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535B1 -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535B1
KR100486535B1 KR10-2002-0061570A KR20020061570A KR100486535B1 KR 100486535 B1 KR100486535 B1 KR 100486535B1 KR 20020061570 A KR20020061570 A KR 20020061570A KR 100486535 B1 KR100486535 B1 KR 100486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xt message
information
unit
s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442A (ko
Inventor
김덕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653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535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편집하는 중에도 수신자와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용이하게 수정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수신자와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제어부에 입력하는 동시에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입력과정과; 상기 입력과정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가 입력완료 되었는지를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하고, 입력완료 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으로 궤환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 의하여 입력완료가 확인된 정보를 수정할 것인지 판단하고 수정하는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으로 궤환하는 수정과정과; 상기 수정과정에서 판단하여 입력된 정보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무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해당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는 송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에 의하여,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도중에 수신자와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또한, 문자메시지 입력 과정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신뢰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A METHOD OF SMS MESSAGE USING BY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타스크에 의하여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편집하는 중에도 수신자와 발신자의 해당 고유번호를 수정 또는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통신을 할 수 있다는 장점과 계속되는 기술개발에 힘입어 단말기를 저가격으로 보급하게 되었고, 또한 통신비용도 점차 낮아지고 있으므로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특히, 간단한 문자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및 인터넷 접속 등과 같은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 개발에 의하여 사용의 편리성 및 용도가 계속 증가하여 보급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자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하는 경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자와 발신하는 발신자의 고유번호(ID)를 각각 입력하고, 다음 과정에 의하여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중간에 수신자 및 발신자의 고유번호 또는 전화번호(ID)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 입력중인 문자메시지를 임시 저장한 후에 과정을 바꾸어 수신자 및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수정하여야 하는 복잡함이 있으므로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의 기능 블록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휴대단말기는 안테나(ANT)를 통하여 무선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듀플렉서(10); 상기 듀플렉서(10)를 통하여 해당 신호를 무선송신하는 송신부(20); 상기 듀플렉서(10)를 통하여 해당 신호를 무선수신하는 수신부(30)로 이루어지는 무선부(40)와,
상기 무선부(40)의 송신부(20)와 수신부(30)를 각각 제어하여 송신할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해당 처리하는 동시에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에 다이얼링 신호와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키입력부(60)와,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인가되는 문자메시지 및 휴대단말기의 간단한 운용상태 정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70)와,
상기 제어부(50)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기록 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80)와,
상기 무선부(40)와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상기 무선부(40)에 출력하고, 상기 무선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급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하여 가청신호로 출력되도록 해당 처리를 하는 음성처리부(90)로 구성된다.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반적인 휴대단말기 구성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은,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60)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무선수신하는 수신자의 고유번호(ID) 또는 전화번호(ID)를 입력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60)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무선송신하는 송신자 또는 발신자의 고유번호(ID) 또는 전화번호(ID)를 입력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단계에 의하여 각각 입력된 고유번호가 정확히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잘못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상기 제1 단계(S10)로 궤환하는 제3 단계(S30)와,
상기 제3 단계(S30)에서 정확하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입력된 수신자와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메모리의 해당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제4 단계(S40)와,
상기 제4 단계(S40)에서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를 확인 판단하고 잘못 입력된 것으로 확인 판단되는 경우는 상기 제4 단계(S40)로 궤환하는 제5 단계(S50)와,
상기 제5 단계(S50)에서 판단하여 문자메시지가 정확하게 입력된 것으로 확인 판단되면 해당 메모리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상기의 수신자 및 발신자 고유번호와 문자메시지를 수정할 것인지 판단하여 수정하는 경우는 상기 제1 단계(S10)로 궤환하는 제6 단계(S60)와,
상기 제6 단계(S60)에서 판단하여 수정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입력된 문자 메시지를 해당 수신자 고유번호로 전송하고 종료하는 제7 단계(S7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문의 문자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키입력부(60)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고유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S10) 또한, 수신자가 확인할 수 있는 발신자의 고유한 전화번호를 입력한다(S20).
상기 제어부(50)는, 상기와 같이 입력된 수신자와 발신자의 고유한 전화번호(ID)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
상기의 판단결과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제1 단계(S10)로 궤환(FEEDBACK)하여 다시 입력하도록 하며, 정확하게 입력된 경우는 상기 입력된 수신자와 발신자의 고유한 전화번호(ID)를 메모리(8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하고, 키입력부(60)를 통하여 전송할 단문의 문자메시지를 입력한다(S40).
