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098B1 -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098B1
KR100490098B1 KR10-2003-0015618A KR20030015618A KR100490098B1 KR 100490098 B1 KR100490098 B1 KR 100490098B1 KR 20030015618 A KR20030015618 A KR 20030015618A KR 100490098 B1 KR100490098 B1 KR 100490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currency
currency transaction
transaction
transaction dat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695A (ko
Inventor
김석민
Original Assignee
굿맨소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굿맨소프트(주) filed Critical 굿맨소프트(주)
Priority to KR10-2003-001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098B1/ko
Publication of KR2004008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본국 화폐로 표시된 본 거래 데이터와 본국 화폐와 다른 외화로 표시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연관시켜 자동으로 처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해당 시스템 접속/로그인 승인 단계와; 소정 방식으로 거래에 대한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보하고 외화 거래 유형을 확정하는 단계와;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대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와;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를 생성/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한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에 의해 생성/저장된 본 회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연결 번호를 제공받는 단계와; 데이터 연결 번호와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화 거래 정보를 생성/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UTOMATIC MANAGEMENT OF FOREIGN CURRENCY TRANSACTION DATA}
본 발명은 본국 화폐가 아닌 다른 외국의 화폐(즉, 외화)로 거래에 대한 데이터(이하에서는 간단히 '외화 거래 데이터'로 칭함)를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화 거래 데이터를 본국 화폐로 환산하여 본 거래 데이터를 분개(journalizing) 처리하여 생성된 해당 본 회계 정보와 연관시켜 자동으로 관리(즉, 처리 및 활용)하기 위한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기업이나 기관의 활동 범위는 기본적으로 국내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를 무대로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 특히, 기업의 입장에서는 보다 나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원료 확보, 기술 개발, 생산비 절감, 마케팅/영업 기회 확장 등의 여러 면에서 국경을 뛰어 넘는 활동을 도모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외화 거래의 빈번한 발생을 초래한다.
특히, 외화 관리 미숙으로 기업 및 국가가 경제 위기를 맞는 일이 벌어지고 세계 경제가 하나로서 연동되어 움직이는 경제 체제하에서, 외화 거래는 기업 활동의 리스크 관리 면에 있어서 매우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이런 외화 관리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외화 거래 데이터에 대한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업의 활동은 그동안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왔다. 즉, 외화 거래가 발생하면 필수적으로 거치는 과정이 그에 대한 분개 처리인데, 이에 대한 종래의 관리 수준은 수작업으로 해당 거래에 대한 환율을 적용하여 본국 화폐 가치로 환산한 본 거래 데이터를 분개 처리하여 본 회계 정보를 생성하거나, 아니면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 과정과는 별도로 외화 거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분석, 활용하는 정도였다.
'외화 거래 데이터의 처리'란 외화 거래의 발생 및 정산 금액을 외화로 기록, 정리하는 작업과, 외화 거래 금액을 본국 화폐로 환산하여 해당 환차손익을 계산하여 본 회계 정보로서 분개 처리하는 작업, 그리고 이렇게 분개 처리된 본 회계 정보와 해당 외화 거래 데이터와의 매칭(정합)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연결 번호 확보하는 작업을 모두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외화 거래 데이터의 활용'이란 외화로 거래되는 채권, 채무, 손익에 관한 계정 내역을 본국 화폐로 표시되는 본 회계 정보에 의한 장부와 병행하여 외화로 표시하는 장부를 제공하는 작업과, 외화 거래에 대해 외화로 표시된 회계 정보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정보 분석과 통계 처리를 통한 관련 정보 제공 작업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규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서술한 의미에서 외화 거래 데이터의 처리하는 데는 회계 전문 지식을 갖춘 인력의 수작업에 따른 시간과 수고가 많이 들며, 또한 수작업으로서는 외화 거래 데이터의 활용 작업을 신속, 정확히 수행하기란 종래 기술로서는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에 외화 거래 데이터의 전산 처리 차원에서 자동화를 위한 시도가 있었는데, 일반적인 분개 처리 과정과는 별도로 외화 거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분석, 활용하는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인 분개 처리 과정과는 별도의 데이터 입력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외화 거래 데이터를 본 회계 정보와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일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종래의 외화 거래 데이터의 관리 방법으로서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1-0000731 호(제목: 외환관리 방법 및 장치와 외환 관리 방법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있다. 이 공개된 발명 내용은 외화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기업이나 기관에서 외환 변동에 따른 자산의 변동 상황을 일별, 월별 및 일정한 주기마다 즉시 파악하고, 예측된 환율 변동에 따라 증감하는 환차익을 예측하여 회사의 외환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종래 기술은 보다 진전된 외환 관리 기술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거래 데이터에 대한 회계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며, 단지 외환 거래 자체의 환율 변동에 대한 리스크 관리에 초점을 맞출 뿐이다. 따라서,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통합 내지 연동하여 회계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는 외화 거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근본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외화 거래 데이터에 대한 (외화로 기록되는) 정보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면서도 이를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통합 내지 연동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회계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분개 처리를 쉽게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자동 분개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런 면에서, 최근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이나 방법에 관련된 특허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발명자와 동일한 발명자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03-0014026 호(출원일 : 2003년 3월 6일, 발명의 명칭: 자동 분개 처리 방법 및 시스템)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런 자동 분개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더라도 외화 거래 데이터를 정확히 처리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관리하는 것, 특히 외화 거래 데이터의 관리를 자동화하고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통합 내지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제공되지 못했다. 