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324B1 -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324B1
KR101665324B1 KR1020160036790A KR20160036790A KR101665324B1 KR 101665324 B1 KR101665324 B1 KR 101665324B1 KR 1020160036790 A KR1020160036790 A KR 1020160036790A KR 20160036790 A KR20160036790 A KR 20160036790A KR 101665324 B1 KR101665324 B1 KR 101665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lood
facility
storing
st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만
김석
최봉혁
김준형
정윤재
김경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3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04N13/0007
    • H04N13/0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6/00Data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Y10S706/902Application using ai with detail of the ai system
    • Y10S706/919Designing, planning, programming, CAD, CASE
    • Y10S706/92Sim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홍수 재난 등의 상황에 있어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하고, 이에 의한 시설물, 제방 등을 미리 평가하고, 흉수의 가시화를 위하여 3차원으로 미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빠를 정보 확산을 가능하며, 효율적인 3차원 GIS 공간분석을 수행하여 그에 따른 홍수 시율레이션이 가능하여, 홍수 재난 발생 전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를 구축 및 표준화를 통해 데이터 표준화 및 확장 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으며, 사용 용이성이 증가할 수 있고, 기존의 시스템과 신규 시스템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를 절감 할 수 있으며, 신규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재가공할 시, 레거시 데이터를 관리함에 있어서도 편리할 수 있고, 시스템이나 신규 모듈 등의 구축이 있을 시, 이를 병합하거나 유기적으로 연결하기에 용이할 수 있고, 신규 시스템이나 신규 모듈 등의 구축이 있을 시, 이를 병합하거나 유기적으로 연결하기에 용이하므로 기존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기에 편리하며, 유관기관의 측면에 서는 시스템을 활용할 때 매뉴얼 변경 등의 불편한 사항이 줄어들기 때문에 업무 수행이 용이할 수 있게 하는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Integrated Method and System for Flood Disaster Response}
본 발명은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홍수 재난 등의 상황에 있어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하고, 이에 의한 시설물, 제방 등을 미리 평가하고, 흉수의 가시화를 위하여 3차원으로 미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빠를 정보 확산을 가능하며, 효율적인 3차원 GIS 공간분석을 수행하여 그에 따른 홍수 시율레이션이 가능 한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재난 중에서도 국내에서는 홍수 등의 수재해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기상이변으로 일어나는 도시 홍수 등에 의한 재해로서 이로 이한 인적, 물적 피해가 급증하고 있어 이를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에는 홍수 재난에 대한 다양한 자료 관 리와 자료 처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미홉하다.
이러한 홍수 재난에 필요한 데이터는 현장에서 들어오는 수위 등의 계측데이터뿐 아니라, 날씨데이터, 재해 연보뿐 아니라, 공간 연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리 정보가 필요하다.
최근 지리정보 시스템은 다양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지만, 홍수 등의 재난 시스템은 그 특성상 데이터가 방대하며 수치적인 계산이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속도 및 성능 면을 고려할 때 3차원으로 구축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특2003-0043115 등록특허 10-0745646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홍수 재난 발생 전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를 구축 및 표준화 하여 실제 홍수 시 예방 및 대응을 할 수 있는 3차원 GIS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필요로 하는 피해 수치 및 위험 수치 등의 계산은 C/S 모듈로 따로 구축하여 계산 및 처리 속도와 성능을 보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에 있어서, (A) 국토의 상시 계측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DB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취합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중요도 및 위험도를 평가하고, 시설물의 피해액 및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을 산정한 후 시설물의 중요도 및 위험도의 평가 및 시설물의 피해액 및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의 산정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평가 단계; (C)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CCTV 수위자료 및 DGPS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을 평가하고, 현장점검자료를 분석한 후 제방 취약성의 평가 및 현장점검자료의 분석을 DB화하여 저장하는 제방 취약도 단계; (D)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위자료 및 수위흐름을 분석하고, 3차원 모델링을 통해 매초 침수진행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침수진행정보 및 홍수 흐름도를 DB화하여 저장하는 홍수 가시화 단계; (E)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리정보를 3차원으로 가상화하여 상기 3차원으로 가상화된 지리정보 위에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생성하는 공간분석 3D 가시화 단계; (F) 상기 (E) 단계의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실시간 이미지형태로 생성하고,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해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의 상기 실시간 이미지 형태를 DB화하여 저장하는 동적 표현 단계; (G)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상기 (D) 단계 및 상기 (F)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요청하는 시스템 또는 단말기에 상기 저장된 자료를 제공하는 정보 확산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A) 단계는 (A1) 국토의 계측 자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DB화하여 저장하는 계측 자료 수집 단계; (A2) 시설물 계측값 자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DB화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계측값 수집 단계; (A3) 재해 시나리오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DB화하여 저장하는 재해 시나리오 수집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중요도를 평가한 후 상기 시설물의 중요도를 평가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중요도 평가 단계; (B2)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위험도를 평가한 후 상기 시설물의 위험도를 