상기 제어부(50)는 상기와 같이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고(S50),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상기 제4 과정(S40)으로 궤환하여 다시 입력하도록 하며, 정확하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상기 메모리(80)에 기록 저장된 수신자의 고유한 전화번호로, 상기 입력된 문자메시지와 발신자 고유번호를 상기 무선부(40)의 송신부(20)에 인가하므로써, 상기 송신부(20)는 해당 고주파(RF) 신호로 변환하고 듀플렉서(10)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무선전송하므로써 해당 수신자가 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수신자와 발신자의 고유번호 입력 및 확인이 완료되어 해당 메모리(80)에 기록 저장하고, 문자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신자 또는 발신자의 고유한 전화번호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작성중인 문자메시지를 상기 메모리(8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한 후에 상기 제1 과정으로 궤환하여 수정하여야 하는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문의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고 전송하는 경우, 멀티타스크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에서도 수신자와 발신자의 고유한 전화번호를 용이하게 수정 입력하는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로부터 수신자와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멀티타스크로 입력하는 입력과정과; 상기 입력과정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가 입력완료 되었는지를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하고, 입력완료 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으로 궤환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 의하여 입력완료가 확인된 정보를 수정할 것인지 판단하고 수정하는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으로 궤환하는 수정과정과; 상기 수정과정에서 판단하여 입력된 정보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무선부를 통하여 전송하고 해당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는 송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써,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순서도 이고, 종래 기술 설명에서 첨부된 도1의 일반적인 휴대단말기 기능 블록도는 필요한 경우에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단문 형식 문자메시지 전송(SMS: SHORT MESSAGE SERVICE)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키입력부(60)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것으로, 문자메시지(SMS)를 수신하는 수신자와, 상기 문자메시지(SMS)를 발신하는 발신자의 고유한 전화번호(ID)와,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각각 제어부(50)의 멀티타스크(MULTI-TASK)에 의하여 동시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수신자의 고유번호를 입력하고(S100), 상기와 동시에 멀티타스크에 의하여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며(S110), 또한 상기와 동시에 멀티타스크에 의하여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50)에 의하여 임시 할당된 해당 메모리 영역에 임시 기록저장하는(S120) 입력과정과,
상기 입력과정(S100 내지 S120)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가 입력완료 되었는지를 상기 제어부(50)에서 판단하고, 입력완료 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S100)으로 궤환(FEEDBACK)하는 확인과정(S130)과,
상기 확인과정(S130)에 의하여 입력완료가 확인된 정보를 수정(MODIFY)할 것인지 판단하고 수정하는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S100)으로 궤환(FEEDBACK)하는 수정과정(S140)과,
상기 수정과정(S140)에서 판단하여 입력된 정보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무선부(40)를 통하여 전송(TRANSMISSION)하고 해당 메모리(8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WRITE) 저장(STORE)하는 것으로써,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부(50)에 의하여 입력과 수정이 완료된 정보를 무선전송할 것인지 판단하고(S150); 상기의 판단(S150)에서 전송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의 해당 정보를 무선부(40)의 송신부(20)에 인가하여 무선송신되도록 하며(S160);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50)는 송신된 정보를 상기 메모리(8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WRITE) 저장(STORE)하고 문자메시지 전송을 종료하는(S170) 송신과정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써,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을 첨부된 도1 과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써,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키입력부(60)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고유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S100) 또한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며(S110) 또한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입력한다(S120).
상기와 같은 입력과정은 제어부(50)에 의하여 동일한 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모리(80)를 구성하는 해당 임시메모리에 각각 기록 저장되는 것으로써, 수신자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도중에 발신자 고유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또한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도중에 수신자 또는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써, 상기 제어부(50)의 멀티 타스크(MULTI-TASK) 작용에 의하여 각각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 타스크는 상기 제어부(50)가 다수의 타스크(TASK) 프로그램(PROGRAM)을 동시에 운용하는 것으로, 각각의 타스크 프로그램은 할당된 기능만을 하게 된다.
일 예로, 수신자 고유번호 입력 타스크는 상기 키입력부(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수신자의 고유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임시 기록저장하고, 발신자 고유번호 입력 타스크는 상기 키입력부(60)를 통하여 발신자가 표시 되어지기를 원하는 해당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임시 기록저장하며, 문자메시지 입력 타스크는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입력하여 해당 메모리 영역에 임시 기록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타스크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상호 이전이 용이하며 그때까지 입력된 해당 정보는 해당 임시메모리에 임시로 기록 저장되어 수정 또는 갱신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와 같은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30), 입력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S100)으로 궤환(FEEDBACK)하며, 입력이 완료된 경우는, 상기와 같이 입력된 정보를 수정할 것인지 판단한다(S140).
