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407B1 -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407B1
KR100491407B1 KR10-2001-0074110A KR20010074110A KR100491407B1 KR 100491407 B1 KR100491407 B1 KR 100491407B1 KR 20010074110 A KR20010074110 A KR 20010074110A KR 100491407 B1 KR100491407 B1 KR 100491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flood
data
gis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115A (ko
Inventor
김계현
윤천주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인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인하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인하학원
Priority to KR10-2001-007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4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리·수문 모델과 GIS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홍수위험지역에 대한 예측과 홍수위험지도를 제작·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은, 홍수위험 예측 및 결과도시를 위한 GIS 도형자료 및 속성자료가 저장된 GIS 데이터 베이스와, G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하천 정보를 검색하는 하천정보 검색 모듈과, 수리·수문 모델링을 연계하고 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수리·수문 모듈과, 모델링 결과를 도시하여 지도로 제작하는 지도제작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홍수관리 및 홍수피해지역의 피해액 보상 등의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적은 비용으로 최상의 홍수관리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경제성 높은 시스템의 구축이 이루어지며, 홍수시 피난 경로와 피난 장소, 의약품과 식량 및 주요 구난 장비의 위치 등을 상세히 제공하여 신속한 재난 대처와 함께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게 된다.

Description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gen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flood hazard map using a GIS}
본 발명은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이하 홍수위험지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리·수문 모델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홍수위험지역에 대한 예측과 홍수위험지도를 제작·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홍수에 의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홍수 피해 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파악 관리하여야 하며, 지역의 주민에게도 지역의 특성을 주지시켜야 한다. 이와 함께 홍수시 피난 경로와 피난 장소, 의약품과 식량 및 주요 구난 장비의 위치 등을 상세히 제공하여 신속한 재난 대처와 함께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홍수위험지도는 태풍이나 집중호우에 의한 홍수 발생시 제방의 월류 및 붕괴로 인한 예상 침수구역을 강우빈도(100년, 200년 등)별로 나타내고, 침수면적과 깊이를 표현한 지도로서 국외 선진국에서 방재형 국토관리의 정책결정과 홍수피해에 대한 대민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홍수에 의한 피해가 나날이 커지고 국토의 개발에 따른 자연 재해가 많아짐에 따라 보다 방재형 국토개발로 국민의 안전과 복리를 증진하고, 홍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홍수위험지도의 제작 및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홍수범람구역도와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로 두 가지 종류의 지도를 주민에게 배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침수심의 표현은 일본의 경우 0.5m 간격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도 0.2m나 0.5m를 요구사항으로 하였다. 축척의 경우 1:10,000 정도의 축적을 가져야 기본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정보들을 표시하여 정보의 전달이 명확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도형 및 속성의 조회와 검색, 수리·수문의 분석과 분석결과의 도식화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사용이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은,
홍수위험 예측 및 결과도시를 위한 GIS 도형자료 및 속성자료가 저장된 GIS 데이터 베이스와, G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하천 정보를 검색하는 하천정보 검색 모듈과, 수리·수문 모델링을 연계하고 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수리·수문 모듈과, 모델링 결과를 도시하여 지도로 제작하는 지도제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GIS 데이터 베이스는 지형도, 하천도, 토양도, 유역도, 행정구역도로 이루어진 도형 데이터 베이스와 하천기본현황, 유역자료현황, 강우자료현황, 침수자료현황, 지형자료현황으로 이루어진 속성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된다.
삭제
상기 하천정보 검색 모듈은 하천정보 검색, 침수정보 검색, 하천 메타데이터 검색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리·수문 모듈은 강우해석, 유출해석, 범람해석, 하도추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도제작 모듈은 하천정보 도식화, 관련정보 도식화, 침수도 도식화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시범 대상 지역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이하, 홍수위험지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범 대상 지역을 '99년 여름 경기도 북부지역에서 발생한 홍수 사상 등을 고려한 상습 침수지역인 문산읍과 문산천유역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시스템에 의해 설계되는 홍수위험지도의 사용 목적은 전문가의 설문 조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홍수재해관리와 재해피난에 이용되어야 한다. 일본의 경우에, 홍수위험지도는 홍수범람구역도와 피난경로를 포함하는 지도로서 두 가지 종류의 지도를 주민에게 배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홍수위험지도 설계시 침수심의 표현은 일본의 경우에 0.5m 간격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에도 0.2m나 0.5m를 요구사항으로 하고 있다. 축척의 경우에는 1:10,000 정도의 축적을 가져야 기본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정보들을 표시하여 정보의 전달이 명확할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의 경우 에는 1:25,000의 수치지도만이 확보되어 배포용 지도의 축척은 1:25,000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는 일반 주민들에게 배포할 내용이므로 전문적인 내용을 배제하고 일반적인 종이지도와 유사하게 제작되어 손쉬운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에 의해 설계된 기본형 홍수위험지도의 도면 규격을 예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에 의해 설계된 게시형 홍수위험지도의 도면 규격을 예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에 의해 설계된 홍수위험지도의 범례를 예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수위험지도에서 도면 규격은 기본형( 550 mm × 440 mm)과 게시형(1120 mm × 780 mm)의 두 가지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면의 규격은 기존의 다른 지도제작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기본형의 경우에는 국립지리원에서 발행되고 있는 국가기본도의 도면규격과 동일한 규격으로 설계하며, 게시형의 경우에는 국외 홍수위험지도를 참조한다.