평가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위험도 평가 단계; (B3)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피해액을 산정한 후 상기 시설물의 피해액을 산정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피해액 산정 단계; (B4)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을 산정한 후 상기 시설물의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을 산정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피해액 산정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CCTV 수위자료를 수집하는 CCTV 수위자료 수집 단계; (C2)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DGPS 현장자료를 수집하는 DGPS 현장자료 수집 단계; (C3) 상기 (C1) 단계 및 상기 (C2) 단계에서 수집된 상기 CCTV 수위자료 및 DGPS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현장점검자료를 분석한 후 현장점검자료의 분석을 DB화하여 저장하는 현장점검 자료분석 단계; (C4) 상기 (C1) 단계 및 상기 (C2) 단계에서 수집된 상기 CCTV 수위자료 및 DGPS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을 평가한 후 제방 취약성의 평가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제방 취약성 평가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위자료를 분석하는 수위자료 분석 단계; (D2)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위흐름을 분석하는 수위흐름 분석 단계; (D3) 상기 (D1) 단계 및 상기 (D2) 단계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매초 침수진행정보를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해 3차원 지리정보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는 3차원 모델링 단계; (D4) 상기 (D3) 단계에서 모델링된 3차원 지리정보에 상기 (D1) 단계 및 상기 (D2) 단계에서 분석한 결과를 도출된 매초 침수진행정보를 반영하여 매초 3차원 침수진행정보를 생성하여 DB화 하여 저장하는 초당자료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 평가 데이터와 제방 취약도 데이터와 홍수가시화 데이터를 취합하는 단계; (E2) 3D 지리정보에 홍수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 지리정보를 3D로 가상화 하는 단계; (E3) 상기 (E2) 단계에서 생성된 3D 지리정보에 상기 (E1) 단계에서 취합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홍수 시뮬레이션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때,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E) 단계의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실시간 이미지형태로 생성하는 실시간 시뮬레이션 자료 생성 단계; (F2)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해 상기 (F1) 단계의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의 상기 실시간 이미지 형태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실시간 자료 스트리밍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국토의 계측 자료와 시설물 계측값 자료와 재해 시나리오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저장부(120)에 DB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취합부(110); 상기 데이터 취합부(110)으로부터 취합된 데이터를 DB화하여 저장하고, 분석부(130)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를 DB화하여 저장하고, 데이터 가공부를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120);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중요도 및 위험도를 평가하고, 시설물의 피해액 및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을 산정한 후 시설물의 중요도 및 위험도의 평가 및 시설물의 피해액 및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의 산정한 자료를 상기 저장부(120)에 DB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CCTV 수위자료 및 DGPS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을 평가하고, 현장점검자료를 분석한 후 제방 취약성의 평가 및 현장점검자료의 분석을 상기 저장부(120)에 DB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위자료 및 수위흐름을 분석하고, 3차원 모델링을 통해 매초 침수진행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침수진행정보 및 홍수 흐름도를 상기 저장부(120)에 DB화하여 저장하는 분석부(130);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리정보를 3차원으로 가상화하여 상기 3차원으로 가상화된 지리정보 위에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생성하고,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실시간 이미지형태로 생성하고,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해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의 상기 실시간 이미지 형태를 상기 저장부(120)에 DB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를 요청하는 시스템 또는 단말기에 상기 저장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를 제공받는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단말기가 요청한 자료를 준비하는 데이터 가공부(140) 및 상기 데이터 가공부(140)가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단말기에 자료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단말기에 상기 자료를 웹의 형태로 제공하는 웹제공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홍수 재난 발생 전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를 구축 및 표준화를 통해 데이터 표준화 및 확장 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으며, 사용 용이성이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준화를 통해 기존의 시스템과 신규 시스템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를 절감 할 수 있으며, 신규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재가공할 시, 레거시 데이터를 관리함에 있어서도 편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준화를 통해 신규 시스템이나 신규 모듈 등의 구축이 있을 시, 이를 병합하거나 유기적으로 연결하기에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 시스템이나 신규 모듈 등의 구축이 있을 시, 이를 병합하거나 유기적으로 연결하기에 용이하므로 기존 시스템을 유지 보수하기에 편리하며, 유관기관의 측면에 서는 시스템을 활용할 때 매뉴얼 변경 등의 불편한 사항이 줄어들기 때문에 업무 수행이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중 S101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중 S102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중 S103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중 S104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중 S105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중 S106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시스템(100)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에 관해 도 1 내지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에 있어서, 먼저 국토의 상시 계측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DB화하여 저장한다(S101).
