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074B1 -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074B1
KR100492074B1 KR10-2003-0040921A KR20030040921A KR100492074B1 KR 100492074 B1 KR100492074 B1 KR 100492074B1 KR 20030040921 A KR20030040921 A KR 20030040921A KR 100492074 B1 KR100492074 B1 KR 100492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band
radio
high frequency
aud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4582A (ko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김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용 filed Critical 김진용
Priority to KR10-2003-004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07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4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01J61/307Flat vessels or containers with folded elongated 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에 관한 것으로,특히, 무전기에 접속되어 무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Push Button S/W와 Push Button S/W로 부터 제어되어 입력되는 가청신호를 압축한 후 고주파 대역으로 변조하여 송출하고, 핸드세트로부터 입력되는 압축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가청주파수대역으로 복조하고 신장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가청주파수대역으로 복조하고 신장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압축하고 고주파대역으로 변조한 후 상기 베이스부로 송출하는 핸드세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전기 사용자가 무전기를 사용할 때에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및 그 방법{Wireless Ear MIC for two way radios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무전기의 이어폰잭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무전기를 직접 사용하지 않더라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통신환경을 제공하고 무전기를 사용하면서도 양손을 자유럽게 사용할 수 있는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작업 중에 무전기를 사용하여 통화를 할 때에 무전기 사용자는 상대방에게 이야기를 전달 할 때에는 Talk 버튼을 눌러야만 한다. 즉, 무전기를 사용을 할 때에는 양손 중 한 손이 자유롭지 않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유선 이어마이크를 사용을 할 경우에도 케이블을 당기거나 꼬아서 사용이 되어지면 쉽게 고장이 나게 되며 이 경우에도 역시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는 한 손을 사용하여 스위치를 눌러야 하만 통화를 할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무전기에 유선 이어마이크를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사용자와 무전기가 유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고, 사용자의 활동력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위치를 누르는 대신에 전용 외부 이어마이크 사용시 VOX (Voice activated Transmission) 기능을 사용 하고 있다. VOX 기능은 음성으로 Talk 버튼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주변 환경이 시끄러운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큰 소리로 이야기를 할 때에는 그 음성이 그대로 마이크를 통해 송신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전기의 이어폰 잭에 베이스부를 연결하고 베이스부와 핸드세트를 무선통신으로 연결하고 허리에 장착을 하는 베이스 윗부분에 Push Button S/W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이야기를 하고자 할 때에 팔꿈치로 베이스에 내장된 Push Button S/W를 눌러 송신을 함으로서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는, 무전기에 접속되어 무전기 신호를 제어하는 Push Button S/W와 Push Button S/W로 부터 제어되어 입력되는 가청신호를 압축한 후 고주파대역으로 변조하여 송출하고, 핸드세트로부터 입력되는 압축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가청주파수대역으로 복조하고 신장하여 상기 무전기로 전달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송출된 압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가청주파수대역으로 복조하고 신장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압축하고 고주파대역으로 변조한 후 상기 베이스부로 송출하는 상기 핸드세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무전기에서 입력되는 가청신호를 압축하고 핸드세트로부터 전달된 압축된 신호를 신장하는 압축/신장부와,
상기 압축/신장부에서 압축된 가청신호를 고주파대역으로 변조하여 상기 핸드세트로 송출하고 상기 핸드세트로부터 입력된 압축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가청주파수대역으로 복조하여 상기 압축/신장부로 전달하는 RF모듈, 및
상기 압축/신장부와 RF모듈로부터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베이스부와 핸드세트 사이의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압축/신장부와 RF모듈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스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양호하게는 상기 핸드세트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된 음성신호를 압축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전달된 압축된 가청신호를 신장하는 압축/신장부,
상기 압축/신장부에서 신장된 가청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
상기 압축/신장부에서 압축된 음성신호를 고주파대역으로 변조하여 상기 베이스부로 송출하고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압축된 도주파대역의 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복조하여 상기 압축/신장부로 전달하는 RF모듈, 및
상기 압축/신장부와 RF모듈로부터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베이스부와 핸드세트 사이의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압축/신장부와 RF 모듈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스유니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는 무전기(110)의 이어폰잭에 삽입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한 베이스부(120)와, 베이스부(12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무전기(110)에 수신된 음성신호를 베이스부(120)를 통해 송출받아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베이스부(120)로 송출하여 무전기(110)에 전달되도록 하는 핸드세트(13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20)는 무전기(110)나 핸드세트(13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 또는 다이얼링신호등과 같은 가청신호를 압축 또는 신장하는 압축/신장부(121)와 ,가정신호를 고주파대역으로 변조하거나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가청주파수대로 복조하는 RF모듈(122)과, 압축/신장부(121)와 RF모듈(122)로부터 상태신호를 전달받고 필요한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스유니트(Micro Process Unit , MPU : 123), 선택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MPU(123)에 전달하는 EEPROM(124), 및 RF모듈(122)에서 변조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핸드세트(130)로 송출하거나 핸드세트(130)로부터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수신받아 RF모듈(122)로 전달하는 안테나(135)를 포함한다.
