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5525B1 - Separator for rotating symmetrical container - Google Patents

Separator for rotating symmetrical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525B1
KR100495525B1 KR1019970704594A KR19970704594A KR100495525B1 KR 100495525 B1 KR100495525 B1 KR 100495525B1 KR 1019970704594 A KR1019970704594 A KR 1019970704594A KR 19970704594 A KR19970704594 A KR 19970704594A KR 100495525 B1 KR100495525 B1 KR 100495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conveying
tracks
conveying device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베른하르드 호이프트
한스-울리히 골레르
Original Assignee
호이프트 시스템테크니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이프트 시스템테크니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이프트 시스템테크니크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1997070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5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525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물 캐리어(35)를 운반하기 위한 이송 장치로서 주이송 장치 트랙(20, 21, 22, 23)과, 이 이송 장치 트랙에 대해서 평행하게 설치된 부이송 장치 트랙(26, 27)과, 양 이송 장치 트랙(20∼23, 26, 27) 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을 구비하고, 이들 이송 장치 트랙이 교차 영역에서 전달 스테이션(38, 39, 44, 51)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이송 장치 트랙들(20∼23, 26, 27, 29, 32)이 내측 이송 트랙(37, 42, 47, 57)과 외측 이송 트랙(36, 42, 48, 58)을 갖는 더블 벨트 이송 장치로서 형성되고,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의 내측 이송 트랙(37, 47)은 전달 스테이션(38, 39, 44, 51)의 폭만큼 짧게 형성되며, 상기 내측 이송 트랙에 이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단부 영역(53)내에, 전달 스테이션(38, 39, 44, 51)내에 배치가능한 수동적인 이송 트랙 영역(43)이 설치되어 있고,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의 단부 영역(52, 53)은 전달 스테이션(38, 39, 44, 51)내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feeder track (20, 21, 22, 23), a subfeeder track (26, 27) provided in parallel to the feeder track as a feeder for transporting the work carrier 35, At least one transverse feeder track 29, 32 provided between both feeder tracks 20-23, 26, 27, wherein the feeder tracks are located at the intersection area in the transfer station 38, 39, 44,. 51). In this case double belt conveying with the conveying device tracks 20 to 23, 26, 27, 29, 32 having an inner conveying track 37, 42, 47, 57 and an outer conveying track 36, 42, 48, 58. Formed as a device, the inner conveying tracks 37, 47 of the transverse conveying device tracks 29, 32 are formed as short as the width of the conveying stations 38, 39, 44, 51, followed by a predetermined In the end region 53 at intervals of the interval, a passive transport track region 43 is provided, which can be arranged in the delivery stations 38, 39, 44, 51, and at the ends of the transverse feeder tracks 29, 32. Regions 52, 53 are support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delivery stations 38, 39, 44, 51.

Description

공작물 캐리어의 운반용 이송 장치Feeding device for conveying work carrier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형식의 공작물, 특히 공작물 캐리어를 운반하기 위한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a workpiece, in particular a workpiece carrier, of the type described in the preamble of claim 1.

공작물 캐리어를 운반하는 이와 같은 이송 장치는 독일특허출원 공개공보 제36 15 06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송 장치는 2 개의 평행한 운반 트랙들과 이들 운반 트랙들 사이에 배치된 1 개의 횡방향 이송 장치를 갖는다. 이 경우 운반 트랙들은 롤러를 거쳐서 안내되는 무단(endless) 벨트를 구비한 각각 1 개의 외측 이송 장치 벨트와 이 이송 장치 벨트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러계를 구비한 내측 이송 장치 벨트를 갖고 있다. 횡방향 이송 장치는 평행한 운반 트랙 사이에 배치된 지지 프레임을 갖고 있다. 이 지지 프레임은 이동 불능의 중간 부분을 갖고 있다. 이 지지 프레임에 이어서 각각 1 개의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단부(端部)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부 부재는 운반 트랙과 함께 전달 스테이션을 형성한다. 이들 단부 부재의 각각은 운반 트랙의 내측 롤러계와 교차하고 운반 트랙의 롤러계와 외측 벨트 사이의 자유 공간을 커버한다. 이들 양 단부 부재에는 각각 1 개의 리프팅 장치가 대응 설치되어 있다. 이 리프팅 장치에 의해 단부 부재는 운반 트랙에 대해서 복수의 상이한 수직 위치로 선회할 수 있다.Such a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a workpiece carrier is disclosed in DE 36 15 064. Such a conveying device has two parallel conveying tracks and a transverse conveying device arranged between these conveying tracks. The conveying tracks in this case have one outer conveyer belt with endless belts guided through the rollers and an inner conveyer belt with roller system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conveyer belt. The transverse conveying device has a support frame arranged between parallel conveying tracks. This support frame has a middle portion of immovability. Following this support frame, one end member supported rotatably is provided, respectively. This end member together with the carrying track form a delivery station. Each of these end members intersects the inner roller system of the conveying track and covers the free space between the roller system of the conveying track and the outer belt. Each of these end members is provided with one lifting device. This lifting device allows the end member to pivot to a plurality of different vertical positions relative to the carrying track.

이와 같은 횡방향 이송 장치의 구성의 경우, 횡방향 이송 장치의 단부 부재들 사이에 설치된 롤러계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선회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단부 부재의 선회 축선이 내측 롤러계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있어야 한다. 또한, 단부 부재의 벨트가 구동될 수 있도록 선회 영역에 구성 부품을 집중시킨 구성이 필요하다. 횡방향 이송 장치를 단부 부분과 중간 부분으로 나눔으로써, 다수의 상이한 벨트 길이가 필요하다.In such a configuration of the transverse conveying device, the pivot axis of the end member which can be pivotally installed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roller system so that it can pass through the roller system provided between the end members of the transverse conveying device. Must hav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ponents are concentrated in the turning area so that the belt of the end member can be driven. By dividing the transverse conveying device into an end portion and an intermediate portion, many different belt lengths are needed.

또한, 2 개의 평행한 운반 트랙과 이들 사이에 설치된 횡방향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공작물 캐리어를 운반하기 위한 이송 장치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송 장치는 싱글 벨트계로서 형성되어 있다. 반입 트랙 및/또는 반출 트랙을 형성하는 횡방향 이송 장치는 강성 프레임을 갖고, 이 프레임은 각 단부 영역에 배치된 각각 1 개의 리프팅 실린더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a workpiece carrier is already known, comprising two parallel conveying tracks and a transverse conveying device provided therebetween. Such a conveying apparatus is formed as a single belt system. The transverse conveying device forming the carry-in track and / or the carry-out track has a rigid frame, which is movable up and down by one lifting cylinder each arranged in each end region.