홍수위험지도에서 도식화 항목은 유역명, 축척, 범례, 안내문의 항목이 포함되며, 유역명을 제외한 항목은 지도 제작시 여백을 활용하여 표기되도록 한다. 세부 항목별 표기방식은 아래와 같다.- 유역명 대상유역명이 포함된 지도의 이름을 기입한다. (예) 문산유역 홍수위험지도 - 축척 표시방법은 국립지리원의 지도제작지침에 따르며, 유역에 따라 축척은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도록 한다. - 범례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주민들에게 배포되므로 침수심과 과거 제방붕괴지점 항목만 표시하도록 한다. 침수심은 50cm 단위의 모두 8단계로 나뉘었으며, 도 4는 종이지도의 범례를 보여준다. - 안내문
홍수위험지도의 제작 목적, 활용도, 홍수재해시 유의사항 등 지도를 배포하는 주체에서 주민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기재되도록 한다. 강우 빈도는 100년 빈도 강우를 기본으로 하여 유역의 크기와 지역의 중요도에 따라 바뀌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안내문의 예는 아래와 같다.o 안내문의 예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시스템은 홍수와 관련하여 홍수 전후의 효율적인 대책과 관리를 위한 것으로서 GIS 데이터베이스, 하천정보 검색 모듈, 지도제작 모듈, 및 수리·수문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홍수위험지도 시스템은 하천관리자나 재해업무관리자의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홍수 관련 자료의 조회기능을 포함하여 설계하고, Windows를 기반으로 하여 ArcView, Visual Basic으로 구축되며, 수리·수문모델의 결과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고, 이를 GIS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도식화하여 홍수위험지도 제작에 활용된다. GIS 데이터베이스는 도형 데이터베이스와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데이터베이에는 홍수위험 예측 및 결과도시를 위한 GIS 도형자료, 속성자료들이 저장되어 있다.하천정보 검색 모듈은 G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하천정보, 침수 정보, 하천 메타데이터를 검색한다. 수리·수문 모듈은 강우 해석, 하도 추적, 유츌해석, 범람 해석을 통해 수리·수문 모델링 연계 및 GIS 데이터베이스로의 저장을 담당한다.지도제작 모듈은 수리·수문 모듈의 모델링 결과의 도시하여 홍수위험지도를 제작한다.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기본 자료 흐름, 도형 조회시 세부 자료 흐름, 유역 현황 자료 흐름, 및 침수 실적 자료 흐름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수리·수문 모형 자료 흐름, 수리·수문모형의 연계 자료 흐름, 시스템 관리 자료 흐름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GIS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해 보면, 먼저 도형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GIS 도형데이터의 목록은 아래 표 1과 같다. 다음, 도형데이터에 연계된 속성데이터를 제외한 별도의 DBF 파일 형태의 속성데이터는 아래 표 2와 같이 하천마스터와 범람해석과 관련된 2개의 속성데이터 파일이 존재한다 GIS 데이터베이스의 세부 설계 - 실폭하천 홍수위험지도의 실폭하천은 표준 하천 데이터모델에서 정의한 실폭하천이다. 즉, 실폭하천은 NGIS 지형도 1:5,000로부터 하천에 해당하는 지형지물코드를 참조하여 하천레이어를 추출이 가능하다. 실폭하천의 지형지물코드와 속성테이블은 표 3과 같다. - 등고선 등고선은 NGIS 지형도 1:5,000으로부터 등고선에 해당하는 지형지물코드를 참조하여 레이어를 추출이 가능하다. 등고선은 표 4와 같은 속성테이블과 지형지물 코드를 갖는다. - 표고 표고는 다음과 같은 지형지물코드를 참조하여 NGIS 지형도에서 레이어의 추출이 가능하다(표 5). - 도로경계 도로는 수치지형도로부터 추출이 가능하며, 국립지리원의 수치지형도 레이어 코드는 아래와 같다(표 6). 도로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시도, 군도, 면·리간도로, 부지안도로를 포함한다. - 철도중심선 철도중심선은 수치지형도로부터 추출이 가능하며, 표 7의 레이어 코드를 사용한다. 철도의 중심선은 NGIS에 포함되는 보통철도, 특수철도, 터널안 철도, 건설 중인 철도, 지하철(지하부), 지하철(지상부)을 모두 포함한다. - 행정경계 행정경계는 수치지형도로부터 추출이 가능하며, 수치지형도 레이어 코드체계를 따른다. 다음 표8은 행정경계의 속성테이블과 수치지형도의 레이어 코드이다. - 호수·저수지 호수·저수지는 NGIS 지형도 1:5,000에서 하천에 해당하는 지형지물코드를 참조하여 하천레이어를 추출한다(표 9). - 수자원단위지도 수자원단위지도는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제시한 수자원단위지도의 코드체계를 따르며 속성값은 표 10과 같다. - 지질도 지질도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수치지질도의 체계를 따르며, 속성테이블은 표 11과 같다. - 토양도토양도의 경우는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에서 추출되었으며, 농기반공사에서 제시한 정밀토양도의 도형 및 속성의 구성체계) 농업기반공사, 1999, 한국 토양환경 정보시스템와 동일하다(표 12). - 녹지자연도 녹지자연도 환경부의 녹지자연도에서 추출되었으며, 환경부의 분류등급을 따른다(표 13). - 홍수침수도 홍수침수도는 수리·수문분석 중 범람해석의 결과를 GIS 데이터로 변환한 것을 의미한다(표 14). - 하천마스터 하천정보 표준화에 관한 연구에서 정의된 하천과 관련된 가장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한다(표 15). - 범람해석 홍수침수도는 수리·수문 결과 테이블로서 홍수침수도와 연계되어 사용된다(표 1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화면 설계는 아래와 같이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화면 설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화면은 ①∼④와 같이 메뉴바, 툴바, 색인도 창, 주화면창으로 나눌수 있다. ①번의 메뉴바는 시스템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도형조회, 속성조회, 검색, 메타데이터검색, 수리수문분석, 침수지역보기, 홍수위험지도 출력, 시스템관리, 도움말 등으로 나눌수 있다. ②의 툴바는 메뉴바에서 실행가능한 기능을 직관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버튼의 형식으로 설계한다. ③은 주화면창의 이동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색인도 창이며, ④은 주화면창으로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창이다.