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572B1 -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572B1
KR100487572B1 KR10-2003-0030371A KR20030030371A KR100487572B1 KR 100487572 B1 KR100487572 B1 KR 100487572B1 KR 20030030371 A KR20030030371 A KR 20030030371A KR 100487572 B1 KR100487572 B1 KR 100487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wireless lan
area
communication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161A (ko
Inventor
선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모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모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모링크
Priority to KR10-2003-0030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5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역내의 통신실에 설치되는 랙 착탈 방식의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그 일측단은 구역내 건물에 설치되고, 그 타측단은 상기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각 커넥팅 블럭에 연결되어 무선 단말기로부터 방사된 전파를 수신하는 적어도 1 이상의 누설동축케이블과; 전파 반사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역내 건물에 설치되는 각 누설동축케이블의 일측단에 설치한 종단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를 동일한 장소에 집합할 수 있어 통합적인 유지보수가 편리한 동시에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누설동축케이블을 적어도 2 이상 분기할 수 있어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을 확장할 수 있고, 동일한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2개사 이상의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시스템 {Wireless LAN Access Point Apparatus and System for minimizing Shadow Zone}
본 발명은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안테나 방식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발생하는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테나 대신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서 사용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적용한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컴퓨터, PDA 등의 이동형 무선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사무실 내에서 또는 옥외에서의 무선 네트워킹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무선 단말기에 통상적인 유선 이더넷 어댑터를 연결해 네트워킹하는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의 설치위치가 유선랜선에 의해 크게 제약되기 때문에 이동형 무선 단말기의 이동성이 사실상 의미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형 무선 단말기를 통해 어느 위치에서나 무선으로 네트워킹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무선랜 시스템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랜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와 가시권(Line of Sight)내에 있을 수 있는 지점에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를 설치하고, 유선랜의 이더넷 백본(Ethernet Backbone)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유선 연결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에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무선랜 시스템에 있어서의 액세스 포인트는 유선랜 이더넷 백본과 무선 클라이언트(Client) 사이를 잇는 일종의 브리지(Bridge) 역할을 한다.
도 1 은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구역내 통신실에 데이타 및 전원공급장치(POE)와, 스위칭 허브(Hub) 및 라우터(Router) 등의 네트워크 장비를 설치하고, 구역내 건물의 각 층 천장에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하여 UTP 케이블을 이용해 상기 각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데이타 및 전원공급장치(POE)를 연결하여 시공하고, 액세스 포인트간의 전파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각 액세스 포인트간의 좌, 우 위치 및 층간 동일 위치의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을 최소 4채널 이상의 간격을 두었다.
이러한 종래의 UTP 케이블을 이용한 무선랜 시스템은 네트워크 설계가 용이하고, 동시 접속자 수가 많은 장점을 가지나, 반면에 구역내 건물 각층의 천정에 설치되므로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어려우며, 전파를 구형으로 발생하는 안테나를 부착하고 있어 통신 음영지역 발생이 많고, 이러한 통신 음영지역 해소를 최소화하기위해 전파 발생영역이 겹치도록 많은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해야하므로 설치비 부담이 크며 채널 분할이 까다롭고, 현실적으로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해 2개사 이상의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하철 등과 같은 터널구조에서는 안테나를 이용할 경우 전파의 손실이 지상의 자유공간에서보다 훨씬 커지고, 특히, 터널의 경우 가시거리(Line of Sight) 경로를 가지는 경우가 거의 없는 즉, 터널은 넓은 공간영역이 아니라 협소한 넓이를 가지는 긴 공간이므로 누설동축케이블(Leakage Coaxial Cable)을 이용해 이동통신 서비스, 터널 라디오 중계방송 등 각종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의 누설동축케이블의 경우 UTP 케이블에 비해 고가이나, 원통형의 전파가 발생되어 상기한 구형으로 전파를 발생하는 경우에 비해 통신 음영지역 발생이 매우 적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무선랜 시스템에 누설동축케이블을 적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구역내의 통신실내에 랙(Rack) 착탈 방식으로 설치가능하여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동일한 장소에 집합할 수 있어 통합적인 유지보수가 편리한 동시에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동일한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2개사 이상의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무선랜 시스템에 누설동축케이블을 적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구역내의 통신실내에 랙(Rack) 착탈방식으로 