이와 같은 싱글 벨트계의 경우, 균일한 힘의 분포가 벨트 이송 장치 트랙 및 내측 롤러계에 작용하도록 공작물이 공작물 캐리어에 배치되어야 한다. 공작물 캐리어에 대한 공작물의 하중 분포가 롤러계 위에 더 많이 위치하면, 공작물 캐리어의 반입·반출시 장애없는 작동이 더 이상 보장될 수 없다. 그 이유는 공작물 캐리어와 싱글 벨트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운반 벨트는 마찰에 의해 심하게 마모된다.In the case of such a single belt system, the workpiece must be placed in the workpiece carrier so that a uniform distribution of forces acts on the belt feeder track and the inner roller system. If the load distribution of the workpiece to the workpiece carrier is located more on the roller system, trouble-free operation in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workpiece carrier can no longer be guaranteed. The reason is that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workpiece carrier and the single belt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carrying belt is badly worn by friction.

도 1은 이송 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1 is a schematic plan view partially showing the transfer device;

도 2는 리프팅 장치를 상하 이동 가능한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과 함께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fting device with the transverse feeder track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도 3은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의 일 작업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3 shows one working position of the transverse feeder track;

도 4는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의 선택적인 일 작업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4 shows an alternative working position of the transverse feeder track.

도 5는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의 또 다른 작업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5 shows yet another working position of the transverse feeder track.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의 장점은 일체식으로 형성된 이송 장치 트랙의 조립을 간단하게 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모듈 구조가 제공된다. 일체식으로 형성된 이송 장치 트랙은 더블 벨트 이송 장치로서 제공된다. 이에 따라 기계적 부품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동시에 공작물 캐리어의 확실한 반입 및 반출 또는 확실한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달 스테이션에서 이송 장치 트랙을 더블 벨트 이송 장치로서 형성하고, 이 더블 벨트 이송 장치로부터 이송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공작물 캐리어를 운반하려고 하기 때문에, 공작물 캐리어에 대한 공작물의 하중 분포가 불균일해도 확실한 반출이 이루어 진다. 상기 단부 영역의 대향하는 단부에서 내측 이송 장치 트랙은 전달 스테이션의 길이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더블 벨트 이송 장치로서 형성된 이송 장치 트랙 사이의 자유 공간에는 수동적인 롤러계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계는 외측의 벨트 이송 장치 트랙과 함께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공작물 캐리어가 더블 벨트 이송 장치에 의해 이미 전달 스테이션으로부터 움직이기 때문에, 불균일한 하중 분포가 생겨도 이송 장치 트랙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설치된 다른 이송 장치 트랙에 공작물 캐리어가 확실하게 반입된다. 그 까닭은 싱글 벨트계의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공작물 캐리어가 휴지 위치로부터 반출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An advantage of the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assembly of the integrally formed conveying device track and to shorten the assembly time. In addition, the module structure is provided by such a configuration. The integrally formed conveying device track is provided as a double belt conveying device. As a result, mechanical parts can be reduced. At the same time, reliable loading and unloading or reliable delivery of the workpiece carrier can be achieved. Since the feeder track is formed as a double belt feeder at the transfer station, and the workpiece carrier is to be transported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feed direction from the double belt feeder, even if the load distribution of the work piece to the workpiece carrier is uneven, a reliable carry-out is achieved. Is done. At opposite ends of the end region the inner conveying device track is formed as short as the length of the conveying station. On the other hand, the passive roller system is provided in the free space between the feeder tracks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formed as a double belt feeder. This roller system can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outer belt feeder track. Since the work carrier is already moved from the transfer station by the double belt feeder, even if a non-uniform load distribution occurs, the work carrier is reliably loaded into another feeder track which is installed transverse to the feeder track. This is because, unlike the prior art of the single belt system, the work carrier does not have to be taken out from the rest position.

공작물 캐리어를 반입 트랙 및/또는 반출 트랙으로부터 주이송 장치 트랙 및/또는 부이송 장치 트랙내로 전달하기 위해 반입 트랙 및 반출 트랙의 단부 영역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전달 스테이션에 지지되어 있다. 반입 트랙 및/또는 반출 트랙의 길이에 걸쳐서 이송 장치 트랙 전체가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구성부품이 감소된, 저렴한 구성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이송 장치 트랙의 단부영역에 수동적인 롤러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서 조립이 현저하게 간단해진다.The end regions of the import track and the export track are supported by the transfer station to move up and down in order to transfer the workpiece carrier from the import track and / or the export track into the main feeder track and / or the subfeeder track.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nexpensiv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ponents are reduced because the entire conveying device track is formed to have rigidity over the length of the import track and / or the export track. In addition, as the passive roller system is provided in the end region of the feeder track, the assembly becomes remarkably simple.

종속 청구항에 기재된 조치에 의해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이송 장치의 유리한 구성이 얻어진다.The advantageous arrangement of th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is obtained by the measures described in the dependent claims.

