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825B1 - 공기정화가습기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825B1
KR100492825B1 KR1019970010277A KR19970010277A KR100492825B1 KR 100492825 B1 KR100492825 B1 KR 100492825B1 KR 1019970010277 A KR1019970010277 A KR 1019970010277A KR 19970010277 A KR19970010277 A KR 19970010277A KR 100492825 B1 KR100492825 B1 KR 100492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tank
water
moto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4442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1019970010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8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63Means for active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04UV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데 있어 물의 모세관원리를 이용하여 공기정화와 가습이 등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정화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을 수용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물이 모세관원리에 의해 빨려 올라가서 적셔지는 필터부재를 가지며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로를 가진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모터팬과, 상기 모터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순환로를 형성시키고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탱크위에 설치되고 휠터 및 모터팬이 지지되는 상태에 의해 구성되도록 하고, 나아가서는 상기 공기 순환로에 공기살균작용을 하는 자외선램프와 유해가스소거를 하는 음이온기와, 실내난방을 위한 난방용히터, 그리고 냉방을 위한 냉방용 열교환기를 부가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공기정화 및 가습과 실내 냉, 난방이 동시에 도모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 정화 가습기{THE AIR FILTERING HUMIDIFIER}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데 있어 물의 모세관원리를 이용하여 공기정화와 가습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공기정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공간에 그다지 넓지 않은 장소의 실내공기를 정화 및 가습시키는데 적합하고 효율이 높은 공기정화가습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기 정화를 하게 하는 것으로는 공기청정기가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기 청정기는 전자적인 기능에 의해 공기가 청정되도록 정화시키는 것들이 그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 청정기는 전기 또는 전자적인 특성에 의해 공기중의 먼지를 제거하고 맑게 하는 것이므로 공기정화는 도모되지만 자연적인 것보다는 인위적인 것이기 때문에 실내공기가 그다지 쾌적한 상태를 도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실내 가습을 위한 것으로는 예를 들어 냉방기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것들이 그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이용한 가습에 있어서는 단순히 냉방과 가습만을 도모하고 공기정화기능은 없거나 또는 약간의 기능만을 가진 것이어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전력 소모량이 많아서 전기료의 절감을 위해 한시적으로만 가동시켜 사용하고 있으므로 실제적으로는 실내공기정화와 가습을 한다고 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외에도 국내외로 다수의 가습구조가 알려지고 있으며 이들 중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5-116933호는 모터팬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냉각기 등의 공조기를 거쳐 수조내에 침수상태로 회전되는 밸트상의 직포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구성이나 이는 다수의 회전 구동구조가 요구되어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소음과 고장이 잦게 되며, 공기가 직포를 통과하기 어려워 배기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냉온 등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어려워 사용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게되는 것이며,
또한 일본 특개평4-251132호는 수조의 물을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시키는 회전판에 분사시켜 공기중의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이를 교호로 설치된 격판 사이를 통과하면서 모터팬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나 이는 두개의 모터를 사용하게 되어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공기의 흐름이 다단계로 굴곡지는 상태로 배출되는 것이므로 가습효과와 배기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및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87-18660호는 일반적인 가습기에 단순히 자외선 램프를 결합시켜 발생되는 수분의 입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효과를 거두게 하는 것이나 이는 공기정화의 기능이 없고 기능이 단순하여 사용효과가 미흡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를 공기 정화시키는데 있어 물의 모세관원리를 이용하여 자연적인 공기정화와 가습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공기정화가습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자연적인 공기정화 및 가습이 되게 하는 공기정화가습기가 횡형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소규모 실내공간에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을 이용하고, 상기한 물이 모세관원리에 의해 필터를 타고 올라오도록 하여 상기 필터를 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므로서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중의 먼지나 유해가스가 제거되도록 하는 동시에 증발되는 습기를 공기가 함유하고 실내로 배기되도록 하였으며, 공기의 순환은 횡형의 공기 순환로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물이 모세관원리에 의해 빨려 올라가서 적셔지는 필터부재를 가지며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로를 가진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모터 팬과, 상기 모터 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 순환로를 형성시키고 공기 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탱크위에 설치되고 휠터 및 모터가 지지되는 상태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정화가습기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공기 순환로가 횡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공기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가 일직선 상태로 순환되어 공기배출구로 배기되도록 한 점에 있다.