그 이유는 다양한 외화 거래 유형에 대한 분석과 그에 따른 효율적인 처리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나아가 (수동 또는 자동의)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과 통합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운 과제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화 거래 데이터에 대한 자동 처리 및 활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본 거래 데이터에 대한 수동 또는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특히,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외화 거래 데이터에 대한 처리 및 활용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거래 데이터에 대한 수동 또는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특히,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본 회계 정보를 DB화 하여 갖고 있는 외부의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내부에 사용자에 대한 확인 정보인 사용자 정보가 데이터베이스(DB)로서 미리 저장되어 있고 외화 거래 유형 정보가 DB로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본국 화폐로 표시된 본 거래 데이터와 본국 화폐와 다른 외화로 표시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연관시켜 자동으로 처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 망을 거쳐 상기 시스템의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을 승인하는 단계와; b) 상기 외부의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거래에 대한 분개 기초 정보에 기반 하여 소정 방식으로 확정한 거래에 대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상기 외부의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으로서 확보하고 또한 상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하여 해당 거래가 외화 거래일 경우에 해당하는 외화 거래 유형을 상기 미리 저장된 외화 거래 유형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확정하는 단계와; c) 상기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대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와; d) 상기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의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와; f) 상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한 상기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에 의해 분개 처리되어 생성/저장된 본 회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연결 번호를 상기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제공 받는 단계와; g) 상기 데이터 연결 번호와 상기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화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국면에 따르면, 본국 화폐로 표시된 본 거래 데이터와 본국 화폐와 다른 외화로 표시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연관시켜 자동으로 처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화로 표시된 외화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외화 거래 정보 DB와; 사용자에 대한 확인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DB와; 외화 기준 정보가 저장되는 외화 기준 정보 DB와; 미리 정해진 외화 거래 유형 정보를 저장하는 외화 거래 유형 정보 DB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검색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매개하는 웹 서버와; 각 DB에 저장된 정보 및 본 회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각 DB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읽어 내도록 웹 서버를 제어하며, 소정 방식으로 거래에 대한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보하고 외화 거래 유형을 확정한 다음,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대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확보한 후,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한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에 의해 생성, 저장된 본 회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연결 번호를 제공받아서, 데이터 연결 번호와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화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외화 거래 정보 DB에 저장하는 외화 거래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100) 및 그 주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100)은 외화 거래 정보 (DataBase: DB)(120), 사용자 정보 DB(130), 외화 기준 정보 DB(140), 외화 거래 유형 정보 DB(150),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 웹 서버(Web Server)(17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시스템(100)에는 외화 거래 이력 정보 DB(1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시스템(100)과 연결되는 주변 시스템에는, 본 회계 정보 DB(110)를 구비하는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s: UIs)(301, 302, 303), 통신망(200)이 포함된다.
웹 서버(170)는 사용자가 고객 인터페이스(301, 302, 303)를 거쳐 통신망(200)을 통해 시스템(100, 18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시스템(100, 18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본 회계 정보 DB(110)에는 본국 화폐(해당 기업의 자국 화폐)로 표시된 거래 데이터(이하, '본 거래 데이터'로 칭함)를 분개 처리하여 얻은 회계 정보(즉, '본 회계 정보'로 약칭)가 저장된다. 본 회계 정보에는 분개 일련 번호(데이터 연결 번호), 거래 일시(또는 거래 일자), 차대구분, 계정 과목, 거래 적요, 본국 화폐로 표시된 거래 금액, 거래처 등의 항목이 구비될 수 있다(나중에 설명할 도 11 참조).
외화 거래 정보 DB(120)에는 외국 화폐(예를 들면, 본국 화폐가 한국의 원화라고 할 때, 미국 달러화, 일본 엔화, 유럽 유로화 등)로 표시된 거래 데이터(이하, '외화 거래 데이터'로 칭함)를 처리하여 얻은 정보(이하, '외화 거래 정보'라 칭함)가 저장된다. 도 12는 외화 거래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외화 거래 이력 정보 DB(125)에는 차후에 정산이 필요한 외화 거래(이하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로 칭함) 데이터 각각에 대해 그 정산을 실행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이하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로 칭함)를 모은 외화 거래 이력 정보가 저장된다. 도 14는 외화 거래 이력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정보 DB(130)에는 시스템(100, 180)에 대한 정보 접근이 허용된 해당 기업 내부 또는 외부의 사용자의 ID, 비밀 번호, 주소, 전화 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 확인 정보가 저장된다. 외화 기준 정보 DB(140)에는 외화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준이 되는 정보인 거래 외화의 종류를 나타내는 외화 코드 데이터가 필수적으로 포함되며, 거래처 정보, 거래 계좌 정보, 환율 데이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환율 데이터는 은행의 환율 정보 DB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저장되게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미리 입력해 놓을 수도 있다. 또한, 거래처 정보와 거래 계좌 정보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미리 등록시켜 놓을 수 있다. 외화 거래 유형 정보 DB(150)에는 미리 정해진 외화 거래의 유형 정보가 저장된다. 도 5는 외화 거래 유형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외화 거래 유형 정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겠다.
도 1에서 사용자 정보 DB(130), 웹 서버(170)가 외화 거래 자동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도시했으나. 실제로 이들은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호 공유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는 본 회계 정보 DB(110), 외화 거래 정보 DB(120), 사용자 정보 DB(130), 외화 거래 유형 정보 DB(150), 외화 기준 정보 DB(140)(실시 예에 따라서는 외화 거래 이력 정보 DB(125)도 포함) 등의 각 DB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웹 서버(170)와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과 연동되어 외화 거래에 대한 자동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는 사용자의 웹 서버(170)를 통한 외화 거래 자동 관리 시스템(100) 접속/로그인 과정을 승인하는 제어기능을 수행한다(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에 대한 시스템(180) 접속/로그인 승인 과정도 제어할 수 있음).
또한,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는 미리 정해진 소정 방식에 따라 거래에 대한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보하고 외화 거래 유형을 확정하는 작업을 수행한 다음, 이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대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확보한다. 그 후,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여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에) 제공하고,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에 의한)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한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에 의해 생성, 저장된 본 회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연결 번호를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으로부터) 제공받아서, 데이터 연결 번호와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화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외화 거래 정보 DB(120)에 저장한다.
