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131B1 -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 - Google Patents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131B1
KR100492131B1 KR1019980012446A KR19980012446A KR100492131B1 KR 100492131 B1 KR100492131 B1 KR 100492131B1 KR 1019980012446 A KR1019980012446 A KR 1019980012446A KR 19980012446 A KR19980012446 A KR 19980012446A KR 100492131 B1 KR100492131 B1 KR 100492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name
value
store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708A (ko
Inventor
여윤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12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1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은, 입력변수의 각 스트링을 일련의 변수명(i)과 변수값(i)으로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변수명(i)을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상기 변수명(i)이 변수명(i-1)과 같을 때에는 출력변수에 상기 변수값(i)을 할당하고, 다를 때에는 출력변수에 상기 변수명(i)와 변수값(i)를 할당하여 출력변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웹프로그램에 있어서 동일한 변수명에 할당된 다수개의 변수값이 손실됨이 없이 모두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
본 발명은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웹 프로그램에 있어서 동일한 변수명에 할당된 다수개의 변수값들을 구분하여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위한 웹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변수를 할당하기 위하여 체크박스(Check Box)나 다중 선택 리스트(Multi Select List)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체크박스나 다중 선택 리스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서 웹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동일한 변수명에 여러 개의 변수값이 입력된 형태이기 때문에, 수행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페이지가 다음 HTML 페이지로 변경될 때 특정 변수명에 입력된 하나의 변수값을 제외하고는 다른 변수값들은 손실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사용자가 선택한 모든 변수값이 전달되지 못하고 일부의 변수값만이 전달되어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른 결과가 초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웹프로그램에 있어서 동일한 변수명에 할당된 다수개의 변수값을 모두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따른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은, 입력변수의 각 스트링을 일련의 변수명(i)과 변수값(i)으로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변수명(i)을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상기 변수명(i)이 변수명(i-1)과 같을 때에는 출력변수에 상기 변수값(i)을 할당하고, 다를 때에는 출력변수에 상기 변수명(i)와 변수값(i)를 할당하여 출력변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은, 입력변수의 각 스트링을 일련의 개별 변수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각 개별 변수를 적정하게 출력변수에 할당하여 출력변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입력되는 변수의 개수에 따라 증가되는 변수인 i를 초기값인 0으로 세팅한다(10).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에 의해 표준 입력으로부터 입력되는 내용은 버퍼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된 버퍼의 내용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의 개별 문자는 변수문자에 저장되어 각 변수문자가 변수명 구분자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변수문자에 변수명 구분자가 할당될 때까지 변수문자를 경유한 문자는 변수 스트링에 저장되어 스트링을 구성한다(12). 즉 변수 스트링에 저장된 스트링중의 최종 위치에 있는 한 문자가 변수문자에 저장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변수문자는 입력된 내용의 문자중에 존재하는 소정의 변수명 구분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컨대 변수명 구분자를 '=' 이라고 한다면, '='이 탐지된 인 경우(14)에는 이 변수명 구분자까지의 입력된 내용의 스트링은 변수명으로 판단되어 저장된 변수 스트링은 변수명(i)에 저장된다(16). 만일 변수문자에서 변수명 구분자가 탐지되지 않으면 에러(error)로 처리된다.
일단 전술한 바와 같이 변수명(i)이 저장된 후에는 변수값(i)을 저장하기 위한 유사한 절차가 수행된다. 즉 변수명 구분자 '=' 이후의 계속되는 저장된 버퍼의 내용중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의 개별 문자는 변수문자에 저장되어 각 변수문자가 변수명 구분자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변수문자에 변수값 구분자가 할당될 때까지 변수문자를 경유한 문자는 변수 스트링에 저장되어 스트링을 구성한다(18). 즉 변수 스트링에 저장된 스트링중의 최종 위치에 있는 한 문자가 변수문자에 저장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여기서 다시 변수문자는 입력된 내용중에 존재하는 소정의 변수값 구분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컨대 변수값 구분자를 '&'이라고 한다면, '&'이 탐지된 경우(20)에는 이 변수값 구분자까지의 입력된 내용의 스트링은 변수값으로 판단되어 저장된 변수 스트링은 변수값(i)에 저장된다(22). 그리고 또 다른 변수명을 판독하기 위하여 i의 값을 하나 증가시킨다(22). 만일 변수문자에서 변수값 구분자가 탐지되지 않으면 에러(error)로 처리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모든 내용이 변수명과 변수값에 저장될 때까지 상기 단계 12로 복귀하여 반복하여 수행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내용이 모두 저장된 후에 저장된 각 변수를 적정하게 출력변수로 할당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입력되는 변수의 개수에 따라 증가되는 변수인 i를 초기값인 1로 세팅한다(10).
그후에 변수명(i)의 값이 변수명(i-1)의 값과 같은지를 판단한다(32).
만일 양자의 값이 같지 않으면, 변수명(i)와 변수값(i)이 출력변수에 전달된다(34). 이는 동일한 변수명에 다수개의 변수값이 중복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통상적으로 입력된 변수를 그대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만일 변수명(i)의 값이 변수명(i-1)의 값과 같으면, 변수값(i)만이 출력변수에 전달된다(36). 이는 동일한 변수명에 다수개의 변수값이 중복되는 현상이 발생한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동일한 변수명에 대하여 변수값만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출력변수에 변수명 또는 변수값을 할당하는 전술한 절차가 수행된 후에(34,36) 다음 출력변수를 덧붙이기 위하여 i의 값이 하나 증가되고(38), 모든 출력변수가 완성될 때까지 단계 32로 복귀되어 반복 수행된다.
출력변수가 완성되면, 변수값(0)으로 제어가 이동되어(42) 다음에 수행할 URL을 찾아내고, 완성된 출력변수에 의해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변수의 내용이 다음과 같은 경우라고 가정한다. 즉 next_url=format_1&val1=tmp&val2=first&val2=second&val2=third
이때 변수명 구분자는 '='으로 사용되고 변수값 구분자는 '&'으로 사용된다.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변수명 val2에는 first, second, third인 3개의 변수값이 중복하여 할당되고 있으므로 이중 하나의 변수값을 제외한 다른 변수값은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의 흐름도를 거쳐 변수명 또는 변수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거친 후에 각 변수명과 변수값에는 다음과 같은 값들이 저장된다. 즉
변수명(0) = next_url
변수값(0) = format_1
변수명(1) = vall
변수값(1) = tmp
변수명(2) = val2
변수값(2) = first
변수명(3) = val2
변수값(3) = second
변수명(4) = val2
변수값(4) = third
이들 저장된 값에 의해 출력변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call URL : format_1
출력변수의 값 : val1=tmp&val2=first:second:third
따라서 동일한 변수명 val2에 대하여 다른 3개의 변수값인 first, second, third가 손실되지 않고 모두 전달된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실시예는 특히 특정된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들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고 단지 설명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서의 각종 변경 및 개량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은 동일한 변수명에 여러개의 변수값이 입력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입력한 변수값이 손실되는 일이 없이 모든 변수값을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4)