설치가능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동일한 장소에 집합할 수 있어 통합적인 유지보수가 편리한 동시에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누설동축케이블을 적어도 2 이상 분기할 수 있어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2개사 이상의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 장치는 누설동축케이블(Leakage Coaxial Cable)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케이블 접속단자와,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또는 라우터(Router)와 연결되는 유선랜 연결선의 단자를 접속하는 이더넷(Ethernet) 접속잭과, 상기 케이블 접속단자와 이더넷 접속잭 사이에 연결되어 유선랜 네트워크 영역과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을 연동하는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케이블 접속단자 및 이더넷 접속잭을 지지 고정하되 적어도 그 외측 양면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착탈하기 위한 제 1 가이드부와 장착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커넥팅 블럭(Connecting Block)과; 상기 커넥팅 블럭이 적어도 1 이상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되, 상기 커넥팅 블럭의 제 1 가이드부에 대응하여 형성한 제 2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에 대응하여 형성한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랙(Ra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 장치는 상기 커넥팅 블럭의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으로 패킷 데이타(Packet Data)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송수신부와; 상기 유선랜 연결선을 통해 유선랜 네트워크 영역으로 패킷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유선랜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랜 송수신부 및 유선랜 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타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패킷 데이타 처리를 위한 네트워크 설정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은 구역내의 통신실에 설치되는 랙 착탈 방식의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그 일측단은 구역내 건물에 설치되고, 그 타측단은 상기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각 커넥팅 블럭에 연결되어 무선 단말기로부터 방사된 전파를 수신하는 적어도 1 이상의 누설동축케이블과; 전파 반사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역내 건물에 설치되는 각 누설동축케이블의 일측단에 설치한 종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은 상기 종단부가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으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ntenn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은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 확장을 위해 상기 커넥팅 블럭의 케이블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적어도 2 이상으로 분기시키는 분배기(Distribut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은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커넥팅 블럭의 케이블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각 누설동축케이블을 결합시키는 결합기(Coupl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와, 누설동축케이블(200)과, 스위칭 허브(300)와, 라우터(4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랙 착탈 방식의 커넥팅 블럭(110)과, 상기 커넥팅 블럭이 적어도 1 이상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 랙(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역내 통신실에 설치된다. 이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이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누설동축케이블(200)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의 각 커넥팅 블럭(110)에 연결되고, 구역내 건물에 설치되어 원통형의 전파를 방사한다. 이 누설동축케이블(200)의 종단에는 전파 반사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저항 등의 종단부(2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종단부(210)로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으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ntenna)를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스위칭 허브(300)는 공유 회선에서 일어나는 충돌을 회피하여 통신량이 증가되더라도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세그먼트를 분할해 주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당업계에서 다양하게 공지되어 사용되는 통상적인 통신장비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상기 라우터(400)는 동일한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분리된 네트웍을 연결하는 장치로,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당업계에서 다양하게 공지되어 사용되는 통상적인 통신장비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500은 상기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스위칭 허브(Hub), 라우터(Router)를 포함하는 통신장비를 수납하는 랙 마운트(Rack Mount)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원통형의 전파를 방사하여 통신 음영지역이 최소화 할 수 있는 누설동축케이블(200)을 구역내 건물 각 층에 각각 설치하고, 이를 구역내 통신실에 설치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의 액세스 포인트 랙(120)에 착탈되는 각 커넥팅 블럭(110)에 연결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액세스 포인트를 구역내의 통신실에 집합시킬 수 있어 액세스 포인트의 통합 설치 및 유지가 가능하며,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는 커넥팅 블럭(110)과, 상기 커넥팅 블럭(110)이 다수개 장착되는 액세스 포인트 랙(1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커넥팅 블럭(110)은 케이블 접속단자(111)와, 이더넷 접속잭(112)과, 액세스 포인트(113)와, 브라켓(11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케이블 접속단자(111)는 누설동축케이블(200)의 일측단이 연결된다.