다음으로, 상기 (S101)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중요도 및 위험도를 평가하고, 시설물의 피해액 및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을 산정한 후 시설물의 중요도 및 위험도의 평가 및 시설물의 피해액 및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의 산정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한다(S102).
다음으로 상기 (S101) 단계 및 상기 (S102)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CCTV 수위자료 및 DGPS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을 평가하고, 현장점검자료를 분석한 후 제방 취약성의 평가 및 현장점검자료의 분석을 DB화하여 저장한다(S103).
다음으로, 상기 (S101) 단계, 상기 (S102) 단계 및 상기 (S103)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위자료 및 수위흐름을 분석하고, 3차원 모델링을 통해 매초 침수진행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침수진행정보 및 홍수 흐름도를 DB화하여 저장한다(S104).
다음으로, 상기 (S101) 단계, 상기 (S102) 단계, 상기 (S103) 단계 및 상기 (S104)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리정보를 3차원으로 가상화하여 상기 3차원으로 가상화된 지리정보 위에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생성한다(S105).
다음으로, 상기 (S105) 단계의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실시간 이미지형태로 생성하고,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해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의 상기 실시간 이미지 형태를 DB화하여 저장한다(S106).
다음으로, 상기 (S101) 단계, 상기 (S102) 단계, 상기 (S103) 단계, 상기 (S104) 단계 및 상기 (S106)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요청하는 시스템 또는 단말기에 상기 저장된 자료를 제공한다(S107).
아울러, 상기 (S101) 단계에서 국토의 계측 자료, 시설물 계측값 및 재해 시나리오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국가의 각종 부처의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실시간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받아 취합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S104) 단계의 침수진행정보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침수상황이 진행되면서 변화하는 위험도, 중요도 및 피해액 등의 정보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S107) 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자료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DB화된 자료에 접속할 수 있는 아이디를 제공하거나 상기 DB화된 자료에 접속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중 S101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S101) 단계는, 먼저, 국토의 계측 자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DB화하여 저장한다(S201).
다음으로, 시설물 계측값 자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DB화하여 저장한다(S202).
다음으로, 재해 시나리오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DB화하여 저장한다(S20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중 S102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이때, 상기 (B102) 단계는, 먼저, 상기 (S101)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중요도를 평가한 후 상기 시설물의 중요도를 평가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한다(S301).
다음으로, 상기 (S101)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위험도를 평가한 후 상기 시설물의 위험도를 평가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한다(S302).
다음으로, 상기 (S101)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피해액을 산정한 후 상기 시설물의 피해액을 산정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한다(S303).
다음으로, 상기 (S101)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을 산정한 후 상기 시설물의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을 산정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한다(S304).