  1. 입력변수의 각 스트링을 일련의 변수명(i)과 변수값(i)으로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변수명(i)을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상기 변수명(i)이 변수명(i-1)과 같을 때에는 출력변수에 상기 변수값(i)을 할당하고, 다를 때에는 출력변수에 상기 변수명(i)와 변수값(i)를 할당하여 출력변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명 또는 변수값을 구분하는 것은 소정의 구분자를 탐지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명 구분자는 = 이고, 상기 변수값 구분자는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단계 후에 다음 URL인 변수값(0)로 제어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
KR1019980012446A 1998-04-08 1998-04-08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 KR100492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446A KR100492131B1 (ko) 1998-04-08 1998-04-08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446A KR100492131B1 (ko) 1998-04-08 1998-04-08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708A KR19990079708A (ko) 1999-11-05
KR100492131B1 true KR100492131B1 (ko) 2005-08-01

Family

ID=3730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446A KR100492131B1 (ko) 1998-04-08 1998-04-08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1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627A (ja) * 1995-06-16 1997-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最適化装置
JPH09128224A (ja) * 1995-10-31 1997-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装置及び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方法
KR19980028627A (ko) * 1996-10-23 1998-07-15 양승택 쓰레드(thread) 기반형 번역기에서의 지역변수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627A (ja) * 1995-06-16 1997-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最適化装置
JPH09128224A (ja) * 1995-10-31 1997-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装置及び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方法
KR19980028627A (ko) * 1996-10-23 1998-07-15 양승택 쓰레드(thread) 기반형 번역기에서의 지역변수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708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11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bject-oriented world wide web pages
US6772165B2 (en)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merging source documents on a node-by-node basis to generate a target document
KR100754540B1 (ko) 콘텐트-기반 문서의 보안, 라우팅 및 액션 실행에 관한방법 및 시스템
EP0349457B1 (en) Dynamic redefinition of a shell structure
US5737621A (en) Finite-state encoding system for hyphenation rules
EP073546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locations of errors detected inside software macro calls
KR20020073515A (ko) 확장성 생성 언어용 파서
US5557720A (en)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document tree is weakly valid
US2008025005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ding a Hierarchized Document
JPH0623964B2 (ja) データ・ストリーム修正方法
Johnson et al. A meta-language and system for nonlocal incremental attribute evaluation in language-based editors
KR100492131B1 (ko) 웹 프로그램의 변수 전달 방법
US20040015780A1 (en) Position-independent access to data elements in an electronic document
US7779369B1 (en) Method for the graphic representation and/or processing values of data types
CN117556161A (zh) 一种主题切换方法及装置
GB2429815A (en) Markup language document processing
KR100397602B1 (ko) 좌우 파싱법에서의 애매성 해결 방법
WO19940197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izing a packet switched network
Lai et al. Applications of Even
den Haan et al. Going Behind the Scenes
JP2004021498A (ja) プログラム最適化方法
CN110333871A (zh) 一种验证方法、装置和存储介质
Jacobs Flex Case Study
JP2006260498A (ja) Html全自動プログラム解析動作方法
JPS6326730A (ja) プログラム修正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