또한, 부가적인 특징으로는 상기 공기 순환로에 공기살균기능을 하는 자외선램프와 유해가스제거기능을 하는 음이온기가 설치되도록 한 것에 있으며, 또 다른 부가적인 특징으로는 상기 공기 순환로의 어느 한 지점에 실내 냉, 난방되도록 냉각 열교환기 및 난방히터가 설치되도록 한 구성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가습기를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가습기의 일부 분리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 는 평면도, 도 3 은 종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공기정화가습기는 물(W)을 수용하는 탱크(1)를 구성하고, 상기 탱크(1)의 상부에는 공기 순환로(2)를 형성하게 하는 상체(3)가 조립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체(3)에는 공기 순환로(2) 양측으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4) 및 공기가 배기되는 공기배출구(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체(3)의 중간부에는 스위치(6)를 가진 모터 팬(7)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모터 팬(7)은 공기 순환로(2)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터 팬(7) 양측에는 역시 상체(3)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공기 순환로(2)를 가로질러서 탱크(1)에 수용된 물(W)에 끝단부가 침수되는 필터부재(11)를 가진 필터(10)(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재(11)는 등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됨으로써 필터부재(11)사이에 외부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로(12)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순환로(2)에는 살균작용을 하는 자외선램프(20) 및 유해가스를 소멸시키는 음 이온기(30)가 각각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직립식으로 구성하여 하방에 공기 흡입구(4A)를 두고 공기 흡입구(4A)의 내측에는 삽탈이 가능하도록 탱크(1A)와 결합되는 필터(10A)를 두고 필터(10A)의 상부에 모터 팬(7A)과 자외선 램프(20A)를 두며 상부에는 공기 배출구(5A)를 구성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가습기는 탱크(1)에 물(W)이 적정량 채워진 상태로 되게 한 후 스위치(6)로서 모터 팬(7)을 가동시킨다.
따라서, 모터 팬(7)의 가동에 의해 불어지는 바람의 방향이 공기배출구(5)쪽으로 형성됨으로 실내의 외부공기가 공기 흡입구(4)를 통해 흡입되게 된다.
그러므로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공기 순환로(2)를 따라 순환되게 되고, 이러한 순환과정 중에 필터(10)(10')의 공기통로(12)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필터(10)(10')는 필터부재(11)가 물(W)에 끝단부가 침수된 상태를 이루므로 모세관원리에 의해 빨려 올라가서 필터부재(11)가 적셔진 상태가 되거나 또는 표면에 물(W)이 존재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필터부재(11)의 물(W)이 증발되면 증발된 량만큼의 물(W)이 역시 모세관원리에 의해 빨려 올라가서 자동적으로 보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필터부재(11) 사이의 공기통로(12)로 외부공기가 통과하면, 통과되는 과정에 공기와 물이 접촉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공기 중에 있는 먼지가 필터부재의 물에 흡착되어 공기내의 먼지가 제거되게 된다.
또한, 공기중의 유해가스는 물에 녹아 들어가는 상태로 흡수되게 된다.
그것은, 즉 공기중의 먼지와 유해가스가 물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므로 공기정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공기정화가 모터 팬(7) 양측에 있는 필터(10)(10')에 의해 1차 및 2차에 걸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더욱 효율적인 공기정화가 도모된다.
또한, 건조한 공기가 공기 순환로(2)를 통해 순환되는 과정에 역시 필터(10)(10')에서 물과 접촉되면 이때는 증발되는 물의 습기가 공기에 포함되어 공기 배출구(5)로 배기되므로 자연히 실내가 가습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공기정화 및 가습 작용과 더불어서 공기 순환로(2)를 순환하는 과정에 자외선램프(20)에 의해 살균되고 음 이온기(30)에 의해서는 필터(10)(10')의 물에 미처 흡수되지 못하거나 또는 흡수되지 못하는 유해가스가 그것의 기능에 의해 소거되므로 더욱 공기정화의 효율이 양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자외선램프(20)와 음 이온기(30)는 공지된 기술과 제품이므로 그것의 자세한 구조의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탱크(1)내의 물(W)이 모두 소진되면 상체(3)를 들어내고 물(W)을 보충시키면 되는 것이고, 모터 팬(7)을 비롯하여 필터부재(11)를 청소할 때에는 상체(3)로부터 모터 팬(7)과 필터(10)(10')를 들어서 분리한 후 물 세척을 하고 다시 조립시키면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것은 공기 순환로(2)에 냉방용 열교환기(40) 및 난방용 히터(50)를 부가적으로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40)는 냉매를 공급하는 냉각 유니트(미 도시)와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된다.
