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559B1 -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559B1
KR100483559B1 KR10-2002-0061129A KR20020061129A KR100483559B1 KR 100483559 B1 KR100483559 B1 KR 100483559B1 KR 20020061129 A KR20020061129 A KR 20020061129A KR 100483559 B1 KR100483559 B1 KR 100483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ample introduction
liner
evaporator
introd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212A (ko
Inventor
이계호
홍광희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2-006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55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질량분석기 등에 적용하기 위한 소형 크기로 제작한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료 주입을 위한 시료 도입관을 포함하고, 이 시료 도입관의 일단인 입구에 형성한 격벽을 포함하는 시료 도입장치; 상기 시료 도입장치의 시료 도입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시료 전달 통로를 포함하고, 또한 내부에 액체와 기체를 분리하기 위한 유리솜을 포함하는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의 주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카트리지 히터와, 상기 카트리지 히터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한 온도센서와, 상기 라이너, 카트리지 히터 및 온도센서를 내부에 포함하고, 그 내부면에 고온유지를 위한 유리솜을 형성하며, 소정 위치에 시료 전달용 체결구를 형성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시료 증발장치; 상기 시료 증발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라이너의 타단에 연결한 칼럼과, 상기 라이너의 타단에 삽입한 흑연을 포함하는 시료 전달장치; 및 증발시료 전달관을 포함하고, 상기 시료 증발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구에 전달관의 일단을 설치하고, 상기 시료 증발장치에 의해 발생된 증발시료를 상기 시료 전달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질량분석기로 제공하는 증발시료 도입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Miniature sample int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각종 질량분석기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소형 시료 도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료 도입장치를 조립이 가능한 소형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적용되는 질량분석기의 무게 및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석장비의 가격을 절감시켜 주며, 또한 간단한 구조로 사용하기가 간편하고, 이에 따라 오염 현장에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량분석기는 검사 대상 시료의 질량을 분석하여 시료의 성분을 파악하는데 이용되는 장치이다. 그런데, 질량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액체 등의 시료를 증발시켜 질량분석기 속으로 입력하는 시료 도입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시료 도입장치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이온 트랩(Ion Trap) 등이 있다.
여기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에 사용되는 시료 도입장치는 오븐 (oven)이라고 하는 시료증발장치 안에 칼럼(column)을 장착하여 시료 증발장치의 온도를 올려서 시료를 증기화시킴으로써 칼럼을 통한 증발시료를 질량분석기에 도입하게 된다.
도1은 일반적인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으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장치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부(10)의 칼럼에 의해서 성분 분리한 시료를 인터페이스부 (20)를 개재해서 질량분석부(30)에 도입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1의 도시와 같이,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부(10)에 있어서, 칼럼오븐(13)에 의해 적당한 정도의 온도로 가열된 칼럼(12)에는 소정 유량의 캐리어가스가 공급되고, 인젝터(11)에 주입된 시료성분은 기화해서 캐리어가스 흐름을 타고 칼럼(12)에 운반된다.
칼럼(12)을 통과하는 동안에 시료속의 각 성분은 시간적으로 분리되고, 인터페이스부(20)를 개재해서 질량분석부(30)의 이온화실(31)에 도입된다. 이 이온화실 (31)에 있어서 전자충격법 등에 의해 성분분자는 이온화되고, 이온렌즈(32)를 개재해서 4중극필터(또는 다른 질량분리기)(33)에 도입된다.
4중극필터(33)에는 직류전압과 고주파전압을 중첩한 전압이 인가되고, 이 인가전압에 따른 질량수(질량m/전하z)를 가진 이온만이 4중극필터(33)를 통과해서 검출기(34)에 도달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칼럼(12)의 온도는 목적 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서(주로 목적성분의 비점(沸占)에 따라서) 통상 100∼300℃정도의 범위내에서 설정된다. 칼럼(12)의 말단에 도달한 시료가스의 온도가 내려가면 이 가스의 유통이 악화되어 분석정밀도의 열악화 등의 원인이 됨으로, 인터페이스부(20)도 거의 칼럼(12)과 동일한 정도의 온도로 가열된다. 또, 이온화실(31)도 이온화를 안정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적당한 정도의 온도,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20)보다도 수 10℃정도 낮은 온도로 가열된다.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272730호로 알려진 도2에 도시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도2는 종래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장치의 인터페이스부의 구조를 표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부(10)의 칼럼(12) 출구에 연결된 모세관(21)을 끼워 넣음으로 스테인레스제의 인터페이스라인(22)의 바깥쪽에는 히터 카트리지(24a)와 온도센서(24b)를 구비한 히터블록(23)이 밀착되어 설치된다.
