)에 도달하여 일단 멈춘다. RF토큰(R)이 제 3,4셔터(29,31)에 도달함을 제 3센서(39)가 콘트롤러(45)에 알려주면 콘트롤러(45)는 정보검출부(43)가 RF토큰에 입력되어 있는 요금정보를 무선 검출하게 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input unit 41 is completed, the controller 45 opens the second shutter 27. When the second shutter 27 is opened, the RF token R moves downward to reach the third and fourth shutters 29 and 31 to stop. When the third sensor 39 notifies the controller 45 that the RF token R reaches the third and fourth shutters 29 and 31, the controller 45 inputs the information detector 43 to the RF token. Wireless charge information is detected.

콘트롤러(45)는 정보검출부(43)를 통해 RF토큰이 이상 유무를 판단한 후 정보입력이 잘못되었다거나 또는 RF토큰에 기타 이상이 있는 경우 제 3셔터(29)는 놔두고 제 4셔터(31)를 개방하여 해당 RF토큰을 회수한다. 물론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제 3셔터(29)를 개방하여 요금이 입력된 RF토큰이 발행통로를 통해 구매자에게 인도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45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F token is abnormal through the information detector 43, and if the information input is wrong or there is other abnormality in the RF token, the third shutter 29 is left and the fourth shutter 31 is left. Open to retrieve the corresponding RF token. Of course, if there is no abnormality, the third shutter 29 is opened so that the RF token in which the fee is input is delivered to the buyer through the issuing passage.

하나의 RF토큰이 발행 된 후 그 뒷사람이 이어서 발행버튼을 누르더라도 RF 토큰(R)은 미리 제 1셔터에 도착하여 대기하고 있으므로 토큰배출장치(12)의 동작을 기다릴 필요 없이 RF토큰은 제 1셔터(23,25)로부터 출발하여 구매자에게 즉시 인도된다.After one RF token is issued, even if the person behind it presses the issue button subsequently, the RF token R arrives in the first shutter and waits in advance, so that the RF token is generated without waiting for the operation of the token ejector 12. Departure from the shutters 23 and 25 is immediately delivered to the buyer.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through the specific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possible for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RF토큰발행기는, 호퍼를 두 개 이상 설치하여 호퍼내의 토큰배출장치의 부하가 적음은 물론 특히 한쪽 호퍼로부터 배출된 RF토큰이 발행되는 동안 다른 쪽 호퍼내의 RF토큰이 정보기록부의 직전에 미리 위치하고 있으므로 RF토큰의 발행시간에 토큰배출장치의 동작시간이 포함되지 않게 되어 발행이 신속하고 발행시간이 일정하여 신뢰성이 높다.The RF token issu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wo or more hoppers, so that the load of the token discharging device in the hopper is low, and in particular, the RF token in the other hopper is issued while the RF token discharged from one hopper is issued. Since it is located just before the information recording part, the operation time of the token dispensing device is not included in the issuance time of the RF tok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방식 토큰 발행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chanism of the hopper token issu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3:호퍼 12:토큰배출장치11, 13: Hopper 12: Token ejection device

15,17:배출통로 14:토큰배출구15, 17: discharge passage 14: token discharge

19:발행통로 21:회수통로19: Issuance passage 21: Collection passage

23,25:제 1셔터 27:제 2셔터23,25: first shutter 27: second shutter

29:제 3셔터 31:제 4셔터29: third shutter 31: fourth shutter

33,35:제 1센서 37:제 2센서33,35: First sensor 37: Second sensor

39:제 3센서 41:정보입력부39: third sensor 41: information input unit

43:정보검출부 45:콘트롤러43: information detector 45: controller

47:셔터작동부 49:중간통로47: shutter operation part 49: intermediate passage

51:바닥면51: bottom

R:RF토큰R: RF Token

Claims (4)