아울러, 상기 (S301) 단계에서 시설물의 중요도를 평가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시설물을 분류하고, 시설물의 규모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의 중요도를 판단 하는 1단계 평가를 하고, 중요도 항목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점수에 대한 항목별 가중치 및 1단계 평가의 등급을 기준으로 하는 가중치를 이용하여 시설물의 중요도를 평가하는 2단계 평가를 하고, 시설물에 대한 침수위 시나리오에 따라 침수가 발생하는 시설물들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재난이 발생한 경우에 대한 시설물의 중요도를 평가하는 3단계 평가를 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S301) 단계에서 시설물의 중요도를 평가 정보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시설물별 중요도 점수, 시설물별 중요도 등급/순위 및 시설물별 유지관리 현황자료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S302) 단계에서 시설물 위험도 평가 정보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홍수위 정보와 시설물별 제원과 상태정보와 시설물별 파괴확률 정보와 시설물별 위험도 정보(기술적/구조적) 및 시간흐름에 따른 위험도 변화 수치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S303) 단계에서 시설물 피해액 평가 정보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건물 침수정보와 검물 자산정보와 침수구역내 건물피해액 평가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중 S103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S103) 단계는, 먼저, 상기 (S101) 단계 및 상기 (S102)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CCTV 수위자료를 수집한다(S401).
다음으로, 상기 (S101) 단계 및 상기 (S102)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DGPS 현장자료를 수집한다(S402).
다음으로, 상기 (S401) 단계 및 상기 (S402) 단계에서 수집된 상기 CCTV 수위자료 및 DGPS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현장점검자료를 분석한 후 현장점검자료의 분석을 DB화하여 저장한다(S403).
다음으로, 상기 (S401) 단계 및 상기 (S402) 단계에서 수집된 상기 CCTV 수위자료 및 DGPS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을 평가한 후 제방 취약성의 평가를 DB화하여 저장한다(S404).
아울러, 상기 (S404) 단계에서 취방의 취약성 평가를 DB화 하여 저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제방 취약지수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중 S104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이때, 상기 (S104) 단계는, 먼저, 상기 (S101) 단계, 상기 (S102) 단계 및 상기 (S103)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위자료를 분석한다(S501).
다음으로, 상기 (S101) 단계, 상기 (S102) 단계 및 상기 (S103)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위흐름을 분석한다(S502).
다음으로, 상기 (S501) 단계 및 상기 (S502) 단계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매초 침수진행정보를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해 3차원 지리정보를 3차원으로 모델링한다(S503).
다음으로, 상기 (S503) 단계에서 모델링된 3차원 지리정보에 상기 (S501) 단계 및 상기 (S502) 단계에서 분석한 결과를 도출된 매초 침수진행정보를 반영하여 매초 3차원 침수진행정보를 생성하여 DB화 하여 저장한다(S504).
아울러, 상기 (S504) 단계에서 3차원 침수진행정보를 생성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홍수 침수 범위를 격자형으로 구성하고 2차원 격자의 정보를 3차원 맵핑을 하여 3차원 침수진행정보를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중 S105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S105) 단계는, 먼저, 상기 (S101) 단계, 상기 (S102) 단계, 상기 (S103) 단계 및 상기 (S104)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 평가 데이터와 제방 취약도 데이터와 홍수가시화 데이터를 취합한다(S601).
다음으로, 3D 지리정보에 홍수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 지리정보를 3D로 가상화 한다(S602).
다음으로, 상기 (S602) 단계에서 생성된 3D 지리정보에 상기 (S601) 단계에서 취합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홍수 시뮬레이션 자료를 생성한다(S603).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중 S106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또한 이때, 상기 (S106) 단계는, 먼저, 상기 (S105) 단계의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실시간 이미지형태로 생성한다(S701).
다음으로,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해 상기 (S701) 단계의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의 상기 실시간 이미지 형태를 DB화하여 저장한다(S702).