상기 이더넷 접속잭(112)은 스위칭 허브(300) 또는 라우터(400)와 연결되는 유선랜 연결선의 단자를 접속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113)는 상기 케이블 접속단자와 이더넷 접속잭 사이에 연결되어 유선랜 네트워크 영역과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을 연동한다.
상기 브라켓(114)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113)와 케이블 접속단자(111) 및 이더넷 접속잭(112)을 지지 고정하며, 적어도 그 외측 양면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착탈하기 위한 제 1 가이드부(114a)와, 장착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 1 고정부(114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 랙(120)은 상기 커넥팅 블럭(110)이 적어도 1 이상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되, 상기 커넥팅 블럭(110)의 제 1 가이드부(114a)에 대응하여 형성한 제 2 가이드부(121)와, 상기 제 1 고정부(114b)에 대응하여 형성한 제 2 고정부(122)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는 구역내의 통신실에 설치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 랙(120)에 다수의 커넥팅 블럭(110)을 슬라이딩하여 장착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커넥팅 블럭(110)의 제 1 가이드부(114a)가 이와 대응되게 상기 액세스 포인트 랙(120)에 형성한 제 2 가이드부(121)에 의해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되며, 완전히 장착된 경우 상기 커넥팅 블럭(110)의 제 1 고정부(114b)가 이와 대응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 랙(120)에 형성한 제 2 고정부(122)에 결합 고정되게 되어 상기 커넥팅 블럭(110)이 액세스 포인트 랙(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접속단자(111)에 구역내 건물의 각 층에 가설한 각 누설동축케이블(200)의 일측단을 연결하고, 상기 이더넷 접속잭(112)에 유선랜에 연결된 스위칭 허브(300) 또는 라우터(400)와 연결되는 유선랜 연결선의 단자를 접속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구역내 건물에 위치한 무선 단말기와 구역내 통신실에 위치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간에 상기 누설동축케이블(200)을 통해 무선랜 네트워크 경로가 형성되어 데이타가 송수신되며, 상기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에 연결되는 스위칭 허브(300) 또는 라우터(400)를 통해 유선랜 네트워크 경로가 형성되어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상의 무선 단말기와 유선랜 네트워크 영역상의 이더넷 백본(Ethernet Backbone)간에 데이타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커넥팅 블럭(110)의 액세스 포인트(113)는 무선랜 송수신부(113a)와, 유선랜 송수신부(113b)와, 제어부(113c)와, 메모리부(113d)와, 설정부(113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랜 송수신부(113a)는 상기 누설동축케이블(200)을 통해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으로 패킷 데이타(Packet Data)를 송수신한다.
상기 유선랜 송수신부(113b)는 상기 유선랜 연결선을 통해 유선랜 네트워크 영역으로 패킷 데이타를 송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13c)는 상기 무선랜 송수신부(113a) 및 유선랜 송수신부(113b)를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타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 전반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113d)는 상기 패킷 데이타 처리를 위한 네트워크 설정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설정부(113e)는 상기 설정정보를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설정부(113e)를 통해 설정되어 상기 메모리부(113d)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어부(113c)가 상기 무선랜 송수신부(113a) 및 유선랜 송수신부(113b)를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타를 처리함으로써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상의 무선 단말기와 유선랜 네트워크 영역상의 이더넷 백본(Ethernet Backbone)간에 데이타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액세스 포인트(113)의 구성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는 랙체결 방식으로 구역내 건물의 통신실에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를 집합적으로 설치하고, 통신 음영지역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통형으로 전파를 방사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UTP 케이블 방식의 액세스 포인트가 구역내 건물의 각 층의 천정에 다수 설치되어야함에 의해 발생하는 설치 및 유지 보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된다. 즉,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문제 발생은 통신라인 보다는 네트웍 장비에서 더 빈번하므로 액세스 포인트를 집합하여 설치하고, 이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종래보다 획기적으로 용이해진다.