히터블록(23)은 온도센서(24b)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가 소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히터 카트리지(24a)에 공급되는 가열전력이 조정됨으로써, 고정밀도로 온도 제어된다. 또한, 인터페이스라인(22)에는 상기 히터블록(23)과의 밀착면을 개재해서 열이 전도되어 직접적으로 가열된다.
한편, 히터블록(23)에는 제1열전도부재(25)가 밀착해서 설치되고, 이 제1열전도부재(25)는 제2열전도부재(26)를 개재해서 이온화실(31)의 벽면에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제2열전도부재(26)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부(30) 전체를 내장하는 스테인레스제의 진공하우징(35)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2열전도부재(26)로부터 안둘레쪽으로 돌출해서 열저항부재(27)가 설치되고, 인터페이스라인(22)의 외주벽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2열전도부재(26)와 함께 진공하우징(35)내를 기밀(氣密)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열저항부재(27)는 기본적으로 열전도부재(25)(26)와 동일한 것이나, 특별히 열저항이 크게 되어 있음으로, 이에 의해 이온화실(31)과 인터페이스라인(22)은 열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열전도에 착안한 각 부재의 상호관계를 도2에 표시한다. 열적으로는 히터블록(23)과 이온화실(31)과의 사이는 제1열전도부재(25)에 의한 열저항(R1)을 가지고 접속되고, 이온화실(31)과 진공하우징(35)의 사이는 제2열전도부재(26)에 의한 열저항(R2)을 가지고 접속되어 있다.
히터블록(23)은 목적 성분 등에 따라서 100∼300℃정도의 범위내의 온도(T0)로 유지되도록 가열된다. 인터페이스라인(22)은 상기 히터블록(23)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도되는 열에 의해 온도 T0의 근처에 유지된다.
한편, 진공하우징(35)은 거의 상온(온도 T1)으로 되어 있고, 또한 그 열용량은 매우 크다. 이 때문에, 이온화실(31)의 온도 T2는 제1 및 제2 열전도부재(25, 26)의 열저항(R1,R2)의 비를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T0와 T1의 사이에서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온도가 안정된 상태에서는 T2=R2·(T0-T1)/(R 1+R2)+T1로 된다.
이와 같이 히터블록(23)은 고정밀도로 온도 제어되어 있으며, 한편 진공하우징(35)은 열용량이 압도적으로 크기 때문에, 온도 T0, T1은 안정되어 있고, 이온화실(31)의 온도 T2도 가열 개시시에는 단시간에 일정온도에 도달하고, 그 후에도 극히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열전도부재(25)(26) 및 열저항부재(27)에는 여러 가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장치에 있어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부(10)의 칼럼오븐(13) 및 인터페이스부(20)의 히터블록(23)에 의해서 칼럼오븐(13) 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부(10), 인터페이스부 (20) 및 질량분석부(30)가 일체로 결합된 장치로서, 장치 전체의 사이즈가 크게 되므로 휴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부(10), 인터페이스부(20)는 다른 질량분석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시료 도입장치는 전체적으로 구성으로 보면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고가이며, 이러한 점들로 인하여 현장에서 신속하게 적용할 수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질량분석기의 소형화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필요성으로 인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종 질량분석기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간단하게 시료를 도입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질량분석기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시료 도입장치를 조립 가능한 소형의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적용되는 질량분석기를 간단한 구조로 하여 무게 및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분석장비의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료 도입장치를 조립 가능한 소형의 크기로 제작함에 따라 휴대 사용하기가 간편하고 오염 현장에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시료 주입을 위한 시료 도입관을 포함하고, 이 시료 도입관의 일단인 입구에 형성한 격벽을 포함하는 시료 도입장치; 상기 시료 도입장치의 시료 도입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시료 전달 통로를 포함하고, 또한 내부에 액체와 기체를 분리하기 위한 유리솜을 포함하는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의 주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카트리지 히터와, 상기 카트리지 히터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한 온도센서와, 상기 라이너, 카트리지 히터 및 온도센서를 내부에 포함하고, 그 내부면에 고온유지를 위한 유리솜을 형성하며, 소정 위치에 시료 전달용 체결구를 형성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시료 증발장치; 상기 시료 증발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라이너의 타단에 연결한 칼럼과, 상기 라이너의 타단에 삽입한 흑연을 포함하는 시료 전달장치; 증발시료 전달관을 포함하고, 상기 시료 증발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구에 전달관의 일단을 설치하고, 상기 시료 증발장치에 의해 발생된 증발시료를 상기 시료 전달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질량분석기로 제공하는 증발시료 도입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의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로서,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는 시료 주입을 위한 시료 도입관(110)을 포함하고, 이 시료 도입관(110)의 일단인 입구에 형성한 격벽(120)을 포함하는 시료 도입장치(100)와;