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메뉴를 예시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전체 메뉴는 시스템관리, 도형조회, 속성조회, 자료입력, 검색, 공간분석, 수리·수문분석, 보기, 도움말로 구성되고, 아래 표 17 및 표 18에 시스템 메뉴 기능을 정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은 상기에서 상술한 데로 구축된 G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도형 및 속성의 조회와 검색, 수리·수문의 분석. 및 분석 결과의 도식화를 기본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리·수문분석을 위한 각종 모델링 도구를 시스템과 연계하여 다양한 지역에 대한 수리·수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들에게 사용이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시스템은 운용의 효율성을 위하여 아래 세 가지 사항의 기술적 측면을 고려하고 있다. - 확장성 홍수위험지도 시스템은 홍수위험 지역(침수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뿐만 아니라, 홍수위험 지역의 발생 원인과 예방대책 등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모델링 도구들의 통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스템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개발한다. - 호환성 홍수위험지도 시스템을 통하여 구축되고 향후 구축될 다량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다수의 관련 기관에 효과적으로 전달 적용되어야 한다. 정보의 공유를 위하여 시스템의 호환성이 요구된다. - 안정성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필수 사항인 안정성을 위하여 본 시스템이 적용될 하드웨어의 사양에 적합한 시스템의 개발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적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관리적 측면에서 사용자의 요구분석을 통하여 관련 현업의 실무자와의 접촉을 통하여 필수적인 기능들을 구현하고, 또 시스템 구조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들을 위해 시스템의 복잡도를 낮추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면에서 전산경험과 인지도는 있는 사용자들과 함께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에게도 사용이 용이한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직관적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는 효율적인 메뉴 항목들을 적용하여 빠르고 손쉽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효율적인 홍수관리 및 홍수피해지역의 피해액 보상 등의 분석을 하는데 있어 매우 적은 비용으로 최상의 홍수관리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경제성 높은 시스템의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메뉴는 크게 도형조회, 속성조회, 검색, 메타데이터 검색, 수리·수문분석, 침수지역보기, 홍수위험지도출력, 시스템 관리, 도움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주 메뉴 아래 세부 메뉴들로 구성되어 있다. 도 15과 16는 시스템 로그인 화면과 시스템의 전체 메뉴화면이다. - 도형 조회 본 시스템의 도형조회 메뉴는 대상 지역의 행정구역도, 수자원단위지도, 하천도, 등고선도, 도로망도, 토양도, 녹지자연도, 지질도 등의 레이어가 조회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세부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에 적합한 레이어들이 선택되어 화면에 표시되며, 마우스 클릭을 통하여 해당 레이어의 도형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17은 도형조회 메뉴의 구성을 보여주며, 그림 18은 도형조회의 결과이다. 도형 조회 메뉴에서 레이어 중첩기능이 있으며, 이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레이어를 화면에 추가 또는 제거할 수가 있다. 이 기능은 레이어를 시스템에서 추가 제거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보여지는 창에 대한 레이어의 가감을 조절하는 기능이다. 그림 19는 레이어 중첩 기능을 선택시 보여지는 대화상자와 화면의 구성이며, 대화상자의 체크버튼으로 선택여부를 표시하고 기준이 되는 레이어를 선택하여 해당 레이어의 도형 속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속성 조회 속성조회 기능은 해당하는 지역의 레이어별 속성정보를 제공한다. 그림 20은 속성조회의 메뉴이다. 