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817B1 -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817B1
KR100488817B1 KR10-2003-0047709A KR20030047709A KR100488817B1 KR 100488817 B1 KR100488817 B1 KR 100488817B1 KR 20030047709 A KR20030047709 A KR 20030047709A KR 100488817 B1 KR100488817 B1 KR 10048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ip
call transfer
address
u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8034A (ko
Inventor
강구화
김형섭
이상연
최우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81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96Supplementary features, e.g. call forwarding or call ho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SIP를 기초로하여 호 셋업 과정에서 수신 측이 착신불가인 경우, 호 또는 세션을 다른 주소로 전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방법은 a)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수신 측이 착신불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단계 b)에서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수신 측의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호 전환을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SIP 기반 망에서, 가입자가 착신불가시인 경우요청된 호/세션을 가입자가 지정한 주소(또는 목적지)로 호/세션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Redirecting Call/Session Based On SIP When Called Party Is Not Reachable}
본 발명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 호/세션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IP를 기초로하여 호 셋업 과정에서 수신 측이 착신불가인 경우, 호 또는 세션을 다른 주소로 전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SIP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내의 SIP 운영 그룹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 SIP는 IETF RFC 2543으로서 공개되었으며, 현재 표준으로 제안된상태이다. SIP는 본 발명에 협조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SIP 호/세션 셋업시 수신 측이 착신불가시 호/세션을 다른 주소로 전환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IP 호/세션 셋업시 수신 측이 착신불가인 경우, 가입자가 사전에 지정한 주소로 호/세션을 전환하여 주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은 a)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수신 측이 착신불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단계 b)에서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수신 측의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호 전환을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c)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에 따라 이행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는 상기 수신 측에 의해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이 시도된 시점부터 시간을 계수하는 단계; 및 a-2)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수신 측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시도에 무응답시 상기 수신측이 착신불가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d) 상기 호 전환을 이행하기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d)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호 전환이 이행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는, PSTN 또는 PLMN tel-URL, SIP URL, HTTP URL, 및 전자 메일 주소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SIP URL인 경우, 상기 호 전환을 위해, 상기 SIP URL을 기초로 하는 인바이트 메시지가 생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PSTN 또는 PLMN tel-URL인 경우, 상기 PSTN 또는 PLMN tel-URL에 따라 상기 호 전환이 이행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HTTP URL인 경우, 상기 HTTP URL 및 인터넷 브라우저 구동 명령을 포함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되는 인바이트 메시지가 상기 발신 측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전자 메일 주소인 경우, 상기 전자 메일 주소 및 전자 메일 프로그램 구동 명령을 포함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되는 인바이트 메시지가 상기 발신 측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은 SIP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수신 측이 착신불가인 경우, 상기 수신 측의 프로파일을 기초로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착신불가 메시지를 응용 서버에 제공하기 위한 SIP 서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입자 서비스 프로파일들을 포함하며, 상기 SIP 서버로부터의 상기 착신불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 측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포함된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바이트 메시지를 상기 SIP 서버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응용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SIP 서버는 상기 응용 서버로부터의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따라 호 셋업을 이행한다. 여기서, 상기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에 따라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시키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는 상기 수신 측에 의해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IP 서버는, 상기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이 시도된 시점부터 시간을 계수하고,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수신 측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시도에 무응답시 상기 수신측이 착신불가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SIP 서버는 상기 호 전환을 이행하기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호 전환을 이행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는, PSTN 또는 PLMN tel-URL, SIP URL, HTTP URL, 및 전자 메일 주소를 포함한다.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SIP URL인 경우, 상기 호 전환을 위해, 상기 SIP URL을 기초로 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PSTN 또는 PLMN tel-URL인 경우, 상기 PSTN 또는 PLMN tel-URL을 기초로 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시킨다. 또한,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HTTP URL인 경우, 상기 HTTP URL 및 인터넷 브라우저 구동 명령을 포함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 상기 호 전환 주소가 전자 메일 주소인 경우,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전자 메일 주소 및 전자 메일 프로그램 구동 명령을 포함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SIP 기반 망에서, 가입자가 착신불가시인 경우요청된 호/세션을 가입자가 지정한 주소(또는 목적지)로 호/세션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주지해야 할 사항들을 기술한다:
1. 용어의 정의
-착신불가시 호 전환 서비스: 서비스 가입자에게로 호 또는 섹션이 시도되는(즉, 착신되는) 시점에 상기 가입자가 착신불가(예컨대, 단말이 무선 커버리지 영역밖에 위치하거나, 밧데리 방전등과 같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인 상태일 때, 사전에 지정된 제3의 주소(또는, 목적지)로 상기 시도된 호 또는 섹션을 전환시키는 서비스이다.