통신망(200)은 해당 회사의 사내 LAN일 수도 있고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는 인터넷일 수도 있다. 통신망(200)으로서는 물리적 의미에서 유선 통신망 또는 위성 방송망, 무선 이동 통신 망 등 다양한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1, 302, 303)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가 대표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웹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읽어 내는 기능을 가진 다양한 접속 기기, 예를 들면 이동 휴대 전화 단말기, 키오스크, PDA와 같은 개인용 정보 단말기, 디지털 TV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와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는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를 구비한다.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은 수동 분개 처리 시스템일 수도 있고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일 수도 있는데, 어떤 경우이든 본 거래 데이터를 분개 처리하여 본 회계 정보를 생성하여 본 회계 정보 DB(11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이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나중에 도 2를 참조로 그 구조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함)하고자 한다.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의 기능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와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는 사용자의 웹 서버(170)를 통한 외화 거래 자동 관리 시스템(100)의 접속/로그인 승인 과정을 제어한다.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는 소정 방식으로 거래에 대한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보하고 외화 거래 유형을 확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일 예를 들면,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는 (시스템(180)에 의해) 거래에 대한 분개 기초 정보(나중에 설명)를 이용하여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과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를 (시스템(180)으로부터 제공받음으로써) 확보하여,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에 따라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하여 외화 거래 유형을 확정한다. 그 다음,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는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대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확보하여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로 제공한다.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는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로부터 받은)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여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로 제공한다. 그러면,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는 이것을 다시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에 제공한다.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100)의 주변 시스템인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은 이 본 거래 데이터를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분개 처리하여 본 회계 정보를 생성하여 본 회계 정보 DB(110)에 저장하고, 이렇게 생성, 저장된 해당 본 회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연결 번호를 외화 거래 데이터 제어부(163)에 제공한다.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는 데이터 연결 번호를 제공받아서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로 제공한다.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는 데이터 연결 번호와 그에 해당하는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화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외화 거래 정보 DB(120)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은 본 거래 데이터(즉, 외화 거래 자동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받은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 또는 웹 서버(17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를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거래에 대한 분개 기초 정보에 입각하여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해당 거래에 대해 분개 처리를 수행하여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정하고 거래가 외화 거래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해주는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를 시스템(100)(의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에 제공하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과 본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회계 정보를 생성하여 본 회계 정보 DB(110)에 저장하고, 외화 거래 자동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를 받아 이를 분개 처리하여 생성/저장한 본 회계 정보에 대해서는 해당 데이터 연결 번호를 외화 거래 자동 관리 시스템(100)에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거래 데이터 처리 시스템(180)으로서는 본 발명의 발명자와 동일인에 의한 상기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03-0014026 호(발명의 명칭 : 자동 분개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서 서술한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과 그 기본적인 구조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한 경우를 이하에서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회계 정보 DB(110), 자동 분개 관리 서버(181), 계정 과목 정보 DB(185), 거래 적요 정보 DB(186)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분개 관리 서버(181)는 분개 처리부(182), 본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83), 거래 적요 확보부(184)를 갖는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와 본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83)를 통합하여 단일 제어부로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때는 웹 서버(170)가 그 단일 제어부에 연결되고, 시스템(100)과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이 그 단일 제어부를 공유하는 구조가 된다.
계정 과목 정보 DB(185)에는 미리 준비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 정보(즉, 차대변별 계정 과목과 그 고유 코드)가 저장된다. 거래 적요 정보 DB(186)에는 복수의 거래 적요를 미리 준비하여 확정하고, 각각의 거래 적요에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매칭시킨 다음, 매칭된 각각의 '거래 적요/차대변별 계정 과목'에 대해 소정 거래 분류 기준에 의거하여 거래 분류 코드를 부여하고, 거래 분류 코드가 부여된 매칭된 '거래 적요/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구비하는 거래 적요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분개 관리 서버(181)는 거래 적요 정보 DB(186)의 생성 과정을 제어하고, 사용자 정보 DB(130)에 저장된 사용자 확인 정보에 기반 하여 웹 서버(170)를 통한 사용자의 시스템(180)에 대한 접속/로그인 승인을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소정 방식으로 '거래 적요 검색과 선택, 해당 거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사용자 메뉴를 웹 서버(170)를 통해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개 기초 정보로서의) 거래 적요에 해당하는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자동으로 확정하는 동시에 거래가 외화 거래에 해당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 시켜주는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과 함께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로 제공하고,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과 해당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 분개 처리를 수행하여 본 회계 정보를 생성하여 회계 정보 DB(110)에 저장하고, 처리한 본 거래 데이터가 외화 거래에 관한 것일 경우에는 생성, 저장된 본 회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연결 번호를 외화 거래 자동 관리 시스템(10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거래 데이터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180)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이하에서 설명하겠다. 본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83)는 사용자 정보 DB(13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기반 하여 웹 서버(17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과정을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거래 적요 검색을 위한 데이터를 거래 적요 확보부(184)에 제공하며, 거래 적요 확보부(184)로부터 제공받은 추출된 하나 이상의 거래 적요 데이터를 웹 서버(17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거래 적요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해당 거래 데이터를 분개 처리부(182)에 제공한다.
거래 적요 확보부(184)는 계정 과목 DB(185)를 활용하여 거래 적요 정보 DB(186)를 생성하는 과정을 제어하고, 본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83)로부터 받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거래 적요 검색 데이터에 의거하여, 거래 적요 정보 DB(186)에 저장된 거래 적요 정보를 검색하여 입력된 거래 적요 검색 데이터에 대응되는 거래 분류 코드를 확정한 후, 확정된 거래 분류 코드에 대응하는 거래 적요 데이터(예: 거래 적요 리스트)를 거래 적요 정보 DB(186)로부터 추출(확보)하여 제어부(183)에 제공한다.
본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83)는 거래 적요 확보부(184)로부터 받은 거래 적요 데이터(예: 거래 적요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최종 선택된 거래 적요를 분개 처리부(182)로 제공한다.
분개 처리부(182)는 제어부(183)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에 의해) 최종 선택된 거래 적요에 대응되는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자동으로 확정하는 동시에 거래가 외화 거래에 해당하는 지를 확정된 계정 과목 또는 선택된 거래 적요를 근거로 판단하여, 외화 거래에 해당할 경우에 이를 확인 시켜주는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과 함께 본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83)로 제공하고, 해당 본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 분개 처리를 수행하여 본 회계 정보를 생성하여 본 회계 정보 DB(110)에 저장한다.