하천 레이어의 경우 홍수위험지도에서 가장 중요한 레이어이므로, 일반 속성 이외에도 상세한 속성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 기능은 침수지역을 모델링한 결과에 대해서도 적용되어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의 침수 깊이와 같은 정보 또한 손쉽게 얻을 수가 있으며 변경된 내용에 대한 수정도 가능하다(그림 21, 22). - 검색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에 대한 정보(지역명)를 대화상자를 통하여 제공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을 검색하여 확대하여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지역의 위치를 알지 못하더라도 손쉽게 해당 지역을 조회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행정구역명과 하천명을 키워드로 하여 원하는 지역의 도형의 위치를 검색이 가능하다(그림 23, 24). - 메타데이터메타데이터의 중요성은 시스템의 발달로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에서는 하천정보 표준화에 관한 연구)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2001, 하천정보 표준화에 관한 연구에서 대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시스템의 메타데이터 편집기는 하천정보표준화에서 개발된 메타데이터 편집기를 사용하였으며, 메타데이터는 하천정보표준화에서 시범 구축한 내용을 사용하였다. 메타데이터는 DB의 형태로 저장되어 사용자가 정보를 취득하는데 매우 용이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수정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아래의 그림 25에서는 메타데이터의 메인 창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 유역별로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메타데이터의 각 유역별 세부 항목으로는 식별정보관리, 자료품질정보관리, 연혁정보관리, 공간자료 표현 정보관리, 공간 기준계 정보관리, 대상물 목록 정보관리, 자료배포 정보관리, 메타데이터 참조 정보관리가 있으며, 각각의 세부 메뉴들은 개별적인 정보창으로 해당 내용을 전달한다. - 수리·수문분석수리·수문분석은 강우해석, 유출해석, 하천흐름 및 범람해석으로 이루어진다. 그림 26의 (a)처럼 메뉴바에 실행을 시키면, (b)와 같이 수리·수문분석을 위한 메뉴바가 실행되도록 하였다. (1) 강우해석강우 해석은 대상유역의 강우 자료를 해석하고 유출모형에 필요한 빈도별 강우량을 산출하는 작업이다. 모형의 구성은 입력 데이터화면과 모형 실행화면, 모형의 수행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강우해석의 메뉴이다(그림 27). ① 입력 자료강우 모형의 입력 데이터는 대상유역과 강우자료, 모형이 수행할 대상 유역의 해석 강우 빈도의 개수와 빈도의 종류이다. 그림 28는 문산유역의 강우 데이터 36개와 데이터 해석강우빈도 7개(5년, 10년, 20년, 50년, 80년, 100년, 200년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② 도움말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강우모델의 입력 창에 대한 설명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강우모델 입력창에서 도움말을 클릭하면 그림 29와 같은 도움말을 볼 수 있다. ③ 강우 모델의 실행강우 모형의 데이터 입력이 끝나고 강우해석을 실행하는 화면이다(그림 30). 강우 모형은 DOS 버전으로 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GUI의 구현으로 INPUT 파일과 OUTPUT파일명이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였다. 강우모형의 실행을 수행하면 DOS 화면의 강우모형이 실행된다. ④ 강우해석 결과다음 그림 31은 강우해석결과를 도시하는 화면으로 기초통계자료, 적합도, 빈도우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빈도우량은 유출해석에서 확률홍수량 산정시 입력 데이터로 사용된다. o 기초통계자료 입력된 강우자료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한 적합도 판정에 필요한 기초 통계자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메뉴이다. 기초 통계자료로 입력한 강우데이터의 평균과 분산, 왜곡도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o 적합도빈도 우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입력한 경우 데이터의 적,부를 판정하는 단계로서 강우빈도 우량의 산출모형은 GAM2, GUM, LN2, LN3 모형이 사용되었고, 검정 방법으로는 x2 방법과 K-S 방법을 이용하여 판정한다. 각각의 모형에 대한 검정기준값은 정해져 있으며, 계산값이 이보다 큰 값은 부적합한 것으로 판정된다. o 빈도 우량 각 모형별과 빈도별로 강우량을 산출한 결과로 유출해석에 필요한 강우해석자료이다. 강우해석을 여러 번 수행한 결과 LN2 모형으로 산출된 자료가 문산 유역에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이 빈도 강우자료는 유출모형에서 강우분포 수행에 사용된다. (2) 유출해석대상유역의 임의 지점에서의 홍수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유출모형에 의한유출량을 산출해야 한다. 예측된 유출량은 하도추적모형과 범람모형의 수행시 필요한 자료로 사용된다. 유출모형은 입력화면, 실행화면, 출력화면으로 구성된다. 그림 32은 유출해석의 메뉴이다. ① 유출해석입력유출모형의 수행시 필요한 자료로서 기본정보, 입력조건, 모의시간, 강우자료, 소유역자료, 유출조건 지류정보, 하도정보를 구분하여 입력한다. 그림 33은 유출해석에 앞서 입력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창이다. 세부 입력자료는 아래와 같으며, 입력창은 그림 34과 같다 o 기본정보기본정보창에서는 대상유역과 모의수행 후 출력될 파일명을 정한다.o 입력조건 유출모형의 수행시 필요한 자료의 특성을 지정하는 것으로 모의시간, 관측소 개수, 유역출구 개수, 소유역 개수, nqsn, 하도 개수, 댐수, 합류점의 수, nunc, 사용된 단위유량도의 수, ndiv, Huff 분포의 수로 구성된다.o 모의 시간 현재의 시간과 홍수개시시간, 홍수종료시간을 지정하는 화면이다.o 강우자료 강우 데이터의 입력자료의 양식과 그 입력자료의 강우 분포를 위한 Huff 계수를 입력하는 창이다. 강우 데이터의 입력자료의 양식은 데이터 파일(rain.dat)을 이용하는 방식과 강우해석 모형에서 생성된 빈도강우량을 입력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때는 Huff 방법으로 강우를 분포시킬 때 필요한 분포시간(강우지속시간)을 입력하여야 한다.o 소유역 자료 대상유역(문산유역)에 대한 정확한 유출해석을 위하여 소유역으로 나누어 입력한다. 