상기 시료 도입장치의 시료 도입관(110)의 타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시료 전달 통로를 포함하고, 또한 내부에 액체와 기체를 분리하기 위한 유리솜(211)을 포함하는 라이너(210)와, 상기 라이너(210)의 주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카트리지 히터(221,222)와, 상기 카트리지 히터(221,222)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한 온도센서(231,232)와, 상기 라이너(210), 카트리지 히터(221,222) 및 온도센서 (231,232)를 내부에 포함하고, 그 내부면에 고온유지를 위한 유리솜(250)을 형성하며, 소정 위치에 시료 전달용 체결구(241)를 형성한 하우징(240)을 포함하는 시료 증발장치(200)와;
상기 시료 증발장치의 하우징(240)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라이너(210)의 타단에 연결한 칼럼(310)과, 상기 라이너(210)의 타단에 삽입한 흑연(320)을 포함하는 시료 전달장치(300)와;
증발시료 전달관(410)을 포함하고,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의 하우징(240)에 형성된 체결구(241)에 시료 전달관(410)의 일단을 설치하고,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에 의해 발생된 증발시료를 상기 시료 전달장치(300)로부터 전달받아 질량분석기로 제공하는 증발시료 도입장치(4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형 시료 도입장치는 질량분석기(500)에 결합되어 질량분석기에 증발시료를 제공하여 시료의 질량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료 도입장치(100)는 상기 시료 도입관(110)의 소정위치에 형성한 2개의 운반 및 소제관(131,132)과, 상기 소제관(131,132)에 각각 연결한 운반 및 소제구(141,142)와, 상기 운반 및 소제구(141,142)에 각각 형성한 흐름 제어밸브(151, 152)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시료 도입장치(100)는 시료 주입 주사기(50), 시료 도입관(110), 격벽(Septum)(self-sealing)(120), 시료흐름 제어 및 소제용 가스의 주입을 위한 소제관(131,132) 및 소제구(141,142) 그리고, 운반기체를 주입하고 조절할 수 있는 흐름 제어밸브(151,152)로 구성되어 있다.
도4는 도3의 시료 증발장치(200)의 상세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의 하우징(240)은 무게를 고려해서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는 상기 시료 전달장치(300)의 칼럼(3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이 칼럼(310)에서 연장된 관이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고, 그 연장된 관의 타단이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의 하우징(240)의 시료 전달용 체결구(24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칼럼(260)과 하우징(Housing)(240)의 사이에 고온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 유리솜(Glass Wool)(250)이 사용되었으며, 증기화가 되지 않은 액체 시료가 직접 칼럼(310)에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유리솜(Glass Wool)(250)을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 전달장치(300)는 증기화를 위해서 금속표면을 가열하여 칼럼(260)을 부착하였으며, 칼럼을 사용함으로써 라이너(Liner)(210)에 고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칼럼(310)의 단부에 형성된 흑연(Graphite Ferrule)(320)을 사용하여 라이너(210) 및 칼럼(310)의 내부에 고압을 유지시켜 주었다.
도5는 도3의 증발시료 도입장치(400)의 상세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증발시료 도입장치(400)는 상기 시료 전달장치(300)의 칼럼(310)을 통한 증발시료의 증기화 유지를 위해 내부에 설치한 가열코일(4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시료 도입장치(400)는 증기화된 시료를 계속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 가열코일(Heating Coil)(420)을 사용하였으며, 검출을 위해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및 이온 트랩(Ion Trap)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질량분석기에 사용되고 있는 시료 도입장치를 소형으로 제작함으로써 기존의 질량분석기를 간단하고 질량 및 부피를 줄여서 분석장비의 가격 절감 및 환경오염, 화생방 및 생화학 물질의 오염 현장에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는 휴대용 질량분석기를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시료 도입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이 장치는 기체 및 액체 시료를 증기화하여 여러 질량분석기에 간단하게 시료를 도입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시료 도입장치에 대한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시료 주사기(50)를 격벽(120)에 꽂아서 시료를 시료 도입장치 (100)의 시료 도입관에 주입하고, 이와 동시에 운반 및 소제구(141 또는 142)의 일측 흐름 제어밸브(151 또는 152)를 개방시키고, 타측 흐름 제어밸브를 폐쇄시켜서 개방된 운반 및 소제구(141 또는 142)를 통해 운반용 가스를 주입하면, 상기 시료 도입장치(100)의 시료 도입관(110)의 시료는 상기 주입된 운반용 가스의 흐름에 따라 시료 증발장치(200)의 라이너(210)로 전달된다.