반입 트랙 및 반출 트랙의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단부 영역에 의해, 하나의 단부 영역에서 반입 공정 및/또는 반출 공정이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 이것과 대향하는 단부 영역은 반입 공정 및/또는 반출 공정시에 영향을 받는 일은 없다. 동시에 반입 트랙 및 반출 트랙의 단부 영역은 공작물 캐리어가 전달 스테이션을 통과하는 위치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는 대향하는 단부 영역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반입 트랙 및/또는 반출 트랙의 단부 영역의 상하 이동은 단부 영역에 각각 설치된 리프팅 엘리먼트에 의해 실행된다. 반입 트랙 및/또는 반출 트랙의 지지 프레임과 리프팅 엘리먼트 사이에 완충 엘리먼트가 설치되어 있으면 유리하다. 이에 따라 공작물 캐리어가 하나의 이송 방향으로부터 이것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다른 이송 방향으로 완충되고 또한 노이즈가 작은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전달 스테이션내로의 도입시 및 이송 방향으로 차단하는 스토퍼에 공작물 캐리어가 맞닿을 때에 발생하고 또한 이송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설치된 이송 장치 트랙에서 작용하는 틸팅(tilting) 모멘트가 인터셉트되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의 이와 같이 완충된 지지의 이점은 리프팅 엘리먼트가 각 단부 영역에서 하부, 중간, 상부 수직 위치에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의 틸팅 이동시에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By the end regions movable up and down independently of the import track and the export track, an import process and / or an export process can be performed in one end region. Furthermore, in this case, the end region opposite to this is not affected during the import process and / or the export process. At the same time the end regions of the import track and the export track may take the position where the workpiece carrier passes through the transfer station. In this case the position does not have any effect on the opposite end region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nd region of the import track and / or the export track is performed by lifting element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end region. It is advantageous if a cushioning element is provided between the lifting frame and the support frame of the import track and / or the export track. This allows the workpiece carrier to be cushioned in one conveying direction from another conveying direction transversely to it and conveyed with a low noise. Tilting moments which occur at the time of introduction into the transfer station and when the workpiece carrier abuts against the stopper blocking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which act on the conveying device tracks installed transverse to the conveying direction can be intercepted and absorbed. In addition, the advantage of this cushioned support of the support frame is that compensation can be made in the tilting movement of the support frame since the lifting elements can be plac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in the lower, middle and upper vertical positions in each end region.

반입 트랙 및 반출 트랙에 있어서 수동적인 이송 장치 트랙과 대향하게 배치된 단부 영역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이송 장치 트랙의 단부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 양 벨트 이송 장치 트랙이 전달 스테이션내로 완전히 돌입한다. 이에 따라 공작물 캐리어의 확실한 반출이 이루어진다. 동시에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모듈 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It is advantageous for the incoming and outgoing tracks that the end regions disposed opposite the passive transporter tracks have the ends of the transporter tracks formed of the same length. This allows both belt feeder tracks to fully enter the delivery station. This ensures a reliable carry out of the workpiece carrier. At the same time, the modular structure can be achieved by such a configuration.

주·부이송 장치 트랙들은 수동적인 이송 장치 트랙에 대향하는 단부 영역을 갖고, 이 단부 영역에서 내측 이송 장치 트랙이 적어도 전달 스테이션내에 횡방향으로 진입하는 반입 및/또는 반출 이송 장치 트랙의 외측 이송 장치 트랙만큼 짧게 되어 있으면 유리하다. 이에 따라 운반계의 모듈 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동시에 공작물 캐리어의 이제까지의 이송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 방향으로의 확실한 반출이 실행된다.The main and secondary feeder tracks have an end region opposite the passive feeder track, in which the inner conveyer track is at least outside of the loading and / or unloading conveyer track, in which the inner conveying track enters at least transversely into the delivery station. It is advantageous if it is as short as the track. Thereby, the module structure of a conveyance system can be improved further. At the same time, a reliable carry-out in the conveying direction extending transversely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orkpiece carrier is carried out.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전진 운반 트랙(11)과 복귀 운반 트랙(12)을 구비한 이송 장치의 주순환 트랙(10)의 일부 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전진 운반 트랙(11) 및 복귀 운반 트랙(12)의 양단부에는 각각 1 개의 방향 전환 모듈(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주순환 트랙(10)은 서로 전후에 설치된 복수의 주이송 장치 트랙들(20∼23)로 형성되어 있다. 주이송 장치 트랙들 20, 21 및 선택적으로 부가의 주이송 장치 트랙들은 전진 운반 트랙(11)을 형성하고, 주이송 장치 트랙들 22 23 및 선택적으로 부가의 주이송 장치 트랙들은 복귀 운반 트랙(12)을 형성한다.1 shows a partial area of the main circulation track 10 of a conveying device with a forward conveying track 11 and a return conveying track 12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One end change module 13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se forward conveyance tracks 11 and return conveyance tracks 12, respectively. The main circulation track 1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main feeder tracks 20 to 23 provided before and after each other. Main feeder tracks 20, 21 and optionally additional main feeder tracks form a forward conveying track 11, and main feeder tracks 22 23 and optionally additional main feeder tracks comprise a return conveying track 12. ).

이 실시예에서 전진 운반 트랙(11) 및 복귀 운반 트랙(12)을 구비한 이송 장치는 더블 벨트 이송 장치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 이송 장치 트랙들(20∼23)은 예를 들면 더블 벨트 이송 장치의 운반 벨트를 위한 고유의 구동 장치를 갖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veying device with the forward conveying track 11 and the return conveying track 12 is formed as a double belt conveying device. Each conveying device tracks 20 to 23 have a unique drive for the conveying belt of the double belt conveying device, for example.

복귀 운반 트랙(12)을 따라 제 1 및 제 2 부이송 장치 트랙들(26, 27)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부이송 장치 트랙들(26, 27)은 각각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인 반출 트랙(29)을 갖는 반출 모듈(28)과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인 반입 트랙(32)을 갖는 반입 모듈(31)로 형성되어 있다. 반출 모듈(28) 및 반입 모듈(31)은 예를 들면 2 개의 주이송 장치 트랙들(22, 23) 사이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다. 부이송 장치 트랙(26)에는 가공 스테이션(3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공 스테이션에서는 공작물 캐리어(35)에 배치된 부품이 가공된다.First and second subconveyor tracks 26, 27 are installed along the return transport track 12. These subfeeder tracks 26, 27 each have an export module 28 with an export track 29 which is a transverse feeder track and an import module 31 with an import track 32 which is a transverse feeder track. It is formed. The carrying out module 28 and the carrying out module 31 are installed at right angles, for example, between two main feeder tracks 22, 23. The feed station track 26 is provided with a machining station 33. In this machining station, the parts arranged on the workpiece carrier 35 are machined.

주이송 장치 트랙(22) 및 이것에 대해서 평행하게 설치된 부이송 장치 트랙(26)과 반출 트랙(29) 및 반입 트랙(32)은 1 개의 모듈(34)을 형성하고 있다. 이 모듈(34)에 대해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은 모듈(34)은 서로 전후에 복수 개로 설치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전후에 설치된 주이송 장치 트랙들(20∼23)은 이송 장치의 1 개의 전진 운반 트랙(11)과 복귀 운반 트랙(12)을 형성한다. 가공 스테이션(33)의 수에 따라 모듈(34)의 수를 선택할 수가 있다.The main feeder track 22 and the subfeeder track 26 and the carrying out track 29 and the carrying in track 32 which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is form one module 34. This module 34 is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 A plurality of such modules 34 can be provided before and after each other. The main feeder tracks 20 to 23 thus arranged before and after each other form one forward conveying track 11 and a return conveying track 12 of the conveying device. The number of modules 34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ocessing stations 33.