또한 난방용 히터(50)는 전기로 가열되는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것 대신에 온수나 스팀을 공급하는 보일러와 연계되는 난방용 열교환기를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냉방용 열교환기(40)는 여름철에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정화 및 가습된 공기가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40)에 의해 냉각되어 공기배출구(5)로 배기됨에 따라 실내의 공기정화와 가습 및 냉방까지 도모된다.
또한 겨울철에는 난방용 히터(50)의 가동으로 이때는 공기정화와 가습 및 더 나아가서는 실내난방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냉방용 열교환기(40)와 난방용 히터(50)는 실내의 냉, 난방 온도에 따라서 가동 또는 중지되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모터 팬(7A)이 회전되면 바람이 공기 배출구(5A) 방향 즉 상향으로 불게됨으로 공기 흡입구(4A)를 통해서 실내의 외부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공기 흡입구(4A)로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곧바로 위치하는 필터(10A)의 필터부재(11A) 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12A)를 통과하면서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공기정화와 가습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정화된 공기는 몸체 내부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 이동하다가 상부의 공기 배출구(5A)를 통해 실내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공기를 종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정화하게 되는 것이므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며 바닥의 점유면적을 감소할 수 있어 설치조건의 선정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용은 물론이거니와 빌딩내의 사무실이나 업소와 같은 곳에서 대중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탱크(1A)와 필터(10A)를 몸체에 임의로 착탈 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됨으로 필터소제 및 물 보충이 자유로운 기능을 갖는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천연적인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와 가습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자연적인 실내공기를 도모하므로 인체에 전혀 무해하며 예컨데 비온 뒤의 상쾌함 같은 상쾌한 실내공기를 제공하는 효과와 더불어서 가습이 도모되며 또한 단순히 팬 히터의 가동에 의해서만 가동되는 것이므로 전기 소모량을 대폭적으로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여 저렴하고 경제적인 유지비용을 통해 지속적인 공기정화와 실내 가습을 도모하게 하므로 호흡기 및 건강 유지에 훨씬 유리한 효과를 주게 되며 1, 2차적으로 공기정화 및 가습이 도모되므로 더욱 효율적인 성능이 발휘되며, 실내면적이 적은 가정용이나 기타의 협소한 실내공간에서의 활용도를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가습기의 일부를 분리한 전체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가습기의 일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가습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일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탱크 2, 2A : 공기 순환로
3 : 상체 4, 4A : 공기 흡입구
5, 5A : 공기배출구 6 : 스위치
7, 7A : 모터 팬 10, 10', 10A : 필터
11, 11A : 필터부재 12, 12A : 공기통로
20 : 자외선램프 30 : 음 이온기
40 : 냉방용 열교환기 50 : 난방용 히터
W : 물

Claims (3)

  1. 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와 가습이 되도록 하는 공기정화가습기에 있어서;
    물을 수용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위에 결합 설치되며 공기순환로를 형성하도록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하고 양단에 대향되게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와 공기가 배기되는 공기배출구 형성한 상체와;
    상기 상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탱크의 물이 모세관원리에 의해 빨려 올라가서 적셔지는 다수의 필터부재와 이 필터부재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필터와;
    상기 상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내의 공기가 상체를 거쳐 순환되도록 하는 모터 팬과;
    상기 필터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 팬의 양측에 위치되어 1차 및 2차적인 공기정화와 가습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공기순환로에 공기살균을 하는 자외선램프가 유해가스제거기능을 하는 음이온기와 냉방용열교환기와 난방용 히터가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로와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횡방향의 일직선상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가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상, 하 종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성하되 필터가 탱크와 결합 설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가습기.