여기서, 시료는 주사기로 주입되며, 주입 시에는 시료 증발장치(200)의 온도를 올리며 시료 주입량을 줄이고, 기체 시료를 주입시킬 때는 가스 타이트(tight) 시료 주입 주사기(Syringe)를 사용하며, 액체 시료는 시료 주입 주사기(Syringe)로 주입하며, 고체 시료는 분석하려는 시료에 방해되지 않는 용매에 녹인 용액을 주입한다. 기체와 액체를 주입할 때는 자체적으로 격리(sealing)된 격벽(Septum)을 통해 피하 주사침(hypodermic syringe needle)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의 카트리지 히터(221,222)를 동작시켜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의 내부를 가열시켜 상기 라이너(210) 내부의 시료를 증발시킨다.
이 경우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 내부의 온도센서(231,232)가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온도에 기초해서 외부 온도제어장치가 상기 카트리지 히터(221,222)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의 내부 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된 온도 제어과정을 설명하면, 원하는 온도를 사전에 설정해 주면 이 온도만큼 카트리지 히터(221,222)가 가열을 해 주고, 정확한 온도를 온도센서가 감지를 해서 온도 제어부(control box)에 전달을 하면, 설정온도가 되면 상기 카트리지 히터가 더 이상 가열을 하지 않게 되고 온도가 다시 식으면 재 가열을 해 주게 된다.
그리고, 시료 증발장치(200)와 질량분석기(500) 사이에 증발시료 도입장치 (400)가 있고, 이 증발시료 도입장치(400)의 가열코일(420)을 감아 놓았는데 이 가열코일(420)은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 내부의 온도와 시료 증발장치(200)를 지나서 질량분석기(500)까지 증발시료를 전달하는 도중에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시료가 질량분석기(500)에 도달하면 그때부터는 질량분석기의 고유의 방법에 따라서 시료가 분석이 된다.
즉, 시료 주입 주사기(50)에서 시료를 주입하면 라이너(210)에서 칼럼(310)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후 카트리지 히터(221,222)에 의해 원하는 온도로 가열을 준다.
이 온도 설정을 온도센서(231,232)가 정확한 온도로 검출하고, 상기한 설명과 같이 온도제어부가 피드백 온도 제어과정을 통해서 원하는 적정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가열과정을 통해 상기 주입된 시료가 증기화가 되고, 이 증기화 된 시료는 칼럼(310,260)을 통해서 질량분석기(500)로 들어간다.
상기 라이너(210)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라이너(210)는 그 안에 시료를 가두어 두어서 온도가 올라가면 시료들이 증기화를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관으로서, 여기서 증기화된 시료들이 칼럼(310)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압력이 필요하다.
즉, 칼럼(310)의 내경은 너무 작기 때문에 증기화된 시료가 스스로 들어갈 수가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스를 불어 넣어줌으로써 라이너(210) 안에 압이 생기고 그 압 때문에 증기화된 시료가 칼럼(310)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라이너 (210) 안에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흑연(320)이 필요하다.
상기 칼럼(310,260)에 대해서 설명하면, 칼럼(310,260)은 너무나 잘 알려진 시료 도입장치로서, 증발된 시료가 칼럼(310,260)을 통해서 질량분석기(500)로 들어가는데 칼럼(310,260)의 길이가 길어서 증발된 시료의 질량에 따라 시료가 분리가 된다.
즉, 질량이 무거운 것은 칼럼(310,260)을 통과하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고, 질량이 가벼운 것은 칼럼을 빨리 통과해서 질량분석기(500)에 빨리 도달하면 그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물질이 분석된다.
한편, 상기 시료 도입장치(100)의 흐름 제어밸브(151,152)의 용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료 운반용 가스를 주입하는 것과 다른 용도로서는 소제를 위한 것이다.