아울러, 상기 (S702) 단계에서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의 상기 실시간 이미지 형태를 DB화하여 저장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홍수삼황 캡처 영상을 DB화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시스템(100)에 관하여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시스템(100)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시스템에 있어서, 국토의 계측 자료와 시설물 계측값 자료와 재해 시나리오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저장부(120)에 DB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취합부(110), 상기 데이터 취합부(110)으로부터 취합된 데이터를 DB화하여 저장하고, 분석부(130)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를 DB화하여 저장하고, 데이터 가공부를 통해 가공된 데이터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120),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중요도 및 위험도를 평가하고, 시설물의 피해액 및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을 산정한 후 시설물의 중요도 및 위험도의 평가 및 시설물의 피해액 및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의 산정한 자료를 상기 저장부(120)에 DB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CCTV 수위자료 및 DGPS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을 평가하고, 현장점검자료를 분석한 후 제방 취약성의 평가 및 현장점검자료의 분석을 상기 저장부(120)에 DB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위자료 및 수위흐름을 분석하고, 3차원 모델링을 통해 매초 침수진행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침수진행정보 및 홍수 흐름도를 상기 저장부(120)에 DB화하여 저장하는 분석부(130),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리정보를 3차원으로 가상화하여 상기 3차원으로 가상화된 지리정보 위에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생성하고,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실시간 이미지형태로 생성하고,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해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의 상기 실시간 이미지 형태를 상기 저장부(120)에 DB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를 요청하는 시스템 또는 단말기에 상기 저장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자료를 제공받는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단말기가 요청한 자료를 준비하는 데이터 가공부(140) 및 상기 데이터 가공부(140)가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단말기에 자료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단말기에 상기 자료를 웹의 형태로 제공하는 웹제공부(15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 취합부(110)가 국토의 계측 자료, 시설물 계측값 및 재해 시나리오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국가의 각종 부처의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실시간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받아 취합하는 것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분석부(130)에 침수진행정보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침수상황이 진행되면서 변화하는 위험도, 중요도 및 피해액 등의 정보이다.
또한 아울러, 상기 웹제공부(150)가 상기 저장된 자료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DB화된 자료에 접속할 수 있는 아이디를 제공하거나 상기 DB화된 자료에 접속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시스템
110 : 데이터 취합부
120 : 저장부
130 : 분석부
131 : 시설물 평가부
132 : 제방취약도 평가부
133 : 홍수가시화부
140 : 데이터 가공부
141 : 공간분석 3D 가시화부
142 : 동적표현부
150 : 웹제공부

Claims (8)

  1.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에 있어서,
    (A) 국토의 상시 계측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DB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취합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중요도 및 위험도를 평가하고, 시설물의 피해액 및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을 산정한 후 시설물의 중요도 및 위험도의 평가 및 시설물의 피해액 및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의 산정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평가 단계;
    (C)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CCTV 수위자료 및 DGPS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을 평가하고, 현장점검자료를 분석한 후 제방 취약성의 평가 및 현장점검자료의 분석을 DB화하여 저장하는 제방 취약도 단계;
    (D)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위자료 및 수위흐름을 분석하고, 3차원 모델링을 통해 매초 침수진행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침수진행정보 및 홍수 흐름도를 DB화하여 저장하는 홍수 가시화 단계;
    (E)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리정보를 3차원으로 가상화하여 상기 3차원으로 가상화된 지리정보 위에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생성하는 공간분석 3D 가시화 단계;
    (F) 상기 (E) 단계의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실시간 이미지형태로 생성하고,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해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의 상기 실시간 이미지 형태를 DB화하여 저장하는 동적 표현 단계;
    (G)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상기 (D) 단계 및 상기 (F)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요청하는 시스템 또는 단말기에 상기 저장된 자료를 제공하는 정보 확산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A1) 국토의 계측 자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DB화하여 저장하는 계측 자료 수집 단계;
    (A2) 시설물 계측값 자료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DB화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계측값 수집 단계;