상기에서 도 2 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 장치(100)와, 누설동축케이블(200)과, 스위칭 허브(300)와, 라우터(4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변형된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알아본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은 도 2 에 도시한 시스템 구성에 부가하여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 확장을 위해 상기 커넥팅 블럭(110)의 케이블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누설동축케이블(200)을 적어도 2 이상으로 분기시키는 분배기(60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구역내 건물의 동일층에서 하나의 누설동축케이블만으로는 통신지역을 다 커버할 수 없을 경우 상기 커넥팅 블럭(110)의 케이블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누설동축케이블(200)을 상기 분배기(600)의 일측에 연결하고, 타측에는 분기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누설동축케이블(200)을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이 확장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은 도 2 에 도시한 시스템 구성에 부가하여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커넥팅 블럭(110)의 케이블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각 누설동축케이블(200)을 결합시키는 결합기(70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UTP 케이블을 이용해 구역내 건물의 각 층 천정에 통신 음영지역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파 발생영역이 겹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경우 채널 분할이 까다로와, 현실적으로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해 2개사 이상의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한 구역내의 건물의 각 무선랜 이용자는 각각 상이한 망사업자와 계약하여 무선랜을 이용하게 되므로, 계약한 망사업자별로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하고 유지해야만 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은 상이한 망사업자의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각 커넥팅 블럭(110)을 액세스 포인트 랙(120)에 장착하여 구역내 통신실에 집합하여 설치하고, 상기 결합기(700)의 일측에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커넥팅 블럭(110)의 케이블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각 누설동축케이블(200)을 연결하고, 타측에는 구역내 건물에 가설된 누설동축케이블(200)중 하나를 연결함으로써 무선랜 가입자는 자신의 무선 단말기를 통해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한 도 5 에서 설명한 분배기(600)와 도 6 에서 도시한 결합기(700)를 동시에 적용한 것으로, 결합기(700)의 일측에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커넥팅 블럭(110)의 케이블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각 누설동축케이블(200)을 연결하고, 타측에 연결되는 누설동축케이블(200)에 분배기(600)를 연결하여 통신 영역을 확장하는 동시에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위와같이 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를 구역내의 통신실내에 랙(Rack) 착탈방식으로 설치하고 전파를 원통형으로 방사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적용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를 동일한 장소에 집합할 수 있어 통합적인 유지보수가 편리한 동시에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누설동축케이블을 적어도 2 이상 분기할 수 있어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을 확장할 수 있고, 동일한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2개사 이상의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의 개요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세스 포인트 장치 110 : 커넥팅 블럭
111 : 케이블 접속단자 112 : 이더넷 접속잭
113 : 액세스 포인트 114 : 브라켓
120 : 액세스 포인트 랙 200 : 누설동축케이블
210 : 종단부 300 : 스위칭 허브
400 : 라우터 500 : 랙 마운트
600 : 분배기 700 : 결합기

Claims (6)

  1. 누설동축케이블(Leakage Coaxial Cable)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케이블 접속단자와,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또는 라우터(Router)와 연결되는 유선랜 연결선의 단자를 접속하는 이더넷(Ethernet) 접속잭과, 상기 케이블 접속단자와 이더넷 접속잭 사이에 연결되어 유선랜 네트워크 영역과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을 연동하는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케이블 접속단자 및 이더넷 접속잭을 지지 고정하되 적어도 그 외측 양면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착탈하기 위한 제 1 가이드부와 장착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 1 고정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커넥팅 블럭(Connecting Block)과;