반출 트랙(29)은 벨트 이송 장치로서 형성된 외측 이송 트랙(36)과 내측 이송 트랙(37)을 갖고 있다. 반출 트랙(29)의 단부 영역(52)과의 주이송 장치 트랙(22)의 교차 영역에는 전달 스테이션(3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달 스테이션에서 외측 및 내측 이송 트랙들(36, 37)의 양 단부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과 마주해서 전달 스테이션(39)이 반출 트랙(29)의 단부 영역(53)과 부이송 장치 트랙(26)의 단부 영역(5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반출 트랙(29)의 이송 트랙(36, 37)은 부이송 장치 트랙(26)의 외측 이송 트랙(41) 및 내측 이송 트랙(42)에 치열 방식(tooth-like manner)으로 서로 맞물린다. 구동되는 또는 능동적인 내측 이송 트랙(37)은 반출 트랙(29)의 외측 능동적인 이송 트랙(36) 보다 짧게 형성되고, 정면측에서 부이송 장치 트랙(26)의 내측 이송 트랙(42)을 향해 끝난다. 내측 이송 트랙(37)은 외측 이송 트랙(41)과 내측 이송 트랙(42) 사이의 전달 스테이션(39)에서 수동적인 이송 트랙 영역(43)에 의해 보충되므로, 내측 이송 트랙(37)과 수동적인 이송 트랙 영역(43)은 외측 이송 트랙(36)과 동일한 길이의 이송 트랙을 갖는다.The unloading track 29 has an outer conveying track 36 and an inner conveying track 37 formed as a belt conveying device. A transfer station 38 is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main feeder track 22 with the end area 52 of the unloading track 29. In this delivery station both ends of the outer and inner conveying tracks 36, 37 are formed of the same length. Facing this, a transfer station 39 is formed between the end region 53 of the carry-out track 29 and the end region 52 'of the sub-conveyor track 26. In this case, the conveying tracks 36, 37 of the unloading track 29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a tooth-like manner to the outer conveying track 41 and the inner conveying track 42 of the subfeeder track 26. . The driven or active inner conveying track 37 is formed shorter than the outer active conveying track 36 of the unloading track 29, and from the front side towards the inner conveying track 42 of the subfeeder track 26. Is over. The inner conveying track 37 is supplemented by a passive conveying track area 43 at the transfer station 39 between the outer conveying track 41 and the inner conveying track 42 and thus passive with the inner conveying track 37. The conveying track area 43 has a conveying track of the same length as the outer conveying track 36.

이 수동적인 이송 트랙 영역(43)은 롤러 트랙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동적인 이송 트랙 영역(43)은 능동적인 내측 이송 트랙(37)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간격은 부이송 장치 트랙(26)의 내측 이송 트랙(42)의 폭에 거의 상응한다. 이 간격에 의해 형성된 자유 공간에서 부이송 장치 트랙(26)의 내측 이송 트랙(42)이 연장되고 정면측에서 반출 트랙(29)의 외측 이송 트랙(36)을 향해 끝난다. 반출 트랙(29)의 외측 이송 트랙(36)은 정면측에서 부이송 장치 트랙(26)의 외측 이송 트랙(41)에 인접한다. 전달 스테이션(39)은 반출 트랙(29)의 단부 영역(53) 및 부이송 장치 트랙(26)의 단부 영역(52')의 이와 같은 설치와 구성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단부 영역들(53, 52')은 치열 방식으로 서로 맞물린다. 전달 스테이션들(39, 51)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This passive feed track area 43 is formed as a roller track. The passive transport track area 43 i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active inner transport track 37. This spacing almost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inner conveying track 42 of the subfeeder track 26. In the free space formed by this gap, the inner conveying track 42 of the subfeeder track 26 extends and ends on the front side toward the outer conveying track 36 of the unloading track 29. The outer conveying track 36 of the unloading track 29 is adjacent to the outer conveying track 41 of the subfeeder track 26 on the front side. The delivery station 39 is formed by such an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end region 53 of the discharge track 29 and the end region 52 'of the subconveyor track 26. These end regions 53, 52 ′ engage each other in an orthodontic manner. The delivery stations 39, 51 are identically formed.

이와 같이 형성된 반출 트랙(29)의 이점은 전달 스테이션(38)으로부터 전달 스테이션(39)으로 공작물 캐리어(35)의 이송시에 2 개의 구동되는 또는 능동적인 이송 트랙들(36, 3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써 전달 스테이션(38)으로부터의 공작물 캐리어(35)의 확실한 반출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The advantage of the transport track 29 thus formed is that two driven or active transport tracks 36, 37 are installed at the time of transport of the workpiece carrier 35 from the transport station 38 to the transport station 39. This ensures a reliable release of the workpiece carrier 35 from the transfer station 38.

전달 스테이션(39)으로의 공작물 캐리어(35)의 도입시에 운반은 능동적인 외측 이송 트랙(36)을 통해서 행해진다. 이 경우 수동적인 이송 트랙 영역(43)은 이 외측 이송 트랙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 단부 영역을 보충한다. 공작물 캐리어(35)가 이미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공작물 캐리어(35)가 전달 스테이션(39)내로 완전하게 도입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전달 스테이션(39)에 능동적인 이송 트랙(36)이 설치되어 있으면 충분하다.Upon introduction of the workpiece carrier 35 into the transfer station 39, conveying takes place via the active outer transfer track 36. The passive transport track area 43 in this case replenishes this end area parallel to this outer transport track. Since the workpiece carrier 35 is already moving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 active feed track 36 is installed in the transfer station 39 to ensure that the workpiece carrier 35 is completely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station 39. Is enough.