각 소유역의 입력자료로는 유역명, 단위유량도 갯수, 유역면적(km), CN계수, 도달시간(hr), 유로연장으로 구성되어 있다.o 유출조건/지류정보 유역의 지형과 공간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으로, 지형정보로는 토양의 수분함유 상태를 나타내는 AMC조건(1: 강우 후 유출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 2: 토양침투 후 유출이 일어나는 상태, 3: 유출만 일어나는 상태)을 설정하고, 유출의 적용 모형을 선택(1: Clark, 2: Nakayasu, 3: Nash)한다. 공간정보로는 소유역과 지류의 합류점이 발생하는 곳에서의 유출이 소유역 유출(1-50)인지 하도 유출(51 이상)인지를 지정한다.o 하도정보 소유역의 합류 후 하도 유출이 발생할 경우 하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창으로 각 하도(문산유역의 경우 하도를 R1, R2, R3의 3곳으로 선정함)에 대한 하도 단면수, 하도 연장, 조도계수, 하도경사, 하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② 도움말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유출 모델의 입력창에 대한 설명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출모델 입력창에서 도움말을 클릭하면 그림 35와 같은 도움말을 볼 수 있다.③ 유출 모형의 실행유출모형의 데이터 입력이 끝나고 유출해석을 실행하는 화면으로 DOS 버전의 유출모형에서는 '작업을 선택하시오(1:강우사상, 2:확률홍수량)'라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하지만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그림 32, 33, 34에서와 같이 GUI를 구현하여 작업 선택사항과 입력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출모형은 DOS 버전으로, 그림 36은 실행화면이다. ④ 유출해석결과그림 37은 모형의 실행 후 생성된 파일을 각 자료군으로 분류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는 소유역 유출모형 상수, 하도유출 모형상수, 소유역 1mm·1hr 단위도 종거(cms), 소유역 평균우량·유효우량(mm), 소유역 유출량, 분할 하도별 유입·유출량(cms)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료들 중 소유역 유출량과 분할 하도별 유입·유출량은 하도 추적모형과 범람모형의 입력 데이터로 쓰여진다. o 유역 유출모형상수 유출모형에서 선택된 유출모형 실행방법에 대한 내용인 유역 유출모형(1:Clark), 유효강우량 산정방법(SCS(CN))을 도시하고, 각 소유역별 CN지수, 유역 면적, 첨두시간, 첨두유량을 나타낸다.o 하도 유출모형상수 분할된 하도의 각 하도 길이, 하도경사, 조도계수와 분할 하도의 합류 정보와 유출의 형태를 보여준다.o 소유역 1mm·1hr 단위도 종거(cms) 입력 데이터 중 소유역자료로 입력된 CN계수와 강우자료와 Clark 모형에 의한 각 소유역별 단위우량도를 생성한 것이다.o 소유역 평균우량과 유효우량(mm) 홍수개시시간부터 홍수종료시간까지의 소유역별 평균우량과 유효우량을 나타낸다.o 소유역 유출량 하도 추적과 범람모형에 입력되는 자료로 각 소유역의 유출량을 나타낸다.o 분할 하도별 유입/유출량(cms) 하도 추적과 범람모형에 입력되는 자료로 각 하도의 유입/유출량 이다.(3) 하천흐름 및 범람해석강우모형과 유출모형을 실행하여 얻어진 데이터와 홍수 예상지역의 지형 데이터, 제방의 자료, 범람모형의 제어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제방 파괴에 의한 범람모의를 수행한다. 그림 38는 하천흐름 및 범람해석의 메뉴이다. <그림 38> 범람해석의 메뉴① 입력 데이터입력 데이터로는 모형을 제어하는 일반제어자료, 지류옵션, 제방파괴자료, 본류단면, 지류단면, 조도계수, 홍수터자료로 구분하였으며, 그외의 자료는 선행된 해당 모형의 출력자료 중 하천흐름 및 범람해석의 입력자료로서 선정된 자료가 사용된다. 그림 39은 하천흐름 및 범람해석을 위한 모델의 입력데이터 화면이다. o 일반제어자료 모의 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하천의 수, 하도 단면자료의 총수, 수문곡선 값의 수)와 모형에 모의 수행방법(하도모형 계산 시간간격, 모의 수행시간)과 메인 엔진의 변수(지류 합류점 가속인자, 가중인자)를 지정한다.o 지류 옵션 지류의 공간/지형적인 특징(총 지류의 수, 하도의 단면 수, 직상류 단면의 수, 유입각도)과 홍수시 홍수파와 바람과의 관계(바람응력계수, 풍속, 유입각)를 정의하여 입력한다.o 제방 파괴자료 제방의 예상 파괴지점과 파괴 전 후의 제원(지점 제방의 높이, 제방 결괴부의 최종폭, 결괴부 바닥 최종표고)에 관한 내용을 입력한다.o 본류단면 본류인 문산천의 지형적인 형태를 수치로 표현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단면 위치와 단면간의 거리, 각 단면의 형태(station, elevation)를 입력한다. 문산천의 경우 단면거리 200m에 29개 단면을 사용하여 5600m의 거리를 단면의 형상과 함께 입력하였다.o 지류단면 문산천의 지류인 동문천의 하도 단면 위치와 지점 거리, 하도 단면의 형태를 입력한다.o 조도계수 본류(문산천)와 지류(동문천)의 조도계수를 입력하는 화면이다. 이 조도계수는 하도추적모형의 실행에 의하여 산출되는 값으로 하천의 좌우 조도계수가 입력된다.o 홍수터 자료 홍수터로 예상되는 지역을 격자로 나누고 각 격자의 위치와 표고를 입력한다. 문산유역의 경우 50m 크기의 격자로 757개를 생성하였고, 각 격자의 표고를 입력하였다.② 도움말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하천흐름 및 범람해석의 경우도 타 모델과 같이 도움말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천흐름 및 범람해석 입력창에서 도움말을 클릭하면 그림 40와 같은 도움말을 볼 수 있다. ③ 하천흐름 및 범람해석의 실행하천흐름 및 범람해석의 데이터 입력이 끝나고 하천흐름 및 범람해석을 실행하는 화면이다(그림 41). 하천흐름 및 범람모형은 DOS 버전이었으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GUI의 구현으로 INPUT 파일과 OUTPUT파일명이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였다. (4) 하천흐름 및 범람해석 결과하천흐름 및 범람해석의 결과화면은 침수구역의 특성을 문자파일로 보여준다(그림 42). 