외부로부터 투입된 다수의 RF토큰을 수용하며 그 내부에 RF토큰을 선별하여 토큰배출구를 통해 하부로 내려보내는 토큰배출장치를 갖는 두 개 이상의 호퍼와;Two or more hoppers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RF tokens input from the outside and having a token discharging device which selects the RF tokens therein and sends them down through the token discharge port; 상기 각 호퍼의 토큰배출구에 연결 설치되며 토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RF토큰이 소정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 RF토큰의 이동 경로상에 RF토큰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 1셔터를 구비한 배출통로와;It is connected to the token outlet of each hopper and the discharge passage provided with a first shutter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RF token on the movement path of the RF token by allowing the RF token discharged through the token outlet to slide along a predetermined path. Wow; 상기 각 배출통로의 하단부에 이어지며 임의 배출통로의 제 1셔터가 개방됨에 의해 이동되어온 RF토큰을 받아들여 통과시키며 RF토큰의 이동경로상에는 RF토큰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는 제 2셔터가 구비된 하나의 중간통로와;A second shutter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each discharge passage and receives and passes the RF token moved by opening the first shutter of the arbitrary discharge passage and control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F token on the movement path of the RF token. With an intermediate passage of; 상기 중간통로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중간통로를 통과한 RF토큰을 받아들여 발행구로 이동시킬 수 있게 발행구측으로 연장된 발행통로와;An issuing passage extending to the issuing 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passage so as to receive the RF token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passage and move to the issuing port; 상기 발행통로와 더불어 중간통로의 하단부에 이어지며 중간통로를 통과한 RF토큰을 받아들여 회수함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회수함측으로 연장된 회수통로와;A recovery passage extending along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passage along with the issuing passage and extended to the collecting vessel so that the RF token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passage can be received and moved to the collecting vessel; 상기 중간통로를 통과한 RF토큰을 일단 정지시킨 상태로 상기 발행통로와 회수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RF토큰을 발행통로나 회수통로로 유도하는 전환부와;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the issuing passage and the collecting passage while stopping the RF token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passage to guide the RF token to the issuing passage or the collecting passage; 상기 중간통로를 통과하는 RF토큰에 해당 요금정보를 입력하는 정보입력부와;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corresponding fee information into the RF token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passage; 상기 전환부에 의해 일단 정지되어 있는 상태의 RF토큰내에 기입력된 요금정보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정보검출부와;An information detection unit which check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ee information previously entered in the RF token once stopped by the switching unit; 상기 각 셔터 및 전환부에 의해 RF토큰이 일단 정지되어 있음을 감지하는 감지부와;A detector for detecting that the RF token is once stopped by the shutter and the switching unit; 상기 각 셔터 및 전환부를 동작시켜 RF토큰의 이동경로를 개방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토큰 발행기.And a controller for operating each of the shutters and the switching unit to open a movement path of the RF toke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환부는;The switch unit; 상기 중간통로와 발행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중간통로와 발행통로를 차단하는 제 3셔터와, 상기 중간통로와 회수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중간통로와 회수통로를 차단하는 제 4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토큰 발행기.And a third shutter positioned between the intermediate passage and the issuing passage and blocking the intermediate passage and the issuing passage, and a fourth shutter positioned between the intermediate passage and the collecting passage and blocking the intermediate passage and the collecting passage. RF Token Machin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감지부는 RF토큰이 제 1셔터나 제 2셔터 또는 제 3셔터나 제 4셔터에 의해 일단 정지되어 있는 사실을 센싱하여 상기 콘트롤러에 전달하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토큰 발행기.And the sensing unit is a sensor that senses the fact that the RF token is once stopped by the first or second shutter, or the third or fourth shutt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각 셔터는 해당 통로의 RF토큰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됨으로써 RF토큰의 슬라이딩 이동을 차단하는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토큰 발행기.And each shutter is a shutter that block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F token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RF token of the passage slides.
KR10-2003-0059821A 2003-08-28 2003-08-28 Token issuing device having hopper KR100495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821A KR100495786B1 (en) 2003-08-28 2003-08-28 Token issuing device having hop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821A KR100495786B1 (en) 2003-08-28 2003-08-28 Token issuing device having hop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525A KR20050023525A (en) 2005-03-10
KR100495786B1 true KR100495786B1 (en) 2005-06-16

Family

ID=3723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821A KR100495786B1 (en) 2003-08-28 2003-08-28 Token issuing device having hop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7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479B1 (en) * 2008-01-03 2010-05-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RF token issu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525A (en)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1665B1 (en) Money item dispensing apparatus
US3973237A (en) Article depositing machine
JP3710137B2 (en) Banknote reader
EP0854461B1 (en) Self service terminal (SST) with maintenance feature
US5662201A (en) Banknote reader
KR100364030B1 (en) Contactless payment method and device, using a re-usable card
KR100495786B1 (en) Token issuing device having hopper
JP3497139B2 (en) IC chip read / write device
KR100396199B1 (en) A Ticket Vending Machine
KR100549419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F token
KR100646066B1 (en) Apparatus for issuing tickets,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examination of tickets
KR19990063178A (en) Toll collection system
JP4266127B2 (en) IC card processing device
KR101219762B1 (en) Radio frequency ticket automatic sa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aling radio frequency ticket using this
JPH0325234Y2 (en)
JPH0713069U (en) Toll collection device
KR200189774Y1 (en) RF card dispensing device of disposable RF card dispenser
KR100371412B1 (en) Automatic fare collection system for the subway using contactless type prepaid card and contactless type single ride token
KR100295890B1 (en) Parking fee account system
JP3945124B2 (en) Vending machine coin handling equipment
JP2004215762A (en) Game device
RU6641U1 (en) DEVICE FOR OPERATING BANKNOTES FOR TRADE AND SIMILAR AUTOMATIC MACHINES
JPH0585941B2 (en)
KR19990066004A (en) Disposable RF Card Vending Machine
KR200293542Y1 (en) Examination system of tickets for sub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