본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83)는 분개 처리부(182)로부터 받은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와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로 제공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의 구현 과정을 외화 거래 자동 관리 시스템(100) 및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의 구성 및 기능과 연관지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계(S306)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부 구성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의 일 단계(S302)의 세부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3의 단계(S300)에서, 사용자에 대한 시스템(100) 접속/로그인에 대한 승인이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U1)를 거쳐 통신망(200)을 통해 웹 서버(170)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입력 창에 자신의 고유 ID와 비밀 번호를 등록하여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로부터 시스템(100)의 사용 승인을 받은 후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기초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때,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의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는 웹 서버(170)를 거쳐 입력된 사용자에 대한 접속/로그인 승인 및 최초 로그인의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 확인(Identification) 정보가 사용자 정보 DB(130)에 저장되도록 제어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이다. 단계(S300) 이후 과정은 단계(S302)로 진행한다.
단계(S302)에서는 거래에 대한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 확보 및 외화 거래 유형 확정 작업이 시스템(100)의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에 의해 수행된다. 단계(S30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는데, 도 15a와 15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단계(S302)의 세부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계(S302)에서 수행되는 차대변별 계정 과목 확정과 외화 거래 유형 확정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5a를 참조로 한 단계(S302)의 세부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단계(S3021, S3022)에서는 거래에 대한 분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에 대한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보한 다음에,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하여 외화 거래 유형이 확정된다.
단계(S3021)에서는 시스템(100)의 외부에 있는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이 사용자가 웹 서버(170)를 통해 시스템(180)에 입력한 거래에 대한 분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거래에 대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정하여 이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시스템(180)으로 전달하면, 시스템(100)의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가 이것을 시스템(180)으로부터 받음으로써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의 확보 작업이 수행된다. 또한, 시스템(180)은 해당 거래가 외화 거래인지를 확정된 상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분개 기초 정보)에 근거하여 판단하여, 외화 거래일 경우에 그 거래가 외화 거래임을 나타내는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를 시스템(100)에 전달한다.
단계(S3021)를 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분개 처리의 핵심이 되는 거래 데이터로서 해당 계정 과목의 확정을 위해 필수적인 데이터인 '분개 기초 정보'를 시스템(180)이 확보한다. 시스템(180)이 수동 분개 처리 시스템인 경우(즉, 차대변별 계정 과목이 수동으로 확정되는 경우)에는 분개 기초 정보에 '차대변 구분 정보'와 '계정 과목'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며(도 10b 참조), 시스템이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인 경우(즉, 차대변별 계정 과목이 자동으로 확정되는 경우)에는 분개 기초 정보에 '거래 적요 데이터 또는 거래 적요 검색/선택을 위한 데이터'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도 10a 참조).
즉, 시스템(180)이 수동 분개 처리 시스템인 경우에는 사용자(이때는 회계 전문 지식이 있는 사용자임)가 해당 거래에 대한 '차대 구분 및 계정 과목'을 '분개 기초 정보'로서 직접 입력함으로써 차대변별 계정 과목이 시스템(180)에 의해 확정되고,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가 확보된다. 시스템(180)이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인 경우에는, 회계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가 시스템(180)의 안내 메뉴에 따라 입력 또는 검색/선택한 '거래 적요'가 분개 기초 정보로서 정해지고, 이에 따라 해당 거래에 대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이 시스템(180)에 의해 자동으로 매칭(정합)되어 확정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검색/선택된 거래 적요 또는 시스템(180)에 의해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에 근거하여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3022)에서는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의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가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와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시스템(180)으로부터 수신하면,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에 따라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하여 외화 거래 유형을 자동으로 확정한다. 예를 들면,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는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에 따라, 외화 거래 유형 정보 DB(150)에 미리 저장된 소정 외화 거래 유형 정보(도 5의 예 참조)를 이용하여,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에 해당하는 외화 거래 유형을 자동으로 확정한다.
단, 이때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에 대응되는 외화 거래 유형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외화 거래 유형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그 중 사용자가 해당 외화 거래 유형을 최종 선택하면 그 선택 신호를 근거로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가 최종적으로 외화 거래 유형을 확정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화 거래 유형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외화 거래 유형 정보에는 보통 외화 거래 유형, 차대변별 계정 과목, 처리 프로세스 분류 번호, 정산 특성 분류 번호가 포함된다. 여기서, 외화 거래 유형 각각에 대해 외화 거래 유형 분류 번호가 하나씩 고유하게 부여되며, 해당 처리 프로세스 분류 번호, 해당 정산 특성 분류 번호가 미리 정해져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제의 외화 거래에서 나타나는 유형을 16가지로 도시하고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서는 분류 유형 항목이 삭제 또는 추가되거나 이와 달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15b를 참조로 한 단계(S302)의 세부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단계(S3023, S3024)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매칭되는 거래 적요 또는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사용자에게 제공한 다음, 사용자에 의해 선태된 거래 적요 또는 차대변별 계정 과목에 기반 하여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보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S3023)에서는 시스템(100)이 웹 서버(170)를 통해 미리 준비된 외화 거래 유형 리스트(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16가지의 외화 거래 유형)를 제공하여 그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 정보를 시스템(180)에 전달하면, 시스템(180)이 사용자에 의해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매칭되는 거래 적요 (도 10a 참조) 또는 차대변별 계정 과목(도 10b 참조) 리스트를 확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런 작업은 시스템(180)이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일 때 더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발명자와 동일한 발명자에 의한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3-0014026 호 (발명의 명칭: 자동 분개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3024)에서는 단계(S3023)에서 차대변별 계정 과목 리스트가 확보된 경우에는 그것을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중 해당 차대변별 계정 과목 리스트를 선택(또는 입력)함으로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의 확보가 이뤄지고, 단계(S3023)에서 거래 적요 리스트가 확보된 경우에는 그것을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중 해당 거래 적요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차대변별 계정 과목이 자동으로 매칭되어 확정됨으로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의 확보가 이뤄진다. 