2. 서비스 설정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의 가입자(단말 B)가 단말에서의 조작이나 웹을 통한 서비스를 설정 또는 고객 센타를 통하여, 착신불가 상태에서 자신에게 착신되는 호들에 대해 다른 곳(예컨대, 단말 C)으로 전환되도록 서비스를 등록(활성화)시킴.
-호 전환되는 단말 C(다른 주소 또는 장소)는 SIP 단말 뿐 아니라 비(non)-SIP 단말도 가능함. (예컨대, PSTN (tel-URL), 인터넷 홈페이지(HTTP URL), 전자 우편(E-mail)등)
3. 서비스 프로파일 변경
-서비스 활성화에 따라 망내 가입자 DB(위치 서버(Location Server) 또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에서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 프로파일의 변경.
4. 서비스 프로파일 갱신 적용
-변경된 서비스 프로파일이 현재 이 가입자의 서비스를 책임지고 있는 SIP 서버(Server) B 및 응용 서버(Application Server)에 전달되어 가입자 B의 프로파일이 실시간 갱신됨. 즉, 향후 가입자 B로 착신 시도되는 호/세션에 대해 착신불가시 호 전환 서비스 로직 적용.
- 만약, 이 가입자가 아직 망 등록(Registration)하지 않은 가입자의 경우, 등록 절차 수행시 SIP 서버(Server) B 및 응용 서버에 변경된 서비스 프로파일 및 스크립트(Script)가 다운로드되어 해당 서비스 제공 가능.
5. 상술한 정의외에, 본 명세서내의 모든 노드들의 명칭들은 SIP규격에 따른 일반적인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명칭들은 구현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또한 각 노드들은 논리적 기능 요소를 의미하므로 구현시 필요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내에 여러 기능 요소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서비스 플로우들은 최초 인바이트(INVITE) 메시지의 전달만 표기하였으며, 호가 최종적으로 셋업되기 위해 인바이트(INVITE) 이후에 "183 Session Progress", "PRACK", "UPDATE", "180 Ringing", "200 OK", "ACK" 등 세션 협상 및 설정과 자원 예약등과 관련된 메시지가 추가로 사용되어져야 하나, 이는 최초 인바이트(INVITE)의 전달 경로를 따르는 것이며 본 발명의 핵심과는 독립적인 내용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IP 기반 착신불가시 호 전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은 SIP 서버(201), 위치 서버(203), 및 SIP 응용 서버(AS; Application Server: 205)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단지 3개의 서버들(201, 203, 205)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서버들 각각은 실시 예에 따라 하나 이상일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서버들의 수에 의해 제한 받지 않는다라는 점을 주지해야 것이다.
도 1에서, SIP 서버(201)는 SIP에 따라 IP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또는 입력되는 인바이트 메시지에 응답한다. 상기 SIP 서버(201)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호 또는 세션을 셋업한다. 상기 SIP 서버(201)는 SIP 서버(201)에 등록된 단말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SIP 서버(201)에는 등록된 단말들 각각의 프로파일들이 저장된다. 상기 SIP(201)가 관리하는 단말(또는 수신 측; 101, 103, 105)로의 호 또는 세션 셋업을 위한 인바이트 메시지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SIP 서버(201)는 본 발명에 따라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수신 측(예컨대, 단말 B(103))이 착신불가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수신 측(단말 B(103))이 착신불가인 경우, 상기 SIP 서버(201)는 상기 수신 측(단말 B(103))의 서비스 프로파일내의 "Initial Filter Criteria"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 측(단말 B(103))이 본 발명에 따른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수신 측(단말 B(103))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면, 상기 SIP서버(201)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SIP 응용 서버(Application Server; 205)와 인바이트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예컨대,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 여기서, 상기 "Initial Filter Criteria"란 가입자의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사전에 정의한 서비스 트리거링 기준에 해당하는 모든 메커니즘을 통칭한다는 사실에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SIP 서버(201)는 상기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수신 측(예컨대, 단말 B(103))이 착신불가인지를 판단하기 이전에 먼저, 상기 수신 측(단말 B(103))의 서비스 프로파일내의 "Initial Filter Criteria"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 측(단말 B(103))이 본 발명에 따른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착신불가 판단 및 서비스 가입의 판단의 순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기 SIP 서버(201)는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이 시도된 시점부터 시간을 계수하고,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수신 측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시도에 무응답시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SIP 서버(201)은 상기 시간 계수를 위한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 SIP 서버(201) 내부 작동하는 로직상의 타이머이거나, 또는 실시 예에 따라 개별적으로 SIP 서버(201)에 장착된 타이머일 수도 있다.