먼저 시료 운반용 가스 주입에 대해서 설명하면, 시료를 주입할 때는 한쪽의 밸브를 막고, 다른 한쪽의 밸브를 연 상태에서 시료의 흐름을 돕기 위해서 운반용 가스를 넣어 주면 이 가스의 압력 때문에 시료가 칼럼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칼럼은 워낙 내경이 작아서 이렇게 압력을 부여하지 않으면 증발된 시료가 칼럼 안으로 들어가질 못한다.
다음으로, 소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분석이 모두 끝나면 안쪽 부분이 전에 실험했던 물질로 오염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막기 위해서 밸브가 개방된 한쪽으로 가스를 넣고 다른 한쪽의 밸브를 열어서 청소를 행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질량분석기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시료 도입장치를 조립 가능한 소형의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적용되는 질량분석기의 무게 및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사용하기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시료 증발장치의 소형화로 인하여, 1) 장비를 제조하는 원가가 절감되고, 2) 작은 전압에서 작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질량분석기의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3) 넓은 질량 범위를 검출할 수 있는 소형 질량분석기를 개발하여 환경오염, 화생방 및 생화학 오염 현장에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복잡한 다른 가스크로마토그래피나 질량분석기에 비하여 불필요한 장치를 제거하여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사용이 간편하고 고장이 없기 때문에 정비보수가 거의 없으며, 어떤 연구개발과 실험에도 적합한 높은 감도와 성능 및 안전성을 제공한다.
또한, 견고하면서도 크기가 작고 가볍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현장이동실험도 가능한 잇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장치의 전체 구성을 표시한 도면
도2는 종래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장치의 인터페이스부의 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시료 도입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도3의 시료 증발장치의 상세도
도5는 도3의 증발시료 도입장치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시료 주입주사기(Syringe) 100: 시료 도입장치
110: 시료 도입관 120: 격벽(Septum)
131,132: 소제관 141,142: 소제구(Purge Vent)
151,152: 흐름 제어밸브 200: 시료 증발장치(오븐)
210: 라이너(Liner) 211: 유리솜(Glass Wool)
221,222: 카트리지 히터 231,232: 온도센서(Thermocouple)
240: 하우징(Housing) 241: 체결구
260: 칼럼(Column) 300: 시료 전달장치
310: 칼럼(Column) 320: 흑연(Graphite Ferrule)
400: 증발시료 도입장치 410: 시료 전달관
420: 가열코일(Heating Coil) 500: 질량분석기

Claims (5)

  1. 시료 주입을 위한 시료 도입관(110)을 포함하고, 이 시료 도입관(110)의 일단인 입구에 형성한 격벽(120)을 포함하는 시료 도입장치(100);
    상기 시료 도입장치(100)의 시료 도입관(110)의 타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시료 전달 통로를 포함하고, 또한 내부에 액체와 기체를 분리하기 위한 유리솜(211)을 포함하는 라이너(210)와, 상기 라이너(210)의 주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카트리지 히터(221,222)와, 상기 카트리지 히터(221,222)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한 온도센서(231,232)와, 상기 라이너(210), 카트리지 히터(221,222) 및 온도센서 (231,232)를 내부에 포함하고, 그 내부면에 고온유지를 위한 유리솜(250)을 형성하며, 소정 위치에 시료 전달용 체결구(241)를 형성한 하우징(240)을 포함하는 시료 증발장치(200);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의 하우징(240)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라이너(210)의 타단에 연결한 칼럼(310)과, 상기 라이너(210)의 타단에 삽입한 흑연(320)을 포함하는 시료 전달장치(300); 및
    증발시료 전달관(410)을 포함하고,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의 하우징(240)에 형성된 체결구(241)에 시료 전달관(410)의 일단을 설치하고,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에 의해 발생된 증발시료를 상기 시료 전달장치(300)로부터 전달받아 질량분석기로 제공하는 증발시료 도입장치(40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도입장치(100)는 상기 시료 도입관(110)의 소정위치에 형성한 2개의 운반 및 소제관(131,132);
    상기 소제관(131,132)에 각각 연결한 운반 및 소제구(141,142); 및
    상기 운반 및 소제구(141,142)에 각각 형성한 흐름 제어밸브(151,1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는 상기 시료 전달장치(300)의 칼럼(3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이 연장에서 연장된 관이 상기 알루미늄 재질 표면에 형성되고, 그 연장된 관의 타단이 상기 시료 증발장치(200)의 하우징(240)의 시료 전달용 체결구(241)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시료 도입장치(400)는 상기 시료 전달장치(300)의 칼럼(310)을 통한 증발시료의 증기화 유지를 위해 내부에 설치한 가열코일(4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
KR10-2002-0061129A 2002-10-08 2002-10-08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 KR100483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129A KR100483559B1 (ko) 2002-10-08 2002-10-08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129A KR100483559B1 (ko) 2002-10-08 2002-10-08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212A KR20040032212A (ko) 2004-04-17
KR100483559B1 true KR100483559B1 (ko) 2005-04-15

Family