이는 홍수위험지도 시스템에 연결되어 침수예측지역을 도시화하는데 이용된다. 결과 자료로는 홍수로 인한 시간별 침수구역의 유량속도와 유량의 방향, 침수깊이가 산출된다. 이 결과의 값은 GIS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되어 침수지역보기에서 화면에 출력된다. - 침수구역보기본 시스템에서는 침수구역을 도시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침수도와 함께 위성영상, 이미지지도, 2D 동영상, 3D동영상 등을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그림 43). 대상유역의 수리·수문분석이 완료되면 분석결과를 GIS 데이터로 변환하여 대상 유역의 화면에 도시한다(그림 44). 또한 GIS 데이터로 변환한 범람해석 결과 데이터는 그림 45과 같이 조회가 가능하다. 본 시스템에서 사용한 영상은 한국수자원공사의 협조를 얻어 러시아 고해상도 위상인 공간해성도 2m의 TK-350 위성영상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① 2D 동영상 보기그림 47은 시간에 따른 침수지역의 변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2D의 동영상 데이터를 제작하였다. 2D 동영상은 위성영상 위에 범람해석 결과를 중첩하여 보여줄 수 있도록 하였다. ② 3D 동영상 보기그림 48은 2D인 침수 지도를 3D로 변환하여 동영상을 제작한 것이다. 동영상의 시작은 침수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모델링의 결과를 3D형식으로 시간별로 표현하였다. - 홍수위험지도 출력홍수위험지도의 출력 기능은 프린터에 대한 설정을 포함한다(그림 49). 프린터의 설정은 인쇄를 지원하기 위함 기능으로 프린터의 설정, 용지의 크기, 공급 방식, 인쇄의 방을 설정할 수 있다(그림 51). - 시스템 관리 시스템 관리 메뉴는 시스템 초기화, 레이어 추가·삭제, 범례 보이기·숨기기·편집, 레이블 보이기·지우기, 인쇄·프린터 설정, 시스템의 종료가 있다(그림 52). ① 시스템 초기화시스템을 초기화를 시켜주는 메뉴로 뷰상에는 행정구역도가 출력된다(그림 53). ② 레이어 추가·삭제레이어 추가·삭제의 기능의 시스템의 뷰상에 레이어를 직접 추가·삭제하는 기능이다. 이는 데이터가 갱신되거나 새로운 레이어를 추가하여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그림 54, 55). ③ 범례 보이기·숨기기·편집사용자가 레이어의 범례에 대한 수정이나 정보가 필요할 때를 위하여 범례 보이기·숨기기·편집 메뉴를 설정하였다(그림 56, 57). ④ 레이블 추가·삭제레이블 추가·삭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로써 뷰상에 출력되는 레이블에 대한 조정을 지원한다(그림 58, 59). - 도움말본 시스템에서는 홍수위험지도에 대한 이해를 위해, 홍수위험지도의 제작 과정에 대한 도움말을 추가하였다(그림 60).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효율적인 홍수관리 및 홍수피해지역의 피해액 보상 등의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적은 비용으로 최상의 홍수관리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경제성 높은 시스템의 구축이 이루어지며, 홍수시 피난 경로와 피난 장소, 의약품과 식량 및 주요 구난 장비의 위치 등을 상세히 제공하여 신속한 재난 대처와 함께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시범 대상 지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에 의해 설계된 기본형 홍수위험지도의 도면 규격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에 의해 설계된 게시형 홍수위험지도의 도면 규격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에 의해 설계된 홍수위험지도의 범례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기본 자료 흐름, 도형 조회시 세부 자료 흐름, 유역 현황 자료 흐름, 및 침수 실적 자료 흐름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수리·수문 모형 자료 흐름, 수리·수문모형의 연계 자료 흐름, 시스템 관리 자료 흐름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화면 설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메뉴를 예시한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홍수위험 지역에 대한 예측과 그 예측 결과를 도시를 위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도형자료 및 속성자료가 저장된 GIS 데이터 베이스와,
    G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하천 정보를 검색하는 하천정보 검색 모듈과,
    수리·수문 모델링을 연계하고 GIS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수리·수문 모듈과,
    모델링 결과를 도시하여 지도로 제작하는 지도제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GIS 데이터 베이스는 지형도, 하천도, 토양도, 유역도, 행정구역도로 이루어진 도형 데이터 베이스와 하천기본현황, 유역자료현황, 강우자료현황, 침수자료현황, 지형자료현황으로 이루어진 속성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3. 제 2 항 에 있어서, 상기 하천정보 검색 모듈은 하천정보 검색, 침수정보 검색, 하천 메타데이터 검색으로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4. 제 2 항 에 있어서, 상기 수리·수문 모듈은 강우해석, 유출해석, 범람해석, 하도추적으로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5. 제 2 항 에 있어서, 상기 지도제작 모듈은 하천정보 도식화, 관련정보 도식화, 침수도 도식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KR10-2001-0074110A 2001-11-27 2001-11-27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KR100491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110A KR100491407B1 (ko) 2001-11-27 2001-11-27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110A KR100491407B1 (ko) 2001-11-27 2001-11-27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115A KR20030043115A (ko) 2003-06-02