상기 위치 서버(203)는 각 SIP 서버(201)에 등록된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SIP 서버(201)로부터의 위치 문의에 응답한다.
상기 SIP AS(205)에는 모든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들이 저장된다. 상기 SIP 서버(201)로부터의 상기 착신불가 메시지(예컨대,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SIP AS(205)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단말(단말 B(103))의 가입자 서비스 프로파일을 기초로 상기 단말(단말 B(103))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를 설정했다는 사실을 인지하며, 그 인지 결과에 따라 해당 서비스 로직을 구동한다. 이 때, 상기 SIP AS(205)는 상기 수신 측(단말 B(103))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라면, 상기 서비스 로직 구동 결과로서 "Proxy mode"로 동작하여 상기 수신 측(단말 B(103))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포함된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바이트 메시지를 상기 SIP 서버(201)에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SIP 서버(201)는 상기 SIP AS(205)로부터의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따라 호/세션 셋업을 이행한다. 여기서, 서비스 로직이란 CPL등과 같은 언어로 구현되며 서비스 가입자 정보, 가입 서비스 종류, AS의 동작 모드(이 경우, "Proxy mode"), 서비스 적용 조건, 및 적용 결과(호 전환 목적지)등이 포함되어 있는 코드(Code)를 지칭함에 주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정보는 호 전환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SIP AS(205)는 상기 호 전환 주소에 따라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호 전환 주소는 상기 수신 측(단말 B(103))에 의해 설정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SIP 서버(201)는 상기 호 전환을 이행하기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호 전환을 이행한다. 예컨대, 상기 호 전환 주소는 PSTN 또는 PLMN tel-URL, SIP URL, HTTP URL, 또는 전자 메일 주소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IP AS(205)는 상기 호 전환 주소가 SIP URL인 경우, 상기 호 전환을 위해, 상기 SIP URL을 기초로 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바이트 메시지를 상기 SIP 서버(201)에 제공한다. 상기 호 전환 주소가 PSTN 또는 PLMN tel-URL인 경우, 상기 SIP AS(205)는 상기 PSTN 또는 PLMN tel-URL을 기초로 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호 전환 주소가 HTTP URL인 경우, 상기 SIP AS(205)는 상기 HTTP URL 및 인터넷 브라우저 구동 명령을 포함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호 전환 주소가 전자 메일 주소인 경우, 상기 SIP AS(205)는 상기 전자 메일 주소 및 전자 메일 프로그램 구동 명령을 포함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이하, 착신 전환될 수신 측의 특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상기 SIP 서버(201)를 기능에 따라 논리적으로 서빙(Serving) 및 프록시(Proxy)로 분리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SIP 서버 서빙(Serving) 및 SIP 서버 프록시(Proxy)가 물리적으로 한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라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단말 C(호 전환될 단말)가 SIP 단말(Client)인 경우의 과정의 일 예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착신불가시 호 전환될 수신 측이 SIP 단말(Client)인 경우 호 전환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 A가 단말 B로의 호 셋업을 위해 인바이트 메시지를 SIP 서버 A에 전송한다. 상기 SIP 서버 A는 상기 단말 A를 현재 서비스하는 서버이다(S101).