상기의 과정(S140)에서 상기와 같이 멀티 타스크에 의하여 각각 입력된 정보를 수정할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S100)으로 궤환(FEEDBACK)하고, 수정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에서 수신자 고유번호 입력 타스크에 의하여 입력된 수신자에게 발신자가 표시되어지기를 원하여 입력한 해당 고유번호와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판단한다(S150).
상기의 판단(S150)에서 입력된 정보를 무선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무선부(40)를 구성하는 송신부(20)에 해당 정보를 인가하므로써 듀플렉서(10)와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송신하므로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한다(S160).
상기와 같이 무선전송이 완료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8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WRITE) 저장(STORE) 되고 상기와 같은 문자메시지 전송과정을 종료한다(S170).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용자는, 일 예로, 수신자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도중에도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또한, 문자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일 예로,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도중에도 수신자 및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입력하거나 이미 입력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하여 운용되는 멀티 타스크에 의하여 문자메시지를 입력하는 도중에 수신자와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문자메시지 입력 과정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신뢰성이 제고되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도1 은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의 기능 블록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순서도 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듀플렉서 20 : 송신부
30 : 수신부 40 : 무선부
50 : 제어부 60 : 키입력부
70 : 표시부 80 : 메모리
90 : 음성처리부

Claims (3)

  1.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로부터 수신자와 발신자의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할 문자메시지를 멀티타스크로 입력하는 입력과정과,
    상기 입력과정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가 입력완료 되었는지를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하고, 입력완료 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으로 궤환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 의하여 입력완료가 확인된 정보를 수정할 것인지 판단하고 수정하는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으로 궤환하는 수정과정과,
    상기 수정과정에서 판단하여 입력된 정보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무선부를 통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는 송신과정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입력부를 통하여 수신자의 고유번호와 발신자의 고유번호와 문자메시지를 제어부의 멀티타스크로 입력하고, 해당 임시메모리에 임시 기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과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입력과 수정이 완료된 정보를 무선전송할 것인지 판단하고,
    상기의 판단에서 전송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해당 정보를 무선부의 송신부에 인가하여 무선송신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송신된 정보를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고 문자메시지 전송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0-2002-0061570A 2002-10-09 2002-10-09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00486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570A KR100486535B1 (ko) 2002-10-09 2002-10-09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570A KR100486535B1 (ko) 2002-10-09 2002-10-09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442A KR20040032442A (ko) 2004-04-17
KR100486535B1 true KR100486535B1 (ko) 2005-05-03

Family

ID=3733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570A KR100486535B1 (ko) 2002-10-09 2002-10-09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65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600A (ko) * 2000-03-22 2001-10-26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21710A (ko) * 2000-09-16 2002-03-22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50767A (ko) * 2000-12-21 2002-06-27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기능을 이용한 메시지그룹송출방법
KR20030000444A (ko) * 2001-06-25 2003-01-06 주식회사 인터큐브 다수 사용자에게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600A (ko) * 2000-03-22 2001-10-26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21710A (ko) * 2000-09-16 2002-03-22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50767A (ko) * 2000-12-21 2002-06-27 구자홍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기능을 이용한 메시지그룹송출방법
KR20030000444A (ko) * 2001-06-25 2003-01-06 주식회사 인터큐브 다수 사용자에게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442A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996B1 (ko) 디지털휴대용전화기의개선된단문메시지발신방법
US6278886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transmitting messages in a predetermined sequence in a portable telephone
US200600635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ing SMS message transmission and retaining received SMS message
KR100500537B1 (ko) 하나의 문자 메시지를 다수의 수신자 단말기에 전송하는방법
KR10030938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송 방법
KR20010058797A (ko) 휴대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100453160B1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멀티 에쓰엠에쓰 전송 방법
KR100486535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10049037A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명함 관리 방법
JP2009049675A (ja) 電話機
KR2002001410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송신 방법
KR20040022286A (ko) 단문메시지를 통하여 분실한 휴대전화기의 위치를 찾는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
US20020019251A1 (en) Method of selectively storing display message in a mobile telephone
KR20030097427A (ko)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JP3531564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用電話端末
KR100606766B1 (ko)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775380B1 (ko) 문자 메시지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KR1007050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063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KR10108564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및방법
KR1003842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단문 메시지의 회신 방법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KR100640386B1 (ko) 이동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싱크 방법
JP2000165947A (ja) 携帯電話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送受信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20050402A (ko)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즉시 회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