KR100491407B1 true KR100491407B1 (ko) 2005-05-25

Family

ID=2957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110A KR100491407B1 (ko) 2001-11-27 2001-11-27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4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93B1 (ko) 2008-12-04 2009-09-22 (주)아세아항측 홍수모델정보가 표시된 수치지도의 제작방법
KR101742373B1 (ko) * 2015-05-07 2017-06-01 한국과학기술원 산사태 gis 데이터베이스 및 그 운영 방법
KR101815581B1 (ko) 2016-10-26 2018-01-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Gis 및 하수관망 정보모델을 이용한 도로 침수 구역 판단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7842B2 (en) * 2003-01-06 2005-09-20 User-Centric Enterprises, Inc. Normalized and animated inundation maps
KR100541930B1 (ko) * 2003-06-02 2006-01-10 학교법인 인하학원 지리정보시스템(지아이에스)을 기반으로 하는 수문모델링방법
KR100745646B1 (ko) * 2007-04-04 2007-08-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방재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6265B1 (ko) * 2007-05-16 2007-09-06 (주)지오시스템리서치 폭풍해일 시나리오를 이용한 범람 예측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53190B1 (ko) * 2007-11-30 2010-04-15 한국수자원공사 하천환경생태 주제도 제공시스템
US9262124B2 (en) 2011-11-21 2016-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atural disaster forecasting
US9726782B2 (en) 2012-11-30 2017-08-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storage devices for generating a response to flooding
KR101634105B1 (ko) 2015-09-25 2016-06-29 주식회사 지노시스템 다중 문서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도시 기반 시설의 지리 정보 조회 방법
KR101665324B1 (ko) 2016-03-28 2016-10-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
CN106971008B (zh) * 2017-05-10 2023-08-08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洪涝风险专题图的自动生成系统及其并行处理方法
CN108197283B (zh) * 2018-01-12 2021-11-30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利用河道实测水位进行洪水二、三维动态展示的方法
KR102140795B1 (ko) * 2018-12-07 2020-08-04 (주)헤르메시스 수치표고모델 기반 유역경계 산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11027175B (zh) * 2019-11-06 2021-09-24 中国地质大学(武汉) 基于耦合模型集成模拟的洪水对社会经济影响的评估方法
KR102278683B1 (ko) * 2020-11-26 2021-07-16 (주)헤르메시스 홍수피해 위험지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CN113609357A (zh) * 2021-06-30 2021-11-05 天津大学 一种凌汛信息智能监测及展示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778A (en) * 1989-08-10 1991-10-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Generation of topographic terrain models utilizing synthetic aperture radar and surface level data
WO1992002891A1 (en) * 1990-08-07 1992-02-20 Georesearch, Inc. Interactive automated mapping system
US5323317A (en) * 1991-03-05 1994-06-21 Hampton Terry L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unoff using remote geographic sensing
US20010034579A1 (en) * 2000-03-29 2001-10-25 Howard John Willar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flood zone certifications
KR20020010947A (ko) * 2000-07-31 2002-02-07 김진수 인터넷을 이용한 위성영상과 지아이에스 응용자료 및고급정보 전자상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778A (en) * 1989-08-10 1991-10-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Generation of topographic terrain models utilizing synthetic aperture radar and surface level data
WO1992002891A1 (en) * 1990-08-07 1992-02-20 Georesearch, Inc. Interactive automated mapping system