단말 A로부터의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SIP 서버 A는 인바이트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 측 번호를 분석하고, 상기 수신 측 번호를 갖는 단말 B로의 라우팅을 위해 상기 단말 B의 등록 및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위치 서버(Location Server) B에 상기 단말 B의 위치를 문의한다. 상기 SIP 서버 A로부터 상기 단말 B의 위치 문의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 상기 위치 서버 B는 상기 단말 B가 등록되어 있는 SIP 서빙 서버 B(Serving)의 주소를 상기 SIP 서버 A에 제공한다(S102).
상기 SIP 서버 A는 상기 SIP 서빙 서버 B의 주소에 따라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상기 SIP 서빙 서버 B으로 전송한다(S103).
SIP 서빙 서버 B은 상기 SIP 서버 A로부터의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 측 번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의해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단말 B로의 착신임을 알게된다. 이어, 상기 SIP 서빙 서버 B은 상기 단말 B의 서비스 프로파일내의 "Initial Filter Criteria"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 B가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Initial Filter Criteria"란 가입자의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사전에 정의된 서비스 트리거링 기준에 해당되는 모든 메커니즘을 통칭한다라점에 주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만일, 상기 단말 B가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면, 상기 SIP서버 B 서빙은 SIP 응용 서버(AS: Application Server)와 인바이트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S104).
이어, 상기 SIP 서빙 서버 B은 인바이트 메시지를 SIP 프록시 서버 B에 전송한다. 상기 단말 B의 등록 과정에서 할당되어 등록되었기 때문에 상기 SIP 서빙 서버 B은 상기 SIP 프록시 서버 B의 주소 정보를 사전에 알고 있다(S105).
상기 SIP 서빙 서버 B로부터의 인바이트 메시지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SIP 프록시 서버 B는 단말 B의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인바이트 메시지를 착신 시도한다(S106).
한편, 상기 SIP 프록시 서버 B는 상기 착신 시도와 동시에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상기 타이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현시 사전에 지정한 SIP 타이머 또는 서비스 로직상의 타이머를 의미한다점에 주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SIP 프록시 서버 B에 의한 착신 시도에 대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단말 B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SIP 프록시 서버 B는 상기 단말 B이 착신불가인 것으로 판단하고, 착신불가 메시지(예컨대, "408 Request Timeout")를 상기 SIP 서빙 서버 B에 제공한다(S107, S108).
SIP 프록시 서버 B로부터의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SIP 서빙 서버 B는 서비스 프로파일로 관리하고 있는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기초로 SIP AS에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제공한다(S109).
상기 SIP 서빙 서버 B부터의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수신한 SIP AS는 해당 단말 B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기초로 착신불가로 인한 호 전환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해당 서비스 로직을 구동하여 그 결과로서 프록시 모드(Proxy Mode)로 동작하여 단말 C로 호 또는 세션이 전환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110).
상술한 호 전환 결정에 따라 발신 측에 현재 호가 전환되고 있다는 정보를 전해 줄 수 있으며, 이는 서비스 조건에 따라 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업자 정책 및 단말 구현에 따라 사용자에게 호가 전환되고 있다는 사실을 표시하지 않을 수 도 있다(S111, S112, S113).
상기 SIP AS는 새로운 착신 주소(또는, 목적지)인 단말 C로의 호 요청을 위해 상기 착신 주소가 단말 C인 새로운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바이트 메시지를 SIP 서빙 서버 B로 전송한다(S114).
본 실시예(도 2)에서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의 전달보다 앞서 단계 S111 내지 S113이 먼저 이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단계 S111 내지 S113와 병행하여 단계 S114가 실행될 수 있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즉, 단계 S114가 반드시 단계 S113 이 후에 실행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 SIP 서빙 서버 B는 인바이트 메시지의 착신 번호(예컨대, SIP URL)를 분석하고 단말 C로의 라우팅을 위해 단말 C의 등록 및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위치 서버 C에 상기 단말 C의 위치를 조회하여, 상기 위치 서버 C로부터 단말 C가 등록되어 있는 SIP 서버 C의 주소를 알아낸다. 이어, SIP 서빙 서버 B는 상기 SIP 서버 C의 주소에 따라 인바이트 메시지를 SIP 서버 C로 보낸다(S115, S116).
SIP 서버 C는 수신한 인바이트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측이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단말 C임을 확인하고, 단말 C의 접촉(contact) 정보(예컨대, IP주소)를 바탕으로 단말 C로 최종 호/세션이 확립될 수 있도록 라우팅한다(S117).