후자의 방식은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3-0014026 호 (발명의 명칭: 자동 분개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개시된 자동 분개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단계(S302) 이후에 단계(S306)에서는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대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 자동 결정과 사용자에 의한 해당 외화 거래 데이터 입력에 의한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 확보' 작업이 수행된다. 즉, 단계(S306)에서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정산 특성과 미리 정해진 복수의 처리 프로세스 중에서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에 의해 자동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대응되는 정산 특성과 처리 프로세스가 각각 하나씩 자동으로 결정되며 또한 사용자의 해당 외화 거래 데이터 입력에 기반 하여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가 확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외화 거래 데이터에는 외화 거래 금액, 외화 종류, 적용 환율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며 거래처, 거래일시(또는 거래 일자), 거래 계좌에 대한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정산 특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되는데, '정산 특성 분류 번호 1'은 해당 외화 거래 유형이 그 정산 특성 상 '정산 필요 거래'임을 나타내고, '정산 특성 분류 번호 2'는 해당 외화 거래 유형이 그 정산 특성 상 '정산 실행 거래'임을 나타내고, '정산 특성 분류 번호 3'은 해당 거래 유형이 그 정산 특성 상 '외화 예금 인출에 따른 정산 실행 거래'임을 나타낸다. 바로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 및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가 외화 거래 유형에 대한 정산 특성을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처리 프로세스 분류 및 그 구성 항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처리 프로세스는 총 5가지('프로세스 1'부터 '프로세스 5'까지)로 분류되는데,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처리 프로세스는 6가지 이상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각 프로세스는 <외화 거래 계산 값 전달>을 필수적인 구성 항목으로서 구비하며, <외화 거래 정리 잔액 수정 및 이력 정보 생성>, <채권채무 관련 외화 거래 데이터 저장>, <환차손익 자동 계산1(건별)>, <환차손익 자동 계산2(평가)>, <(수출입 거래 등) 손익 관련 외화 거래 데이터 저장>의 5가지 구성 항목은 각 프로세스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단계(S302)에서 외화 거래 유형이 '수출-외화 외상매출금 발생'으로 확정되었다면, 이에 대한 '정산 특성 분류 번호'는 1에 해당하고, 처리 프로세스는 분류 번호 4에 해당되어(도 5를 보면 알 수 있음), 구체적으로 <외화 거래 계산 값 전달>, <채권채무 관련 외화 거래 데이터 저장>, <(수출입 거래 등) 손익 관련 외화 거래 데이터 저장>의 프로세스 구성 항목을 지닌다는 것이 결정된다(도 7참조).
도 4는 도 3의 단계(S306)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부 전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단계(S306)는 외화 예금 인출 여부 판단 단계(S303), 정산 실행 거래 여부 판단 단계(S304), 외화 예금 인출 데이터 확보 및 해당 정산 특성/처리 프로세스 자동 결정 단계(S3031),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 확보 및 해당 정산 특성/처리 프로세스 자동 결정 단계(S3041),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 확보 및 해당 정산 특성/처리 프로세스 자동 결정 단계(S305)를 구비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S303)에서 외화 예금 인출 거래로 판단되면 과정은 단계(S3031)로 진행하여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가 사용자가 입력한 외화 예금 인출 (관련) 데이터(예를 들어, 인출 금액, 외화 종류, 거래 계좌 번호 등)를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확보하여 해당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 정보와 함께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로 제공한다.
단계(S303)에서 외화 예금 인출 거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과정은 단계(S304)로 진행하여 정산 실행 거래 유형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S304)에서 정산 실행 거래로 판단되면 과정은 단계(S30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정산 필요 외화 거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단계(S3041)로 진행한다.
단계(S3041)에서는 사용자가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입력하면,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가 사용자가 입력한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확보하여 해당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 정보와 함께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로 제공한다.
단계(S305)에서는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가 해당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참조로 사용자의 메뉴 선택 및/또는 직접 입력에 기반 하여 해당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정산 실행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선택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정산 실행을 위한 데이터 입력(예를 들어, 해당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 항목 선택, 정산 실행 금액, 외화 종류, 거래일시, 거래처 등)에 기반 하여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확보하여 해당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 정보와 함께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S305)는 기존 정산 필요 거래 데이터 검색/디스플레이 단계(S3051), 해당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 선택 단계(S3052),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 확보 단계(S3053), 해당 정산 특성/처리 프로세스 자동 결정 단계(S3054)를 구비한다.
단계(S3051)에서는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가 사용자에 의해 단계(S302)에서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해당하는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결과 얻어진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가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를 제어하여 단계(S302)에서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 정보에 기반 하여, 외화 거래 정보 DB(120)에 저장된 외화 거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리스트를 웹 서버(17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어서, 단계(S3052)에서는 단계(S3051)에서 제공된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 리스트를 참조로 사용자가 그 리스트 중 정산 실행을 원하는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하나 이상 정산 실행 대상 데이터로서 선택한다.
단계(S3052) 이후, 단계(S3053)에서는 정산 실행 대상 데이터로서 선택한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의 구성 항목을 참조로 사용자가 정산 실행 내용에 맞게 (예를 들어,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의 구성 항목별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입력한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를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가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확보한다. 그 후, 단계(S3054)에서는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가 해당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를 자동 결정하여 결국, 확보된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와 결정된 정산 특성/처리 프로세스 정보를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로 제공된다.
한편, 도 6은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해당 정산 실행 외화 거래가 '외화외상 매출금 결제 거래'인 경우에 단계(S302)에서 도 5에 도시된 <외화 거래 유형 분류 번호 4>에 해당하는 '외화외상 매출금 결제 항목'이 외화 거래 유형으로서 확정될 수 있다. 그러면 이것은 정산 실행 거래라는 것이 단계(S303, S304)를 거치면서 자동적으로 판단되어, 단계(S3051)에서 이에 해당하는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유형에 해당하는 리스트(예를 들어, 도 6의 2002년 8월 1일에 발생한 2건)가 도시된다. 사용자는 이중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을 정산 실행 대상 데이터로서 선택하여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참조로 (예를 들어, 결제 외화 종류(미국달러(USD)는 바꾸지 않고, 환율 데이터의 변경 입력, 결제 금액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외화 거래 유형에 따른 처리 프로세스(process) 구분의 상세 내역을 도시하는데, 이것은 외화 거래 유형에 따라, 거래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어떤 프로세스가 필요한 지를 보여 준다. 예를 들면, '외화 거래 유형 2'의 '수출-외화외상 매출금 발생'에 대해서는 <프로세스 4>가 적용되며 이는 도 7에 나타나듯이, <외화 거래 계산 값 전달, 채권/채무 관련 외화 거래 데이터 저장, (수출입 거래 등) 손익 관련 외화 거래 데이터 저장>의 처리 항목을 구비한다.