KR1019970010277A 1997-03-22 1997-03-22 공기정화가습기 KR10049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277A KR100492825B1 (ko) 1997-03-22 1997-03-22 공기정화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277A KR100492825B1 (ko) 1997-03-22 1997-03-22 공기정화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442A KR19980074442A (ko) 1998-11-05
KR100492825B1 true KR100492825B1 (ko) 2005-08-17

Family

ID=3730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277A KR100492825B1 (ko) 1997-03-22 1997-03-22 공기정화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8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286B1 (ko) * 2007-02-07 2008-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025047B1 (ko) * 2019-05-23 2019-09-24 황준하 수막필터를 이용한 기능성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64B1 (ko) * 2006-05-02 2007-03-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508182B1 (ko) * 2013-12-10 2015-04-07 황선환 증기압과 젖음성을 이용한 강제건조형 가습 및 발향기
CN109268980A (zh) * 2017-07-17 2019-01-25 深圳市联创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水冷空调的双循环风冷系统及其水冷空调扇
KR102533491B1 (ko) * 2021-02-25 2023-05-18 (주)덕산코트랜 공기 및 장비 살균 가능한 항온항습기의 살균시스템
KR102506103B1 (ko) * 2021-02-25 2023-03-06 (주)덕산코트랜 열교환기와 가습기가 일체로 자외선 살균 가능한 항온항습기
KR102483191B1 (ko) * 2021-02-25 2022-12-30 (주)덕산코트랜 살균성능이 향상된 항온항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9912A (en) * 1979-01-27 1980-07-30 Nisso Yuka Kogyo Kk Curable resin composition
KR930002753A (ko) * 1991-07-29 1993-02-23 강순희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940018010A (ko) * 1993-01-26 1994-08-16 김창수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KR19980025330U (ko) * 1996-11-01 1998-08-05 김석형 자동 습도 조절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9912A (en) * 1979-01-27 1980-07-30 Nisso Yuka Kogyo Kk Curable resin composition
KR930002753A (ko) * 1991-07-29 1993-02-23 강순희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940018010A (ko) * 1993-01-26 1994-08-16 김창수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KR19980025330U (ko) * 1996-11-01 1998-08-05 김석형 자동 습도 조절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특허공보 1984-311호(1984.03.16)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286B1 (ko) * 2007-02-07 2008-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025047B1 (ko) * 2019-05-23 2019-09-24 황준하 수막필터를 이용한 기능성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442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058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1669226B1 (ko) 에너지 절감형 흡연부스
JP4737338B2 (ja) 液処理用放電ユニット、調湿装置、及び給湯器
KR20180083234A (ko) 원통형의 바가 구비된 워터필터 와 이를 적용한 공기청정기 및 굴뚝분진저감장치
KR20090087560A (ko) 가습기와 제습기를 내장한 공기청정기
KR20080013585A (ko)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환기유닛
KR100492825B1 (ko) 공기정화가습기
KR200409688Y1 (ko) 플라즈마 살균정화기가 부착된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KR200415004Y1 (ko) 실내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JP2007255780A (ja) 太陽熱利用の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KR20080104482A (ko) 물 세척 공기청정기
KR20110102586A (ko) 냉난방 겸용 공기살균정화기
KR20110115193A (ko) 복합 기능 축열식 환기 장치
KR20110043321A (ko) 은이온세정기가 구비된 공기조화장치
KR200429518Y1 (ko)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환기유닛
JP2003083568A (ja) 空気調和機
KR100628059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1992056B1 (ko) 다기능 실내 공기조화기
JP2011226677A (ja) 家屋の空調システム
KR100587313B1 (ko)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
KR19980074443A (ko) 공기정화가습기
KR200369084Y1 (ko) 살균 및 방향수단을 갖는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KR200197787Y1 (ko) 폐열 회수식 냉방장치에 적합한 가습 겸용 냉난방 장치
KR20050093674A (ko) 패널조립형 공기정화시스템
KR102413580B1 (ko) 공기 가열에 의한 멸균 기능을 갖는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