ID=3733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129A KR100483559B1 (ko) 2002-10-08 2002-10-08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9555A1 (en) * 2008-07-23 2010-01-28 P Devices Inc. Portable plasma based diagnostic apparatus and diagnostic method
USD812958S1 (en) 2016-06-08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top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4857A (en) * 1979-08-16 1983-11-15 Brazhnikov Vadim V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samples into gas chromatograph
JPH0792149A (ja) * 1993-09-22 1995-04-07 Shimadzu Corp ガスクロマトグラフの試料注入装置
JPH07198697A (ja) * 1993-12-27 1995-08-01 Takayuki Kimijima ラインインジェクター
US5472670A (en) * 1993-03-05 1995-12-05 Ohio University Gas chromatography sample injector and apparatus using same
US5686656A (en) * 1996-02-27 1997-11-11 Aviv Amirav Method and device for the introduction of a sample into a gas chromatograph
US6062065A (en) * 1997-06-23 2000-05-16 Shimadzu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gas chromatography for introducing a sample
KR100284486B1 (ko) * 1998-12-24 2001-05-02 임정규 수돗물 검사에 적합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및 그시험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4857A (en) * 1979-08-16 1983-11-15 Brazhnikov Vadim V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samples into gas chromatograph
US5472670A (en) * 1993-03-05 1995-12-05 Ohio University Gas chromatography sample injector and apparatus using same
JPH0792149A (ja) * 1993-09-22 1995-04-07 Shimadzu Corp ガスクロマトグラフの試料注入装置
JPH07198697A (ja) * 1993-12-27 1995-08-01 Takayuki Kimijima ラインインジェクター
US5686656A (en) * 1996-02-27 1997-11-11 Aviv Amirav Method and device for the introduction of a sample into a gas chromatograph
US6062065A (en) * 1997-06-23 2000-05-16 Shimadzu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gas chromatography for introducing a sample
KR100284486B1 (ko) * 1998-12-24 2001-05-02 임정규 수돗물 검사에 적합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및 그시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212A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59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evaporative ionization of liquid phase samples
US51421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ncentration for analysis purposes of trace constitutes in gases
EP2052248B1 (en) Devices for circulating air
US5611846A (en) Portable gas chromatograph
US4982097A (en) Vaporization device for continuous introduction of liquids into a mass spectrometer
US5447556A (en) Sample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EP1696231B1 (en) Gas chromatography apparatus
KR100272730B1 (ko)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장치
US20140033835A1 (en)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 vacuum inlet
WO2019169121A1 (en) Thermal desorption tub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JP2006162515A (ja) ガスクロマトグラフ質量分析システム
JPH04274728A (ja) ガス中の微量成分分析のための予濃縮方法および装置
US6484560B1 (en) In Situ concentration of an analyte
US20170097321A1 (en) Practical ion mobility spectrometer apparatus and methods for chemical and/or biological detection
KR100483559B1 (ko) 조립식 소형 시료 도입장치
CN111033213A (zh) 包括多种成分的流体样品的部分转化的设备和方法以及用于在线确定和分析这些成分的方法
EP3980768A1 (en) A system for chemical analysis by means of gas-chromatographic separation and photoacoustic spectroscopy of samples mixtures
JP5629045B2 (ja) Gc質量分析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Ninomiya et al. Rapid desorption of low‐volatility compounds in liquid droplets accompanied by the flash evaporation of solvent below the Leidenfrost temperature
JPH03276550A (ja) 超臨界クロマトグラフィ質量分析装置
JPH0894579A (ja) ガスクロマトグラフ−質量分析計
JPH01219557A (ja) クロマトグラフィー/質量分析計
EP041034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 chromatographic equipment with a mass spectrometer
Dorn Interfacing liquid chromatography with high-performance spectroscopic instrumentation
Phinney Crossed beam LC/MS using laser vaporization for samples of environmental inte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8