    (A3) 재해 시나리오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취합하고 DB화하여 저장하는 재해 시나리오 수집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중요도를 평가한 후 상기 시설물의 중요도를 평가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중요도 평가 단계;
    (B2)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위험도를 평가한 후 상기 시설물의 위험도를 평가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위험도 평가 단계;
    (B3)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피해액을 산정한 후 상기 시설물의 피해액을 산정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피해액 산정 단계;
    (B4) 상기 (A)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의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을 산정한 후 상기 시설물의 비상 조치 계획(Emergency Action Plan)을 산정한 자료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시설물 피해액 산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CCTV 수위자료를 수집하는 CCTV 수위자료 수집 단계;
    (C2)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DGPS 현장자료를 수집하는 DGPS 현장자료 수집 단계;
    (C3) 상기 (C1) 단계 및 상기 (C2) 단계에서 수집된 상기 CCTV 수위자료 및 DGPS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현장점검자료를 분석한 후 현장점검자료의 분석을 DB화하여 저장하는 현장점검 자료분석 단계;
    (C4) 상기 (C1) 단계 및 상기 (C2) 단계에서 수집된 상기 CCTV 수위자료 및 DGPS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을 평가한 후 제방 취약성의 평가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제방 취약성 평가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위자료를 분석하는 수위자료 분석 단계;
    (D2)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위흐름을 분석하는 수위흐름 분석 단계;
    (D3) 상기 (D1) 단계 및 상기 (D2) 단계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매초 침수진행정보를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해 3차원 지리정보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는 3차원 모델링 단계;
    (D4) 상기 (D3) 단계에서 모델링된 3차원 지리정보에 상기 (D1) 단계 및 상기 (D2) 단계에서 분석한 결과를 도출된 매초 침수진행정보를 반영하여 매초 3차원 침수진행정보를 생성하여 DB화 하여 저장하는 초당자료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
    (E1) 상기 (A) 단계, 상기 (B) 단계,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시설물 평가 데이터와 제방 취약도 데이터와 홍수가시화 데이터를 취합하는 단계;
    (E2) 3D 지리정보에 홍수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 지리정보를 3D로 가상화 하는 단계;
    (E3) 상기 (E2) 단계에서 생성된 3D 지리정보에 상기 (E1) 단계에서 취합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홍수 시뮬레이션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E) 단계의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를 실시간 이미지형태로 생성하는 실시간 시뮬레이션 자료 생성 단계;
    (F2)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해 상기 (F1) 단계의 상기 홍수시뮬레이션 자료의 상기 실시간 이미지 형태를 DB화하여 저장하는 실시간 자료 스트리밍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8. 삭제
KR1020160036790A 2016-03-28 2016-03-28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 KR101665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790A KR101665324B1 (ko) 2016-03-28 2016-03-28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790A KR101665324B1 (ko) 2016-03-28 2016-03-28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324B1 true KR101665324B1 (ko) 2016-10-12

Family

ID=5717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790A KR101665324B1 (ko) 2016-03-28 2016-03-28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3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2040A (zh) * 2017-03-22 2017-07-14 清华大学合肥公共安全研究院 城市洪涝缺陷模拟治理系统
KR20180116820A (ko) 2017-04-18 2018-10-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가중치 산정 및 topsis를 이용한 단위유역별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법
CN110851989A (zh) * 2019-11-15 2020-02-28 贵州黔源电力股份有限公司 防洪预案的可视化推演方法
CN111221286A (zh) * 2020-01-19 2020-06-02 上海瑞皇管业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物联排水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00128273A (ko) * 2019-05-02 2020-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토석류 예상 피해액 예측 기법을 통한 토석류 대비 유지보수 예산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7738A (ko) * 2019-09-03 2021-03-1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환경시설 재난 대응 시나리오 제공 및 보고서 작성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115A (ko) 2001-11-27 2003-06-02 김계현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KR100745646B1 (ko) 2007-04-04 2007-08-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방재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3830A (ko) * 2013-01-18 2014-07-29 동남이엔씨(주) 3차원 가상현실을 이용한 하천의 홍수피해 유체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0099A (ko) * 2013-10-04 2015-04-14 (주)대산이엔씨 재난 예방용 영상 수위 감시 시스템
KR20150120579A (ko) * 2014-04-17 2015-10-28 주식회사 디엔에프컨설팅 삼차원 수치해석 유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재난방지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6380A (ko) * 2014-05-27 2015-12-07 (주)희송지오텍 자연재해에 따른 수변구조물의 피해정보를 실시간으로 예측/관리 가능한 gis 기반의 수변구조물 통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115A (ko) 2001-11-27 2003-06-02 김계현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관리 시스템
