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896B1 -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896B1
KR100489896B1 KR10-2002-0080399A KR20020080399A KR100489896B1 KR 100489896 B1 KR100489896 B1 KR 100489896B1 KR 20020080399 A KR20020080399 A KR 20020080399A KR 100489896 B1 KR100489896 B1 KR 100489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output signal
coupler
res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931A (ko
Inventor
김종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2-008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8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Abstract

본 발명의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커플러를 장착함으로써 과도하게 높은 RF 전력을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도록하고, 이를 통하여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늘리는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송신 RF 신호로서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RF 송수신부;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출력 신호에 대하여 2개의 경로를 제공하여, 제1 주 파워 신호 및 제1 잔여 파워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제1 커플러;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대하여 2개의 경로를 제공하여, 제2 주 파워 신호 및 제2 잔여 파워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제2 커플러; 상기 제1 잔여 파워 신호 및 상기 제2 잔여 파워 신호의 RF 전력을 DC 전력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RF 검출부; 상기 RF 검출부로부터 DC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전원부; 상기 제1 주 파워 신호 및 상기 제2 주 파워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하는 ASM을 포함한다.

Description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BY USING RF FEEDBACK CIRCUI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에 있어서, RF 피드백 회로 방식을 채용하여 낭비되는 전력을 배터리 충전에 이용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늘일 수 있는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의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종래의 단말기의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 RF 신호로서 +9dBm의 제1 출력 신호 및 +8dBm의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RF 송수신부(110); RF 송수신부(110)로부터 제1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6dB의 감쇄를 한 후에 출력하는 제1 감쇄기(121); RF 송수신부(110)로부터 제2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6dB의 감쇄를 한 후에 출력하는 제2 감쇄기(122); 제1 감쇄기(121)의 출력 신호 및 제2 감쇄기(122)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한 후, 그 결과값을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130); 및 송수신 전환 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고, 전력 증폭기(130)의 출력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하는 ASM(Antenna Switching Module)(14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이러한 종래의 송수신 시스템에 의하면, RF 송수신부(110)의 출력 신호가 전력 증폭기(130)의 입력에 적합하지 않아 감쇄를 하여야 하는데, 이를 통하여 잔여 에너지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단지 열에너지로 소비되고 이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커플러를 장착함으로써 과도하게 높은 RF 전력을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도록하고, 이를 통하여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늘리는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는, 송신 RF 신호로서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RF 송수신부;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출력 신호에 대하여 2개의 경로를 제공하여, 제1 주 파워 신호 및 제1 잔여 파워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제1 커플러;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대하여 2개의 경로를 제공하여, 제2 주 파워 신호 및 제2 잔여 파워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제2 커플러; 상기 제1 잔여 파워 신호 및 상기 제2 잔여 파워 신호의 RF 전력을 DC 전력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RF 검출부; 상기 RF 검출부로부터 DC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전원부; 상기 제1 주 파워 신호 및 상기 제2 주 파워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하는 ASM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은, 통화가 발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통화가 발신되었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RF 송수신부에서 송신을 위하여 RF 전력을 출력하는 단계; 전력 증폭기용 전력을 제외한 잔여 전력이 검출되는 단계; 상기 잔여 전력을 DC 전력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DC 전력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RF 송수신부(210), 제1 커플러(221), 제2 커플러(222), RF 검출부(230), 전원부(240), 전력증폭기(250) 및 ASM(260)을 포함한다.
RF 송수신부(210)는, 송신 RF 신호로서 +9dBm의 제1 출력 신호를 후술하는 제1 커플터(221)로 출력하고, +8dBm의 제2 출력 신호를 후술하는 제2 커플러(222)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커플러(221)는, 상기 RF 송수신부(210)로부터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출력 신호에 대하여 2개의 경로를 제공하여, 제1 주 파워 신호 및 제1 잔여 파워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커플러(221)는, 4포트의 형태로서, 도통 포트 : 커플링된 포트를 1 : 3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커플러(222)는, 상기 RF 송수신부(210)로부터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대하여 2개의 경로를 제공하여, 제2 주 파워 신호 및 제2 잔여 파워 신호로 나누어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커플러(222)는, 4포트의 형태로서, 도통 포트 : 커플링된 포트를 1 : 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은 포트(isolated port)는 접지하게 된다.
또한, RF 검출부(230)는, 상기 제1 커플러(221)의 상기 제1 잔여 파워 신호 및 상기 제2 커플러(222)의 상기 제2 잔여 파워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잔여 파워 신호 및 상기 제2 잔여 파워 신호의 RF 전력을 DC 전력으로 전환하여 후술하는 전원부(24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원부(240)는, 단말기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RF 검출부(230)로부터 DC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력 증폭기(250)는, 상기 제1 커플러(221)의 상기 제1 주 파워 신호 및 제2 커플러(222)의 상기 제2 주 파워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한 후, 그 결과값을 후술하는 ASM(26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ASM(260)은, 송수신 전환 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 증폭기(250)의 출력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를 발신하면, RF 송수신부(210)는, 송신 RF 신호로서 +9dBm의 제1 출력 신호를 제1 커플터(221)로 출력하고, +8dBm의 제2 출력 신호를 제2 커플러(222)로 출력한다. 이후에, 제1 커플터(221) 및 제2 커플러(222)에서는, 이러한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에 대하여 2개의 경로를 제공하여, 전력 증폭기(250)의 입력단에 적합한 +2dBm의 주 파워 신호 및 잔여 파워 신호로 나누게 된다. 다음에, RF 검출부(230)는, 제1 커플러(221) 및 제2 커플러(222)의 잔여 파워 신호를 입력받고, 잔여 파워 신호의 RF 전력을 DC 전력으로 전환하여 전원부(240)로 출력하고, 전원부(240)는, 이러한 DC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전력 증폭기(250) 및 ASM(260)의 동작은 종래의 기술과 유사하므로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GPRS 휴대폰의 경우 GSM 휴대폰보다 더많은 DC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통화를 발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통화를 발신하였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S401).
다음에, RF 송수신부(210)에서 송신을 위하여 RF 전력을 출력한다(S402).
이후에, RF 검출부(230)는, 전력 증폭기(250)용 전력을 제외한 잔여 전력을 검출한다(S403).
다음에, RF 검출부(230)는, 상기 잔여 전력을 DC 전력으로 전환하여 전원부(240)로 출력한다(S404).
이후에, 전원부(240)는, 상기 DC 전력에 의해 충전된다(S40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커플러를 장착함으로써 과도하게 높은 RF 전력을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도록하고, 이를 통하여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늘리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의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송수신 시스템을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RF 송수신부 221 : 제1 커플러
222 : 제2 커플러 230 : RF 검출부
240 : 전원부 250 : 전력증폭기
260 : ASM