2. 단말 C(호 전환될 단말)가 SIP 단말(Client)인 경우의 과정의 또 다른 예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착신불가시 호 전환될 수신 측이 SIP 단말인 경우 호 전환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101 내지 단계 103까지의 단계는 도 1에서와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101 내지 S103에 의해 인바이트 메시지가 상기 SIP 서빙 서버 B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SIP 서빙 서버 B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 측 번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의해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단말 B로의 착신임을 알아내고,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SIP 프록시 서버 B에 전송한다. 상기 SIP 서빙 서버 B는 상기 단말 B의 등록 과정에서 할당되어 등록되었기 때문에 상기 SIP 서빙 서버 B는 상기 SIP 프록시 서버 B의 주소 정보를 사전에 알고 있다(S204).
상기 SIP 서빙 서버 B로부터의 인바이트 메시지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SIP 프록시 서버 B는 단말 B의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인바이트 메시지를 착신 시도한다(S205).
한편, 상기 SIP 프록시 서버 B는 상기 착신 시도와 동시에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상기 타이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현시 사전에 지정한 SIP 타이머 또는 서비스 로직상의 타이머를 의미한다점에 주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SIP 프록시 서버 B에 의한 착신 시도에 대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단말 B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SIP 프록시 서버 B는 상기 단말 B이 착신불가인 것으로 판단하고, 착신불가 메시지(예컨대, "408 Request Timeout")를 상기 SIP 서빙 서버 B에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착신불가 메시지로서 SIP 표준 메시지 대신에 사업자 또는 제조사가 정의한 메시지가 사용될 수 도 있다(S206, S207).
상기 SIP 프록시 서버 B로부터의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SIP 서빙 서버 B는 상기 단말 B의 서비스 프로파일내의 "Initial Filter Criteria"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 B가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Initial Filter Criteria"란 가입자의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사전에 정의된 서비스 트리거링 기준에 해당되는 모든 메커니즘을 통칭한다라점에 주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S208).
만일, 상기 단말 B가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면, 상기 SIP서버 B 서빙은 호 전환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에 기반하여 인바이트 메시지를 해당 SIP 응용 서버(AS: Application Server)에 전달한다.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는 호 전환 사유(착신불가) 정보가 담겨진다(S209).
이어, 상기 SIP 서빙 서버 B로부터의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SIP 응용 서버는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 및 상기 단말 B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기초로 착신불가로 인한 호 전환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해당 서비스 로직을 구동하여 그 결과로서 프록시 모드(Proxy Mode)로 동작하여 단말 C로 호 또는 세션이 전환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210). 여기서 서비스 로직이란 CPL등과 같은 언어로 구현되며 서비스 가입자 정보, 가입 서비스 종류, AS의 동작 모드(이 경우 Proxy Mode), 서비스 적용 조건 및 적용 결과(호 전환 목적지 예컨대, 단말 C)등이 포함되어 있는 코드를 지칭함에 주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하의 과정들은 도 1의 단계 111 내지 단계 117과 동일함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 단말 C가 PSTN 또는 PLMN 단말(tel-URL)인 경우 처리 과정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착신될 단말이 PSTN 또는 PLMN 단말(tel-URL)인 경우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도 2 및 도 3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101 내지 단계 114까지의 단계는 도 1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수신에 따라 상기 SIP AS로부터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 상기 SIP 서버 B는 인바이트 메시지의 착신 주소(tel-URL)를 분석하여 이 호가 PSTN 또는 PLMN과 같은 회선 교환망으로 라우팅되어야 함을 인식(또는 판단)한 후, 망내에 PSTN/PLMN과의 연동 기능인 MGCF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MGCF; 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로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라우팅한다(S315).
여기서, 상기 MGCF는 패킷망의 SIP 시그널링 프로토콜과 회선망의 ISUP과 같은 SS7 프로토콜의 변환을 담당하여 두 망간 연동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인바이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 번호 분석하고, 분석 결과 단말 C가 PSTN 또는 PLMN 단말임을 확인하고 PSTN 또는 PLMN과의 호 설정을 위해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ISUP메시지(IAM)로 변환하여 PSTN으로 내보낸다. 그러면, PSTN 교환기는 최종단의 단말 C로의 라우팅을 수행한다(S316, S317).