단계(S306) 이후에 과정은 단계(S307)로 진행한다. 단계(S307)에서는 확정된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단계(S306)에서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가) 처리하여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 도 7에 도시된 처리 프로세스 구성 항목 중 5(채권채무 관련 외화 거래 데이터 저장)와 6((수출입 거래) 등 손익 관련 외화 거래 데이터 저장)은 실제로는 단계(S310)에서 실행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단계(S308)에서는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에 의해, 단계(S306)에서 생성된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를 생성/제공한다. 즉, 단계(S308)에서는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에 의해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외화 거래 금액에 적용 환율을 적용하여 본국 화폐 금액으로 환산한 거래 금액과 해당 외화 거래에 따른 본국 화폐 금액으로 환산된 환차손익 데이터(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환차익 데이터 참조)가 구비하도록 재구성함으로써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를 분개 처리부(162)로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002년 8월 3일까지)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데이터 연결 번호가 부여된 외화 거래 데이터는 해당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에 대해서 이미 단계(S309, 310)가 수행 완료된 경우이며, 데이터 연결 번호가 미정인 것은 해당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에 대해 단계(S309, 310)가 아직 수행 완료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에는 보통 외화 거래 유형 분류 번호, 외화 종류, 적용 환율, 외화 거래 금액, (해당 정산 필요 거래의) 외화 잔액 데이터가 구비된다(도 8 참조). 또,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에는 외화 거래 유형 분류 번호, 본국 화폐로 환산된 거래 금액, 본국 화폐로 환산된 환차 손익이 필수적으로 구비된다(도 9 참조).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단계(S306)에서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거래처, 거래 일자를 입력한 경우에는 이들 데이터가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 및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에 더 구비될 수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사용자가 단계(S306)에서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거래처, 거래 일자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거래 일자와 거래처 데이터가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와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에는 구비되지 않으며, 이 경우에는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에서의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를 위해 본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83)가 웹 서버(170)를 통해 사용자에게 거래처, 거래 일자를 입력하도록 안내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항목(즉, 거래처, 거래 일자 등 시스템에 의해 필수 입력 사항으로서 미리 정해 놓은 데이터 항목)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그 다음, 단계(S309)에서는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180)에 의한)단계(S302)에서 확보한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한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에 의해 생성, 저장된 본 회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연결 번호를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의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가 제공받는 작업이 이뤄진다.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회계 전문가에 의한 수동 분개도 가능하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분개 방식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계 전문 지식이 없는 사용자라도 쉽게 데이터를 입력하고 정확히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역순서 분개 방식을 이용한 자동 분개 처리 방법, 예를 들어 앞서 인용한 본 발명의 발명자와 동일한 발명자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3-0014026 호 (발명의 명칭: 자동 분개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개시된 자동 분개 처리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 10a는 바로 이 역순서 분개 방식에 의해 사용자가 거래 적요를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이 정해지고(도 10a에는 도시되지 않고 자동 처리 영역에서 처리됨) 또한 외화 거래에 해당하는 것도 확인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본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83)의 제어에 따라 역순서 분개 방식에 의해 분개 처리부(182)가 수행하는 자동 분개에 대해서는 앞에서 자동 분개 관리 서버(181)에 대한 설명에서 서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분개 처리부(182)에 의한 자동 분개 처리에 의해 생성된 회계 정보는, 본 회계 정보 DB(110)에 저장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되어 저장되는 본 회계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회계 정보에는 분개 일련번호(데이터 연결 번호), 거래일시(또는 거래 일자), 차대 구분, 계정 과목, 거래 적요, 본국 화폐로 표시된 거래 금액, 거래처 등의 항목이 포함된다(도 11에서 편의상 거래 적요 내용은 기입하지 않았음).
또한, 단계(S309)에서는 분개 처리에 의해 생성, 저장된 본 회계 정보와 해당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와의 유기적인 데이터 구조의 결합과 운용을 위해 본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83)의 제어에 따라, 생성, 저장된 본 회계 정보에 대해 '분개 일련 번호'를 '해당 데이터 연결 번호'로서 부여하여 이것을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 제어부(163)를 통해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로 제공한다.