US5323317A (en) * 1991-03-05 1994-06-21 Hampton Terry L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unoff using remote geographic sensing
US20010034579A1 (en) * 2000-03-29 2001-10-25 Howard John Willar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flood zone certifications
KR20020010947A (ko) * 2000-07-31 2002-02-07 김진수 인터넷을 이용한 위성영상과 지아이에스 응용자료 및고급정보 전자상거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93B1 (ko) 2008-12-04 2009-09-22 (주)아세아항측 홍수모델정보가 표시된 수치지도의 제작방법
KR101742373B1 (ko) * 2015-05-07 2017-06-01 한국과학기술원 산사태 gis 데이터베이스 및 그 운영 방법
KR101815581B1 (ko) 2016-10-26 2018-01-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Gis 및 하수관망 정보모델을 이용한 도로 침수 구역 판단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115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407B1 (ko)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CN112182234B (zh) 流域防洪规划数据知识图谱构建方法
Konadu et al.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GIS for watershed modelling and flood prediction–a case study of Accra Ghana
Pradhan et al. Use of different bivariate statistical landslide susceptibility methods: A case study of Kulekhani watershed, Nepal
Chen et al. Developing an integrated 2D and 3D WebGIS-based platform for effective landslide hazard management
Turconi et al. Historical datum as a basis for a new GIS application to support civil protection services in NW Italy
Miklín et al. Detailed fluvial-geomorphologic mapping of wadeable streams: A proposal of universal map symbology
Naulet et al. Collaboration between Historians and Hydrologists on the Ardeche River (France) First Step: Inventory of Historical Flood Information
Dhital An overview of landslide hazard mapping and rating systems in Nepal
Chowdhury et al. Geotechnics in the twenty-first century, uncertainties and other challeng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andslide hazard and risk assessment
Baumann et al. Utilizing interfacing tools for GIS, HEC-GeoHMS, HEC-GeoRAS, and ArcHydro
Liu Develop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lications in analysis of responses to Lake Erie shoreline changes
Mioc et al. Early warning and mapping for flood disasters
Altuwaijri Morphometric network drainage analysis for railway location: Case study of Saudi Railway Company’s project
Singh et al. Geo-spatial topology based morphometric analysis for soil and water conservation in Dholbaha watershed of Kandi region
Balabanova et al. Geodatabase for occurred floods to support preliminary flood risk assessment
Kadu et al. Morphometric analysis and change detection in Yamuna riverbed in Delhi
Brovelli et al. GIS-based analysis of a peculiar effect of urbanization: the case of the buried watercourses of Como (Italy)
Rusko et al. An overview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s role and applicability i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process modeling
Nguyen et al. TXT-tool 2.084-3.1 Rainfall Thresholds for Triggering Geohazards in Bac Kan Province (Vietnam)
Ma et al. Study on Potential Influence of Runoff on Observatory-Based Watershed in Japan
Muñoz-Salinas et al. Updating channel morphology in digital elevation models: lahar assessment for Tenenepanco-Huiloac Gorge, Popocatépetl volcano, Mexico
KR102379621B1 (ko) 급경사지 시공간 흐름에 따른 가상데이터 표출 시스템 및 그 표출 방법
Devcic et al. Experience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GIS) application in regional planning of economic development
Ba et al. Build the Map of Flash Flood Risk (Case Study: Dak Lak Provi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