부이송 장치 트랙(26)의 단부 영역(52')은 전달 스테이션(39)에 다른 길이로 형성된 외측 이송 트랙(41)과 내측 이송 트랙(42)을 갖고 있다. 이송 방향에서 보아서 전달 스테이션(39)과 대향하게 위치된 부가의 전달 스테이션(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달 스테이션에서는 공작물 캐리어(35)가 부이송 장치 트랙(26)으로부터 반입 트랙(32)으로 옮겨진다. 이 부이송 장치 트랙(26)은 외측 이송 트랙(41) 및 내측 이송 트랙(42)의 단부 영역(53')을 갖는다. 이 단부 영역(53')은 반출 트랙(29)의 단부 영역(53)에 상응하고 전달 스테이션(39)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외측 이송 트랙(41)은 부이송 장치 트랙(26) 전체에 걸쳐서 연장한다. 내측 이송 트랙(42)은 짧게 형성되고 내측 이송 트랙(42)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반입 트랙(32)의 내측 이송 트랙(47)에 인접되어 있다. 반입 트랙(32)의 내측 이송 트랙(47)과 외측 이송 트랙(48) 사이에는 내측 이송 트랙(42)의 연장부에 수동적인 이송 트랙 영역(43)이 설치되어 있다.The end region 52 ′ of the subconveyor track 26 has an outer conveying track 41 and an inner conveying track 42 formed at different lengths in the conveying station 39. An additional transfer station 44 is provided which is located opposite the transfer station 39 in the conveying direction. In this transfer station, the workpiece carrier 35 is moved from the subfeeder track 26 to the loading track 32. This subfeeder track 26 has an end region 53 ′ of the outer conveying track 41 and the inner conveying track 42. This end region 53 ′ corresponds to the end region 53 of the discharge track 29 and forms part of the transfer station 39. The outer conveying track 41 extends throughout the subconveyor track 26. The inner conveying track 42 is adjacent to the inner conveying track 47 of the carry-in track 32 which is formed short and extends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inner conveying track 42. Between the inner conveying track 47 and the outer conveying track 48 of the carrying track 32, a passive conveying track area 43 is provided in the extension of the inner conveying track 42.

내측 이송 트랙(57)과 외측 이송 트랙(58)을 구비한 교차 영역의 이와 같은 구성은 반입 트랙(32)의 전달 스테이션(51)에서 주이송 장치 트랙(22)에도 제공된다.This configuration of the intersecting area with the inner conveying track 57 and the outer conveying track 58 is also provided to the main feeder track 22 at the transfer station 51 of the import track 32.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반출 및 반입 트랙(29, 32)의 단부 영역과 주이송 장치 트랙(22) 및 부이송 장치 트랙(26)의 단부 영역에 의해, 전달 스테이션(38, 39, 44, 51)으로의 확실한 반출 및 반입이 이루어진다.By the end regions of the export and import tracks 29, 32 and the end regions of the main feeder track 22 and the subfeeder track 26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the transfer stations 38, 39, 44, 51 are provided. Clear export and import into the country are made.

반입 모듈(31) 및 반출 모듈(28)에 의한 공작물 캐리어(35)의 반입·반출을 위해 공작물 캐리어는 전달 스테이션들(38, 39, 44, 5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반출 트랙(29) 및 반입 트랙(32)의 전달 스테이션(38, 44)에서의 단 부 영역(52)의 상하 이동과 전달 스테이션(39, 51)에서의 단부 영역(53)의 상하 이동은 리프팅 유닛(54)에 의해 실행된다. 이 리프팅 유닛은 단부 영역(52, 53)에 설치되어 있고, 도 2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리프팅 유닛(54)은 공지의 블록 실린더에 해당한다. 이 블록 실린더는 복동식 리프팅 실린더이다. 이 리프팅 실린더는 단부 영역(52, 53)을 상이한 수직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서, 유압식, 전자기식, 또는 전기식으로 구동되는 리프팅 유닛이 제공될 수도 있다.In order to carry in and take out the workpiece carrier 35 by the loading module 31 and the carrying out module 28, the workpiece carrier is provided in the transfer stations 38, 39, 44, 51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end region 52 at the transfer station 38 and 44 of the export track 29 and the import track 32 and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end region 53 at the transfer station 39, 51 are lifted. Executed by the unit 54. This lifting unit is provided in the end regions 52, 53 and is shown in cross section in FIG. 2. This lifting unit 54 corresponds to a known block cylinder. This block cylinder is a double acting lifting cylinder. This lifting cylinder can move the end regions 52, 53 to different vertical positions. Alternatively, hydraulic, electromagnetic, or electrically driven lifting units may be provided.

도 2에는 리프팅 유닛(54)의 중간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중간 위치에서 예를 들면 전달 스테이션(38)내로 도입되는 공작물 캐리어(35)를 스토퍼(64)에 의해 정지시킬 수가 있다. 공작물 캐리어(35)를 주이송 장치 트랙(22)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위해 리프팅 유닛(54)에 압축 공기가 제공되므로, 단부 영역(52)은 행정 거리(56) 만큼 상부 수직 위치로 이동된다. 공작물 캐리어(35)가 전달 스테이션(38)으로부터 이송된 후에 리프팅 유닛(5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이 경우 리프팅 유닛(54)은 무압 상태이어도 좋다. 복귀 스프링(77)과 압축 스프링(78)은 평형 상태로 될 수 있고, 반출 트랙(29)의 단부 영역(52)을 받쳐주는 기초 플레이트(59)를 중간 위치로 변위시킨다.2 shows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lifting unit 54. In this intermediate position, for example, the workpiece carrier 35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station 38 can be stopped by the stopper 64. Since compressed air is provided to the lifting unit 54 to lift the workpiece carrier 35 from the main feeder track 22, the end region 52 is moved to the upper vertical position by a stroke distance 56. After the work carrier 35 i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station 38, the lifting unit 54 can be displaced to an intermediate position as shown in FIG. 2. In this case, the lifting unit 54 may be in a pressureless state. The return spring 77 and the compression spring 78 can be in equilibrium and displace the base plate 59 supporting the end region 52 of the unloading track 29 to an intermediate position.