이어서 단계(S310)에서는 외화 거래 데이터 처리부(161)에 의해,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와 이 데이터 연결 번호를 이용하여(예를 들어, 결합하여) 해당 '외화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외화 거래 정보 DB(120)에 저장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과정이 종료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되어 저장되는 외화 거래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라 본 회계 정보와 해당 외화 거래 정보가 데이터 연결 번호에 의해 상호 매칭(연결)되는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즉, 도 13은 데이터 연결 번호를 이용하여 자국 화폐(원화)로 표시되는 (외화)외상 매출금 계정별 원장과 외화로 표시되는 (외화) 외상 매출금 계정별 원장이 매칭되는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화 거래 이력 정보가 외화 거래 이력 정보 DB(130)에 저장되어 활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외화 거래 자동 관리 방법에는 단계(S310) 이후에 각 정산 필요 거래에 대한 해당 정산 실행 거래의 내역을 모두 구비하는 '외화 거래 이력 정보'를 생성, 저장하는 단계(도시되지 않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외화 거래 이력 정보에는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 연결 번호, 해당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 연결 번호, 외화 거래 금액이 필수 항목으로서 구비되며, 외화 거래 유형 분류 번호, 외화 종류, 거래처, 거래 계좌 등이 추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외화 거래 이력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화 거래 데이터의 자동화 처리에 있어서 어려운 과제 중의 하나였던 기존의 데이터의 보정(삭제, 수정, 추가 등의 넓은 의미)도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보정 데이터를 근거로 외화 거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준비된 보정 프로세스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시스템(100)이 정산 필요 거래에 대한 정산 실행 거래 내역을 모두 구비하는 외화 거래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외화 거래 이력 정보 DB(125)를 더 포함하되, 외화 거래 이력 정보에는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의 데이터 연결 번호, 해당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의 데이터 연결 번호, 외화 거래 금액이 구비된다. 이 조건 하에서,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가 외화 거래 정보와 외화 거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웹 서버(170)를 통해 입력한 보정 데이터를 근거로 미리 준비된 보정 프로세스에 의해 기존 외화 거래 데이터의 자동 보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에 의해, 기존의 어떤 정산 실행 외화 거래에 대해 거래 적요나 거래처 입력에 오류가 있었던 경우(이것은 사용자의 판단에 의할 수도 있으며 시스템(100) 자체의 오류 검색 프로그램에 의해 판단할 수 있음), 우선 사용자의 보정 데이터 입력 및/또는 확인에 근거하여 기존의 잘못된 정산 실행 외화 거래 정보를 검색하여 삭제하고, 그 대신 사용자가 올바른 정산 실행 외화 거래 정보 생성을 위해 입력한 데이터(즉 보정 데이터)를 삽입(즉, 수정 입력)하여 보정된 정산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그 다음,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가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의 데이터 연결 번호와 해당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의 데이터 연결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본 회계 정보, 해당 외화 거래 정보, 관련된 정산 실행 이력 정보를 올바르게 보정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외화 거래 데이터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외화 거래 이력 정보의 생성, 저장, 관리에 의해 가능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기존의 정산 실행 외화 거래나 정산 필요 외화 거래, 외화 예금 인출 거래의 거래 일시나 거래 금액을 수정하는 경우에도 각 DB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정보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상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토대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단계(S310) 이후에 외화 거래 관리 서버(160)가 웹 서버(17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출력 메뉴 선택에 따라 외화 거래 정보 DB(120)에 저장되어 있는 외화 거래 정보를 이용하여 외화 거래 관련 정보(예를 들어, 거래처 별, 거래 기간별, 거래 유형별, 거래 외화 종류 별 분석 자료 내지 통계 자료)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또는 본 회계 정보와 이에 해당하는 외화 거래 정보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조합하여 '외화 거래 관련 정보'로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도 당업자라면 별도의 상세한 설명이 없이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인 바,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특정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화 거래 데이터를 자동으로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으며 본 거래 데이터의 수동 또는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특히, 자동 분개 처리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통합될 수 있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 및 그 주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화 거래 관리 서버 및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3의 일 단계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부 전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화 거래 유형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처리 프로세스 분류 번호에 해당하는 구성 항목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일 단계에서 수행되는 차대변별 계정 과목 확정과 외화 거래 유형 확정 작업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되어 저장되는 본 회계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되어 저장되는 외화 거래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라 본 회계 정보와 해당 외화 거래 정보가 데이터 연결 번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정보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외화 거래 이력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의 일 단계의 세부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
110 : 본 회계 정보 DB 120 : 외화 거래 정보 DB
125 : 외화 거래 이력 정보 DB
130 : 사용자 정보 DB 140 : 외화 기준 정보 DB
150 : 외화 거래 유형 정보 DB 160 : 외화 거래 관리 서버
170 : 웹 서버 180 :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
200 : 통신망 301, 302, 303 : 사용자 인터페이스
S300 : 사용자에 대한 시스템 접속/로그인 승인 단계
S302 : 소정 방식으로 거래에 대한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보하고 외화 거래 유형을 확정하는 단계
S306 :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대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 자동 결정,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 확보 단계
S307 :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확정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S308 :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S309 :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한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에 의해 생성, 저장된 본 회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연결 번호를 제공받는 단계
S310 : 데이터 연결 번호와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화 거래 정보를 생성, 저장하는 단계

Claims (19)

  1.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본 회계 정보를 DB화 하여 갖고 있는 외부의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 내부에 사용자에 대한 확인 정보인 사용자 정보가 데이터베이스(DB)로서 미리 저장되어 있고 외화 거래 유형 정보가 DB로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는 본국 화폐로 표시된 본 거래 데이터와 본국 화폐와 다른 외화로 표시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연관시켜 자동으로 처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 망을 거쳐 상기 시스템의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을 승인하는 단계와;
    b) 상기 외부의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거래에 대한 분개 기초 정보에 기반 하여 소정 방식으로 확정한 거래에 대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상기 외부의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으로서 확보하고 또한 상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하여 해당 거래가 외화 거래일 경우에 해당하는 외화 거래 유형을 상기 미리 저장된 외화 거래 유형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확정하는 단계와;
    c) 상기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대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와;
    d) 상기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의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와;
    f) 상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한 상기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에 의해 분개 처리되어 생성/저장된 본 회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연결 번호를 상기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제공 받는 단계와;
    g) 상기 데이터 연결 번호와 상기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화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 확보 및 외화 거래 유형을 확정하는 단계가:
    상기 거래에 대한 분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보하고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를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에 따라 상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하여 상기 외화 거래 유형을 확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 확보 및 외화 거래 유형을 확정하는 단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매칭되는 거래 적요 또는 차대변별 계정 과목 리스트를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한 거래 적요 선택에 기반 하여 또는 상기 사용자의 차대변별 계정 과목 선택에 기반 하여 상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화 거래 유형 각각에 대해 외화 거래 유형 분류 번호가 하나씩 고유하게 부여되며, 해당 처리 프로세스 분류 번호, 해당 정산 특성 분류 번호가 미리 정해져 있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 확보 단계가:
    상기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이 외화 예금 인출 거래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이 외화 예금 인출 거래이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외화 예금 인출 데이터를 상기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확보하여 해당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이 외화 예금 인출 거래가 아니면 정산 실행 거래 유형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이 정산 실행 거래 유형이면 해당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참조로 사용자의 메뉴 선택 및/또는 직접 입력에 기반 하여 해당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정산 실행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선택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정산 실행을 위한 데이터 입력에 기반 하여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확보하여 해당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이 정산 실행 거래 유형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상기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확보하여 해당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 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 확보 및 해당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 제공 단계가:
    상기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해당하는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결과 얻어진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기존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기존 정산 필요 거래 데이터가 상기 정산 실행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기존 정산 필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를 상기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로서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에 대한 해당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를 자동 결정하는 단계를 갖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화 거래 데이터에는 외화 거래 금액, 외화 종류, 적용 환율이 구비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화 거래 데이터에는 거래 일시, 거래처, 거래 계좌에 대한 데이터가 더 구비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에는 외화 거래 유형 분류 번호, 외화 거래 금액, 외화 잔액, 외화 종류, 적용 환율에 대한 데이터가 구비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에는 상기 외화 거래 유형 번호, 본국 화폐로 표시된 외화 거래 금액, 본국 화폐로 표시된 환차손익 데이터 가 구비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프로세스에는 '외화 거래 계산 값 전달', '외화 거래 정리 잔액 수정 및 이력 정보 생성', '채권/채무 관련 외화 거래 데이터 저장', '건별 매칭 환차손익 자동 계산', '총괄 평가 환차손익 자동 계산', '(수출입 거래 등) 손익 관련 외화 거래 데이터 저장'의 처리 항목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데 그 중에서 상기 외화 거래 계산 값 전달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외화 거래 정보에는 상기 데이터 연결 번호, 거래 적요, 외화 거래 유형 분류 번호, 외화 종류, 외화 거래 금액, 외화 잔액, 적용 환율에 대한 데이터가 구비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본 회계 정보에는 상기 데이터 연결 번호인 분개 일련 번호, 거래처, 거래일시, 차대변별 계정 과목, 본국 화폐로 환산된 거래 금액이 구비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정산 필요 거래 각각에 대한 정산 실행 거래 데이터를 구비한 외화 거래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화 거래 이력 정보에는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의 데이터 연결 번호, 해당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의 데이터 연결 번호, 외화 거래 금액이 구비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화 거래 정보와 상기 외화 거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보정 데이터를 근거로 미리 준비된 보정 프로세스에 의해 자동으로 기존 외화 거래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출력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외화 거래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처 별, 거래 기간별, 거래 유형별, 거래 외화 종류 별 분석/통계 자료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17. 본국 화폐로 표시된 본 거래 데이터와 본국 화폐와 다른 외화로 표시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연관시켜 자동으로 처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화로 표시된 외화 거래 정보를 저장하는 외화 거래 정보 DB와;
    사용자에 대한 확인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DB와;
    외화 기준 정보가 저장되는 외화 기준 정보 DB와;
    미리 정해진 외화 거래 유형 정보를 저장하는 외화 거래 유형 정보 DB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검색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매개하는 웹 서버와;
    상기 각 DB에 저장된 정보 및 미리 준비된 본 회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각 DB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읽어 내도록 상기 웹 서버를 제어하며, 소정 방식으로 거래에 대한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보하고 외화 거래 유형을 확정한 다음, 상기 확정된 외화 거래 유형에 대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확보한 후, 상기 결정된 정산 특성 및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처리 대상 외화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이용한 상기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에 의해 생성, 저장된 본 회계 정보에 대한 데이터 연결 번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데이터 연결 번호와 상기 처리된 외화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화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화 거래 정보 DB에 저장하는 외화 거래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외화 거래 자동 관리 서버로부터 받은 상기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 또는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본 거래 데이터의 분개 처리를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거래에 대한 분개 기초 정보에 입각하여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해당 거래에 대해 분개 처리를 수행하여 차대변별 계정 과목을 확정하고 거래가 외화 거래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해 주는 외화 거래 확인 메시지를 제공하며, 상기 확정된 차대변별 계정 과목과 상기 본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본 회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본 회계 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외화 거래 자동 관리 서버로부터 분개 처리될 본 거래 데이터를 받아 이를 분개 처리하여 생성/저장한 본 회계 정보에 대해서는 해당 데이터 연결 번호를 외화 거래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본 거래 데이터 분개 처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정산 필요 외화 거래 데이터 각각에 대한 정산 실행 외화 거래 데이터를 구비하는 외화 거래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외화 거래 이력 정보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화 거래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출력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웹 서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외화 거래 정보와 상기 외화 거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보정 데이터를 근거로 미리 준비된 보정 프로세스에 의해 자동으로 기존 외화 거래 데이터를 보정하는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
KR10-2003-0015618A 2003-03-13 2003-03-13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490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618A KR100490098B1 (ko) 2003-03-13 2003-03-13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618A KR100490098B1 (ko) 2003-03-13 2003-03-13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695A KR20040080695A (ko) 2004-09-20
KR100490098B1 true KR100490098B1 (ko) 2005-05-17

Family

ID=3736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618A KR100490098B1 (ko) 2003-03-13 2003-03-13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0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695A (ko) 200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131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defined contribution plans
US848410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bill pay setup for online bill pay systems
US687397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dit line monitoring
US5920848A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intelligent agents for financial transactions, services, accounting, and advice
US86266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fixed asset transactions from multiple financial transactions
JP5710869B2 (ja) 担保価値審査装置、担保価値審査プログラム及び融資システム
US860670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ed and automated financial services
US20080015982A1 (en) Funds transfer method and system including payment enabled invoices
US20100250431A1 (en) Systems, methods, and machine-readable mediums for providing real-time data of commercial and financial activity of a business to a financial institution to guide credit operations and risk management
JP2003006440A (ja) 商品仲介取引処理システムと商品仲介取引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8011102A2 (en) Funds transfer method and system including payment enabled invoices
KR20180017099A (ko) 컴퓨터 구현 복수 통화 송장 캡처, 거래, 액세스 및 지불 시스템
US20020010660A1 (en) Hosting service system of household account information, household account server, accoun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household account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household account information using network and storage medium
US201701695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loan reset, customer retention campaigns and related processing
KR101006227B1 (ko) 은행 ib 업무지원을 위한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16097A (ja) 取引口座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提供方法
US2002012054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wash sale
KR20010095986A (ko) 인터넷 기반 투자중개서버 및 그 투자중개방법
KR100710405B1 (ko) 웹 스크래핑을 이용한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거래처신용관리 통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용관리 방법
JP4938813B2 (ja) 取引データ処理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490098B1 (ko) 외화 거래 데이터 자동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2342584A (ja) 取引明細管理システム
JP2008262269A (ja) 証券担保ローン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340049B2 (ja) 注文システム、注文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64109B1 (ko) 에스크로 특정금전신탁 시스템 및 웹 환경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