    상기 커넥팅 블럭이 적어도 1 이상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되, 상기 커넥팅 블럭의 제 1 가이드부에 대응하여 형성한 제 2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에 대응하여 형성한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랙(Ra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블럭의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누설동축케이블을 통해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으로 패킷 데이타(Packet Data)를 송수신하는 무선랜 송수신부와;
    상기 유선랜 연결선을 통해 유선랜 네트워크 영역으로 패킷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유선랜 송수신부와;
    상기 무선랜 송수신부 및 유선랜 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 데이타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패킷 데이타 처리를 위한 네트워크 설정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
  3. 구역내의 통신실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한 랙 착탈 방식의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그 일측단은 구역내 건물에 설치되고, 그 타측단은 상기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각 커넥팅 블럭에 연결되어 무선 단말기로부터 방사된 전파를 수신하는 적어도 1 이상의 누설동축케이블과;
    전파 반사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역내 건물에 설치되는 각 누설동축케이블의 일측단에 설치한 종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가: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으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nten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시스템이:
    무선랜 네트워크 영역 확장을 위해 상기 커넥팅 블럭의 케이블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적어도 2 이상으로 분기시키는 분배기(Distribut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시스템이: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적어도 2 이상의 상이한 커넥팅 블럭의 케이블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각 누설동축케이블을 결합시키는 결합기(Coupl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시스템.
KR10-2003-0030371A 2003-05-13 2003-05-13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장치 및 시스템 KR100487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371A KR100487572B1 (ko) 2003-05-13 2003-05-13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371A KR100487572B1 (ko) 2003-05-13 2003-05-13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161A KR20040098161A (ko) 2004-11-20
KR100487572B1 true KR100487572B1 (ko) 2005-05-04

Family

ID=3737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371A KR100487572B1 (ko) 2003-05-13 2003-05-13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5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161A (ko) 200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88198A1 (en) Wi-Fi Hotspot Repeater
US8213993B2 (en) Messenger strand mounted pico-cell radio
JP2755268B2 (ja) 私設交換機形態の無線電話システム
US20050282570A1 (en) Synchronization of terminals in a radio link system
US7474637B2 (en) Signal supply apparatus and method for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W201603625A (zh) 可升級高資料傳輸速率多頻道傳輸系統
US9712212B2 (en) Multiple service distributed-antenna system
JP2005160092A (ja) 無線分散基地局
KR100786602B1 (ko) 무선 인접 영역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003291B2 (en) Fixed wireless network extender
KR100487572B1 (ko) 통신 음영지역 발생을 최소화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장치 및 시스템
KR20120118877A (ko) 공조 덕트를 이용한 무선 전송 시스템
US20210059014A1 (en) Heterogeneous mobile radio arrangement for supplying at least one mobile radio cell with mobile radio services
JP4731402B2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KR101273785B1 (ko) 빌딩 내에서 mimo 환경을 구현하는 mimo 서비스 시스템, mimo장치 및 커플러
KR100590631B1 (ko) 이동 통신 기지국에서의 안테나 및 안테나 제어 시스템 구성
KR100590685B1 (ko) 이동 통신 기지국에서의 안테나 및 안테나 제어 시스템 구성
KR100590633B1 (ko) 이동 통신 기지국에서의 안테나 및 안테나 제어 시스템 구성
CN115021818B (zh) 基于分布式基站的以太网组网系统及组网方法
KR20120081752A (ko) 무선랜 통신용 양방향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랜 통신 시스템
KR102149420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KR20050059893A (ko) 지하철을 위한 무선랜 서비스 시스템
EP0881849A3 (de) Funkkommunikationssystem mit einer ortsfesten und einer beweglichen Funkvorrichtung
KR100695220B1 (ko)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장치
JPH08163063A (ja) 同期放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