Claims (4)

  1. 송신 RF 신호로서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RF 송수신부;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출력 신호에 대하여 2개의 경로를 제공하여, 상기 2개의 경로중 한경로로 제1 주파워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2개의 경로 중 다른 한 경로로 제1 잔여 파워신호가 출력 되도록 하는 제1 커플러;
    상기 RF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대하여 2개의 경로를 제공하여, 상기 2개의 경로중 한경로로 제2 주파워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2개의 경로 중 다른 한 경로로 제2 잔여 파워신호가 출력 되도록 하는 제2 커플러;
    상기 제1 잔여 파워 신호 및 상기 제2 잔여 파워 신호의 RF 전력을 DC 전력으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RF 검출부;
    상기 RF 검출부로부터 DC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전원부;
    상기 제1 주 파워 신호 및 상기 제2 주 파워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하는 ASM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는, 4포트의 형태로서, 도통 포트 : 커플링된 포트를 1 : 3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러는, 4포트의 형태로서, 도통 포트 : 커플링된 포트를 1 : 2로 하고, 남은 포트는 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4. 통화가 발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통화가 발신되었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RF 송수신부에서 송신을 위하여 RF 전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RF 전력으로부터 전력 증폭기용 전력과 전력 증폭기용 전력을 제외한 잔여 전력으로 분배하여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잔여 전력을 DC 전력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DC 전력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KR10-2002-0080399A 2002-12-16 2002-12-16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0489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399A KR100489896B1 (ko) 2002-12-16 2002-12-16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399A KR100489896B1 (ko) 2002-12-16 2002-12-16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931A KR20040053931A (ko) 2004-06-25
KR100489896B1 true KR100489896B1 (ko) 2005-05-17

Family

ID=3734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399A KR100489896B1 (ko) 2002-12-16 2002-12-16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4892B2 (en) 2011-05-31 2014-02-04 Facebook, Inc. Dual mod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8929806B2 (en) 2011-05-31 2015-01-06 Facebook, Inc. Passively power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9246554B2 (en) 2011-05-31 2016-01-26 Facebook, Inc. Using a wireless radio to manage power consumption
EP3264617A1 (en) * 2011-05-31 2018-01-03 Facebook, Inc. A dual mod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DE102014202865A1 (de) * 2014-02-17 2015-08-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ntenn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selben
KR102342474B1 (ko) * 2019-08-19 2021-12-23 주식회사 티제이이노베이션 안테나모니터링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931A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32499A1 (en) Radio frequency power detecting circuit and method therefor
AU6902000A (en) Automatic gain control loop for frequency conversion of quadrature signals
KR19980070445A (ko) 전력 제어 회로 및 이동 전화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JPH09232992A (ja) トランシーバのrfデュプレクサバイパス方法
CN111756396A (zh) 射频电路、电子设备和控制方法
KR100489896B1 (ko) Rf 피드백 회로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CN109379141B (zh) 一种时分双工光载无线传输系统
JPH0946264A (ja) 線形変調無線送受信装置及びその電力制御方法
JPS6143026A (ja) 受信電界制御送信方式
CN112671377B (zh) 一种延时装置
CN115865120A (zh) 一种收发模块
JP2792184B2 (ja) 無線電話装置
CN217508720U (zh) 功率放大器控制电路和电子设备
EP1482636A1 (en) Front end module
US20190081368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ircuit and Device
KR10039652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송신기의 전력증폭 장치
KR20000041315A (ko) 무선통신장치에서 소모전류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28781B1 (ko) 선형적인 출력파워 검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KR2001010405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pdm 신호를 이용한 송신전력제어장치
US668749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1969B1 (ko) Rf송수신장치와 전원절환장치와 절환방법 및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14815A (ko) 송신 전력 세기에 따른 매칭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H0547412Y2 (ko)
KR20050014422A (ko) 안테나 매칭 변환 장치
KR10062959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