4. 전환 모드(Redirect Mode)인 경우의 신호 처리 과정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이 전환 모드(Redirect Mode)인 경우의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에서 도 2 내지 도 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한다:
1. 단말C가 PSTN/PLMN에 존재하며(tel URL), 망내에 MGCF와 같은 시그널링 변환 장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2. 단말 C가 인터넷 홈 페이지(또는, HTTP URL) 주소일 경우;
3. 단말 C가 이메일(E-Mail) 주소일 경우; 및
4. 기타 사업자 정책에 따른 라우팅일 경우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단계 101 내지 단계 109까지의 단계는 도 1과 동일한다.
단계 410에서, "408 Request Timeout" 메시지를 수신한 SIP AS는 해당 단말 B의 가입자 서비스 프로파일을 기초로 상기 단말 B가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를 설정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해당 서비스 로직을 구동하여 그 결과로서(즉, 단말 C 주소의 특성상 또는 사업자 정책에 의해) 전환 모드(Redirect mode)로 동작하여 단말 C로 호가 전환되어야 함을 판단한다(S410).
이어, 상기 SIP 응용 서버는 착신 전환될 단말 C의 주소를 포함하는 구동 명령 신호(예컨대, "302 Moved Temporarily"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 A로 전달한다(S411 내지 단계 S416). 또는, 이와는 달리,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 A에 상기 단말 C로의 호 전환 의사를 문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구동 명령 신호가 제공될 수 도 있다.
만일, 구동 명령 신호가 상기 단말 A에 제공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착신 전환될 주소의 타입에 따라 자동으로(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게)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호를 재발신한다(S417).
여기서, 상기 단말 C의 주소가 SIP URL일 경우, 단말 A내의 SIP 클라이언트(Client)는 자동으로 상기 주소를 착신으로 하는 새로운 인바이트를 생성하여 망으로 발신한다. 상기 단말 C의 주소가 tel-URL일 경우, 단말 A의 회선 교환 이동 전화 기능을 자동으로 구동시켜 이 주소를 착신으로 하는 호 설정을 실행한다. 단말 C의 주소가 HTTP URL일 경우(예컨대, 인터넷 홈페이지 등), 단말 A내의 인터넷 브라우저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이 주소를 착신으로 하는 세션 설정을 실행하며, 단말 C의 주소가 전자 우편(E-mail) 주소일 경우, 이 주소를 착신으로 하는 단말 A내의 전자 우편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단말 A에 상기 단말 C로의 호 전환 의사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제공되는 경우, 상기 단말 A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술한 과정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재발신 과정없이 호 처리가 종료된다. 예컨대, 상기 단말 A의 사용자가 상기 호 전환 의사의 문의에 대해 "예"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말 A는 재발신 프로그램을 가동시켜 호를 재발신시키며, 이와는 달리, 상기 호 전환 의사의 문의에 대해 "아니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재발신 프로그램을 구동없이, 상기 명령의 수행을 완료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들에 의하면, SIP 기반 망에서, 가입자가 착신불가시 요청된 호/세션을 가입자가 지정한 주소(또는 목적지)로 호/세션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SIP 호/세션 셋업시 수신 측이 착신불가인 경우 호/세션을 다른 주소로 전환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통상적인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IP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호 전환될 수신 측이 SIP 단말(Client)인 경우 호/세션 전환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착신불가시 호 전환될 수신 측이 SIP 단말인 경우 호 전환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착신될 단말이 PSTN 또는 PLMN 단말인 경우 호/세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이 전환 모드(Redirect Mode)인 경우의 호/세션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Claims (20)

  1. a)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수신 측이 착신불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단계 b)에서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수신 측의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호 전환을 이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c)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에 따라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는 상기 수신 측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a-1) 상기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이 시도된 시점부터 시간을 계수하는 단계; 및
    a-2)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수신 측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시도에 무응답시 상기 수신측이 착신불가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d) 상기 호 전환을 이행하기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계 d)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호 전환을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는,
    PSTN 또는 PLMN tel-URL, SIP URL, HTTP URL, 및 전자 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SIP URL인 경우, 상기 호 전환을 위해, 상기 SIP URL을 기초로 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PSTN 또는 PLMN tel-URL인 경우, 상기 PSTN 또는 PLMN tel-URL에 따라 상기 호 전환을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HTTP URL인 경우, 상기 HTTP URL 및 인터넷 브라우저 구동 명령을 포함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측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전자 메일 주소인 경우, 상기 전자 메일 주소 및 전자 메일 프로그램 구동 명령을 포함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상기 발신 측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11. SIP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수신 측이 착신불가인 경우, 상기 수신 측의 프로파일을 