KR100745646B1 (ko) 2007-04-04 2007-08-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홍수방재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3830A (ko) * 2013-01-18 2014-07-29 동남이엔씨(주) 3차원 가상현실을 이용한 하천의 홍수피해 유체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0099A (ko) * 2013-10-04 2015-04-14 (주)대산이엔씨 재난 예방용 영상 수위 감시 시스템
KR20150120579A (ko) * 2014-04-17 2015-10-28 주식회사 디엔에프컨설팅 삼차원 수치해석 유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재난방지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6380A (ko) * 2014-05-27 2015-12-07 (주)희송지오텍 자연재해에 따른 수변구조물의 피해정보를 실시간으로 예측/관리 가능한 gis 기반의 수변구조물 통합관리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2040A (zh) * 2017-03-22 2017-07-14 清华大学合肥公共安全研究院 城市洪涝缺陷模拟治理系统
KR20180116820A (ko) 2017-04-18 2018-10-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가중치 산정 및 topsis를 이용한 단위유역별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법
KR20200128273A (ko) * 2019-05-02 2020-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토석류 예상 피해액 예측 기법을 통한 토석류 대비 유지보수 예산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217715B1 (ko) * 2019-05-02 2021-02-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토석류 예상 피해액 예측 기법을 통한 토석류 대비 유지보수 예산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7738A (ko) * 2019-09-03 2021-03-1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환경시설 재난 대응 시나리오 제공 및 보고서 작성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247355B1 (ko) * 2019-09-03 2021-05-03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환경시설 재난 대응 시나리오 제공 및 보고서 작성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CN110851989A (zh) * 2019-11-15 2020-02-28 贵州黔源电力股份有限公司 防洪预案的可视化推演方法
CN111221286A (zh) * 2020-01-19 2020-06-02 上海瑞皇管业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物联排水系统及其控制方法
CN111221286B (zh) * 2020-01-19 2024-03-29 上海瑞皇管业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物联排水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324B1 (ko) 홍수 재난 대응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
Leskens et al. An interactive simulation and visualization tool for flood analysis usable for practitioners
Jenelius et al. Road network vulnerability analysis of area-covering disruptions: A grid-based approach with case study
Hsu et al. An integrated flood risk assessment model for property insurance industry in Taiwan
KR101548647B1 (ko) 3차원 지형정보 가시화 프로세서 및 그 동작방법
Hofmann et al. Risk-based early warning system for pluvial flash floods: Approaches and foundations
Mühlhofer et al. A generalized natural hazard risk modelling framework for infrastructure failure cascades
Abdullah A Methodology for Processing Raw LIDAR Data to Support Urban Flood Modelling Framework: UNESCO-IHE PhD Thesis
CN110134752B (zh) 三维大场景建模数据处理方法及装置
Jahanbazi et al. Application and comparison of two different dual drainage models to assess urban flooding
KR101766524B1 (ko) 개방형 정보 모델을 이용한 도시 침수 피해 정보 관리 시스템
Kropivnitskaya et al. Real-time earthquake intensity estimation using streaming data analysis of social and physical sensors
Hsu et al. A hurricane surge risk assessment framework using the joint probability method and surge response functions
Ghaith et al. Digital twin: a city-scale flood imitation framework
CN113792642A (zh) 一种基于智能化技术的河湖生态治理数据处理方法及系统
US20240290088A1 (en) Drone-based, airborne sensory system for flood elevation and flood occurrence probability measurements and return periods by proxy measurements and method thereof
Sonaviya et al. A review on GIS based approach for road traffic noise mapping
Liu et al. Approximation theory applied to DEM vertical accuracy assessment
Wong et al. Using geometry-based metrics as part of fitness-for-purpose evaluations of 3D city models
KR20160120955A (ko) 수변구조물 피해탐지를 위한 대용량 다차원 영상정보 가시화 모듈 개발
Kemec et al. A framework for defining a 3D model in support of risk management
Hong et al. Using 3D WebGIS to support the disaster simulation, management and analysis–examples of tsunami and flood
Ghimire et al. Application of 1D and 2D numerical models for assessing and visualizing effectiveness of natural flood management (NFM) measures
Paganin et al. Knowledge management e resilienza dei sistemi urbani e territoriali
Al-Azzam et al. Flood prediction and risk assessment using advanced geo-visualization and data mining techniques: a case study in the Red-Lake va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