또한, 핸드세트(130)는 베이스부(120)의 안테나(125)를 통해 송출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수신받거나 베이스부(120)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송출하는 안테나(131)와, 안테나(131)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가청주파수대역으로 복조하거나 베이스부(120)로 송출할 신호를 고주파대역으로 변조하여 안테나(131)에 전달하는 RF모듈(132)과, 음성신호 또는 다이얼링신호 등과 같은 가청신호를 압축 또는 신장하는 압축/신장부(133)와, 압축/신장부(133)에서 신장된 가청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34)와, 증폭된 가청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135)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 받아서 압축/신장부(133)로 전달하는 마이크(136)와 RF모듈(132)과 압축/신장부(133)로부터 상태신호를 전달받고 필요한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스유니트(Micro Process Unit , MPU : 137), 및 선택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MPU(137)에 전달하는 EEPROM(138)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무전기(110)가 착신되면 이 착신신호는 이어폰잭을 통해 무선 이어마이크 베이스부(120)의 연결단자(미도시)로 출력된다. 이 착신신호는 Push Button S/W(100)로 제어가 되며 제어된 신호는 압축/신장부(121)에 입력되어 압축되고, 동시에 압축/신장부(121)는 MPU(123)에 신호가 착신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RX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MPU(123)는 베이스부(120)와 핸드세트(130) 사이의 무선통신을 위한 채널 설정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MPU(123)는 연결채널을 결정하고 그 연결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EEPROM(124)에서 검색한 후, RF모듈(122)이 해당 주파수로 가청신호를 변복조할 수 있도록 위상고정루프(Phase Lock Loop) 제어하고 가청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RF모듈(122)에 TX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연결채널 정보를 핸드세트(130)에 전달한다.
이 연결채널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초기에 핸드세트(130)와 베이스부(120) 사이에 파일롯 채널(Pilot Channel)이 설정되기 때문에 핸드세트와 베이스부의 RF모듈은 동일한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세팅된다. 일반적으로 파일롯 채널로는 0번 채널을 사용하고, 0번 채널이 사용중일 경우에는 1번 채널을 사용한다.
베이스부(120)에서 송출되는 연결채널 정보는 핸드세트(130)의 MPU(137)가 인지하는 바, 핸드세트(130)의 MPU(137)는 EEPROM(138)에 저장되어 있는 연결채널별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 주파수를 인지하고, 상기 핸드세트(130)의 RF모듈(132)이 해당 주파수로 가청신호를 변복조할 수 있도록 위상고정루프(Phase Lock Loop) 제어하고 가청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RF모듈(132)에 TX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채널이 설정되어 연결되면, 베이스부와 핸드세트는 가정신호를 동일한 무선주파수로 변복조하여 가청신호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채널이 설정되면, 압축/신장부(121)에서 압축 처리된 착신신호나 다이얼링 신호, 및 상대방 통화자의 음성신호가 RF모듈(122)로 전달되어 설정된 고주파대로 변조되고, 변조된 신호가 안테나(125)를 통해 송출된다.
베이스부(120)의 안테나(125)를 통해 송출된 고주파신호는 핸드세트(130)의 안테나(131)로 입력되고, RF모듈(132)에 전달된다. 이 RF모듈(132)은 고주파신호를 가청주파수대역으로 복조하고 압축/신장부(133)로 전달하며, 이 압축/신장부(133)는 압축된 신호를 신장하여 증폭부(134)를 통해 스피커(135)로 전달하여 스피커(135)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의 통화를 위한 음성신호는 마이크(136)를 통해 압축/신장부(133)로 전달되어 압축된다. 압축/신장부(133)는 MPU(137)에게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된 것을 알리는 RX신호를 출력하고, MPU(137)는 이 RX신호가 수신되면 RF모듈(132)이 동작할 수 있도록 TX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압축/신장부(133)에서 압축된 음성신호는 RF모듈(132)에서 고주파대역으로 변조된 후, 안테나(131)를 통해 베이스부(120)로 송출된다.