기초로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수신 측이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착신불가 메시지를 응용 서버에 제공하기 위한 SIP 서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입자 서비스 프로파일들을 포함하며, 상기 SIP 서버로부터의 상기 착신불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 측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포함된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바이트 메시지를 상기 SIP 서버에 제공하기 위한 상기 응용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SIP 서버는 상기 응용 서버로부터의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에 따라 호 셋업을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불가 호 전환 서비스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에 따라 상기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는 상기 수신 측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SIP 서버는,
    상기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이 시도된 시점부터 시간을 계수하고, 소정의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수신 측으로부터 상기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시도에 무응답시 상기 수신측이 착신불가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
  15. 제11 항 내지 제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IP 서버는
    상기 호 전환을 이행하기 이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호 전환을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는,
    PSTN 또는 PLMN tel-URL, SIP URL, HTTP URL, 및 전자 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SIP URL인 경우, 상기 호 전환을 위해, 상기 SIP URL을 기초로 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PSTN 또는 PLMN tel-URL인 경우, 상기 PSTN 또는 PLMN tel-URL을 기초로 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가 HTTP URL인 경우, 상기 HTTP URL 및 인터넷 브라우저 구동 명령을 포함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 전환 주소 상기 호 전환 주소가 전자 메일 주소인 경우, 상기 전자 메일 주소 및 전자 메일 프로그램 구동 명령을 포함하는 인바이트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시스템.
KR10-2003-0047709A 2003-07-14 2003-07-14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100488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709A KR100488817B1 (ko) 2003-07-14 2003-07-14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709A KR100488817B1 (ko) 2003-07-14 2003-07-14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034A KR20050008034A (ko) 2005-01-21
KR100488817B1 true KR100488817B1 (ko) 2005-05-11

Family

ID=3722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709A KR100488817B1 (ko) 2003-07-14 2003-07-14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315B1 (ko) * 2004-09-17 2008-04-02 주식회사 케이티 타 소프트스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소프트스위치와 이를 이용한 호분배방법
KR100656485B1 (ko) * 2006-02-13 2006-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Pta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034A (ko) 200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999B1 (ko) 통합된 전기통신망에 배치된 엔티티에서 서비스노드로액세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방법
KR101276002B1 (ko) Ims 등록 사용자를 위한 호 처리
EP17610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number portability in IMS networks
JP4555228B2 (ja) 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能力を自動的に検出する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4080471B2 (ja) ヘテロジーニアスネットワークを通じたデータプッシュ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EP1606921B1 (en) Request redirection handling in imc
US20070070976A1 (en) Mobile and packet-based call control
US8335201B2 (en) Call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relevant devices
KR20040106237A (ko) 미디어 경로 재지정 장치 및 방법
KR100911095B1 (ko) 번호 이동성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enum 서비스 호처리 방법
US74262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lized call forwarding between telephone terminals
US6775368B1 (en) Seamless data network telecommunication service during mobile wireless call handoff
WO2003030420A1 (en) A method for providing hybrid voice and packet data services to a mobile station
KR100673165B1 (ko) 에스아이피 기반 통화중 호/세션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100488817B1 (ko) 에스아이피 기반 착신불가시 호/세션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100629889B1 (ko) 에스아이피 기반 호/세션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100535241B1 (ko) 에스아이피 프로토콜 기반의 무응답 시 호 전환 방법
WO2002003714A1 (en) Voice-over-ip call forwarding
JP4330584B2 (ja) Imcにおける要求リダイレクションハンドリング
KR20050005804A (ko) 세션 개시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조건 호/세션 전환 서비스제공방법
US91129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a gateway negotiation
US20050094790A1 (en) Transmission of user input(s) to telephony device(s) through employment of data stream(s) associated with call
KR20060023058A (ko) 브이오아이피 시스템 및 브이오아이피 시스템의 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