공작물 캐리어(35)가 전달 스테이션(38)을 통과하여야 하면, 리프팅 유닛(54)의 제 2 챔버가 부하를 받으므로, 기초 플레이트(59)가 소정의 행정(61)으로 하부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반출 트랙(29)의 단부 영역(52)이 스토퍼(64)와 함께 아래로 내려앉으므로, 전달 스테이션(38)을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이 행해진 후에, 이 리프팅 유닛(54)은 무압의 상태로 절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리프팅 유닛은 중간 위치로 다시 변위될 수 있다.If the work carrier 35 has to pass through the transfer station 38, the second chamber of the lifting unit 54 is under load, so that the base plate 59 is moved to the lower position with a predetermined stroke 61. As a result, the end region 52 of the unloading track 29 falls down with the stopper 64, so that it can pass through the transfer station 38. After this is done, the lifting unit 54 can be switched to a pressureless state. This lifting unit can thus be displaced back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외측 및 내측 이송 트랙들(36, 37)은 각각 완충 엘리먼트(62)를 거쳐서 기초 플레이트(59)에 설치되거나 또는 기초 플레이트에 설치된 중간 플레이트 또는 어댑터 플레이트(63)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완충 엘리먼트(62)는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출 트랙(29) 및 반입 트랙(32)의 완충 지지가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 엘리먼트(62)는 탄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또는 에어 쿠션 또는 이송 방향으로 그리고 이송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완충 작용을 하는 다른 완충 엘리먼트로 형성되어도 좋다.The outer and inner conveying tracks 36, 37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base plate 59 via the buffer element 62 or on the intermediate plate or adapter plate 63 installed on the base plate. Since these shock absorbing elements 62 are elastically formed, the shock absorbing support of the carrying out track 29 and the carrying out track 32 is performed. The shock absorbing element 62 may be formed of an elastic plastic, or may be formed of an air cushion or other shock absorbing element which cushions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주이송 장치 트랙(22)으로부터 반출 트랙(29)으로 공작물 캐리어(35)를 반출하려면, 단부 영역(52)이 전달 스테이션(38)에서 중간 위치로 변위되므로 내측 이송 트랙(37)에 설치된 스토퍼(64)가 이송 방향에서 차단한다. 공작물 캐리어(35)는 스토퍼(64)와 맞닿는다. 이와 같은 갑작스런 정지 운동시에, 반출 트랙(29)의 단부 영역(52)은 횡방향 힘을 받는다. 이 횡방향 힘은 완충 엘리먼트에 의해 흡수되고 보상될 수 있다.To carry out the workpiece carrier 35 from the main feeder track 22 to the take-off track 29, the stopper provided in the inner transfer track 37 because the end region 52 is displaced to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transfer station 38. 64) block in the feed direction. The workpiece carrier 35 abuts the stopper 64. In this sudden stop movement, the end region 52 of the unloading track 29 is subjected to lateral forces. This lateral force can be absorbed and compensated for by the cushioning element.

또한, 이와 같은 탄성적인 보상에 의해 반출 트랙(29)의 단부 영역들(52, 53)이 상이한 수직 위치에 서로 독립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것은 완충 엘리먼트(62)가 이송 방향에 있어서도 탄성적이고 휘어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is elastic compensation allows the end regions 52, 53 of the carry-out track 29 to be position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different vertical positions. Such is because the shock absorbing element 62 is formed to be elastic and flexible in the conveying direction.

단부 영역(52)에서 구동된 이송 트랙(37) 영역 대신에 유사하게 반출 트랙(29)의 단부 영역(53)에서 수동적인 이송 트랙 영역(43)이 상이한 수직 위치로 변 위된다.Instead of the transport track 37 area driven in the end area 52, similarly in the end area 53 of the export track 29 the passive transport track area 43 is displaced to a different vertical position.

도 3, 도 4 및 도 5에는 반출 트랙(29)의 단부 영역들(52, 53)의 상이한 수직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반입 트랙(32)에도 적용된다. 도 3 내지 도 5는 가능한 배치 관계의 선택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스테이션(38)에서 반출 트랙(29)의 하부, 중간 및 상부 수직 위치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이송 장치 트랙(22)상에서 공작물 캐리어(35)를 통과, 정지 또는 들어올리므로써 계속해서 주이송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이송할 수가 있다. 전달 스테이션(39)에서 단부 영역(53)의 수직 위치는 임의로 선택된다.3, 4 and 5 show different vertical positions of the end regions 52, 53 of the unloading track 29. This also applies to the import track 32. 3 to 5 show examples of possible arrangement relationships. The lower, middle and upper vertical positions of the unloading track 29 at the transfer station 38 are shown by way of example. As a result, the workpiece carrier 35 can be passed, stopped, or lifted on the main feeder track 22 so that it can be continuously transported laterally with respect to the main feed directio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end region 53 at the transfer station 39 is arbitrarily selected.

도 3에는 반출 트랙(29)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반출 트랙(29)은 구동 장치(66)를 갖고 있다. 이 구동 장치는 외측 및 내측 이송 트랙들(36, 37)을 구동한다. 단부 영역(52)에서 반출 트랙(29)은 완충 엘리먼트(62)를 거쳐서 리프팅 유닛(54)에 대해서 지지되어 있다. 단부 영역(52)은 하부 수직 위치(67)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직 위치에서 단부 영역(52)은 내측 및 외측 이송 트랙들(36, 37)의 이송 평면 위로 돌출한 스토퍼(64)가 주이송 장치 트랙(22)의 이송 평면 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할 때까지 아래쪽으로 하강한다. 이와 같은 하부 수직 위치(67)에서 공작물 캐리어(35)는 전달 스테이션(38)을 통과하여 이송 방향으로 계속 이동될 수 있다.3 shows a side view of the unloading track 29. This carrying track 29 has a drive device 66. This drive device drives the outer and inner conveying tracks 36, 37. In the end region 52 the carry-out track 29 is supported against the lifting unit 54 via the cushioning element 62. The end region 52 is arranged in the lower vertical position 67. In this vertical position the end region 52 is positioned until the stopper 64 protruding above the conveying planes of the inner and outer conveying tracks 36, 37 is below the conveying plane of the main feeder track 22. Descend to the bottom. In this lower vertical position 67 the workpiece carrier 35 can continue to mov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rough the transfer station 38.

일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 영역(53)은 상부 수직 위치(71)에 배치가능하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 반출된 공작물 캐리어(35)는 전달 스테이션(39)내로 들어갈 수가 있다.As shown as an example, the end region 53 is deployable in the upper vertical position 71. The workpiece carrier 35 taken out at this position can enter the transfer station 39.