베이스부(120)의 안테나(125)는 신호를 수신하여 RF모듈(122)로 전달하고, RF모듈(122)은 입력되는 압축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가청주파수대역으로 복조하고, 압축/신장부(121)로 전달한다. 압축/신장부(121)는 압축된 신호를 신장한 후 무전기(110)에 전달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사용예로 팔꿈치로 베이스부(120)에 내장된 Push Button S/W(100)를 눌러 송신하는 장면을 도식화 한 것이다. 사용자가 이야기를 하고자 할 때에 팔꿈치로 베이스부(120)에 내장된 Push Button S/W(100)를 눌러 송신을 함으로서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전기 사용자가 이야기를 하고자 할 때에 팔꿈치로 베이스에 내장된 Push Button S/W를 눌러 송신을 함으로서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Push Button S/W 110 : 무전기
120 : 베이스부 121,133 : 압축/신장부
122, 132 : RF모듈 123, 137 : 마이크로프로세스유니트(MPU)
124, 138 : EEPROM 125, 131 : 안테나
130 : 핸드세트 134 : 증폭부
135 : 스피커 136 : 마이크
도면 2는 본 발명의 사용예로 팔꿈치로 베이스부에 내장된 Push Button S/W를 눌러 송신하는 장면을 도식화 한 것이다.
100 : Push Button S/W 120 : 베이스부
도면 3은 무전기에 연결되는 베이스부로 Push Button S/W 부분을 도식화 한 것이다.
100 : Push Button S/W 120 : 베이스부

Claims (4)

  1. 무전기에 접속되어 무전기로부터 입력되는 가청신호를 압축한 후 고주파대역으로 변조하여 송출하고, 핸드세트로부터 입력되는 압축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복조하고 신장하여 무전기로 전달하고, 무전기의 피티티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푸쉬 버튼을 내장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송출된 압축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복조하고 신장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압축하고 고주파 대역으로 변조한 후 상기 베이스부로 송출하는 헤드세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 마이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3-0040921A 2003-06-24 2003-06-24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및 그 방법 KR100492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921A KR100492074B1 (ko) 2003-06-24 2003-06-24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921A KR100492074B1 (ko) 2003-06-24 2003-06-24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838U Division KR200309723Y1 (ko) 2003-01-10 2003-01-10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582A KR20040064582A (ko) 2004-07-19
KR100492074B1 true KR100492074B1 (ko) 2005-06-01

Family

ID=3735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921A KR100492074B1 (ko) 2003-06-24 2003-06-24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0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582A (ko) 200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2596B2 (en) Hearing assistive system with low power interface
CN1460353A (zh) 包括耳机和连接到移动电话的中间模块的无线系统
JP2000013294A (ja) 無線送受話器
KR920015798A (ko) 무선 전화기용 자동 채널 선택 시스템
CN210724784U (zh) 一种耳挂式对讲机
KR100492074B1 (ko)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및 그 방법
KR200309723Y1 (ko) 무전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KR200211431Y1 (ko)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KR20020011497A (ko)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무선 이어마이크
KR100630047B1 (ko)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이동무선 전화기
KR200218536Y1 (ko) 이동 단말기의 무선 핸즈프리시스템
KR100849138B1 (ko) 무선 헤드셋
KR200226255Y1 (ko) 이어폰만을 무선화한 무선 핸즈프리
CN201234297Y (zh) 一种小型无线耳机、移动终端及通讯装置
KR200187695Y1 (ko) 다이얼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마이크 타입 무선 전화기
PT1558013E (pt) Processo e terminais comunicantes para a emissão e recepção à distância de sinais de telefonia audio e/ou video
KR200208111Y1 (ko) 음성변환기능이 내장된 마이크 겸용 이어폰
KR200284735Y1 (ko) 휴대폰용 이어폰 마이크
KR200261793Y1 (ko) 핸즈프리 겸용 무전기
KR200209943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핸즈 프리 유닛을 갖는 무전기
JP2008022190A (ja) ワイヤレスマイクロホンシステム
KR200164205Y1 (ko) 핸즈프리형 이어마이크폰 휴대장치
KR2000004190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 음량 조정방법
KR200303645Y1 (ko) 송수신기
KR200303455Y1 (ko) 송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