도 4에서 단부 영역(52)은 중간 수직 위치(68)로 변위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는 공작물 캐리어(35)를 반출 트랙(29)을 거쳐서 부이송 장치 트랙(26)의 가공 스테이션(33)으로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에서 출력된다. 중간 수직 위치(68)에서는 스토퍼(64)가 주이송 장치 트랙(22)의 이송 평면 위로 돌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작물 캐리어(35)는 전달 스테이션(38)에서 정지된다.In FIG. 4 the end region 52 is displaced to an intermediate vertical position 68. This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when the workpiece carrier 35 is to be transferred to the machining station 33 of the subfeeder track 26 via the unloading track 29. In the intermediate vertical position 68, the stopper 64 protrudes above the conveying plane of the main feeder track 22. The work carrier 35 is thus stopped at the transfer station 38.

단부 영역(53)은 도 3에 도시한 상부 수직 위치(71)에 대해서 중간 수직 위치(72)로 변위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작물 캐리어(35)는 부이송 장치 트랙(26)에 놓인다.The end region 53 is displaced to the intermediate vertical position 72 with respect to the upper vertical position 71 shown in FIG. The workpiece carrier 35 is thus placed on the subfeeder track 26.

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아니한 신호 발생기를 통해 공작물 캐리어(35)가 전달 스테이션(38)내로 들어가서 위치 설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출 트랙(29)의 단부 영역(52)이 상부 수직 위치(69)로 변위되도록 제어 장치가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공작물 캐리어(35)를 전달 스테이션(38)에서 들어올려 반출 트랙(29)의 이송 방향으로 이송할 수가 있다.In figure 5 it can be seen that the workpiece carrier 35 enters and is positioned within the transfer station 38 via a signal generator, not shown. Accordingly, the control device transmits a signal such that the end region 52 of the unloading track 29 is displaced to the upper vertical position 69. Thereby, the workpiece carrier 35 can be lifted by the transfer station 38 and conveyed in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unloading track 29.

공작물 캐리어(35)가 전달 스테이션(38)으로부터 반출되고 전달 스테이션(39)이 신호 발생기를 통해서, 거기에 공작물 캐리어(35)가 위치 설정되어 있지 않는다는 신호를 얻은 후에, 단부 영역(53)은 상부 수직 위치(71)로 변위되고, 이에 의해 주이송 장치 트랙(22)에서 들어올려진 공작물 캐리어(35)가 전달 스테이션(39)으로 들어갈 수 있다. 공작물 캐리어(35)가 전달 스테이션(39)에 완전히 위치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전달 스테이션(39)의 신호 발생기가 인식하자마자, 단부 영역(53)은 하부 수직 위치로 변위되므로 이 공작물 캐리어는 부이송 장치 트랙(26)에 배치되고 이어서 이송될 수 있다.After the workpiece carrier 35 is taken out of the transfer station 38 and the transfer station 39 obtains a signal through the signal generator that the workpiece carrier 35 is not positioned there, the end region 53 is at the top. Displaced to the vertical position 71, thereby allowing the workpiece carrier 35 lifted off the main feeder track 22 to enter the transfer station 39. As soon as the signal generator of the transfer station 39 recognizes that the workpiece carrier 35 is fully positioned in the transfer station 39, the end region 53 is displaced to the lower vertical position, so that the workpiece carrier is moved to the subfeeder track. May be disposed at 26 and then transported.

도 3 내지 도 5에서 반출 트랙(29)에 대해서 도시한 바와 같은 반입·반출 공정은 반입 트랙(32)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주이송 장치 트랙(22)과 부이송 장치 트랙(26)은 이때 휴지 위치에 머물러 있다.The import / export process as shown for the export track 29 in FIGS. 3 to 5 is similarly applied to the import track 32. The main feeder track 22 and the subfeeder track 26 remain at the rest position at this time.

전달 스테이션들(38, 39, 44, 51)의 모니터링은 신호 발생기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동일하게, 분리 엘리먼트가 각 전달 스테이션(38, 39, 44, 51)의 앞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 분리 엘리먼트는 전달 스테이션들(38, 39, 44, 51)을 모니터링하는 신호 발생기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장애없는 작동이 보장될 수 있다.Monitoring of the delivery stations 38, 39, 44, 51 is made possible by the signal generator. Similarly, a separating element may be provided in front of each transfer station 38, 39, 44, 51. These separation elements are combined with a signal generator that monitors the transfer stations 38, 39, 44, 51, so that trouble-free operation can be ensured.

Claims (9)

공작물, 특히 공작물 캐리어(35)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로서, 주이송 장치 트랙(20, 21, 22, 23)과, 상기 주이송 장치 트랙에 대해서 평행하게 설치된 부이송 장치 트랙(26, 27)과, 상기 이송 장치 트랙들(20∼23, 26, 27)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반입·반출 트랙)을 구비하고, 이들 이송 장치 트랙이 교차 영역에서 전달 스테이션(38, 39, 44, 51)을 형성하며, 상기 주이송 장치 트랙(20∼23)과 부이송 장치 트랙(26, 27)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으로부터의 상기 공작물 캐리어(35)의 전달이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의 선회 가능한 방식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단부 영역(52, 53)에 의해 실행되는 공작물 캐리어의 운반용 이송 장치에 있어서,As a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a workpiece, in particular a work carrier 35, the main feeder tracks 20, 21, 22, 23 and the subfeeder tracks 26, 27 provided in parallel to the main feeder track. And at least one transverse conveying device track 29, 32 (import / export track) provided between the conveying device tracks 20 to 23, 26, 27, wherein the conveying device tracks are located at an intersection area. The transverse feeder tracks 29 which are arranged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main feeder tracks 20 to 23 and the subfeeder tracks 26 and 27, forming transfer stations 38, 39, 44 and 51. , A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a workpiece carrier, wherein the conveying of the workpiece carrier 35 from 32 is carried out by an end region 52, 53 which is movable up and down in a pivotable manner of the transverse conveying device tracks 29, 32. To 상기 이송 장치 트랙들(20∼23, 26, 27, 29, 32)은 내측 이송 트랙(37, 42, 47, 57)과 외측 이송 트랙(36, 41, 48, 58)을 갖는 더블 벨트 이송 장치로서 형성되고,The conveying device tracks 20 to 23, 26, 27, 29, 32 have a double belt conveying device having an inner conveying track 37, 42, 47, 57 and an outer conveying track 36, 41, 48, 58. Formed as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의 상기 내측 이송 트랙(37, 47)은 상기 전달 스테이션(38, 39, 44, 51)의 폭만큼 짧게 형성되며, 상기 내측 이송 트랙에 이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단부 영역(53)내에, 상기 전달 스테이션(38, 39, 44, 51)내에 배치가능한 수동적인 이송 트랙 영역(43)이 설치되어 있고,The inner conveying tracks 37, 47 of the transverse conveying device tracks 29, 32 are formed as short as the width of the conveying stations 38, 39, 44, 51, and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llowing the inner conveying tracks. In the end region 53, a passive transport track region 43 is arranged, which can be arranged in the transfer stations 38, 39, 44, 51.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은 전체 이송 길이에 걸쳐서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의 상기 단부 영역(52, 53)은 상기 전달 스테이션(38, 39, 44, 51)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캐리어의 운반용 이송 장치.The transverse feeder tracks 29, 32 are formed to have rigidity over the entire conveying length, and the end regions 52, 53 of the transverse feeder tracks 29, 32 are formed in the transfer station 38, 32. 39, 44, 51) the conveyance device for transporting a workpiece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supported to move up and dow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의 상기 단부 영역(52, 53)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캐리어의 운반용 이송 장치.2. The convey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nd regions (52, 53) of the transverse feeder tracks (29, 32) are movable up and dow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은 상기 단부 영역(52, 53)에 배치된 각각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유닛(5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캐리어의 운반용 이송 장치.3. The workpiece carrier as claimed in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verse feeder tracks 29, 32 have at least one lifting unit 54 respectively arranged in the end regions 52, 53. Convey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의 단부 영역(52, 53)은 완충 엘리먼트(62)에 의해 리프팅 유닛(54)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캐리어의 운반용 이송 장치.2. The transport of a workpiece carri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regions 52, 53 of the transverse feeder tracks 29, 32 are supported relative to the lifting unit 54 by a cushioning element 62. Conveying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엘리먼트(62)는 리프팅 이동으로부터 초래되는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의 틸팅 이동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캐리어의 운반용 이송 장치.5. The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a workpiece carri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said dampening element (62) can be bent in accordance with the tilting movement of said transverse conveying device track (29, 32) resulting from the lifting movement.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에 대해서 배치된 상기 완충 엘리먼트(62)는 상기 이송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캐리어의 운반용 이송 장치.6. The shock absorbing element (62) according to claim 4 or 5, characterized in that the damping element (62)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conveying device tracks (29, 32) compensates for the force acting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Transfer device for conveying work carrier.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엘리먼트(62)는 상기 이송 트랙(47, 48)과 상기 리프팅 유닛(54) 사이에 배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캐리어의 운반용 이송 장치.6. The transport device of claim 4 or 5, wherein the buffer element is disposed between the transport track and the lifting unit.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은 상기 수동적인 이송 트랙 영역(43)을 갖는 단부 영역(53)과, 대향하는 단부 영역(52)을 갖고, 상기 대향하는 단부 영역(52)의 상기 이송 트랙(36, 37, 47, 48)의 단부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캐리어의 운반용 이송 장치.6. The end region 53 according to claim 1, 2, 4, or 5, wherein the transverse feeder tracks 29, 32 have the passive feed track area 43. ), And end portions of the opposing end regions 52 having end portions of the conveying tracks 36, 37, 47, and 48 having the same length, for transporting a workpiece carrier. Conveying device.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이송 장치 트랙 및 부이송 장치 트랙(20∼23, 26, 27)은 상기 수동적인 이송 트랙 영역(43)을 갖는 단부 영역(52')과, 대향하는 단부 영역(53')을 갖고, 상기 대향하는 단부 영역(53')의 상기 내측 이송 트랙(42)은 적어도 전달 스테이션(39, 51)내로 횡방향으로 도입하는, 상기 횡방향 이송 장치 트랙(29, 32)의 상기 외측 이송 트랙(36) 만큼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캐리어의 운반용 이송 장치.6. The main feeder track and the subfeeder tracks 20 to 23, 26, 27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or 5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ssive feed track area (7). Having an end region 52 ′ with an opposing end region 53 ′, the inner conveying track 42 of the opposing end region 53 ′ being at least into the transfer stations 39, 51. A conveyance device for carrying a workpiece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short as said outer conveying track (36) of said transverse conveying device track (29, 32), which is introduced laterally.
KR1019970704594A 1995-11-24 1996-11-25 Separator for rotating symmetrical container KR1004955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704594A KR100495525B1 (en) 1995-11-24 1996-11-25 Separator for rotating symmetrical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518636.4 1995-11-24
KR1019970704594A KR100495525B1 (en) 1995-11-24 1996-11-25 Separator for rotating symmetrical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5525B1 true KR100495525B1 (en) 2006-09-20

Family

ID=4173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594A KR100495525B1 (en) 1995-11-24 1996-11-25 Separator for rotating symmetrical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525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896B1 (en)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workpiece carrier
US5884746A (en) Modular assembly line system
CN110914178B (en) Transport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transport storage device
DK0480436T3 (en) Device for distribution and assembly of products to be transported
JPH05270626A (en) Flowsplitting conveyor
US4850472A (en) Conveyor apparatus
EP0099260B1 (en) Case feeder
JP2005515136A (en) Equipment,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braking
JP2007269495A (en) Friction driving system and method for pallet conveyor
US5860509A (en) Conveyor belt system
US5699891A (en) Device for displacing workpiece carriers
FR2615496B1 (en) DEVICE FOR STORING OBJECTS
KR100495525B1 (en) Separator for rotating symmetrical container
US20090223780A1 (en) Workpiece carrier device and a conveyor device for workpiece carrier devices
CN114524245A (en) Material conveying device with material arranging function
US11685612B2 (en) Motorized transfer apparatus for conveyors of bulk objects
US5593018A (en) Apparatus for shifting work carriers
KR20090124727A (en) System for carrying boxes in and out warehouse
FI79818B (en) FOERFARANDE OCH ANLAEGGNING FOER LAGRING OCH FOERSKJUTNING AV RULLPALLAR ELLER MOTSVARANDE.
EP0392621B1 (en) Conveyor
US3527333A (en) Article conveyor mechanism
AU775820B2 (en) An apparatus for sorting timber
KR0142398B1 (en) Transport devices
JP7391772B2 (en) Accumulation device
JP7414649B2 (en) Workpiece convey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